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397B1 -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397B1
KR102092397B1 KR1020190168683A KR20190168683A KR102092397B1 KR 102092397 B1 KR102092397 B1 KR 102092397B1 KR 1020190168683 A KR1020190168683 A KR 1020190168683A KR 20190168683 A KR20190168683 A KR 20190168683A KR 102092397 B1 KR102092397 B1 KR 102092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wire
teeth
orthodontic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석 filed Critical 김정석
Priority to KR102019016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397B1/ko
Priority to KR1020200032781A priority patent/KR20210056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치아군의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의 치아의 교정 치형에 대응하는 치아포켓홈을 형성하여 대응되는 치아군에 씌워지는 덮개부(tooth piece)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에 한면이 개방된 터널 형태의 세라믹을 부착하고, 그 상태에서 구강외에서 치과교정 기공사가 유지용 철사를 터널안으로 통과하게 하여 제작한 다음, 상기 구강내에 지르코니아 인공치를 시적하고 나서, 유지용 철사를 접착용 레진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덮개부에 삽입 고정된 제2 와이어의 양측 구치부에 장착된 앵커 파트 겸 유지장치에 삽입하고 나서 덮개부를 에너지 체인으로써 당겨 치아의 교정 치료를 정교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고정부가 치아에 직접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치아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ORTHODONTIC DEVICE}
본 발명은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르코니아 인공치 설측에 치과의사가 디자인한 유지용 철사가 들어갈 위치를 확인하고 치과보철 기공사가 그 위치에 한면이 개방된 터널 형태의 세라믹을 부착하고, 그 상태에서 구강외에서 치과교정 기공사가 유지용 철사를 터널안으로 통과하게 하여 제작한 다음. 구강내에 지르코니아 인공치를 시적하고 나서, 유지용 철사를 접착용 레진으로 부착하여 물리적, 화학적 접착 강도를 증가시킨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교정 기간을 단축시킬 수있도록 고안된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색깔 및 형태로부터 형성되는 외관상의 이미지로 인해 개인적 외모를 연출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요인이 되며, 치아를 올바르게 정렬하는 것은 치아 자체뿐만 아니라 안면의 골격구조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외적 이미지의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치아가 고르게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부정 교합이라 하는데, 부정 교합의 경우, 외적 이미지에 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음식을 잘 씹을 수가 없고, 발음에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또한, 부정 교합을 방치하게 되면 충치 또는 잇몸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고, 신체의 다른 부분에도 장기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다른 질병을 유발하거나 더 악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부정 교합이 있는 경우, 치아 교정을 통해 치아를 올바른 위치 및 자세로 움직여 올바른 치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치아 교정을 통해 외모에 대한 자신감을 획득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치아 교정을 통해 치아와 무관하다고 오해하던 다른 병들이 치유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치의학적 치료 중에서 치아의 교정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방법이나 기술 또한 눈부시게 발전되어 왔다. 여기서, 치아 교정이라 함은 치아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치조골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치아를 움직여 주는 기능적 또는 심미적 치료를 말한다.
치아 교정에는 치아를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치아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치아 교정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치아 교정기는 교정을 위한 브라켓(bracket)과 탄성을 갖는 교정용 와이어(Arch wire)를 포함한다. 부정교합을 각 치아의 근원심 폭경의 길이 합계 대비 치아의 배열을 위한 악궁의 길이에 대한 차이로 구분한다면, 치아가 배열되는 악궁의 길이가 작고 전체 치아의 근원심 폭경의 길이가 클 경우, 치아는 겹치는 형태로 배열되는 부정교합을 이루게 된다. 반대로, 악궁의 길이가 치아의 합한 근원심폭경보다 클 경우, 악궁의 길이가 치아를 배열 하고도 그 길이가 남아서 치아는 듬성듬성하게 치아간의 틈새가 보이도록 배열되는 부정교합을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치아 교정기에서 브라켓은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의 치면(tooth face)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교정용 와이어는 부착된 고정부 내에 장착된다. 치아 교정 장치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12779호에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의 경우 교정을 위한 와이어를 지속적으로 교체 및 재장착해야 하고, 치아 간을 연결하는 고무줄이 이탈할 수 있어 이를 지속적으로 확인 및 장착해야 하며, 치아 교정 현황에 대응하여 치아 교정 장치를 교체하여 치아에 이동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고통 및 번거로움을 극대화할 수 있어 교정을 기피하게 되는 주요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2779호 (2015.04.10. 등록)
기존 치아 교정장치는 치아에 고정부를 고정 부착 후 제2 와이어를 고정부에 결속하는데, 고정부를 치아에 붙이기 위해서는 치아 표면의 에칭(ecthing)과 접착제[resin]을 이용하여 고정부가 치아에 직접 부착됨으로써, 치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투명 교정장치는 발치된 상태로 치아 교정 후 스페이스 클로징(space closing) 단계에 적용이 어려워 발치 교정용으로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교정 장치의 탈착 및 재장착을 위한 치아 및 잇몸의 가공을 최소화하고, 치아의 이동력을 용이하게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측치아군의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의 치아의 교정 치형에 대응하는 치아포켓홈을 형성하여 대응되는 치아군에 씌워지는 덮개부(tooth piece)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에 한면이 개방된 터널 형태의 세라믹을 부착하고, 그 상태에서 구강외에서 치과교정 기공사가 유지용 철사를 터널안으로 통과하게 하여 제작한 다음, 상기 구강내에 지르코니아 인공치를 시적하고 나서, 유지용 철사를 접착용 레진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부에 관통 형성되고 일단이 덮개부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1 와이어, 일단이 상기 치아군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고 제1 와이어와 나란히 배열되는 제2 와이어 및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의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접하는 원판 형상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톱니부(1361)가 형성되고, 고정부와 접하는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의 표면에는 톱니부(1361)와 대응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고정부의 일면에는 원 형상의 음각홈 및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는 복수의 제1 자성체가 더 구비되며,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회전부는 음각홈에 삽입되는 돌출부, 복수의 제1 자성체가 삽입되는 삽입공 및 삽입공에 내설되고 자력에 의해 제1 자성체가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이동시키는 제2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치아 색상 및 치아 형상의 덮개부를 교정을 위한 치아에 씌워 착용에 따른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덮개부에 삽입 고정된 제2 와이어의 양측 구치부에 장착된 앵커 파트 겸 유지장치에 삽입하고 나서 덮개부를 에너지 체인으로써 당겨 치아의 교정 치료를 정교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고정부가 치아에 직접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치아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치아 교정 후 구치부에 장착된 앵커파트를 활용하여 치열 교정유지장치인 스프링 타입의 루프를 앵커 파트 겸 유지장치의 걸고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앵커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루프 장착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를 하측치아에 장착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가 치아 일부 교정 후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를 활용하여 치아 교정유지용 스프링 타입 루프가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40)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142) 및 턱부(14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턱부(141)에 의해 고정부(240)가 가이드부(142) 상에 삽입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40)의 회전에 따른 제2 와이어(220) 및 제2 서브제2 와이어(280)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식부(1362), 음각홈(1363) 및 제1 자성체(136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40) 및 회전부(200)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공(202) 및 제2 자성체(20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201)가 음각홈(1363)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100)는 교정이 필요한 상측치아군(도시하지 않음)의 해당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14)의 해당 치아(16)에 덮어 씌워지는 덮개부(tooth piece,110), 제2 와이어(120), 앵커 파트 겸 유지장치(130) 및 제1 와이어(140)를 포함한다.
덮개부(110)는 상측치아군의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14)의 치아(16)를 교정하는 것으로서, 상측치아군의 전체 치아 또는 일부 치아에 씌워지거나 하측치아군(14)의 전체 치아(16) 또는 일부 치아(16)에 씌워진다. 편의상, 덮개부(110)는 하측치아군(14)의 전측(前側) 6개의 치아(16) 즉, 6전치에 씌워지는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하측치아군(14) 각각의 양측 4번 치아가 발치된 상태에서, 덮개부(110)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를 인공 치아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측치아군(14)의 양측으로 3번 치아까지 총 6개의 치아(16)를 한꺼번에 씌워 교정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하측치아군(14)의 양측으로 발치되어 제거된 4번 치아 위치의 노출을 막도록 메우는 모형치아까지 구비한다.
물론, 덮개부(110)는 상측치아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측치아군은 상악(上顎)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치아의 군(群)을 말한다. 아울러, 하측치아군(14)은 하악(下顎)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치아(16)의 군(群)을 말한다.
그리고, 덮개부(110)는 교정이 필요한 동일 치열의 치아(16)를 한꺼번에 씌울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덮개부(110)는 치열 교정을 위한 치아(16)를 삽입할 수 있도록 치아포켓홈(113)을 함몰 형성한다.
특히, 덮개부(110)에 삽입된 각각의 치아(16)의 교정 정도 즉, 치체(齒體)의 움직임 방향과 움직임량이 모두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110)는 삽입되는 치아(16)의 서로 다른 교정 정도에 대응하도록 다른 형상의 치아포켓홈(113)을 함몰 형성한다. 이때, 치아포켓홈(113)은 치열 교정 대상 치아(16) 개수만큼 함몰 형성될 수도 있고, 발치된 치아를 포함한 개수만큼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하측치아군(14)의 교정되어야 하는 동일 치열 상의 복수개의 치아(16)는 하나의 덮개부(110)에 함몰된 치아포켓홈(113)에 삽입되어 설정된 치형으로 교정된다. 즉, 덮개부(110)의 치아포켓홈(113)은 입체적으로 치열 교정된 상태의 치아 각각의 상태에 맞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해당 치아(16)를 수용한다. 해당 치아(16)는 대응되는 치아포켓홈(113)에 에워싸여져 측압이나 뒤틀림력을 받아 점차적으로 일부 치열 교정된다. 따라서, 덮개부(110) 자체로도 치아(16)의 치열을 일부 교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덮개부(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입밖으로 노출되는 덮개부(110)가 상대방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거나 덜 주기 위해, 덮개부(110)는 치열 궤적을 따라 배열되는 치아(16) 형상 및 치아색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덮개부(110)는 투명한 웨어링(wearing,112), 및 불투명한 커버(cover,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웨어링(112)은 복수 개의 치아(16)를 삽입하기 위해 치아포켓홈(113)을 함몰 형성함으로써, 삽입되는 치아(16)의 설측(舌側)과 순측(脣側)을 감싸는 역할을 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쉽게 찢어지지 않으면서 치아(16)에 측압을 부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얇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웨어링(112)이 투명하고 얇게 형성되는 이유는 외관상 보기 좋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웨어링(112)은 치아(16)와 직접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치아(16)나 입 안 피부와 접촉으로 인한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물론, 웨어링(112)은 치아(16)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114)는 웨어링(112)의 설측이나 순측, 또는 웨어링(112)의 설측과 순측에 동시에 구비된다. 편의상, 커버(114)는 웨어링(112)의 순측 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커버(114)는 레진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겔(gel) 상태로 커버(114)의 해당 측에 도포된 후 열수축되며 경화된다. 이에 따라, 커버(114)는 웨어링(112)의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아울러, 커버(114)가 웨어링(112)의 순측에 구비될 경우 상대방으로부터 거부감을 없앨 수 있도록 치아 색상 및 치아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114)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웨어링(112)에는 굳어 경화된 커버(114)가 구비됨에 따라, 치아포켓홈(113)에 수용된 치아(16)들은 웨어링(112)과 커버(114)에 의해 측압이나 뒤틀림력을 받아 교정된다. 한편, 커버(114)는 치열 궤적을 따라 형성된 제2 와이어(120) 일부를 삽입한 채 열 수축된다. 이에 따라, 제2 와이어(120)는 커버(114)에 고정된다.
덮개부(110)는 치아(16)를 구강 내측으로 당기기 위해 구속하는 리트랙션 포스(retraction force)가 강하게 작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치아(16)가 단순히 덮개부(110)에 씌워질 경우, 치아(16)의 발치 후 스페이스 클로징(space closing) 단계는 길어질 수 있다. 그래서, 덮개부(110)[0054] 는 제2 와이어(120)를 구비하게 된다. 제2 와이어(120)의 가장자리는 상측치아군의 동일 구치부 또는 하측치아군(14)의 동일 구치부에 구비되는 앵커 파트겸 유지장치(130)에 연결된다.
즉, 앵커 파트 겸 유지장치(130)는 상측치아군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하측치아군(14)의 양측 가장자리 치아들(16)에 구비되어 제2 와이어(120)의 양측 가장자리를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와이어(120)는 금속 재질 또는 형상 기억 합금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앵커 파트 겸 유지장치(130)는 보호부(maintenance member,132), 유지부(134), 및 고정부(1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호부(132)는 상측치아군의 가장자리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14)의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치아(16)들을 감싸는 역할을 하고, 유지부(134)는 보호부(132)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호부(132)의 내부에 매립된다. 즉, 보호부(132)는 동일 구치부의 일측 가장자리 치아(16)들과 타측 가장자리 치아(16)들에 감싸지고, 동일 구치부에 위치한 각각의 보호부(132)는 유지부(134)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특히, 유지부(134)는 대응되는 보호부(132)가 치아(16)들과 잇몸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유지부(134)와 보호부(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보호부(132)는 레진 등 잇몸에 접촉시 불쾌감을 없애고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136)은 보호부(132)에 매립되거나, 또는 보호부(132)에 매립된 유지부(134)에 결속된다. 그래서, 고정부(136)은 보호부(132) 각각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부(136)은 보호부(132)로부터 노출된 부위에 슬롯(137)을 통공한다. 슬롯(137)은 제2 와이어(120)의 가장자리를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즉, 교정을 위한 치아(16)들이 구강 내부 방향으로 밀리면서 치열 교정시, 덮개부(110)에 매립된 제2 와이어(120)의 양쪽 가장자리는 슬롯(137) 내부로 서서히 슬라이드 삽입된다. 이에 따라, 필요시, 덮개부(110)와 제2 와이어(120)는 치아(16)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에서처럼, 치열 교정 대상 치아(16)들은 제1 와이어(puller,140)에 의해 설정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제1 와이어(140)는 훅(hook,142), 걸고리(144), 및 에너지 체인(energy chain,1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훅(142)은 고정부(136) 각각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걸고리(144)는 커버(114)의 양쪽 가장자리에 고정되도록 커버(114)에 일부 매립되어 고정된다. 특히, 걸고리(144)는 커버(114)의 동일 측면, 즉 커버(114)의 전측 양쪽 가장자리 또는 후측 양쪽 가장자리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물론, 걸고리(144)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훅(142)과 걸고리(144)는 크기 및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에너지 체인(146)은 대응되는 훅(142)과 걸고리(144)에 연결되어 훅(142)에 대해 걸고리(144)를 탄성적으로 당긴다. 다시 말해서, 에너지 체인(146)은 탄성적으로 대상 치체(齒體)를 당겨 정교하게 교정하는 역할을 한다. 에너지 체인(146)은 동일 치열에서 가까이 위치한 훅(142)과 걸고리(144)에 연결된다. 에너지 체인(146)은 다양한 다른 요소로 적용 가능하다.
예로서, 4번 치아(16)가 발치된 후, 덮개부(110)가 동일 치열의 6개 치아(16)에 덧되어진 상태이다. 이때, 덮개부(110)는 발치된 양쪽 4번 치아까지 덮어 발치된 상태의 노출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 재질인 에너지 체인(146)이 덮개부(110)를 구강 내측으로 당김으로써, 덮개부(110)에 삽입된 치아(16)들의 치체는 발치 공간이 스페이스 클로징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특히, 교정 대상 치아(16)는 에너지 체인(146)에 의해 구강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제2 와이어(120)의 양쪽 가장 자리는 고정부(136)의 슬롯(137)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교정 대상 치아(16)들은 제2 와이어(1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한된 범위 내에서 견고하게 교정된다.
도 2에서처럼, 양쪽의 3번 치아(16)는 이웃한 5번 치아(16)쪽으로 이동하며 교정된다. 이 후, 에너지 체인(146)은 길이를 조절한 상태로 다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덮개부(110)는 3번 치아(16)가 5번 치아(16)에 근접되게 교정됨에 따라 4번 치아 위치에 해당되는 부위가 점차적으로 5번 치아(16)를 덮음에 따라 5번 치아(16)의 노출을 위해 조금씩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는 치아(16)의 레벨링(leveling) 단계와 얼라인먼트(alignment) 단계에서 치아 교정 작업이 가능하고, 치아 발치 상태에서 스페이스 클로징(space closing) 단계에서 치아 교정 작업도 가능하다.
한편, 도 2에서처럼, 치열 교정 완료 후, 치열의 원상 복원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 타입의 루프(150)가 장착된다.
즉, 스프링 타입 루프(150)는 동일 치열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앵커 파트 겸 유지장치(130)에 양측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래서, 루프(150)는 교정된 치아(16)들의 교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루프(150)는 가압부재(152), 탄성부재(154), 연결고리(156) 및 고리부(1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압부재(152)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서 동일 치열 궤적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부재(154)는 가압부재(152)의 일부분을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시켜, 가압부재(152)의 양측이 앵커 파트 겸 유지장치(130)에 연결시, 가압부재(152)가 교정된 치아(16)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부재(154)가 교정된 치아(16)들의 양쪽 최외측에 대응되는 한 쌍으로 구비됨에 따라, 가압부재(152)는 탄성부재(154)에 의해 세 구간으로 구획되며, 중앙 부위에 위치한 가압부재(152)가 교정된 치아(16)들이 교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연결고리(156)는 가압부재(152)의 양측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걸쇠(158)는 앵커 파트 겸 유지장치(130) 중 보호부(132)에 일부 매립되어 고정된다. 그래서, 가압부재(152)의 양측에 구비된 연결고리(156)는 대응되는 걸쇠(158)에 걸림에 따라, 스프링 타입 루프(150)는 쉽게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스프링타입 루프(150)는 치아 교정을 위해 장착되는 앵커 파트 겸 유지장치(130)에 연결됨으로써, 스프링 타입 루프(150)의 장착을 위한 시술비용과 시술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스프링 타입 루프(150)가 걸쇠(158)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낮시간이나 사회생활 시간에 루프(150)를 빼놓고, 밤시간이나 비사회생활 시간에 스프링 타입 루프(150)를 착용함으로써 사회생활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 타입 루프(15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110)는 투명한 웨어링(wearing,112), 및 불투명한 커버(cover,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웨어링(112)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커버(114)는 웨어링(112)의 설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는, 치아 형상이나 치아 색상이지만 커버(114)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2 와이어(120)는 웨어링(112)의 설측에 구비된 커버(114)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동일 치열의 치아(16)들 내측에 배치됨에 따라 머쉬룸 스타일 (mushroom style)로 형성된다.
아울러, 제1 와이어(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훅(hook,142), 걸고리(144), 및 에너지 체인(energy chain,1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훅(142)은 보호부(132)에서 설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고정부(136) 각각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훅(14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고정부(136)에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고리(144)는 커버(114)의 양쪽 가장자리에 고정되도록 커버(114)에 일부 매립되어 고정된다.
특히, 걸고리(144)는 커버(114)의 동일 측면, 즉 커버(114)의 전측 양쪽 가장자리 또는 후측 양쪽 가장자리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물론, 걸고리(144)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훅(142)과 걸고리(144)는 크기 및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에너지 체인(146)은 대응되는 훅(142)과 걸고리(144)에 연결되어 훅(142)에 대해 걸고리(144)를 탄성적으로 당긴다. 다시 말해서, 에너지 체인(146)은 탄성적으로 대상 치체(齒體)를 발치 공간으로 스페이스 클로징되도록 교정하는 역할을 한다. 에너지 체인(146)은 동일 치열에서 가까이 위치한 훅(142)과 걸고리(144)에 연결된다. 에너지 체인(146)은 다양한 다른 요소로 적용 가능하다. 즉, 제2 와이어(120)와 제1 와이어(140)가 치아(16)들의 설측에 구비됨으로써 외부 노출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40)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고정부(240)는 앞서 언급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모두 적용된다.
고정부(240)는 제1 와이어(140)를 내측 방향으로 당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세하게, 고정부(240)는 제1 와이어(140)의 복원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치아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부(240)는 제1 와이어(140)를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당기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제1 와이어(140)가 탄성을 이용하여 치아 교정 대상이 되는 덮개부(110) 내 치아를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교정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고정부(240)는 제1 와이어(140)의 일단 또는 타단을 고정하며, 고정되는 제1 와이어(140)의 끝단은 치아의 교정 방향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와이어(140)가 구비됨으로써, 복원력이 제거될 때까지 이동하지 않고 일정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덮개부(110)를 가압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한 교정이 가능하다.
고정부(240)는 후술할 회전부(200)를 통해 회전하여 제1 와이어(220)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제1 와이어(140)의 탄성을 조절하여 덮개부(110)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 고정부(240)는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20)와 접하여 상기 제1 와이어(140)의 길이를 조정한다. 이를 위해, 고정부(24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톱니부(1361)가 형성되며,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24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와이어(140)를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 와이어(120)는 고정부(240)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2 와이어(120)는 일단이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고정부(24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 별도의 거치수단에 삽입되어 보관되며, 상기 별도의 거치수단은 환자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 아말감 등의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와이어(120)는 제1 와이어(140)와 평행하도록 배열된다. 제2 와이어(120)는 고정부(240)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면접촉을 이루며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와이어(140)는 제2 와이어(120)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장력이 조정되어 덮개부(1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142) 및 턱부(14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는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20) 중에 제1 와이어(140)를 일례로 도시한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턱부(141)에 의해 고정부(240)가 가이드부(142) 상에 삽입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20)의 표면에는 가이드부(142) 및 턱부(141)가 더 구비된다. 상세하게, 가이드부(142) 및 턱부(141)는 제1 와이어(140)의 상면 및 제2 와이어(120)의 하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와이어(140)의 상면 및 제2 와이어(120)의 하면은 평평하고 턱부(141)가 형성된 제1 구역(a1) 및 가이드부(142)가 형성된 제2 구역(a2)으로 구분된다.
제1 구역(a1)은 고정부(240)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표면에 턱부(14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240)가 무분별하게 가이드부(142)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세하게, 고정부(24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톱니부(1361)가 가이드부(142)에 계합되도록 배열되지 않은 경우, 고정부(240)는 턱부(141)에 걸려 제2 구역(a2)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제1 구역(a1)에는 가이드부(142)가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고정부(240)가 제1 구역(a1)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하더라도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20)와 맞물리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와이어(14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턱부(141)의 높이는 가이드부(142)의 하면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톱니부(1361)가 가이드부(142)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턱부(141)의 상면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부(142)에 삽입될 수 있다.
반면, 제2 구역(a2)은 고정부(2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부(142)가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고정부(24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1361)에 대응되는 가이드부(14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142)는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를 통해, 고정부(240)는 제1 구역(a1) 상에 위치하다가 제2 구역(a2)을 향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톱니부(1361)가 가이드부(142)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후 회전함으로써, 제1 와이어(14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20)의 끝단에는 고정부(24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고정부(240)가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부(1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탈방지부(143)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제1 와이어(140)의 상면 및 제2 와이어(1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가이드부(142)의 높이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240)가 회전 과정에서 제1 이탈방지부(143)에 걸림으로써,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구역(a2)에는 제1 이탈방지부(143)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제2 이탈방지부가 상기 제1 이탈방지부(143)의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40)의 회전에 따른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선술한 바와 같이, 톱니부(1361)가 가이드부(142)에 계합되지 않도록 배열되는 경우, 고정부(240)는 턱부(141)에 의해 가로막힘으로써, 제1 구역(a1)에서 제2 구역(a2)을 향한 후방 이동이 제한된다.
반면, 톱니부(1361)가 가이드부(142)에 맞물리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가이드부(142)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톱니부(1361)는 가이드부(142)에 삽입되고 고정부(240)는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부(240)가 후술할 회전부(200)에 의해 회전(도 7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뜻함)하는 경우, 제1 와이어(140)는 내측 방향(도 7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와이어(120)는 외측 방향(도 7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와이어(140)의 길이 및 장력이 조정되고, 제1 와이어(140)는 제1 와이어(140)에 의해 당겨지게 되어 덮개부(110)를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구성을 통해, 치아의 지속적인 교정을 위한 교정 장치를 전체적으로 탈착 및 재장착하지 않아도 고정부(240)의 회전만으로도 상기 치아에 대해 지속적으로 가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의 교정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환자의 고통 및 번거로움을 덜 수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240)가 의도하지 않게 조여지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식부(1362), 음각홈(1363) 및 제1 자성체(136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정부(240)는 인식부(1362), 음각홈(1363) 및 제1 자성체(1364)를 더 포함한다.
인식부(1362)는 선술한 턱부(141)와의 접촉을 통해 고정부(240)의 위치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인식부(1362)는 고정부(240)의 후방(도 8의 좌상측 방향을 뜻함)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240) 및 톱니부(1361)와 동일한 형상을 갖으며, 상기 고정부(240)와 일체가 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240)가 선술한 제1 구역(a1)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이동하고, 톱니부(1361) 및 가이드부(142)가 서로 계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경우, 인식부(1362)는 턱부(141)와 접하게 된다. 여기서, 인식부(1362) 및 턱부(141)는 후술할 회전부(200)에 의해 미세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인식부(1362) 및 턱부(141)는 서로 통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고정부(240)가 제2 구역(a2) 상에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음각홈(1363)은 후술할 회전부(200)에 구비되는 돌출부(201)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부(240) 및 회전부(200)의 체결을 돕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음각홈(1363)은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부(240)의 전방을 향하는 일면 상에 음각 형성된다. 여기서 음각홈(1363)은 4각형, 5각형, 6각형, 8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자성체(1364)는 후술할 제2 자성체(203)와의 자력을 통해 고정부(240) 및 회전부(200)가 보다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보조한다. 이를 위해, 원통 형상의 제1 자성체(1364)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고정부(24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도록 구비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40) 및 회전부(200)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공(202) 및 제2 자성체(203)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201)가 음각홈(1363)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도부(1365)는 제2 자성체가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제2 자성체(203)를 회전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도 11 참조). 이를 위해, 유도부(1365)는 코일 형태로 구비되어 고정부(240)에 내설되되, 선술한 제1 자성체(1364)가 코일 형태의 상기 유도부(1365)의 안쪽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도부(1365)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금속 재질의 제1 자성체(1364)는 전자기 유도에 의해 회전부(200)의 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공(202)에 삽입되고, 이로써 고정부(240) 및 회전부(20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회전부(200)는 선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24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회전부(200)는 고정부(24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4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고정부(240)와 맞물린 제1 와이어(140)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궁극적인 제1 와이어(140)의 장력 및 복원력을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회전부(200)는 돌출부(201), 삽입공(202) 및 제2 자성체(203)를 포함한다.
돌출부(201)는 고정부(240) 및 회전부(200)의 체결을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돌출부(201)는 후방을 향하는 고정부(24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음각홈(1363)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201)가 음각홈(1363)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부(240)의 내부에서 회전을 위한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한 회전이 가능하다. 고정부(240)를 향하는 돌출부(201)의 일면에는 고정부(240)에 내설되어 선술한 유도부(136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부가 구비되고, 음각홈(1363)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단자부와 일대일 대응되는 또다른 단자부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돌출부(201)가 음각홈(1363)에 정확하게 삽입될 경우에만 유도부(1365)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자성체(136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삽입공(202)은 제1 자성체(1364) 및 제2 자성체(203) 간의 자력에 의해 회전부(200)를 향해 접근하는 제1 자성체(1364)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삽입공(202)은 제1 자성체(1364)의 형상, 크기 및 개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회전부(200)의 일면 상에 위치한다.
제2 자성체(203)는 제1 자성체(1364)와의 자력을 통해, 상기 제1 자성체(1364)가 삽입공(202)에 삽입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제2 자성체(203)는 삽입공(202)의 내부에 위치하여 내설되고 금속 재질로 구비된다. 여기서, 제2 자성체(203)가 제1 자성체(1364)와의 자력에 의해 삽입공(202)에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공(202)의 내부에는 별도의 차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성체(203)는 통전될 시 자성이 발생하는 전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고정부(240) 및 회전부(200) 간의 체결을 설명한다.
도 11a는 유도부(1365)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로서, 제1 자성체(1364)가 전자기유도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상세하게 돌출부(201)가 음각홈(1363)에 삽입되지 않아 전력이 유도부(1365)에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제1 자성체(1364)는 고정부(240)에 붙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도 11b는 제1 자성체(1364)가 삽입공(202)에 삽입된 경우로서, 유도부(1365)에 전력이 공급된 경우를 의미한다. 상세하게, 돌출부(201)에 형성된 단자부가 음각홈(1363)의 내부에 형성된 또다른 단자부와 접함에 따라, 상기 또다른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도부(1365)는 전력을 공급받고, 코일 형태로 구비된 유도부(1365)의 안쪽 방향에 위치한 제1 자성체(1364)는 전자기유도를 이용하여 자력을 부여받아 이동하여 삽입공(202)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고정부(240) 및 회전부(200)는 제1 자성체(1364)에 의해 서로 체결되고 지지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고 정밀한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4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고정부(240)는 돌출부(201)가 음각홈(1363)에 삽입되고 전력이 유도부(1365)에 공급된 경우에만 회전부(200)와 체결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고정부(24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5)

  1. 상측치아군의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의 치아의 교정 치형에 대응하는 치아포켓홈이 형성되고, 대응되는 치아군에 씌워지는 덮개부(110);
    상기 덮개부(110)에 관통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덮개부(11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1 와이어(140);
    끝단이 외측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 와이어(140)와 나란히 배열되는 제2 와이어(120); 및
    상기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접하는 원판 형상의 고정부(136);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36)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톱니부(136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36)와 접하는 상기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20)의 표면에는 상기 톱니부(1361)와 대응되는 가이드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36)의 일면에는 원 형상의 음각홈(1363) 및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36)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는 복수의 제1 자성체(1364)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136)를 회전시키는 회전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음각홈(1363)에 삽입되는 돌출부(201);
    상기 복수의 제1 자성체(1364)가 삽입되는 삽입공(202); 및
    상기 삽입공(202)에 내설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자성체(1364)가 상기 삽입공(202)에 삽입되도록 이동시키는 제2 자성체(20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136)가 상기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20)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20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1 와이어(140)를 내측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덮개부(110)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가이드부(142)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톱니부(1361)가 상기 가이드부(142)와 계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142)로의 삽입을 방지하는 턱부(1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치아의 설측(舌側)과 순측(脣側)을 감싸는 투명한 웨어링(wearing); 및
    상기 제2 와이어(120)의 일부를 삽입한 채 상기 웨어링의 설측이나 순측 또는 양측에 부착되어 경화되고 불투명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치아 색상 및 치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치아군의 구치부 또는 상기 하측치아군의 구치부를 감싸는 보호부(maintenance member); 및
    상기 보호부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보호부의 내부에 매립되는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동일 치열의 양측 구치부에 위치한 앵커 파트 겸 유지장치에는 치열 유지용 스프링 타입 루프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KR1020190168683A 2019-12-17 2019-12-17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KR102092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683A KR102092397B1 (ko) 2019-12-17 2019-12-17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KR1020200032781A KR20210056201A (ko) 2019-12-17 2020-03-17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683A KR102092397B1 (ko) 2019-12-17 2019-12-17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954A Division KR102058526B1 (ko) 2019-11-08 2019-11-08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781A Division KR20210056201A (ko) 2019-12-17 2020-03-17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397B1 true KR102092397B1 (ko) 2020-05-15

Family

ID=706786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683A KR102092397B1 (ko) 2019-12-17 2019-12-17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KR1020200032781A KR20210056201A (ko) 2019-12-17 2020-03-17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781A KR20210056201A (ko) 2019-12-17 2020-03-17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92397B1 (ko)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2025A (en) * 1979-06-07 1981-09-29 Bernhard Forster Gmbh Orthodontic device for rotating a tooth
US20080182219A1 (en) * 2007-01-30 2008-07-31 Spalty Cory J Apparatus for moving a misplaced or impacted tooth
US20110311937A1 (en) * 2008-08-06 2011-12-22 Ortho-Pro-Teknica Limited Orthodontic Space Closing Appliances
US20120129117A1 (en) * 2008-11-21 2012-05-24 Ortho-Pro-Teknica Limited Orthodontic teeth positioning appliances
KR101268646B1 (ko) * 2012-11-15 2013-05-29 이철규 구개장치
KR101343129B1 (ko) * 2012-06-18 2013-12-20 정상윤 치아 교정장치
KR101512779B1 (ko) 2014-07-02 2015-04-16 조건제 치아 교정 장치
KR20160044380A (ko) * 2014-10-15 2016-04-25 양동민 치열 교정장치
EP3096709A1 (en) * 2014-01-21 2016-11-30 Inman Aligner Holdings LLC Orthodontic apparatus
US20170128164A1 (en) * 2015-11-09 2017-05-11 Naif Bindayel Orthodontic systems
KR101748134B1 (ko) * 2016-07-19 2017-06-19 장상건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US20170196661A1 (en) * 2014-05-27 2017-07-13 Yoav Hameiri Apparatus for achieving molar distalization
KR101763732B1 (ko) * 2017-02-10 2017-08-01 장상건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US20180368948A1 (en) * 2015-11-26 2018-12-27 Oklahoma Medical Research Foundation Geared Orthodontic Buccal Tube
JP2019118826A (ja) * 2017-12-28 2019-07-22 澄祥 洪 歯列矯正用空隙閉鎖装置
KR102058526B1 (ko) * 2019-11-08 2019-12-23 김정석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2025A (en) * 1979-06-07 1981-09-29 Bernhard Forster Gmbh Orthodontic device for rotating a tooth
US20080182219A1 (en) * 2007-01-30 2008-07-31 Spalty Cory J Apparatus for moving a misplaced or impacted tooth
US20110311937A1 (en) * 2008-08-06 2011-12-22 Ortho-Pro-Teknica Limited Orthodontic Space Closing Appliances
US20120129117A1 (en) * 2008-11-21 2012-05-24 Ortho-Pro-Teknica Limited Orthodontic teeth positioning appliances
KR101343129B1 (ko) * 2012-06-18 2013-12-20 정상윤 치아 교정장치
KR101268646B1 (ko) * 2012-11-15 2013-05-29 이철규 구개장치
EP3096709A1 (en) * 2014-01-21 2016-11-30 Inman Aligner Holdings LLC Orthodontic apparatus
US20170196661A1 (en) * 2014-05-27 2017-07-13 Yoav Hameiri Apparatus for achieving molar distalization
KR101512779B1 (ko) 2014-07-02 2015-04-16 조건제 치아 교정 장치
KR20160044380A (ko) * 2014-10-15 2016-04-25 양동민 치열 교정장치
US20170128164A1 (en) * 2015-11-09 2017-05-11 Naif Bindayel Orthodontic systems
US20180368948A1 (en) * 2015-11-26 2018-12-27 Oklahoma Medical Research Foundation Geared Orthodontic Buccal Tube
KR101748134B1 (ko) * 2016-07-19 2017-06-19 장상건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KR101763732B1 (ko) * 2017-02-10 2017-08-01 장상건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JP2019118826A (ja) * 2017-12-28 2019-07-22 澄祥 洪 歯列矯正用空隙閉鎖装置
KR102058526B1 (ko) * 2019-11-08 2019-12-23 김정석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201A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5019B2 (en)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with removable section
KR101723674B1 (ko) 설측 교정 시스템
US5415542A (en) Orthodontic finishing appliance
US20170049535A1 (en) Correction device
KR102027639B1 (ko) 제거 가능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US4396373A (en) Magnetic orthodontic appliance
US5829970A (en)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 and method
KR101343129B1 (ko) 치아 교정장치
WO2007134375A1 (en) Correction of orthodontic malocclusions
CN106821517B (zh) 替牙期上颌牙合垫式磨牙远移器
CN109789031B (zh) 用于睡眠呼吸暂停、打鼾和舌及口腔重塑的牙科器具
US102998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ow palate expansion
KR102053161B1 (ko) 치아 교정 장치
TWI750097B (zh) 齒列矯正裝置
KR102058526B1 (ko)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KR100952423B1 (ko)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방법
KR102092397B1 (ko)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KR102092395B1 (ko) 탄성체인을 이용한 간단치아교정장치
US20230329842A1 (en) Bracket
US8323022B2 (en) Instant dental bridge
ES2936818T3 (es) Conjunto para la colocación de un bráket ortodóncico y método para fabricar tal conjunto
KR101379618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링
CN218739183U (zh) 一种用于上牙列整体远移的腭侧正畸装置
Roy et al. Unilateral spring space regainer: A smart way to drive molar distally
Umale et al. Molar distalization–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