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506B1 - 스팀 멸균기 - Google Patents

스팀 멸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506B1
KR102093506B1 KR1020180014002A KR20180014002A KR102093506B1 KR 102093506 B1 KR102093506 B1 KR 102093506B1 KR 1020180014002 A KR1020180014002 A KR 1020180014002A KR 20180014002 A KR20180014002 A KR 20180014002A KR 102093506 B1 KR102093506 B1 KR 10209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inlet
steam
supplied
air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634A (ko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에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에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에드텍
Priority to KR1020180014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5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3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는, 멸균대상물이 위치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멸균대상물을 멸균시키기 위한 스팀을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부;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이 부딪치도록 상기 내부공간 상의 상기 유입구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공간 상의 에어포켓 발생을 저감시키면서 순환되도록 하는 에어포켓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팀 멸균기{Steam sterilizer}
본 발명은 스팀 멸균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멸균대상물이 위치하는 내부공간 상의 에어포켓 발생을 저감시켜 멸균의 성능 및 효율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스팀 멸균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 분야에서 의료장비, 의료기자재 및 포장된 의약품을 최종 멸균처리 하는 멸균장치는 질병의 전염 예방 및 2차 감염 예방 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장치로, 멸균장치의 사용은 보편적이며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다.
종래에 의료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멸균장치는 멸균대상물을 멸균장치에 투입한 뒤 밀폐시키고 스팀을 주입한 후, 멸균장치 내부를 고압 및 고온 분위기로 조성하게 되면 고온의 스팀이 멸균대상물에 접촉함에 따라 멸균대상물이 소독 및 멸균이 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멸균장치는 멸균대상물이 위치하는 챔버를 포함하며, 챔버 내부로 스팀을 주입하게 되는데, 이렇게 챔버 내부로 주입된 스팀은 챔버 내부에서 순환되면서 분포하게 된다.
여기서, 멸균장치의 멸균 성능은 챔버 내부에서의 스팀 분포도 및 순환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멸균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팀이 챔버 내부에 골고루 분포가 되면서 순환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멸균장치는 스팀이 챔버 내부에서 분포되지 않는 사각지대인 에어포켓이 존재하게 되어 에어포켓 공간에 위치하는 멸균대상물은 멸균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에어포켓 발생이 최소화되는 멸균장치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멸균대상물이 위치하는 내부공간 상의 에어포켓 발생을 저감시켜 멸균의 성능 및 효율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스팀 멸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는, 멸균대상물이 위치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멸균대상물을 멸균시키기 위한 스팀을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부;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이 부딪치도록 상기 내부공간 상의 상기 유입구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공간 상의 에어포켓 발생을 저감시키면서 순환되도록 하는 에어포켓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의 상기 에어포켓저감부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 사이에 소정 크기의 분산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분산공간은,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스팀이 상기 에어포켓저감부에 부딪친 후, 상기 상측 및 상기 하측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 내의 상기 분산공간의 외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되, 좌측과 우측이 폐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스팀이 상기 에어포켓저감부에 부딪친 후 상기 좌측과 상기 우측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 내의 상기 분산공간의 외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의 상기 에어포켓저감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스팀이 부딪치는 전방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좌측판 및 우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사이 거리가 감소하여, 상기 분산공간으로부터상측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 양이 상기 분산공간으로부터 하측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 양보다 많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는, 상기 분산공간으로부터 상기 분산공간의 외측으로 공급되기 위한 상기 개방된 상측의 경로의 수가 상기 분산공간으로부터 상기 분산공간의 외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상기 개방된 하측의 경로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의 상기 에어포켓저감부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 사이에 소정 크기의 분산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스팀이 상기 에어포켓저감부에 부딪친 후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분산공간에 배치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의 상기 구획부는, 상기 개방된 상측 공간 중 일부 공간을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스팀이 상기 에어포켓저감부에 부딪친 후 상기 분산공간으로부터 상기 분산공간의 외측으로 공급될 수 없도록 하는 공간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의 상기 에어포켓저감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스팀이 부딪치는 전방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좌측판 및 우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전방판 및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되, 상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너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의 상기 구획부는, 좌측 격벽 및 우측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격벽 및 상기 우측 격벽은, 하측단에서 서로 연결되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사이 거리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멸균기에 의하면, 멸균대상물이 위치하는 내부공간 상의 에어포켓 발생을 저감시켜 멸균의 성능 및 효율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팀 공급 초기 시 발생될 수 있는 물방울 맺힘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에 대한 내부구성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에 제공되는 에어포켓저감부및 구획부에 의해 스팀이 이동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에 대한 내부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에 제공되는 에어포켓저감부및 구획부에 의해 스팀이 이동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100)는 고온의 스팀이 멸균대상물에 접촉함에 따라 멸균대상물이 소독되도록 하는 장치로, 본체부(110), 스팀공급부(120) 및 에어포켓저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멸균대상물은 주사기, 주사약 앰플, 연고 튜브 및 약품통 등의 의료기재 및 의료장비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독 및 멸균이 필요한 다양한 기구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멸균대상물이 위치하기 위한 내부공간(S1)을 제공하는 일종의 챔버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적어도 하나의 일면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멸균대상물의 멸균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120)는 상기 멸균대상물을 멸균시키기 위한 스팀을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된 유입구(I)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S1)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고온의 스팀을 상기 내부공간(S1)으로 공급하여 상기 공급된 스팀이 상기 내부공간(S1) 내에서 순환되면서 상기 멸균대상물을 소독 및 멸균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에어포켓저감부(130)는 상기 유입구(I)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이 부딪치도록 상기 내부공간(S1) 상의 상기 유입구(I)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공간(S1) 상의 에어포켓 발생을 저감시키면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포켓이라 함은 상기 내부공간(S1) 내에서 상기 스팀이 순환되지 않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포켓이 발생되면 상기 에어포켓에 위치하는 멸균대상물은 소독 및 멸균 처리가 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S1) 내에서 에어포켓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멸균의 성능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며, 본 발명에서는 에어포켓저감부(130)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S1) 내에서의 에어포켓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에어포켓저감부(130)는 상기 유입구(I)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 사이에 소정 크기의 분산공간(S2)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산공간(S2)은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어 상기 유입구(I)를 통해 공급된 스팀이 상기 에어포켓저감부(130)에 부딪친 후, 상기 상측 및 상기 하측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S1) 내의 상기 분산공간(S2)의 외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분산공간(S2)의 좌측과 우측은 상기 상측과 상기 하측과는 달리 폐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유입구(I)를 통해 공급된 스팀은 상기 에어포켓저감부(130)에 부딪친 후 상기 좌측과 상기 우측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S1) 내의 상기 분산공간(S2)의 외측으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에어포켓저감부(13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에어포켓저감부(130)는 상기 유입구(I)를 통해 공급된 스팀이 부딪치는 전방판(132), 상기 유입구(I)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좌측판(134) 및 우측판(1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판(134) 및 상기 우측판(136)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사이 거리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분산공간(S2)으로부터 상측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 양이 상기 분산공간(S2)으로부터 하측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 양보다 많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산공간(S2)으로부터 하측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 양이 상기 분산공간(S2)으로부터 상측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 양보다 적은 이유는, 고온의 스팀이 유입구(I)를 통해 내부공간(S1)으로 공급되는 초기 상황과 관련이 있다.
즉, 고온의 스팀이 유입구(I)를 통해 내부공간(S1)으로 공급되는 초기에는 고온의 스팀이 내부공간(S1)의 저면에 물방울로 맺히는 문제가 발생되게 되며, 이 문제는 멸균대상물의 멸균 처리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고온의 스팀에 의해 물방울이 맺히는 정도를 최소화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산공간(S2)으로부터 하측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 양이 상기 분산공간(S2)으로부터 상측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 양보다 적게 함으로써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서는 좌측판(134) 및 우측판(136) 사이의 거리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감소(상기 분산공간(S2)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구현)하도록 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좌측판(134) 및 상기 우측판(136)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정도가 작아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분산공간(S2)으로부터 하측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 양이 상기 분산공간(S2)으로부터 상측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 양보다 효과적으로 적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멸균기(100)는 유입구(I)를 통해 공급된 스팀이 에어포켓저감부(130)에 부딪친 후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분산공간(S2)에 배치되는 구획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40)는 상기 분산공간(S2)으로부터 상기 분산공간(S2)의 외측으로 공급되기 위한 개방된 상측의 경로의 수를 상기 분산공간(S2)으로부터 상기 분산공간(S2)의 외측으로 공급되기 위한 개방된 하측의 경로의 수보다 많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산공간(S2)으로부터 상기 분산공간(S2)의 외측으로 공급되기 위한 개방된 상측의 경로의 수는 2개 이고, 상기 분산공간(S2)으로부터 상기 분산공간(S2)의 외측으로 공급되기 위한 개방된 하측의 경로의 수는 1개 일 수 있다.
상기 구획부(140)는 상기 개방된 상측 공간 중 일부 공간을 상기 유입구(I)를 통해 공급된 스팀이 상기 에어포켓저감부(130)에 부딪친 후 상기 분산공간(S2)으로부터 상기 분산공간(S2)의 외측으로 공급될 수 없도록 하는 공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40)는 에어포켓저감부(130)의 전방판(132) 및 상기 유입구(I)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너비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부(140)는 좌측 격벽(142) 및 우측 격벽(1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격벽(142) 및 상기 우측 격벽(144)은 하측단에서 서로 연결되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사이 거리가 증가하도록 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구획부(140)는 반드시 "V"자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 형상 또는 내부가 가득찬 "▼"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멸균기(100)는 유입구(I)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이 전방판(132)에 부딪치게 되고, 그 후에는 경로가 변경되어 상측 방향으로는 복수의 갈래(예를 들어, "V"자의 경로)로 갈라지게 되며, 하측 방향으로는 단일 경로로 진행되게 된다.
따라서, 고온의 스팀은 내부공간(S1) 내에서 골고루 분포되면서 순환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S1)의 모서리 부분에서 조차 에어포켓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멸균대상물의 멸균 처리 성능은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멸균기(100)는 내부공간(S1) 내의 스팀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내부공간(S1)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트랜스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기초하여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스팀 멸균기
110: 본체부
120: 스팀공급부
130: 에어포켓저감부
140: 구획부

Claims (8)

  1. 멸균대상물이 위치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멸균대상물을 멸균시키기 위한 고온의 스팀을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부;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이 부딪치도록 상기 내부공간 상의 상기 유입구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공간 상의 에어포켓 발생을 저감시키면서 순환되도록 하는 에어포켓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포켓저감부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 사이에 소정 크기의 분산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고온의 스팀이 부딪치는 전방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좌측판 및 우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은,
    상기 분산공간으로부터 상측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스팀 양이 상기 분산공간으로부터 하측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스팀 양보다 많도록 하여, 상기 고온의 스팀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초기 당시 상기 본체부의 내부 저면에 물방울로 맺히는 정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사이 거리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산공간은,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고온의 스팀이 상기 에어포켓저감부에 부딪친 후, 상기 상측 및 상기 하측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 내의 상기 분산공간의 외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되,
    좌측과 우측이 폐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고온의 스팀이 상기 에어포켓저감부에 부딪친 후 상기 좌측과 상기 우측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 내의 상기 분산공간의 외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멸균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공간으로부터 상기 분산공간의 외측으로 공급되기 위한 상기 개방된 상측의 경로의 수는,
    상기 분산공간으로부터 상기 분산공간의 외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상기 개방된 하측의 경로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멸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포켓저감부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 사이에 소정 크기의 분산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고온의 스팀이 상기 에어포켓저감부에 부딪친 후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분산공간에 배치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멸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개방된 상측 공간 중 일부 공간을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스팀이 상기 에어포켓저감부에 부딪친 후 상기 분산공간으로부터 상기 분산공간의 외측으로 공급될 수 없도록 하는 공간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멸균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포켓저감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스팀이 부딪치는 전방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좌측판 및 우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전방판 및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되, 상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너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멸균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좌측 격벽 및 우측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격벽 및 상기 우측 격벽은,
    하측단에서 서로 연결되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사이 거리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멸균기.
KR1020180014002A 2018-02-05 2018-02-05 스팀 멸균기 KR102093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02A KR102093506B1 (ko) 2018-02-05 2018-02-05 스팀 멸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02A KR102093506B1 (ko) 2018-02-05 2018-02-05 스팀 멸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34A KR20190094634A (ko) 2019-08-14
KR102093506B1 true KR102093506B1 (ko) 2020-03-25

Family

ID=6762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002A KR102093506B1 (ko) 2018-02-05 2018-02-05 스팀 멸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5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921357U (zh) 2014-06-09 2014-11-05 广东梅雁吉祥水电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消毒机
KR101817947B1 (ko) 2017-09-14 2018-02-22 (주)우정비에스씨 과산화수소 증기 멸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572A (ja) * 1993-07-27 1995-02-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チームノズル
KR19990034203U (ko) * 1998-01-16 1999-08-25 박종현 의료용 약품용기의 멸균장치
KR20090072373A (ko) * 2007-12-28 2009-07-0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비데용 스팀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921357U (zh) 2014-06-09 2014-11-05 广东梅雁吉祥水电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消毒机
KR101817947B1 (ko) 2017-09-14 2018-02-22 (주)우정비에스씨 과산화수소 증기 멸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34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3589B1 (en) Barrier isolation system
JP2009506814A (ja) 事前充填され、その後に高圧蒸気滅菌器で滅菌されるように構成した注射器
CA2677083A1 (en) Instrument container having multiple chambers with flow pathways therebetween
KR102093506B1 (ko) 스팀 멸균기
CN107496954A (zh) 一种杀菌消毒罐
JP5617440B2 (ja) 無菌作業装置
CN207384422U (zh) 一种新型内科用护理柜
BRPI0807562B1 (pt) dispositivo para suprir quantitativamente um líquido em um sistema de esterilização de plasma
KR101344147B1 (ko) Gmp 방사성 의약품 분주 시스템
CN106344944B (zh) 一种脉动灭菌设备
AU2016255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ntamination of a lumen device
US20190134683A1 (en) Safety Cabinet and Isolator
US20120258023A1 (en) Flash vapor generator and assembly comprising a flash vapor generator
JP2010115451A (ja) 除染装置、該除染装置における除染条件の決定方法、及び該除染装置における除染条件の管理方法。
CN104224327B (zh) 一种体温计存放架
KR102214207B1 (ko) 에어 이젝터를 이용한 선진공방식의 멸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CN219750394U (zh) 一种用于存放感染性标本瓶的存放箱
US20120034130A1 (en) Sterilization process with controlled cooling
CN106163376A (zh) 内窥镜清洗消毒机
KR101542793B1 (ko) 인젝션포트용 양면 보호캡
KR200297888Y1 (ko) 복합 멸균장치
CN214548148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医用更衣柜
CN217745113U (zh) 一种行李消毒机用雾化消毒装置
CN220877312U (zh) 对开门式消毒柜
CN106176117A (zh) 医院用于归集储存医药用品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