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464B1 -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를 도식적으로 생성할 목적으로 후속적으로 이용될 데이터의 세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를 도식적으로 생성할 목적으로 후속적으로 이용될 데이터의 세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464B1
KR102093464B1 KR1020157023820A KR20157023820A KR102093464B1 KR 102093464 B1 KR102093464 B1 KR 102093464B1 KR 1020157023820 A KR1020157023820 A KR 1020157023820A KR 20157023820 A KR20157023820 A KR 20157023820A KR 102093464 B1 KR102093464 B1 KR 102093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nnector
electrical
computer
conn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1004A (ko
Inventor
누만 주카리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50131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8Network design, e.g. design based on topological or interconnect aspects of utility systems, pip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or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6Drawing of charts or grap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16Cables, cable trees or wire harn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시스템, 예를 들어 자동차를 위한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를 도식적으로 생성(graphically generating)할 목적으로 후속적으로 이용될 데이터의 세트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방법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모델(model)의 컴퓨터로의 송신(E1)을 포함하는바, 상기 모델은, 상기 전기 시스템의 부분(part)들의 식별자(identifier)들의 목록, 및 각각의 부분 식별자에 대한, 생성될 전기 회로도 상의 상기 부분의 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회로도의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E2)하고, 커넥터들과 전기 회로도 부분들 사이를 연관(E3)시킨 후에, 상기 컴퓨터는 생성될 전기 회로도의 토폴로지(topology)를 결정(E4)하는바, 상기 토폴로지는 연결 요소(connecting element)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연결 요소는 적어도 2개의 커넥터들을 연결시킨다.

Description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를 도식적으로 생성할 목적으로 후속적으로 이용될 데이터의 세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rocessing a set of data to be used subsequently with a view to graphically generating an electrical diagram of an electrical system}
본 발명은 전기 회로도들의 생성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대상물은 전기 회로도의 플로팅(plotting)을 수행할 목적으로 상기 플로팅에 선행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의도된 방법이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차량에 설치된 다양한 전기 시스템들의 전기 회로도들을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전기 회로도들은 상기 차량에 대한 작업자(operator)의 개입을 가능하게 하게끔 애프터서비스의 관점에서 이용되도록 의도된다. 그 개입 시간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그 회로도는 상기 개입을 담당하는 작업자에게, 분명하고 인체공학적이어야만 한다.
차량들 및 연관된 전기 시스템들의 유형들의 개수가 상당하므로, 이 회로도들의 도식적 생성(graphical generation)의 국면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거된 단점을 치유하는 해결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전기 시스템, 예를 들어 자동차를 위한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의 도식적 생성을 목적으로 후속적(subsequently)으로 이용되도록 의도되는 데이터의 세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통하여 다루어지는바, 상기 처리 방법은:
-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나온 모델(model)을 컴퓨터에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모델은, 상기 전기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의 식별자들의 목록, 및 각각의 구성요소 식별자에 대한, 생성될 전기 회로도 상의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를 포함하는, 단계,
-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생성될 전기 회로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구성은 복수개의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단계,
-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커넥터들의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각각의 구성요소와 연관시키는 단계,
-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생성될 전기 회로도의 토폴로지(topology)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토폴로지는 연계 요소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연계 요소는 적어도 2개의 커넥터들을 연계(link)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된 구성은 상기 전기 회로도의 복수개의 구성들 중에서 선택된다.
일 특정 실시례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각각의 구성요소와 연관시키는 상기 단계는, 결정된 토폴로지 및 제공된 모델로부터 나온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커넥터들의 위치를 선정(position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연계 요소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커넥터들의 위치선정은 구성요소의 레벨에서 상기 연계 요소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수행된다.
다른 일 예시에 따르면, 제1 연계 요소는 제1 구성요소의 제1 커넥터 및 제2 구성요소의 제2 커넥터와 연관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1 구성요소의 레벨에서의 위치선정은,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1 구성요소로의 제1 부착지점(point of attachment)과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제2 구성요소로의 제2 부착지점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수행된다.
일 특정 실시 모드(particular mode of execution)에 따르면, 제1 가중치의 제1 연계 요소는 제1 구성요소의 제1 커넥터 및 제2 구성요소의 제2 커넥터와 연관되며, 제2 가중치의 제2 연계 요소는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3 구성요소의 제3 커넥터와 연관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위치선정은 가중치가 최대인 연계 요소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처리 방법은 각각의 연계 요소에 가중치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할당된 가중치는 상기 연계 요소에 연관된 입출력들의 개수와 같고, 각각의 연계 요소에 대한 입출력들의 개수는 상기 전기 회로도의 결정된 토폴로지 안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회로도의 2개의 연계 요소들은 지선(branch)을 함께 공유하고, 상기 처리 방법은, 적어도 3개의 대응되는 커넥터들을 연관된 지선들을 거쳐 연계시키도록 의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union)의 위치를 선정(position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접합부에 연관된 지선들의 길이를 감소시키도록 위치선정된다.
본 발명은 전기 회로도의 도식적 생성의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한바, 그 전기 회로도 도식적 생성 방법은:
- 설명된 것들 중 하나에 따른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
- 상기 처리 방법으로부터 나온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 데이터를 묘화 장치(drawing device), 특히 종이 또는 디지털 인쇄를 위한 장치에 이미지 형태 또는 벡터 형태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를 도식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기도 한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때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장점들 및 특징들은, 비한정적 예시들로서 주어지고 첨부된 도면들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례들에 따른 설명으로부터 더 분명하게 드러날 것인바, 그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모드에 따른 처리 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 도 2 내지 6은 상기 처리 방법의 다양한 단계들에서의 디지털 데이터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며,
- 도 7에는 상기 처리 방법의 단계들의 일 특정 실시 모드가 도시된다.
본 설명서에서, "전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전기적 기능, 특히 차량의 전기적 기능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시스템을 뜻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전기 시스템은 비한정적 예시로서 다음의 목록: 공기조화, 전기식 창문(electric window), 디스플레이, 전기적 주차 브레이크 등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시스템은, 입력-출력(inputs-outputs)으로도 불리는 입출력(ins-outs)의 형태로 전기 연결들의 목록에 연관된 복수개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그 입출력은 커넥터들을 통하여 상기 구성요소들의 상호연결(interconnections)을 한정한다. 전형적으로 구성요소는 관련 시스템 안에서 미리 정해진 기능을 발생시킬 수 있는바, 이는 컴퓨터, 센서 등등을 수반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들은, 상기 구성요소들에 연관되도록 의도되는 커넥터들의 정의 및 상기 커넥터들을 상호연계(interlink)시키도록 의도되는 연계 요소들의 정의에 한몫할 수 있다. 사실, 상기 입출력들은, 전기 시스템 상에서 이용되는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결들, 특히 상기 커넥터들 및 접합부(union)들을 통한 연결들만을 기술한다. 자동차 분야가 예시로서 주어졌지만, 이런 문제사항(problematic issue)은 도식적으로 생성될 전기 회로도의 어느 유형에서도 동일한바, 특히 전기기기들(electrical cabinets), 가전 제품들(electro-domestic appliances) 등등에 관한 전기 회로도들에 대해서 그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를 위한 전기 시스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의 도식적 생성을 위하여 후속적으로 이용되도록 의도되는 데이터의 세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나온 모델이 컴퓨터에 송신되는 단계(E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델{템플릿(template)}은 전기 시스템, 예를 들어 자동차를 위한 전기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의 식별자들의 목록, 및 각각의 구성요소 식별자에 대한, 생성될 전기 회로도 상의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를 포함한다. 사실 여기에서 송신된 것은 라이브러리(library)라고도 불리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들인바, 그 레코드들의 필드(field)들은 구성요소 식별자에 대응되는 객체(object), 및 위치선정 좌표(positioning coordinates)를 포함하는 객체를 각각 나타낸다. 이 단계에서 이 레코드들은 각각의 전기적 기능을 확실히 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세트로써 그 문제의 전기적 기능을 정의할 수 있게 한다(예를 들어 에어백 시스템과 연관된 구성요소들의 목록 또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목록이 있을 것임). 이 위치선정 좌표는 관련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가 플로팅되어야 할 페이지(page)에 대응되는 기준점(benchmark)과 연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델은, 관련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의 일부을 형성하는 식별자들 및 상기 전기 회로도의 페이지 상에서의 이 구성요소들의 위치들만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모델은, 상기 전기 시스템의 기능의 관리자(manager)의 동의(agreement) 및 확인(validation)을 가지고서 상기 라이브러리(library)의 관리자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방법은, 생성될 전기 회로도의 구성이 상기 컴퓨터에 의해 결정되는 단계(E2)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성은 복수개의 커넥터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회로도의 구성은, 관련 전기 시스템에 대한 커넥터들의 목록 및 그 커넥터들의 구성요소들과의 연관성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실, 상기 전기 시스템에 대하여 상기 구성요소들의 목록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안의 예비 처리(preprocessing)에 따른 입출력들의 목록 및 연관된 커넥터들로써 보충될 수 있다. 특정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다음 관계들에 따라 커넥터들의 식별자들을 구성요소들의 식별자들과 연관시키는 레코드들을 포함하는바, 상기 다음 관계들은: 주어진 커넥터 식별자가 단일의 구성요소 식별자와 연관됨, 구성요소 식별자가 하나 이상의 상이한 커넥터 식별자들과 연관될 수 있음이다. 바람직하게는, 결정되는 구성은 상기 전기 회로도의 복수개의 구성들 중에서 선택된다. 사실, 같은 성질의 2개의 전기 시스템들은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바, 즉, 동일한 구성요소들의 목록이지만 상이한 커넥터들의 목록 및/또는 상이한 입출력들의 목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범위 하단 공기조화 장치와 범위 상단 공기조화 장치는 동일한 성질이지만 상이한 구성의 것이므로 그 장치들은 같은 위치에 배치된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계관계들은 상이함으로써 상기 범위 상단 공기조화 장치의 특정 기능들은 상기 범위 하단 공기조화 장치에서 활성화되지 않는바, 달리 말하자면 이 2개 레벨의 공기조화 장치들은 동일한 모델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들이 결정된 후에, 상기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복수개의 커넥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각각의 구성요소와 연관시키는 단계(E3)를 포함한다. 그 연관의 결과는 이미 알고 있을 수 있는바, 이 경우에 구성요소/커넥터 연관성들의 목록을 결정하기 위한 연관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단순히 읽음으로써 실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커넥터들 중 각각의 커넥터는 구성요소와 연관된다. 또한 이 연관성은, 예를 들어 각각의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커넥터의 대응되는 구성요소로의 부착지점을 계산 또는 결정할 수 있게 하는바, 그렇다면 그 부착지점들의 좌표는 제공되는 모델로부터 나온 구성요소의 위치에 종속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커넥터와 협동(cooperate)하도록 각각 의도되는 부착지점들의 목록도 포함한다. 특정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다음 관계에 따라 구성요소들의 식별자들을 부착지점들의 위치들(또는 좌표들)에 연관시키는 레코드들을 포함하는바, 상기 다음 관계는: 주어진 구성요소 식별자가 하나 이상의 상이한 위치들(또는 좌표들)에 연관될 수 있음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가 그러한 임의의 레코드들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이 부착지점들의 위치들은 특히, 상기 모델로부터 나온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초기에, 순서 없는 방식(unordered manner)으로, 각각의 구성요소의 각각의 커넥터를 부착지점에 할당할 수 있다. 그 커넥터들의 최선의 위치선정(best positioning)을 가능하게 하는 최적화가 후속적으로 보일 것이다. 그러한 연관성은 상기 데이터의 레코드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바, 그 레코드들 각각은: 생성될 전기 회로도 또는 더 정확하게는 생성될 전기 회로도의 구성의 참조(reference), 구성요소의 식별자 및 커넥터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 레코드들의 상기 모델의 데이터와의 상호 참조는, 생성될 전기 회로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디지털식으로(digitally) 정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생성될 전기 회로도의 토폴로지를 상기 컴퓨터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E4)를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토폴로지는 연계 요소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연계 요소들은 적어도 2개의 커넥터들을, 바람직하게는 별개의 구성요소들에 연관된 적어도 2개의 커넥터들을 연계시킨다. 이 단계(E4)는 커넥터들이 어떻게 함께 연계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토폴로지는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히 입출력들에 기초하여, 결정된 구성의 함수(function)로서 추출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상기 토폴로지는 커넥터들의 2개의 식별자들 및 연계 요소 식별자를 각각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레코드들의 상기 모델의 데이터와의 상호 참조 및 상기 구성요소들과 상기 커넥터들 상의 연관성에 관한 레코드들은 생성될 전기 회로도를 디지털식으로 보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와 인터페이스로 접속(interfaced)된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렇다면 상기 컴퓨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리고/또는 생성(creation) 또는 수정(modification)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넣을(inject)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전기 회로도는 요소들의 세트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바, 각각의 요소는 전기 회로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상기 처리 방법은 상기 세트 중에서 처리될 요소에 관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바, 그렇다면 이 식별자는 처리될 적절한 모델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을 실시하는 중에 상기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는, 생성될 전기 회로도의 모든 특징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객체(digital object)를 구성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상기 디지털 객체가 구성된다면,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안에 상기 디지털 객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디지털 객체의 장점은, 메모리의 측면에서 조작하기 쉽고, 그 디지털 객체를 개선하기를 원한다면 그 디지털 객체를 수정하기 쉽다는 점이다.
따라서 구성요소들의 식별자들의 목록 및 그 구성요소들의 위치들, 복수개의 커넥터들, 상기 커넥터들의 상기 구성요소들과의 연관성 및 상기 전기 회로도의 토폴로지는 상기 디지털 객체에 추가되는 속성(attribute)들일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상기 방법은 위에서 언급된 속성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객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마지막에서의 목적은, 시간 손실을 발생시키는 변경(alterations)을 제한하면서 상기 디지털 객체가 그려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실제로, 도식(graphic)의 수정은 무시할 수 없는 지속시간(non-negligible duration)을 가지는 확인 처리(validation process)를 수반한다. 달리 말하자면, 유리하게는 상기 처리 방법의 단계들은, 디지털 전용 단계들(digital only steps)이며 상기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바, 특히 전기 회로도의 장래의 도식적 플롯(graphical plot)의 변경 단계들이 그러하다. 특히 변경 단계(alteration step)는, 장래의 도식적 전기 회로도 상에서의 적어도 2개의 연계 요소들의 교차(crossover)를 피하기 위하여, 커넥터들에 연관된 구성요소들의 레벨(level)에서 그 커넥터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설명된 방법에 의한 데이터의 처리를 도해하기 위하여, 도 2에는 모델이 송신되는 단계에 기초하여 도식적으로 얻어질 수 있는 것의 표현이 보인다. 이 도 2에서 구성요소들은, 각각 1218, 1219, 1220, 1221, 1222, 1337 및 597인 그 구성요소들의 식별자들에 의해 표지된(tagged) 블록들로 위치선정 및 표현된다. 게다가 도 3에는, 구성 및 구성요소/커넥터 연관성들을 결정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와, 상기 모델의 제공 단계의 결과의 상호 참조가 도해된다. 그 도 3에 보이는 것은, (예시적인 필요로 A, B, C, D로 표기된) 커넥터들의, 구성요소들(1218, 1219, 1220, 1221, 1222, 1337 및 597)과의 연관성이다. 게다가 도 3에서 분명한 것은, 특정 연계 요소들이 공통 부분들(common parts)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접합부들(H2-H3, H3-H4 및 H3-H5), 및 상기 연계 요소들을 연장(lengthen)할 수 있는 접착부들(splices; Z)이다. 원하는 토폴로지가 적용되는 때, 도 4의 도면에 의해 도해되는 대응관계 표(correspondence table)가 얻어진다. 도 4에서 다양한 요소들의 위치는 상대적으로 임의적인 것, 즉 기능적인 것이지만 인체공학적으로 최적화되지 않았다. 이로부터 귀결되는 바, 이 형태의 전기 회로도는 특정 구성상(constituent) 연계 요소들의 교차 때문에 여전히 읽기 어려울 것이다. 도 4의 단계에서 위치선정은 데이터베이스 내에만 있고 도식적인 것은 아닌바: 커넥터들(A, B, C, 및 D)은 구성요소(1222)에 단순히 묶여(tied) 있다고 일컬어진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이 데이터들을 활용함으로써 최상의 가독성을 가진 가능한 전기 회로도가 직접 그려질 수 있도록, 선택적이지만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회로도의 도식적 제작에 여전히 선행하여, 상기 처리 방법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들 및/또는 접합부들에 대한 향상된 위치선정 파라미터들(positioning parameters)을 결정하는 것을 추구할 것이다. 상기 전기 회로도의 가독성에 대한 문제사항은 애프터서비스 센터들에 있어서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 달리 말하자면, 상기 커넥터들의 최종 좌표는 결정된 토폴로지에 의존한다. 특히, 상기 전기 회로도를 플로팅하는 때에 연계 요소들의 교차 횟수(number of crossover)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 회로도의 플롯(plot)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페이지의 기준점(benchmark)에서의 상기 커넥터들의 좌표가 상기 전기 회로도의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결정된다는 점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디지털 객체는 상기 전기 회로도의 구성상 요소들의 장래의 도식적 위치가 예상되도록 수정/변경될 것이라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각각의 구성요소와 연관시키는 단계(E3)는, 결정된 토폴로지로부터 나온 데이터 및 제공된 모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커넥터들의 위치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를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토폴로지로부터 나온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연계 요소 길이, 즉 상기 연계 요소에 의해 연계되는 2개의 객체들, 특히 2개의 커넥터들 또는 구성요소들 사이의 거리에 관한 것이거나, 그리고/또는 적어도 2개의 연계 요소들에 할당된 가중치(weight)들에 관한 것이다. 사실 상기 가중치는 상기 2개의 커넥터들 또는 구성요소들을 연계시키는 연계 요소와 연관된다.
특히, 제1 위치 규칙에 따르면, 동일한 연계 요소에 연관된 커넥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선정은, 그 연계 요소의 길이, 즉, 연결될 2개의 객체들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되도록, 구성요소의 레벨에서 수행된다. 달리 말하자면 제1 연계 요소는 제1 구성요소의 제1 커넥터와 제2 구성요소의 제2 커넥터와 연관될 수 있고, 상기 제1 구성요소의 레벨에서의 상기 제1 커넥터의 위치선정은,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1 구성요소로의 제1 부착지점과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제2 구성요소로의 제2 부착지점 사이의 거리가 최소이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부착지점들은 미리 정해진 좌표들을 가질 수 있는바, 예를 들어 그 미리 정해진 좌표들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 안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커넥터에 관한 유일한 제약조건(constraint)은 제작될 장래의 도식 상에서 그 커넥터가 그 커넥터에 연관된 구성요소와 접촉한다는 것인 점에서, 예를 들어 계산에 의해 결정가능하다.
상기 제1 규칙과 결합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는 제2 규칙으로서, 특정한 모호성들을 해결하는 장점을 보이는 제2 규칙에 따르면, 각각의 연계 요소는 가중치(도 4 및 5에서 상기 가중치들은 2개의 커넥터들 또는 접합부와 커넥터를 연계시키는 연계 요소들에 인접한 숫자들에 해당됨), 특히 2개의 커넥터들 사이의 입출력들의 개수에 의존하는 가중치에 연관된다. 이런 이유로, 하나 이상의 커넥터들의 위치선정은 적어도 2개의 연계 요소들의 가중치들의 값들에 의존할 수 있다. 상기 제2 규칙의 구현의 바람직한 예시에 따르면, 제1 가중치의 제1 연계 요소는 제1 구성요소의 제1 커넥터 및 제2 구성요소의 제2 커넥터에 연관될 수 있으며, 제2 가중치의 제2 연계 요소는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3 구성요소의 제3 커넥터에 연관됨으로써, 상기 제1 커넥터의 위치선정은, 최대인 가중치를 가지는 연계 요소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수행된다. 이 예시에서 상기 제1 구성요소, 제2 구성요소 및 제3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별개이다. 이 제2 규칙으로부터 귀결되는 바로서, 상기 처리 방법은 각각의 연계 요소에 가중치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할당된 가중치는 상기 연계 요소에 연관된 입출력들의 개수와 동일하며, 각각의 연계 요소에 대한 입출력들의 개수는 상기 전기 회로도의 결정된 토폴로지 안에 포함된다.
상기 제2 규칙의 특정 실시례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연계 요소들은 그 연계 요소들의 가중치들의 함수로서 랭킹 매기는(ranking)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들의 위치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랭킹(ranking)의 순서에 따라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랭킹 안에서 상기 랭킹의 제2 순위(second position) 뒤에 존재하는 제1 연계 요소에 연관된 커넥터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선정은, 상기 랭킹 내에서 상기 제1 연계 요소의 순위보다 높은 순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계 요소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커넥터들의 이미 수행된 위치선정을 고려하면서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 상기 랭킹이 필수적이지 않으므로 상기 랭킹은 선택적인 것이며, 실제로, 문제의 회로도에 관련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용가능한 커넥터들의 목록(연관된 구성요소들의 식별자들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목록)을 꽤 간단하게 취하고 아래의 방식으로의 처리를 착수하는 것이 수반되는바, 그 방식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트리플렛(triplet)(구성요소_1의 커넥터_1, 구성요소_2의 커넥터_2, 가중치)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안의 구성요소_1 및 구성요소_2의 다양한 "부착지점들" 사이의 "거리들"을 이용함으로써, 앞서 언급된 규칙들에 따라 각각의 "부착지점" 상에 위치선정될 "최선의" 커넥터가 계산된다. 상기 목록의 2개의 커넥터들 사이에 충돌이 있는 경우(즉, 동일 부착지점에 2개의 커넥터들이 있는 경우)에, 그 위치를 가질 것은 위치선정된 제1 커넥터인바, 이 경우에 제2 커넥터는 동일한 규칙들에 따라 제2의 최선의 위치에 위치될 것이다.
상기 제1 규칙 및/또는 상기 제2 규칙은, 더 명료하고 판독성이 더 있는 플롯(plot)을 가진 도식적 회로도로 귀결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제1 규칙 및 제2 규칙의 구성요소(1222)의 커넥터들(A 및 C)에 대한 적용은, 도 4의 위치로부터 도 5의 위치로 바뀌게 할 수 있다. 단독으로 취해지거나 결합되어 취해진 이 2개의 규칙들은 상기 컴퓨터의 사이클 경제성(economies of cycles)에 있어서의 문제사항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연계 요소들의 전체 길이를 제한하고 연계 요소들의 교차를 회피하는 등등의 방식으로, 구성요소들의 레벨에서 커넥터들의 명확(definitive)하고 최적인 위치선정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랭킹들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생성하기를 추구하는 전기 회로도에서 연계 요소들은 모두 별개의 것이거나 또는 공통 부분들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계 요소들은, 적어도 2개의 연계 요소들의 일부를 연합(fuse)시킬 수 있는 접합부들(H2-H3, H3-H4, H3-H5)(도 3 내지 5), 및 연계 요소를 연장할 수 있는 접착부들(Z)(도 3 내지 5)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접합부들은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규칙들에 따라 처리된다(접합부의 부착지점은 각각의 좌측과 우측의 중간에 놓여짐). 접착부들에 관하여는 특별한 처리가 없는바, 왜냐하면 상기 접착부들은 직접적으로 상기 방법의 마지막 단계에서 직접, 도식 상에 위치될 것이기 때문이다.
접합부의 존재는, 전자 전기 아키텍처(electronic electrical architecture)에 있어서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되며 연계될 커넥터들의 개수에 관련되지 않는다. 도 4에서 전기 회로도의 2개의 연계 요소들은 지선(branch)을 함께 공유하고, 상기 방법은, 적어도 3개의 대응되는 커넥터들을, 연관된 지선들을 거쳐 연계시키도록 의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의 위치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연관된 지선들이 각각 한편으로는 상기 커넥터들 중 하나에 연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접합부에 연계되도록, 그 지선들이 모두 상기 접합부를 향하여 수렴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위치선정은 상기 접합부에 연관된 지선들의 길이, 특히 전체 길이 또는 평균 길이가 최소이거나 감소되게끔 된다. 상기 전기 회로도가 여러 접합부들을 포함하는 때에 이 접합부들은 위에서 주어진 2개의 규칙들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위치선정될 수 있다. 게다가, 접합부들(H3-H5 및 H3-H4)이 도 4로부터 도 5로 재배치된 것은 상기 제1 규칙 및 제2 규칙을 적용함에 의한 것이다. 위에서 주어진 예시들을 다시 참조하면, 접합부는 상기 제1 규칙 및/또는 제2 규칙에 있어서 목표로 된 커넥터들 중 하나를 대체할 수 있는바, 특히 제1 커넥터를 대체할 수 있다(물론 이 경우에 상기 접합부는 제1 구성요소에 연관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대응되는 연계 요소에 의해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상기 제1 커넥터로 연계되도록 의도되는 점이 이해됨).
게다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리 방법은, 연계 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 내에서 통행하는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와이어(wire; F)를 생성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연계 요소들을 특징 짓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와이어는, 적절하다면 커넥터 또는 접합부의 연결 단자에 연관될 수 있다. 게다가 이 도 6에는 상기 접착부들(Z)도 적절한 방식으로 위치되어 있다.
위에서 서술된 바로부터, 상기 관리 방법의 구현이 이상적(ideal)인 전기 회로도 또는 이상적인 것에 가까운 전기 회로도를 그 후에 매우 신속하게 얻을 수 있게 한다는 점이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처리 방법은, 제조하기를 원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회로도들을 열거(list)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의 첫 조직화(first organization) 후, 그리고 도식적 플로팅(graphical plotting) 전에 수행된다.
달리 말하자면, 전기 회로도의 도식적 생성의 방법은, 데이터의 세트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방법으로부터 나온 데이터(특히, 위에서 목표로 된 디지털 객체)를 묘화 장치, 특히 디지털 종이 인쇄(digital paper printing)를 위한 장치에 이미지 형태 또는 벡터 형태로 송신함에 의한, 이 데이터에 기초한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의 도식적 생성의 단계(즉, 페이지 상에 플로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함께 위에서 서술된 모든 것은 전기 회로도의 생성에 있어서 상당한 시간 절약을 가능하게 할 것인바, 왜냐하면 사소한 수정사항들이 있을지라도 그 도식적으로 생성된 회로도가 직접적으로 적절한 회로도일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상기 커넥터들의 적절한 위치선정을 발생시킴은, 그 전기 시스템들을 나타내는 회로도들의 품질뿐만이 아니라 그 회로도들의 가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구시(phases of studies)에 80% 정도에 달하는 무시할 수 없는 시간 절약이 보여졌다.
도 7에 도시된 처리 방법의 일 특정 예시에 따르면, 상기 처리 방법의 입력 데이터는 전기 시스템들의 목록(E101) 및 그 전기 시스템들의 입출력들의 목록이고, 이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델들의 라이브러리가 생성(E102)된다. 달리 말하자면, 각각의 모델은 전기 회로도에 대응될 수 있다. 각각의 모델은 구성요소들의 식별자들의 목록 및 생성될 회로도 상의 그 구성요소들의 위치들을 포함한다. 그 후, 특히 구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전기 시스템과 모델 사이의 대응관계(correspondence)(E103)가 확립된다. 이 대응관계가 확립되면, 각각의 전기 시스템이 다음 방식으로 처리(E104)될 것인바, 상기 다음 방식은:
- 상기 커넥터들이 상기 구성요소들 및, 선택적으로 접합부들 및 접착부들에, 특히 입력 데이터의 함수(function)로서 추가(E105)되며,
- 2개의 커넥터들 사이의 전기 신호의 존재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들 사이에 연계 요소들이 추가(E106)되며,
- 각각의 연계 요소에 가중치가 할당(E107)되는바, 상기 가중치는 상기 연계 요소에 연관된 입출력들에 의존하며,
- 상기 커넥터들의 최종 위치선정은, 위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 제1 규칙 및 제2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계산(E108)되고,
- 각각의 연계 요소는, 각각의 커넥터의 핀(pin)들 상에 연결될 신호들을 전개(deploying)함으로써 처리(E109)된다.
방금 막 처리된 전기 시스템이 마지막 전기 시스템이라면 데이터 세트를 처리하는 방법{단계(E110)의 '예' 출력}은 종료되며, 아니라면 우리는 새로운 전기 회로도에 연관된 새로운 데이터 세트를 처리하기 위하여 출력상으로, 단계(E104){단계(E110)의 '아니오' 출력}로 귀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록의 전기 시스템들은 모두 상이한바, 예를 들어 상기 목록은, 에어백 또는 차량 브레이크와 같이 기능에 있어서 상이한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2개의 에어백 시스템들과 같이 기능에 있어서 유사하지만 입출력이 상이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것을 두 번 수행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우리가 그리기를 추구할 각각의 구성요소는 기호(symbol)와 연관된다. 이 기호는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각각 의도되는 부착지점들의 하나 이상의 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부착지점들의 좌표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의 위치 및 연관되는 부호의 형상의 함수로서 계산될 수 있다. 각각의 부호는 디지털 객체에 부가될 수 있다. 부호는 동적 작성 모드(dynamic creation mode) 또는 미리 정의된 작성 모드(predefined creation mode)와 연관될 수 있다. 상기 동적 작성 모드는 상기 전기 회로도의 도식적 플로팅(graphical plotting) 시에 상기 부호의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게 하는 반면, 상기 미리 정의된 작성 모드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 그려진 부호가 꺼내어질(fetch) 수 있게 하는바, 특히 라이브러리 관리자(librarian)의 담당 하에 부호들의 라이브러리로부터 부호가 꺼내어질 수 있게 한다. 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안의 이른바 "표준" 부호들의 다루기 불편한(unwieldy) 관리를 피할 수 있게 하며, 복잡한 내부 그림들을 포함한 복잡한 부호들을 제외하고는 동적 작성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설명된 바와 같은 처리 방법 또는 설명된 바와 같은 도식적 생성 방법의 단계들의 구현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때에, 설명된 바와 같은 처리 방법 또는 설명된 바와 같은 도식적 생성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게다가 장치의 유지 방법, 특히 자동차 장치의 유지 방법은, 상기 장치에 진단 시스템을 연결(hooking)하는 단계, 상기 장치의 고장난(failed) 전기 시스템의 식별 단계, 상기 전기 회로도의 도식적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바와 같은 대응되는 전기 회로도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종이 위에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1)

  1. 전기 시스템, 예를 들어 자동차를 위한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의 도식적 생성(graphical generation)을 목적으로 후속적(subsequently)으로 이용되도록 의도되는 데이터의 세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처리 방법은:
    - 컴퓨터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나온 모델(model)을 수신하는 단계(E1)로서, 상기 모델은, 상기 전기 시스템의 구성요소(component)들의 식별자(identifier)들의 목록, 및 각각의 구성요소 식별자에 대한, 생성될 전기 회로도 상의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를 포함하는, 단계,
    -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생성될 전기 회로도의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단계(E2)로서, 상기 구성은 복수개의 커넥터(connector)들을 포함하는, 단계,
    -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커넥터들의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각각의 구성요소와 연관시키는 단계(E3),
    -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생성될 전기 회로도의 토폴로지(topology)를 결정하는 단계(E4)로서, 상기 토폴로지는 연계 요소(linking element)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연계 요소는 적어도 2개의 커넥터들을 연계(link)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된 구성은 상기 전기 회로도의 복수개의 구성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각각의 구성요소와 연관시키는 상기 단계(E3)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결정된 토폴로지 및 제공된 모델로부터 나온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커넥터들의 위치를 선정(position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동일한 연계 요소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커넥터들의 위치선정은 구성요소의 레벨(level)에서 상기 연계 요소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제1 연계 요소는 제1 구성요소의 제1 커넥터 및 제2 구성요소의 제2 커넥터와 연관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1 구성요소의 레벨에서의 위치선정은,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1 구성요소로의 제1 부착지점(point of attachment)과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제2 구성요소로의 제2 부착지점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 제1 가중치의 제1 연계 요소는 제1 구성요소의 제1 커넥터 및 제2 구성요소의 제2 커넥터와 연관되며,
    - 제2 가중치의 제2 연계 요소는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3 구성요소의 제3 커넥터와 연관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위치선정은 가중치가 최대인 연계 요소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방법은 상기 컴퓨터에 의해 각각의 연계 요소에 가중치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할당된 가중치는 상기 연계 요소에 연관된 입출력들(ins-outs)의 개수와 같고, 각각의 연계 요소에 대한 입출력들의 개수는 상기 전기 회로도의 결정된 토폴로지 안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도의 2개의 연계 요소들은 지선(branch)을 함께 공유하고, 상기 처리 방법은, 상기 컴퓨터에 의해, 적어도 3개의 대응되는 커넥터들을 연관된 지선들을 거쳐 연계시키도록 의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union)의 위치를 선정(position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접합부에 연관된 지선들의 길이를 감소시키도록 위치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방법.
  10. 전기 회로도의 도식적 생성의 방법으로서:
    - 컴퓨터에 의해,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
    -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처리 방법으로부터 나온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 데이터를 묘화 장치(drawing device), 특히 종이 또는 디지털 인쇄를 위한 장치에 이미지 형태 또는 벡터 형태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를 도식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도 도식적 생성 방법.
  11.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때에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57023820A 2013-03-04 2014-02-28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를 도식적으로 생성할 목적으로 후속적으로 이용될 데이터의 세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KR102093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1903A FR3002805B1 (fr) 2013-03-04 2013-03-04 Procede de traitement d'un ensemble de donnees destinees a etre utilisees ulterieurement en vue de la generation graphique d'un schema electrique d'un systeme electrique
FR1351903 2013-03-04
PCT/FR2014/050445 WO2014135771A1 (fr) 2013-03-04 2014-02-28 Procédé de traitement d'un ensemble de données destinées à être utilisées ultérieurement en vue de la génération graphique d'un schéma électrique d'un système électr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004A KR20150131004A (ko) 2015-11-24
KR102093464B1 true KR102093464B1 (ko) 2020-03-25

Family

ID=4861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820A KR102093464B1 (ko) 2013-03-04 2014-02-28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를 도식적으로 생성할 목적으로 후속적으로 이용될 데이터의 세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379173A1 (ko)
EP (1) EP2965237A1 (ko)
JP (1) JP6290267B2 (ko)
KR (1) KR102093464B1 (ko)
CN (1) CN105074703B (ko)
FR (1) FR3002805B1 (ko)
WO (1) WO2014135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3966B2 (ja) * 2016-04-27 2020-01-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子マニュアル表示方法及び電子マニュアル制御装置
FR3055719B1 (fr) * 2016-09-08 2018-10-12 Applications Logiciels Pour Ingenierie Alpi Procede, dispositif et programme d'ordinateur d'aide au choix et a l'installation d'elements materiels de construction
FR3080201A1 (fr) * 2018-04-12 2019-10-18 Psa Automobiles Sa Procede et systeme de traitement pour la generation d’une representation schematique d’une architecture electrique cible.
CN110137964A (zh) * 2019-06-27 2019-08-16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 应用于云scada的输电网拓扑图自动生成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598A (ja) 2008-08-01 2010-02-18 Alpine Electronics Inc 多層プリント回路基板の配線表示装置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2012221389A (ja) 2011-04-13 2012-11-12 Fuji Electric Co Ltd 回路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回路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2149A (en) * 1997-04-28 2000-02-29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electrical schematic management system
KR100306113B1 (ko) * 1998-12-31 2001-11-02 구자홍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소자의 프로그램장치 및 방법ㅇ
JP2002024301A (ja) * 2000-07-06 2002-01-25 Ricoh Co Ltd 部品構成作成編集装置と部品構成作成編集方法と部品構成作成編集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943519B2 (en) * 2000-04-11 2005-09-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device for weight compensation in a mechanism with closed kinematic chains
US20040024662A1 (en) * 2002-08-02 2004-02-05 David Gray Equipment documentation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software tools
US7146594B1 (en) * 2003-12-15 2006-12-05 Ugs Corp.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chematic generation
US7831948B2 (en) * 2006-02-02 2010-11-09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schematics
US7478352B2 (en) * 2006-06-22 2009-01-13 The Boeing Company Method for creating box level groupings of components and connections in a dynamic layout system
US20080141194A1 (en) * 2006-12-07 2008-06-12 Fujitsu Limited Check support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duct
US8156056B2 (en) * 2007-04-03 2012-04-10 Fernando Luege Mateos Method and system of classifying, ranking and relating information based on weights of network links
US20080255862A1 (en) * 2007-04-11 2008-10-16 Bailey Gregory A Predictive asset ranking score of property
US8065126B2 (en) * 2008-07-29 2011-11-22 Mentor Graphics Corporation GUI-facilitated change management for vehicle electrical/electronic architecture design
CN101404041A (zh) * 2008-09-24 2009-04-08 上海纳杰电气成套有限公司 一种系统图生成系统
US8260493B2 (en) * 2010-02-17 2012-09-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ealth prognosis for complex system using fault modeling
JP5691743B2 (ja) * 2011-03-30 2015-04-01 富士通株式会社 実装設計支援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CN102760186B (zh) * 2012-06-12 2014-11-19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智能变电站的矢量图形自动生成方法
CN102880748A (zh) * 2012-09-06 2013-01-16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绘制电气图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598A (ja) 2008-08-01 2010-02-18 Alpine Electronics Inc 多層プリント回路基板の配線表示装置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2012221389A (ja) 2011-04-13 2012-11-12 Fuji Electric Co Ltd 回路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回路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02805B1 (fr) 2015-02-20
FR3002805A1 (fr) 2014-09-05
CN105074703A (zh) 2015-11-18
KR20150131004A (ko) 2015-11-24
US20150379173A1 (en) 2015-12-31
WO2014135771A1 (fr) 2014-09-12
EP2965237A1 (fr) 2016-01-13
JP6290267B2 (ja) 2018-03-07
JP2016522460A (ja) 2016-07-28
CN105074703B (zh)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464B1 (ko) 전기 시스템의 전기 회로도를 도식적으로 생성할 목적으로 후속적으로 이용될 데이터의 세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JP6305917B2 (ja) トポロジ決定を伴う航空機の電気システム接続経路指定及び視覚化のシステム及び方法
CA2874095C (en) Integrated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system
US894975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wiring systems analysis and verification
WO2009107622A1 (ja) 平面製造図作成支援装置、平面製造図作成支援方法、平面製造図作成支援プログラム、及び、分岐角度設計支援装置
JP2014203314A (ja) Ecu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WO2013057888A1 (ja) 配線の接続確認方法及び接続確認システム
CN103335659B (zh) 2d/3d地图显示方法以及指路或导航方法
CN106681698A (zh) 动态列表的生成方法及装置
US20150241498A1 (en) Method of determining possibly-unused electric wire and program
JP4136495B2 (ja) 方向性結合器を含む回路の設計支援装置、その設計支援プログラム、及び回路の設計方法
CN104598374B (zh) 校正失效脚本的方法和设备
CN105190625A (zh) 用于制造复杂产品,特别是汽车的方法
KR102258079B1 (ko) 전기 시스템들의 전기 회로도들의 후속적 도식적 생성을 목적으로 자동차들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JP2009205402A (ja) 分岐角度設計支援装置、分岐角度設計支援方法、及び、分岐角度設計支援プログラム
CN111127608B (zh) 渲染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150020924A (ko) 서버 장치 및 그의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US9547841B2 (en) Deriving overlay information from a user input for a base message schema associated with a node in a message flow
US20130326444A1 (en) Recording medium for generation program, generation method, and generation apparatus
JP6411897B2 (ja) 配線図データの検査方法
KR20140073046A (ko) 컴포넌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1020600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면 처리 방법
JP4693830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方法
US7681787B2 (en) Integrated circuit,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technical information of the integrated circuit
CN113065199B (zh) 车辆道路模型的动力学仿真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