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916B1 - 냉각액 배출장치, 볼나사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액 배출장치, 볼나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916B1
KR102091916B1 KR1020177036958A KR20177036958A KR102091916B1 KR 102091916 B1 KR102091916 B1 KR 102091916B1 KR 1020177036958 A KR1020177036958 A KR 1020177036958A KR 20177036958 A KR20177036958 A KR 20177036958A KR 102091916 B1 KR102091916 B1 KR 102091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liquid
shaft end
shaft
reservoir
electric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172A (ko
Inventor
신페이 야마모토
세이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97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4Elements essential to such mechanisms, e.g. screws,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4Elements essential to such mechanisms, e.g. screws, nuts
    • F16H25/2418Screw seals, wipers, scrap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3Guidance of lubricant within rotary parts, e.g. axial channels or radial openings i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6Pumps
    • F16H57/0439Pumps using multiple pumps with different power sources or a single pump with different power sources, e.g. one and the same pump may selectively be driven by either the engine or an 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5Lubricant storage reservoirs, e.g. reservoirs in addition to a gear sump for collecting lubricant in the upper part of a gear c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7Labyrinth 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7Labyrinth packings
    • F16J15/4472Labyrinth packings with axial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공작기계 등에 탑재되는 볼나사장치(100)에 사용하는 냉각액 배출장치(10)에 있어서, 나사축(2)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의 부하를 경감하여 콤팩트하고, 제조비용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냉각액 배출장치(10)의 하우징(14)에 있어서는, 지름방향의 내측에, 나사축(2)에 근접하여 배치된 근접부(5d, 6f)와 냉각액(8)을 일시적으로 담아두는 저류실(11, 12, 13)을 축방향으로 번갈아 배치하고, 냉각액(8)을 저류실(11, 12, 13)로부터 배출하는 배출구멍(5e, 6e, 6g)을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냉각액 배출장치, 볼나사장치
본 발명은, 공작기계, 사출성형기, 반도체 제조장치 등에 사용되는 볼나사장치의 나사축을 냉각하는 냉각액을 배출하기 위한 냉각액 배출장치, 및 냉각액 배출장치를 구비한 볼나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볼나사장치는, 구동시에 너트와 볼, 볼과 나사축의 사이에서 마찰이 일어나 마찰열이 발생한다. 또한, 나사축 또는 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를 부착한 경우, 그 모터에서도 열이 발생한다. 이들 열은, 볼나사장치를 열팽창시켜서 높은 위치결정정밀도를 저해한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나사축은, 중심부에 형성한 구멍에 냉각액을 흘려 넣고, 나사축의 열을 빼앗은 냉각액을 냉각액 배출장치에 의해 나사축으로부터 배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 평11-19848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나사축과 함께 회전하는 부재와 공작기계 등에 고정된 부재와의 사이로부터 냉각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시일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접촉시일의 마찰에 의해, 나사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의 부하가 큰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접촉시일을 수용하기 위해 냉각액 배출장치가 축방향으로 길어져 버려, 냉각액 배출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커진다고 한 문제가 있다.
또한, 접촉시일을 구성하는 환상의 부품이나 코일 용수철 등이 필요하게 되어, 부품개수가 늘어나 조립의 수고나 시간이 드는 등 제조비용이 증대한다고 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접촉시일을 불필요로 함으로써, 나사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의 부하를 경감하여 콤팩트하고, 제조비용의 증대를 방지하는 냉각액 배출장치, 및, 냉각액 배출장치를 구비한 볼나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주면에 제1전동홈이 형성되고, 중심축선을 따라 냉각용 구멍이 형성된 나사축과, 내측에 상기 나사축을 통과하여, 내주면에 상기 제1전동홈에 대향하는 제2전동홈이 형성된 너트와, 상기 제1전동홈과 상기 제2전동홈과의 사이에 전동 가능하게 개재시킨 복수 개의 볼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축의 상기 냉각용 구멍 내에 냉각액이 흘러, 상기 나사축의 단부에 형성된 축경(縮徑)단부로부터 상기 냉각액이 배출되는 볼나사장치에 사용되고,
상기 축경단부에 외감(外嵌)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축경단부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축경단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각액을 저류하고, 외부로 관통한 제1배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냉각액을 배출하는 제1저류실을 형성하는 제1저류부와,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1저류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1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1근접부와,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1근접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저류실로부터 흘러넘친 상기 냉각액이 상기 제1미소극간을 통과하여 침입하고, 외부로 관통한 제2배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냉각액을 배출하는 제2저류실을 형성하는 제2저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액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더욱이,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근접부와 상기 제2저류부의 사이에, 상기 제1근접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이격한 포켓과, 상기 제2저류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2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2근접부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상기 포켓으로부터 외부로 관통한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근접부는, 상기 제2근접부보다도 내경이 크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더욱이,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2저류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2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2근접부와,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2근접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저류실로부터 흘러넘친 상기 냉각액이 상기 제2미소극간을 통과하여 침입하고, 외부로 관통한 제3배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냉각액을 배출하는 제3저류실을 형성하는 제3저류부를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더욱이,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근접부와 상기 제3저류부의 사이에, 상기 제2근접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이격한 포켓과, 상기 제3저류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3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3근접부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상기 포켓으로부터 외부로 관통한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근접부는, 상기 제3근접부보다도 내경이 크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주면에 제1전동홈이 형성되고, 중심축선을 따라 냉각용 구멍이 형성된 나사축과,
내측에 상기 나사축을 통과하고, 내주면에 상기 제1전동홈에 대향하는 제2전동홈이 형성된 너트와,
상기 제1전동홈과 상기 제2전동홈과의 사이에 전동 가능하게 개재된 복수 개의 볼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축의 상기 냉각용 구멍 내에 냉각액을 흘리고, 상기 나사축의 단부에 형성된 축경단부로부터 상기 냉각액이 배출되는 볼나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경단부에 외감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축경단부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축경단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각액을 저류하고, 외부로 관통한 제1배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냉각액을 배출하는 제1저류실을 형성하는 제1저류부와,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1저류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1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1근접부와,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1근접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저류실로부터 흘러넘친 상기 냉각액이 상기 제1미소극간을 통과하여 침입하고, 외부로 관통한 제2배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냉각액을 배출하는 제2저류실을 형성하는 제2저류부를 가지는 냉각액 배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나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저류부에 대향하는 상기 축경단부의 부분과 상기 제2저류부에 대향하는 상기 축경단부의 부분에, 각각 다른 부분보다도 더 축경된 축경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더욱이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근접부와 상기 제2저류부의 사이에, 상기 제1근접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이격한 포켓과, 상기 제2저류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2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2근접부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상기 포켓으로부터 외부로 관통한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미소간극은, 상기 제2미소간극보다도 지름방향의 폭이 넓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더욱이,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2저류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2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2근접부와,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2근접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저류실로부터 흘러넘친 상기 냉각액이 상기 제2미소극간을 통과하여 침입하고, 외부로 관통한 제3배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냉각액을 배출하는 제3저류실을 형성하는 제3저류부를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저류부에 대향하는 상기 축경단부의 부분에, 다른 부분보다도 더 축경된 축경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더욱이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근접부와 상기 제3저류부의 사이에, 상기 제2근접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이격한 포켓과, 상기 제3저류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3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3근접부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상기 포켓으로부터 외부로 관통한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미소극간은, 상기 제3미소극간보다도 지름방향의 폭이 넓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시일을 불필요로 함으로써, 나사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의 부하를 경감하여 콤팩트하고, 제조비용의 증대를 방지하는 냉각액 배출장치, 및, 냉각액 배출장치를 구비한 볼나사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원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의 냉각액 배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의 냉각액 배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의 냉각액 배출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원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원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냉각액 배출장치(10)에 대해서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볼나사장치(100)는, 양단부를 제외하고 외주면에 나선모양의 제1전동홈이 형성된 원주모양의 나사축(2)과, 원통모양을 하여 내측에 나사축(2)이 통과되고, 내주면에 나사축(2)의 전동면에 대향하는 제2전동홈이 형성된 너트(3)와, 제1전동홈과 제2전동홈의 사이에 전동 가능하게 수용된 복수 개의 볼과, 나사축(2)의 한쪽 단부에 부착된 냉각액 배출장치를 주된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도 2는, 본원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100)의 냉각액 배출장치(1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냉각액 배출장치(10)를 축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냉각액 배출장치(10)는, 내륜이 나사축(2)의 축경단부(2a)에 외감하는 베어링(4)과, 베어링(4)에 의해 축경단부(2a)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우징(14)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14)은, 베어링(4)의 외륜에 외감하여 축경단부(2a)의 기단측을 비접촉으로 덮는 제1부재(5)와, 제1부재(5)에 접합하여 축경단부(2a)의 선단부(2d)를 비접촉으로 덮는 제2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4)은, 구름베어링이고, 내륜에 나사축(2)의 축경단부(2a)가 압입되고, 내륜의 한쪽 측면이 나사축(2)의 나사홈부(2b)의 단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나사축(2)과 냉각액 배출장치(10)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베어링(4)은, 외륜과 내륜의 사이를 막는 시일을 갖지 않은 것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볼나사장치(100)의 부하를 가볍게 할 수가 있다.
제1부재(5)는, 나사축(2)의 축경단부(2a)를 비접촉으로 통과하는 관통부재를 구비한 원통모양을 하고 있다. 제1부재(5)의 관통구멍부는, 축방향에 있어서 나사축(2)의 나사홈부(2b) 측의 단부에 형성된 베어링 수용부(5a)와, 베어링 수용부(5a)보다도 축경단부(2a)의 선단부(2d) 측에서, 축방향의 양측보다도 확경(擴徑)한 제3저류실(13)을 형성하는 제3저류부(5b)를 가지고 있다. 제1저류부(6b), 제2저류부(6a)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축경단부(2a)의 선단부(2d) 측의 제1부재(5)의 측면에는, 나사축(2)을 둘러싸는 원환모양으로 돌출한 환상돌부(5c)가 형성되어 있다.
제2부재(6)는, 제1부재(5)보다도 축경단부(2a)의 선단부(2d) 측에 배치되고, 축경단부(2a)의 선단부(2d)를 비접촉으로 받아들이는 공간부를 구비한 유저(宥底)의 원통모양을 하고 있다. 제2부재(6)는, 제1부재(5) 측에 제2저류실(12)을 형성하는 제2저류부(6a)를 가지고 있다. 제2저류부(6a)의 내주면은 제1부재(5) 측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된 부분에 환상돌부(5c)가 내감되어 있다. 제2부재(6) 측의 제1부재(5)의 측면과, 제1부재(5) 측의 제2부재(6)의 측면은 면접촉하고 있다. 축경단부(2a)의 선단측의 제2부재(6)의 부분에는, 제2저류부(6a)보다도 확경되고 축방향의 치수도 큰 제1저류부(6b)가 형성되어 있다. 제1저류부(6b)는, 제1저류실(11)을 형성하고 있고, 제1저류실(11)에는 축경단부(2a)의 선단부(2d)가 삽입되어 있다. 제1부재(5)와는 반대측의 제1저류부(6b)의 부분은, 제2부재(6)의 저부(6c)를 형성하고 있다. 축경단부(2a)의 단면의 중심에 대향하는 저부(6c)의 부분에는, 냉각액(8)을 공급하는 튜브(7)를 통과하기 위한 공급구멍(6d)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액(8)으로서는, 수용성 솔루션, 수용성 에멀젼, 수용성 솔루블 등의 수용성 냉각수를 사용할 수가 있다.
나사축(2)은, 지름방향의 중심에, 냉각액 배출장치(10) 측의 단면으로부터 냉각액 배출장치(10)와는 반대측의 단면 근방에 걸쳐서 냉각액(8)이 흐르는 냉각용 구멍(2c)이 천공되어 있다(도 1 참조). 냉각용 구멍(2c)에는, 제2부재(6)의 저부(6c)에 형성된 공급구멍(6d)을 통과한 튜브(7)가 삽입되어 있다. 튜브(7)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이 냉각액 배출장치(10)와는 반대측의 냉각용 구멍(2c)의 단부 근방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다.
튜브(7)의 근원측은, 미도시한 냉각액 순환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냉각액 순환장치로부터 튜브(7)로 보내진 냉각액(8)은, 튜브(7) 선단으로부터 나사축(2)의 냉각용 구멍(2c) 내로 흘러나와 나사축(2)의 열을 빼앗으면서 냉각액 배출장치(10) 측으로 흐르고, 축경단부(2a)의 선단부(2d)로부터 흘러나온다. 이와 같이, 냉각액(8)이 나사축(2) 내를 되돌아오도록 구성함으로써, 볼나사장치(100)를 콤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축경단부(2a)의 선단부(2d)로부터 흘러나온 냉각액(8)은, 제1저류실(11)로부터 하방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배출구멍(6e)을 통과하여, 냉각액 순환장치에 의해 회수된다. 회수된 냉각액(8)은 냉각되고, 다시 튜브(7)를 통과하여 냉각용 구멍(2c) 내를 흐른다. 제1배출구멍(6e)의 배출량을 웃도는 냉각액(8)이 나사축(2)으로부터 흘러나온 경우, 냉각액(8)은, 제1저류실(11) 내에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제2부재(6)는, 제1저류부(6b) 측에서 제2저류부(6a)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제1저류부(6b) 내에 배치된 제1근접부(6f)를 가지고 있다. 제1근접부(6f)는, 나사축(2)의 축경단부(2a)의 외주면에 근접한 내주면을 가지고 있고, 축경단부(2a)와의 사이에 환상의 극간(제1미소극간)을 형성하고 있다. 나사축(2)으로부터 흘러 나온 냉각액(8)이 제1저류실(11)의 용량을 초과한 경우, 냉각액(8)은 제1저류실(11)로부터 제1미소극간을 통과하여 제2저류실(12) 측으로 흐른다. 제1근접부(6f)와 나사축(2)의 선단부(2d)와의 사이에는 극간이 형성되어 있고, 제2부재(6)와 나사축(2)의 접촉을 방지하고 있다.
제2저류부(6a)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관통한 제2배출구멍(6g)이 형성되어 있다. 제1저류실(11)로부터 제2저류실(12)로 흐른 냉각액(8)은, 제2배출구멍(6g)을 통과하여 냉각액 순환장치에 의해 회수된다. 냉각액(8)이 제1배출구멍(6e)과 제2배출구멍(6g)의 배출량을 초과하여 나사축(2)으로부터 흘러나온 경우, 냉각액(8)은 제2저류실(12) 내에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제3저류부(5b)의 제2부재(6) 측에 위치하는 제1부재(5)의 내주부와, 환상돌부(5c)의 내주부는, 나사축(2)의 축경단부(2a)에 근접한 제2근접부(5d)를 구성하고 있다. 나사축(2)으로부터 흘러나온 냉각액(8)이, 제2저류실(12)의 용량을 초과한 경우, 냉각액(8)은, 나사축(2)의 축경단부(2a)와 제2근접부(5d)와의 사이에 형성된 극간(제2미소극간)을 통과하여 제3저류실(13) 측으로 흐른다. 제2근접부(5d)와 나사축(2)의 선단부(2d)와의 사이에는 극간이 형성되어 있고, 제1부재(5)와 나사축(2)의 접촉을 방지하고 있다.
제3저류부(5b)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관통한 제3배출구멍(5e)이 형성되어 있다. 제2저류실(12)로부터 제3저류실(13)로 흐른 냉각액(8)은, 제3배출구멍(5e)으로부터 배출되고, 냉각액 순환장치에 의해 회수된다. 냉각액(8)이, 제1배출구멍(6e), 제2배출구멍(6g), 및, 제3배출구멍(5e)의 배출량을 초과하여 나사축(2)으로부터 흘러나온 경우, 냉각액(8)은 제3저류실(13) 내에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제1실시형태에 따른 냉각액 배출장치(10)에 의하면, 접촉시일을 마련하지 않고 냉각액(8)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접촉시일을 구성하는 환상의 부품이나 코일 용수철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비용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접촉시일을 수용하는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냉각액 배출장치(10)를 콤팩트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제1실시형태에 따른 냉각액 배출장치(10)는, 나사축(2)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의 부하를 증대시키는 접촉시일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100)는, 냉각액(8)에 의한 냉각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벼운 부하에 있어서 나사축(2)을 구동할 수가 있어, 구동에 사용하는 에너지의 소비량을 억제할 수가 있다.
<제2실시형태>
다음으로, 본원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2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는, 나사축(2)을 제외하고,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100)와 같다. 따라서, 본 제2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100)의 각 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1실시형태와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제2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의 냉각액 배출장치(20)의 단면도이다. 축선방향을 따라 상하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제2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의 나사축(2)의 축경단부(2a)는, 다른 부분보다도 축경한 축경부(2e, 2f, 2g, 2h, 2i)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형태와 다르다.
축경부(2e)는, 제1근접부(6f)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축경단부(2a)의 부분에 대하여, 축방향에 있어서 축경단부(2a)의 선단부(2d) 측에서 인접하고 있다. 즉, 축경부(2e)는, 제1저류부(6b)와 제2저류부(6a)를 잇는 제1근접부(6f)와 축경단부(2a) 사이의 극간(제1미소극간)에 대하여, 제1저류부(6b) 측에서 인접하고 있다.
축경부(2f)는, 제1근접부(6f)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축경단부(2a)의 부분에 대하여, 축방향에 있어서 나사축(2)의 나사홈부(2b) 측에서 인접하고 있다. 즉, 축경부(2f)는, 제1미소극간에 대하여 제2저류부(6a) 측에서 인접하고 있다.
축경부(2g)는, 제1부재(5)에 형성된 제2근접부(5d)에 대향하는 축경단부(2a)의 부분에 대하여, 축방향에 있어서 축경단부(2a)의 선단부(2d) 측에서 인접하고 있다. 즉, 축경부(2g)는, 제2저류부(6a)와 제3저류부(5b)를 잇는 제2근접부(5d)와 축경단부(2a) 사이의 극간(제2미소극간)에 대하여, 제2저류부(6a) 측에서 인접하고 있다.
축경부(2h)는, 제1부재(5)에 형성된 제2근접부(5d)에 대향하는 축경단부(2a)의 부분에 대하여, 축방향에 있어서 나사축(2)의 나사홈부(2b) 측에서 인접하고 있다. 즉, 축경부(2h)는, 제2미소극간에 대하여, 제3저류부(5b) 측에서 인접하고 있다.
축경부(2i)는, 제1부재(5)의 제3저류부(5b)에 대향하는 축경단부(2a) 부분의 나사홈부(2b)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축경부(2i)는, 제3저류부(5b)와 베어링(4)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축경단부(2a)에 근접한 제3근접부(5f)와 축경단부(2a) 사이의 극간(제3미소극간)에 대하여, 제3저류부(5b) 측에서 인접하고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제2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1실시형태와 같은 효과 외, 축경부(2e, 2f, 2g, 2h, 2i)에 의해 제1저류실(11)로부터 베어링(4) 측으로의 냉각액(8)의 이동을 억제할 수가 있어, 냉각액(8)의 누출을 더욱 방지할 수가 있다.
<제3실시형태>
다음으로, 본원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제3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는, 냉각액 배출장치(30)를 제외하고,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100)와 같다. 따라서, 본 제3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100)의 각 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1실시형태와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제3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의 냉각액 배출장치(30)의 단면도이다. 축선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제3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의 냉각액 배출장치(30)는, 에어 포켓을 구성하는 포켓(15)과, 포켓(15)으로부터 상방으로 관통한 공기구멍(16)을 가지는 점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른 냉각액 배출장치(10)와는 다르다. 또한, 냉각액 배출장치(30)는, 상기 제1실시형태의 제1부재(5)와 제2부재(6)를 일체로 형성한 하우징(14)을 가지는 점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형태와 다르다.
포켓(15)에 대하여 축경단부(2a)의 선단부(2d) 측에 인접하는 하우징(14)의 제2근접부(17)의 내경은, 포켓(15)에 대하여 나사홈부(2b) 측에 인접하는 하우징(14)의 제3근접부(18)의 내경보다도 크다. 따라서, 제2근접부(17)와 축경단부(2a) 사이의 극간(제2미소극간)은, 제3근접부(18)와 축경단부(2a) 사이의 극간(제3미소극간)보다도 지름방향의 폭이 넓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제3실시형태에 따른 볼나사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1실시형태와 같은 효과 외, 에어 포켓을 구비함으로써 에어 시일이 구성되고, 제1저류실(11)로부터 베어링(4) 측으로의 냉각액(8)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어, 냉각액(8)의 누출을 더욱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냉각액(8)으로서 수용성 냉각수를 사용한 경우, 수용성 냉각수가 베어링(4)에 침입하면 베어링(4)이 녹슬기 쉬워지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공기구멍(16)으로부터 에어를 불어넣어 냉각액(8)이 베어링에 침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였는데, 본원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 개량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류실의 수는 3 개에 한정되지 않고, 2 개이어도 4 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배출구멍의 수도 3 개에 한정되지 않고, 저류실의 수에 맞춰서 2 개로 하여도 4 개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에어 포켓의 배치는, 제2저류부(6a)와 제3저류부(5b)의 사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저류부의 사이여도 좋으며, 에어 포켓을 복수 개 마련하여도 좋다. 상기 제1실시형태와 상기 제2실시형태에 에어 포켓을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축경단부(2a)에 형성하는 축경부는, 저류부에 대향하는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수만큼 마련할 수 있어, 에어 포켓과 함께 마련할 수도 있다.
이상에 의하면, 접촉시일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나사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의 부하를 경감하여 콤팩트하고, 제조비용의 증대를 방지하는 냉각액 배출장치, 및, 냉각액 배출장치를 구비한 볼나사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100: 볼나사장치
2: 나사축
2a: 축경단부
2b: 나사홈부
2c: 냉각용 구멍
2d: 선단부
2e, 2f, 2g, 2h, 2i: 축경부
3: 너트
4: 베어링
5: 제1부재
5a: 베어링 수용부
5b: 제3저류부
5c: 환상돌부
5d: 제2근접부
5e: 제3배출구멍
5f: 제3근접부
6: 제2부재
6a: 제2저류부
6b: 제1저류부
6c: 저부
6d: 공급구멍
6e: 제1배출구멍
6f: 제1근접부
6g: 제2배출구멍
7: 튜브
8: 냉각액
10, 20, 30: 냉각액 배출장치
11: 제1저류실
12: 제2저류실
13: 제3저류실
14: 하우징
15: 포켓
16: 공기구멍
17: 제2근접부
18: 제3근접부

Claims (14)

  1. 외주면에 제1전동홈이 형성되고, 중심축선을 따라 냉각용 구멍이 형성된 나사축과, 내측에 상기 나사축을 통과하여, 내주면에 상기 제1전동홈에 대향하는 제2전동홈이 형성된 너트와, 상기 제1전동홈과 상기 제2전동홈과의 사이에 전동 가능하게 개재된 복수 개의 볼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축의 상기 냉각용 구멍 내에 냉각액이 흘러, 상기 나사축의 단부에 형성된 축경단부로부터 상기 냉각액이 배출되는 볼나사장치에 사용되고,
    상기 축경단부에 외감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축경단부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축경단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각액을 저류하고, 외부로 관통한 제1배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냉각액을 배출하는 제1저류실을 형성하는 제1저류부와,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1저류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1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1근접부와,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1근접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저류실로부터 흘러넘친 상기 냉각액이 상기 제1미소극간을 통과하여 침입하고, 외부로 관통한 제2배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냉각액을 배출하는 제2저류실을 형성하는 제2저류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더욱이,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근접부와 상기 제2저류부의 사이에, 상기 제1근접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이격한 포켓과, 상기 제2저류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2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2근접부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상기 포켓으로부터 외부로 관통한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근접부는, 상기 제2근접부보다도 내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액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더욱이,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2저류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2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2근접부와,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2근접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저류실로부터 흘러넘친 상기 냉각액이 상기 제2미소극간을 통과하여 침입하고, 외부로 관통한 제3배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냉각액을 배출하는 제3저류부를 형성하는 제3저류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액 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더욱이,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근접부와 상기 제3저류부의 사이에, 상기 제2근접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이격한 포켓과, 상기 제3저류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3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3근접부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상기 포켓으로부터 외부로 관통한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액 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근접부는, 상기 제3근접부보다도 내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액 배출장치.
  5. 외주면에 제1전동홈이 형성되고, 중심축선을 따라 냉각용 구멍이 형성된 나사축과,
    내측에 상기 나사축을 통과하고, 내주면에 상기 제1전동홈에 대향하는 제2전동홈이 형성된 너트와,
    상기 제1전동홈과 상기 제2전동홈과의 사이에 전동 가능하게 개재된 복수 개의 볼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축의 상기 냉각용 구멍 내에 냉각액을 흘리고, 상기 나사축의 단부에 형성된 축경단부로부터 상기 냉각액이 배출되는 볼나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경단부에 외감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축경단부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축경단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각액을 저류하고, 외부로 관통한 제1배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냉각액을 배출하는 제1저류실을 형성하는 제1저류부와,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1저류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1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1근접부와,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1근접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저류실로부터 흘러넘친 상기 냉각액이 상기 제1미소극간을 통과하여 침입하고, 외부로 관통한 제2배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냉각액을 배출하는 제2저류실을 형성하는 제2저류부를 가지는 냉각액 배출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저류부에 대향하는 상기 축경단부의 부분과 상기 제2저류부에 대향하는 상기 축경단부의 부분에, 각각 다른 부분보다도 더 축경된 축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나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더욱이,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근접부와 상기 제2저류부의 사이에, 상기 제1근접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이격한 포켓과, 상기 제2저류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2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2근접부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상기 포켓으로부터 외부로 관통한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나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소극간은, 상기 제2미소극간보다도 지름방향의 폭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나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더욱이,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2저류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2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2근접부와,
    축방향의 상기 제1전동홈 측에서 상기 제2근접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저류실로부터 흘러넘친 상기 냉각액이 상기 제2미소극간을 통과하여 침입하고, 외부로 관통한 제3배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냉각액을 배출하는 제3저류실을 형성하는 제3저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나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저류부에 대향하는 상기 축경단부의 부분에, 다른 부분보다도 더 축경된 축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나사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더욱이,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근접부와 상기 제3저류부의 사이에, 상기 제2근접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이격한 포켓과, 상기 제3저류부 측에서 상기 축경단부에 지름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축경단부와의 사이에 제3미소극간을 형성하는 제3근접부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상기 포켓으로부터 외부로 관통한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나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미소극간은, 상기 제3미소극간보다도 지름방향의 폭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나사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7036958A 2015-06-23 2016-06-17 냉각액 배출장치, 볼나사장치 KR102091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25784 2015-06-23
JP2015125784 2015-06-23
PCT/JP2016/068099 WO2016208505A1 (ja) 2015-06-23 2016-06-17 冷却液排出装置、ボールね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172A KR20180020172A (ko) 2018-02-27
KR102091916B1 true KR102091916B1 (ko) 2020-03-20

Family

ID=5758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958A KR102091916B1 (ko) 2015-06-23 2016-06-17 냉각액 배출장치, 볼나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172139A1 (ko)
EP (1) EP3299665A4 (ko)
JP (1) JP6702320B2 (ko)
KR (1) KR102091916B1 (ko)
CN (1) CN107709832A (ko)
TW (1) TWI621791B (ko)
WO (1) WO2016208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2737A1 (it) * 2016-04-20 2017-10-20 Ge Avio Srl Unita' di trasferimento d'olio per trasferire olio tra una parte statica ed una parte rotan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9919A1 (en) 2008-03-14 2009-09-17 Mori Seiki Co., Ltd. Cooling/lubricating device for machine tool feed shaf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3732A (en) * 1962-12-11 1965-05-18 Gordon H Porath Precision lead screw
GB1152778A (en) * 1967-06-16 1969-05-21 Varian Associates Gyro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US3734580A (en) * 1971-06-22 1973-05-22 Gen Electric Split sleeve bearing with integral seals
DD221952A1 (de) * 1983-12-27 1985-05-08 Werkzeugmaschinenfabrik Union Einrichtung zum kuehlen der hauptspindel von werkzeugmaschinen
JPS6191625U (ko) * 1984-11-22 1986-06-13
JPS6232256U (ko) * 1985-08-12 1987-02-26
US5154517A (en) * 1991-04-17 1992-10-13 Ina Bearing Company, Inc. Anti-friction bearing with integral oil feed tube
DE4202510A1 (de) * 1992-01-30 1993-08-05 Schaeffler Waelzlager Kg Gewindespindel, vorzugsweise fuer eine vorschubeinrichtung einer werkzeugmaschine
JPH1119848A (ja) 1997-07-01 1999-01-26 Yamazaki Mazak Corp 工作機械の主軸台
JP3448732B2 (ja) * 1998-08-27 2003-09-22 新潟鉄工工作機械株式会社 送りねじの冷却装置
JP4172957B2 (ja) * 2002-07-09 2008-10-29 Thk株式会社 動圧軸受を用いたスピンドル装置
EP1647740B1 (en) * 2004-10-15 2008-11-05 Doosan Infracore Co., Ltd. Cooling device for ball screw assembly
JP2010138951A (ja) * 2008-12-10 2010-06-24 Ntn Corp ボールねじ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1953937U (zh) * 2010-12-29 2011-08-31 江苏瑞安特机械集团有限公司 中空内冷却型滚珠丝杠副
DE102012105709A1 (de) * 2012-06-28 2014-04-03 Wittenstein Ag Spindeltrieb
CN203146734U (zh) * 2013-02-06 2013-08-21 纪和机械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新型中空丝杆
CN203756894U (zh) * 2014-04-05 2014-08-06 支敏之 微型螺旋传动装置
TWM502117U (zh) * 2015-03-18 2015-06-01 qi-rui Chen 具冷卻功能之滾珠螺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9919A1 (en) 2008-03-14 2009-09-17 Mori Seiki Co., Ltd. Cooling/lubricating device for machine tool feed sh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208505A1 (ja) 2018-04-05
KR20180020172A (ko) 2018-02-27
EP3299665A1 (en) 2018-03-28
CN107709832A (zh) 2018-02-16
EP3299665A4 (en) 2018-12-12
TW201713884A (zh) 2017-04-16
TWI621791B (zh) 2018-04-21
JP6702320B2 (ja) 2020-06-03
US20180172139A1 (en) 2018-06-21
WO2016208505A1 (ja)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5694B (zh) 主轴装置
US20170234367A1 (en) Rolling bearing
US9759262B2 (en) Rolling bearing apparatus
US11476736B2 (en) Electric motor
JP2014103722A (ja) 回転電機
KR102091916B1 (ko) 냉각액 배출장치, 볼나사장치
KR102477895B1 (ko) 베어링 장치
US20160053810A1 (en) Rolling bearing
JP6729304B2 (ja) スピンドル装置
JP2009138896A (ja) 転がり軸受およびその潤滑方法
JP6283924B1 (ja) 電動機及びそれを用いたヒートシンク装置
JP6589504B2 (ja) ボールねじ
EP3540252B1 (en) Bearing apparatus
JP2019004638A (ja) 電動機及びそれを用いたヒートシンク装置
US20090028476A1 (en) Anti-leakage device in a fan for an oily bearing
KR101336347B1 (ko) 공작기계용 볼 스크류
KR20210093230A (ko) 베어링 장치
JP6631013B2 (ja) ボールねじ
JP7454362B2 (ja) 回転装置の軸受潤滑構造
JP6390990B1 (ja) 電動機及びそれを用いたヒートシンク装置
US20090028475A1 (en) Fan with an anti-leakage device for an oily bearing
KR101336406B1 (ko) 공작기계용 볼 스크류
JP2007514112A (ja) 流体力学的軸受装置
CN112996618A (zh) 电动机内置方式的主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