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030B1 - 펫 드라이 룸 - Google Patents

펫 드라이 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030B1
KR102092030B1 KR1020180077381A KR20180077381A KR102092030B1 KR 102092030 B1 KR102092030 B1 KR 102092030B1 KR 1020180077381 A KR1020180077381 A KR 1020180077381A KR 20180077381 A KR20180077381 A KR 20180077381A KR 102092030 B1 KR102092030 B1 KR 102092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main body
dry room
fasten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494A (ko
Inventor
김수경
Original Assignee
(주)제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롬 filed Critical (주)제롬
Priority to KR102018007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030B1/ko
Priority to PCT/KR2018/008069 priority patent/WO2020009263A1/ko
Publication of KR2020000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66Movable chambers, e.g. collapsible, demoun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펫 드라이 룸은,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며 상기 본체에 대해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건조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다면체로 형성되거나 판재로 분리되어 접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본체를 접이식으로 구현하여 부피를 줄여줌과 동시에 보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펫 드라이 룸{PET DRY ROOM}
본 발명은 펫 드라이 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목욕 후에 편리하고, 빠르며, 털에 묻은 물기를 청결하게 건조해주는 펫 드라이 룸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 핵가족화나 독신가구의 증가에 따른 정서적 요구의 증대 등 다양한 이유로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다. 애완동물의 종류도 전통적인 개나 고양이 뿐 아니라, 기타 다른 포유류는 물론 파충류나 양서류 등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데, 아직까지도 가장 주종을 이루는 것은 역시 포유류가 차지하고 있다.
애완동물들도 사람과 같이 위생과 건강을 위해 자주 목욕을 해주어야 하는데, 포유류의 경우 통상적으로 신체에 많은 털을 갖고 있기 때문에, 목욕 자체도 쉽지 않은 작업이 될 뿐더러, 목욕 후에 젖은 털을 사람이 직접 시간과 노력을 들여 건조시켜 주어야 하므로, 애완동물의 관리에 있어 상당한 번거로움을 안기고 있다.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여러 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사람의 모발 건조를 위해 사용되는, 또는 애완동물 전용의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여 열풍 건조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동물의 경우, 털이 젖으면 몸을 흔들어 털어내려고 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건조 중에 자주 몸을 흔들어 주변에 물과 털이 튀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안겨주고 건조 후 청소가 필요하여 번거로움을 가중시키게 된다.
또한, 목욕이 익숙해지기 전이나 동물의 습성으로 인해, 건조시키는 동안 동물이 계속 몸을 움직이거나 다른 곳으로 도망가려 하는 경우가 많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동물을 손으로 잡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더욱 번거롭게 되고 건조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된다.
더욱이,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할 경우, 국소적으로만 열풍을 공급하게 되므로, 동물의 전체 털을 건조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신속한 건조를 위해 열풍 온도를 높일 경우, 과도한 열로 인해 털이 손상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헤어드라이어로 털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털이 빠져서 날리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애완동물의 털을 자동으로 건조시키는 애완동물용 건조기가 개발되었으며, 이와 같은 애완동물용 건조기에 관한 대표적인 예가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애완동물용 건조기는 구조물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무게 및 부피에 따른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독신가구의 경우에는 원룸 형태의 거주공간이므로 종래기술의 애완동물용 건조기를 설치할 공간적 여유를 찾기 어려웠다.
또한, 무게 및 부피로 인해 휴대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특허문헌 2의 "펫 드라이 룸"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펫 드라이 룸"은 접이식으로 구현하여 부피를 줄여줌에 따라 보관성 및 휴대성은 향상되었으나, 접이식으로 구현하기 위해 섬유소재를 채용함에 따라 애완동물의 털이 섬유소재와 엉켜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접이식으로 구현하여 부피를 줄여줌과 동시에 보관성이 향상되면서도 애완동물의 털과 엉키는 문제점을 해결한 개선된 형태의 펫 드라이 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2008-0068977호(2008.07.25.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2015-0049810호(2015.05.08.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본체를 접이식으로 구현하여 부피를 줄여줌과 동시에 보관성이 향상되는 펫 드라이 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를 판재로 형성하여 드라이시 애완동물의 털이 엉키는 문제점을 개선한 펫 드라이 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펫 드라이 룸은,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며 상기 본체에 대해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건조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다면체로 형성되거나 판재로 분리되어 접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판, 제1,2 측면판으로 구분되어 접이되는 상부체와, 상기 접이된 상부체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제1,2 측면판과 결합되는 하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 측면판에는 상기 하판과 결합되는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와 하판에는 각각 스냅이 구비되어 맞물려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모듈에는 상기 상부체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에는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홈의 양측으로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 측면판에는 돌출된 체결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건조모듈에는 상기 체결플랜지가 삽입되는 슬롯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플랜지에는 상기 슬롯의 내부에서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에는 접이되는 보강플랜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보강플랜지는 스냅에 의해 상기 상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개방된 단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에는 힌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에는 상기 힌지축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분리홈이 형성된 힌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 측면판에는 고정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어에는 상기 고정 플랜지가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고정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플랜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에는 상판, 제1,2 측면판을 감싸도록 도어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펫 드라이 룸에 따르면,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본체를 접이식으로 구현하여 부피를 줄여줌과 동시에 보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는 상판, 제1,2 측면판으로 구분되어 접이되는 상부체와, 상기 'ㄷ'자 형태로 접이된 상부체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도록 제1,2 측면판과 결합되는 하판으로 구성되어 상부체와 하판의 체결시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부체와 하판을 결합시에는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컨넬 형태를 유지하며 상부체와 하판의 분해시에는 상부체를 접이하여 부피를 크게 줄여준다.
또한, 본체를 합성수지재인 판재로 형성하여 애완동물이 털이 엉키는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펫 드라이 룸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체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건조모듈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펫 드라이 룸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펫 드라이 룸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본체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건조모듈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펫 드라이 룸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펫 드라이 룸(A}은,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며 상기 본체에 대해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건조모듈(2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애완동물의 털과 엉키는 것을 억제하도록 합성수지 판재로 형성된다.
다음, 상기 건조모듈(200)은 본체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201) 및 터보 팬(202)이 구비되며, 상기 건조모듈(200)에서 발생된 열풍은 노즐(203)과 에어 트레이(300)를 통해 본체(100)의 수용공간으로 분사된다.
또한, 상기 건조모듈(200)에는 본체(100)의 수용공간을 통해 유입된 외기와 수용공간 내부의 내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공기 순환 필터(204)가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애완 동물의 털 등을 공기 순환 필터(204)가 여과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펫 드라이 룸(A)의 공기 순환 구조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터보 팬(202)이 구동하면,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흡입구(101)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며, 외기와 본체(100)의 수용공간 내측의 내기는 터보 팬(202)에 의해 흡입되며, 터보 팬(202)에 의해 토출된 공기는 히터(201)를 거치며 승온되고, 승온된 열풍은 노즐(203)과 에어 트레이(300)를 통해 본체(100)의 수용공간으로 분사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말려주게 된다.
이후, 상기 본체(100)의 수용공간으로 분사된 열풍은 다시 터보 팬(202)으로 유입되는 순환구조로 구성된다. 즉,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모듈(200)에는 아로마 카트리지(205), 산소 카트리지(206), 음이온 발생기(207) 및 제어부(208)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건조모듈(200)에는 상기 본체(100)의 수용공간이 음압을 형성하도록 배기구(209)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트레이(300)로 열풍을 공급하는 에어 트레이 연결구(2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건조모듈(200)에는 전등 또는 적외선 LED(2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트레이(300)는, 노즐 및 발판 등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조립시에는 다면체로 형성되어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거나 판재로 분리되어 접이되도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는 상판(111), 제1,2 측면판(112,113)으로 구분되어 접이되는 상부체(110)와, 'ㄷ'자로 접이된 상부체(110)의 개방된 하측 단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제1,2 측면판(112,113)과 결합되는 하판(1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 측면판(112,113)에는 상기 하판(120)과 결합되는 플랜지(114)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14)와 하판(120)에는 각각 스냅(114a)이 구비되어 맞물려 체결된다.
여기서 스냅(114a)은 프레스 버튼(press button) 또는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 또는 똑딱단추로도 불리며, 요철로 구분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구성요소를 말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냅(114a)을 통해 상기 상부체(110)와 하판(120)이 결합되면 본체(100)의 내부로 수용공간이 구비된 다면체로 구성된다.
반면, 상기 상부체(110)와 하판(120)을 분해하면 도 3과 같이 판재로 분리됨과 동시에 상부체(110)는 상판(111), 제1,2 측면판(112,113)이 접이되어 부피를 크게 줄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모듈(200)에는 상기 상부체(11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체결부(220)가 형성된다. 즉, 도 1과 같이 상기 본체(100)가 체결부(220)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220)에는 체결돌기(221)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111)에는 상기 체결돌기(221)에 대응되는 체결홈(118)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221)와 체결홈(118)에 의해 상기 상부체(110)는 건조모듈(2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118)의 양측으로 절개홈(118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홈(118)이 형성된 부위를 절개홈(118a)에 의해 변형시켜 체결홈(118)과 체결돌기(221)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2 측면판(112,113)에는 돌출된 체결플랜지(115)가 형성되며, 상기 건조모듈(200)에는 상기 체결플랜지가(115) 삽입되는 슬롯(2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플랜지(115)에는 상기 슬롯(230)의 내부에서 걸림되는 걸림턱(115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슬롯(230) 내부로 삽입되는 체결플랜지(115)와 걸림턱(115a)에 의해 상기 상부체(110)는 건조모듈(2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덧붙여, 상기 체결플랜지(115)의 일측에는 파지홈(115b)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파지홈(115b)을 잡고 체결플랜지(115)를 슬롯(230)에서 제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체(110)의 상판(111)은 체결돌기(221)와 체결홈(118)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상부체(110)의 제1,2 측면판(112,113)은 상기 슬롯(230)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플랜지(115)와 걸림턱(115a)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111)에는 접이되는 보강플랜지(111a)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보강플랜지(111a)는 스냅(111b)에 의해 상기 상판(111)에 고정된다.
즉, 상기 보강플랜지(111a)에 의해 상판(111)의 처짐 등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단부를 개폐하는 도어(40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판(111)에는 힌지축(116)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400)에는 상기 힌지축(116)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분리홈(411)이 형성된 힌지부재(41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분리홈(411)에 의해 상기 도어(400)는 힌지축(116)에서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하여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의 분해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2 측면판(112,113)에는 고정 플랜지(117)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어(400)에는 상기 고정 플랜지(117)가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고정부재(4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플랜지(117)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부재(420)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플랜지(117)에는 고정돌기(117a)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420)에는 상기 고정돌기(117a)가 삽입되는 고정홈(421)이 형성된다.
즉,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고정 플랜지(117)에 의해 고정돌기(117a)는 고정홈(42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도어(400)를 본체(100)에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본체(100) 내측 수용공간의 애완동물이 도어(400)를 밀어주는 경우에도 탄성복원력이 발생하는 고정 플랜지(117)와 고정돌기(117a)와 고정홈(421)의 결합구조에 의해 견고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어(400)에는 상판(111), 제1,2 측면판(112,113)을 감싸도록 도어 플랜지(430)가 형성되어 있어 상부체(110)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거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본체(100)를 접이식으로 구현하여 부피를 줄여줌과 동시에 보관성이 향상된다.
즉, 상부체와 하판을 결합시에는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컨넬 형태를 유지하며 상부체와 하판의 분해시에는 상부체를 접이하여 부피를 크게 줄여준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 - 펫 드라이 룸
100 - 본체
110 - 상부체 120 - 하판
200 - 건조모듈
300 - 에어 트레이
400 - 도어

Claims (14)

  1.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다면체로 형성되거나 판재로 분리되어 접이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며 상기 본체에 대해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건조모듈;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단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판, 제1,2 측면판으로 구분되어 접이되는 상부체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판에는 힌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에는 상기 힌지축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분리홈이 형성된 힌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2 측면판에는 고정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어에는 상기 고정 플랜지가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고정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제1,2 측면판과 결합되는 하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측면판에는 상기 하판과 결합되는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와 하판에는 각각 스냅이 구비되어 맞물려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모듈에는 상기 상부체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에는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의 양측으로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측면판에는 돌출된 체결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건조모듈에는 상기 체결플랜지가 삽입되는 슬롯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플랜지에는 상기 슬롯의 내부에서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접이되는 보강플랜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보강플랜지는 스냅에 의해 상기 상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랜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판, 제1,2 측면판을 감싸도록 도어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KR1020180077381A 2018-07-04 2018-07-04 펫 드라이 룸 KR102092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381A KR102092030B1 (ko) 2018-07-04 2018-07-04 펫 드라이 룸
PCT/KR2018/008069 WO2020009263A1 (ko) 2018-07-04 2018-07-17 펫 드라이 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381A KR102092030B1 (ko) 2018-07-04 2018-07-04 펫 드라이 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494A KR20200004494A (ko) 2020-01-14
KR102092030B1 true KR102092030B1 (ko) 2020-03-23

Family

ID=6905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381A KR102092030B1 (ko) 2018-07-04 2018-07-04 펫 드라이 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2030B1 (ko)
WO (1) WO20200092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2432B2 (ja) * 2005-06-01 2008-01-16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車載ケース保持装置
KR20080068977A (ko) 2007-01-22 2008-07-25 김창환 애완동물용 건조기
KR20100008877U (ko) * 2009-03-02 2010-09-10 문명근 애완동물용 집 겸용 가방
KR200462906Y1 (ko) * 2010-06-07 2012-10-09 우장근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557129B1 (ko) 2013-10-31 2015-10-02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펫 드라이 룸
KR101595382B1 (ko) * 2014-02-27 2016-02-18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펫 드라이 룸
KR101680824B1 (ko) * 2014-06-11 2016-11-30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펫 드라이 룸
KR101688959B1 (ko) * 2016-05-30 2016-12-22 조미선 휴대용 접이식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9263A1 (ko) 2020-01-09
KR20200004494A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605B2 (en) Pet dry room and tray used therefor
KR101557129B1 (ko) 펫 드라이 룸
KR101680824B1 (ko) 펫 드라이 룸
KR101963814B1 (ko)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KR200476748Y1 (ko) 애완동물 건조장치
US5067444A (en) Apparatus for grooming animals
KR200462906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897930B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KR101710121B1 (ko) 반려동물 드라이 룸
KR101971577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KR101595382B1 (ko) 펫 드라이 룸
US20180077900A1 (en) Pet drying room
KR102092030B1 (ko) 펫 드라이 룸
US4947799A (en) Apparatus for grooming animals
KR102063213B1 (ko) 다기능 펫 드라이룸
KR20180045246A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102396809B1 (ko) 저소음용 애완동물 전용 드라이어
GB2144317A (en) Drying animals and collecting hair
KR20200127798A (ko) 펫 드라이어
KR102010363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KR100563399B1 (ko) 애완 동물용 미용기구
KR102031072B1 (ko) 반려동물 목욕대
KR200331705Y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102554818B1 (ko)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
KR102247912B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