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701B1 - Table with temperature control fuction of drink - Google Patents

Table with temperature control fuction of dr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701B1
KR102095701B1 KR1020190164915A KR20190164915A KR102095701B1 KR 102095701 B1 KR102095701 B1 KR 102095701B1 KR 1020190164915 A KR1020190164915 A KR 1020190164915A KR 20190164915 A KR20190164915 A KR 20190164915A KR 102095701 B1 KR102095701 B1 KR 102095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rol
beverage
cup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은성
Original Assignee
임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은성 filed Critical 임은성
Priority to KR102019016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7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7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47B2031/023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being dockable to a stationary refrigeration and heat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47B2031/026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warm and cold compart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which comprises: a top plate part; a leg part supporting the top plate part; a cup support part positioned on a lateral side of the top plate part to be retractable and having a cup filled with a beverage thereon; and a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part located in the cup support part and cooling or heating a temperatur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The cup support part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can be selectively drawn and used to maximize an available area of the top plate part,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and utilization. Also, when the cup support part is inserted into the top plate part, electric power is turned off.

Description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TABLE WITH TEMPERATURE CONTROL FUCTION OF DRINK}Table with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drinks {TABLE WITH TEMPERATURE CONTROL FUCTION OF DRINK}

본 발명은 음료의 냉온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컵 받침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having a function of cooling and heating of a bever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ble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a beverage that can be used by selectively withdrawing a coaster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가정에서 차가운 음료와 뜨거운 음료를 마실 때 테이블의 상판에 음료가 담긴 잔 및 용기를 방치한 상태로 둔 상태에서 마시게 된다.In general, when drinking cold and hot beverages in a restaurant or at home, the cups and containers containing beverages are left in a state of being left unattended.

테이블 위에 놓인 음료는 시간이 지나면서 외부 기온에 의해 차가운 음료는 데워지게 되고, 뜨거운 음료는 차가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beverage placed on the table had a problem in that as time passed, the cold beverage was heated by the outside temperature, and the hot beverage was cooled.

즉, 테이블 위에 놓인 차가운 음료는 시간이 지나면서 따뜻해지면서 음료의 시원한 느낌을 느낄 수 없게 된다.In other words, the cold drink placed on the table becomes warm over time and the cool feeling of the drink cannot be felt.

또한, 테이블 위에 놓은 따뜻한 음료는 시간이 지나면서 차가워지면서 음료의 따뜻한 느낌을 느낄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the warm drink placed on the table becomes cold over time, and the warm feeling of the drink cannot be felt.

특히, 맥주와 같은 주류의 경우 적정 온도로 냉각되어야 최적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고, 커피, 녹차와 같은 차의 경우 적정 온도로 가열되어야 최적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lcoholic beverages such as beer, the optimum taste and aroma can be felt only when cool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in the case of teas such as coffee and green tea, the optimal taste and aroma can be felt when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공개 제2016-0112101호 "식당용 냉각테이블"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112101 "Refrigeration Table for Restaurant" has been proposed.

한국특허공개 제2016-0112101호 "식당용 냉각테이블"은 테이블의 상판에 음료용기를 삽입할 수 있는 복수의 냉각홀더를 위치시켜 냉각홀더 내에 삽입된 음료용기를 냉각시킨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112101 "Cooling table for restaurants" cools the beverage containers inserted in the cooling holder by placing a plurality of cooling holders capable of inserting beverage containers on the table top.

그러나, 한국특허공개 제2016-0112101호 "식당용 냉각테이블"은 테이블의 상판에 음료용기를 삽입할 수 있는 복수의 냉각홀더가 노출되어 있어 노출된 냉각홀더에 의해 테이블 상판의 가용 면적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112101, "Refrigeration Table for Restaurant", a plurality of cooling holders capable of inserting beverage containers are exposed on the table top, so that the available area of the table top is narrowed by the exposed cooling holder. There was a problem.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2016-0112101호 "식당용 냉각테이블"은 노출된 냉각홀더 내로 이물질이 빈번하게 유입되어 청소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112101, “Cooling Table for Restaurant”, has a problem in that cleaning and management are difficult due to frequent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exposed cooling holder.

0001)한국특허공개 제2016-0112101호 "식당용 냉각테이블"(2016.09.28.공개)0001)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6-0112101 "Refrigeration Table for Restaurant" (2016.09.28. Public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컵 받침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that can be used by selectively withdrawing a coaster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컵 받침부에 거치된 음료용기 내 음료를 음료의 성질에 맞게 차갑게 하거나 따뜻하게 할 수 있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capable of cooling or warming a beverage in a beverage container mounted on a coaster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a property of a beverag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 받침부를 상판부의 내부로 삽입하면 전원이 오프되어 전원이 켜진 상태로 상판부 내로 삽입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capable of preventing an accident that is inserted into the top plate in a state where the power is turned off and the power is turned on when the coaster is inserted into the top plat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상기 상판부의 측면에 인출 가능하게 위치되며 음료가 담긴 컵이 올려지는 컵받침부, 상기 컵받침부에 위치되고 상기 컵 내에 담긴 음료의 온도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는 음료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a top plate portion, a leg portion supporting the top plate portion, and removably located on a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p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cup is placed, a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portion located in the cup portion to cool or heat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본 발명에서 상기 상판부의 측면에는 상기 컵받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내부에 위치되는 컵받침 삽입부가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the coaster insertion portion may be positioned to be inserted therein so as to be slidably moved.

본 발명에서 상기 컵받침 삽입부는 상기 상판부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컵받침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 레일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컵받침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이동 안내 레일부재 내로 삽입되어 상기 이동 안내 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insert has a structure that is ope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op plate portion, and a movement guide rail member for guiding sliding movement of the cup holder is located inside, and the movement guide rail members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up holder. It may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member along the movement guide rail member may be positioned to protrude.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이동 안내 레일부재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구르는 이동 안내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moving guide wheel that roll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guide rail member.

본 발명에서 상기 컵받침부는 컵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는 컵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컵 삽입부의 하부에는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support portion is a cup insertion portion where a portion of the cup may be inserted and positioned, and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portion may be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up insertion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는 상부에 컵이 올려지는 펠티에소자부 및 상기 컵받침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펠티에소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도조절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include a Peltier element unit having a cup on the top and a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up hold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조절 스위치부는 상기 펠티에소자부의 상면이 흡열 작동을 하게 하는 냉각 작동 스위치, 상기 펠티에소자부의 상면이 방열 작동을 하게 하는 가열 작동 스위치 및 상기 펠티에소자부의 작동을 오프 시키는 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includes a cooling operation switch that allows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to absorb heat, a heating operation switch that allows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to perform heat dissipation, and an off switch that turns off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unit. can do.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조절 스위치부는 양 측 중 어느 한측이 눌려질 경우 다른 한측이 돌출되도록 회전되어 눌려진 측에서 접점이 이루어져 냉각 작동 또는 가열 작동이 선택되며 양 측의 높이가 동일한 중립 위치에서 상기 펠티에소자부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양측 누름식 버튼 스위치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is rotated so that the other side protrudes when either side is pressed, a contact is made at the pressed side, so that a cooling operation or a heating operation is selected, and the Peltier elements in a neutral position having the same height on both sides. It may be a two-sided push button switch having a structure to turn off the negative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는 상기 상판부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컵받침부가 상기 상판부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온도조절 스위치부를 눌러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전원 오프용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to protrude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when the cup holder is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portion,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is pressed to operate the beverage temperature adjusting por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rojection for power off to turn off.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조절 스위치부는 상면의 중앙에 오목한 스위치홈부가 위치되고 양 측단부가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눌려져 상기 펠티에소자부의 상면을 흡열 작동시키는 냉각 작동 스위치가 일측에 위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는 상기 상판부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온도조절 스위치부를 눌러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전원 오프용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portion has a concave switch groove portion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has a shape in which both side ends protrude, and a cooling operation switch that is pressed to absorb and ope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portion is located on one side, and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able having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part for turning off the power to turn off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by being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 오프용 돌기부는 상기 컵받침부가 상기 상판부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위치홈부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온도조절 스위치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돌출된 부분을 밀어 누름으로써 상기 온도조절 스위치부를 중립 위치로 위치시켜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의 작동을 오프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portion for power-off, while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cup holder is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portion,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portion is pushed by pushing a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r the other of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portion while being positioned in the switch groove portion. It can be placed in a neutral position to turn of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 오프용 돌기부는 평면 또는 저면에서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삼각 블록체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off projection may be a triangular block body having a triangular shape on a flat surface or a bottom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는 상부에 컵이 올려지는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를 승하강시키는 컵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up height adjusting unit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beverage temperature adjusting unit having a cup on the top.

본 발명에서 상기 컵 높이 조절부는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의 양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제1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와 제2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액추에이터 및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승하강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eight adjusting unit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everage temperature adjusting unit, the first moving guide rail member and the second moving guide rail member for guiding the moving of the beverage temperature adjusting unit, the beverage temperature It may include an elevating actuator for moving the adjusting unit up and down, and an elevating switch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actuator.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 중 어느 한 측에 세워져 위치되는 랙기어부,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에 위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랙기어부에 맞물려 위치되는 피니언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actuator is a rack gear unit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irst elevating movement guide rail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ovement guide rail member,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is located by the motor It may include a pinion gear portion that is rotated and engaged with the rack gear portion.

본 발명은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컵 받침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상판부의 가용 면적이 극대화되어 테이블의 이용 시 편의성과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ively used to withdraw the coaster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thereby maximizing the usable area of the top plat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usability when using the table.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컵 받침부에 거치된 음료용기 내 음료를 음료의 성질에 맞게 차갑게 하거나 따뜻하게 할 수 있어 차가운 음료와 뜨거운 음료를 각각 최적의 온도로 마실 수 있어 음료를 마실 때의 만족감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cool or warm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container mounted on the coaster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beverage, so you can drink cold and hot beverages at the optimum temperature, respectively, so that the satisfaction of drinking the beverage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본 발명은 컵 받침부를 상판부의 내부로 삽입하면 전원이 오프되어 전원이 켜진 상태로 상판부 내로 삽입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사용 시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별도로 음료 온도 조절부의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아도 되어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saves energy when using, since it can prevent an accident that is inserted into the top plate while the power is turned off and the power is turned on when the cup holder is inserted into the top plate portion, and has an effect of saving energy when using, and separately drinks temperature There is no need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control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에서 온도조절 스위치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temperature control switch in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f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 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and 2, an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은 상판부(100)와 상판부(100)를 지지하는 다리부(200)를 포함한다.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ortion 100 and a leg portion 200 supporting the top plate portion 100.

상판부(100)는 음식 등이 올려질 수 있는 평면의 상면을 가지며, 다리부(200)는 상판부(100)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판부(100)를 기설정된 높이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top plate portion 100 has a flat top surface on which food, etc. can be placed, and the leg portion 200 protrud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plate portion 100 and serves to support the top plate portion 100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판부(100)와 다리부(200)는 공지의 테이블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구성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It is revealed that the top plate portion 100 and the leg portion 200 are configured to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in a known tabl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판부(100)의 측면에는 컵받침부(300)가 인출 가능하게 위치되고, 컵받침부(300)는 상판부(100)의 측면에서 인출되어 음료가 내부에 담긴 컵이 올려질 수 있다. On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portion 100, the cup portion 300 is positioned to be pulled out, and the cup portion portion 300 is withdrawn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portion 100, and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may be raised.

상판부(100)의 측면에는 컵받침부(300)가 삽입되고 컵받침부(300)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내부에 위치되는 컵받침 삽입부(110)가 위치된다.On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portion 100, the cup holder 300 is inserted, and the cup holder insertion portion 110 positioned inside the cup holder 300 is slidably moved.

컵받침 삽입부(110)는 상판부(100)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는 컵받침부(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 레일부재(120)가 위치된다.The cup holder insertion portion 110 has a structure that is ope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op plate portion 100, and a movement guide rail member 120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up holder 300 is located inside.

그리고, 컵받침부(300)의 양측면에는 이동 안내 레일부재(120) 내로 삽입되어 이동 안내 레일부재(12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재(310)가 위치된다. And, on both sides of the cup support portion 300, the moving member 310 is inserted into the moving guide rail member 120 and slidingly moves along the moving guide rail member 120.

이동부재(310)에는 이동 안내 레일부재(120)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구르는 이동 안내 바퀴(311)가 구비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310 may be provided with a moving guide wheel 311 that roll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guide rail member 120.

더 상세하게 이동 안내 레일부재(1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레일 브라켓트인 것을 일 예로 하고, 레일 브라켓트는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컵받침 삽입부(110)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위치되고 컵받침부(300)는 레일 브라켓트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측면에 돌출된 이동부재(310)가 각각 레일 브라켓트 내로 삽입된다.In more detail, the movement guide rail member 120 is an example of a rail bracket formed in a U-shape, and the rail bracket is positioned and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holder insert 110 so that the open portions face each other. The parts 300 are located between the rail brackets, and the moving members 310 protruding from both side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rail brackets.

컵받침부(300)는 미사용 시 컵받침 삽입부(110) 내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상판부(100)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판부(100)의 측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When not in use, the coaster 300 is inserted into the coaster insert 110 and is slidably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op plate 100 to be pulled out to the side of the top plate 100.

그리고, 컵받침부(300)는 상판부(100)의 측면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컵받침 삽입부(110)의 안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판부(100)의 측면 내 즉, 컵받침 삽입부(110) 내로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Then, the cup support portion 300 slides inwardly from the side of the top plate portion 100 to the inside of the cup plate inserting portion 110, and thus moves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portion 100, that is, into the cup plate inserting portion 110. It can be inserted and positioned.

컵받침부(300)의 전면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위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손으로 잡고 컵 삽입부(300a)에서 컵받침부(300)를 용이하게 인출하거나 컵받침부(300)를 다시 컵 삽입부(300a) 내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that can be held by hand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up portion 3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ll out the cup portion 300 from the cup inserting portion 300a by holding the handle portion by hand or pull the cup portion 300. Again,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up insertion portion (300a).

한편, 컵받침부(300)는 컵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는 컵 삽입부(300a)가 위치되고, 컵 삽입부(300a)의 하부에는 컵 내에 담긴 음료의 온도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는 음료 온도 조절부(400)가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cup support portion 300 is a cup insertion portion 300a, which can be positioned by inserting a portion of the cup,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up insertion portion 300a to cool or heat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is located.

컵 삽입부(300a)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컵의 외측면을 감싸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Cup insertion portion (300a) is formed as an open bottom, it is an example to have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음료 온도 조절부(400)는 펠티에소자부(410), 펠티에소자부(410)의 하부에 위치되는 방열핀부(420), 방열핀부(420)의 하부에 위치되며 펠티에소자부(4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부(430), 컵받침부(300)의 상면에 위치되어 펠티에소자부(4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를 포함한다.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the heat dissipation fin unit 420,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unit 420, and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It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switch 44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41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box 430, the cup support 300 to control the.

즉, 음료 온도 조절부(400)는 상부 측으로 컵이 안착되는 펠티에소자부(410), 컵받침부(300)의 상면에 위치되어 펠티에소자부(410)의 작동을 제어하여 펠티에소자부(410)의 상면에서 흡열 또는 방열 작동을 선택하게 하는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를 포함한다.That is,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the cup holder 300, the cup is seated to the upper sid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It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switch 440 to select the heat absorption or heat dissipation operation on the upper surface of).

필티에소자부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컵이 올려지는 상면이 흡열 작동을 하거나, 방열 작동을 하게 된다.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e Philtier element unit absorbs or heat-dissip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펠티에소자부(410)는 상면이 흡열 작동을 하게 되면 그 반대편인 하면이 방열 작동을 하며, 하면이 흡열 작동을 하게 되면 그 반대편인 상면이 방열 작동을 하게 된다.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performs an endothermic operation, the lower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performs heat dissipation, and when the lower surface performs an endothermic operation, the upper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performs heat dissipation.

펠티에소자부(410)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상면이 흡열 작동을 하거나 하면이 흡열 작동을 하게 된다.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performs an endothermic operation on the upper surface or an endothermic operation on the lower surface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flows.

펠티에소자부(410)의 상면이 흡열 작동을 하게 되면 상면에 올려진 컵 내부에 담긴 음료를 냉각시키며 하면이 흡열 작동을 하게 되면 상면에서 방열 작동이 이루어져 상면에 올려진 컵 내부에 담긴 음료를 가열하게 된다.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performs an endothermic operation,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placed on the upper surface is cooled, and when the lower surface performs an endothermic operation, heat dissipation is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heat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placed on the upper surface. Is done.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는 펠티에소자부(410)의 상면이 흡열 작동을 하게 하는 냉각 작동 스위치(441), 펠티에소자부(410)의 상면이 방열 작동을 하게 하는 가열 작동 스위치(442), 펠티에소자부(410)의 작동을 오프 시키는 오프 스위치를 포함한다.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includes a cooling operation switch 441 that allows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to absorb heat, and a heating operation switch 442 that allows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to perform heat dissipation. It includes an off switch for turning off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컵 삽입부(300a)는 하단부가 펠티에소자부(410)와 이격되게 위치되어 펠티에소자부(410)로부터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The cup insertion portion 300a is positioned such that the lower end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Peltier element portion 410 so that heat is not transferred from the Peltier element portion 410.

컵 삽입부(300a)는 컵받침부(300)의 상면과 컵받침부(300)의 전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펠티에소자부(410)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경우 컵받침부(300)로 열을 전달하여 컵받침부(300)가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는 경우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The cup inserting portion 300a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p surface of the cup supporting portion 30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up supporting portion 300, and when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Peltier element portion 410, heat is transferred to the cup supporting portion 300. When the cup holder 300 is in contact with a user's hand by transferring, it may feel unpleasant.

이에 컵 삽입부(300a)는 펠티에소자부(410)와 이격되게 위치되어 컵받침부(300)로 펠티에소자부(410)로부터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컵받침부(300)가 펠티에소자부(41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거나 냉각되는 것이 방지된다.Accordingly, the cup inserting portion 300a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eltier element portion 410, thereby blocking heat from being transferred from the Peltier element portion 410 to the Paltier element portion 300, so that the Cup bearing portion 300 is a Peltier element portion. Heat received from 410 is prevented from being heated or cooled.

컵받침부(300) 내에는 음료 온도 조절부(40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위치되고, 공간의 하부면에 제어박스부(430)가 안착되어 위치되고, 최상부 측에 위치되는 펠티에소자부(410)와 컵 삽입부(300a)의 하단부를 이격시킴으로써 펠티에소자부(410)는 컵받침부(300)와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되고, 이에 컵받침부(300)는 펠티에소자부(410)로부터 열을 전달받지 않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In the cup support portion 300, a space in which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can be located is located, a control box 430 is seated and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and a Peltier element portion located on the top side By separating the lower end of the 410 and the cup inserting portion 300a, the Peltier element portion 410 is positioned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cup portion 300, whereby the cup portion 300 is from the Peltier element portion 410 It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receive heat.

또한, 컵받침부(300)는 복수의 컵 삽입부(300a)를 포함하고, 복수의 컵 삽입부(300a)의 하부에 각각 음료 조절부가 위치됨으로써 컵 삽입부(300a) 내에 삽입된 컵을 각각 냉각시키거나 가열시켜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p support portion 300 includes a plurality of cup inserting portions 300a, and each of the cups inserted in the cup inserting portion 300a is disposed by placing beverage control portions under the plurality of cup inserting portions 300a. The temperature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by cooling or heatin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에서 온도조절 스위치부(44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의 (a)는 펠티에소자부(410)의 작동이 오프된 중립 위치에서의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펠티에소자부(410)의 상면에서 흡열 작동이 이루어지는 냉각 작동 위치에서의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c)는 펠티에소자부(410)의 상면에서 방열 작동이 이루어지는 가열 작동 위치에서의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temperature control switch 440 in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a) shows that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is off It is a diagram showing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in the neutral position, Figure 3 (b) is a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in the cooling operation position of the endothermic operation is ma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3 (c) is a diagram showing a temperature control switch 440 in a heating operation position in which a heat dissipatio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는 양 측 중 어느 한측이 눌려질 경우 다른 한측이 돌출되도록 회전되어 눌려진 측에서 접점이 이루어져 냉각 작동 또는 가열 작동이 선택되며 양 측의 높이가 동일한 중립 위치에서 펠티에소자부(410)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양측 누름식 버튼 스위치인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is rotated so that the other side protrudes when either side is pressed, a contact is made at the pressed side, so that a cooling operation or a heating operation is selected, and the Peltier element unit in a neutral position having the same height on both sides For example, it is a two-sided push button switch having a structure for turning off the operation of 410.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는 상면의 중앙에 오목한 스위치홈부(440a)가 위치되고 양 측단부가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일 측이 눌려져 펠티에소자부(410)의 상면을 흡열 작동시키는 냉각 작동 스위치(441)이고, 타 측이 눌려져 펠티에소자부(410)의 상면을 방열 작동시키는 가열 작동 스위치(442)인 것을 일 예로 한다.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part 440 has a concave switch groove part 440a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has a shape in which both side ends protrude, and one side is pressed to cool and operate a switch for absorbing and ope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part 410 ( 441), it is assumed that the other side is pressed is a heating operation switch 442 to heat-dissipate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그리고, 도 3의 (a)는 온도조절 스위치부(440)가 중립 위치 즉, 양 측단의 높이가 동일하게 위치되어 펠티에소자부(410)의 작동을 오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FIG. 3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is in a neutral position, that is, the heights of both side ends are the sam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is turned off.

즉, 일측의 냉각 작동 스위치(441)와 타측의 가열 작동 스위치(442)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 펠티에소자부(410)의 작동이 정지된 오프 상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height of the cooling operation switch 441 on one side and the heating operation switch 442 on the other side are the same,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is turned off.

또한, 도 3의 (b)는 일측의 냉각 작동 스위치(441)가 눌려져 타측의 가열 작동 스위치(442)가 돌출되게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 펠티에소자부(410)의 상면이 흡열 작동되어 상면에 올려진 컵 내에 담겨진 음료를 냉각시키게 된다.In addition, FIG. 3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oling operation switch 441 on one side is pressed and the heating operation switch 442 on the other side is protruded.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absorbs heat. This will cool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placed on the top.

또한, 도 3의 (c)는 타측의 가열 작동 스위치(442)가 눌려져 일측의 냉각 작동 스위치(441)가 돌출되게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 펠티에소자부(410)의 상면이 방열 작동되어 상면에 올려진 컵 내에 담겨진 음료를 가열시키게 된다.In addition, FIG. 3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heating operation switch 442 on the other side is pressed so that the cooling operation switch 441 on one side protrudes.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radiates heat. As a result,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placed on the upper surface is heated.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은 온도조절 스위치부(440)의 양 측 중 어느 한 측을 눌러 펠티에소자부(410)의 상면에서 흡열 작동 또는 방열 작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컵 내의 음료를 음료의 성질에 맞게 차갑게 하거나 따뜻하게 할 수 있다.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any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440, the cup is made to selectively perform heat absorption or heat dissipation opera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You can make your drink cold or warm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drink.

즉, 맥주와 같은 주류가 담겨진 컵의 경우 일측의 냉각 작동 스위치(441)를 눌러 컵 내의 주류를 적정 온도로 냉각시켜 일정한 온도 범위 내로 음료의 온도를 유지시킨다.That is, in the case of a cup containing alcohol, such as beer, the cooling operation switch 441 on one side is pressed to cool the alcohol in the cup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within a certain temperature range.

그리고, 커피, 녹차와 같은 차 또는 물이 담겨진 컵의 경우 타측의 가열 작동 스위치(442)를 눌러 컵 내의 차 등의 음료를 적정 온도로 가열시켜 일정한 온도 범위 내로 음료의 온도를 유지시킨다. Then, in the case of a cup containing tea or water such as coffee or green tea, the beverages such as teas in the cup are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by pressing the heating operation switch 442 on the other sid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within a certain temperature range.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show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은 상판부(100)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컵받침부(300)가 상판부(100) 내 즉, 컵받침 삽입부(110)의 내로 삽입되면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를 눌러 음료 온도 조절부(400)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전원 오프용 돌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 to 6, the table having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to protrud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100 so that the cup holder 300 is inserted into the top plate 100, that is, the cup holder When inserted into the portion 110 may further include a projection 500 for power off to turn off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by pressing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전원 오프용 돌기부(500)는 온도조절 스위치부(440)가 중립 위치 즉, 양 측단의 높이가 동일하게 위치될 때 온도조절 스위치부(440)의 중앙에 위치된 스위치홈부(440a) 내에 위치되는 높이로 돌출된다. The power-off projection 500 is located in the switch groove 440a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440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440 is in a neutral position, that is, the heights of both sides are the same. It protrudes to height.

전원 오프용 돌기부(500)는 컵받침부(300)가 컵받침 삽입부(110)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스위치홈부(440a) 내에 위치되면서 온도조절 스위치부(440)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돌출된 부분을 밀어 누름으로써 온도조절 스위치부(440)가 중립 위치 즉, 양 측단의 높이가 동일하게 위치되도록하여 음료 온도 조절부(400)의 작동을 오프시킨다. The power-off projection 500 is locat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while at least a portion is located in the switch groove 440a in the state where the cup holder 300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insert 110. By pushing the protruding portion,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is placed in a neutral position, that is, the heights of both sides are equal, thereby turning off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전원 오프용 돌기부(500)는 하면이 스위치홈부(440a)의 바닥에서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 측이 돌출되게 위치된 양 측 중 어느 한 측을 밀어 누름으로써 온도조절 스위치부(440)가 온도조절 스위치부(440)가 중립 위치 즉, 양 측단의 높이가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switch by pushing one of both sides of which the low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switch groove portion 440a and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500 for power off. The portion 440 is positioned at a neutral position, that is, the height of both sides is the same.

전원 오프용 돌기부(500)는 평면 또는 저면에서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삼각 블록체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제1꼭지점이 온도조절 스위치부(440)의 중심을 지나도록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를 향해 즉, 컵받침 삽입부(110)의 개방된 부분을 향해 위치는 이등변 삼각형상 또는 정삼각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For example, the power-off protrusion 500 is a triangular block chain having a triangular shape on a flat surface or a bottom surface, and is directed toward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440 so that the first vertex passes the center of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440. , As an example, the position toward the open portion of the coaster insert 110 has an isosceles triangle shape or an equilateral triangle shape.

삼각 블록체는 제1꼭지점이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를 향해 위치되는 이등변 삼각형상 또는 정삼각형상을 가짐으로써 제1꼭지점을 기준으로 한 양 측면이 각각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다.The triangular block body has an isosceles triangular shape or an equilateral triangular shape in which the first vertex is positioned toward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440, so that both sides based on the first vertex are inclined at the same angle.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는 일측의 냉각 작동 스위치(441)가 눌러져 타측의 가열 작동 스위치(442)가 돌출되어 음료 온도 조절부(400)의 냉각 작동을 인가하게 되며, 음료 온도 조절부(400)의 냉각 작동이 인가된 상태에서 컵받침부(30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컵받침 삽입부(110) 내로 삽입되면 삼각 블록체의 경사면에 의해 돌출된 가열 작동 스위치(442)가 눌려지면서 온도조절 스위치부(440)가 중립 위치로 위치되어 음료 온도 조절부(400)의 작동이 오프된다.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is pressed by the cooling operation switch 441 on one side, and the heating operation switch 442 on the other side protrudes to apply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and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 When the cup operation portion 300 is slidingly moved in the state in which the cooling operation of) is applied and inserted into the cup operation portion 110, the heating operation switch 442 protruding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riangular block body is pressed and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The portion 440 is positioned in a neutral positio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is turned off.

또한,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는 일측의 가열 작동 스위치(442)가 눌러져 타측의 냉각 작동 스위치(441)가 돌출되어 음료 온도 조절부(400)의 가열 작동을 인가하게 되며, 음료 온도 조절부(400)의 가열 작동이 인가된 상태에서 컵받침부(300)가 컵받침 삽입부(110) 내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삽입되면 삼각 블록체의 경사면에 의해 돌출된 냉각 작동 스위치(441)가 눌려지면서 온도조절 스위치부(440)가 중립 위치로 위치되어 음료 온도 조절부(400)의 작동이 오프된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is a heating operation switch 442 on one side is pressed to protrude the cooling operation switch 441 on the other side to apply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When the heating operation of (400) is applied and the cup holder 300 is slidingly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insertion portion 110, the cooling operation switch 441 protruding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riangular block body is pressed while being pressed. The control switch unit 440 is positioned in a neutral positio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is turned off.

전원 오프용 돌기부(500)는 삼각 블록체로 형성되어 온도조절 스위치부(440)의 양 측 중 어느 한측을 눌러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를 중립 위치로 위치시킬 때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온도 조절 스위치의 누름 작동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온도 조절 스위치의 누름 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마모 등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500 for power-off is formed of a triangular block body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when pressing the one of both sides of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to place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in a neutral positio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witch can be made more smoothly, and damage such as wear due to friction generated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is pressed can be minimized.

전원 오프용 돌기부(500)는 삼각 블록체로 형성되어 온도조절 스위치부(440)의 양 측 중 어느 측이 돌출되어 있더라도 돌출된 부분을 눌러 온도조절 스위치부(440)를 중립 위치로 위치시키고 음료 온도 조절부(400)의 작동을 오프시킨다. The protrusion 500 for power-off is formed of a triangular block body and presses the protruding part to place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in a neutral position even if either 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440 protrudes, and the beverage temperature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unit 400 is turned off.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은 상부에 컵이 올려지는 음료 온도 조절부(400)를 승하강시키는 컵 높이 조절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p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cup height adjustment unit 600 for raising and lowering.

컵 높이 조절부(600)는 컵의 높이에 따라 상면에 컵이 안착되는 즉, 펠티에소자부(410)의 상면 높이를 조절하여 컵 삽입부(300a)의 상부 측으로 돌출되는 컵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up height adjusting unit 600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cup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up, that is,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410 to protrude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up insertion unit 300a. have.

컵 높이 조절부(600)는 음료 온도 조절부(400)의 양 측면에 위치되어 음료 온도 조절부(400)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제1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610)와 제2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620), 음료 온도 조절부(400)를 상, 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액추에이터(630), 승하강 액추에이터(6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승하강 스위치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Cup height adjustment unit 600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the first elevating movement guide rail member 610 and the second power for guiding the elevating movement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The lower movement guide rail member 620,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the vertical movement actuator 630 for moving up and down, and the lowering and lowering switch unit 6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wering actuator 630 may be included. You can.

승하강 스위치부(640)는 승강 스위치(641)와 하강 스위치(642)를 포함하여 승강 스위치(641)를 누르면 승하강 액추에이터(630)가 음료 온도 조절부(400)를 승강시키고, 하강 스위치(642)를 누르면 승하강 액추에이터(630)가 음료 온도 조절부(400)를 하강시키도록 한다. The elevating switch unit 640 includes an elevating switch 641 and a descending switch 642, and when the elevating switch 641 is pressed, the elevating actuator 630 elevates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and the descending switch ( When pressing 642, the elevating actuator 630 causes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ler 400 to descend.

승하강 액추에이터(630)는 제1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610)와 제2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620) 중 어느 한 측에 세워져 위치되는 랙기어부(631), 음료 온도 조절부(400)에 위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랙기어부(631)에 맞물려 위치되는 피니언 기어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vating and moving actuator 630 is a rack gear part 631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irst elevating movement guide rail member 610 and the second elevating movement guide rail member 620, and a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 400) and a pinion gear portion 632 that is rotated by a motor and engaged with the rack gear portion 631.

피니언 기어부(632)는 제어박스부(430)에 위치되어 음료 온도 조절부(400)에서 최하부에 위치되는 제어박스부(430)를 승하강시켜 최상면에 위치되어 상면에 컵이 안착되는 펠티에소자부(4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pinion gear part 632 is located in the control box part 430 and moves up and down the control box part 43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part 400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most surface and positioned on the uppermost surface, so that the cup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n example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ortion 410.

승하강 액추에이터(630)는 모터에 의해 피니언 기어부(632)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세워져 위치되는 랙기어부(631)를 따라 음료 온도 조절부(400)가 승하강 되도록 한다. The raising / lowering actuator 630 rotates the pinion gear part 632 in both directions by a motor, so that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part 40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rack gear part 631 which is placed up and down.

이 때 음료 온도 조절부(400)의 승하강 이동은 제1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610)와 제2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620) 중 다른 한 측에 의해 안내되어 원활하게 승하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is guided by the oth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movement guide rail member 610 and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guide rail member 620 to be smoothly elevated. You can.

승하강 액추에이터(630)는 볼 스크류를 이용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공지의 직선 왕복 이동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elevating and lowering actuator 630 may be a linear actuator using a ball screw, or may be variously modified by using a known linear reciprocating actuator, and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컵 높이 조절부(600)는 컵의 높이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컵받침부(300) 상으로 돌출되는 컵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사용 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컵이 더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고, 큰 컵이 넘어지면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며 작은 컵이 컵 삽입부(300a) 내로 삽입되어 컵을 빼내기 어렵게 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up height adjusting part 600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cup and the height of the cup protruding onto the cup supporting part 300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o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when using, and the cup is mounted more stab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the large cup falls, and the small cup is inserted into the cup inserting portion 300a to prevent discomfort that is difficult to remove the cup.

컵 높이 조절부(600)는 음료 온도 조절부(400)에서 최하부에 위치되는 제어박스부(430)의 하부에 위치되는 유압 실린더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승하강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The cup height adjustment unit 600 may be a hydraulic cylinder positioned under the control box unit 430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or variously modified using various known elevation devices. And it can be carried out.

본 발명은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컵 받침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상판부(100)의 가용 면적이 극대화되어 테이블의 이용 시 편의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withdraw and use the coaster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thereby maximizing the usable area of the top plate 100 to increase convenience and usability when using the table.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컵 받침부에 거치된 음료용기 내 음료를 음료의 성질에 맞게 차갑게 하거나 따뜻하게 할 수 있어 차가운 음료와 뜨거운 음료를 각각 최적의 온도로 마실 수 있어 음료를 마실 때의 만족감을 극대화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cool or warm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container mounted on the coaster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beverage b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so that cold beverages and hot beverages can be respectively drink at the optimum temperature, thereby satisfying the satisfaction of drinking beverages. To maximize.

본 발명은 컵 받침부를 상판부(100)의 내부로 삽입하면 전원이 오프되어 전원이 켜진 상태로 상판부(100) 내로 삽입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사용 시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별도로 음료 온도 조절부(400)의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아도 되어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ccidents that are inserted into the top plate 100 in a state where the power is turned off when the cup coaster is inserted into the top plate portion 100,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saving energy when used. There is,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turn off the power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can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ly changing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revealed that it is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상판부 110 : 컵받침 삽입부
120 : 이동 안내 레일부재 200 : 다리부
300 : 컵받침부 300a : 컵 삽입부
310 : 이동부재 311 : 이동 안내 바퀴
400 : 음료 온도 조절부 410 : 펠티에소자부
420 : 방열핀부 430 : 제어박스부
440 : 온도조절 스위치 440a : 스위치홈부
441 : 냉각 작동 스위치 442 : 가열 작동 스위치
500 : 전원 오프용 돌기부 600 : 컵 높이 조절부
610 : 제1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
620 : 제2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
630 : 승하강 액추에이터 631 : 랙기어부
632 : 피니언 기어부 640 : 승하강 스위치부
641 : 승강 스위치 642 : 하강 스위치
100: top plate 110: cup holder insert
120: moving guide rail member 200: leg
300: cup holder 300a: cup insert
310: moving member 311: moving guide wheel
400: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410: Peltier element unit
420: radiating fin part 430: control box part
440: temperature control switch 440a: switch groove
441: cooling operation switch 442: heating operation switch
500: Power off projection 600: Cup height adjustment
610: First elevating movement guide rail member
620: 2nd elevating movement guide rail member
630: lifting actuator 631: rack gear unit
632: pinion gear unit 640: elevating switch unit
641: lifting switch 642: falling switch

Claims (15)

상판부;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상기 상판부의 측면에 인출 가능하게 위치되며 음료가 담긴 컵이 올려지는 컵받침부; 및
상기 컵받침부에 위치되고 상기 컵 내에 담긴 음료의 온도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는 음료 온도 조절부;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도조절 스위치부; 및
상기 상판부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컵받침부가 상기 상판부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온도조절 스위치부를 눌러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전원 오프용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op plate part;
A leg portion supporting the top plate portion;
A cup support portion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having a cup containing a drink; And
A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located in the cup holder to cool or heat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A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tru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includes a protrusion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beverage temperature adjusting portion by pressing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when the cup holder is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portion. Table with adjustment fun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측면에는 상기 컵받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내부에 위치되는 컵받침 삽입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the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f the top plate is placed in the coaster insert is located inside the sliding portion is inserted and slid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컵받침 삽입부는,
상기 상판부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컵받침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 레일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컵받침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이동 안내 레일부재 내로 삽입되어 상기 이동 안내 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aster insert,
It has a structure that is ope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therein is a movement guide rail member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oaster,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for bevera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h sides of the cup support portion are inserted into the movement guide rail member so that a movable member sliding along the movement guide rail member protrud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이동 안내 레일부재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구르는 이동 안내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for bevera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moving guide wheel that roll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guide rail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받침부는,
컵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는 컵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컵 삽입부의 하부에는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가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aster,
The cup insertion portion is positioned where a portion of the cup can be inserted and positioned,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for beverages, wherein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insertion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는,
상부에 컵이 올려지는 펠티에소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eltier element portion with a cup on the top.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 스위치부는,
상기 펠티에소자부의 상면이 흡열 작동을 하게 하는 냉각 작동 스위치;
상기 펠티에소자부의 상면이 방열 작동을 하게 하는 가열 작동 스위치; 및
상기 펠티에소자부의 작동을 오프 시키는 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A cooling operation switch that allows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portion to absorb heat;
A heating operation switch that causes an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to perform heat dissipation; And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ff switch for turning off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 스위치부는,
양 측 중 어느 한측이 눌려질 경우 다른 한측이 돌출되도록 회전되어 눌려진 측에서 접점이 이루어져 냉각 작동 또는 가열 작동이 선택되며 양 측의 높이가 동일한 중립 위치에서 상기 펠티에소자부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양측 누름식 버튼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unit,
When either one of the two sides is pressed, the other side is rotated so that the other side protrudes, a contact is made at the pressed side, and a cooling operation or a heating operation is selected, and the structure of turning off the operation of the Peltier element portion at a neutral position having the same height on both sides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for bever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ush button switch on both sides.
삭제delet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 스위치부는 상면의 중앙에 오목한 스위치홈부가 위치되고 양 측단부가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눌려져 상기 펠티에소자부의 상면을 흡열 작동시키는 냉각 작동 스위치가 일측에 위치되고, 눌려져 상기 펠티에소자부의 상면을 방열 작동시키는 가열 작동 스위치가 타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portion has a shape in which a concave switch groov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 ends protrude,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a cooling operation switch that heats up and absorbs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is placed on one side and a heating operation switch that heats and ope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Peltier element unit when presse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오프용 돌기부는,
상기 컵받침부가 상기 상판부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위치홈부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온도조절 스위치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돌출된 부분을 밀어 누름으로써 상기 온도조절 스위치부를 중립 위치로 위치시켜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projection for power off,
Adjusting the beverage temperature by positioning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to a neutral position by pushing a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r the other of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while at least a portion is located in the switch groove while the cup holder is inserted into the top plate portion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for bevera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wealth is turned off.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오프용 돌기부는 평면 또는 저면에서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삼각 블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10,
The power-off projection is a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the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angular block chain having a triangular shape on a flat or botto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부에 컵이 올려지는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를 승하강시키는 컵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able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up height adjusting uni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with a cup on the top.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컵 높이 조절부는,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의 양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제1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와 제2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액추에이터; 및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승하강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cup height adjustment unit,
A first elevating movement guide rail member and a second elevating movement guide rail member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to guide the elevating movement of the beverage temperature adjusting unit;
Up and down actuator for moving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up and down; And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a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actuator.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 이동 안내 레일부재 중 어느 한 측에 세워져 위치되는 랙기어부;
상기 음료 온도 조절부에 위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랙기어부에 맞물려 위치되는 피니언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The lifting actuator,
A rack gear part standing on one side of the first elevating movement guide rail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ovement guide rail member;
Tab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of the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inion gear portion which is located in the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rotated by a motor and engaged with the rack gear portion.
KR1020190164915A 2019-12-11 2019-12-11 Table with temperature control fuction of drink KR1020957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915A KR102095701B1 (en) 2019-12-11 2019-12-11 Table with temperature control fuction of dr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915A KR102095701B1 (en) 2019-12-11 2019-12-11 Table with temperature control fuction of dr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701B1 true KR102095701B1 (en) 2020-04-01

Family

ID=7027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915A KR102095701B1 (en) 2019-12-11 2019-12-11 Table with temperature control fuction of dr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70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599U (en) * 1994-01-13 1995-08-18 이철수 Plastic Wheels for Drawer Guide Rails
KR200285419Y1 (en) * 2002-03-22 2002-08-13 (주)팀코리아 Refrigerating/thermos vessel for foods
KR100778284B1 (en) * 2007-01-30 2007-11-22 주식회사 대흥쿨러 A table having refrigerator using thermoeletric module
KR20110004708U (en) * 2009-11-05 2011-05-12 김광조 Portable small table
KR20160112101A (en) 2015-03-18 2016-09-28 고정필 Cooling table for the restaurant
KR20160122457A (en) * 2015-04-14 2016-10-24 박신주 Multi-Function Table as Insulating and Cool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599U (en) * 1994-01-13 1995-08-18 이철수 Plastic Wheels for Drawer Guide Rails
KR200285419Y1 (en) * 2002-03-22 2002-08-13 (주)팀코리아 Refrigerating/thermos vessel for foods
KR100778284B1 (en) * 2007-01-30 2007-11-22 주식회사 대흥쿨러 A table having refrigerator using thermoeletric module
KR20110004708U (en) * 2009-11-05 2011-05-12 김광조 Portable small table
KR20160112101A (en) 2015-03-18 2016-09-28 고정필 Cooling table for the restaurant
KR20160122457A (en) * 2015-04-14 2016-10-24 박신주 Multi-Function Table as Insulating and Coo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9749B1 (en) Thermoelectrically heated/cooled cupholder system
ES2322294T3 (en) COMBINED FOOD COOKING DEVICE AND PROCEDURE.
US20070266861A1 (en) Beverage server with a drip tray assembly
US6106058A (en) Chair or sofa with refrigerated compartment
US20200367647A1 (en) Multi-surface comfort table
KR102095701B1 (en) Table with temperature control fuction of drink
CN109419361A (en) The base assembly and built at lower part of drinking machine of built at lower part of drinking machine
JP2002031456A (en) Apparatus for cold insulating or heat insulating drink
KR101292660B1 (en) apparatus for cup holder in vehicles
US7905224B2 (en) Beverage warmer apparatus
CN107898253A (en) The cup that a kind of convenience heats automatically
US8025185B1 (en) One-gallon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and associated method
NL9401096A (en) Device for preparing coffee and similar drawn drinks in single doses and mixed with milk.
KR101476210B1 (en) supplying device for drinking water or a water purifier
US20080029671A1 (en) Spill Prevention Device
KR20110073014A (en) Foldable crutches
KR200328344Y1 (en) Transfer style drink and wine chiller
CN215649856U (en) Multifunctional garden combined table and chair
KR20160100625A (en) Bottle cooling device
CN106551634B (en) A kind of device that drinks is heated automatically and quantitatively flowed out
CN218259189U (en) Plastic cup with heat insulation effect
KR20100103977A (en) Cooling table of beverage or liquors with improved cooling performance
CN203468180U (en) Tea making water kettle assembly
KR20110049972A (en) The alcoholic liquors/beverages cooling table
KR20180093242A (en) Inner Sliding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