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736B1 -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 Google Patents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736B1
KR102095736B1 KR1020190059863A KR20190059863A KR102095736B1 KR 102095736 B1 KR102095736 B1 KR 102095736B1 KR 1020190059863 A KR1020190059863 A KR 1020190059863A KR 20190059863 A KR20190059863 A KR 20190059863A KR 102095736 B1 KR102095736 B1 KR 102095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iving
plate
main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영석
정현수
Original Assignee
방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영석 filed Critical 방영석
Priority to KR102019005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통하여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운반하여 설치 및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복수개의 프레임이 박스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 되어 지면의 설정된 위치에 놓이는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전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지면과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의 중심부는 본체를 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면주행프레임; 상기 전면주행프레임과 대향 되게 본체의 길이 방향 후면에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주행프레임; 상기 본체의 우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에는 복수개의 돌출판이 배열 구비된 우측프레임; 상기 우측프레임과 대향 되게 본체의 좌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에는 다각형의 경사판이 구비된 좌측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Car test machine for easy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본 발명은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통하여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운반하여 설치 및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자동차의 다양한 주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란, 원동기를 장치하여 그 동력으로 바퀴를 굴려 지면의 상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만든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승용차, 승합자동차,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험한 도로에서 주행 능력이 뛰어난 SUV 차량이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동차는 가솔린이나 디젤을 사용하는 내연기관을 통하여 차축과 연결된 바퀴를 회전시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불규칙한 노면에서도 주행이 용이하도록 차체와 차축 사이에는 속업쇼버 등이 설치되고, 차량의 운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제어장치 등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처럼, 자동차에는 각종 장비들이 구비되어 자동차의 운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자동차는 제작이 이루어진 후에 주행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 등을 통하여 자동차의 성능 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자동차의 사용 기간이나 사용 용도에 따라 별도의 차량 검사장비를 통하여 지속적인 점검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자동차의 주행 특성을 검사할 수 있는 시험장치가 제안된 바 있고, 문헌(2), 문헌(3)에서와 같이, 자동차의 구성을 이루는 트랜스밋션, 기어, 제동장치를 시험할 수 있는 장비 등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 문헌(2), 문헌(3)과 같은 종래의 자동차 시험장비 등은 일정한 장소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는 사용상의 제약이 있었으며, 자동차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장비를 손쉽게 운반하여 시험을 이루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 및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SUV 차량과 같이 험한 도로 환경에서 주행 시험이 이루어져야 하는 차량을 대상으로는 적용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지면에 설치된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성능을 소비자가 손쉽게 시험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1996-039303(1996.09.11)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0288542(2001.02.07) (3) 대한믹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777024(2017.09.0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의 주행을 시험하기 위한 장소에 편리하게 운반하여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본체와 후면주행프레임 및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와 전면주행프레임, 우측프레임, 좌측프레임의 구성을 통하여 자동차용 주행시험기의 부피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화물차를 이용하여 용이한 운반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본체에 설치되는 전면주행프레임, 후면주행프레임, 우측프레임, 좌측프레임의 구성을 통하여 자동차가 다양한 도로 상황을 대비하여 주행시험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자동차 주행 시험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각 구성의 크기 및 규격이 불필요하게 증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교체비용의 증가와 유지, 보수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자동차의 주행시험 이외에도 SUV 자동차와 같은 다목적 차량의 주행연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SUV차량을 소유한 사용자는 물론이고 SUV차량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들의 구매욕구를 향상시켜 SUV차량을 포함한 전체적인 자동차 시장의 소득증대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프레임이 박스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 되어 지면의 설정된 위치에 놓이는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전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지면과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의 중심부는 본체를 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면주행프레임; 상기 전면주행프레임과 대향 되게 본체의 길이 방향 후면에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주행프레임; 상기 본체의 우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에는 복수개의 돌출판이 배열 구비된 우측프레임; 상기 우측프레임과 대향 되게 본체의 좌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에는 다각형의 경사판이 구비된 좌측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는 지면의 상부에 놓이는 창틀 형상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꼭짓점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과, 상기 기둥을 연결하도록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창틀 형상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전면주행프레임과 후면주행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ㅅ'자 형상의 돌출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의 설치프레임과, 상기 삽입홈에 탈착 결합되는 복수개의 주행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주행프레임은 상기 돌출프레임의 길이 방향 전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전면주행프레임과,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의 단부에 힌지, 클램프, 스프링, 유압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체결수단을 통하여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면주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과 제2전면주행프레임은 본체의 길이 방향 전면에 한 쌍을 이루도록 이격되게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 및 제2전면주행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삽입홈에 탈착 결합되는 주행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주행프레임과 대향되는 수평프레임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주행프레임은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제1결합돌기가 일단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고정홈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의 제1고정프레임과, 상기 제1고정홈에 탈착 결합되는 주행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탈착 결합되는 제1후면주행프레임과,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가 일단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고정홈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의 제2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고정홈에 탈착 결합되는 주행판 및 복수개의 회전롤러로 구성되어 상기 제1후면주행프레임과 이격되게 수평프레임에 탈착 결합되는 제2후면주행프레임(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측프레임은 복수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판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바닥프레임에 일단이 힌지, 클램프, 스프링, 유압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체결수단을 통하여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돌출판은 상기 우측프레임의 상면에 경사를 형성하도록 돌출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이송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판은 상기 우측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될 시, 상부로 차량의 이동이 가능하게 이격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프레임은 상기 바닥프레임에 일단이 힌지, 클램프, 스프링, 유압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체결수단을 통하여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은 상기 좌측프레임의 상면 중심부에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구비되는 중심경사판과, 상기 중심경사판의 양 측부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외측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돌출판에는 상기 이송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곡을 이루는 연결판이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자동차의 주행을 시험하기 위한 장소에 편리하게 운반하여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본체와 후면주행프레임 및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와 전면주행프레임, 우측프레임, 좌측프레임의 구성을 통하여 자동차용 주행시험기의 부피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화물차를 이용하여 용이한 운반을 이룰 수 있다.
셋째, 본체에 설치되는 전면주행프레임, 후면주행프레임, 우측프레임, 좌측프레임의 구성을 통하여 자동차가 다양한 도로 상황을 대비하여 주행시험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자동차 주행 시험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각 구성의 크기 및 규격이 불필요하게 증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교체비용의 증가와 유지, 보수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여섯째, 자동차의 주행시험 이외에도 SUV 자동차와 같은 다목적 차량의 주행연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SUV차량을 소유한 사용자는 물론이고 SUV차량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들의 구매욕구를 향상시켜 SUV차량을 포함한 전체적인 자동차 시장의 소득증대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의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와 후면주행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측프레임의 돌출판에 연결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프레임이 박스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 되어 지면(G)의 설정된 위치에 놓이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 전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지면(G)과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의 중심부는 본체(10)를 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면주행프레임(20); 상기 전면주행프레임(20)과 대향 되게 본체(10)의 길이 방향 후면에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주행프레임(30); 상기 본체(10)의 우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에는 복수개의 돌출판(41)이 배열 구비된 우측프레임(40); 상기 우측프레임(40)과 대향 되게 본체(10)의 좌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에는 다각형의 경사판(51)이 구비된 좌측프레임(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자동차용 주행시험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G)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이루기 위하여 복수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전면주행프레임(20), 후면주행프레임(30), 우측프레임(40), 좌측프레임(50)이 연결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면주행프레임(20), 후면주행프레임(30), 우측프레임(40), 좌측프레임(50)의 하중으로 인하여 본체(10)와 연결된 부위가 손상되거나, 결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지면(G)의 상부에 놓이는 창틀 형상의 바닥프레임(11)과, 상기 바닥프레임(11)의 꼭짓점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12)과, 상기 기둥(12)을 연결하도록 바닥프레임(11)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창틀 형상의 수평프레임(13)과, 상기 전면주행프레임(20)과 후면주행프레임(3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13)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ㅅ'자 형상의 돌출프레임(14)과, 상기 바닥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3)의 사이에 삽입공간(S)이 형성되도록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바(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프레임(11)은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자동차용 주행시험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G)에 밀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창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기둥(12)은 상기 바닥프레임(11)의 꼭짓점 부위에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바닥프레임(11)의 꼭짓점 부위로 복수개의 기둥(12)이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 구성하여, 상기 수평프레임(13)과 연결바(15)가 용이한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3)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11)의 상부로 이격 되게 설치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수평프레임(13)은, 상기 바닥프레임(11)의 꼭짓점 부위에 설치된 복수개의 기둥(12)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프레임(11)과 동일하게 창틀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바닥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3)의 꼭짓점 부위가 상기 기둥(12)을 통하여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바닥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3)이 창틀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바닥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3)의 불필요한 하중 중가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프레임(14)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전면주행프레임(200과 후면주행프레임(3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게 상기 수평프레임(13)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돌출프레임(14)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로 자동차(1)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홈(14a-1)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의 설치프레임(14a)과, 상기 삽입홈(14a)에 탈착 결합 되는 복수개의 주행판(1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돌출프레임(14)의 상부로 주행을 이루고자 하는 자동차(1)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삽입홈(14a-1)에 결합된 주행판(14b)의 상부로 자동차(1)의 바퀴가 밀착되어 이동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주행을 이루고자 하는 자동차(1)의 성능을 용이하게 테스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SUV 차량이 돌출프레임(14)의 상부로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는 험로와 같은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행판(14b)을 본 발명에서는 메쉬망의 형태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치프레임(14a)의 삽입홈(14a-1)에 탈착 결합되어 주행을 이루는 자동차(1)의 테스트와, 다양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평평한 판 형상에 복수개의 요홈을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판 형상의 상부로 자갈 형상과 같은 복수개의 돌출블럭이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주행판(14b)을 통한 자동차(1)의 테스트와 주행 환경의 다양한 변화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프레임(14)은 'ㅅ'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기 전면주행프레임(20)과 후면주행프레임(30)의 사이에서 자동차(1)의 주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바(15)는 상기 바닥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3)의 사이에 설치를 이루되, 상기 바닥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3)의 사이로 삽입공간(S)이 형성되도록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15)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11), 기둥(12), 수평프레임(13), 돌출프레임(14)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3)의 사이로 삽입공간(S)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본체(10)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우측프레임(40)과 좌측프레임(50)의 단부가 상기 삽입공간(S)으로 삽입되어 본 발명인 자동차용 주행시험기를 운반하거나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동차용 주행시험기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용이한 운반과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주행프레임(20)은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도 1, 도 2, 도 4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의 중심부가 접힘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전면주행프레임(20)은 상기 돌출프레임(14)의 길이 방향 전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G)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전면주행프레임(21)과,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21)의 단부에 힌지, 클램프, 스프링, 유압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체결수단(60)을 통하여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주행프레임(2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21)은 본체(10)를 이루는 돌출프레임(14)의 길이 방향 전면에 일단이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돌출프레임(14)과 연결되지 않은 타단은 지면(G)을 향하여 하향 방향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21)과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은 힌지, 클램프, 스프링, 유압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체결수단(60)을 통하여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접힙과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21)과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이 힌지를 통하여 결합 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돌출프레임(14)에 연결된 제1전면주행프레임(21)의 단부에서 상기 제2전면주행프레임(21)이 접힘 가능하게 연결을 이루는 구성이라면, 상술한 힌지, 클램프, 스프링, 유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60)을 유압실린더로 적용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 수신기, 송신기 등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21)과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를 이루는 돌출프레임(14)의 길이 방향 전면에 설치를 이루되, 한 쌍을 이루는 제1전면주행프레임(21)과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이 돌출프레임(14)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21)과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의 상부로 자동차(1)의 바퀴가 용이하게 안착되어 주행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한,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21)과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의 크기 및 길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전면주행프레임(20)을 제1전면주행프레임(21)과 제2전면주행프레임(22)으로 분리 구성하고, 제1전면주행프레임(21)과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이 접힙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전면주행프레임(20)을 이루는 한 쌍의 제1전면주행프레임(21)과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을 돌출프레임(14)에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전면주행프레임(20)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본 발명인 자동차용 주행시험기의 운반과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전면주행프레임(20)을 통하여 자동차(1)의 주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21) 및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은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홈(21a-1,22a-1)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의 지지프레임(21a,22a)과, 상기 삽입홈(21a-1,22a-1)에 탈착 결합되는 주행판(21b,2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21) 및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의 상부에서 이동을 이루는 자동차(1)가 용이한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삽입홈(21a-1,22a-1)에 결합되는 주행판(21b,22b)의 상부로 자동차(1)의 바퀴가 밀착되어 이동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주행을 이루고자 하는 자동차(1)의 성능을 용이하게 테스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SUV 차량이 전면주행프레임(20)의 상부로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는 험로와 같은 다양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홈(21a-1,22a-1)에 탈착 결합되는 주행판(21b,22b)을 본 발명에서는 메쉬망의 형태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삽입홈(21a-1,22a-1)에 탈착 결합 되어 주행을 이루는 자동차(1)의 테스트와, 다양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평평한 판 형상에 복수개의 요홈을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판 형상의 상부로 자갈 형상과 같은 복수개의 돌출블럭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상기 주행판(21b,22b)의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면주행프레임(30)은 도 1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 후면에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10)를 이루는 수평프레임(1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프레임(13)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결합홈(13)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후면주행프레임(30)은 상기 결합홈(13a)과 대응되는 제1결합돌기(31a-1)가 일단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고정홈(31a-2)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의 제1고정프레임(31a)과, 상기 제1고정홈(31a-2)에 탈착 결합되는 주행판(31b)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3)에 탈착 결합되는 제1후면주행프레임(31)과, 상기 결합홈(13a)과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32a-1)가 일단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고정홈(32a-2)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의 제2고정프레임(32a)과, 상기 제2고정홈(32a-2)에 탈착 결합되는 주행판(32b) 및 복수개의 회전롤러(32c)로 구성되어 상기 제1후면주행프레임(31)과 이격되게 수평프레임(13)에 탈착 결합되는 제2후면주행프레임(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면주행프레임(3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후면주행프레임(31)은 도 3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고정홈(31a-2)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구비된 제1결합돌기(31a-1)의 구성을 통하여 수평프레임(13)의 결합홈(13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고, 상기 제2후면주행프레임(32)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고정홈(32a-2)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구비된 제2결합돌기(32a-1) 구성을 통하여 수평프레임(13)의 결합홈(13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후면주행프레임(30)을 이루는 제1후면주행프레임(31)과 제2후면주행프레임(32)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평프레임(13)과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후면주행프레임(30)의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수평프레임(13)의 결합홈(13a)에 제1후면주행프레임(31)과 제2후면주행프레임(32)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본 발명인 자동차용 주행시험기의 운반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3)에서 제1후면주행프레임(31)과 제2후면주행프레임(32)을 분리하여 본체(10)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로 운반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고정홈(31a-2)과 제2고정홈(32a-2)에 탈착 결합되는 주행판(31b,32b)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전면주행프레임(20)과 본체(10)의 돌출프레임(14) 상부로 주행을 이루는 자동차(1)가 제1후면주행프레임(31)과 제2후면주행프레임(32)의 상부에서 용이하게 이동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주행판(31b,32b)의 구성을 통하여 주행을 이루고자 하는 자동차(1)의 성능을 용이하게 테스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SUV 차량이 후면주행프레임(30)의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험로와 같은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고정홈(31a-2)과, 제2고정홈(32a-2)에 탈착 결합되는 주행판(31b,32b)을 본 발명에서는 메쉬망의 형태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주행을 이루는 자동차(1)의 테스트와, 다양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평평한 판 형상에 복수개의 요홈을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판 형상의 상부로 자갈 형상과 같은 복수개의 돌출블럭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주행판(31b,32b)의 구성은 사용자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우측프레임(40)은 상기 본체(10)의 우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되, 복수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판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상기 바닥프레임(11)에 일단이 힌지, 클램프, 스프링, 유압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체결수단(60)을 통하여 접힘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돌출판(41)은 상기 우측프레임(40)의 상면에 경사를 형성하도록 돌출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바(41a)와, 상기 고정바(41a)의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이송판(41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판(41)은 상기 우측프레임(40)의 상부에 설치를 이룰 시, 상부로 차량(1)의 이동이 가능하게 이격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돌출판(41)의 상부로 고정바(41a)를 통하여 복수개의 이송판(41b)이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5 및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우측프레임(40)을 본체(10)의 우측으로 펼쳐 놓는 경우, 상기 돌출판(41)의 상부에 구비된 이송판(41b)의 상부로 자동차(1)가 주행을 이루는 경우, 자동차(1)가 험로를 주행하는 것과 같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판(41b)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돌출판(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자동차(1)가 운행되는 다양한 주행환경을 형성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시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돌출판(41)에는 상기 이송판(41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곡을 이루는 연결판(42)이 더 설치되어 구성됨으로써, 돌출판(41)의 상부로 이송되는 자동차(1)가 더욱 다양한 주행 환경에서 운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돌출판(41)과 연결판(42)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본 발명인, 자동차용 주행시험기를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후면주행프레임(30)의 구성과 같이, 상기 돌출판(41)에서 연결판(42)을 분리한 후, 본체(10)의 상부에 연결판(42)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의 운반을 이룰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측프레임(50)은 상기 우측프레임(40)과 대향 되게 본체(10)의 좌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며, 상면에는 다각형의 경사판(51)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측프레임(50)은 상기 바닥프레임(11)에 일단이 힌지, 클램프, 스프링, 유압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체결수단(60)을 통하여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경사판(51)은 상기 좌측프레임(50)의 상면 중심부에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구비되는 중심경사판(51a)과, 상기 중심경사판(51a)의 양 측부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외측경사판(5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좌측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프레임(50)이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좌측프레임(50)을 이루는 경사판(51)의 상부로 자동차(1)를 주행하여 자동차(1)가 다양한 주행 환경에서 운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판(51)을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경사판(51a)과 외측경사판(51b)이 결합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경사판(51)을 통한 다양한 주행 각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좌측프레임(50)과 중심경사판(51a), 외측경사판(51b)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중심경사판(51a)과 외측경사판(51b)을 별도의 연결수단(미도시)을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와 연결되는 전면주행프레임, 후면주행프레임, 우측프레임, 좌측프레임을 분리하거나 접어 자동차용 주행시험기의 용이한 운반과 설치를 이룰 수 있으며, 설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자동차가 운행되는 다양한 주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차량 10: 본체
11: 바닥프레임 12: 기둥
13: 수평프레임 13a: 결합홈
14: 돌출프레임 14a: 설치프레임
14a-1: 삽입홈 14b,21b,22b,31b,32b: 주행판
15: 연결바 20: 전면주행프레임
21: 제1전면주행프레임 21a,22a: 지지프레임
21a-1,22a-1: 삽입홈 22: 제2전면주행프레임
30: 후면주행프레임 31: 제1후면주행프레임
31a: 제1고정프레임 31a-1: 제1결합돌기
31a-2: 제1고정홈 32: 제2후면주행프레임
32a-1: 제2결합돌기 32a-2: 제2고정홈
40: 우측프레임 41: 돌출판
41a: 고정바 41b: 이송판
42: 연결판 50: 좌측프레임
51: 경사판 51a: 중심경사판
51b: 외측경사판 S: 삽입공간

Claims (9)

  1. 복수개의 프레임이 박스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 되어 지면(G)의 설정된 위치에 놓이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 전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지면(G)과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의 중심부는 본체(10)를 향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면주행프레임(20);
    상기 전면주행프레임(20)과 대향 되게 본체(10)의 길이 방향 후면에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주행프레임(30);
    상기 본체(10)의 우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에는 복수개의 돌출판(41)이 배열 구비된 우측프레임(40);
    상기 우측프레임(40)과 대향 되게 본체(10)의 좌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에는 다각형의 경사판(51)이 구비된 좌측프레임(50);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10)는
    지면(G)의 상부에 놓이는 창틀 형상의 바닥프레임(11)과,
    상기 바닥프레임(11)의 꼭짓점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12)과,
    상기 기둥(12)을 연결하도록 바닥프레임(11)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창틀 형상의 수평프레임(13)과,
    상기 전면주행프레임(20)과 후면주행프레임(3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13)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ㅅ'자 형상의 돌출프레임(14)과,
    상기 바닥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3)의 사이에 삽입공간(S)이 형성되도록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바(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프레임(14)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홈(14a-1)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의 설치프레임(14a)과,
    상기 삽입홈(14a-1)에 탈착 결합되는 복수개의 주행판(1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주행프레임(20)은
    상기 돌출프레임(14)의 길이 방향 전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G)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전면주행프레임(21)과,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21)의 단부에 힌지, 클램프, 스프링, 유압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체결수단(60)을 통하여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21)과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은 본체(10)의 길이 방향 전면에 한 쌍을 이루도록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주행프레임(21) 및 제2전면주행프레임(22)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홈(21a-1,22a-1)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의 지지프레임(21a,22a)과,
    상기 삽입홈(21a-1,22a-1)에 탈착 결합되는 주행판(21b,2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주행프레임(20)과 대향되는 수평프레임(13)에는 복수개의 결합홈(13a)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주행프레임(30)은
    상기 결합홈(13a)과 대응되는 제1결합돌기(31a-1)가 일단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고정홈(31a-2)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의 제1고정프레임(31a)과, 상기 제1고정홈(31a-2)에 탈착 결합되는 주행판(31b)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3)에 탈착 결합되는 제1후면주행프레임(31)과,
    상기 결합홈(13a)과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32a-1)가 일단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고정홈(32a-2)이 형성된 사다리 형상의 제2고정프레임(32a)과, 상기 제2고정홈(32a-2)에 탈착 결합되는 주행판(32b) 및 복수개의 회전롤러(32c)로 구성되어 상기 제1후면주행프레임(31)과 이격되게 수평프레임(13)에 탈착 결합되는 제2후면주행프레임(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프레임(40)은
    복수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판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바닥프레임(11)에 일단이 힌지, 클램프, 스프링, 유압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체결수단(60)을 통하여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돌출판(41)은
    상기 우측프레임(40)의 상면에 경사를 형성하도록 돌출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바(41a)와,
    상기 고정바(41a)의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이송판(41b)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판(41)은 상기 우측프레임(40)의 상부에 설치될 시, 상부로 차량(1)의 이동이 가능하게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프레임(50)은
    상기 바닥프레임(11)에 일단이 힌지, 클램프, 스프링, 유압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체결수단(60)을 통하여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51)은
    상기 좌측프레임(50)의 상면 중심부에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구비되는 중심경사판(51a)과,
    상기 중심경사판(51a)의 양 측부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외측경사판(5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판(41)에는
    상기 이송판(41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곡을 이루는 연결판(42)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KR1020190059863A 2019-05-22 2019-05-22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KR102095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863A KR102095736B1 (ko) 2019-05-22 2019-05-22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863A KR102095736B1 (ko) 2019-05-22 2019-05-22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736B1 true KR102095736B1 (ko) 2020-04-01

Family

ID=7027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863A KR102095736B1 (ko) 2019-05-22 2019-05-22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7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303A (ko) 1995-04-11 1996-11-25 김주용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
KR100288542B1 (ko) 1999-03-19 2001-04-16 이계안 자동차용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시스템의 내구시험기
KR101463010B1 (ko) * 2013-06-24 2014-12-04 대한민국 차량 측정 장치
KR20150062627A (ko) * 2013-11-29 2015-06-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산악철도차량 주행시험용 레일
KR101777024B1 (ko) 2015-12-15 2017-09-19 차인환 편심축하중 측정장치를 가진 자동차검사용 제동시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303A (ko) 1995-04-11 1996-11-25 김주용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
KR100288542B1 (ko) 1999-03-19 2001-04-16 이계안 자동차용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시스템의 내구시험기
KR101463010B1 (ko) * 2013-06-24 2014-12-04 대한민국 차량 측정 장치
KR20150062627A (ko) * 2013-11-29 2015-06-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산악철도차량 주행시험용 레일
KR101777024B1 (ko) 2015-12-15 2017-09-19 차인환 편심축하중 측정장치를 가진 자동차검사용 제동시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2825B2 (en) Vehicle suspension testing and demonstrating
US7694769B2 (en) Vehicular frame assemblies and vehicles having support bracket
CN103562052B (zh) 尺寸可调节的车辆
KR101187501B1 (ko) 차량용 액슬 하우징의 시험용 지그 장치
CN105307879B (zh) 用于薄壁轮轴的机械轮轴/悬挂弹簧座
KR102095736B1 (ko)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용 주행시험기
CN105189168A (zh) 重型卡车中的对置活塞发动机布局
DE102022110085A1 (de) Radbaugruppenmontagestücke mit mehreren positionen
CN102305717A (zh) 一种汽车爬坡能力和差速锁性能测试台
US91392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eering a trailer
US6604756B2 (en) Tridem axle suspension
KR100858866B1 (ko) 조립식 견인장치 및 방법
US20150042068A1 (en) Transport Trailer with Adjustable-Width Swing Arms
CN203172374U (zh) 悬架及具有该悬架的车辆
CN219890547U (zh) 一种分体拼装型汽车衡
RU19012U1 (ru) Прицеп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CN203047011U (zh) 一种多功能低窄巷道运输车辆
CN102343780A (zh) 半挂车悬挂系统
CN216833457U (zh) 一种安保用街道巡逻车
CN212748313U (zh) 一种新型多功能驱动桥台架试验装置
CN209912341U (zh) 一种道路障碍模拟器用连接底板
CA2356022C (en) Tridem axle suspension
CN201694036U (zh) 一种带有电池箱的纯电动商用车
RU45704U1 (ru) Грузовое многопрофильное автошасси
KR101688889B1 (ko) 이동식 업무차용 캠퍼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