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642B1 -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642B1
KR102094642B1 KR1020190100126A KR20190100126A KR102094642B1 KR 102094642 B1 KR102094642 B1 KR 102094642B1 KR 1020190100126 A KR1020190100126 A KR 1020190100126A KR 20190100126 A KR20190100126 A KR 20190100126A KR 102094642 B1 KR102094642 B1 KR 102094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oe
base member
concrete block
block segment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감
Original Assignee
박진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감 filed Critical 박진감
Priority to KR102019010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식 공법에 따른 수직구 시공시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크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11)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원형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중,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하부에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하부를 감싸는 베이스부재(100)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부재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강재 슈(200)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shoe for constructing vertical hall}
본 발명은 수직구 시공시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직구는 터파기 후 외곽부에 가설 흙막이벽을 설치하고, 가설 흙막이벽에 걸리는 하중을 버팀대로 지탱하면서 지하 하부쪽에서부터 상부측으로 구축해 올라가는 전통적인 공법을 통해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수시로 드나드는 공사차량의 정차로 인해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인근 주변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대도시와 같이 건물이 부지경계선 가까이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공법을 적용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고, 가설흙막이 벽 설치시에 함께 설치되는 버팀대는 구조물 공사로 인한 공정의 복잡성과 작업의 위험성과 폐기물의 발생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토지 이용효율을 높이면서 공기가 빠르고 경제적이며, 구조적으로 안전한 신개념의 수직구 시공방법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이들 신공법들의 일예로서, 하향식 공법(Top-Down Method)이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하향식 공법은 수직구 공사 전 미리 양생된 호 형상을 이루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11)들을 연결하여 원형으로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를 굴착된 수직구 내부에 차례로 삽입하여 적층시킴으로써 수직구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하향식 공법은 수직구 외부에서 미리 양생된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를 적층하여 수직구의 외벽을 형성하므로 거푸집의 설치와 철거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시간을 절약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의 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의 하부에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강재 슈(20)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강재 슈(20)는 고가의 장비이기 때문에 시공이 완료된 이후 철거하여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철거 및 회수가 어려워 매립되는 형태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고가의 장비를 1회 사용 후 매립함으로서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 및 자원보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근래에는 수직구 시공 완료 후 강재 슈(20)를 철거하여 회수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강재 슈(20)는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회수하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가의 강재 슈(20) 대신 저가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슈를 적용하고 철거 작업을 생략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로 제작된 슈는 강재 슈(20)에 비하여 강도가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시공과정에서 쉽게 손상된다. 이 경우 원활한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합성수지로 제작된 슈는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없다.
또한, 하향식 공법에 의한 수직구 시공 중 강재 슈(20)가 불량지반에 도달하여 하향식 공법 적용이 어려운 경우, 강재 슈(20)를 분리하고 수직구 하부 지반을 굴착한 후 블록 세그먼트(10)를 하단으로부터 조립 설치하는 언더핀 공법(under pin method)을 적용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강재 슈(20)는 블록 세그먼트(10)로부터 분리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어, 시공 비용 및 시공 효율 등의 경제적인 측면에서 하향식 공법의 경쟁력 저하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는 굴착면의 토질 강도가 불균일할 경우, 토질이 무른 곳에 설치된 강재 슈(20)는 깊이 하강하게 되고 토질이 단단한 곳에 설치된 강재 슈(20)는 얕게 하강하게 되면서 수직구 내에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가 기울어지는 사고가 발생되면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를 정상적으로 적층할 수 없게 되므로 수직구 시공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KR 10-1914782 B1 KR 10-1440422 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로부터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향식 블록 세그먼트 수직구 시공법 및 언더핀 공법에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강재슈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반조건이 불량하여 과다 침하 발생이 예상되는 구간에서의 침설에 대한 지지력을 유지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수직구의 정밀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크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원형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 중,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에 구비되는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하부에는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하부를 감싸는 베이스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부재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강재 슈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하부를 감싸는 상단끼움부와 상기 상단끼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강재 슈의 상단에 지지되는 하단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와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가 볼트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상단끼움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볼트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에는 상기 볼트통과공에 대응되는 인서트 너트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강재 슈는 베이스부재의 하단에 볼트 결합되는 상부결합부와, 상기 상부결합부의 후단에 형성된 수직지지부와, 상기 상부결합부의 양측단에 상기 수직지지부에 밀착되면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벽면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벽면에는 복수의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강재 슈는 상기 연결공을 통해 인접한 강재슈와 볼트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결합부의 전단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얼라인 턱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단을 따라 상기 얼라인 턱에 대응되게 형성된 얼라인 홈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결합부 저면에는 실린더 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는 상기 실린더 유닛으로부터 회동력을 부여받아 상하 회동하는 회동지지면이 힌지 결합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하부를 착탈가능하게 감싸는 상부끼움부와, 상기 상부끼움부의 하부를 착탈가능하게 감싸는 하부끼움부와, 상기 상부끼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강재 슈의 상단에 지지되는 하부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끼움부의 하부 내측에는 상부끼움부의 강성을 보강시켜 주는 보강부가 착탈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하부에 베이스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부에 상기 베이스부재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강재 슈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로부터 강재 슈를 용이하게 철거시켜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강재 슈에 분절 구조를 채택하여 수직구 시공을 위해 강재 슈의 현장 운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강재 슈의 철거 및 회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강재 슈에 연결된 자동 제어식 유압 실린더 유닛을 통해 상하 회동하는 회동지지면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지지면의 회동각도에 따라 강재 슈의 침하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굴착면의 지반조건이 불량하여 일부 구역에서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과다 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적층된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들을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시공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로부터 베이스부재를 간편하게 탈부착하면서 하향식공법과 언더핀 공법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직구 시공 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하향식 공법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하향식 공법에 따른 수직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베이스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강재 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강재 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는 호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11)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원형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 중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와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에 구비되는 강재 슈(200)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의 하부에는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의 하부(12)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는 베이스부재(100)가 결합된다.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의 하부(12)는 베이스부재(100)로 인한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베이스부재(100)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의 하부를 감싸는 상단끼움부(110)와, 상기 상단끼움부(110)의 하부에서 상기 강재 슈(200)의 상단에 지지되는 하단지지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상단끼움부(110)는 "ㄷ"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링 또는 아크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 하부의 전면과 하면과 후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단지지부(120)는 링 또는 아크 형상의 부재로서, 상단끼움부(110)의 저면 후단을 따라 일정높이로 형성된 제1수직지지편(121)과, 상기 강재 슈(200)의 상단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강재 슈(200)의 상단에 지지되는 수평지지편(122)과, 상기 수평지지편(122)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직지지편(121)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끼움부(11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수직지지편(1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수직지지편(123)의 후단은 제1수직지지편(121)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상단끼움부(110)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볼트통과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에는 상기 볼트통과공(111)에 대응되는 인서트 너트(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로써 매우 용이하고 견고하게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하단에는 강재 슈(200)가 결합된다.
상기 강재 슈(200)는 베이스부재(100)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하단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강재 슈(200)는 베이스부재(100)의 수평지지편(122)의 저면에 볼트 결합되는 상부결합부(210)와, 상기 상부결합부(210)의 후단에 형성된 수직지지부(220)와, 상기 상부결합부(210)의 양측단에 상기 수직지지부(220)에 밀착되면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상기 수직지지부(220)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벽면(2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강재 슈(200)의 상부결합부(210)와 이에 대응되는 베이스부재(100)의 하단지지부(120)의 수평지지편(122)에는 각각 볼트 결합을 위한 볼트통과공(211,1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강재 슈(200)는 베이스부재(100)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매우 쉽고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벽면(230)에는 복수의 연결공(2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강재 슈(200)들은 연결벽면(230)의 연결공(231)을 통해 볼트와 너트를 체결시켜 매우 쉽고 간편하게 인접한 강재 슈(200)들과 연속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강재 슈(200)의 분절 구조를 통해 베이스부재(100)와 강재 슈(200)의 제작 후 시공 현장으로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고, 수직구의 시공 완료 후 강재 슈(200)의 철거 및 회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결합부(210)의 전단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얼라인 턱(2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하단지지부(120)의 수평지지편(122)을 따라 상기 얼라인 턱(212)에 대응되는 얼라인 홈(1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강재 슈(200)는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베이스부재(100)에 결합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직구가 시공된다.
먼저, 수직구를 시공할 대상지반이 굴착기로 예비 굴착되면, 강재 슈들이 상기 예비 굴착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을 이루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강재 슈(200)의 상부로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가 올려진다. 이때, 예비굴착지의 직경이 클 경우에는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의 중량이 상당하여 운반에 어려움이 뒤따르므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는 복수로 분할 제작된 상태에서 강재 슈(200)에 올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는 하부에 베이스부재(100)가 선조립된 상태로서,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하단지지부(120)의 수평지지편(122)에 형성된 얼라인 홈(125)이 강재 슈(200)의 상부결합부(210)에 형성된 얼라인 턱(212)에 맞물리면서 상기 수직지지편(122)이 상부결합부(210)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매우 용이하게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를 강재 슈(200)에 정확하게 올려 놓을 수 있게 된다.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가 강재 슈(200)에 올려지면, 베이스부재(100)의 하단지지부(120)의 수평지지편(122)에 형성된 볼트통과공(124)과 강재 슈(200)의 상부결합부(210)에 형성된 볼트통과공(211)으로 볼트가 끼워지고 너트가 체결된다. 그 결과 베이스부재(100)와 강재 슈(20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후, 굴착기가 일정깊이로 굴착을 진행하고,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의 상부에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가 올려져 서로 조립 결속된 후에 상부에서 상부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가 압입되면, 상기 압입력과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들의 자중에 의해 강재 슈(200)가 침하되면서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들이 굴착된 깊이만큼 하강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해 가면서 계획된 깊이까지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들이 하강하면 수직구의 시공은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강재 슈(200)는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가 마지막으로 하강하기 직전에 탈거되어 회수된다.
상기 강재 슈(200)는 각 강재 슈(200)들의 연결벽면(230)에 체결된 볼트와 너트가 분리된 다음 상부결합부(210)에 체결된 볼트와 너트가 분리됨으로써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탈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강재 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재 슈(200a)는 상기 상부결합부(210) 저면에 결합된 실린더 유닛(240)과, 상기 수직지지부(220)의 하단에 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50)과, 상기 경사면(250)의 상단에 상기 실린더 유닛(240)으로부터 회동력을 부여받아 상하 회동하도록 힌지결합된 회동지지면(26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면(250)과 회동지지면(260) 사이에는 제1힌지부(270)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유닛(240)과 회동지지면(260) 사이에는 제2힌지부(280)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강재슈(200a)는 수직보강지지대(2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보강지지대(290)는 상부결합부(210)와 수직지지부(220)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경사면(250)의 상부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250)의 강도를 보강시켜 준다.
실린더 유닛(240)은 강재슈(200a)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거나, 강재슈(200a)에 작용하는 지반반력(F)의 크기를 감지하여 회동지지면(260)의 회동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이 연결될 수 있으며, 강재슈(200a) 및 블록 세그먼트(10)로부터 작용하는 무게에 대응하여 회동지지면(260)의 회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유압식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린더 유닛(240)은 상부결합부(210)에 형성된 볼트통과공(211)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됨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재 슈(200a)는 상기 회동지지면(260)의 회동각도에 따라 침하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회동지지면(260)을 아래로 회동시키면 침하시 굴착면으로부터 지반반력(F)을 많이 받게 되므로 침하속도가 늦어지고, 회동지지면(260)을 위로 회동시키면 침하시 굴착면으로부터 지반반력(F)을 많이 적게 되므로 침하속도가 빨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굴착면의 연약지반에 설치된 강재 슈(200a)는 회동지지면(260)을 아래로 회동시켜 침하속도를 늦춰 과다 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하고, 상대적으로 단단한 지반에 설치된 강재 슈(200a)는 회동지지면(260)을 위로 회동시켜 침하속도가 빨라지도록 조절함으로써, 굴착면의 지반조건이 불량하여 토질강도가 불균일하더라도, 적층된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들은 기울어지는 사고 없이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기울어짐 방지 기능이 부여된 강재슈(200a)가 적용된 수직구 구조물에 언더핀 공법을 병행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직구 구조물의 시공시 결함 발생에 관한 대처 방안을 제공하고, 지반조건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세그먼트 수직구 공법의 시공 완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베이스부재(100a)는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의 하부를 착탈가능하게 감싸는 상부끼움부(130)와, 상기 상부끼움부(130)의 하부를 착탈가능하게 감싸는 하부끼움부(140)와, 상기 상부끼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강재 슈(200)의 상단에 지지되는 하부지지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끼움부(130)는 "H"단면을 가진 링 또는 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측으로는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 하부의 전면과 하면과 후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끼움부(130)와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는 볼트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끼움부(130)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볼트통과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에는 상기 볼트통과공(131)에 대응되는 인서트 너트(1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부끼움부(130)의 하부에는 상부끼움부(130)의 강성을 보강시켜 주는 링 또는 아크 형상의 사각 빔 형태로 이루어진 보강부(160)가 착탈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끼움부(130)의 하부는 상기 보강부(160)의 전면과 상면과 후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끼움부(130)와 보강부(160) 역시 볼트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끼움부(130)의 하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강부(160)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볼트통과공(132)이 형성되고, 보강부(160)에는 상기 볼트통과공(132)에 끼워진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161)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끼움부(140) 역시 상기 상부끼움부(130)의 하부에 볼트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끼움부(140)는 보강부(160)의 저면과 정면에 각각 볼트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부(150)는 상술한 하단지지부(120)와 그 구성 및 작용이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끼움부(130)를 통해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를 아래로 적층시키는 하향식 공법에 따른 수직구 시공을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의 자중 또는 압입기에 의한 외력에 의해 적층된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들이 하강하지 못하는 불량지반에 도달한 경우, 강재 슈(200)를 철거하고 불량지반을 굴착하고 보강 다음 최하단 콘크리트 블럭 세그먼트(10)의 하부에 고정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새로운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를 결합시키는 하향식 공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끼움부(130)에서 보강부(160) 및 하부끼움부(140)를 분리시키기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강재 슈(200)의 철거가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상부끼움부(130)의 하부에 새로운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를 다이렉트로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새로운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에는 보강부(160)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부끼움부(130)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통과공(132)에 대응되는 인서트 너트(1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끼움부(130)와 새로운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10)는 상기 볼트통과공(132)과 인서트 너트(13)를 통해 볼트로써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100a...베이스부재 110...상단끼움부
111...볼트통과공 120...하단지지부
125...얼라인 홈 130...상부끼움부
140...하부끼움부 150...하부지지부
160...보강부 200...강재 슈
210...상부결합부 212...얼라인 턱
220...수직지지부 230...연결벽면
231...연결공 240...실린더 유닛
250...경사면 260...회동지지면

Claims (8)

  1. 아크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원형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 중,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에 구비되는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하부에는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하부를 감싸는 베이스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부재는 "ㄷ" 형상의 상단끼움부와 상기 상단끼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강재 슈의 상단에 지지되는 하단지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와 최하단의 블록 세그먼트가 볼트를 통해 결합되도록 상기 상단끼움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볼트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에는 상기 볼트통과공에 대응되는 인서트 너트가 구비되며,
    상기 강재 슈는 베이스부재의 하단에 볼트 결합되는 상부결합부, 상기 상부결합부의 후단에 형성된 수직지지부 및 상기 상부결합부의 양측단에 상기 수직지지부에 밀착되면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세그먼트의 하부를 착탈가능하게 감싸는 상부끼움부, 상기 상부끼움부의 하부를 착탈가능하게 감싸는 하부끼움부 및 상기 상부끼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강재 슈의 상단에 지지되는 하부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부재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강재 슈들이 수직구 블록 세그먼트로부터 용이하게 철거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강재 슈의 상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볼트통과공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강재 슈가 결합되는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벽면에는 복수의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강재 슈는 상기 연결공을 통해 인접한 강재 슈와 볼트 결합되는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부의 전단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얼라인 턱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단을 따라 상기 얼라인 턱에 대응되게 형성된 얼라인 홈을 더 구비한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부의 저면에는 실린더 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는 상기 실린더 유닛으로부터 회동력을 부여받아 상하 회동하는 회동지지면이 힌지 결합된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끼움부의 하부 내측에는 상부끼움부의 강성을 보강시켜 주는 보강부가 착탈가능하게 삽입 고정된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
KR1020190100126A 2019-08-16 2019-08-16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 KR102094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26A KR102094642B1 (ko) 2019-08-16 2019-08-16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26A KR102094642B1 (ko) 2019-08-16 2019-08-16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642B1 true KR102094642B1 (ko) 2020-03-27

Family

ID=6995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126A KR102094642B1 (ko) 2019-08-16 2019-08-16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6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077A (ja) * 2001-05-30 2002-12-13 Morimotogumi:Kk 立坑用分割ピースおよび立坑構築方法並びに立坑用刃口リング
JP3776987B2 (ja) * 1996-08-09 2006-05-24 株式会社 シンキ・コーポレーション マンホール壁兼用筒状体を用いた立坑構築方法
JP3923129B2 (ja) * 1997-03-11 2007-05-30 Jfe建材株式会社 分割リングピースの連結方法。
KR101440422B1 (ko) 2013-05-21 2014-09-17 우경기술주식회사 탑다운 방식에 의한 지하 콘크리트 수직구조물 시공방법
KR101914782B1 (ko) 2018-07-02 2018-11-02 박진감 수직구용 콘크리트 블록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6987B2 (ja) * 1996-08-09 2006-05-24 株式会社 シンキ・コーポレーション マンホール壁兼用筒状体を用いた立坑構築方法
JP3923129B2 (ja) * 1997-03-11 2007-05-30 Jfe建材株式会社 分割リングピースの連結方法。
JP2002357077A (ja) * 2001-05-30 2002-12-13 Morimotogumi:Kk 立坑用分割ピースおよび立坑構築方法並びに立坑用刃口リング
KR101440422B1 (ko) 2013-05-21 2014-09-17 우경기술주식회사 탑다운 방식에 의한 지하 콘크리트 수직구조물 시공방법
KR101914782B1 (ko) 2018-07-02 2018-11-02 박진감 수직구용 콘크리트 블록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049B1 (ko) 맨홀 높이조절장치 및 높이조절방법을 사용한 맨홀보수공법
CN109610305A (zh) 旧桥墩柱组合式加固体系及施工方法
JP2007182741A (ja) アンダーピニングによる不同沈下基礎修正補強工法。
KR20080069740A (ko) 띠장용 홈메우기 장치
CN110593266B (zh) 一种重载通行条件下的基坑坡道加强支护结构施工方法
CN112554250A (zh) 一种桩基建筑物微型复合钢管桩托换纠倾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094642B1 (ko) 수직구 시공용 강재 슈의 연결구조
CN215057406U (zh) 一种矩形顶管斜向始发延伸结构
JP5457276B2 (ja) 地下躯体の構真柱先行逆打ち工法
CN102220763B (zh) 基坑支护结构的轮辐式斜内支撑下端的支承件及施工方法
CN115030527B (zh) 一种门式钢架厂房钢结构安装设备
KR100261775B1 (ko) 무지주역타설 거푸집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정착구, 커플러, 커넥터, 거푸집 지지틀 및 유압승강기
CN110656952A (zh) 盾构机刀盘检修孔及其施工方法
KR102146577B1 (ko) 현장 설치가 용이한 터널 지보재의 고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212477836U (zh) 一种后浇带封闭前柔性连接构造
US11015307B1 (en) Road penetration and excavation system
CN110295616B (zh) 一种沉井施工方法
CN112796783A (zh) 一种盾构先行通过暗挖隧道内管片拆除施工工法
CN111764421A (zh) 旋流井装配式沉井法施工方法
US201900783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 tilt wall construction
CN220927832U (en) Anchor rope reinforced structure
JP2595466B2 (ja) マンホール蓋枠の取り外し器具及び取り外し方法
KR101256311B1 (ko) 지하 심화공법
CN211081874U (zh) 盾构机刀盘检修孔
CN218668538U (zh) 一种组合式建筑模板支撑框架支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