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921B1 -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921B1
KR102095921B1 KR1020190056989A KR20190056989A KR102095921B1 KR 102095921 B1 KR102095921 B1 KR 102095921B1 KR 1020190056989 A KR1020190056989 A KR 1020190056989A KR 20190056989 A KR20190056989 A KR 20190056989A KR 102095921 B1 KR102095921 B1 KR 10209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hot air
case
dioxide generator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복
Original Assignee
김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1020190056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fluid fu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fluid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예작물이나 농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의 실내에 온풍을 공급함과 아울러, 식물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원예작물 또는 농작물의 생장조건에 따라 온풍 및 이산화탄소를 작업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사각 형태의 밀폐형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통공(15)을 통해 열풍을 유입시키는 버너(20); 상기 버너(20)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에 유입된 열풍을 지그재그 형태의 경로를 통해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다단 열이동관(30);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열풍 이동방향 끝단부에 연결되어 열풍을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39);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다단 열이동관(30)의 외부 고온열을 하부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면서 열풍을 생산하는 다수개의 송풍기(40); 상기 송풍기(40)에 의해 열이동관(30)을 거쳐 그 하부측으로 이동되는 열풍을 케이스(10)의 외부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케이스(10)의 하부측 양측면에 형성된 열배출통로(45);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하부측에 이격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의 바닥측에 구비되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발생기(50);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배출측 단부에 연결되어 이산화탄소발생기(50)를 통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산화탄소배출통로(60); 상기 이산화탄소배출통로(60)의 배출측 단부(60a)는 어느 하나 이상의 송풍기(40)의 상단부측에 위치되게 하여 이산화탄소가 상기 송풍기(40)를 통해 흡입되어 열배출통로(45)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버너(20), 송풍기(40) 및 이산화탄소발생기(50)를 제어하여 원예작물 또는 농작물의 생장조건에 따라 온풍 및 이산화탄소를 작업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Heating apparatus for vinyl house with carbon dioxide generator}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예작물이나 농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의 실내에 온풍을 공급함과 아울러, 식물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원예작물 또는 농작물의 생장조건에 따라 온풍 및 이산화탄소를 작업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품질과 고수익을 위한 작물의 재배 시 생육에 필요한 광합성 속도는 광도, 온도, 이산화탄소(CO2)의 농도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대기 중에 약 380ppm이 존재하며, 원예작물은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광합성함으로써, 작물 생육에 필요한 동화산물을 생산하고, 광합성 산물이 증감됨에 따라 작물의 수량과 품질이 향상된다.
즉, 적절한 이산화탄소의 공급은 원예작물 재배 시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또한, 겨울철 하우스 시설 내에서 작물을 재배할 때에는 환기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밀폐된 재배환경에서 광합성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일방적인 소모로 하우스시설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때,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작물의 이산화탄소 보상점보다 낮아질 수 있으며, 작물의 생육에 제한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예작물의 재배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액화탄산을 공급하는 장치 및 연소기를 이용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고, 또한 이외에도 다양한 이산화탄소 발생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원예작물이나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의 실내에는 온도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난방장치가 필요하며, 그 난방장치의 일예로 온풍기가 사용되며 석유버너, 경유버너, LPG버너 또는 전기버너 등이 사용된다.
상술된 이산화탄소 공급을 위한 이산화탄소발생기와 온풍기를 별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비용부담과 설치공간 부족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원예작물이나 농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의 실내에 온풍을 공급함과 아울러, 식물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원예작물 또는 농작물의 생장조건에 따라 온풍 및 이산화탄소를 작업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제10-0800306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원예작물이나 농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의 실내에 온풍을 공급함과 아울러, 식물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원예작물 또는 농작물의 생장조건에 따라 온풍 및 이산화탄소를 작업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직사각 형태의 밀폐형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통공(15)을 통해 열풍을 유입시키는 버너(20); 상기 버너(20)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에 유입된 열풍을 지그재그 형태의 경로를 통해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다단 열이동관(30);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열풍 이동방향 끝단부에 연결되어 열풍을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39);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다단 열이동관(30)의 외부 고온열을 하부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면서 열풍을 생산하는 다수개의 송풍기(40); 상기 송풍기(40)에 의해 열이동관(30)을 거쳐 그 하부측으로 이동되는 열풍을 케이스(10)의 외부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케이스(10)의 하부측 양측면에 형성된 열배출통로(45);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하부측에 이격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의 바닥측에 구비되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발생기(50);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배출측 단부에 연결되어 이산화탄소발생기(50)를 통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산화탄소배출통로(60); 상기 이산화탄소배출통로(60)의 배출측 단부(60a)는 어느 하나 이상의 송풍기(40)의 상단부측에 위치되게 하여 이산화탄소가 상기 송풍기(40)를 통해 흡입되어 열배출통로(45)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버너(20), 송풍기(40) 및 이산화탄소발생기(50)를 제어하여 원예작물 또는 농작물의 생장조건에 따라 온풍 및 이산화탄소를 작업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열풍 유입측에는 열풍가열관(31)이 구비되고, 상기 열풍가열관(31)을 통해 이동되는 열풍을 지그재그 형태의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단 열이동관(30)의 양측에 구비되어 열풍의 방향을 상승 전환시키는 전환통로함체(35,36)가 구비되며, 상기 전환통로함체(36)에 연결된 맨상단 열이동관(30)의 단부측에는 열풍배출함체(37)가 구비되어 배출관(39)에 연결되며, 상기 버너(20)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에 유입되는 열풍은 버너(20)의 열풍유입방향 일직선상에 구비된 열풍가열관(31)을 거쳐 이동되어지되, 상기 열풍가열관(31)은 가열공간 확보를 위해 열이동관(30)의 직경 보다 3∼5배 큰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는 케이스(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공(17)을 통해 케이스(10)의 외부측에서 삽입 관통되는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가 설치공(17)을 통해 삽입 관통되면서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전방단부측이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서 삽입되도록 삽입연통관(56)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연통관(56)은 이산화탄소배출통로(60)와 연결되고,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가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케이스(10)의 외부측에 위치되는 이산화탄소발생기(50) 후방단부측에 손잡이가(52)가 고정 구비되며,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 후방단부 하부측에 바퀴(53)가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한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배출통로(60)의 배출측 단부(60a)는 송풍기(40) 측을 향해 하향 수직되는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다수의 송풍기(40)에 각각 대응되도록 그 송풍기(40)의 개수에 맞춰서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를 보호하도록 보호덮개부재(92)를 구비하되,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상부측이 덮히도록 구비되는 수평판(95)과, 상기 수평판(95)의 양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연장되는 양측 하향경사판(9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예작물이나 농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의 실내에 온풍을 공급함과 아울러, 식물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원예작물 또는 농작물의 생장조건에 따라 온풍 및 이산화탄소를 작업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의 사시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의 사용 상태 측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기를 통한 이산화탄소의 공급이동을 나타낸 측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 및 이산화탄소의 배출이동을 나타낸 측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기의 상부보호커버체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의 다른 실시 사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의 사시 예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의 사용 상태 측단면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기를 통한 이산화탄소의 공급이동을 나타낸 측단면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 및 이산화탄소의 배출이동을 나타낸 측단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기의 상부보호커버체의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의 다른 실시 사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원예작물이나 농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의 실내에 온풍을 공급함과 아울러, 식물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원예작물 또는 농작물의 생장조건에 따라 온풍 및 이산화탄소를 작업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구체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케이스(1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는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형태인 직사각 형태의 것으로 형성되며 열풍 및 온풍, 이산화탄소의 공급, 이동, 배출을 위해 밀폐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제조되며, 케이스(10)의 내면에 우레탄 패널 또는 우레탄 발포 처리함으로써 우수한 단열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에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버너(20)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20)는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통공(15)을 통해 열풍을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며, 주로 경유버너가 사용되나 다른 구조의 어떠한 버너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버너(20)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에 유입된 열풍을 지그재그 형태의 경로를 통해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단 열이동관(30)이 구비된다.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은 도 2 및 도 3에서처럼 다수개가 한 군을 형성하여 배열구비되며, 열풍 이동구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 구성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열풍 유입측에는 열풍가열관(31)이 구비되고, 상기 열풍가열관(31)을 통해 이동되는 열풍을 지그재그 형태의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단 열이동관(30)의 양측에 구비되어 열풍의 방향을 상승 전환시키는 전환통로함체(35,36)가 구비되며, 상기 전환통로함체(36)에 연결된 맨상단 열이동관(30)의 단부측에는 열풍배출함체(37)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버너(20)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에 유입되는 열풍은 버너(20)의 열풍유입방향 일직선상에 구비된 열풍가열관(31)을 거쳐 이동되어지되, 상기 열풍가열관(31)은 가열공간 확보를 위해 열이동관(30)의 직경 보다 3∼5배 큰 직경으로 형성되게 하여 큰 직경의, 즉 큰 내부공간을 갖는 열풍가열관(31)에서 열풍의 온도를 충분히 상승시키면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풍배출함체(37)에 연결되어 열풍을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39)을 구비한다. 상기 배출관(39)은 케이스(10)의 측면 또는 상부면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단의 열이동관(30)을 통해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되는 고온열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의 실내공간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송풍기(40)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기(40)는 도 1 및 도 3에서처럼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다단 열이동관(30)의 외부 고온열을 하부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면서 열풍을 생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40)는 모터(41)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40)에 의해 다단의 열이동관(30)을 거쳐 그 하부측으로 이동되는 온풍을 케이스(10)의 외부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도 1 및 도 5에서처럼 케이스(10)의 하부측 양측면에 열배출통로(45)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의 구현을 위해 이산화탄소발생기(50)가 구비된다.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는 도 2 및 도 4에서처럼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하부측에 이격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의 바닥측에 구비되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배출측 단부에 연결되어 이산화탄소발생기(50)를 통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산화탄소배출통로(60)가 구비된다.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도 1,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는 케이스(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공(17)을 통해 케이스(10)의 외부측에서 삽입 관통되는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가 설치공(17)을 통해 삽입 관통되면서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전방단부측이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서 삽입되도록 삽입연통관(56)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연통관(56)은 이산화탄소배출통로(6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에서처럼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가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케이스(10)의 외부측에 위치되는 이산화탄소발생기(50) 후방단부측에 손잡이가(52)가 고정 구비되고,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 후방단부 하부측에 바퀴(53)가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한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를 분리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의 전체 중량을 줄임으로써 용이한 이동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를 보호하도록 보호덮개부재(92)가 구비된다. 상기 보호덮개부재(92)는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이물질 또는 중량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상부측이 덮히도록 구비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상부측이 덮히도록 구비되는 수평판(95)과, 상기 수평판(95)의 양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연장되는 양측 하향경사판(96)으로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 및 도 7에서처럼 상기 이산화탄소배출통로(60)의 배출측 단부(60a)는 어느 하나 이상의 송풍기(40)의 상단부측에 위치되게 하여 이산화탄소가 상기 송풍기(40)를 통해 흡입되어 열배출통로(45)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이산화탄소배출통로(60)의 배출측 단부(60a)는 송풍기(40) 측을 향해 하향 수직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의 송풍기(40)에 각각 대응되도록 그 송풍기(40)의 개수에 맞춰서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된 버너(20), 송풍기(40) 및 이산화탄소발생기(50)를 제어하여 원예작물 또는 농작물의 생장조건에 따라 온풍 및 이산화탄소를 작업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케이스(10)의 측면에 컨트롤러(70)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상기 버너(20)가 설치된 통공(15)의 상부측에 관통공(19)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19)은 사용자가 케이스(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관찰공으로서, 상기 관통공(19)에 강화유리, 강화플라스틱 같은 투명재잴의 관찰부재(90)를 구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원예작물이나 농작물을 재배함에 있어 주로 낯시간대에는 식물의 생장을 위해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필요하게 되고, 밤시간대에는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의 실내온도 유지를 위해 온풍의 공급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조건에 따라 컨트롤러(70)를 수동조작 또는 자동설정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원예작물이나 농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의 실내에 온풍을 공급함과 아울러, 식물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원예작물 또는 농작물의 생장조건에 따라 온풍 및 이산화탄소를 작업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케이스 20: 버너
30: 열이동관 35,36: 전환통로함체
37: 열풍배출함체 39: 배출관
40: 송풍기 45: 열배출통로
50: 이산화탄소발생기 60: 이산화탄소배출통로
70: 컨트롤러

Claims (5)

  1. 직사각 형태의 밀폐형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통공(15)을 통해 열풍을 유입시키는 버너(20);
    상기 버너(20)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에 유입된 열풍을 지그재그 형태의 경로를 통해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다단 열이동관(30);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열풍 이동방향 끝단부에 연결되어 열풍을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39);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다단 열이동관(30)의 외부 고온열을 하부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면서 열풍을 생산하는 다수개의 송풍기(40);
    상기 송풍기(40)에 의해 열이동관(30)을 거쳐 그 하부측으로 이동되는 열풍을 케이스(10)의 외부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케이스(10)의 하부측 양측면에 형성된 열배출통로(45);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하부측에 이격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의 바닥측에 구비되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발생기(50);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배출측 단부에 연결되어 이산화탄소발생기(50)를 통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산화탄소배출통로(60);
    상기 이산화탄소배출통로(60)의 배출측 단부(60a)는 어느 하나 이상의 송풍기(40)의 상단부측에 위치되게 하여 이산화탄소가 상기 송풍기(40)를 통해 흡입되어 열배출통로(45)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버너(20)가 설치된 통공(15)의 상부측에 사용자가 케이스(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관찰부재(90);
    상기 버너(20), 송풍기(40) 및 이산화탄소발생기(50)를 제어하여 원예작물 또는 농작물의 생장조건에 따라 온풍 및 이산화탄소를 작업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컨트롤러(70)를 각각 포함하되;
    상기 다단 열이동관(30)의 열풍 유입측에는 열풍가열관(31)이 구비되고, 상기 열풍가열관(31)을 통해 이동되는 열풍을 지그재그 형태의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단 열이동관(30)의 양측에 구비되어 열풍의 방향을 상승 전환시키는 전환통로함체(35,36)가 구비되며, 상기 전환통로함체(36)에 연결된 맨상단 열이동관(30)의 단부측에는 열풍배출함체(37)가 구비되어 배출관(39)에 연결하고, 상기 버너(20)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에 유입되는 열풍은 버너(20)의 열풍유입방향 일직선상에 구비된 열풍가열관(31)을 거쳐 이동되어지되, 상기 열풍가열관(31)은 가열공간 확보를 위해 열이동관(30)의 직경 보다 3∼5배 큰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는 케이스(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공(17)을 통해 케이스(10)의 외부측에서 삽입 관통되는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가 설치공(17)을 통해 삽입 관통되면서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전방단부측이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서 삽입되도록 삽입연통관(56)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연통관(56)은 이산화탄소배출통로(60)와 연결되고,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가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케이스(10)의 외부측에 위치되는 이산화탄소발생기(50) 후방단부측에 손잡이가(52)가 고정 구비되며,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 후방단부 하부측에 바퀴(53)가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한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를 보호하도록 보호덮개부재(92)를 구비하되, 상기 이산화탄소발생기(50)의 상부측이 덮히도록 구비되는 수평판(95)과, 상기 수평판(95)의 양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연장되는 양측 하향경사판(9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6989A 2019-05-15 2019-05-15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 KR10209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989A KR102095921B1 (ko) 2019-05-15 2019-05-15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989A KR102095921B1 (ko) 2019-05-15 2019-05-15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921B1 true KR102095921B1 (ko) 2020-04-01

Family

ID=7027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989A KR102095921B1 (ko) 2019-05-15 2019-05-15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7625A (zh) * 2020-06-12 2020-09-08 湖南劳动人事职业学院 一种用于温室大棚的间燃型固体燃料暖风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566A (ja) * 1993-05-21 1994-11-29 Ishino Seisakusho:Kk 焼物製造装置
KR20050108922A (ko) * 2004-05-14 2005-11-17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석탄온풍기
KR100800306B1 (ko) 2007-06-05 2008-02-04 백성룡 다단 열풍기
JP2012152176A (ja) * 2011-01-27 2012-08-16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建屋の空調機
JP2014140329A (ja) * 2013-01-24 2014-08-07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温風暖房機利用の作物環境改善装置
CN206498732U (zh) * 2017-01-18 2017-09-19 李加召 一种基于x射线的大棚农作物防病增产装置
KR20180000556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다온알에스 촉매 연소기 및 촉매 연소를 이용한 탄산가스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566A (ja) * 1993-05-21 1994-11-29 Ishino Seisakusho:Kk 焼物製造装置
KR20050108922A (ko) * 2004-05-14 2005-11-17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석탄온풍기
KR100800306B1 (ko) 2007-06-05 2008-02-04 백성룡 다단 열풍기
JP2012152176A (ja) * 2011-01-27 2012-08-16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建屋の空調機
JP2014140329A (ja) * 2013-01-24 2014-08-07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温風暖房機利用の作物環境改善装置
KR20180000556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다온알에스 촉매 연소기 및 촉매 연소를 이용한 탄산가스 발생장치
CN206498732U (zh) * 2017-01-18 2017-09-19 李加召 一种基于x射线的大棚农作物防病增产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7625A (zh) * 2020-06-12 2020-09-08 湖南劳动人事职业学院 一种用于温室大棚的间燃型固体燃料暖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0090B2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11788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US11412668B2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422636B1 (ko) 가정용 수경재배장치
KR101812211B1 (ko) 식물재배 및 곤충사육을 위한 태양광 발전 컨테이너
KR20160014876A (ko) 식물재배장치
KR101740578B1 (ko) 수경재배장치
ES2754212T3 (es) Sistema modular de fotobiorreactores para el cultivo de algas
KR102095921B1 (ko) 이산화탄소 발생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
CN101743864A (zh) 育苗温室
KR200263476Y1 (ko) 농축산물 하우스용 냉난방 공기 조화 장치
JP2013188190A (ja) 農業用ハウス暖房システム
JP6800728B2 (ja) 空調システム
KR102210334B1 (ko) 국부 환경 제어가 가능한 재배시스템
JP6586775B2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CA2592674C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0475472Y1 (ko) 비닐하우스용 보조난방장치
CN204929827U (zh) 二氧化碳气体转送器
KR20200023973A (ko) 배지 온도조절 시스템을 이용한 근권난방
KR102639771B1 (ko) 용적가변형 재배하우스
JP2018183122A (ja) 植物温室用暖房装置
CN214902531U (zh) 一种马铃薯育苗装置
CN210202672U (zh) 拟南芥培养室
CN211091162U (zh) 一种移动式智能温棚
JP2022063914A (ja) 土耕栽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