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732B1 -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732B1
KR101763732B1 KR1020170018564A KR20170018564A KR101763732B1 KR 101763732 B1 KR101763732 B1 KR 101763732B1 KR 1020170018564 A KR1020170018564 A KR 1020170018564A KR 20170018564 A KR20170018564 A KR 20170018564A KR 101763732 B1 KR101763732 B1 KR 101763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eeth
wire
arch wire
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건
Original Assignee
장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건 filed Critical 장상건
Priority to KR1020170018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치부와 구치부에 걸쳐 교정대상 치아에 배치되는 아치와이어, 및 아치와이어에 연결되고 치열 궤적을 따라 치열 교정 대상 치아를 구강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고,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은 치열 교정 대상 치아가 이동되도록 아치와이어에 연결되는 안테리어토크스프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치열 교정 대상 치아가 세워진 각도를 유지한 채 구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치아의 교정 시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치아의 이동 방향으로 교정력이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치아의 교정 시기를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A SELF DISTAL DRIVING DEVICE AND SELF MESIAL DRIVING DEVICE HAVING SPRING}
본 발명은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열 교정 대상 치아가 세워진 각도를 유지한 채 구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치아의 교정 시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치아의 이동 방향으로 교정력이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치아의 교정 시기를 더욱 단축시키고자 하는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색깔 및 형태로부터 형성되는 외관상의 이미지로 인해 개인적 외모를 연출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요인이 되며, 치아를 올바르게 정렬하는 것은 치아 자체뿐만 아니라 안면의 골격구조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외적 이미지의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치아가 고르게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부정 교합이라 하는데, 부정 교합의 경우, 외적 이미지에 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음식을 잘 씹을 수가 없고, 발음에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또한, 부정 교합을 방치하게 되면 충치 또는 잇몸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고, 신체의 다른 부분에도 장기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다른 질병을 유발하거나 더 악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부정 교합이 있는 경우, 치아 교정을 통해 치아를 올바른 위치 및 자세로 움직여 올바른 치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치아 교정을 통해 외모에 대한 자신감을 획득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치아 교정을 통해 치아와 무관하다고 오해하던 다른 병들이 치유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치의학적 치료 중에서 치아의 교정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방법이나 기술 또한 눈부시게 발전되어 왔다. 여기서, 치아 교정이라 함은 치아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치조골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치아를 움직여 주는 기능적 또는 심미적 치료를 말한다.
치아 교정에는 치아를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치아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치아 교정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치아 교정기는 교정을 위한 브라켓(bracket)과 탄성을 갖는 교정용 와이어(Arch wire)를 포함한다.
부정교합을 각 치아의 근원심 폭경의 길이 합계 대비 치아의 배열을 위한 악궁의 길이에 대한 차이로 구분한다면, 치아가 배열되는 악궁의 길이가 작고 전체 치아의 근원심 폭경의 길이가 클 경우, 치아는 겹치는 형태로 배열되는 부정교합을 이루게 된다. 반대로, 악궁의 길이가 치아의 합한 근원심폭경보다 클 경우, 악궁의 길이가 치아를 배열 하고도 그 길이가 남아서 치아는 듬성듬성하게 치아간의 틈새가 보이도록 배열되는 부정교합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부정교합 중 다수의 많은 발생률을 보이는 부정교합은 당연히 겹치기 치아형태의 부정교합이 더 많은 발생빈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길이의 부조화로 인한 배열불일치 부정교합 이외에 상하악간의 상관관계에서 상악에 비해 하악이 더 크게 자란 형태의 반대부정교합형태도 있고, 반대로 상악이 하악에 비해 더 크게 자란 경우는 뻐드렁이 형태의 부정교합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하여 악궁의 길이가 남는 경우를 제외하고 모자라는 대부분의 교정은 악궁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체 치아 중에 가장 손해가 적으면서 없어도 기능적 장애가 가장 작은 치아를 발치하게 되고, 이러한 발치된 공간을 확보하여 나머지 겹친 치아들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서로 간의 화합을 이룬 교합을 이루게 하는 방법을 치열교정이라고 한다. 그리고 치아를 발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겹친 치아들을 재배열하기 위하여 상하악의 어금니 즉 제일 대구치부터 제2대구치를 악궁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부 겹친 치아의 공간 확보를 하여 전방부 치아를 재배열하게 된다. 이러한 교정방법을 전자는 발치교정이라고 하고 후자를 비발치 교정이라고 한다. 위의 이러한 길이비율에 대한 치아의 재배열을 위한 공식으로 Bolton Analysis의 측정법을 통하여 참고로 하고 있다.
여기서 어떤 방식의 교정을 하더라도, 치아의 이동을 전 후방으로 움직이는 방법을 수평적 치아이동이라고 하고 상하방으로 움직이는 방법을 수직적 치아이동, 그리고 각각의 치아의 수직적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치아의 고유경사각을 위한 이동, 그리고 각각의 치아가 전후 기울기를 위한 이동을 각 치아의 토크각(torque angle)을 위한 이동이라고 하여, 이들 모두를 합친 이동을 3차원적인 입체적 치아의 이동이라고 한다.
교정을 위한 치아의 이동 중에 재배열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꼭 움직여야 하는 방향은 치아의 수평적 이동을 위한 전후 이동방향 위한 수단을 교정에서는 가장 중요한 치료방법의 요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치아의 수평적인 전 후 이동을 위한 방법은 무언가 한쪽의 힘이 더 큰 쪽을 앵커(anchor)로 삼아서 약한 쪽을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힘이 약한 쪽이 움직이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힘의 논리를 위하여 여러 개의 치아를 묶어서 한 개의 치아를 당기거나 아니면 치아의 치근이 큰 치아를 이용하여 치근이 작은 치아를 당기거나 혹은 최근에는 직접 치아를 앵커 치아로 이용하지 않고 치조골 내에 스크류를 매식하여 이를 앵커링하여 다른 치아를 당기거나 밀어서 치아의 수평적 이동을 도모한다. 이를 위해, 탄성이 강한 고무줄(elastic band), 고무실(elastic thread), 그리고 고무체인(elastic chain) 등을 이용하기도 하고, 또는 오픈-클로즈 스프링(open-close spring)을 이용하여 치아를 수평적으로 이동하고 있다.
특히, 치아 교정기에서 브라켓은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의 치면(tooth face)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교정용 와이어는 부착된 브라켓 내에 장착된다.
치아 교정 장치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12779호(발명의 명칭: 치아 교정 장치, 등록일: 2015.04.10.)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치열교정장치는 치아를 움직이기 위한 힘이 하나 이상의 인접 치아에 대해 지레로 작용함으로써 얻어지며, 이러한 인접 치아가 이러한 방식으로 마찬가지로 움직여서 원래 위치와 다르게 움직임에 따라 교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교정 주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치열 교정 대상 치아가 세워진 각도를 유지한 채 구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치아의 교정 시기를 단축시키고자 하는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치아의 이동 방향으로 교정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치아의 이동 구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전체 치아의 교정 시기를 더욱 단축시키고자 하는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는: 전치부와 구치부에 걸쳐 교정대상 치아에 배치되는 아치와이어; 및 상기 아치와이어에 연결되고, 치열 궤적을 따라 치열 교정 대상 치아를 구강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은, 치열 교정 대상 치아가 이동되도록 상기 아치와이어에 연결되는 안테리어토크스프링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리어토크스프링는, 상기 아치와이어를 기준으로 상기 치열 교정 대상 치아 각각의 하측을 동시에 접하여 가압하는 익스트루젼(extrusion)부; 및 상기 익스트루젼부의 배치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익스트루젼부의 설정 부위에 절곡 형성되어 치아 사이 위치에서 상기 아치와이어에 연결되는 인서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은 치열 교정 대상 치아가 이동되도록 상기 아치와이어에 연결되는 토크아치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크아치와이어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치근에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아치와이어를 기준으로 상기 치열 교정 대상 치아 각각의 상측에 동시에 접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치열 교정 대상 치아가 세워진 각도를 유지한 채 구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치아의 교정 시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치아의 이동 방향으로 교정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치아의 이동 구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치아의 교정 시기를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100)는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 및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driving spring unit,200)을 포함한다.
아치와이어(110)는 상측치아군의 치아(12,22) 또는 하측치아군의 치아(12,22)의 교정 치형에 대응하는 궤적으로 형성되어 치아군의 순측(脣側) 또는 설측(舌側)에 구비된다.
특히, 아치와이어(110)는 상측치아군의 전치부와 소구치부(10)와 구치부(20) 전체에 걸쳐 배치되거나, 하측치아군의 전치부(10)와 소구치부와 구치부(20) 전체에 걸쳐 배치된다.
편의상, 아치와이어(110)는 하측치아군 전치부(10)와 소구치부측 치아들 및 구치부(20)측 치아들의 교정을 위해 순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여기서, '전치부(10)와 소구치부'의 치아는 음식물 등 무언가를 자르거나 끊을 수 있는 형태의 송곳니와 앞니 및 중간역할을 하는 소구치를 의미하고, '구치부(20)'의 치아는 음식물 등 무언가를 씹어서 갈아주는 어금니를 의미한다.
특히, 아치와이어(110)는 교정이 필요한 동일 치열의 전치부(10)와 소구치부의 제 2치아(12)들과 구치부(20)의 제 1치아(22)들 전체에 걸쳐지게 구비된다. 아치와이어(110)는 치아(12,22)들의 교정 정도 즉, 치체(齒體)의 움직임 방향과 움직임량에 따라 금속의 종류 및 직경이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아치와이어(110)는 치열 교정에 해당되는 치아(12,22)에 측압 또는 뒤틀림력을 부여하여 해당 치아(12,22)의 치열을 교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아치와이어(11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측치아군이나 하측치아군의 양쪽 최내측에 위치한 구치부(20), 또는 최내측의 구치부(20)의 치조골에는 앵커브라켓(도시하지 않음)이 고정된다.
앵커브라켓은 배치되는 아치와이어(110)의 양측을 분리 가능하게 앵커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아치와이어(110)가 특정한 치아(12,22) 또는 전체 치아(12,22)의 설측 또는 순측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교정 대상 치아를 치열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전치부(10)와 소구치부의 제 2치아(12) 중 일부 또는 전체, 구치부(20)의 제 1치아(22) 중 일부 또는 전체는 치면에 교정브라켓(120)을 부착한다. 교정브라켓(120)은 치면에 부착되고 아치와이어(110)를 삽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아치와이어(110)는 치아(12,22)의 설정 위치에서 교정 대상 치아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교정브라켓(120)은 치아(12,22)의 치면에 부착되는 접착제일 수도 있다.
한편, 치아들(12,22)이 유치들의 조기상실 또는 충치 등으로 인하여 구치들이 정상위치보다 전방으로 치우쳐 나게 되면, 구치부 앞쪽으로 악궁의 길이가 작아져서 치열이 고르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치아들(12,22)이 치열 궤적을 따라 구치부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교정된다.
즉,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은 아치와이어(110)에 연결되고, 치열 궤적을 따라 구치부(20)측의 제 1치아(22)와 전치부와 소구치부(10)측의 제 2치아(12)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은 제 1연결부(210), 제 2연결부(220), 메인와이어(230) 및 고정구속부(240)를 포함한다.
제 1연결부(210)는 교정 대상인 구치부(20)측의 제 1치아(22)의 근심부(mesial side)에 인접한 부위의 아치와이어(110)에 연결되거나, 또는 제 1치아(22)에 부착된 교정브라켓(120)에 연결될 수 있다.
편의상, 제 1연결부(210)는 제 1치아(22)에 부착된 교정브라켓(120)을 치열 방향 특히, 구강 내부 방향인 원심부(distal side) 방향으로 밀도록 교정브라켓(120)에 지지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제 1연결부(210)는 교정브라켓(120)에 인접되도록 아치와이어(110)에 형성되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 1연결부(210)는 고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치아(22)는 복수 개일 수도 있고, 전치부(10)와 소구치부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연결부(220)는 전치부(10)와 소구치부측의 제 2치아(12)에 인접한 부위의 아치와이어(110)에 연결된다. 특히, 제 2연결부(220)는 제 1연결부(210)에서 전치부와 소구치부(10) 측으로 이격되는 다른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는 교정브라켓(120)에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연결부(220)는 전측의 제 2치아(12)의 교정브라켓(120)에 연결되지 않고, 교정브라켓(120)의 전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다.
제 2치아(12)는 복수 개일 수도 있다. 물론, 제 2연결부(2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메인와이어(230)는 제 1연결부(210)와 제 2연결부(220)를 연결하고, 호 형상 또는 아치와이어(110) 방향으로 개방된 '디귿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메인와이어(230)는 제 1연결부(210)와 제 2연결부(220)를 탄성적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메인와이어(230)는 구치부(20)측 제 1치아(22)를 탄성적으로 구속한다. 특히, 메인와이어(230)는 오직 구치부(20)의 제 1치아(22)만을 탄성적으로 구속한다.
예로서, 메인와이어(230)가 곡률지게 형성됨에 따라, 제 2연결부(220)측에 지지된 채 제 1연결부(210)를 구강 내부(distal)로 미는 힘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치료 대상인 구치부(20)의 제 1치아(22)는 구강 내부(distal)로 이동된다.
물론, 메인와이어(2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편의상, 메인와이어(230)는 호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메인와이어(230)는 고정구속부(240)에 의해 제 2연결부(220)를 구치부(20) 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발생됨에 따라, 구치부(20)의 치열 교정 대상 치아가 후방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힘 조절과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구치부(20)의 교정 대상 치아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나면, 먼저 당긴 길이가 완화되어 전방쪽으로 움직이게 된 후, 또다시 뒤로 당겨서 탄성을 부여하여 구치부(20)의 교정 대상 치아는 후방 이동된다.
이때, 싱글 타입의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은 일단 구치부 치아를 구강 내부로 미는 역할을 하고, 제 2연결부(220)는 슬라이딩함으로써 오직 매인와이어(230) 의 탄성을 조절하는 지지 연결 장치로만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구치부(20)가 뒤로 밀리고 나면 자연스럽게 전치부(10)의 교정 대상 치아들이 후방으로 넘어지면서 자연 이동이 유도된다.
물론, 메인와이어(230)가 호 형상일 경우, 곡률은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고정구속부(240)는 제 2연결부(220)를 슬라이딩시켜 구강안쪽으로 당긴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메인와이어(230)의 호 형태에 탄성(tension)이 생김으로써 구강 내부(후방, 즉 distal side로)로 미는 힘을 제 1연결부(210)와 제 1치아(22)에 접촉부를 발생시켜 지속적으로 뒤로 미는 긴장 힘을 구치부(20)에 전달되어 구강내부 즉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예로서, 전치부(10)와 소구치부측 제 2치아(12)가 구치부(20)측 제 1치아(22)에 생긴 공간으로 인하여 자연적인 후방으로 기울어짐이 작용하고, 구치부(20)측 제 1치아(22)는 메인와이어(230)를 통해 메인와이어(230)의 탄성 한계까지 계속하여 구강 내부로 이동 유도될 수 있다.
특히, 고정구속부(240)는 앵커핀(242), 익스텐션와이어(extension wire,244) 및 제 3연결부(246)를 포함한다.
앵커핀(242)은 구치부(20)측 또는 전치부와 소구치부(10)측 치조골에 박혀 고정된다. 이때, 앵커핀(242)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구강 내부에 배치되는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익스텐션와이어(244)는 제 2연결부(220)에서 앵커핀(242) 방향으로 연장되고, 곡률지게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는다. 편의상, 익스텐션와이어(244)는 대략 '니은자'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익스텐션와이어(244)는 제 2연결부(220)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연결부(220)에 걸려 연장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 3연결부(246)는 익스텐션와이어(244)의 단부 또는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앵커핀(242)에 연결된다. 이때, 제 3연결부(246)는 고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앵커핀(242)은 익스텐션와이어(244)를 치열 방향 특히, 구치부(20)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강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익스텐션와이어(244)가 제 3연결부(246)에 걸림으로써, 제 2연결부(22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제 2연결부(220)를 교정브라켓(120)의 인접면과 밀착 연결시에는 아치와이어(110)를 구치부(20)측으로 당기게 된다. 그래서, 전치부와 소구치부(10)의 제 2치아(12)는 아치와이어(110)의 궤적을 따라 구치부(20)의 제 1치아(2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치부(10)와 소구치부의 제 2치아(12)가 구치부(20)의 제 1치아(2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구치부(20)의 제 1치아(22)는 메인와이어(230)의 밀거나 당기는 힘에 의해 구강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교정 치아의 교정 방향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100)는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 및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driving spring unit,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아치와이어(110) 및 교정브라켓(12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은 제 1연결부(210), 제 2연결부(220), 메인와이어(230), 고정구속부(240) 및 서브와이어(247)를 포함한다.
특히, 제 1연결부(210), 제 2연결부(220), 메인와이어(230) 및 고정구속부(24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서브와이어(247)는 제 2연결부(220) 또는 제 2연결부(220)측 메인와이어(230)에서 연장되어, 제 1연결부(210)에 대응되는 구치부(20)의 제 1치아(22)의 브라켓의 근심부에 접하여 연결된다.
이때, 서브와이어(247)는 제 2연결부(220)에 일체로 제작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서브와이어(247)의 단부는 연장연결부(248)를 형성한다.
따라서, 메인와이어(230)와 서브와이어(247)는 제 2연결부(220)에 지지된 채 구치부(20)의 치아(22)를 구강 내측으로 밀어주게 되면, 그 힘이 후방의 치아(24)에 연동되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치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고정구속부(240)의 익스텐션와이어(244)는 전치부(10)와 소구치부측 제 2치아(12)에 위치한 서브와이어(247)에 일측이 연결되고, 앵커핀(242)에 타측이 걸린다.
그래서, 익스텐션와이어(244)는 제 2연결부(22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서브와이어(247) 및 메인와이어(230)를 구치부(20)측 치아(22) 구치부 방향 내측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익스텐션와이어(244)의 일단은 설치부(241)에 의해 제 2연결부(220)에 인접한 서브와이어(247)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치아(12,22,24)들은 치열 방향 후방으로 미는 힘(distalization)으로 당김력이 작용됨으로써, 교정 기간이 줄어들게 된다.
여기서, 설치부(241)는 걸고리(243) 및 연결유도부재(245)를 포함한다.
걸고리(243)는 익스텐션와이어(244)의 단부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연결유도부재(245)는 제 2연결부(220)에 인접한 서브와이어(247)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고리(243)를 걸 수 있도록 한다. 걸고리(243)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익스텐션와이어(244)가 제 2연결부(220)를 구치부(20) 즉, 원심부(distal)로 밀어준다.
이를 위해, 제 2연결부(220)에서 연장되는 메인와이어(230)는 연장연결부(248)에 인접되는 위치에서 제 1연결부(210)를 통해 아치와이어(110)에 연결된다.
그리고, 메인와이어(230)의 제 1연결부(210)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는 서브연결부(254)와 전치부(10)의 제 5치아(16)는 서브익스텐션와이어(244a)로 연결된다.
따라서, 서브익스텐션와이어(244a)는 제 5치아(16)를 구치부(20) 측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고정구속부(240)에 의해 이동되는 치아들 및 서브익스텐션와이어(244a)에 의해 이동되는 치아들은 한정하지 않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100)는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 및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driving spring unit,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아치와이어(110) 및 교정브라켓(12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은 제 1연결부(210), 제 2연결부(220), 메인와이어(230), 고정구속부(240), 서브와이어(247) 및 서브구속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연결부(210), 제 2연결부(220), 메인와이어(230), 고정구속부(240) 및 서브와이어(247)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서브구속부(250)는 이동된 전치부(10)와 소구치부측 제 1치아(12) 이외의 제 4치아(14)를 구치부(20)측 제 1치아(2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브구속부(250)는 후크(252), 서브연결부(254) 및 텐션와이어(256)를 포함한다.
후크(252)는 교정 대상인 전치부와 소구치부(10)측 제 4치아(14)에 설치된 교정브라켓(120)에 구비된다. 이때, 후크(25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물론, 교정브라켓(120)은 치아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연결부(254)는 전치부(10)와 소구치부측 제 4치아(14)에 설치된 교정브라켓(120)에 연장된 후크(252), 구치부(20)측 제 1치아(22)에 인접한 메인와이어(230), 및 구치부(20)측 제 3치아(24)에 인접한 서브와이어(247)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브연결부(254)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형성 개수와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텐션와이어(256)는 대응되는 후크(252)의 서브연결부(254)와, 메인와이어(230)측 서브연결부(254) 또는 서브와이어(247)측 서브연결부(254)를 연결하여, 이동되지 않은 전치부(10)와 소구치부 중 전치부측 제 4치아(14)를 구치부(20)측 제 1치아(22)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서브와이어(247)가 익스텐션와이어(244)에 의해 고정구속부(240)에 당겨져서 고정되면, 이미 탄성이 생기도록 힘이 생긴 상태로 구치부(24)를 후방으로 밀고 있고, 이와 동시에 메인와이어가 텐션와이어에 의해 전치부(14)를 긴장을 가지도록 후방으로 당기는 탄성이 동일하게 생김으로써, 전치부(14)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그 힘에 의해 전치부(16)부터 구치부(22)까지 후방 힘이 전달되어 전체치아가 동시에 뒤로 이동되는 효과를 가지고 온다.
물론, 텐션와이어(25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설치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 2치아(12)와 제 4치아(14) 사이에 위치한 제 5치아(16)도 구치부(20)의 제 1치아(22) 측으로 강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동 교정장치(100)는 메인와이어(230) 및 서브와이어(247)의 휨 현상과 원형으로 복원 되려는 힘을 이용하여 아치와이어(110)가 치열 방향으로 이동되려는 힘을 발생시킨다. 메인와이어(230) 및 서브와이어(247)가 아치와이어(110)를 당기는 힘은 상악이나 하악에 박힌 앵커핀(242) 및 서브와이어(247)와 앵커핀(242)을 연결하는 익스텐션와이어(244)에 의해 발생된다.
치아교정 시, 전체 치아를 움직이게 하는 방향의 가이드가 되는 아치와이어(110)는 메인와이어(230) 및 서브와이어(247)의 연결부위인 개방형 제 2연결부(220)에 의해 수평적(치열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다.
특히, 이러한 메인와이어(230) 및 서브와이어(247)를 포함하는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을 이용한 치아 교정과 기존의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치아 교정의 차이점은 기존방법에서 치아의 수평적 이동을 위하여서는 메인 아치 와이어를 다 풀고 나서 코일 스프링을 메인 아치 와이어에 끼워놓고 나서, 각각의 치아에 메인 아치 와이어를 걸어서 힘을 적용하기 때문에, 번거로움과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메인와이어(230) 및 서브와이어(247)를 이용 시에는 아치와이어(110)를 치아로부터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연결부(210,220)를 걸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진료의 시간이 단축된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더 많은 힘을 주고 더 먼 거리를 수평적으로 움직이게 할 때도, 아치와이어(110)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에서 앵커핀(242)에 걸리는 익스텐션와이어(244)의 길이를 줄여줌으로써 지속적으로 치아이동의 거리와 힘을 조정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일정한 거리를 움직이고 나면, 치아의 이동으로 생긴 여백으로 그 앞쪽의 또 다른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아치와이어(110)에 적용되었던 힘을 전방으로 걸어주면 생긴 여백의 전방치아를 전자에 밀렸던 치아의 방향으로 당겨져 옴으로써, 하나의 아치와이어(110)를 이용하여 전후의 치아를 계속 같은 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효과가 생긴다.
물론,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에 의해 이동되는 치아들은 한정하지 않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100)는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 및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driving spring unit,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아치와이어(110) 및 교정브라켓(12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은 제 1연결부(210), 제 2연결부(220), 메인와이어(230), 고정구속부(240), 서브와이어(247) 및 서브구속부(250)를 포함한다.
특히, 구치부(20) 측으로 이동된 제 2치아(12)에 이웃한 제 5치아(16)는 미교정된 나머지 치아들과 엮어진 채 동시에 제 2치아(1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로서, 일측 최외측의 제 5치아(16)의 후크(252)와 타측 최외측 특정 치아의 후크(252)는 링크부재(257)로 연결되어 서로 구속된다. 이때, 링크부재(257)는 탄성 재질로 적용 가능하지만,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텐션와이어(256)가 당기고 있는 제 4치아(14)가 링크부재(257)에 의해 상호 구속된 치아들 중 하나이기 때문에, 링크부재(257)에 의해 상호 구속된 치아들은 동시에 제 2치아(12)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물론, 물론,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에 의해 이동되는 치아들 및 링크부재(247)에 의해 이동되는 치아들은 한정하지 않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100)는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 및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driving spring unit,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아치와이어(110) 및 교정브라켓(12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은 제 1연결부(210), 제 2연결부(220), 메인와이어(230) 및 서브와이어(24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연결부(210), 제 2연결부(220), 메인와이어(230) 및 서브와이어(247)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메인와이어(230)와 제 2연결부(220)는 메인접속부(410)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와이어(230) 또는 제 2연결부(220)는 단독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때, 메인접속부(410)는 걸고리 방식이나 끼움 타입 커넥터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서브와이어(247)와 제 2연결부(220)는 서브접속부(420)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와이어(247) 또는 제 2연결부(220)는 단독으로 교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서브접속부(420)는 걸고리 방식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100)는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 및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driving spring unit,200)을 포함한다.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 및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아치와이어(110) 및 교정브라켓(12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은 제 1연결부(210), 제 2연결부(220), 메인와이어(230), 고정구속부(240), 서브와이어(247) 및 서브구속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연결부(210), 제 2연결부(220), 메인와이어(230), 고정구속부(240) 및 서브와이어(247)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예로서, 교정 대상 치아인 제 1치아(22)와 제 2치아(12) 사이에 발치 대상인 제 6치아(3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 6치아(32)가 완전히 발치된 후, 제 1치아(22)와 제 2치아(12)가 치열 방향으로 이동 교정시, 제 1치아(22)와 제 2치아(12)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교정 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즉, 발치 대상인 제 6치아(32)는 이웃한 교정 대상용 제 1치아(22)와 제 2치아(12)가 치열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발치부재(500)에 의해 서서히 발치된다. 제 6치아(32)가 서서히 발치됨에 따라, 제 1치아(22) 또는 제 2치아(12)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 채 서서히 치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탄성발치부재(5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더욱 상세히, 제 6치아(32)에 인접한 상악 또는 하악에는 기존 치아 교정을 위해 치조골에 박힌 앵커핀(242)이 구비되고, 제 6치아(32)의 치면에는 교정브라켓(120)이 구비된다.
아울러, 탄성발치부재(500)의 일측은 앵커핀(242)에 탄성 지지되고, 타측은 제 6치아(32)의 교정브라켓(120)에 탄성 지지된다.
이에 따라, 탄성발치부재(500)는 앵커핀(242) 상부로 밀어 올리는 힘이 발생되어 서서히 제 6치아(32)를 발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 6치아(32)가 일정 상승함에 따라, 탄성발치부재(500)의 탄성력이 저하될 경우, 교정브라켓(120)은 제 6치아(32)의 치면 하측으로 위치 변경된 채 고정된다. 그리고, 탄성발치부재(500)의 타측은 위치 변경된 교정브라켓(120)에 탄성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탄성발치부재(500)의 발치 탄성력이 유지된다.
이때, 제 6치아(32)는 상승분만큼 제거됨으로써, 치아 교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악궁의 전체 길이의 부족으로 인한 부정교합을 발치교정을 하지 않고, 양쪽 구치부를 후방으로 효과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비발치교정을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발치 시에 일어나는 치조와의 흡수와 교정중의 비심미적인 모습을 탈피 할 수가 있어서 교정의 합병증을 완화 시켜주는 역할을 해 낼 수가 있다.
물론, 탄성발치부재(500)가 탄성 지지되는 위치는 한정하지 않으나, 기존의 교정브라켓(1200과 앵커핀(242)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또한, 탄성발치부재(500)에 의해 제 6치아(32)가 서서히 발치되면서, 제 2치아(12)는 구치부(20) 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전치부(10)의 제 2치아(12)와 제 6치아(32)를 제외한 나머지 치아들도 구치부(20) 측으로 이동되도록 교정될 수 있다.
예로서, 메인와이어(230)의 서브연결부(254)와 제 4치아(14)의 교정브라켓(120)은 텐션와이어(256)로 연결 구속된다. 이로 인해, 전치부(10)의 제 2치아(12)와 제 6치아(32)를 제외한 나머지 치아들도 구치부(2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교정 대상 치아는 한정하지 않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100)는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 및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driving spring unit,200)을 포함한다.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 및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을 포함한다.
특히, 교정브라켓(120)은 복수의 치아에 부착될 수 있는데, 제 5치아(16)에 부착된 것을 지칭한다.
그리고, 아치와이어(110) 및 교정브라켓(12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은 제 1연결부(210), 제 2연결부(220), 메인와이어(230) 및 고정구속부(240)를 포함한다.
제 1연결부(210)는 교정 대상인 구치부(20)측의 제 1치아(22)의 근심면(mesial side)에 인접한 부위의 아치와이어(110)에 연결되거나, 또는 제 1치아(22)에 부착된 교정브라켓(120)에 연결될 수 있다.
편의상, 제 1연결부(210)는 전방측의 제 1치아(22)에 인접한 아치와이어(110) 또는 제 1치아(22)에 걸리고, 제 2연결부(220)는 교정브라켓(120)을 후방에서 특히, 구강 외부 방향인 근심면(mesial side) 방향으로 밀도록 교정브라켓(120)에 지지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제 1연결부(210)는 교정브라켓(120)에 인접되도록 아치와이어(110)에 형성되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 1연결부(210)는 고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치아(22)는 복수 개일 수도 있고, 전치부(10) 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연결부(220)는 전치부(10) 측의 제 5치아(16)에 인접한 부위의 아치와이어(110)에 연결된다. 특히, 제 2연결부(220)는 제 1연결부(210)에서 전치부(10) 측으로 이격되는 다른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는 교정브라켓(120)에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연결부(220)는 전측의 제 5치아(16)의 교정브라켓(120)에 연결되지 않고, 교정브라켓(120)의 전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다.
물론, 제 2연결부(2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메인와이어(230)는 제 1연결부(210)와 제 2연결부(220)를 연결하고, 호 형상 또는 아치 와이어(110) 방향으로 개방되는 '디귿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메인와이어(230)는 제 1연결부(210)와 제 2연결부(220)를 탄성적으로 당기거나 밀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구속부(240)는 제 1연결부(210)에 인접한 메인와이어(230)를 고정함으로써, 제 2연결부(220)를 슬라이딩시켜 전치부측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전치부(10)측 치열 교정 대상 치아가 구강 내부 방향에 반대되는 전치부측(10) 방향으로 연이어(protract) 밀리게 된다.
여기서, 고정구속부(240)는 앵커핀(242) 및 감김부재(249)를 포함한다.
앵커핀(242)은 제 1연결부(210) 측에 인접한 치조골에 박혀 고정된다.
그리고, 감김부재(249)는 메인와이어(230)의 탄성력으로 제 2연결부(220)를 아치와이어(110)를 따라 밀어 치열을 교정하기 위해, 메인와이어(230)의 일부를 앵커핀(242)에 감아 위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메인와이어(230)는 제 2연결부(220)의 전방부 쪽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고정구속부(240) 측으로 많이 당겨 고정되면 탄성의 힘이 더 세지고, 작게 당겨 고정되면 탄성의 힘이 적어져서, 구치부(22)의 후방이동의 힘 조절과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메인와이어(230)는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꼬임텐션부재(23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꼬임텐션부재(232)는 제 2연결부(220) 측에 인접되는 메인와이어(230)에서 외측으로 한번 이상 감겨서 형성된다. 그래서, 메인와이어(230)는 제 2연결부(220)를 더욱 더 미는 힘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제 5치아(16)의 치열 교정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물론, 꼬임텐션부재(2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교정 대상 치아들은 한정하지 않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100)는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 및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driving spring unit,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아치와이어(110) 및 교정브라켓(12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은 제 1연결부(210), 제 2연결부(220), 메인와이어(230), 고정구속부(240), 서브와이어(247) 및 서브구속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연결부(210), 제 2연결부(220), 메인와이어(230) 및 고정구속부(24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서브와이어(247)는 제 1연결부(210)에서 연장되어 제 2치아(12)와 제 5치아(16) 사이의 위치에서 아치와이어(110)에 연결된다.
이때, 서브와이어(247)는 제 1연결부(210)에 일체로 제작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서브와이어(247)의 단부는 연장연결부(248)를 형성한다. 연장연결부(248)는 제 2치아(12)와 제 5치아(16) 사이의 위치에서 아치와이어(110)에 걸려 구치부를 앞쪽으로 당기는 역할을 함에 따라, 메인와이어(230)와 서브와이어(247)는 고정구속부(240)에 지지된 채 복수 개의 치아를 호 형태의 스프링 장력(spring tension)에 의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치부(10) 측으로 치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서브구속부(250)는 서브와이어(247)의 스프링 힘에 의해 서브연결부(254)를 통해 구치부(20)의 치아를 전방으로 당기고 가는 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힘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브구속부(250)는 후크(252), 서브연결부(254) 및 텐션와이어(256)를 포함한다.
후크(252)는 구치부(20) 측 치아인 제 1치아(22)에 설치된 교정브라켓(120)에 구비된다. 이때, 후크(25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물론, 교정브라켓(120)은 치아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연결부(254)는 교정브라켓(120)에 연장된 후크(252) 및 서브와이어(247)의 전치부(10) 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브연결부(254)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형성 개수와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텐션와이어(256)는 대응되는 후크(252)의 서브연결부(254)와, 서브와이어(247)의 전치부(10) 측 가장자리를 양측에 연결하여, 이동되지 않은 구치부(20) 측으로 치우친 전치부(10) 측 치아들을 전치부(10) 측에 제자리 잡도록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텐션와이어(25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설치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교정 대상 치아들은 한정하지 않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100)는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 및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driving spring unit,200)을 포함한다.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은 익스팬션 루프(expansion loop,300)를 포함한다.
특히, 아치와이어(110)는 대략 호 형상인 익스팬션 루프(300)의 양측을 연결한다. 이때, 익스팬션 루프(300)는 단부끼리 탄성적으로 좁혀진 상태로 제 2치아(12)의 교정브라켓(120)과 제 4치아(14)의 교정브라켓(120) 사이에 해당되는 아치와이어(110)에 연결됨으로써, 제 2치아(12)와 제 4치아(14)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제 2치아(12)와 제 4치아(14) 사이의 치열 교정 대상 치아인 제 5치아(16)가 서서히 이동되면서 제 2치아(12)와 제 4치아(14)와 치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익스팬션 루프(300)는 겹쳐진 상태의 치열 교정 대상 치아를 교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후, 전치부(10)의 일차 교정된 치아들은 이차 교정에 의해 구치부(2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익스팬션 루프(300)는 교차되게 당겨짐으로써 양측 단부가 오므라들게 됨으로써, 더욱 큰 탄성 복원력을 갖게 된다. 즉, 익스팬션 루프(300)는 구치부(20) 측을 향하는 부분과 전치부(10) 측의 특정 치아에 구비되는 후크(252)를 전치부측 당김와이어(320)로 연결한다. 그리고, 익스팬션 루프(300)의 전치부(10)측을 향하는 부분은 구치부(20) 측 치조골에 박힌 앵커핀(242)에 연결된 익스텐션와이어(244)에 의해 당겨진다. 특히, 앵커핀(242)이 구치부(20) 측 치조골에 박혀 있기 때문에, 전치부(10) 측 치아들은 전체적으로 구치부(20) 측으로 이동된다.
아울러, 치아들의 교정 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이동 교정 대상 치아들을 제 1치아(22)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즉, 메인와이어(230)가 제 1치아(22) 부위와 제 4치아(14) 부위에 걸고, 앵커핀(242)에 구속됨에 따라, 제 1치아(22) 측 구치부(20) 방향으로 치아들을 이동 교정할 수 있다.
물론, 익스팬션 루프(300)와 메인와이어(230)에 의해 구속되거나 이동하는 대상 치아들은 한정되지 않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100)는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 및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driving spring unit,200)을 포함한다.
아치와이어(110), 교정브라켓(12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은 안테리어토크스프링(610)을 포함한다.
안테리어토크스프링(610)은 치열 교정 대상 치아가 세워진 각도를 유지한 채 구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아치와이어(110)에 연결된다.
여기서, 안테리어토크스프링(610)는 익스트루젼부(612) 및 인서트부(614)를 포함한다.
익스트루젼부(612)는 아치와이어(110)를 기준으로 치열 교정 대상 치아 각각의 하측 즉, 잇몸에 인접한 치열 교정 대상 치아 각각의 하측을 동시에 접하여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아치와이어(110)가 치열 교정 대상 치아를 구강 내측 또는 외측으로 밀게 되는데, 익스트루젼부(612)가 치열 교정 대상 치아를 이동 안내한다.
그리고, 인서트부(614)는 익스트루젼부(612)의 배치를 유지하고, 익스트루젼부(612)가 치열 교정 대상 치아를 가압하여 밀도록 구심점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인서트부(614)는 익스트루젼부(612)의 설정 부위에 절곡 형성되어 치아 사이 위치에서 이웃한 치열 교정 대상 치아 사이에 해당되는 아치와이어(110)의 하측으로 끼움되어 고정 설치된다.
예로서, 인서트부(614)는 제 4치아(14)와 제 5치아(16) 사이에서 아치와이어(110)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인서트부(61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안테리어토크스프링(610)은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인서트부(61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악의 전치부(10) 등의 교정 대상 치아들은 구강 내측으로 회동되며 교정된다.
또한,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200)은 토크아치와이어(620)를 포함한다.
토크아치와이어(620)는 치열 교정 대상 치아가 세워진 각도를 유지한 채 이동되도록 아치와이어(110)에 연결된다.
특히, 토크아치와이어(620)는 대략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이 벌어진 상태로 각각 치근에 고정 설치된다. 즉, 토크아치와이어(620) 각각의 단부는 앵커링부(622)에 의해 치근에 고정된다.
이때, 호 형상인 토크아치와이어(620)의 상측은 아치와이어를 기준으로 치열 교정 대상 치아 각각의 상측에 동시에 접하여 가압한다. 토크아치와이어(620)는 아치와이어(110)의 치아를 향하는 하측으로 삽입되어 치열 교정 대상 치아를 밀어 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치와이어(110)와, 토크아치와이어(620)의 미는 힘에 의해, 치열 교정 대상 치아는 구강 외측으로 회동되며 교정된다.
예로서, 안테리어토크스프링(610)는 상악측 치아에 설치되고, 토크아치와이어(620)가 하악측 치아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안테리어토크스프링(610)과 치열교정와이어(6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치열 교정 대상 치아들은 한정하지 않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치부와 소구치부 20: 구치부
100: 이동 교정장치 110: 아치와이어
200: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 210: 제 1연결부
220: 제 2연결부 230: 메인와이어
240: 고정구속부 242: 앵커핀
244: 익스텐션와이어 246: 제 3연결부
250: 서브구속부 252: 후크
254: 서브연결부 256: 텐션와이어
300: 익스팬션루프

Claims (4)

  1. 전치부와 구치부에 걸쳐 교정대상 치아에 배치되는 아치와이어; 및 상기 아치와이어에 연결되고, 치열 궤적을 따라 치열 교정 대상 치아를 구강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은 치열 교정 대상 치아가 이동되도록 상기 아치와이어에 연결되는 안테리어토크스프링를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빙 스프링 유닛은 치열 교정 대상 치아가 이동되도록 상기 아치와이어에 연결되는 토크아치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아치와이어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치근에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아치와이어를 기준으로 상기 치열 교정 대상 치아 각각의 상측에 동시에 접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리어토크스프링는,
    상기 아치와이어를 기준으로 상기 치열 교정 대상 치아 각각의 하측을 동시에 접하여 가압하는 익스트루젼(extrusion)부; 및
    상기 익스트루젼부의 배치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익스트루젼부의 설정 부위에 절곡 형성되어 치아 사이 위치에서 상기 아치와이어에 연결되는 인서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70018564A 2017-02-10 2017-02-10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KR101763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564A KR101763732B1 (ko) 2017-02-10 2017-02-10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564A KR101763732B1 (ko) 2017-02-10 2017-02-10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433A Division KR101748134B1 (ko) 2016-07-19 2016-12-14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732B1 true KR101763732B1 (ko) 2017-08-01

Family

ID=5965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564A KR101763732B1 (ko) 2017-02-10 2017-02-10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7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789A (ko) * 2017-12-28 2019-07-08 청 시앙 훙 치열 교정 공간 폐쇄 디바이스
KR102053161B1 (ko) * 2019-11-06 2019-12-06 김정석 치아 교정 장치
KR102058526B1 (ko) 2019-11-08 2019-12-23 김정석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KR102092395B1 (ko) * 2019-11-06 2020-03-23 김정석 탄성체인을 이용한 간단치아교정장치
KR102092397B1 (ko) * 2019-12-17 2020-05-15 김정석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4780A1 (en) * 2004-04-30 2005-11-03 Norbert Abels Torque spring for double wire orthodontic treat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4780A1 (en) * 2004-04-30 2005-11-03 Norbert Abels Torque spring for double wire orthodontic treatm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789A (ko) * 2017-12-28 2019-07-08 청 시앙 훙 치열 교정 공간 폐쇄 디바이스
KR102137655B1 (ko) 2017-12-28 2020-07-27 청 시앙 훙 치열 교정 공간 폐쇄 디바이스
KR102053161B1 (ko) * 2019-11-06 2019-12-06 김정석 치아 교정 장치
KR102092395B1 (ko) * 2019-11-06 2020-03-23 김정석 탄성체인을 이용한 간단치아교정장치
KR102058526B1 (ko) 2019-11-08 2019-12-23 김정석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KR102092397B1 (ko) * 2019-12-17 2020-05-15 김정석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하게 하는 구조체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732B1 (ko)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KR101748134B1 (ko)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McSherry et al. Class II correction-reducing patient compliance: a review of the available techniques
US5125831A (en) Orthodontic bracket with bi-directional hook
US4412819A (en) Orthodontic arch wire
KR101200379B1 (ko)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JP7167064B2 (ja) 様々なサイズのアーチワイヤスロットを有する歯列矯正システム
US11419704B2 (en) Orthopedic-orthodontic molar distalizer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US7033171B2 (en) Molar tube lock
US9987104B2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CA3047629A1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US6932598B1 (en) Device and method of molar distalization and mandibular protraction
NO20150861A1 (en) Multi Loop Palatal Arch
US20210205050A1 (en) Orthodontic system
US6733287B2 (en) Molar tube lock
AU774128B2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treating overjet
KR102092395B1 (ko) 탄성체인을 이용한 간단치아교정장치
US20140242536A1 (en) Mandibular attachment for correction of malocclusion
US20070298365A1 (en) Anchorage preparing buccal tube
Umale et al. Molar distalization–A review
KR20230115420A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
Kumar Molar distalization—A review
CN112569011A (zh) 一种牙齿矫正装置及矫正方法
White et al. Fixed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