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765B1 -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스트랜드 제품 - Google Patents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스트랜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765B1
KR102092765B1 KR1020177036755A KR20177036755A KR102092765B1 KR 102092765 B1 KR102092765 B1 KR 102092765B1 KR 1020177036755 A KR1020177036755 A KR 1020177036755A KR 20177036755 A KR20177036755 A KR 20177036755A KR 102092765 B1 KR102092765 B1 KR 10209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strand product
casing
unit
str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118A (ko
Inventor
크리스찬 에른스트
세바스찬 고쓰
요르그 벤젤
Original Assignee
레오니 카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오니 카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레오니 카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19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6Rod-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3Articles with a cross-section var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corrug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1Coat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1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rota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005Hoses, i.e.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2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01B13/145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01B13/146Controlling the extrusion apparatus dependent on the capacitance or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01B13/147Feeding of the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8Applying discontinuous insulation, e.g. discs, b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랜드 제품(2)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이 있고, 이때 압출 성형 유닛(extrusion unit)(8)에 의해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의 코어(4) 상에 재료가 사전 결정된 벽 두께(W)를 갖는 케이싱(6)으로서 압출 성형 되고, 상기 압출 성형 유닛(8)의 하류에서, 그리고 상기 재료가 아직 성형 가능한 동안에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은 이송 방향(F)으로 성형 유닛(molding unit)(10)에 공급되며, 상기 재료의 하나의 부분이 상기 성형 유닛(10)에 의해 홀딩(holding) 되고, 상기 홀딩 된 재료로부터 상기 케이싱(6)에 일체형으로 성형부(molded part)(12)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성형부(10)의 형성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케이싱(6)의 재료의 변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스트랜드 제품(2) 및 상기 방법에 적합한 성형 유닛(10)과 관련이 있다.

Description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스트랜드 제품
본 발명은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스트랜드 제품과 관련이 있다.
스트랜드 제품으로서 통상적으로 압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특히 연속 제품으로서 제조되는 모든 가늘고 긴 부품들이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스트랜드 제품의 예시들로 케이블들 및 튜브들이 있다.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놓인 케이블 코어 및 이와 같은 케이블 코어를 둘러싸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일반적으로 절연성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추가로, 케이블 제조시 상기 케이블에는 예컨대 플러그 하우징(plug housing), 소켓(socket), 밀봉부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추가 성형부들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유형의 성형부들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되고, 이때 때때로 상기 케이블의 케이싱과 유사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이 경우, 개별 성형부는 상기 케이블의 제조 과정에서 이와 같은 케이블에, 특히 상기 케이블의 케이싱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별도로 제조된 소켓이 삽입되거나, 또는 플러그 하우징이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주조된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특히 성형부가 단지 삽입 또는 배치되는 경우에 특히 제공된 성형부와 케이싱 사이의 연결부의 밀봉도 및 인장 강도이다. 반면 예컨대 오버몰딩 방법(overmolding) 또는 용접 방법과 같은 안전한 연결 방법들은 비교적 복잡하다.
튜브들은 다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이때 방사 방향으로 연속하는 다수의 층 및/또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하나의 형성예에서 튜브는 케이싱 내부에 놓인 튜브 코어 상에 제공된, 특히 압출 성형 된 케이싱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튜브 코어는 일반적으로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공동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코어 삽입부로서 압출 성형 공정에 공급되기 위해 충분히 온도- 및 형태 안정적이다. 이때 상기 튜브 코어는 상기 제공된 케이싱의 지지 몸체로써 이용된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는, 예를 들어 보강된 튜브들 또는 튜브 패킷들로서 언급되고, 적어도 하나의 압출 성형 된 케이싱을 구비한 다층 구조를 갖는 상응하는 튜브들이 사용된다. 이 경우, 상기 튜브 내부에서 예컨대 전기 라인들 또는 매질 호스들이 가이드 된다. 위에서 언급된 케이블들의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예에 따라, 튜브의 케이싱에 추가적인 성형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원칙적으로 동일한, 또는 적어도 유사한 문제들이 주어진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과제는 성형부가 제공된 스트랜드 제품, 특히 케이블 또는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조 공정은 가급적 간단해야 하고, 특히 동시에 성형부와 스트랜드 제품 사이에 가급적 우수한 밀봉도가 보장되어야 한다. 계속해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스트랜드 제품, 특히 케이블 또는 튜브가 제시되어야 한다. 그 밖에, 상기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성형 유닛(molding unit)이 제시되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청구항 제21항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스트랜드 제품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제26항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형성예들, 개선예들 및 변형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이 경우, 상기 방법과 관련한 설명은 상기 스트랜드 제품 및 상기 장치에 대해서도 상응하게 적용되고, 역으로 상기 스트랜드 제품 및 상기 장치와 관련한 설명은 상기 방법에 대해서도 상응하게 적용된다.
상기 방법은 스트랜드 제품, 바람직하게 케이블 또는 튜브를 제조하기 위해, 특히 연속 제조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스트랜드 제품은 특히 유연한데, 다시 말해 휨에 대해 유연하다. 이 경우, 우선 압출 성형 유닛(extrusion unit)에 의해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내부 몸체 또는 코어 상에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이 사전 결정된 벽 두께를 갖는 케이싱으로서 압출 성형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스트랜드 제품은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나뉘는데, 말하자면 코어 및 상기 코어 상에 압출 성형 된 케이싱을 포함한다.
상기 압출 성형 공정은 특히,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코어가 특히 연속적으로 상기 압출 성형 유닛의 압출 성형 헤드(extrusion head)를 통해 이송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료는 압출 성형 된 화합물로서 상기 압출 성형 헤드에 공급되고, 그런 다음 상기 압출 성형 헤드에 의해 우선 실질적으로 일정한 벽 두께를 갖는 바람직하게 균일한 케이싱으로서 도포된다. 이 경우, 상기 압출 성형 유닛은 계속해서 특히, 상기 재료를 압출 성형 된 화합물로서 준비하는 압출 성형기, 예컨대 스크루 타입 압출 성형기(screw type extruding machine)를 포함한다.
상기 압출 성형 유닛의 하류에서, 그리고 상기 재료가 아직 성형 가능한 동안에 상기 스트랜드 제품은 이송 방향으로 성형 유닛에 공급된다. 이 경우, 특히 상기 이송 방향은 상기 스트랜드 제품이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상응한다. 그런 다음 상기 성형 유닛에 의해 상기 재료의 하나의 부분이 특히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홀딩(holding) 된다. 이는 특히, 상기 재료의 이와 같은 부분이 말하자면 고정되고, 그에 따라 나머지 재료에 대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스크레이핑(scraping) 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재료의 부분은 우선 일반적으로 특히, 상기 코어 상에 제공되는 전체 재료를 기준으로 한 일부분을 의미한다. 그런 다음 상기 홀딩 된 재료로부터 케이싱에 일체형으로 성형부(molded part)가 형성된다.
상기 재료의 홀딩 공정 시 상기 케이싱의 벽 두께는 상기 성형 유닛의 하류에서 감소하는데, 다시 말해 특히 추가적인 재료가 공급되지 않고, 오히려 상기 압출 성형 헤드를 이미 벗어난 케이싱의 재료가 사용된다. 이 경우, 압출 성형 설비의 재료 흐름은 변경될 필요가 없다. 그 대신, 이미 도포된 재료가 상기 홀딩 공정에 의해 말하자면 옮겨지거나, 또는 재배치된다. 상기 홀딩 공정에 의해 상기 홀딩 된 재료의 영역 내에는, 상기 압출 성형 헤드 하류에서 도포된 직후보다 더 큰 벽 두께가 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성형부는 통상적으로, 상기 압출 성형 헤드 바로 하류에서 상기 재료의 공칭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고, 이때 상기 공칭 지름은 상기 압출 성형 헤드의 개구에 의해 주어진다.
따라서 상기 성형 유닛은 바람직하게 이송 방향으로 상기 압출 성형 헤드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압출 성형 헤드의 하류의 홀딩 영역 내에서, 그리고 특히 상기 성형 유닛 내부 및/또는 앞에서 상기 재료가 홀딩 된다. 이 경우, 상기 재료는 특히 상기 압출 성형 헤드의 개구의 지름을 초과하여 홀딩 되는데, 다시 말해 상기 성형부의 지름은 상기 공칭 지름보다, 즉 상기 재료가 도포된 직후에 상기 케이싱의 벽 두께보다 더 크다. 이때 상기 압출 성형 헤드와 상기 성형 유닛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간격은 바람직하게 몇 센티미터, 다시 말해 대략 1 내지 10센티미터 내지 몇십 센티미터, 다시 말해 대략 20 내지 50㎝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간격은 더 크고, 0.5 내지 5m이다. 최적의 간격은 특히 상기 재료의 경화 시간 및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이송 속도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중요한 하나의 장점은 특히, 상기 케이싱의 재료의 하나의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성형부가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복잡한 경우가 많은 추가적인 방법 단계를 나타내는 별도의 형성 공정은 바람직하게 생략된다. 그 대신, 상기 성형부는 오히려 상기 케이싱과 함께 제조되고, 이때 상기 압출 성형 유닛 하류에서 아직 성형 가능한 재료는 상기 성형 유닛에 의해 변형 공정을 경험한다. 그에 따라, 상기 성형부를 제조하기 위해, 바람직한 방식으로 단지 본래 이미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제공된 재료가 사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바람직하게 추가적인 재료가 공급될 필요가 없고, 바람직하게 공급되지도 않는다. 그럼으로써,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제조 공정이 현저히 수월해진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상기 성형 유닛 내부에 추가적인 재료가 더 공급되고, 그 결과 상기 케이싱의 성형 가능성으로 인해 상기 공급된 재료가 상기 케이싱의 재료와 최적으로 연결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케이싱과 특히 단단하게, 그리고 특히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점이 주어진다.
추가 장점은 특히, 상기 성형부가 일체형의 형성 공정으로 인해 상기 케이싱에 특히 밀봉 방식으로 고정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밀봉 방식은 특히 매질 밀봉 방식, 다시 말해 기체 및/또는 액체의 침투에 대한 밀봉 방식을 의미한다. 성형부를 별도로 제공하여 후속하여 케이싱에 예컨대 용접하는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형성된 성형부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케이싱과 원칙적으로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특히, 상기 성형부를 위해 바람직하게 별도의 재료가 공급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상기 성형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의 이미 제공된 재료가 변형됨으로써 주어진다. 따라서 전체 방법 동안에 상기 홀딩 된 재료는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싱과 영구적인 연결을 유지하는데, 즉 특히 분리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상기 성형부는 바람직하게 영구적으로 상기 케이싱의 일부분이고, 그 결과 이와 같은 케이싱과 특히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특히 성형부와 나머지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어레인지먼트의 인장 강도도 개선된다.
간단한 방식으로 상기 성형부를 상기 케이싱의 재료로부터 형성하기 위해, 이와 같은 재료의 하나의 부분이 상기 성형 유닛에 의해 홀딩 되는데, 다시 말해 특히 차단 또는 고정되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상기 코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특히 이동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성형 유닛은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이때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스트랜드 제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케이싱에 대해 상기 성형 유닛이 장애물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된다. 상기 재료의 성형 가능성으로 인해 이와 같은 재료는 강제적으로 변형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홀딩 되거나, 또는 상기 성형 유닛에 쌓인다. 이 경우, 상기 성형 유닛에 대하여 전진하는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이와 같은 성형 유닛에 상기 케이싱의 재료의 하나의 부분이 말하자면 수집되고, 상기 성형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적합한 하나의 형성예에서 성형 유닛이 케이싱 내부 접근하고, 그 결과 상기 케이싱의 하나의 부분이 후속하여 상기 성형 유닛을 통해 이송된 길이 섹션 상에서 스트리핑(stripping) 된다. 이 경우, 상기 성형 유닛은 특히 상기 재료를 스트리핑 또는 스크레이핑하는, 다시 말해 스트리핑 공정에 의해 홀딩하거나, 또는 억제하는 스트리핑 유닛(stripping unit)이다.
그에 따라 상기 홀딩 공정에 의해 상기 성형부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준비된다. 그럼으로써 본래의 케이싱으로부터 말하자면 재료가 취해지는데, 그러나 바람직하게 이와 같은 재료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그 결과 상기 케이싱의 벽 두께는 이송 방향으로 상기 성형 유닛의 하류에서 그에 상응하게 감소하거나, 또는 상기 케이싱이 심지어 완전히 제거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성형 유닛은 특히, 상기 성형 유닛에 의해 한편으로는 상기 성형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남아 있는 케이싱의 벽 두께도 규정된 방식으로 개선된다는 사실에서 이중 기능을 충족시킨다.
어떤 방식으로 상기 재료가 실제로 억제되는지는 특히 상기 케이싱 내부로 상기 성형 유닛의 침투 깊이 및 상기 코어에서 상기 재료의 접착 상태에 의존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재료가 상응하는 전단력을 견뎌내고, 상기 전단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코어에 대하여 단지 낮은 결합 상태를 갖는 경우, 상기 성형 유닛은 상기 케이싱 내부로 완전히 침투하지 않고도 전체 재료를 저지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성형 유닛은 바람직하게 단지 부분적으로만 상기 케이싱 내부로 접근하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케이싱은 특정 길이 섹션 상에서 완전히 제거되는데, 이때 상기 성형 유닛은 상기 코어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성형 유닛에 의해 발생 가능한 상기 코어의 손상은 바람직하게 방지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적합한 접착 특성들을 갖는 재료가 선택된다.
바람직한 장점들은, 상기 케이싱이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하나의 길이 섹션 상에서 완전히 제거되어, 그 결과 이미 제조 공정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상기 코어가 특히 노출되어 있는 탈피된 길이 섹션이 형성되는 상기 언급된 형성예에서 주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형의 탈피된 길이 섹션은 자유 섹션으로도 언급된다. 이 경우, 이와 같은 자유 섹션은 예를 들어 케이블로서 형성된 스트랜드 제품의 추후 구성시 더는 추가적인 단계에서 탈피될 필요가 없다. 적합한 하나의 개선예에서 스트랜드 제품은 계속해서 탈피된 길이 섹션 내에서 구성되는데, 다시 말해 특히 분리되거나, 또는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하나의 개선예에서 상기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는, 바람직하게 본 출원서에서 기술되는 성형부의 방식으로 제조되는 연결부, 예컨대 플러그가 더 제공된다.
특히 연속 제품으로서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제조시 상기 탈피된 길이 섹션들에 의해 상기 스트랜드 제품을 따라서 그에 상응하게 노출된 길이 섹션들이 주어진다. 반제품으로서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사용시 바람직하게 통상적으로 복잡한 탈피 공정이 생략된다. 그러나 하나의 길이 섹션 상에서 단지 감소한 케이싱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경우에 탈피 공정을 위해 필요한 힘이 적어도 상대적으로 더 적고, 추가로 규정된 파괴점 또는 파괴 섹션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홀딩 된 재료는 상기 성형부를 형성하기 위해 반드시 완전히 사용되지 않는다. 오히려 적합한 하나의 대안예에서 홀딩 된 재료의 단지 하나의 부분만이 사용되고, 나머지는 예를 들어 분리되거나, 또는 폐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성형부의 크기가 홀딩 된 재료의 양에 의해 사전 결정되지 않고, 오히려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성형부의 형상은 특히 유연하다. 이 경우, 적합한 하나의 변형예에서 성형부로서 케이싱의 협착부 또는 이와 같은 케이싱 내부의 공동부 또는 압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성형 유닛은 상기 압출 성형 유닛 다음에 연결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이와 같은 압출 성형 유닛 하류에서 특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스트랜드 제품은 상기 압출 성형 유닛 다음에서 우선 특정 구간을 통해 가이드 되고, 이때 상기 재료는 특히 냉각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하나의 형성예에서 상기 간격이 설정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재료의 성형 가능성이 설정된다. 이 경우, 제1 변형예에서는, 상기 재료가 외부로 피부 방식으로 비교적 단단한 표면을 형성하는 반면에, 상기 외부와 비교하여 내부에서 더 높은 점성을 갖도록 상기 간격이 설정된다. 이 경우, 상기 성형 유닛 내부에서의 홀딩 공정 시 상기 표면은 규정된 제한부를 형성하는데, 즉 상기 재료를 응집시키고,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홀딩 된 재료의 제어되지 않은 탈출 또는 이탈을 방지한다. 반면 적합한 제2 변형예에서는 상기 형성 유닛이 상기 압출 성형 헤드 바로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성형 유닛과 압출 성형 헤드의 간격은 최소한으로 감소하는데, 특히 0이다. 이때 상기 재료는 상기 성형 유닛에 도달한 경우 특히 우수한 성형 가능성을 갖고, 그에 상응하게 특히 간단하게 상기 성형부로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개선예에서 성형 유닛은 압출 성형 헤드와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이와 같은 압출 성형 헤드 내에 통합되어, 이와 같은 압출 성형 헤드와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는데, 특히 하이브리드 성형 유닛(hybrid molding unit) 또는 하이브리드 헤드(hybrid head)로도 언급되는 확장된 압출 성형 헤드를 형성한다. 압출 성형 헤드와 성형 유닛의 2가지 기능이 통합됨으로써 상기 하이브리드 성형 유닛은 특히 콤팩트(compact)하다. 상기 하이브리드 성형 유닛은 개구 부재를 구비한 압출 성형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 부재를 통해 코어가 이송되며, 상기 코어 상에 재료를 도포하기 위해 상기 개구 부재에 압출 성형기로부터 채널들을 통해 재료가 공급된다. 그런 다음 상기 개구 부재에 성형 유닛을 포함하는 성형 섹션이 연결된다.
특히 상기 성형 유닛 내부로 재료가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특히, 상기 압출 성형기로부터의 재료 공급이 현저히 간단하다는 추가 장점이 주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예를 들어 상기 개구 부재로 공급되는 재료의 하나의 부분은 분기 연결부를 통해 성형 유닛 쪽으로 분기된다. 특히 용융된 재료의 공급은 바람직하게 추가적인 압출 성형기, 용융 펌프 또는 유사한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스트랜드 제품의 단지 사전 결정된 하나의 길이 섹션 상에서만 성형부를 형성하기 위해, 바람직한 하나의 형성예에서 재료를 홀딩하기 위해 성형 유닛이 우선 폐쇄되고, 상기 성형부가 형성된 이후에 이와 같은 성형 유닛은 재차 개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특히 단지, 상기 성형 유닛의 폐쇄 상태에서 공급되는 스트랜드 제품의 길이 섹션 직후에만 상기 길이 섹션에서 수집된 재료로부터 성형부가 형성되는 반면,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스트랜드 제품이 실질적으로 상기 성형 유닛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성형 유닛의 폐쇄는 특히, 예를 들어 맞물림 개념에서 케이싱과의 접촉이 형성되고, 그런 다음 그에 상응하게 상기 성형 유닛에서 재료의 홀딩이 달성되는 방식으로 이와 같은 성형 유닛이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접근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성형 유닛의 개방은 특히, 이와 같은 성형 유닛이 상응하게 복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개방 상태에서 상기 성형 유닛과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케이싱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외부 윤곽의 형성은 특히 주로 압출 성형 헤드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다시 말해 특히 상기 성형 유닛의 개방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그런 다음 상기 성형 유닛은 단지 특정 양의 재료만을 홀딩하고, 개방시 이와 같은 홀딩 된 재료로부터 성형부를 해방한다.
바람직하게 다수의 성형부가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다수의 길이 위치에서 형성된다. 특히 위에서 언급된 상기 성형 유닛의 개방 및 폐쇄와 관련하여, 상기 성형 유닛의 주기적인 개방 및 폐쇄에 의해 다수의 성형부의 주기적인 형성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형성예에서 상기 방법은 특히, 케이싱의 반복되는 길이 위치들에 제공된 성형부들, 예를 들어 규칙적으로 제공된 스트랜드 제품용 고정 장치들 또는 길이 마킹들을 구비한 스트랜드 제품의 연속 제조에 적합하다.
상기 방법의 특히 간단한 하나의 변형예에서 홀딩 된 재료는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성형 유닛에 의해 우선 단지 차단되고, 그런 다음 특히 상응하는 길이 위치에서 재료의 확장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성형부를 특히 유연하게 설계하기 위해,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하나의 개선예에서 홀딩 된 재료는 성형 유닛의 성형 챔버(molding chamber) 내부에 수용되고, 이와 같은 성형 챔버 내에서 상기 성형부가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성형 유닛의 성형 챔버는 상응하는 윤곽을 준비하고, 상기 윤곽에 의해 상기 홀딩 된 재료는 상기 성형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성예에서 상기 성형 유닛은, 특히 상기 성형부의 영역 내에서 스트랜드 제품의 외부 윤곽의 규정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이 경우, 상기 홀딩 된 재료는 특히 상기 재료의 성형 가능성으로 인해 상기 성형 챔버에 의해 사전 결정된 형태에 적합하게 조정된다. 이때 상기 성형 챔버의 상응하는 형성예에 의해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케이싱에서 거의 임의의 성형부들이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랜드 제품의 바람직한 형성예들은, 나선, 플랜지(flange), 소켓, 압착부, 원뿔, 소수의 블레이드(blade)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성형 챔버의 적합한 형성예에 의해 형성되는 소수의 성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 챔버는 특히 공구의 개념에서 상기 성형 유닛에 제공되어 있고, 바람직한 하나의 변형예에서 교체 가능하며, 그 결과 케이싱으로부터 형성된 성형부는 스트랜드 제품의 적용예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하나의 개선예에서 성형부는 홀딩 된 재료로 성형 챔버를 채움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은 실시 형태에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성형 챔버를 채움으로써 매번 그에 상응하게 동일한 윤곽을 갖는 성형부가 형성되도록 특히 규정된 방식으로 형성된다. 특히 스트랜드 제품을 따라서 동일한 형태의 다수의 성형부를 반복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성형부의 복제 가능성이 보장된다. 이 경우, 상기 성형 챔버는 홀딩 된 재료로 완전히 채워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성형 유닛의 개방 이후에 복제 가능한 규정된 외부 윤곽을 갖는 성형부가 주어진다. 이때 특히 이와 같은 유형의 성형부는 상응하는 장점들이 있는 사출 성형 부품과 유사하게 제조된다.
성형 챔버는 바람직하게, 성형 유닛의 다수의 몰드 캐비티(mold cavity)가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성예에서 특히 상기 성형 유닛의 개방 및 폐쇄는, 상기 다수의 몰드 캐비티가 폐쇄를 위해 결합하여, 공동으로 상기 성형 챔버를 형성하고, 개방을 위해 상기 몰드 캐비티들이 상응하게 재차 서로 분리되고, 그 결과 상기 성형 챔버도 개방되어, 형성된 성형부를 해방함으로써 구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몰드 캐비티들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적합한 제1 변형예에서 재료를 홀딩하기 위해 몰드 캐비티들은 바람직하게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고, 그런 다음 결합 상태에서 성형 챔버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그리고 특히 단순한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성형 챔버는 원통형 공동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공동부는 2개의 반원통형 몰드 캐비티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를 포함하고, 폐쇄 상태에서 상기 관통부를 통해 적어도 코어 또는 홀딩 되지 않고 남아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감소한 케이싱을 구비한 이와 같은 코어가 가이드 된다. 다른 말로 하면: 성형 유닛은 바람직하게, 특히 상기 성형 유닛의 폐쇄 상태에서도 스트랜드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배출 개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성형 유닛의 폐쇄시 상기 몰드 캐비티들은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바람직하게 수직으로, 대안적으로 적합한 각도를 형성하며 접근함으로써, 그 결과 케이싱 내부로 맞물리고, 홀딩 된 재료는 상기 공동부 내에서 수집된다. 그런 다음,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상응하는 길이 위치에 확장부가 형성된다. 이때 바람직한 하나의 개선예에서 상기 공동부의 케이싱면을 상응하게 모방 절삭(profiling)함으로써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나선이 형성된다.
적합한 하나의 추가 예시적인 형성예에서 성형 유닛은 단지 특히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소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들의 가장자리는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간극을 통해 스트랜드 제품이 이송된다. 이 경우,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케이싱 내부로 상기 벽들이 접근함으로써, 다시 말해 압출 성형 유닛 하류에서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지름보다 더 작은 상기 간극의 특정 폭을 설정함으로써, 재료가 이와 같은 벽들에서 보류된다. 이때 상기 성형 유닛은 특히 스트리핑 유닛의 방식으로 작용하고, 이때 스트리핑 된 재료는 홀딩 된 재료로서 상기 성형 유닛의 벽들에서 성형부를 형성하기 위해 수집된다.
적합한 제2 변형예에서 몰드 캐비티들은 각각 하나의 회전 소자 상에 장착되어 있고, 회전에 의해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된다. 이와 같은 형성예에 의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연속 제조의 개념에서 몰드 캐비티들의 주기적인 형성이 이루어진다. 추가로 상기 회전 소자에 의해 상기 몰드 캐비티들은 회전 방향에 따라서 이송 방향으로, 또는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추가적인 속도 성분을 갖는다. 그럼으로써 특히 스트랜드 제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몰드 캐비티들의 상대적 속도가 설정되고, 그 결과 예를 들어 말하자면 함께 작동하는 몰드 캐비티들의 경우, 바람직한 방식으로 생산 속도도 현저히 증가한다. 이는, 성형 유닛의 통상적으로 기계적인 접근 및 배출, 일반적으로는 개방 및 폐쇄가 특정한 최소한의 시간을 요구하고, 상기 시간에 경우에 따라서 아직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동한 성형 유닛에 의해 이미 지나치게 많은 재료가 홀딩 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성형 유닛은 바람직하게 상기 스트랜드 제품과 함께 이송된다. 이와 같은 원리는 바람직하게 회전 소자들에 장착된 몰드 캐비티들과 무관하게 적용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주기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성형 유닛에서 적용된다.
바람직한 하나의 개선예에서 회전 소자들은 추가적으로 특히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며 이동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선택적으로 스트랜드 제품에 접근할 수 있거나, 또는 이와 같은 스트랜드 제품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회전 소자들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스트랜드 제품을 따라서 2개의 성형부의 간격은 상기 회전 소자들의 둘레 길이에 의존하기 때문에, 즉 몰드 캐비티들이 이동하는 트랙의 길이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응하게 큰 간격들을 위해 우선 그에 상응하게 큰 회전 소자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는 이동 가능한 회전 소자들에 의해 바람직하게 방지되는데, 그 이유는 이때 이와 같은 유형의 회전 소자들은 단지 필요에 따라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접근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회전 소자들은 제조시 우선 몰드 캐비티들을 함께 이송시킴으로써 특히 생산 속도의 증가에 이용되는 반면, 2개의 성형부의 서로에 대한 간격은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소자들이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접근하는 시점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과도하게 큰 회전 소자를 사용할 필요 없이, 성형부들이 상기 스트랜드 제품을 따라서 현저히 더 큰 간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이송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수직으로 진행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소자가 적합하다. 상기 회전 소자에 제공된 몰드 캐비티는 그에 상응하게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때 일차적으로는 위에서 이미 기술된 개념에서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몰드 캐비티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전 소자에 제공된 몰드 캐비티는 본 출원서에서 특히, 상기 회전 소자가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 축은 스트랜드 제품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진행하며, 그 결과 상기 몰드 캐비티는 이송 방향으로, 또는 이와 같은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접근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각각의 몰드 캐비티는 회전 소자 상에서, 예컨대 회전 링, 롤러 상에서, 또는 체인에서, 상기 회전 소자의 회전 또는 이송에 의해 상기 몰드 캐비티가 특정 트랙 상에서, 특히 예컨대 원형 트랙인 둘레 트랙 상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편심의, 타원형의, 또는 다르게 형성된 회전 소자가 적합하며, 그 결과 해당 몰드 캐비티는 그에 상응하는 트랙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경우, 특히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몰드 캐비티는 각각 반복적으로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접근하고, 이때 다수의 몰드 캐비티가 결합함으로써 성형 챔버가 형성된다. 이때 원칙적으로, 적합한 하나의 변형예에서 특히 서로 다른 다수의 몰드 캐비티를 각각의 회전 소자에 장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단 하나의 성형 유닛에 의해 서로 다른 성형부들이 필요에 따라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형성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서로 다른 다수의 성형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위에서 언급된 회전 가능한 몰드 캐비티들과 관련하여, 성형부를 성형하기 위해 사용된 상기 몰드 캐비티들의 윤곽은 바람직하게 몰드 캐비티의 비직선 이동 경로에 적합하게 조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각각의 몰드 캐비티는 바람직하게 구부러진 외부 윤곽을 갖는다. 다른 말로 하면: 몰드 캐비티는 회전 소자의 둘레 트랙에 적합하게 조정됨으로써, 그 결과 스트랜드 제품에서 상기 몰드 캐비티가 구를 때 규정된, 예컨대 직선의 윤곽을 갖는 상응한 길이의 성형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하나의 변형예에서 몰드 캐비티들은 각각 이동 소자에 의해 제공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특히 지지 되어 있거나, 또는 매달려 있다. 상기 이동 소자는 특히 상기 몰드 캐비티들의 결합시 그리고 일반적으로 상기 몰드 캐비티들의 결합 상태에서 몰드 캐비티의 이동 및/또는 회전을 구현하고, 그럼으로써 성형 챔버의 개방 및 폐쇄시 어느 정도의 공차를 허용한다. 이동 소자들로는 예를 들어 각각의 스프링 소자들, 유압 소자들, 레일들 또는 선형 베어링들이 적합하다. 이 경우, 상기 이동 소자들은, 결합시 상기 몰드 캐비티들이 자동으로 이완되거나, 또는 능동 제어 장치에 의해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이동 소자들로서 리니어 모터들(linear motors) 또는 유사한 작동기들이 적합하다. 적합한 모든 이동 소자들의 중요한 특징은 특히, 이와 같은 이동 소자들이 각각의 몰드 캐비티가 이동하는 트랙의 변형예를 허용한다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이와 같은 변형예는 회전 소자들에 고정된 몰드 캐비티들과 관련이 있는데, 그 이유는 이때 상기 몰드 캐비티들이 이동하는 원칙적으로 구부러진 트랙에도 불구하고, 결합시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직선의 가이드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개의 몰드 캐비티가 성형 챔버로 결합하여, 서로에 대해 가압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몰드 캐비티들은 각각 대략 개별 회전 소자의 회전 축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트랙이 개별 회전 소자의 원형 트랙으로부터 벗어나는데, 이때 활시위(chord) 방식으로 하나의 섹션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상기 몰드 캐비티들은 말하자면 스트랜드 제품과 함께 이동하지만, 이때 계속해서 전체적으로 이송 방향으로, 또는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 이동이 발생한다. 그러나 스트랜드 제품과 몰드 캐비티들이 이와 같이 함께 이동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스트랜드 제품에 대하여 성형 챔버의 상대적 속도가 설정되고, 특히 감소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시간당 동일한 양의 홀딩 된 재료에서 그에 상응하게 더 높은 생산 속도가 가능하다. 특히 높은 생산 속도에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예를 들어 스트랜드 제품의 지름의 대략 두 배에 상응하는 단지 작은 치수를 갖는 성형부들도 여전히 우수하게 형성된다.
특히 적합한 하나의 형성예에서 몰드 캐비티들은 각각,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이송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바람직하게 폐쇄된 트랙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트랙은 이송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직선 섹션을 포함하고, 그 결과 상기 몰드 캐비티들은 그에 상응하게 섹션 방식으로 스트랜드 제품에 대해 평행하게 가이드 되며, 그에 따라 특히 높은 이송 속도에서도 최적으로 폐쇄된 성형 챔버에서 성형 유닛과 스트랜드 제품 사이의 거의 임의의 상대적 속도가 구현된다.
각각의 몰드 캐비티는 바람직하게 이송 벨트, 이송 밴드, 이송 로프에 의해, 또는 체인에 의해, 그리고 특히 캐터필러 구동장치(caterpillar drive)의 방식으로 트랙을 따라 이동한다. 이 경우, 원칙적으로 거의 임의의 트랙들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사실은 트랙의 하나의 부분 섹션이 직선 섹션으로서 이송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평행하게 진행한다는 것은 특히, 각각의 몰드 캐비티가 이송 방향으로, 또는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혹은 선택적으로 이송 방향 또는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에서 성형부의 형성은 케이싱의 변형에 의해, 실질적으로 특히 스트랜드 제품에 대하여 성형 유닛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달성된다. 이를 위해, 특히 단순한 하나의 형성예에서 성형 유닛은 바람직하게 우선 특히 압출 성형 유닛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이송 방향으로 이송 속도와 비교하여 더 낮은 속도를 가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성형 유닛을 통해 스트랜드 제품이 이송될 때 이와 같은 성형 유닛은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송 방향으로 상기 성형 유닛 상류에서 재료가 홀딩 됨으로써, 그 결과 특히 상기 스트랜드 제품을 기준으로 전방측 성형부가 형성된다.
반면에 바람직한 하나의 변형예에서 재료가 홀딩 될 때 성형 유닛은 이송 방향으로, 스트랜드 제품의 이송 속도보다 더 높은 사전 결정된 속도로 이동한다. 이 경우,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그에 상응하게 상기 성형 유닛에 의해 재료가 이송 방향으로 상기 성형 유닛 하류에서 홀딩 되고, 그 결과 재차 상기 스트랜드 제품을 기준으로 후방측 성형부가 형성된다. 특히 이와 같은 서로 다른 2개의 상대적 이동을 결합함으로써 제조 이후에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스트랜드 제품이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전방측 및 후방측에 배치된 성형부를 갖도록, 예를 들어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단부측에 배치된 2개의 플러그 하우징 또는 소켓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이송 방향으로 연속하는 2개의 길이 위치 사이에 본식 스트랜드 제품 섹션이 형성되는데, 상기 스트랜드 제품 섹션은 성형부들을 갖지 않고, 그에 따라 특히 성형 유닛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이와 같은 성형 유닛을 관통하여 가이드 되거나, 또는 이와 같은 성형 유닛을 스쳐 지나가도록 가이드 된다. 이 경우, 상기 스트랜드 제품은 이와 같은 본식 스트랜드 제품 섹션 상에 그에 상응하게 본식의 벽 두께를 갖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식 스트랜드 제품 섹션은 바람직하게, 성형부가 배치되어 있는 성형부 섹션의 길이보다 현저히 더 긴 길이를 갖는다. 각각의 성형부 섹션은 예를 들어 몇 밀리미터 내지 몇 미터 범위 내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본식 스트랜드 제품 섹션은 예를 들어 몇 센티미터 내지 몇십 미터 범위 내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길이 비에 대해 특히 큰 값 범위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성형부 사이의 본식 스트랜드 제품 섹션의 길이는 각각 상기 스트랜드 제품 섹션에 연결되는 성형부 섹션들의 대략 5000배까지 또는 대략 10배까지이다. 가능한 하나의 변형예에서 성형부 섹션의 길이는 대략 5㎜이고, 본식 스트랜드 제품 섹션의 길이는 대략 25m이다. 특히 상기 성형부 섹션은 단지 단부측에서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하나의 단부 또는 2개 모두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성형부들은 예를 들어 케이블 또는 튜브의 단부 부재들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하나의 개선예에서 적어도 2개의 몰드 캐비티가 동일한 직선 섹션을 따라서, 그리고 특히 동일한 트랙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몰드 캐비티는, 특히 상기 트랙을 따라서 측정되는 설정 가능한 몰드 캐비티 간격을 갖는다. 그럼으로써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스트랜드 제품에서 규정된 간격, 말하자면 상기 몰드 캐비티 간격을 갖는 연속하는 2개의 성형부가 제조된다.
특히 바람직한 하나의 개선예에서 직선 섹션을 따라서 적어도 2개의 몰드 캐비티가 이동할 때 몰드 캐비티 간격은 특히 연속적으로 변경됨으로써, 그 결과 바람직하게 스트랜드 제품에 전방측 및 후방측 성형부가 특히 동시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몰드 캐비티는, 각각 적합한 제2 트랙을 따라서 이동하는 하나의 추가 몰드 캐비티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성형 챔버 중 각각 하나의 성형 챔버에 속한다. 그런 다음, 바람직하게 0인 몰드 캐비티 간격에 의한 폐쇄시 2개의 성형 챔버는 폐쇄되고, 상기 성형 챔버들은 다음에서 이송 방향으로 상기 몰드 캐비티 간격의 확대에 의해, 일반적으로 변경에 의해 말하자면 서로 분리된다.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 그에 상응하게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 2개의 성형부가 형성된다. 하나의 개선예에서는 이와 같은 2개의 성형부 사이에 적합한 방식으로 노출된 길이 섹션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된 길이 섹션에서 스트랜드 제품의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하나의 개선예에서 홀딩 된 재료의 성형 가능성은, 성형 유닛, 특히 성형 챔버가 재료의 홀딩 공정 시 온도 조절됨으로써, 다시 말해 특히 가열 또는 냉각됨으로써 개선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홀딩 된 재료와 접촉하는 각각의 몰드 캐비티가 온도 조절된다. 온도 조절은 예를 들어, 상기 성형 챔버가 압출 성형 헤드와 유사한 온도로 가열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냉각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럼으로써, 상기 홀딩 된 재료는 변형을 위해 특히 적합한 점성을 갖는다. 이 경우, 특정 온도로의 온도 조절은 무엇보다 특히 케이싱의 재료 및/또는 예컨대 점성과 같은 목표한 성형 특성에 의존한다.
성형 챔버의 개방시 또는 개방 이후에 성형 유닛에 의해 형성된 성형부의 형태 및 윤곽을 특히 정확하게 얻기 위해, 상기 성형 챔버는 특히 홀딩 공정 이후에, 그리고 개방 이전에 바람직하게 온도 조절되는데, 특히 냉각된다. 이 경우, 성형부로 변형된 상기 홀딩 된 재료가 경화되고, 그에 상응하게 제공된 형태로 유지된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계속해서 청구항 제20항에 따른 스트랜드 제품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이전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스트랜드 제품은 케이싱으로부터, 즉 상기 케이싱을 위해 사용된 재료로부터 형성된 성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부를 위해 케이싱 재료가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싱은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부에 이웃하여 다른 형상을 갖는데, 특히 변경된, 더 멀리 떨어진 상기 케이싱의 정상 섹션들보다 특히 감소한 벽 두께를 갖는다. 이 경우, 이웃한 섹션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성형부에 바로 연결되는 케이싱 섹션을 의미한다. 정상 섹션들은 그 구조가 변경되지 않고 압출 성형 공구에 의해, 특히 노즐에 의해 사전 결정되어 있는 케이싱 섹션들을 의미하는데, 즉 재료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은 케이싱 섹션들을 의미한다. 이 경우, 이웃한 영역의 길이는, 제거된 케이싱 부피가 상기 케이싱 재료로부터 형성된 성형부의 부피에 상응하도록 결정된다. 이때 상기 스트랜드 제품은 상기 정상 섹션들 내에서 통상적으로 공칭 지름을 갖는 반면, 직접 이웃하는 상기 케이싱 섹션들은 상기 공칭 지름과 비교하여 더 작은 지름을 갖는다.
그에 상응하는 스트랜드 제품에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케이싱과 특히 단단하게, 그리고 특히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주조 또는 분사된 성형부와 다르게, 상기 성형부의 재료가 상기 성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저온의 케이싱 상에 제공되지 않고, 오히려 제조시 아직 성형 가능한 화합물로부터 형성된다는 특별한 장점이 주어진다. 그럼으로써, 성형부와 케이싱 사이에 경계층이 존재하지 않고, 오히려 상기 케이싱과 상기 성형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주조 또는 분사된 성형부의 경우, 불가피하게 성형부와 케이싱 사이에서 불완전한 재료 결합 및 그에 상응하는 경계층이 주어진다. 주조 또는 분사 공정 시 완전한 재료 결합을 위한 케이싱의 완전한 용융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그에 상응하게 열적으로 영향을 받아 손상될 수도 있는 스트랜드 제품의 코어에 위험을 초래한다. 특히 오버몰딩 공정 시 특히 열적 부하에 추가하여 기계적 부하도 발생하는 경우에 많은데, 상기 기계적 부하는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보압(holding pressure)을 통해 손상을 야기한다. 그러나 본 출원서에서 기술되는 스트랜드 제품의 경우, 영향을 받지 않은, 다시 말해 완전히 결점 없는 코어에서 특히 완전한 재료 결합이 구현된다.
성형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복잡한 구조들도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성형부는 길이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특히,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횡단면과 상이한 횡단면을 갖고, 이때 특히 성형부 섹션 상에서 벽 두께는 본식 스트랜드 제품 섹션 상의 벽 두께에 대하여 변경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임의의 크기들, 다시 말해 벽 두께들을 갖는 성형부들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특히 재료가 폐기되지 않은 성형부는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본식 스트랜드 제품 섹션 상에서, 다시 말해 성형부가 없는 섹션 상에서 스트랜드 제품의 벽 두께보다 더 큰 최대 치수를 갖는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성형부는 바람직하게, 성형부가 없는 스트랜드 제품의 벽 두께의 수배에 상응하고, 예를 들어 20배까지 더 큰 벽 두께를 갖는다.
제1 변형예에서 성형부는 바람직하게 나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와 같은 나선은 케이싱을 중심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 상에는 대응부가 나사 연결될 수 있다.
추가의 대안예들에서 성형부는 플랜지, 소켓으로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적어도 이와 같은 유형의 소자들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바람직한 형성예들에서 성형부는 원뿔, 예를 들어 외부 둘레에서 특히 균일하게 분포하여 제공된 소수의 웨브 또는 블레이드, 혹은 트로프형(trough-like)의 공동부들의 방식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압착부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 보완적으로 케이싱 둘레에 대안적으로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형성예에서 스트랜드 제품은 케이블이고,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코어는 케이블 코어이며, 상기 케이블 코어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를 포함하고, 적합한 변형예들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 라인, 부분 케이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케이블 코어는 적합한 하나의 개선예에서 차폐부, 외피 또는 코팅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 코어 상에는 케이싱이 압출 성형 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을 따라서 소수의 성형부가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직접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변형예에서 스트랜드 제품은, 공동부를 포함하는 튜브 코어를 구비한 튜브, 특히 튜브 패킷이다. 상기 공동부는 특히 하나 또는 다수의 케이블, 라인 또는 매질 호스가 관통하도록 이용되거나, 또는 직접 매질의 이송에 이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계속해서 청구항 제25항의 특징들을 갖는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이를 위해, 이와 같은 장치는 압출 성형 유닛 및 길이 방향으로 이와 같은 압출 성형 유닛 다음에 연결된 성형 유닛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성형 유닛은 특히 캐리어에 배치되어 있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성형부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성형 유닛은 상기 캐리어에 의해 케이싱에 반복적으로, 특히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형성예에서 성형 유닛 및 압출 성형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압출 성형 헤드는 하이브리드 성형 유닛으로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계속해서 상기 캐리어 및/또는 상기 성형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특히, 케이싱에서 규정된 방식으로 압출 성형 속도와 결합한 성형 유닛의 공정이 보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성형 유닛은 존재하는 압출 성형 유닛들 또는 압출 성형 설비들을 위한 레트로 피트 부품(retrofit part)으로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성형 유닛 자체는 마찬가지로 ―상기 압출 성형 유닛과 무관하게― 자체적으로 진보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각 개략적으로:
도 1은 성형부들을 형성하기 위해, 압출 성형 유닛 및 성형 유닛을 관통하여 가이드 되는 스트랜트 제품을 도시하고,
도 2a는 스트랜드 제품에 전방측 성형부들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 유닛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며,
도 2b는 후방측 성형부들을 형성하기 위한 도 2a에 따른 성형 유닛의 용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스트랜드 제품 및 도 2a에 따른 성형 유닛의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4a는 성형 유닛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고,
도 4b는 하이브리드 성형 유닛을 도시하며,
도 5는 성형부들을 구비한 스트랜드 제품을 섹션 방식으로 도시하고,
도 6은 성형 유닛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며,
도 7a 내지 도 7c는 성형 유닛의 제4 변형예의 용도에서 각각 하나의 방법 단계를 도시하고,
도 7d는 성형 유닛의 제5 변형예에서 몰드 캐비티들을 구비한 회전 소자를 도시하며,
도 7e 내지 도 7g는 성형 유닛의 제6 변형예를 이용한 도 7a 내지 도 7c에 따른 방법 단계들을 도시하고,
도 8a는 성형 유닛의 제7 변형예를 도시하며,
도 8b 내지 도 8d는 성형 유닛의 제8 변형예의 용도에서 각각 하나의 방법 단계를 도시하고,
도 9a 내지 도 9f는 성형부를 구비한 케이블로서 스트랜드 제품의 각각 하나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10은 성형부를 구비한 튜브로서 스트랜드 제품의 하나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스트랜드 제품(2)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기본 단계들은 우선 도 1에 의해 설명된다. 이와 같은 도 1은 종단면도에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스트랜드 제품(2)을 도시하는데, 상기 스트랜드 제품은 내부에 놓인 코어(4) 및 이와 같은 코어 상에 제공된 케이싱(6)을 포함한다. 본 도면에서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은 코어를 구비한 케이블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어는 그에 상응하게 케이블 코어이며,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수의 도체, 리드, 라인 및/또는 부분 케이블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은 튜브이고, 이때 상기 코어(4)는 그에 상응하게 튜브 코어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싱(6)이 특히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의 외부 케이싱이지만, 상기 방법의 대안적인 하나의 형성예에서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은 추가로 더 가공되는데, 즉 반제품으로서 제조된다. 상기 케이싱(6)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코어(4)는 우선 이송 방향(F)으로 압출 성형 유닛(8)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압출 성형 유닛에 의해 사전 결정된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이 케이싱(6)으로서 상기 코어(4) 상에 압출 성형 된다.
이송 방향(F)으로 상기 압출 성형 유닛(8) 다음에는 성형 유닛(1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은 상기 성형 유닛에 공급된다. 이 경우, 특히 이송 속도, 다시 말해 본 도면에서는 특히 압출 성형 속도 및 상기 압출 성형 유닛(8)에 대하여 상기 성형 유닛(10)의 간격(A)은, 재료가 상기 성형 유닛(10)에 도달할 때 상기 케이싱(6)의 재료가 아직 성형 가능하도록 선택된다. 그런 다음, 이와 같은 성형 유닛(10)에 의해 상기 케이싱(6)의 재료의 하나의 부분이 홀딩 되어 성형부(1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상기 성형부(12)는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의 케이싱(6)으로부터 직접 형성된다.
도 1에는 예시적으로 상기 케이싱(6)의 원통형 확장부로서 구현된 성형부(12)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성형부는 추가로 단지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의 특정 성형부 섹션(A1) 상에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성형부 섹션에는 상기 케이싱(6)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벽 두께(W)를 갖는 스트랜드 제품 섹션(A2)이 연결된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추가로 다수의 성형부(12)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길이 위치들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길이 방향(L)으로 연속하는 2개의 성형부(12) 사이에서 상기 성형 유닛(10)으로부터 특히 영향을 받지 않은, 특정 길이를 갖는 스트랜드 제품 섹션(A2)이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중요한 단계는 성형 유닛(10)에 의한 케이싱(6)의 재료의 홀딩 공정이다. 이와 같은 과정은 예시적으로 도 2a의 성형 유닛(10)의 제1 변형예에서 종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이 경우, 상기 성형 유닛(10)은 이동 방향(V)으로 이동 가능한 2개의 벽(16)을 포함하는데, 상기 벽들은 설정 가능한 폭(B)을 갖는 갭형(gap-like) 개구(18)를 형성한다. 스트랜드 제품(2) 및 상기 스트랜드 제품의 압출 성형 된, 아직 성형 가능한 케이싱(6)은 이제,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이 상기 개구(18)를 통해 안내되도록 상기 성형 유닛(10)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개구(18)의 폭(B)이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의 지름(D)보다 작으면, 상기 케이싱(6)의 재료의 하나의 부분이 상기 벽들(16)에서 수용되어, 그곳에서 홀딩 또는 차단된다.
이 경우, 이동 방향(V)으로 상기 벽들(16)을 이동함으로써, 홀딩 공정이 이루어지는지, 또는 이루어지지 않는지가 결정된다. 이때 재료를 홀딩하기 위해, 상기 벽들이 상기 케이싱(6) 내부로 맞물리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랜드 제품(2)과 함께 이송 방향(F)으로 이송된 재료에 대하여 장애물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벽들(16)은 결합한다. 도 2a에서는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의 이송 속도 및 본 도면에서 압출 성형 유닛(8)을 기준으로 고정된 상기 성형 유닛(10)의 위치로 인해, 상기 이송 방향(F)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스트랜드 제품(2)에 대하여 상기 성형 유닛(10)의 상대적 이동(R)이 주어진다. 그럼으로써, 이송 방향(F)으로 상기 벽들(16) 상류에서 재료가 홀딩 되고, 그 결과 특히 전방측 성형부(12a)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의 변형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이송 방향(F)과 반대 방향으로 성형 유닛(10)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상대적 이동(R)이 그에 상응하게 강화된다. 다른 하나의 대안예에서는 이송 속도보다는 더 낮은 속도로 이송 방향(F)으로 추가적인 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계속해서 전방측 성형부(12a)가 형성되는데, 비교적 느리게 형성된다. 이는 특히 높은 이송 속도들에서 바람직한데, 특히 단지 적은 재료만이 차단되어야 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도 2a에서는 그에 상응하게 재료를 홀딩하기 위해, 상기 성형 유닛(10)이 폐쇄 상태로 나타나 있다. 성형부(12)가 완성되면, 상기 성형 유닛(10)은 개방되는데, 다시 말해 개방 상태로 전환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성형부(12)가 해방된다. 이를 위해,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벽들(16)이 이동 방향(V)으로 상기 스트랜드 제품(2)으로부터 멀어지고, 그 결과 상기 케이싱(6) 내부로 더는 맞물림이 발생하지 않고, 그에 상응하게 차단된 재료는 성형부(12)로서, 더 정확하게는 전방측 성형부(12a)(전방부로도 언급됨)로서 이송 방향(F)으로 상기 성형 유닛(10)으로부터 자동으로 외부로 이송된다.
도 2a에 따른 상기 성형 유닛(10)의 대안적인 하나의 용도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2b에서 성형 유닛(10)은 추가적으로 이송 방향(F)으로 이동하는데, 말하자면 스트랜드 제품(2)의 이송 속도보다 더 높은 속도로 이동한다. 그럼으로써, 이송 방향(F)으로 상기 스트랜드 제품(2)에 대하여 상기 성형 유닛(10)의 상대적 이동(R)이 주어지고, 그 결과 성형부(12)를 후방측 성형부(12b)로서 형성하기 위해, 그에 상응하게 상기 성형 유닛(10) 하류에서 케이싱(10)의 재료가 쌓인다.
도 3은 도 2a 및 도 2b의 성형 유닛(10)을 정면도로 도시한다. 이 경우, 벽들(16)은 각각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20) 내부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갭형 개구(18)가 주어진다. 본 도면에 나타나 있는 성형 유닛(10)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갭이 적어도 이동 방향(V)으로 폭(B)을 갖고, 상기 폭은 상기 성형 유닛(10) 상류에서 아직 변형되지 않은 케이싱(6)을 구비한 스트랜드 제품(2)의 지름(D)보다 더 작다는 사실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성형 유닛(10)의 고려 가능한, 적합한 다수의 형성예 중에서 특히 단순한 단 하나의 형성예만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대안적으로, 각각 스트랜드 제품(2)을 향하는 개별 벽(16)의 에지가 본 도면의 경우처럼 직선으로 구현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예를 들어 원형 또는 그 밖의 형태의 개구(18)가 주어지도록 구현되어 있는 성형 유닛(10)이 사용된다.
도 4a에는 성형 유닛(10)의 제2 변형예가 나타나 있고, 이때 이와 같은 성형 유닛은 다수의, 본 도면에서는 2개의 몰드 캐비티(22)를 포함하는데, 상기 몰드 캐비티들은 도 2a 및 도 2b의 경우와 유사하게 특히 이송 방향(F)에 대해 수직인 이동 방향(V)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상기 2개의 몰드 캐비티(22)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성형 유닛(10)은 폐쇄되고, 성형 챔버(24)가 형성되는데, 상기 성형 유닛(10)을 통해 스트랜드 제품(2)이 이송될 때 상기 성형 챔버 내부에는 홀딩 된 재료가 수집된다. 이때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성형 유닛(10)은 상기 성형 챔버(24)가 케이싱(6)의 홀딩 된 재료로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그런 다음 개방됨으로써, 그 결과 상기 성형 챔버(24)의 사전 설정 사항에 상응한 규정된 윤곽을 갖는 성형부(12)가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성형 유닛(10)은 상기 성형 챔버(24)가 재료로 완전히 채워지기 전에 이미 복귀한다.
도 4a,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서도, 상기 성형부(12)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6)의 재료는 단지 변형되고, 상기 홀딩 된 재료는 상기 성형 유닛(10)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은 나머지 재료와 항상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는 사실이 확실해진다. 그럼으로써, 상기 성형부(12)와 상기 케이싱(6)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서 특히 우수한 재료 결합이 보장된다.
도 4b는 도 4a의 성형 유닛을 도시하는데, 이때 본 도면에서 압출 성형 유닛(8)과 성형 유닛(10) 사이의 간격(A)은 0이며, 그 결과 상기 압출 성형 유닛(8)과 상기 성형 유닛(10)은 하이브리드 성형 유닛(27)으로 통합되어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성형 유닛(10)은 상기 압출 성형 유닛(8) 내부에 말하자면 통합되어 있다. 이 경우, 스트랜드 제품(2)은 우선 상기 압출 성형 유닛(8)의 압출 성형 헤드에 공급되고, 상기 압출 성형 헤드에서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채널들(8a)을 통해 케이싱(6)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제공된다. 그런 다음,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은, 바로 주기적으로 그에 상응하는 성형부들(12)이 형성되는 상기 성형 유닛(10) 내부에 도달하고, 이때 상기 재료는 사라진 간격(A)으로 인해 바람직한 방식으로 최대 성형 가능성을 갖는다. 도시되지 않은 하나의 대안예에서는 변형시 추가 재료를 공급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채널들(8a)이 성형 유닛(10)의 성형 챔버(24)와도 연결되어 있다.
예시적인 하나의 스트랜드 제품(2)은 도 5에 섹션 방식으로, 그리고 종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이 경우, 본 도면에 도시된 스트랜드 제품(2)은, 본 도면에서 전방측 성형부(12a)로서 제조된 각각 하나의 성형부(12)를 구비한 다수의 성형부 섹션(A1) 및 개별 성형부(12)에 연결되는, 본식으로 구현된 케이싱(6)을 구비한 스트랜드 제품 섹션들(A2)을 포함한다. 그 밖에, 성형부들(12)의 전방측에서 상기 케이싱(6)이 완전히 제거되었고, 이때 그에 상응하는 재료는 성형 유닛(10)에 의해 홀딩 되어 상기 성형부(12)로 변형되었다. 그럼으로써 본 도면에서 케이싱 없는 자유 섹션(A3) 상에, 본 도면에서 특히 2개의 리드(26)를 포함하는 코어(4)가 나타난다. 이와 같은 자유 섹션들(A3)에서는 우선 연속 제품으로서 제조된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이 바람직하게, 그리고 특히 간단하게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다수의 스트랜드 제품 부분으로 분할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위한 성형 유닛(10)의 제3 변형예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 성형 유닛(10)은 본 도면에서, 이송 방향(F)에 대해 수직으로 진행하는 회전 축(DA)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한 2개의 회전 소자(2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 축들(DA)은 본 도면에서 특히 서로 평행하다. 이 경우, 스트랜드 제품(2)은 상기 회전 소자들(28) 사이를 관통하여 이송된다. 이때 상기 회전 소자들(28)의 개별적인 회전 소자의 둘레 상에는 케이싱(6)의 재료로부터 성형부들(12)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 캐비티(22)가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 소자들(28)은 이 회전 소자들의 개별적인 회전 축(DA)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은 각각 둘레 방향(U)으로 상기 둘레를 따라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 소자들(28)의 회전 속도와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의 이송 속도를 상응하게 조정함으로써, 상기 스트랜드 제품(2)에 대하여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의 상대적 이동(R)이 설정된다. 그런 다음, 특히 연속적인 회전 공정에 의해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스트랜드 제품(2)의 케이싱(6)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특정 길이 간격들로 그에 상응하게 길이 방향(L)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 다수의 성형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소자들(28)은 이송 방향(F)에 대해 수직으로, 본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설정 가능한 축 간격(AA)을 갖는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회전 소자들(28)은 각각 상기 스트랜드 제품(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은 필요에 따라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접근하거나, 또는 이와 같은 스트랜드 제품으로부터 멀어진다. 이 경우, 상기 회전 소자들(28)은 제조시 우선 상기 몰드 캐비티들을 함께 이송시킴으로써 생산 속도의 증가에 이용된다. 반면 2개의 성형부(12)의 서로에 대한 간격은 상기 회전 소자들(28)이 상기 스트랜드 제품에 접근하는 시점에 의해 결정된다.
도 7a 내지 도 7c에는 도 6에 따른 어레인지먼트에 기초한 성형 유닛(10)의 제4 변형예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제4 변형예의 경우, 하나의 회전 소자(28)에 특히 서로 다른 다수의 몰드 캐비티(22)가 장착되어 있고, 이때 상기 몰드 캐비티들에 의해 그에 상응하게 서로 다른 성형부들(12), 본 도면에서 특히 전방측 성형부들(12a) 및 후방측 성형부들(12b)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은 상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스트랜드 제품(2)에 접근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조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성형 챔버들(2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 7a는, 상응하는 몰드 캐비티들(22)의 도시된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측 성형부(12a)를 도시한다. 이 경우, 이송 방향(F)으로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을 이송함으로써, 케이싱(6)의 홀딩 된 재료가 상기 형성된 성형 챔버(24) 내부에 수집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성형부(12a)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도 7b에 도시된 둘레 방향(U)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성형 유닛(10)은 개방되고, 본식 스트랜드 제품 섹션(A2)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은 이와 같은 성형 유닛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이송 방향(F)으로 이송된다. 그에 따라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은, 본 도면에서 원형인 트랙(VB)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경우, 도 7c는 동일한 둘레 방향(U)으로 다시 회전함으로써, 그리고 그에 상응하게 다른 2개의 몰드 캐비티(22)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후방측 성형부(12b)를 도시한다. 도 7c의 이와 같은 구조에서 재료를 홀딩하기 위해서는 특히, 이송 방향(F)과 반대 방향으로 스트랜드 제품(2)을 성형 챔버(2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재료의 홀딩 공정 동안에 말하자면,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의 둘레 속도가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의 이송 속도보다 더 높은 방식으로 회전 소자(28)가 계속 회전하고, 이때 대안적으로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의 이송도 멈춤으로써 달성되거나, 또는 회전 소자들(28)이 도 7c에 도시된 위치에 고정되고, 반면에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은 본래의 이송 방향(F)과 반대 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7d에는 성형 유닛(10)의 제5 변형예의 회전 소자(28)가 도시되어 있고, 이때 몰드 캐비티들(22)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 소자(28)에 제공되어 있거나, 또는 매달려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몰드 캐비티들의 평행 가이드가 달성되는데, 상기 평행 가이드에 의해 상응하는 성형 챔버(24)를 형성할 때 결합한 2개의 몰드 캐비티(22)의 접촉이 개선된다.
도 7e 내지 도 7g는 성형 유닛(10)의 제6 변형예를 도시하고, 이때 몰드 캐비티들(22)은 도 7d의 경우와 유사하게 회전 가능하게 매달려 있고, 이에 대해 추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몰드 캐비티(22)는 이동 소자(30)를 통해 이동 가능하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소자들(30)은 스프링 소자들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2개의 몰드 캐비티(22)의 결합시 이와 같은 몰드 캐비티들은 회전 소자(28)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그에 상응하게 원형 트랙으로부터 벗어나고, 그 대신 상기 몰드 캐비티들은, 섹션 방식으로 이송 방향(F)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트랙(VB) 상에서 이동하는데, 말하자면 평행 섹션(PA) 상에서 이동한다. 그에 따라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은 스트랜드 제품(2)에 접근할 때, 본 도면에서는 회전 축(DA) 쪽으로 이동하고, 그런 다음 상기 평행 섹션(PA)을 따라서 상기 스트랜드 제품(2)에 대해 평행하게 이송되며, 후속하여 재차 상승하는데, 이때 상기 이동 소자(30)는 재차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 경우,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의 회전 가능한 추가적인 형성예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소자들(28)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한 평행 가이드가 구현된다.
도 8a는 성형 유닛(10)의 제7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본 도면에서도 몰드 캐비티들(22)이 회전 소자들(28)의 회전에 의해 둘레 방향(U)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기 성형 유닛은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f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유사하다. 이 경우, 긴 성형부(12)를 형성할 목적으로 회전 공정, 다시 말해 구부러진 트랙(VB) 상에서의 이동 공정을 직선 성형부 윤곽으로 변환하기 위해, 본 도면에서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은 특히 구부러진 외부 윤곽(K)을 갖도록 구현되어 있다.
도 8b 내지 도 8d에는 성형 유닛(10)의 제8 변형예를 이용하여 후방측 및 전방측 성형부(12)를 형성하기 위한 각각 하나의 방법 단계가 나타나 있다. 본 도면에서 회전 소자들(28)은 캐터필러 방식으로 체인들, 벨트들 또는 이송 밴드들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결과 몰드 캐비티들(22)은, 도시된 예시에서 대략 팔각형인 실질적으로 임의로 설계 가능한 트랙(VB) 상에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트랙(VB)은 평행 섹션(PA)을 포함하고, 상기 평행 섹션 상에서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은 특히 결합 상태에서 스트랜드 제품(2)에 대해 평행하게 가이드 된다.
도 8b 내지 도 8d의 예시에서는 각각 하나의 회전 소자(28)에 의해 2개의 몰드 캐비티(22)가 이동하고, 이때 상기 몰드 캐비티들 중 하나의 몰드 캐비티는 전방측 성형부(12a)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고, 다른 몰드 캐비티는 후방측 성형부(12b)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와 같은 2개의 성형부(12a, 12b) 사이에 추가적으로 특히 자유 섹션(A3), 대안적으로는 스트랜드 제품 섹션(A2)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2개의 몰드 캐비티(22)는 트랙(VB)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다른 말로 하면: 개별적인 회전 소자(28)에 장착된 몰드 캐비티들(22)은 서로에 대해 설정 가능한 몰드 캐비티 간격(FA)을 갖는다. 상기 2개의 몰드 캐비티(22) 중 하나의 몰드 캐비티는 다른 회전 소자(28)의 해당 몰드 캐비티(22)와의 결합 상태에서 이송 방향(F)을 따라서 이동하고, 그 결과 상기 몰드 캐비티 간격(FA)은 확장되고, 상기 자유 섹션(A3)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총 4개의 몰드 캐비티(22)에 의해 2개의 성형 챔버(24)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 챔버들은 서로에 대해 이동한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로서 형성된 스트랜드 제품(2)의 각각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도면에서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된 케이블은 각각 하나의 케이블 코어, 다시 말해 본 도면에서 공동 케이싱(6)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리드(26)를 구비한 코어(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케이싱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성형부들(1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 9a는 디스크형 또는 원통형 성형부(12)를 도시하는 반면에, 도 9b에는 케이싱(6)으로부터 원추형 성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9c에서 성형부(12)는,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 정면에 삽입하기 위한 둘레 홈(50)을 구비한 밀봉 소자이다. 도 9d에서 성형부(12)는 나선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9e에서 성형부(12)는, 케이싱(6)으로부터 출발하여 방사 방향으로 외부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L)으로 진행하는 다수의 블레이드(52)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도 9f는 케이싱(6) 내부의 리세스(54)를 도시하는데, 상기 리세스는 특히, 홀딩 된 재료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상기 케이싱(6)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구현되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튜브로서 형성된 스트랜드 제품(2)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도면에서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된 튜브는 코어(4), 다시 말해 본 도면에서 튜브 코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튜브 코어는 예를 들어 더 상세하게 표시되지 않은 내부 케이싱 및 상기 내부 케이싱 상에 제공된 메시(mesh)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튜브에서 상기 코어(2)는 공동부(46)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4) 상에는 케이싱(6)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성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도 9a 내지 도 9f에 도시된 성형부(12)의 각각의 변형예들은 튜브로서 형성된 스트랜드 제품(2)에서도 제조될 수 있다.
스트랜드 제품(2)의 도시된 서로 다른 다수의 실시예는, 성형 유닛(10)의 상응하는 형상에 의해 케이싱(6)으로부터 거의 임의의 성형부(12)가 형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실하게 보여준다.

Claims (26)

  1. 스트랜드 제품(2)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의 코어(4)를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 유닛(extrusion unit)(8)의 압출 성형 헤드(extrusion head)를 통해 이송하고,
    - 상기 압출 성형 유닛(8)을 이용하여, 그리고 추가적인 재료의 공급이 없이 상기 코어(4) 상에 재료를 사전 결정된 벽 두께(W)를 갖는 균일한 케이싱(6)으로서 압출 성형하고,
    - 상기 압출 성형 유닛(8) 하류에서, 그리고 상기 재료가 아직 성형 가능한 동안에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을 이송 방향(F)으로 성형 유닛(molding unit)(10)에 공급하며,
    - 상기 재료의 하나의 부분을 상기 성형 유닛(10)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 방향(F)을 따라서 홀딩(holding)하고, 이때 상기 재료의 바로 그 부분이 나머지 재료에 대하여 이동하며, 그리고
    - 상기 홀딩 된 재료로부터 상기 케이싱(6)에 일체형으로 성형부(molded part)(12)를 형성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부분을 상기 성형 유닛을 이용하여 이송 방향으로 압출 성형 헤드(extrusion head) 하류에서 홀딩 영역 내에 홀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를 홀딩하기 위해, 상기 성형 유닛(10)을 폐쇄하고, 상기 성형부(12)가 형성된 이후에 이와 같은 성형 유닛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성형부(12)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다수의 길이 위치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닛(10)의 성형 챔버(molding chamber)(24) 내부에 상기 홀딩 된 재료를 수용하고, 상기 성형부(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홀딩 된 재료로 상기 성형 챔버(24)를 채움으로써 상기 성형부(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닛(10)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싱(6)을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의 하나의 길이 섹션 상에서 완전히 제거하고, 그럼으로써 자유 섹션(A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후속하여 상기 자유 섹션(A3) 상에서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닛(10)의 다수의 몰드 캐비티(mold cavity)(22)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성형 챔버(2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를 홀딩하기 위해,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은 이동하고,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은 결합 상태에서 상기 성형 챔버(2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을 각각 회전 소자(28) 상에 장착하고, 상기 회전 소자(28)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몰드 캐비티들을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개별적인 몰드 캐비티(22)는 긴 성형부(12)를 형성하기 위해, 구부러진 외부 윤곽(K)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을 각각 이동 소자(30)를 이용하여 제공하고, 이와 같은 이동 소자에 의해 적어도 결합시 상기 몰드 캐비티들은 이동 및/또는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캐비티들(22)은 각각,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이송 방향(F)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트랙(VB)을 따라서, 말하자면 평행 섹션(PA)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몰드 캐비티(22)가 동일한 평행 섹션(PA)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몰드 캐비티(22)는 설정 가능한 몰드 캐비티 간격(F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섹션(PA)을 따라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몰드 캐비티(22)가 이동할 때 상기 몰드 캐비티 간격(FA)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후방측 성형부(12b)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재료의 홀딩 공정 시 상기 성형 유닛(10)은 이송 방향(F)으로, 상기 스트랜드 제품(2)의 이송 속도보다 더 높은 속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이송 방향(F)으로 연속하는 2개의 길이 위치 사이에, 성형부들(12)을 갖지 않는 본식 스트랜드 제품 섹션(A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홀딩 공정 시 상기 성형 유닛(10)을 온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닛(10)을 개방 이전에 온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스트랜드 제품(2)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압출 성형 유닛(8) 및 이와 같은 압출 성형 유닛에 후속하는 성형 유닛(10)을 포함하는,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77036755A 2015-05-22 2016-05-20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스트랜드 제품 KR102092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09394.8A DE102015209394A1 (de) 2015-05-22 2015-05-22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lnes Strangguts sowie Stranggut
DE102015209394.8 2015-05-22
PCT/EP2016/061426 WO2016188900A1 (de) 2015-05-22 2016-05-20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trangguts sowie strangg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118A KR20180019118A (ko) 2018-02-23
KR102092765B1 true KR102092765B1 (ko) 2020-03-24

Family

ID=5611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755A KR102092765B1 (ko) 2015-05-22 2016-05-20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스트랜드 제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19205B2 (ko)
EP (1) EP3297805B8 (ko)
JP (1) JP6532961B2 (ko)
KR (1) KR102092765B1 (ko)
CN (1) CN107848178B (ko)
DE (1) DE102015209394A1 (ko)
WO (1) WO2016188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2542A1 (de) 2016-11-16 2018-05-17 Leoni Kabel Gmbh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trangguts
WO2019015776A1 (en) * 2017-07-20 2019-01-24 Pressan Madeni Esya San. Tic. A.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OWDEN CABLE AND BOWDEN CABLE
CN113021830B (zh) * 2021-02-26 2022-12-27 重庆鸽牌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防火阻燃电缆的生产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6347A1 (en) 1991-03-13 1992-10-01 Hartley Sandt Composite structural element and process for making same
WO2002007948A1 (en) 2000-07-20 2002-01-31 Thermaflex International Holding B.V.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insulated tube
JP2007046772A (ja) * 2005-07-13 2007-02-22 Toyoda Gosei Co Ltd 樹脂パイプおよび樹脂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0228A (en) * 1952-02-19 1956-08-28 Telecommunications Sa Manufacture of tubular insulators for electric conductors
DE922241C (de) * 1952-02-19 1955-01-10 Telecomm Sa Einrichtung zur Herstellung der rohrfoermigen Isolierung eines elektrischen Leiters
US3422648A (en) * 1961-10-02 1969-01-21 Jerome H Lemelson Extrusion apparatus
US3557403A (en) * 1969-01-21 1971-01-26 Jerome H Lemelson Composite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JPS5243231B2 (ko) * 1972-07-29 1977-10-28
JPS5310627B2 (ko) * 1973-02-07 1978-04-14
GB1429691A (en) * 1972-07-29 1976-03-24 Furukawa Electric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vering on an elongate core member
JPS50158659A (ko) 1974-06-14 1975-12-22
JPS51134752A (en) * 1975-05-16 1976-11-22 Sekisui Chemical Co Ltd Method of extrusion molding resin molded article with different thicknesses
US4505033A (en) * 1979-03-12 1985-03-19 Interpace Corporation Methods of making high voltage resistant members
DE2940723C2 (de) * 1979-10-08 1982-12-23 Thyssen Draht Ag, 4700 Hamm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Hochfrequenz-Koaxialkabels
JPS6012213B2 (ja) * 1981-11-04 1985-03-30 大日本プラスチツクス株式会社 合成樹脂被覆長尺体製造装置
US4657050A (en) * 1984-07-25 1987-04-14 Shell Oil Company Pipeline insulation system
US5004574A (en) 1987-12-28 1991-04-02 Hartley Sandt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structural element
US5324557A (en) * 1991-06-06 1994-06-28 Lupke Manfred Arno Alfred Multi-skin annularly ribbed tube
JPH0547220A (ja) * 1991-08-16 1993-02-26 Nhk Spring Co Ltd ケーブルとその製造方法
GB9303618D0 (en) * 1993-02-23 1993-04-07 Phillips Cables Ltd Electric wires and cables and conductors for use in them
JP2731106B2 (ja) * 1993-12-28 1998-03-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JP2620201B2 (ja) * 1994-05-10 1997-06-11 濱名鐵工株式会社 チューブ製造装置
JPH08299032A (ja) * 1995-05-09 1996-11-19 Ykk Kk 成形面ファスナー
US6257863B1 (en) * 1997-10-31 2001-07-10 Industrial Thermo Polymers Limited Extruder dies with shaping means
BR0002371A (pt) * 1999-06-28 2001-01-02 Ykk Corp Fecho de superfìcie moldado, aparelho de moldagem e método de moldagem baseado nos mesmos
DE202007002954U1 (de) * 2007-03-01 2007-04-26 Hegler, Ralph Peter, Dr.-Ing. Vorrichtung zur fortlaufenden Herstellung eines Verbundrohres mit Rohrmuffe
JP5875151B2 (ja) * 2012-03-30 2016-03-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ーネス用外装保護部材とそ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
JP6244223B2 (ja) * 2014-02-28 2017-12-0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保護チューブ
JP6902887B2 (ja) * 2017-03-23 2021-07-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ステップ取付部材、及びステップ取付部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6347A1 (en) 1991-03-13 1992-10-01 Hartley Sandt Composite structural element and process for making same
WO2002007948A1 (en) 2000-07-20 2002-01-31 Thermaflex International Holding B.V.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insulated tube
JP2007046772A (ja) * 2005-07-13 2007-02-22 Toyoda Gosei Co Ltd 樹脂パイプおよび樹脂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7805B1 (de) 2020-04-08
EP3297805B8 (de) 2020-06-03
WO2016188900A1 (de) 2016-12-01
JP2018515376A (ja) 2018-06-14
EP3297805A1 (de) 2018-03-28
CN107848178A (zh) 2018-03-27
DE102015209394A1 (de) 2016-11-24
US20180117820A1 (en) 2018-05-03
JP6532961B2 (ja) 2019-06-19
US10919205B2 (en) 2021-02-16
CN107848178B (zh) 2020-11-13
KR20180019118A (ko) 2018-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765B1 (ko) 스트랜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스트랜드 제품
EP0793567B1 (en) Method of extruding thermoplastic insulation on stator bars
CN107107413B (zh) 用于制造电缆线的方法、用于这种方法的模具和缆线
KR101696923B1 (ko) 통신선용 보호관의 제조장치 및 그 통신선용 보호관
WO2006001951A2 (en) Cast extrusion barrel with integral heat-exchangers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387196B1 (ko) 다중채널덕트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543951A (zh) 包括连续层和不连续层的共挤出多层制品
CN108289544B (zh) 用于制造用于刷子的刷毛区的设备、这种设备的结构系列和用于制造这种设备的方法
KR100875279B1 (ko) 광케이블 다중관 성형장치 및 성형 방법
US8900499B2 (en) Method of and device for producing endless strips
KR20090060954A (ko) 압출성형 공구에 관한 구성 및 방법
CN109562580B (zh) 用于连续制造复合中空结构的头部和系统
BR112017009882B1 (pt) Arranjo de tubo corrugado e método para produzir um arranjo de tubo corrugado
EP1640652B1 (de) Thermisch isoliertes, flexibles Leitungsrohr und Verfahren zur und Vorrichtung für die Herstellung eines Leitungsrohrs
CN109291391B (zh) 一种带信息导线的硅芯管生产工艺
US20150357083A1 (en) Cable structures with multi-material extruded strain relief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8491744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ylindrical, strand-shaped part
CN103847083B (zh) 非连续型材全包覆成型装置及方法
CN103813899A (zh) 圆环状构件成型方法及圆环状构件成型装置
US112892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 extrudate
JP2002137277A (ja) 間欠押出装置及び間欠押出方法並びに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
JP7414423B2 (ja) ダクト型レジスタとその製造方法
WO2014177182A1 (en) Duct assembly and method of its manufacturing
ZA200200774B (en) Apparatus for producing multiple channel duc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CN114434672A (zh) 浸渍模具、浸渍方法及包括浸渍模具的制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