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743B1 -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743B1
KR102095743B1 KR1020190072000A KR20190072000A KR102095743B1 KR 102095743 B1 KR102095743 B1 KR 102095743B1 KR 1020190072000 A KR1020190072000 A KR 1020190072000A KR 20190072000 A KR20190072000 A KR 20190072000A KR 102095743 B1 KR102095743 B1 KR 10209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purifier
infrared remote
remote contro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섭
Original Assignee
엑스카즈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스카즈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엑스카즈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2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특정된 장소 내지 공간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치장소의 변경 내지 위치이동을 자유롭고, 편리하게 하여 취급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공기청정기에 대한 일련의 작동관계를 적외선 리모컨 신호에 의해 통합 제어하되, 리모컨 신호 수신수단인 작동신호 수신부의 구성을 다수개의 분할 배치 및 돔형구성으로 형성하여 송수신거리 및 수신방향에 따른 불필요한 간섭요인을 최소화 함으로써, 기능성과 사용효율성, 그리고 작동편의성을 증대되도록 한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상부면에 작동조작기판과, 정화공기 송풍그릴 형성되고, 내측 공간부에 정화처리부가 형성되며, 전방면에 외장마감커버 결합된 청정기본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청정기본체 좌측면과, 우측면과, 후면부, 그리고, 청정기본체에 있어, 상기 작동조작기판 전방 상부면에 외부 적외선 리모컨의 무선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작동신호 수신부를 다수개의 분할구성으로 더 배치 형성하되, 상기 작동신호 수신부는, 돔형으로 돌출된 투명캡슐 내측면에 적외선 수신모듈이 수용 탑재된 구성으로 형성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Infrared remote control multifunctional air purifier}
본 발명은 다기능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에 대한 일련의 작동관계를 적외선 리모컨 신호에 의해 통합 제어하여 사용 및 취급의 편리성을 부여하고, 아울러, 오염된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단순 공기청정 수단으로써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편의 기능, 예컨대, 유해충 퇴치기능, 음향출력기능. 초기화재 진압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병행하게 하여, 다목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환기가 원활하지 못한 실내 공기는 각종 세균과 먼지, 또는 담배연기와 같은 각종 유해물질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는 폐단이 있고, 특히, 이러한, 실내 오염공기는 인체 내로 쉽게 침투하여 호흡기 질환 등 각종 질병발생에 결정적인 유해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오늘날에 있어서는, 이러한 다양한 실내 오염물질을 안정적으로 제거 또는 정화처리하여, 항상 쾌적하고, 청결한 실내환경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고, 그러한, 정화기능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 또한 보호하게 하는 수단, 예컨대, 각종 공기청정기 내지 공기정화기 등이 널리 개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실내 공기청정기의 구성 기능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이는 설치형태에 따라 크게 스탠드형과 천정부착형으로 나뉘어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탠드형 공기청정기는, 일반적인 가전제품, 예컨대, 에어컨, 냉장고 등과 같이, 실내 고정된 장소에 붙박이식 형태로 직립, 설치 이용되는 것으로, 그에 대한 공개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 등록(특허 제0743463호)된 "공기살균 정화기"가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스탠드형 실내공기 정화기는, 사용자에 의한 취급관계, 예컨대, 운반 내지 이동설치 등이 용이하지 못한 대용량의 부피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고가의 구입비용과, 과다한 설치공간을 필요로 함은 물론, 선택적이고, 자유로운 위치변경을 불가한 채, 고정된 설치장소에서만 이용해야하는, 제한된 사용 구조상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그 기능 또한, 단순히, 오염된 실내 공기를 살균 정화하는 기능에만 한정된 것으로, 제품의 활용성 측면에 있어서도, 매우 효율적이지 못한 폐단을 갖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르게, 상기 천정 부착형 공기 청정기를 살펴보면, 이는, 실내의 천정면에 설치홈과 같은 공간을 마련하고, 거기에, 공기 정화기를 매입형 구조로 설치시켜, 이용하는 것으로, 그에 대한 선원기술의 일예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 공개된(특허공개 제2008-0073472호) "천정 매입형 공기 살균 정화기"가 있다.
하지만, 상기 천정 부착형 공기정화기는, 협소한 실내 등과 같이, 별도의 설치공간 마련이 어려운 장소 등에 적용되어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킨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기는 하나, 이는 천정에 부착되는 설치특성에 따라 실내 조명기구 등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되고, 이러한 실내조명기구에 의한 간섭으로 인해 그 부착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하지 못하게 되는 등, 상당한 설치 구조상의 문제점을 갖는 것이며, 뿐만 아니라, 전술한 스탠드형 공기정화기와 같이, 자유로운 위치변경이 불가한 채, 고정된 설치장소에서만 이용 가능하고, 그 기능 또한, 단순히,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에만 한정되는 등, 사용구조 및 기능상의 폐단이 그대로 상존한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은, 스탠드형 내지 천정부착형으로 나뉘어지는 공기정화기는, 그 일련의 작동제어방식이 공기정화기 본체에 일체로 마련된 작동컨트롤기판, 혹은, 유선연결을 통해 실내 벽면 등에 연장설치된 작동컨트롤박스의 메뉴버튼 수동터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그 사용 조작관계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공기청정기 작동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 있어서는, 리모컨을 이용한 무선제어방식이 일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기는 하나, 이러한, 리모컨 제어방식은 대용량의 고정식 공기청정기에 일부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정도에 불과할 뿐, 소용량의 이동식 공기청정기의 경우, 잦은 사용위치 변경과, 그에 따른, 리모컨 송수신거리 및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한채, 상당한 가변적 간섭을 받게되고, 그에 따라 원활한 작동제어를 행할 수 없는 것으로, 이에 리모컨의 실질적 적용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공기청정기 작동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 있어서는, 리모컨을 이용한 무선제어방식이 일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기는 하나, 이러한, 리모컨 제어방식은 대용량의 고정식 공기청정기에 일부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정도에 불과할 뿐, 소용량의 이동식 공기청정기의 경우, 잦은 사용위치 변경으로 인해 리모컨 신호의 송수신 거리 및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한채 상당한 가변적 간섭을 받게되고, 그에 따라 원활한 작동제어를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결국 소용량 이동식 공기청정기에 리모컨 제어방식이 적용되는 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공기청정기의 작동제어방식 및 제한적 기능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하고 소형화된 제품구조로서, 어느 특정된 장소 내지 공간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치장소의 변경 내지 위치이동을 자유롭고, 편리하게 하여 취급성을 향상되게 함은 물론, 특히, 공기청정기에 대한 일련의 작동관계를 적외선 리모컨 신호에 의해 통합 제어되도록하되, 그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예컨대, 공기청정기 본체로 마련되는 작동신호 수신부의 구성을 다수개의 분할 배치 및 돔형 돌출구성으로 형성하여 송수신거리 및 수신방향에 따른 불필요한 간섭요인의 문제점을 최소화 함으로써, 기능성과 사용효율성, 그리고 작동의 편의성을 극히 증대되도록 한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된 실내공기를 정화처리하는 단순한 공기 청정기능으로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 편의기능, 예컨대, 유해충 퇴치기능, 음향출력기능. 비상 화재 진압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병행하게 하여, 다목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상부면에 작동조작기판과, 정화공기 송풍그릴 형성되고, 내측 공간부에 정화처리부가 형성되며, 전방면에 외장마감커버 결합된 청정기본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청정기본체 좌측면과, 우측면과, 후면부, 그리고, 청정기본체에 있어, 상기 작동조작기판 전방 상부면에 외부 적외선 리모컨의 무선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작동신호 수신부를 다수개의 분할구성으로 더 배치 형성하되, 상기 작동신호 수신부는, 돔형으로 돌출된 투명캡슐 내측면에 적외선 수신모듈이 수용 탑재된 구성으로 형성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는, 간소하고 소형화된 제품구조에 의해 어느 특정된 장소 내지 공간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치장소의 변경 내지 위치이동을 자유롭고, 편리하게 하여 취급성을 향상되게 한 것임은 물론, 특히,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무선제어하는 리모컨 수신수단, 예컨대, 작동신호 수신부를 분할 배치된 다수개의 돔형 돌출구성으로 형성하여 송수신거리 및 수신방향에 영향을 주는 불필요한 간섭요인을 최소화 한 것으로, 이는, 기능성과 사용효율성, 그리고 작동 편의성을 증대되게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실내공기를 정화처리하는 단순 공기 청정기능으로서 뿐만 아니라, 유해충 퇴치기능, 음향출력기능. 비상 화재 진압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병행하게 하여, 다목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요부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재진압유닛의 요부 확대구성도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정화처리부(1)와, 외장마감커버(2)와, 작동신호 수신부(3)와, 블루투스 스피커(4)와, 음향출력유닛(5)과, 포충유닛(6)과, 포충유닛 설치공간부(7)와, 화재진압유닛(8)과, 비상설치공간부(9)가 마련된 청정기본체(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청정기본체(100)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케이스 구조를 취하는 본 발명의 기초적인 외관구성인바, 이와 같은, 청정기본체(100)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전후 방향으로 분리 배치된 구성, 예컨대,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수동제어하기 위해 다수개의 기능별 메뉴버튼을 배치 형성한 수동작동 조작기판(101과, 정화된 공기를 외부 실내공간으로 배출 유도하는 정화공기 송풍그릴(10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화처리부(1)는, 전술한 청정기본체(100) 내측면 공간부로 설치형성되며, 청정기본체(100)로 흡입된 실내 오염공기를 정화처리하는 수단인바, 이와 같은, 정화처리부(1)는, 그 내측면에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정전섬유를 소재로 하여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부직포 형태의 헤파필터, 각종 악취와, 유해가스를 흡착, 제거하는 탈취필터 등을 장착한 필터유닛(11)을 형성하고, 상기 필터유닛(11) 후면부에 실내 오염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오염공기 흡입휀(12)을 수용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으로 적용되는 정화처리부(1)의 구성과 기능은 통상의 공기청정기로 적용되는 정화처리부와 상이함이 없는 것으로, 그에 대한 구체적 세부구성과 정화방식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마감커버(2)는, 전술한 청정기본체(100)의 전방면에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 결합하며, 청정기본체(100) 내부로 마련된 정화처리부(1)의 필터유닛(11) 및 오염공기 흡입휀(12)을 청소하거나 교환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개방 수단인바, 이와 같은, 외장마감커버(2)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1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마감커버(2) 하부면에 모기,파리 등과 같은 유해충의 유입을 유도하는 원추형의 수평관, 예컨대, 투명체의 역행방지관(211)이 다수개의 배치구성으로 배열된 유해충 유도그릴(21)을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신호 수신부(3)는, 외부 무선 리모컨으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신호에 의해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인바, 이와 같은, 작동신호 수신부(3)는, 도 2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돔형구조로 돌출된 투명캡슐(41) 내측면에 적외선 수신모듈(32)을 탑재시킨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작동신호 수신부(3)는, 전술한 청정기본체(100)의 좌측면방향과, 우측면방향과, 후면방향, 그리고, 청정기본체(100)에 있어, 작동조작기판(101)의 전방 상부면 중앙위치에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분산 배치 구조로 설치 형성되는 것이며, 아울러, 그 위치별 작동수신부(3)의 설치수량은 공기청정기 제조시 선택적으로 가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4)는, 전술한 청정기본체(100)의 좌,우 양측면에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되는 한쌍의 결합 구성으로 배치 형성되고, 외부 스마트기기, 예컨대, 휴대폰, 노트북 등의 기기와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무선 연결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통상적 기능의 보조 구성인바, 이와 같은, 블루투스 스피커(4)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좌,우 한쌍의 블루투스 스피커(4)중 어느 하나의 블루투스 스피커(4) 일측면에 도 1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라디오 출력모듈(51)과, 외부 음원데이터 저장수단을 연결할 수 있는 USB 접속잭(52)과, 물소리, 새소리, 바람소리 등과 같은 청정한 자연의 소리를 저장 출력하는 자연음 출력모듈(53)과, 외부 무선 리모컨으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신호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4)와, 라디오 출력모듈(52)과, 자연음 출력모듈(53)의 전원 온/오프 및 일련의 작동관계를 단속제어하는 음향제어 리모컨 수신모듈(54)을 탑재한 음향출력유닛(5)을 더 설치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음향출력유닛(5)에 있어, 상기 자연음 선택출력모듈(53)은, 물소리, 새소리, 바람소리 등과 같은 청정한 자연의 소리를 음원데이터로 저장하는 음원저장칩(531)과,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수치로 표시하는 공기오염도 측정센서(532)를 더 탑재 형성하고;
상기 탑재된 공기오염도 측정센서(532)에 의해 실내 공기오염도를 측정하여, 실내공기가 기 설정된 안정 수치범위, 예컨대 공기청정기 제조시 셋팅해 놓은 수치범위로 정화되면 그 안정 수치범위로 측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음원저장칩(531)으로 저장된 자연의 소리를 자동출력하고, 또 다르게, 정화된 실내 공기가 기 설정된 불안정 수치범위, 예컨대, 공기청정기 제조시 셋팅해 놓은 수치범위 이상으로 오염되면 그 불안정 수치범위로 측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음원저장칩(531)으로 저장된 자연의소리 출력을 자동차단하여, 청각적 신호로서 실내 공기 정화상태를 알림되게 하는 기능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충유닛(6)은, 전술한 외장마감커버(2) 내측면과 접하는 청정기본체(100) 전방 하부면, 예컨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된 포충유닛 설치공간부(7)내로 설치되며, 모기, 파리 등의 유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하는 본 발명의 보조기능 구성인바, 이와 같은, 포충유닛(6)은, 상기 포충유닛 설치공간부(7)내에 서랍형 탈,부착 구조로 수납되는 투명체의 포충망 케이스(61)를 형성하고, 상기 포충망 케이스(61) 전방 상부면에 상기 외장마감커버(2)의 역행방지관(211)과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 연결되는 포충유도공(611)을 형성하며, 재차, 포충망 케이스(61)가 수납되는 상기 포충유닛 설치공간부(7) 상부면에 유해충 유도램프(R)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포충망 케이스(61) 후면부에 소정간격 이격된 설치형태로서 유해충 흡입휀(F)을 형성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역행방지관(211)은, 포충망 케이스(61)로 유입된 유해충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행한다.
끝으로, 상기 화재진압유닛(8)은, 전술한 청정기본체(100)의 후방 내측면, 예컨대,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된 비상 설치공간부(9)내로 설치되며, 예견하지 못한 화재발생시, 그 발생된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보조기능 구성인바;
이와 같은, 화재진압유닛(8)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실린더(81)에 의해 상 하 이송작동하는 구동프레임(82)을 형성하고, 상기 구동프레임(82)에 탈,부착 구조로 결합하는 스프레이형 소화기(83)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프레임(82) 상단면과 접하는 비상설치공간부(9) 상부면에, 상기 스레이형 소화기(83)를 압입 접촉되게하는 구조로써, 그 압입작용에 의해 스프레이형 소화기(83)에 충진된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소화기 압입 분사구(84)를 고정 설치하고, 재차, 상기 소화기 압입분사구(84) 외측 일면에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노출구조로 근접 설치되며, 화재로 인한 열과 연기발생시 그들 열 및 연기를 감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실린더(81)를 자동 작동되게하는 화재감지센서(85)를 형성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을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이는, 청정기본체(100)를 기초 구성으로 하여, 상기 청정기본체(100)의 좌측면방향과, 우측면방향과, 후면방향, 그리고, 작동조작기판(101) 상부면에 리모컨의 무선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작동신호 수신부(3)를 다수개 분할구성으로 더 배치 형성한다.
이어, 상기 청정기본체(100) 내측면에 정화처리부(1)를 설치하고, 청정기본체(100) 전방면에 외장마감커버(2)를 결합시키며, 청정기본체(100) 좌,우 양측면에 한쌍의 블루투스 스피커(4)를 결합시키고, 상기 좌,우 한쌍의 블루투스 스피커(4)중 어느 하나의 블루투스 스피커(4) 일측면에 음향출력유닛(5) 설치한다.
또한, 연속하여, 상기 외장마감커버(2) 내측면과 접하는 청정기본체(100) 전방 하부면, 예컨대, 포충유닛 설치공간부(7)에 포충유닛(5)을 결합시키고, 청정기본체(100)의 후방 내측면으로 형성된 비상 설치공간부(9)에 화재진압유닛(8)을 설치 마련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를 구현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작동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는, 청정기본체(100)의 좌측면방향과, 우측면방향과, 후면방향, 그리고, 청정기본체(100)에 있어, 작동조작기판(101) 전방 상부면에 적외선 리모컨의 무선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작동신호 수신부(3)가 다수개의 분할구성으로 배치 형성함에 따라 적외선 리모컨의 송수신거리 및 수신방향에 의한 간섭요인을 최소화하며, 리모컨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는, 단순한 공기정화기능으로서 뿐만 아니라, 포충유닛(6)에 의해 모기,파리 등의 유해충을 포집하여, 실내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하는 보조기능을 행하게 되고, 또 다르게, 예견하지 못한 화재발생시 화재진압유닛(8)에 의한 소화액 분사작용에 의해 발생된 화재를 조기진화 하는 보조 기능을 행하게 된다.
1 : 정화처리부 2 : 외장마감커버
3 : 작동신호 수신부 4 : 블루투스 스피커
5 : 음향출력유닛 6 : 포출유닛
7 : 포충유닛 설치공간부 8 : 화재진압 유닛
9 : 비상설치 공간부 100 : 청정기본체

Claims (5)

  1. 상부면에 작동조작기판(101)과, 정화공기 송풍그릴(102)이 전,후 방향으로 분리 형성되고, 내측 공간부에 필터유닛(11)과 오염공기 흡입휀(12)이 수용 설치된 정화처리부(1)가 형성되며, 전방면에 탈,부착 결합방식을 갖는 외장마감커버(2)가 형성된 청정기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청정기본체(100)의 좌측면과, 우측면과, 후면부, 그리고, 청정기본체(100)에 있어, 상기 작동조작기판(101)의 전방 상부면에 외부 적외선 리모컨의 무선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작동신호 수신부(3)를 다수개의 분할구성으로 더 배치 형성하며, 상기 다수개로 배치 형성된 작동신호 수신부(3)는, 돔형으로 돌출된 투명캡슐(31) 내측면에 적외선 수신모듈(32)이 수용 탑재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청정기본체(100)는, 후방 내측면에 화재진압유닛(8)이 수납비치된 비상설치공간부(9)를 더 형성하되;
    상기 비상설치공간부(9)로 수납 비치되는 화재진압유닛(8)은, 솔레노이드 실린더(81)에 의해 상 하 이송작동하는 구동프레임(82)과, 상기 구동프레임(82)에 탈,부착 구조로 결합되는 스프레이형 소화기(83)와, 상기 구동프레임(82) 상단면과 접하는 비상설치공간부(9)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소화기 압입분사구(84)와, 소화기 압입분사구(84) 외측 일면에 외부 노출구조로 근접 설치되며 화재로 인한 열과 연기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실린더(81)를 자동 작동되게하는 화재감지센서(8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기본체(100)는, 좌,우 양측면에 한쌍의 블루투스 스피커(4)를 대칭 형성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블루투스 스피커(4)중 어느 하나의 블루투스 스피커(4) 일측면에 라디오 출력모듈(51)과, USB 접속잭(52)과, 자연음 출력모듈(53)과, 음향제어 리모컨 수신모듈(54)이 탑재된 음향출력유닛(5)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음 출력모듈(53)은, 자연의 소리를 음원데이터로 저장한 음원저장칩(531)과, 공기오염도 측정센서(532)를 더 탑재 형성하고;
    상기 탑재된 공기오염도 측정센서(532)에 의해 실내공기오염도를 측정하여, 실내공기가 설정된 안정 수치범위로 정화되면 안정 수치범위로 측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음원저장칩(531)으로 저장된 자연의 소리를 자동출력하고, 실내 공기가 설정된 불안정 수치범위로 오염되면 불안정 수치범위로 측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음원저장칩(531)으로 저장된 자연의소리 출력을 자동차단하여, 청각적 신호로서 실내 공기정화상태를 알림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기본체(100)는, 외장마감커버(2) 하부면에 투명체의 역행방지관(211)이 다수개의 배치구성으로 배열된 유해충 유도그릴(21)이 형성되고;
    상기 외장마감커버(2) 내측면과 접하는 청정기본체(100) 전방 하부면에 포충유닛(6)이 설치되는 포충유닛 설치공간부(7)가 형성되며;
    상기 포충유닛(6)은, 포충유닛 설치공간부(7)내에 서랍형 탈,부착 구조로 수납되는 투명체의 포충망 케이스(61)와, 포충망 케이스(61) 전방 상부면에 상기 외장마감커버(2)의 역행방지관(211)이 밀착 연결되는 포충유도공(611)과, 포충망 케이스(61)가 수납되는 포충유닛 설치공간부(7) 상부면 고정 설치되는 유해충 유도램프(R)와, 포충망 케이스(61) 후면으로 설치되는 유해충 흡입휀(F)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

  5. 삭제
KR1020190072000A 2019-06-18 2019-06-18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 KR10209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000A KR102095743B1 (ko) 2019-06-18 2019-06-18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000A KR102095743B1 (ko) 2019-06-18 2019-06-18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743B1 true KR102095743B1 (ko) 2020-04-01

Family

ID=7027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000A KR102095743B1 (ko) 2019-06-18 2019-06-18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7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615A (ja) * 1999-01-11 2000-07-28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空気清浄器
KR20140137472A (ko) * 2013-05-21 201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80040799A (ko)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5088A (ko) * 2017-07-05 2019-01-15 최용석 포충 및 청정 기능을 갖는 에어 커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615A (ja) * 1999-01-11 2000-07-28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空気清浄器
KR20140137472A (ko) * 2013-05-21 201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80040799A (ko)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5088A (ko) * 2017-07-05 2019-01-15 최용석 포충 및 청정 기능을 갖는 에어 커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75602B (zh) 宠物生活用盆
EP3434986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purification system
KR101209632B1 (ko) 진공청소기
US20190314540A1 (en) Odor neutraliz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noise cancelation system and method
CN106338101B (zh) 用于净化室内空气的空气净化系统及其运行方法
JP2003014267A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調和機
CN210980173U (zh) 一种具有安防功能的立式空气净化器
CN212179095U (zh) 一种新型空气消毒净化设备
JP2010022754A (ja) 消臭装置
KR101152684B1 (ko) 겔 타입 피톤치드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JP2012002461A (ja) 空気調節機
KR102095743B1 (ko) 적외선 리모트컨트롤 방식을 갖는 다기능 공기청정기
KR101930809B1 (ko) 수납장용 받침대
JP2006026239A (ja) 空気清浄機及びこれを用いた収納装置
KR200476055Y1 (ko) 연기 및 냄새 여과장치
KR102125612B1 (ko) 필터가 없는 공기정화기 및 블루투스 스피커가 설치된 시계
JP6287965B2 (ja) 臭気除去システム
WO1998046280A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chemical
CN207455756U (zh) 一种室内空气质量检测净化设备
CN205579788U (zh) 壁挂式空气净化器
CN211861615U (zh) 多功能灭蚊装置
WO2019102061A1 (en) A scent and disinfectant gas emitting device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scent and disinfectant gas emitting device
KR100566717B1 (ko) 공동주택의 거실 우물천장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108900933A (zh) 一种家用多功能音响
KR20220034617A (ko)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