KR102096015B1 - 회전식 창문난간대 - Google Patents

회전식 창문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015B1
KR102096015B1 KR1020190105255A KR20190105255A KR102096015B1 KR 102096015 B1 KR102096015 B1 KR 102096015B1 KR 1020190105255 A KR1020190105255 A KR 1020190105255A KR 20190105255 A KR20190105255 A KR 20190105255A KR 102096015 B1 KR102096015 B1 KR 102096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ar
interior wall
rotar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김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철 filed Critical 김병철
Priority to KR1020190105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창문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상시 추락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비상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손쉽게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며 탈출시 위험요소로 작용하지 않아 안전하고 신속하게 창문을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건물에 구비된 창문의 양쪽 가장자리 측에서 각각 수직을 이루도록 건물의 실내벽에 설치되는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 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바를 포함하는 창문난간대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바는 창문난간대가 후방을 향해 회동가능하도록 상단이 상기 실내벽에 결합되고, 상기 실내벽과 결합된 지점의 하방으로 상기 실내벽에 탈착가능한 탈착구가 구비되되, 상기 실내벽은 탈착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탈착구는 회동바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함께 회전하여 고정구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개폐조절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조절구는 회동바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는 실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직을 이루면서 수직을 이루는 회전바와 개폐조절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창문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창문난간대{Rotation style guardrail for window}
본 발명은 회전식 창문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상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고 신속하게 창문을 통해 탈출할 수 있는 회전식 창문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시설 및 보육시설의 창문이나 높이가 낮게 설치되는 일반건축물의 창문에는 추락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창문에 난간대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난간대는 종래 격자 형태롤 많이 제작되었으나, 외관상의 미감을 고려하여 현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영유아를 비롯한 학생들이 쉽게 올라가거나 넘어다닐 수 없도록 일정 높이로 제작된다.
종래 난간대는 창문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바, 창문을 통해서만 외부로 탈출할 수 밖에 없는 비상상황 발생시 난간대의 높이로 인해 자력으로 인한 탈출이 어려우며, 건물의 외벽에 견고히 고정된 난간대를 실내에 있는 사용자나 실외에서 탈출을 돕는 사용자가 뜯어내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기 위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7906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F) 또는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0)과, 고정브라켓(1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바아(20)와 안전봉(30), 그리고 안전봉(30)을 걸림대(12)에 위치를 고정하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잠금고리(40)를 포함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잠금고리(40)의 고정을 해제하고 안전봉(30)을 올려 걸림대(1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안전봉(30)을 하방으로 내려 탈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은 안전봉(30)이 하방으로 회동되고 회동된 안전봉(30)은 건물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탈출시 자칫 발에 걸쳐 추락 등과 같은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으며, 실수로 안전봉(30)이 해제되고 회동되었다 가정할 경우 건물의 외부에 위치하는 안전봉(30)을 재설치하기에 위험이 따른다. 또한, 학교 등과 같이 외벽이 벽돌로 이루어진 건물의 경우, 벽돌에 견고히 고정되지 않아 설치를 하더라도 평상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7906호 '안전봉 창문 안정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상시 추락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비상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손쉽게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며 탈출시 위험요소로 작용하지 않아 안전하고 신속하게 창문을 통해 탈출할 수 있는 회전식 창문난간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회전식 창문난간대는 건물에 구비된 창문의 양쪽 가장자리 측에서 각각 수직을 이루도록 건물의 실내벽에 설치되는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 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바를 포함하는 창문난간대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바는 창문난간대가 후방을 향해 회동가능하도록 상단이 상기 실내벽에 결합되고, 상기 실내벽과 결합된 지점의 하방으로 상기 실내벽에 탈착가능한 탈착구가 구비되되, 상기 실내벽은 탈착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탈착구는 회동바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함께 회전하여 고정구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개폐조절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조절구는 회동바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는 실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직을 이루면서 수직을 이루는 회전바와 개폐조절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바가 상단이 회동가능하도록 건물의 실내벽에 설치되는바 평상시 추락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창문난간대를 후방을 향해 회동시켜 개방된 상태에서 창문난간대가 창문의 상부 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탈출시 창문난간대가 위험요소로 작용하지 않아 안전하게 탈출이 가능하며, 회동바에 구비된 탈착구를 통해 사용자가 실내벽과의 고정상태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탈출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회전식 창문난간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회전식 창문난간대가 창문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인 회전식 창문난간대에 적용되는 회동바가 실내벽에 회전되도록 설치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와 그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인 회전식 창문난간대에 적용되는 회동바가 실내벽에 회전되도록 설치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회전식 창문난간대에 적용되는 탈착구와 고정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회전식 창문난간대가 창문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회전식 창문난간대에 적용되는 탈착구와 고정구의 구조와 그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평상시 추락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비상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손쉽게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며 탈출시 위험요소로 작용하지 않아 안전하고 신속하게 창문을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건물에 구비된 창문의 양쪽 가장자리 측에서 각각 수직을 이루도록 건물의 실내벽에 설치되는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 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바를 포함하는 창문난간대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바는 창문난간대가 후방을 향해 회동가능하도록 상단이 상기 실내벽에 결합되고, 상기 실내벽과 결합된 지점의 하방으로 상기 실내벽에 탈착가능한 탈착구가 구비되되, 상기 실내벽은 탈착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탈착구는 회동바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함께 회전하여 고정구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개폐조절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조절구는 회동바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는 실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직을 이루면서 수직을 이루는 회전바와 개폐조절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창문난간대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회전식 창문난간대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13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회전식 창문난간대(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에 구비된 창문(10)의 양쪽 가장자리 측 실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회동바(100)와, 회동바(100) 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안전바(200)를 포함한다.
회동바(100)가 후방에 설치되는 창문(10)은 하나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하나의 창문(10)이 하나의 창문난간대(A)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복수 개의 창문(10)이 하나의 창문난간대(A)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동바(100)는 일자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창문(10)의 양쪽 가장자리 측 후방에 수직을 이루도록 건물의 실내벽(20)에 설치된다. 이때, 실내벽(20)이란, 창문(10)의 양측에서 창문(10)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건물의 내벽을 의미하거나, 창문(10)의 양측에서 창문(10)과 직교하는 평면을 이루는 건물의 내벽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실내벽(20)이 창문(10)의 양측에서 창문(10)보다 실내를 향해 돌출되면서 직교하도록 형성된 건물의 내벽임을 전제로 설명한다.
안전바(200)는 일자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창문(10)의 양쪽 가장자리 측 후방에 구비된 각각의 회동바(100)를 상호 횡방향으로 연결하며,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나, 복수 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평상시 창문(10)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창문난간대(A)는 회동바(100)의 상단이 실내벽(2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도 5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를 향해 회전된다. 이처럼 회동바(100)의 상단을 기준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되어 개방시 창문(10)의 상부 측 후방에 위치하는 창문난간대(A)는 사용자가 비상상황 발생시 창문(10)을 통해 탈출함에 있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위험요소로 작용하지 않아 안전하게 탈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회동바(100)에는 실내벽(20)과 결합된 지점의 하방으로 실내벽(20)에 탈착가능한 탈착구(300)가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창문난간대(A)가 실내벽(2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가, 비상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탈착구(300)를 조작하여 창문난간대(A)의 고정상태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탈출이 가능하다. 또한, 회동바(100)의 상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실내벽(20)에 설치됨을 고려하였을 때, 탈착구(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100)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동바(100)의 상단이 실내벽(2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일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창문난간대(A)는 도 2 내지 도 7,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100)의 상단 외측에 인접하도록 실내벽(20)에 구비되는 브라켓(510)과, 브라켓(510)에 고정되며 회동바(100)의 상단을 관통하는 회전축(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20)에는 외주를 따라 톱니가 형성된 라쳇휠(530)가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회동바(100)는 회동바(100)를 구성하는 실내벽에 축결합되어 라쳇휠(530)과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멈춤쇠(5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라쳇휠(530)과 멈춤쇠(540)는 라체트기어를 구성하여, 회동바(10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일 예로, 탈착구(300)가 해제된 상태를 전제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쇠(540)가 라쳇휠(530)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동바(10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멈춤쇠(5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100)와 함께 회동하며 라쳇휠(530)의 톱니를 따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회동바(100)의 회전을 멈추면 탄성에 의해 라쳇휠(530)의 톱니에 걸리는바, 창문난간대(A)는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다른 일 예로, 탈착구(300)가 해제된 상태를 전제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쇠(540)가 라쳇휠(53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동바(10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멈춤쇠(5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100)와 함께 회동하며 라쳇휠(530)의 톱니를 따라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회동바(100)의 회전을 멈추면 탄성에 의해 라쳇휠(530)의 톱니에 걸리는바, 창문난간대(A)는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회동바(100)의 회전범위는 창문(10) 등을 고려하였을 때, 180°정도를 이루게 되는바, 라쳇휠(5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반의 외주에만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라쳇휠(530)과 멈춤쇠(540)는 회동바(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비와 눈 등과 같은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멈춤쇠(54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50)도 회동바(100)의 내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스프링(550)은 인장스프링 또는 토션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멈춤쇠(540)는 일부가 회동바(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라쳇휠(530)과의 걸림을 해제할 수도 있다. 이는 후방으로 회전된 창문난간대(A)를 원위치 또는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회동바(100)가 실내벽(20)에 탈착가능하도록 하는 탈착구(3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실내벽(20)과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창문난간대(A)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를 위해, 실내벽(20)은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구(300)와 대응되는 고정구(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탈착구(300)는 회동바(10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310)와, 손잡이(310)와 함께 회전하여 고정구(400)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개폐조절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상황 발생시, 고정구(400)에 걸린 개폐조절구(320)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손잡이(310)를 잡고 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손잡이(310)와 함께 개폐조절구(320)가 회전하면서 고정구(400)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어 창문난간대(A)를 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조절구(320)는 회동바(100)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고정구(400)는 실내벽(20)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직을 이루면서 수직을 이루는 회전바(100)와 개폐조절구(32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개폐조절구(320)는 손잡이(310)와의 회전에 따라 고정구(400)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도록 비대칭적으로 형성되거나, 일부분은 고정구(400)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다른 일부분은 고정구(400)를 덮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 도 8a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조절구(320)는 후방에 위치하는 고정구(400)에 걸림이 발생되어 회동바(100)가 후방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를 이루다가, 비상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손잡이(310)를 회전시킴에 따라 개폐조절구(320)가 고정구(400)에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께 회전되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100)가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일 예로,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100)가 실내벽(20)에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개폐조절구(3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태를 이루며 회동바(100)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조절구(321)와, 제1 조절구(321)의 일단으로부터 직교하게 연장형성되어 회동바(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조절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개폐조절구(32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조절구(320)의 타단에 개폐조절구(320)를 손쉽게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310)가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한 손잡이(310)의 회전에 따라 개폐조절구(32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40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을 이루는 회전바(100)의 외측에 일면이 마주하도록 실내벽(20)에 설치되는 고정판(410)과, 고정판(410)으로부터 회전바(100)를 향해 돌출되면서 고정판(410)의 중앙부를 향해 직교하게 절곡형성된 걸림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걸림부(420)는 후방 아래쪽으로 개방된 'C'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회동바(100)가 후방을 향해 회전시 개방된 부분을 통해 개폐조절구(320)가 걸리지 않게 된다.
개폐조절구(320)를 구성하는 제1 조절구(32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320)의 내측에 편심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제2 조절구(322)는 회전에 따라 걸림부(420)에 억지끼워진 상태를 이루거나 억지끼워짐이 해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평상시 도 11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절구(322)가 걸림부(320)에 억지끼워진 상태를 이루고 있다가, 비상상황 발생시 사용자는 손잡이(310)를 회전시킴에 따라 개폐조절구(320)가 회전되고,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절구(322)의 억지끼워짐이 해제되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100)를 후방을 향해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바, 신속히 창문(10)을 통해 탈출을 할 수 있다.
A : 창문난간대
10 : 창문 20 : 실내벽
100 : 회동바
200 : 안전바
300 : 탈착구 310 : 손잡이
320 : 개폐조절구 321 : 제1 조절구
322 : 제2 조절구
400 : 고정구 410 : 고정판
420 : 걸림부
510 : 브라켓 520 : 회전축
530 : 라쳇휠 540 : 멈춤쇠
550 : 스프링

Claims (5)

  1. 건물에 구비된 창문(10)의 양쪽 가장자리 측에서 각각 수직을 이루도록 건물의 실내벽(20)에 설치되는 회동바(100)와, 상기 회동바(100) 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바(200)를 포함하는 창문난간대(A)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바(100)는 창문난간대(A)가 후방을 향해 회동가능하도록 상단이 상기 실내벽(20)에 결합되고, 상기 실내벽(20)과 결합된 지점의 하방으로 상기 실내벽(20)에 탈착가능한 탈착구(300)가 구비되되,
    상기 실내벽(20)은 탈착구(300)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400)가 구비되고,
    상기 탈착구(300)는 회동바(10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310)와, 상기 손잡이(310)와 함께 회전하여 고정구(400)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개폐조절구(320)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조절구(320)는 회동바(100)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400)는 실내벽(20)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직을 이루면서 수직을 이루는 회전바(100)와 개폐조절구(32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창문난간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난간대(A)는 회동바(100)의 상단 외측에 인접하도록 실내벽(20)에 구비되는 브라켓(510)과, 상기 브라켓(510)에 고정되며 회동바(100)의 상단을 관통하는 회전축(52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520)은 외주를 따라 톱니가 형성된 라쳇휠(530)이 고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동바(100)는 축결합되고 라쳇휠(530)과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멈춤쇠(540)가 구비되어, 회동바(10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창문난간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05255A 2019-08-27 2019-08-27 회전식 창문난간대 KR102096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55A KR102096015B1 (ko) 2019-08-27 2019-08-27 회전식 창문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55A KR102096015B1 (ko) 2019-08-27 2019-08-27 회전식 창문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015B1 true KR102096015B1 (ko) 2020-04-01

Family

ID=7027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255A KR102096015B1 (ko) 2019-08-27 2019-08-27 회전식 창문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0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1431Y2 (ja) * 1990-01-18 1996-06-19 丸山アルミ建材株式会社 窓用面格子
JP2002070278A (ja) * 2000-08-31 2002-03-08 Soda Noki Sekkei Jimusho:Kk 手すりの上下装置
KR200467906Y1 (ko) 2013-03-22 2013-07-16 주식회사 세명테크 안전봉 창문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1431Y2 (ja) * 1990-01-18 1996-06-19 丸山アルミ建材株式会社 窓用面格子
JP2002070278A (ja) * 2000-08-31 2002-03-08 Soda Noki Sekkei Jimusho:Kk 手すりの上下装置
KR200467906Y1 (ko) 2013-03-22 2013-07-16 주식회사 세명테크 안전봉 창문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2096015B1 (ko) 회전식 창문난간대
KR100998629B1 (ko) 바닥분수용 노즐
JP3493157B2 (ja) 墜落防止用安全器
KR101225755B1 (ko) 비상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20210133431A (ko) 투신 방지 펜스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CN201187216Y (zh) 一体化多功能防护窗
JP6325918B2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KR20120028525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EP1451426B1 (en) Device consisting of a stay device and a lock device plus a window construction with such a device
JPH09273361A (ja) 出入り口の開き扉
KR101932624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200329079Y1 (ko) 창틀용 안전망
JP4696401B2 (ja) ブラインド装置
EP3124732B1 (en) A window with an opening restrictor having a gripping mechanism
CN221119724U (zh) 一种便于紧急逃生的防盗窗
CN205047126U (zh) 一种防火逃生窗
KR101872853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
KR200258022Y1 (ko) 속도감소형 유리문 보호대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JP3540011B2 (ja) 後付脱出面格子の取付施工方法
JP2666203B2 (ja) 回転窓等の障子の開き量調整器
JP2500871Y2 (ja) 隔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