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671B1 -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671B1
KR102092671B1 KR1020130155927A KR20130155927A KR102092671B1 KR 102092671 B1 KR102092671 B1 KR 102092671B1 KR 1020130155927 A KR1020130155927 A KR 1020130155927A KR 20130155927 A KR20130155927 A KR 20130155927A KR 102092671 B1 KR102092671 B1 KR 10209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anediol
catalyst
lithium
dehydratio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9478A (ko
Inventor
김우영
신우균
이고르
Original Assignee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6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J37/0018Addition of a binding agent or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among others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e.g. forming of pores; protective layer, desintegrat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14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B01J27/16Phosphorus; Compounds thereof containing oxygen, i.e. acids, anhydrides and their derivates with N, S, B or halogens without carriers or on carriers based on C, Si, Al or Zr; also salts of Si, Al and Zr
    • B01J27/18Phosphorus; Compounds thereof containing oxygen, i.e. acids, anhydrides and their derivates with N, S, B or halogens without carriers or on carriers based on C, Si, Al or Zr; also salts of Si, Al and Zr with metals other than Al or Z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12Alkadienes
    • C07C11/16Alkadienes with four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6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elimination of -OH groups, e.g. by dehyd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04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9/10Methyl-ethyl ket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alyst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구체의 종류 및 전구체 내 리튬 및 인의 몰비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2,3-부탄디올의 탈수 반응에서 활성도가 높은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PREPARING METHOD OF LITHIUM PHOSPHATE CATALYST FOR DEHYDRATION OF 2,3-BUTANEDIOL}
본 발명은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구체의 종류 및 전구체 내 리튬 및 인의 몰비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2,3-부탄디올의 탈수 반응에서 활성도가 높은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부탄온, 메틸아세톤 등으로 불리우는 메틸에틸케톤은 증기가 강렬하고 달콤한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로, 각종 합성고분자 화합물의 용제, 점착제, 도료, 박리제, 세정제, 인쇄잉크용 용제, 염료용제, 휘발유의 셀룰로이드, 인조가죽, 사진필름 등의 제조 및 유기합성 중간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1,3-부타디엔은 무색 무취의 가연성 기체로 합성고무의 원료가 되는 매우 중요한 기초유분이다. 석유화학 기초 유분을 원료로 사용하여 1,3-부타디엔을 얻을 수 있는 공업적 방법으로는, 납사를 스팀크래킹하여 생성된 C4 유분으로부터 부타디엔을 추출하는 방법, 그리고 부탄이나 부텐을 탈수소화하는 방법, 부텐을 산화탈수소화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상기 메틸에틸케톤, 1,3-부타디엔을 동시에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은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이 대표적이다.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은 고온에서 황산 등 강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반응생성물인 메틸에틸케톤, 1.3-부타디엔의 수율이 높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반응 수율을 높일 수 있는 촉매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에 있어서, 반응 생성물인 메틸에틸케톤, 1,3-부타디엔의 수율이 낮다는 문제를 해결하고, 2,3-부탄디올의 탈수 반응에 있어서 생성물의 수율을 높일 수 있는,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촉매의 제조방법은 (a) 인산염을 포함하는 용액에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리튬 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포함된 제2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고, 상기 침전물을 세척, 건조하여 리튬포스페이트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촉매는 종래의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에 비하여 미확인결정상의 비율이 적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2,3-부탄디올의 탈수 반응에 이용하는 경우, 2,3-부탄디올의 1,3-부타디엔, 메틸에틸케톤으로의 전환율이 높아져 결과적으로 높은 수율로 상기의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 및 도면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어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2,3- 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촉매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촉매의 제조방법은 (a) 인산염을 포함하는 용액에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리튬 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포함된 제2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고, 상기 침전물을 세척, 건조하여 리튬포스페이트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산염을 포함하는 용액은 제2인산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산염을 포함하는 제 1용액에 있어서, 용매는 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증류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수산화나트륨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 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질산리튬일 수 있다.
상기 제2용액에 있어서, 용매는 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증류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산염을 포함하는 용액 내 인(P)과, 리튬 이온 함유 화합물 내 리튬(Li)의 몰비, 즉 Li/P는 0.5~1.5인 것이 바람직하다. Li/P 값이 0.5 미만인 경우에는 촉매의 산성이 염기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강하여 부타디엔 생성이 억제된다는 문제가 있고,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량의 리튬으로 인하여 리튬포스페이트의 생성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조된 본 발명의 촉매는 종래의 리튬포스페이트 촉매 대비 미확인 결정상이 현저히 적게 존재하므로, 기존 촉매에 비하여 높은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촉매를 2,3-부탄디올의 1,3-부타디엔, 메틸에틸케톤의 생산 반응에 이용하는 경우, 반응 활성도가 높아지고 생산 반응도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는 바, 결과적으로 높은 수율로 1,3-부타디엔, 메틸에틸케톤을 수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촉매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촉매를 이용한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NH4)2HPO4 132.06g을 80~100℃, 800 mL 증류수에 첨가하여 인산염 포함 용액을 만들고, 교반중인 상기 인산염 포함 용액에 NaOH 40g을 첨가하고 용해시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였다.
LiNO3 34.5g을 80~100℃, 200 mL 증류수에 첨가하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한 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침전물을 걸러내었다. 상기 침전물을 1L의 증류수로 세척한 후, 세척된 침전물을 110℃에서 18시간 충분히 건조시킨 후 500℃에서 2시간 소성하여 리튬포스페이트 촉매를 제조하고, 제조된 촉매를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포스페이트 촉매를 제조하되, LiNO3을 68.95g 사용하였다. 제조된 촉매는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포스페이트 촉매를 제조하되, LiNO3을 91.4g 사용하였다. 제조된 촉매는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포스페이트 촉매를 제조하되, LiNO3을 103.43g 사용하였다. 제조된 촉매는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에 사용하였다.
비교예 1
Na4P2O7·10H2O 44.6g을 100℃, 100mL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교반 하에서 LiNO3 48.3g이 용해된 400mL, 100℃ 수용액과 섞었다. 2~3 시간 교반 후,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냉각후 여과하여 침전물을 얻은 후, 메탄올 혹은 에탄올 용액으로 충분히 세척하여 잔류 염을 제거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110℃에서 18시간 충분히 건조하고, 이 후 500℃에서 2시간 동안 소성하여 촉매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촉매는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에 사용하였다.
비교예 2
Na4P2O7·10H2O 44.6g을 100℃, 100mL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교반 하에서 LiOH 16.8g이 용해된 400mL, 100℃ 수용액과 섞었다. 2~3 시간 교반 후,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냉각후 여과하여 침전물을 얻은 후, 메탄올 혹은 에탄올 용액으로 충분히 세척하여 잔류 염을 제거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110℃에서 18시간 충분히 건조하고, 이 후 500℃에서 2시간 동안 소성하여 촉매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촉매는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에 사용하였다.
평가 - 제조된 촉매를 이용하여 2,3- 부탄디올로부터 1,3-부타디엔 및 메틸에틸케톤을 제조
(1) 제조방법
먼저, 2,3-부탄디올을 기화시켜 기화물을 얻고, 상기 기화물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와 반응시킴으로써 1,2-부타디엔 및 메틸에틸케톤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2,3-부탄디올 기화물에 불활성 가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물을 상기 제조된 리튬 포스페이트 담지 촉매와 반응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2,3-부탄디올 용액을 펌프를 통해 일정한 속도로 증발 구역에 주입하였다. 상기 증발 구역은 2,3-부탄디올이 완전히 기화될 수 있도록 200~250℃로 유지하였다. 증발 구역에서 기화된 2,3-부탄디올 기화물, 또는 상기 2,3-부탄디올 기화물에 질소, 헬륨 또는 아르곤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가 혼합된 혼합 기체를 스테인리스 스틸 반응기 또는 석영 반응기의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공급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의 촉매가 포함된 촉매 층을 통과시켜 반응을 진행시켰다.
(2) 결과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촉매를 사용하고 상기 방법에 의하여 수득된 1,3-부타디엔 및 메틸에틸케톤의 전환율 및 비율, 1,3-부타디엔 및 메틸에틸케톤의 수율, 촉매의 안정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촉매 전환율 1,3-부타디엔(BD) 및 메틸에틸케톤(MEK)의 비율(BD/MEK) 1,3-부타디엔 및 메틸에틸케톤의 수율 안정성(hrs)
실시예 1 Li/P=0.5 100 0.6 89 >100
실시예 2 Li/P=1.0 100 0.8 90 >100
실시예 3 Li/P=1.325 100 1.2 90 >100
실시예 4 Li/P=1.5 100 1.0 85 >100
비교예 1 Li/P=3.5 100 0.5 73 20
비교예 2 Li/P=3.5 100 0.2 65 3
상기 표 1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촉매를 3-부탄디올의 1,3-부타디엔, 메틸에틸케톤의 생산 반응에 이용하는 경우, 반응 활성도가 높아지고 생산 반응도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는 바, 결과적으로 높은 수율로 1,3-부타디엔, 메틸에틸케톤을 수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a) 인산염을 포함하는 용액에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리튬 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포함된 제2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고, 상기 침전물을 세척, 건조하여 리튬포스페이트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산염을 포함하는 용액은 제2인산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수산화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질산리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인산염을 포함하는 용액 내 인(P)과, 리튬 이온 함유 화합물 내 리튬(Li)의 몰비는 0.5~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의해 제조된 리튬포스페이트를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에 적용하여 2,3-부타디엔 및 메틸에틸케톤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30155927A 2013-12-13 2013-12-13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 KR102092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927A KR102092671B1 (ko) 2013-12-13 2013-12-13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927A KR102092671B1 (ko) 2013-12-13 2013-12-13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478A KR20150069478A (ko) 2015-06-23
KR102092671B1 true KR102092671B1 (ko) 2020-03-24

Family

ID=5351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927A KR102092671B1 (ko) 2013-12-13 2013-12-13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67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3491B1 (en) * 2003-11-13 2004-10-12 Arco Chemical Technology, L.P. Preparation of lithium phosphate catalysts
KR101033660B1 (ko) * 2009-08-27 2011-05-12 한국화학연구원 젖산 에스테르의 탈수 반응용 인산칼슘-실리카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젖산 에스테르로부터 아크릴계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287167B1 (ko) * 2011-02-22 2013-07-16 한국화학연구원 2,3-부탄디올로부터 1,3-부타디엔 및 2-부탄온을 제조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tal Lett (2011) 141:1032-103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478A (ko)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Heteropolyacid salts of N-methyl-2-pyrrolidonium as highly efficient and reusable catalysts for Prins reactions of styrenes with formalin
JP2017527620A (ja) 2−アルコキシシクロヘキサノールの調製方法
EA035875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рилзамещенных парафенилендиаминных соединений
CN103864618A (zh) 1,1-环丙烷二甲酸二甲酯的合成工艺
KR102092671B1 (ko)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리튬포스페이트 촉매의 제조방법
EP3626340B1 (en) Method for synthesizing propylene glycol phenyl ether
CN110818573B (zh) 一种3,3’-二氯-4,4’-二氨基二苯基甲烷的制备方法
CN105330545B (zh) 以氯化锡为催化剂回收三嗪环环合母液渣子中草酸的方法
CN103145796A (zh) 一种纽甜合成工艺
EP1716087A1 (de) Verfahren zur cc-bindungsknüpfung zwischen elektrophilen substraten und pi-nucleophilen in neutralen bis basischen wässrigen oder alkoholischen lösungsmitteln ohne den einsatz einer lewis- oder protonensäure
CN115745785A (zh) 一种二氟乙酸酐的合成方法
CN102626656B (zh) 一种酸性离子液体水热碳化材料的制备方法
CN107879987A (zh) 一种2,3,5,6‑四甲基吡嗪的制备方法
KR102035846B1 (ko) 표면이 개질된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721584B (zh) 一种制备1,4-二氧六环的方法
US2229652A (en) Process for producing butadiene
CN112574007B (zh) 一种新型环己亚胺类离子液体及催化柠檬酸丁酯和双酚f合成的方法
CN105037192B (zh) 一步法辛烷值促进剂对甲酰胺基苯烷基醚合成方法
US2105828A (en) Production of morpholine ethanols
CN107438484B (zh) 活性得到改善的聚磷酸钠担载催化剂及利用其来利用2,3-丁二醇制备甲基乙基酮和1,3-丁二烯的方法
KR101410369B1 (ko) 실리코-금속포스페이트 촉매 및 이를 이용한 1,3-부타디엔, 메틸에틸케톤의 제조방법
Schaefgen et al. Synthesis of an Octabasic Carboxylic Acid
CN106187867B (zh) 一种2-硝基-5-溴吡啶的制备方法
CN106542997B (zh) 一种改性石墨烯催化合成草酸二乙酯的方法
DE881340C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dipinsaeuredinitr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