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557B1 -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557B1
KR102095557B1 KR1020140069577A KR20140069577A KR102095557B1 KR 102095557 B1 KR102095557 B1 KR 102095557B1 KR 1020140069577 A KR1020140069577 A KR 1020140069577A KR 20140069577 A KR20140069577 A KR 20140069577A KR 102095557 B1 KR102095557 B1 KR 102095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ct
input image
focus lens
discrete cos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061A (ko
Inventor
김대봉
권영상
이경은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9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557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G02B7/365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by analysis of the spatial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단계들 (a) 내지 (c)를 포함한다. 단계 (a)에서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가 찾아진다. 단계 (b)에서는, 제1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가 찾아진다. 단계 (c)에서는, 제2 위치가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된다.

Description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Auto-focusing method of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커스 렌즈 또는 광전 변환부를 이동시키면서 최종 포커스 위치를 주기적으로 찾는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촬영 장치는 포커스 렌즈, 광전 변환부 및 제어부를 구비한다. 광전 변환부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있어서, 포커스 렌즈와 광전 변환부 사이의 거리가 변하면서 최대 포커스 값을 발생시키는 위치가 찾아진다.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가 구비된 촬영 장치의 경우, 광전 변환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가 이동하면서 최대 포커스 값을 발생시키는 위치가 찾아진다.
이와 반대로, 광전 변환부의 모터가 구비된 촬영 장치의 경우, 포커스 렌즈가 고정된 상태에서 광전 변환부가 이동하면서 최대 포커스 값을 발생시키는 위치가 찾아진다. 이와 같이 광전 변환부의 모터가 구비된 촬영 장치에서는 포커스 렌즈가 교체되면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있어서,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인 스폿(spot) 환경인 경우, 찾아진 최종 포커스 위치는 대부분의 경우에 실제의 정확한 포커스 위치가 되지 못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32378호 (출원인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발명의 명칭 : 이차 함수를 이용한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인 스폿(spot) 환경인 경우에도, 실제의 정확한 포커스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자동 포커싱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최종 포커스 위치를 주기적으로 찾는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있어서, 단계들 (a) 내지 (c)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가 찾아진다.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가 찾아진다.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제2 위치가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최종 포커스 위치를 주기적으로 찾는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있어서, 단계들 (a) 내지 (d)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가 찾아진다.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초로 증가하는 방향인 제2 방향이 찾아진다.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를 찾아진다.
상기 단계 (d)에서는, 상기 제2 위치가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광전 변환부를 이동시키면서 최종 포커스 위치를 주기적으로 찾는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있어서, 단계들 (a) 내지 (c)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광전 변환부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광전 변환부가 이동되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가 찾아진다.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광전 변환부가 이동되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가 찾아진다.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제2 위치가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광전 변환부를 이동시키면서 최종 포커스 위치를 주기적으로 찾는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있어서, 단계들 (a) 내지 (d)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광전 변환부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광전 변환부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를 찾는다.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초로 증가하는 방향인 제2 방향이 찾아진다.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광전 변환부가 이동되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가 찾아진다.
상기 단계 (d)에서는, 상기 제2 위치가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의하면,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가 찾아진다. 또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 또는 상기 광전 변환부가 이동되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가 찾아진다. 그리고 상기 제2 위치가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된다.
여기에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상기 제1 위치는 디시(DC) 계수가 최소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인 스폿(spot) 환경인 경우, 입력 영상 데이터의 평균 휘도가 최소인 위치는 실제의 정확한 포커스 위치에 근접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의하면,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이용되어, 상기 포커스 렌즈 또는 광전 변환부가 실제 정확한 포커스 위치에 빠르게 근접할 수 있다. 또한, 이 근접 위치인 상기 제1 위치를 기점으로 에이시(AC) 계수들이 이용되어, 상기 포커스 렌즈 또는 광전 변환부가 실제 정확한 포커스 위치에 빠르게 도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의하면,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인 스폿(spot) 환경인 경우에도, 실제의 정확한 포커스 위치가 빠르게 찾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사용하는 촬영 장치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 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의 결과를 예를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 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계 S413의 수행을 위한 디시(DC) 히스토그램을 예를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 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 및 8은 도 6의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1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 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사용하는 촬영 장치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 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 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사용하는 촬영 장치(1)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사용하는 촬영 장치(1)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디지털 신호 발생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101),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비디오-신호 발생부(108), 및 인터페이스부(12)를 포함한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는 타이밍 회로(1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CDS-ADC(101)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지털 신호 발생부로서의 CDS-ADC(1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CDS-ADC(1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이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및 디지털 신호 발생부로서의 CDS-ADC(101)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CDS-ADC(101)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의 형식을 변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는 CDS-ADC 소자(1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비디오-신호 발생부(108)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인 비디오 신호(Svid1)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는,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하면서, 비디오-신호 발생부(108)로부터의 비디오 신호(Svid1)를 호스트 장치에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로서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에 의하여 동작하는 마이크로-컴퓨터(113)는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줌 모터(Mz) 및 포커스 모터(Mf)를 구동한다. 줌 모터(Mz)는 줌 렌즈를 구동하고, 포커스 모터(Mf)는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13)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조명부(115)를 구동한다.
인터페이스부(12)는, 입력 교류 전압(ACin)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을 각 부에 제공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와 외부의 호스트 장치 사이에서 통신 신호들(Sco)을 인터페이싱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2)는, 비디오-신호 발생부(108)로부터의 비디오 신호(Svid1)를 인터페이싱하여 그 결과의 비디오 신호(Svid)를 비엔씨(BNC : Bayonet Neil-Concelman) 리셉터클을 통하여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와 외부 센서들 사이에서 통신 신호(Sse)를 인터페이싱한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보여준다. 도 3은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의 결과를 예를 들어 보여준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S0 ,0)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를 찾는다(단계들 S201 및 S203).
즉, 단계들 S201 및 S203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포커스 렌즈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에 의한 디시(DC) 계수(S0 ,0)가 증가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203에서 디시(DC) 계수(S0 ,0)가 증가한다고 판단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단계 S205 및 그 이후의 단계들을 계속 수행한다.
여기에서, 디시(DC) 계수(S0 ,0)가 최초로 증가하는 상기 제1 위치는 디시(DC) 계수(S0 ,0)가 최소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인 스폿(spot) 환경인 경우, 입력 영상 데이터의 디시(DC) 계수(S0 ,0) 즉, 평균 휘도가 최소인 위치는 실제의 정확한 포커스 위치에 근접될 확률이 높다.
단계들 S205 및 S207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인 제1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S0 ,1 내지 S7 ,7)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를 찾는다. 여기에서, 모든 에이시(AC) 계수들(S0 ,1 내지 S7 ,7)이 합산될 수도 있지만,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에이시(AC) 계수들만이 합산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2 위치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한다(단계 S209).
다음에,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설정 주기가 경과된 후에 상기 단계들 S201 내지 S209를 다시 수행한다(단계들 S211 및 S213).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보여준다. 도 1,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S0 ,0)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를 찾는다(단계들 S401 및 S403).
즉, 단계들 S401 및 S403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포커스 렌즈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에 의한 디시(DC) 계수(S0 ,0)가 증가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403에서 디시(DC) 계수(S0 ,0)가 증가한다고 판단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단계 S405 및 그 이후의 단계들을 계속 수행한다.
단계들 S405 및 S407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인 제1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S0 ,1 내지 S7 ,7)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를 찾는다. 여기에서, 모든 에이시(AC) 계수들(S0 ,1 내지 S7 ,7)이 합산될 수도 있지만,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에이시(AC) 계수들만이 합산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2 위치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한다(단계 S409).
다음에, 설정 주기가 경과하면(단계 S411),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스폿(spot) 환경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13). 상기한 바와 같이, 스폿(spot) 환경이란,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폿(spot) 환경의 판단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단계 S413에서 스폿(spot) 환경으로 판단된 경우, 설정 주기가 경과할 때마다 상기 단계들 S401 내지 S409가 수행된다. 상기 단계 S413에서 스폿(spot) 환경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설정 주기가 경과할 때마다 아래의 단계들 S415 내지 S419가 수행된다. 즉, 스폿(spot) 환경에서는 디시(DC) 계수(S0 ,0)와 에이시(AC) 계수들(S0 ,1 내지 S7 ,7)을 모두 사용하고, 스폿(spot) 환경이 아닌 경우에 에이시(AC) 계수들(S0 ,1 내지 S7 ,7)만을 사용한다.
단계들 S415 및 S417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S0 ,1 내지 S7 ,7)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3 위치를 찾는다. 여기에서, 모든 에이시(AC) 계수들(S0 ,1 내지 S7 ,7)이 합산될 수도 있지만,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에이시(AC) 계수들만이 합산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3 위치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한다(단계 S419).
상기 모든 단계들은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421).
도 5는 도 4의 단계 S413의 수행을 위한 디시(DC) 히스토그램을 예를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참조 부호 f1 내지 f4는 설정 개수의 프레임들을, n1 내지 n4는 각 프레임에서 디시(DC) 계수 즉, 평균 휘도를 갖는 화소들의 개수를 가리킨다.
도 4의 단계 S413의 수행을 위하여, 4 프레임들(f1 내지 f4) 중에서 기준 디시(DC) 계수 즉, 기준 평균 휘도보다 높은 디시(DC) 계수를 가진 프레임들 예를 들어, f1 내지 f3이 선택된다.
여기에서, 선택된 프레임들에서 디시(DC) 계수 즉, 평균 휘도를 갖는 화소들의 개수가 기준 개수를 초과할 경우, 스폿(spot) 환경이다고 판단된다.
도 6은 도 1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보여준다.
도 7 및 8은 도 6의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및 8에서 참조 부호 Cdc는 디시(DC) 계수를, Sac :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을, DS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값을 각각 가리킨다. 도 7 및 8에서 참조 부호 701 및 801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의 그래프를 가리킨다. 도 7 및 8에서 참조 부호 702 및 802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한 디시(DC) 계수의 그래프를 가리킨다.
도 1,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DSs)에서 포커스 렌즈를 제1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DS1)를 찾는다(단계들 S601 및 S603).
여기에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상기 제1 위치는 디시(DC) 계수가 최소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인 스폿(spot) 환경인 경우, 입력 영상 데이터의 디시(DC) 계수 즉, 평균 휘도가 최소인 위치는 실제의 정확한 포커스 위치에 근접될 확률이 높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1 위치(DS1)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초로 증가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찾는다(단계들 S605 및 S607).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1 위치(DS1)에서 포커스 렌즈의 진행 방향을 반대로 하여 역 위치(DSb)에 이동시킨 후(단계 S605),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607).
역 위치(DSb)에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하지 않았으면(도 7의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역 위치(DSb)에서 포커스 렌즈의 진행 방향을 반대로 하여 다시 상기 제1 위치(DS1)에 이동시킨 후(단계 S605),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607). 이 경우, 당연히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현재의 진행 방향 즉, 정방향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정한다.
역 위치(DSb)에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하였으면(도 8의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현재의 진행 방향 즉, 역방향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현재의 진행 방향으로서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설정 거리의 위치(DSp)까지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DS2)를 찾는다(단계들 S609 및 S611).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2 위치(DS2)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한다(단계들 S613). 즉, 포커스 렌즈는 상기 설정 거리의 위치(DSp)에서 상기 제2 위치(DS2)로 이동한다.
다음에,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설정 주기가 경과된 후에 상기 단계들 S601 내지 S613을 다시 수행한다(단계들 S615 및 S617).
도 9는 도 1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보여준다. 도 1,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DSs)에서 포커스 렌즈를 제1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DS1)를 찾는다(단계들 S901 및 S903).
여기에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상기 제1 위치(DS1)는 디시(DC) 계수가 최소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인 스폿(spot) 환경인 경우, 입력 영상 데이터의 디시(DC) 계수 즉, 평균 휘도가 최소인 위치는 실제의 정확한 포커스 위치에 근접될 확률이 높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1 위치(DS1)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초로 증가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찾는다(단계들 S905 및 S907).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1 위치(DS1)에서 포커스 렌즈의 진행 방향을 반대로 하여 역 위치(DSb)에 이동시킨 후(단계 S905),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907).
역 위치(DSb)에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하지 않았으면(도 7의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역 위치(DSb)에서 포커스 렌즈의 진행 방향을 반대로 하여 다시 상기 제1 위치(DS1)에 이동시킨 후(단계 S905),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907). 이 경우, 당연히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현재의 진행 방향 즉, 정방향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정한다.
역 위치(DSb)에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하였으면(도 8의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현재의 진행 방향 즉, 역방향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현재의 진행 방향으로서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설정 거리의 위치(DSp)까지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DS2)를 찾는다(단계들 S909 및 S911).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2 위치(DS2)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한다(단계들 S913). 즉, 포커스 렌즈는 상기 설정 거리의 위치(DSp)에서 상기 제2 위치(DS2)로 이동한다.
다음에, 설정 주기가 경과하면(단계 S915),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스폿(spot) 환경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17). 상기한 바와 같이, 스폿(spot) 환경이란,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폿(spot) 환경의 판단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다.
상기 단계 S917에서 스폿(spot) 환경으로 판단된 경우, 설정 주기가 경과할 때마다 상기 단계들 S901 내지 S913이 수행된다. 상기 단계 S917에서 스폿(spot) 환경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설정 주기가 경과할 때마다 아래의 단계들 S919 내지 S923이 수행된다. 즉, 스폿(spot) 환경에서는 디시(DC) 계수와 에이시(AC) 계수들을 모두 사용하고, 스폿(spot) 환경이 아닌 경우에 에이시(AC) 계수들만을 사용한다.
단계들 S919 및 S921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3 위치를 찾는다. 여기에서, 모든 에이시(AC) 계수들이 합산될 수도 있지만,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에이시(AC) 계수들만이 합산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3 위치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한다(단계 S923).
상기 모든 단계들은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92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사용하는 촬영 장치(1)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10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0의 촬영 장치(1)가 도 1의 촬영 장치(1)에 대하여 갖는 유일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즉, 도 1의 촬영 장치(1)에서는 광전 변환부(OEC)의 모터 대신에 포커스 모터(Mf)가 채용되었지만, 도 10의 촬영 장치(1)에서는 포커스 모터 대신에 광전 변환부(OEC)의 모터(Ms)가 채용된다.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광전 변환부(OEC)의 구동 모터(Ms)가 채용된 촬영 장치(1)의 경우, 광학계(OPS) 내의 포커스 렌즈가 고정된 상태에서 광전 변환부(OEC)가 이동하면서 최대 포커스 값을 발생시키는 위치가 찾아진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교체되면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보여준다. 도 3, 10 및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광전 변환부(OEC)의 현재 위치에서 광전 변환부(OEC)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S0 ,0)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를 찾는다(단계들 S1101 및 S1103).
즉, 단계들 S1101 및 S1103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광전 변환부(OEC)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에 의한 디시(DC) 계수(S0 ,0)가 증가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103에서 디시(DC) 계수(S0 ,0)가 증가한다고 판단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단계 S1105 및 그 이후의 단계들을 계속 수행한다.
여기에서, 디시(DC) 계수(S0 ,0)가 최초로 증가하는 상기 제1 위치는 디시(DC) 계수(S0 ,0)가 최소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인 스폿(spot) 환경인 경우, 입력 영상 데이터의 디시(DC) 계수(S0 ,0) 즉, 평균 휘도가 최소인 위치는 실제의 정확한 포커스 위치에 근접될 확률이 높다.
단계들 S1105 및 S1107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광전 변환부(OEC)의 현재 위치인 제1 위치에서 광전 변환부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S0 ,1 내지 S7 ,7)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를 찾는다. 여기에서, 모든 에이시(AC) 계수들(S0 ,1 내지 S7 ,7)이 합산될 수도 있지만,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에이시(AC) 계수들만이 합산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2 위치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한다(단계 S1109).
다음에,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설정 주기가 경과된 후에 상기 단계들 S1101 내지 S1109를 다시 수행한다(단계들 S1111 및 S1113).
도 12는 도 10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보여준다. 도 7, 8, 10, 및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자동 포커싱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광전 변환부(OEC)의 현재 위치(DSs)에서 광전 변환부(OEC)를 제1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DS1)를 찾는다(단계들 S1201 및 S1203).
여기에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상기 제1 위치는 디시(DC) 계수가 최소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인 스폿(spot) 환경인 경우, 입력 영상 데이터의 디시(DC) 계수 즉, 평균 휘도가 최소인 위치는 실제의 정확한 포커스 위치에 근접될 확률이 높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1 위치(DS1)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초로 증가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찾는다(단계들 S1205 및 S1207).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1 위치(DS1)에서 광전 변환부(OEC)의 진행 방향을 반대로 하여 역 위치(DSb)에 이동시킨 후(단계 S1205),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207).
역 위치(DSb)에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하지 않았으면(도 7의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역 위치(DSb)에서 광전 변환부(OEC)의 진행 방향을 반대로 하여 다시 상기 제1 위치(DS1)에 이동시킨 후(단계 S1205),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1207). 이 경우, 당연히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현재의 진행 방향 즉, 정방향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정한다.
역 위치(DSb)에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증가하였으면(도 8의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현재의 진행 방향 즉, 역방향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현재의 진행 방향으로서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광전 변환부(OEC)를 설정 거리의 위치(DSp)까지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DS2)를 찾는다(단계들 S1209 및 S1211).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107)는 상기 제2 위치(DS2)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한다(단계들 S1213). 즉, 광전 변환부(OEC)는 상기 설정 거리의 위치(DSp)에서 상기 제2 위치(DS2)로 이동한다.
다음에,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설정 주기가 경과된 후에 상기 단계들 S1201 내지 S1213을 다시 수행한다(단계들 S1215 및 S1217).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의하면,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가 찾아진다. 또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 또는 상기 광전 변환부가 이동되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가 찾아진다. 그리고 상기 제2 위치가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된다.
여기에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상기 제1 위치는 디시(DC) 계수가 최소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인 스폿(spot) 환경인 경우, 입력 영상 데이터의 평균 휘도가 최소인 위치는 실제의 정확한 포커스 위치에 근접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의하면,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이용되어, 포커스 렌즈 또는 광전 변환부가 실제 정확한 포커스 위치에 빠르게 근접할 수 있다. 또한, 이 근접 위치인 상기 제1 위치를 기점으로 에이시(AC) 계수들이 이용되어, 포커스 렌즈 또는 광전 변환부가 실제 정확한 포커스 위치에 빠르게 도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의하면,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인 스폿(spot) 환경인 경우에도, 실제의 정확한 포커스 위치가 빠르게 찾아질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촬영 장치의 수동 포커싱 과정에서도 보조적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 : 촬영 장치, 12 : 인터페이스부,
OPS : 광학계, OEC : 광전 변환부,
101 : 디지털 신호 발생부, 102 : 타이밍 회로,
107 : 제어부, 108 : 비디오-신호 발생부,
110 : 구동부, 113 : 마이크로-컴퓨터,
115 : 조명부, Mf : 포커스 모터,
Mz : 줌 모터, S0 ,0 : 디시(DC) 계수,
S0 ,1 내지 S7 ,7 : 에이시(AC) 계수들,
f1 내지 f4 : 프레임들, Cdc : 디시(DC) 계수,
Sac :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
DS : 포커스 렌즈의 위치 값, Ms : 광전 변환부의 모터.

Claims (6)

  1.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최종 포커스 위치를 주기적으로 찾는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를 찾음;
    (b)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를 찾음; 및
    (c) 상기 제2 위치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함;을 포함한, 자동 포커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인 스폿(spot) 환경인지의 여부를 판단함;
    (e) 상기 스폿(spot) 환경인 경우, 상기 단계들 (a), (b), 및 (c)를 수행함; 및
    (f) 상기 스폿(spot) 환경이 아닌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3 위치를 찾고, 상기 제3 위치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함;을 더 포함한, 자동 포커싱 방법.
  3.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최종 포커스 위치를 주기적으로 찾는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를 찾음;
    (b) 상기 제1 위치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초로 증가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찾음;
    (c)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를 찾음; 및
    (d) 상기 제2 위치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함;을 포함한, 자동 포커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e) 조명등으로부터의 빛이 피사체에 집중되는 환경인 스폿(spot) 환경인지의 여부를 판단함;
    (f) 상기 스폿(spot) 환경인 경우, 상기 단계들 (a) 내지 (d)를 수행함; 및
    (g) 상기 스폿(spot) 환경이 아닌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3 위치를 찾고, 상기 제3 위치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함;을 더 포함한, 자동 포커싱 방법.
  5. 광전 변환부를 이동시키면서 최종 포커스 위치를 주기적으로 찾는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전 변환부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광전 변환부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를 찾음;
    (b)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광전 변환부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를 찾음; 및
    (c) 상기 제2 위치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함;을 포함한, 자동 포커싱 방법.
  6. 광전 변환부를 이동시키면서 최종 포커스 위치를 주기적으로 찾는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전 변환부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광전 변환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디시(DC) 계수가 최초로 증가하는 위치인 제1 위치를 찾음;
    (b) 상기 제1 위치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초로 증가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찾음;
    (c)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광전 변환부를 이동시키면서, 입력 영상 데이터의 2차원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 에이시(AC) 계수들의 합산 결과 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2 위치를 찾음; 및
    (d) 상기 제2 위치를 최종 포커스 위치로서 적용함;을 포함한, 자동 포커싱 방법.
KR1020140069577A 2014-06-09 2014-06-09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 KR102095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577A KR102095557B1 (ko) 2014-06-09 2014-06-09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577A KR102095557B1 (ko) 2014-06-09 2014-06-09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061A KR20150141061A (ko) 2015-12-17
KR102095557B1 true KR102095557B1 (ko) 2020-03-31

Family

ID=5508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577A KR102095557B1 (ko) 2014-06-09 2014-06-09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865B1 (ko) * 2017-06-28 202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9419B2 (ja) * 1993-12-27 2002-04-3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
KR200432378Y1 (ko) 2006-08-29 2006-12-04 오주윤 노트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061A (ko)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3889B1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CN103546682A (zh) 摄像机装置和图像处理方法
JP201611494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6154080B2 (ja) 撮影装置、撮影装置本体、及びレンズ鏡筒
KR102095557B1 (ko)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
JP2016057463A (ja) 焦点調節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215475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51683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0476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884579B2 (ja) 撮像装置と表示処理方法
KR101082048B1 (ko)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탐색 범위 설정 방법
JP2013118472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2415063B1 (ko) 자동 포커싱 방법 및 카메라
JP667208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82469B1 (ko) 줌 트래킹 방법
KR102244083B1 (ko) 촬영 장치의 자동 포커싱 방법
KR102565418B1 (ko) 카메라의 자동 노광 방법
JP648987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0086216A (ja) 撮像制御装置、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プログラム
US9641741B2 (en) Focus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14094B1 (ko) 줌 트래킹 방법 및 줌 카메라
JP6900228B2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32731B2 (ja)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7187589A (ja) 焦点調節装置およびその方法、撮像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8006933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