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824B1 -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 - Google Patents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824B1
KR102091824B1 KR1020190120379A KR20190120379A KR102091824B1 KR 102091824 B1 KR102091824 B1 KR 102091824B1 KR 1020190120379 A KR1020190120379 A KR 1020190120379A KR 20190120379 A KR20190120379 A KR 20190120379A KR 102091824 B1 KR102091824 B1 KR 102091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nozzle
base sheet
nozzle header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근
태경응
명노훈
김철규
이성한
이경순
Original Assignee
은성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화학(주) filed Critical 은성화학(주)
Priority to KR1020190120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69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pinning section, e.g. capillary tube, protrusion or p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76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llecting device, e.g. drum, wheel, endless belt, plate or gr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방사에 의해 성형되는 나노웹을 이용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나노웹 필터를 제작하기 위한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는 베이스시트를 제공하는 베이스시트 공급부, 상기 시트공급부에서 제공받은 베이스시트에 전기방사에 의해 나노웹층을 형성하는 전기방사부, 상기 전기방사부에서 성형된 나노웹을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부는 상기 베이스시트의 일측면에 위치되어 음극의 극성을 갖는 콜렉터 전극판, 상기 베이스시트의 타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콜렉터 전극판을 향해 상기 나노웹층을 형성하는 방사용액을 방사하는 양극의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방사노즐이 설치되며, 상하로 복수 개가 이격 설치되는 제1 노즐헤더, 상기 나노웹층을 상기 베이스시트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을 상기 나노웹층을 형성하기 이전에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시트가 진입하기 이전의 위치에서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용액을 상기 콜렉터 전극판으로 방사하는 제2 방사노즐이 설치되는 제2 노즐헤더, 및 상기 제2 노즐헤더와 대응되는 상기 콜렉터 전극판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시트에 형성된 접착층의 공극이 유동성에 의해 메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착층의 온도를 낮춰 경화시키는 경화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내구성이 향상된 나노웹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Durable nano web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nano web filter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전기방사에 의해 성형되는 나노웹을 이용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나노웹 필터를 제작하기 위한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전기방사에 의해 성형되는 나노웹은 미세한 섬유가 집적된 형태이기 때문에 나노웹의 강성이 약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43409호(2015.8.11.공고)의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장치는 핫멜트가 충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 주탱크와, 용액 주탱크에 충진된 핫멜트를 분사하도록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되, 외부에서 공급되는 기재 상에 핫멜트 분사하기 위하여 핀형태로서,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노즐이 다수개 배열설치되는 노즐블록을 갖는 핫멜트 유닛; 방사용액이 충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 주탱크와, 용액 주탱크에 충진되는 고분자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도록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되, 외부에서 공급되는 기재 상에 고분자 방사용액을 분사하기 위하여 핀 형태의 노즐이 다수개 배열설치되는 노즐블록을 갖는 방사용액 유닛; 각 유닛 내에 설치되되, 노즐블록에 구비되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핫멜트 및 고분자방사용액을 집적하기 위하여 노즐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는 컬렉터; 컬렉터에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장치; 및 기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보조 이송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핫멜트 유닛과 방사용액 유닛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다수개로 구비되되, 교대로 설치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장치는 기재의 상면에 전기방사에 의해 헷멜트를 방사하고, 그 위에 방사용액을 분사하여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여 기재에 나노섬유 웹을 부착함으로써, 나노섬유에 강성을 보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장치는 핫멜트에 의해 나노섬유를 기재에 접착하는 접착성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나노섬유 외면은 보호하지 못해 나노섬유가 쉽게 손상되어 내구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나노섬유를 필터로 사용할 경우, 핫멜트가 도트형태로 분사되더라도 핫멜트가 경화되는 시간동안 유동성에 의해 넓게 퍼져 공극을 차단함으로써, 통기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핫멜트가 도트형태로 기재에 분사되기 때문에 기재에 나노섬유의 부착성이 하락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하락되며, 성형의 종료 시 핫멜트를 분사하는 핫멜트유닛에 핫멜트가 잔류됨으로써, 핫멜트가 경화되면서 노즐이 막혀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성형이 종료되면 핫멜트유닛에서 핫멜트를 제거하여 핫멜트의 경화됨에 따른 노즐의 막힘을 방지하여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노섬유와 기재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나노섬유의 외면을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터로서의 통기도를 확보할 수 있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는 베이스시트를 제공하는 베이스시트 공급부, 상기 시트공급부에서 제공받은 베이스시트에 전기방사에 의해 나노웹층을 형성하는 전기방사부, 상기 전기방사부에서 성형된 나노웹을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부는 상기 베이스시트의 일측면에 위치되어 음극의 극성을 갖는 콜렉터 전극판, 상기 베이스시트의 타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콜렉터 전극판을 향해 상기 나노웹층을 형성하는 방사용액을 방사하는 양극의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방사노즐이 설치되며, 상하로 복수 개가 이격 설치되는 제1 노즐헤더, 상기 나노웹층을 상기 베이스시트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을 상기 나노웹층을 형성하기 이전에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시트가 진입하기 이전의 위치에서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용액을 상기 콜렉터 전극판으로 방사하는 제2 방사노즐이 설치되는 제2 노즐헤더, 및 상기 제2 노즐헤더와 대응되는 상기 콜렉터 전극판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시트에 형성된 접착층의 공극이 유동성에 의해 메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착층의 온도를 낮춰 경화시키는 경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나노웹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건조부의 열에 의해 용융되어 합착되는 보호시트를 상기 건조부에 진입하기 이전에 공급하는 보호시트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노즐헤더는 상기 제2 노즐헤더로 공급되는 접착용액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노즐헤더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접착용액을 가열하는 용융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노즐헤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기 제1 노즐헤더 및 상기 제2 노즐헤더에서 떨어지는 상기 방사용액 또는 상기 접착용액이 하부로 떨어져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액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노즐헤더는 상기 제2 노즐헤더에 잔류된 접착용액을 상기 제2 방사노즐을 통해 제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노즐헤더를 회전시킬 때, 상기 용액받침대가 자중에 의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2 방사노즐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용액을 받도록 상기 제2 노즐헤더에서 상기 용액받침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유지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유지브래킷은 상기 제2 노즐헤더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유지브래킷은 상기 제2 노즐헤더의 하부로 돌출되는 와이어지지부, 및 상기 제2 노즐헤더의 양측에 위치된 상기 와이어지지부에 걸쳐져 상기 제2 노즐헤더에 상부로 휨응력을 제공하는 형태로 상기 제2 노즐헤더의 하부로 처짐을 방지하는 응력제공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류제거구동부는 상기 제2 노즐헤더의 양측단 중 어느 한 측단을 지지하는 헤더브래킷, 상기 헤더브래킷의 내주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노즐헤더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끼워지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공에 끼워진 상기 제2 노즐헤더에서 접착용액을 방사하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헤더브래킷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더슬리브, 상기 헤더브래킷에서 상기 헤더슬리브를 용이하게 회전시키도록 상기 헤더슬리브에서 돌출되는 돌출캠부, 및 상기 제2 노즐헤더에서 방사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돌출캠부에 연결되어 상기 돌출캠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형태로 상기 헤더슬리브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브래킷에서 상기 헤더슬리브가 용이하게 상하로 회전하도록 상기 헤더브래킷에서 상기 헤더슬리브의 사이에 설치되는 브래킷 베어링, 및 상기 슬라이딩공에서 상기 제2 노즐헤더가 용이하게 수평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헤더슬리브의 내주에 설치되는 헤더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슬리브는 상기 헤더브래킷에서 상기 헤더슬리브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헤더슬리브의 양단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헤더브래킷의 양단에 각각 걸쳐지는 슬리브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는 상기한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베이스시트, 상기 베이스시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상면에 접착되는 상기 나노웹층, 및 상기 나노웹층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나노웹층을 보호하는 보호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웹층의 상면에 보호시트가 합착되어 나노웹층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층을 성형 후 경화부에 의해 냉각함으로써, 접착층의 공극이 유동성에 의해 없어지면서 통기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나노웹층의 접착층을 전기방사에 의해 형성하고, 보호시트를 건조부의 열로 합착시켜 나노웹층의 합착에 따른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성형 종료 후 잔류제거구동부에 의해 접착용액을 분사하는 제2 노즐헤더를 하향 회전시켜 잔류된 접착용액을 제2 노즐헤더에서 배출함으로써, 잔류된 접착용액의 경화됨에 따라 제2 분사노즐이 막혀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즐헤더에 용액받침대가 설치되어 흘러내리는 접착용액 및 방사용액에 의해 베이스시트가 오염되거나, 주변이 오염됨에 따라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즐헤더가 헤더브래킷 및 헤더슬리브에 의해 지지되어 제2 노즐헤더의 왕복운동과 회전운동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제2 노즐헤더에 용액받침대가 회전유지브래킷에 설치되어 제2 노즐헤더가 회전하더라도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용액받침대에 담긴 접착용액 및 방사용액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의 전기방사부에 노즐헤더가 설치된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의 전기방사부를 구성하는 용액받침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의 전기방사부를 구성하는 용액받침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접착용액을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의 전기방사부를 구성하는 제2 노즐헤더의 단면도로서, 응력제공와이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의 전기방사부를 구성하는 헤더브래킷과 헤더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의 전기방사부를 구성하는 헤더브래킷과 헤더슬리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의 전기방사부를 구성하는 제2 헤더노즐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1000)는 베이스시트 공급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시트 공급부(700)는 나노웹층(15)을 성형할 베이스시트(11)를 공급할 수 있다.
베이스시트 공급부(700)는 롤형태로 말린 베이스시트(11)를 풀어가며 하기에 설명할 전기방사부(100)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베이스시트 공급부(700)는 전기방사부(100)의 하부로 베이스시트(11)를 공급할 수 있으며, 전기방사부(100)로 공급되는 베이스시트(11)는 하부에서 상부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시트 공급부(700)에서 공급되는 베이스시트(11)는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시트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1000)는 전기방사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전기방사부(100)는 베이스시트 공급부(700)에서 공급되는 베이스시트(11)에 나노웹층(15)을 형성할 수 있다.
나노웹층(15)은 전기방사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방사부(100)는 콜렉터 전극판(180), 제1 노즐헤더(110), 제2 노즐헤더(120), 및 경화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콜렉터 전극판(180)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방사노즐(111) 및 제2 방사노즐(121)과 마주하는 부분에 음극의 극성을 갖는 전극이 배치될 수 있으며, 콜렉터 전극판(180)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베이스시트(11)가 외면을 지나면서, 방사용액이 방사되면서 얇은 섬유의 형태로 집적되어 나노웹층(15)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용액은 나노웹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공지된 화합물로 구현될 수 있다.
콜렉터 전극판(180)은 베이스시트(11)의 일측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 노즐헤더(110)과 제2 노즐헤더(120)는 베이스시트(11)의 타측면에 위치되어 콜렉터 전극판(180)을 향해 방사용액 및 접착용액을 방사할 수 있다.
제1 노즐헤더(110)와 제2 노즐헤더(120)는 내부가 빈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노즐헤더(110)에는 복수 개의 제1 방사노즐(111)이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제1 노즐헤더(110)의 내부로는 방사용액이 공급되어 제1 방사노즐(111)을 통해 방사용액을 방사하는 형태로 베이스시트(11)에 나노웹층(15)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노즐헤더(120)에는 복수 개의 제2 방사노즐(121)이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제2 노즐헤더(120)의 내부로는 접착용액이 공급되어 제2 방사노즐(121)을 통해 접착용액을 전기방사하는 형태로 베이스시트(11)에 접착층(13)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용액은 핫멜트를 용융한 것일 수 있으며, 접착층(13)은 전기방사된 핫멜트가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핫멜트는 고온 대략 150℃~200℃의 온도에서 용융되고, 상온에서는 경화되며 핫멜트는 용융된 상태에서 경화되면 접착성을 갖기 때문에 베이스시트(11)에 나노웹층(15)을 접착할 수 있다.
제1 방사노즐(111)과 제2 방사노즐(121)은 양극의 극성을 가져 콜렉터 전극판(180)으로 전하의 이동에 따라 방사용액이 함께 이동하며, 콜렉터 전극판(180)과 제1 노즐헤더(110) 및 제2 노즐헤더(120)의 사이를 지나는 베이스시트(11)에 나노웹층(15) 및 접착층(1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노즐헤더(110)와 제2 노즐헤더(120) 각각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장치프레임(170)에 제1 노즐헤더(110)와 제2 노즐헤더(120)를 지지하여 설치하기 위한 헤더돌출부(115,125)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노즐헤더(120)는 베이스시트(11)가 제1 노즐헤더(110)에 의해 나노웹층(15)을 형성하기 이전에 접착층(13)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기방사부(100)에서 베이스시트(11)가 진입하기 이전에 방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시트(11)가 콜렉터 전극판(18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제1 노즐헤더(110)의 밑에 제2 노즐헤더(120)를 설치하였다.
제2 노즐헤더(120)의 내부에는 용융되어 공급되는 접착용액이 제2 노즐헤더(120)의 내부에서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용액을 용융시키는 용융히터(127)가 설치될 수 있으며, 용융히터(127)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열선으로 구현되거나, 전기방사에 방해되지 않도록 열풍이 지나 가열하는 가열파이프를 삽입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시트(11)에 접착시트를 합착한 후 접착시트에 나노웹층(15)을 형성하는 것보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노즐헤더(120)에 의해 전기방사에 의해 접착층(13)을 형성하고, 바로 나노웹층(15)을 형성할 경우, 접착층(13)이 완전히 경화되기 이전에 접착층(13)에 나노웹층(15)을 형성하기 때문에 나노웹층(15)의 형상을 최대한 유지한 상태에서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노즐헤더(120)는와 제1 노즐헤더(110)는 각각의 방사용액과 접착용액을 수용하는 용액통에서 호스를 통해 제1 노즐헤더(110) 및 제2 노즐헤더(120) 각각으로 방사용액과 접착용액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노즐헤더(120)는 용액받침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용액받침대(130)는 제2 방사노즐(121)에서 방사된 접착용액이 하부로 흘러, 하부에서 공급되는 베이스시트(11) 또는 공급롤러에 묻어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용액받침대(130)는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노즐헤더(120)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1 노즐헤더(110)에서 떨어지는 방사용액을 함께 받아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용액받침대(130)는 제2 노즐헤더(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용액받침대(130)는 제2 방사노즐(121)의 하부로부터 베이스시트(11)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위치되도록 제2 노즐헤더(120)에 설치될 수 있다.
용액받침대(130)에는 용액받침대(130)에 모인 방사용액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용액받침대(130)는 접착용액의 방사 시 전기장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절연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노즐헤더(120)는 회전유지브래킷(14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유지브래킷(140)은 하기에 설명할 잔류제거구동부(150)에 의해 제2 노즐헤더(120)가 제2 방사노즐(121)의 접착용액을 방사하는 방사방향을 하향 회전시킬 때, 용액받침대(130)가 함께 회전하여 뒤집히지 않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용액받침대(130)를 제2 노즐헤더(120)에 결합할 수 있다.
회전유지브래킷(140)은 제2 노즐헤더(120)의 양단에 돌출되는 헤더돌출부(125)에 끼워져 결합되며 회전유지브래킷(140)에는 용액받침대(130)가 제2 방사노즐(121)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여 방사용액을 받도록 제2 노즐헤더(120)에서 제2 방사노즐(121)의 끝단까지 연장되는 브래킷연장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연장부(141)의 끝단에는 용액받침대(130)가 회전유지브래킷(140)에서 자중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도록 용액받침대(13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받침대힌지(142)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유지브래킷(140)은 제2 노즐헤더(120)에 결합되어 제2 노즐헤더(120)와 함께 수평 운동하기 때문에 제2 노즐헤더(120)에 결합되는 용액받침대(130)도 함께 수평 왕복운동할 수 있다.
회전유지브래킷(140)도 접착용액을 전기방사할 때, 전기장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절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지브래킷(140)은 와이어지지부(143), 및 응력제공와이어(145)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지지부(143)는 회전유지브래킷(140)에서 하향 돌출될 수 있으며, 응력제공와이어(145)는 제2 노즐헤더(120)의 양측에 위치되는 회전유지브래킷(140)에 형성된 와이어지지부(143)를 연결하는 형태로 제2 노즐헤더(120)에 설치되어 제2 노즐헤더(120)에 상향되는 휨응력을 발생함으로써, 제2 노즐헤더(1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노즐헤더(120)는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방사용액이 충전되며 노즐헤더의 양단만 장치프레임(170)에 지지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중간부분이 처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응력제공와이어(145)는 회전유지브래킷(140)의 하부로 연장되는 와이어지지부(143)에 응력제공와이어(145)가 걸쳐져 제2 노즐헤더(120)의 양측에 위치되는 회전유지브래킷(140)의 하부를 서로 모이도록 당김으로써, 제2 노즐헤더(120)의 중앙 부분이 상향되는 휨응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제2 노즐헤더(120)의 중앙부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응력제공와이어(145)도 접착용액을 방사할 때, 전기장에 방해되지 않도록 절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노즐헤더(110)에도 회전유지브래킷(140)이 설치되어 응력제공와이어(145)에 의해 처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방사부(100)는 왕복운동기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왕복운동기구(160)는 제1 방사노즐(111)과 제2 방사노즐(121)이 수평 왕복운동하며 베이스시트(11)에 방사용액을 방사하도록 제1 노즐헤더(110)와 제2 노즐헤더(120)를 길이방향으로 수평 왕복시킬 수 있다.
왕복운동기구(160)는 편심회전하는 편심캠(163)의 회전에 의해 제1 노즐헤더(110) 및 제2 노즐헤더(120)를 수평 왕복운동시킬 수 있으며, 왕복운동기구(160)는 회전축(161), 구동모터, 및 연결링크(16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61)은 제1 노즐헤더(110)와 제2 노즐헤더(120)의 끝단이 위치되는 부분에 세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구동모터는 회전축(161)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제1 노즐헤더(110)와 제2 노즐헤더(120)에 대응되는 회전축(161)의 부분에는 편심캠(163)이 설치되어 회전축(16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편심캠(163)은 제1 노즐헤더(110)와 제2 노즐헤더(120)의 각 끝단에 형성된 헤더돌출부(115,125)에 연결링크(167)로 연결한다.
각 편심캠(163)의 둘레에는 회전베어링이 끼워지고, 편심캠(163)의 둘레에는 연결링크(167)에 연결되는 클램프(165)가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왕복운동기구(160)는 구동모터가 회전축(161)을 회전시키면, 회전축(161)과 함께 편심캠(163)이 회전하고, 편심캠(163)의 외주에 결합되는 클램프(165)가 연결링크(167)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편심캠(163)에 의한 회전운동이 연결링크(167)를 거치면서 왕복운동으로 변환되어 제1 노즐헤더(110)와 제2 노즐헤더(120)를 수평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축(161)에는 복수 개의 편심캠(163)이 설치되고, 각 편심캠(163)에는 제1 노즐헤더(110)와 제2 노즐헤더(120)에 각각 연결되기 때문에 회전축(161)의 회전에 따라 복수 개의 제1 노즐더와 제2 노즐헤더(120)를 모두 수평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161)에 결합되는 각 편심캠(163)의 상사점은 모두 다르게 위치되도록 회전축(161)에 결합되어 회전축(161)의 회전 시 제1 노즐헤더(110)와 제2 노즐헤더(120)가 서로 다른 거동을 하며 수평 왕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왕복운동기구(160)에 연결되지 않는 제1 노즐헤더(110)와 제2 노즐헤더(120)의 반대방향에 끝단은 장치프레임(170)에서 돌출되는 헤더안착부(171)에 헤더돌출부(115,125)가 각각 안착되는 형태로 장치프레임(17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헤더안착부(171)에 안착되는 헤더돌출부(115,125)는 용이하게 왕복운동과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왕복운동기구(160)와 연결되는 제1 노즐헤더(110)의 헤더돌출부(115)는 수평 왕복운동만 가능하도록 안착브래킷(117)에 의해 장치프레임(17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양단 모두 안착브래킷(117)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방사부(100)는 잔류제거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잔류제거구동부(150)는 전기방사부(100)에서 전기방사를 종료시 즉,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1000)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 제2 노즐헤더(120)에 잔류된 접착용액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제2 노즐헤더(120)의 제2 방사노즐(121)이 하향되도록 제2 노즐헤더(120)를 하향 회전시키거나, 하향된 상태에서 다시 수평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잔류제거구동부(150)는 헤더브래킷(151), 헤더슬리브(153), 및 돌출캠부(153c)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브래킷(151)은 제2 노즐헤더(120)에서 왕복운동기구(160)가 위치되는 끝단에 위치되는 제2 노즐헤더(120)의 헤더돌출부(125)를 지지할 수 있다.
헤더브래킷(151)은 장치프레임(170)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헤더브래킷(151)에는 제2 노즐헤더(120)의 일단에 위치되는 헤더돌출부(125)가 지지되고, 타단에 위치되는 제2 노즐헤더(120)의 헤더돌출부(125)는 장치프레임(170)의 헤더안착부(171)에 안착되는 형태로 장치프레임(170)에 제2 노즐헤더(120)가 설치될 수 있다.
헤더브래킷(151)은 제2 노즐헤더(120)가 수평 왕복운동과 제2 방사노즐(121)의 방사방향을 변경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제2 노즐헤더(12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헤더브래킷(151)은 헤더슬리브(153)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슬리브(153)는 헤더브래킷(151)의 중앙에 삽입되어 헤더브래킷(151)에서 헤더슬리브(15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헤더슬리브(153)에는 제2 노즐헤더(120)가 수평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공(153a)이 형성되어 슬라이딩공(153a)에 제2 노즐헤더(120)의 헤더돌출부(125)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헤더슬리브(153)와 헤더브래킷(151)의 사이에는 헤더브래킷(151)에서 헤더슬리브(153)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브래킷 베어링(155)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헤더슬리브(153)의 슬라이딩공(153a)에는 제2 노즐헤더(120)의 수평 왕복운동에 따라 제2 노즐헤더(120)의 헤더돌출부(125)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헤더돌출부(125)를 지지하는 헤더롤러(157)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헤더슬리브(153)에는 헤더슬리브(153)의 양측 둘레에서 각각 돌출되어 헤더브래킷(151)에서 헤더슬리브(15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헤더브래킷(151)의 양측에 각각 걸쳐지는 슬리브플랜지(153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더슬리브(153)에는 헤더브래킷(151)에서 헤더슬리브(153)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제2 방사노즐(121)의 방사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돌출캠부(153c)가 헤더슬리브(15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제거구동부(150)는 회전기구(159)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구(159)는 헤더슬리브(153)가 회전하도록 돌출캠부(153c)를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기구(159)는 구동모터에 의해 편심된 캠부재를 회전시키고, 캠부재와 돌출캠부(153c)를 링크에 의해 연결하여 캠부재의 회전시 링크에 의해 돌출캠부(153c)가 함께 회전시키는 형태로 제2 방사노즐(121)이 하향되도록 회전시켜 제2 방사노즐(121)을 통해 잔류된 접착용액을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전기방사부(100)는 경화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 경화부(190)는 제2 노즐헤더(120)와 대응되는 콜렉터 전극판(180)의 부분을 냉각시켜 그 부분을 지나는 베이스시트(11)를 냉각하는 형태로 제2 노즐헤더(120)에서 분사되는 접착용액이 신속히 경화되도록 접착층(13)을 냉각시킨다.
여기서, 접착용액은 온도가 낮을 수록 빠르게 경화되고, 상온에서는 경화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베이스시트(11)에 방사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동성에 의해 섬유의 형태가 유지가 어려워 형성된 공극이 메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경화부(190)는 접착용액이 분사되어 바로 경화되면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노즐헤더(120)와 대응되는 콜렉터 전극판(180)의 부분을 냉각시켜 접착층(13)의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형상의 변형에 따른 공극이 메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화부(190)는 제2 노즐헤더(120)와 대응되는 콜렉터 전극판(180)의 후방에 냉각파이프를 설치하고, 냉각파이프에 냉각된 물 또는 기체를 지나도록 함으로써, 접착층(13)을 신속히 경화시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1000)는 보호시트 공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보호시트 공급부(200)는 전기방사부(100)에서 베이스시트(11)에 접착층(13) 및 나노웹층(15)이 형성된 상면에 나노웹층(15)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트(17)를 합착하여 하기에 설명할 건조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보호시트 공급부(200)는 롤형태로 말린 보호시트(17)를 풀어가며 베이스시트(11)와 마찬가지로 연속하여 건조부(300)로 공급할 수 있으며, 보호시트 공급부(200)는 두개의 롤 사이를 베이스시트(11)에 형성된 나노웹층(15)의 상면에 보호시트(17)를 겹친 상태로 건조부(300)로 제공할 수 있다.
보호시트(17)는 상온에서 경화된 상태에서 고온에 의해 용융되는 핫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시트(17)는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다공성을 가지도록 미리 제작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1000)는 건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부(300)는 나노웹층(15)에 열을 가해 건조시키는 형태로 나노웹층(15)을 건조시킬 수 있다.
나노웹층(15)을 건조시키지 않으면, 나노웹층(15)이 완전히 경화되는 시간까지 오래 소요되기 때문에 건조부(300)에서 나노웹층(15)을 건조시킨다.
한편, 건조부(300)는 나노웹층(15)에 열풍을 가하거나, 전기열선에 의해 가열하는 형태로 나노웹층(15)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건조부(300)로 나노웹이 진입하면, 건조부(300)의 온도에 의해 함께 공급되는 보호시트(17)도 용융되어 나노웹층(15)에 합착되어 나노웹층(15)을 보호하고, 나노웹층(15)의 하부에 위치되는 접착층(13)도 함께 용융되어 나노웹층(15)과 보호시트(17)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건조부(300)를 지나 보호시트(17)가 합착된 나노웹층(15)이 형성된 보호시트(17)는 말단롤에 감겨져 소비자가 요구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나노웹 필터(10)를 제작한다.
여기서, 건조부(300)에 의해 건조된 후, 나노웹층(15)이 내항균성을 갖거나, 자외선으로 보호하기 위해 코팅부(400)에서 코팅재를 도포하여 코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나노웹의 전하를 정렬하기 위해 쌍극자를 갖는 다이폴부(500)를 통과시킨 후, 최종적으로 말단롤에 감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나노웹 필터(10)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1000)는 베이스시트 공급부(700)로부터 롤에 감긴 베이스시트(11)가 풀리면서 전기방사부(100)로 공급된다.
전기방사부(100)로 공급되는 베이스시트(11)는 콜렉터 전극판(18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데, 콜렉터 전극판(180)을 이동할 때, 제2 방사노즐(121)에서 접착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접착층(13)을 형성한다.
이때, 제2 방사노즐(121)과 대응되는 콜렉터 전극판(180)의 부분에는 베이스시트(11)에 접착용액에 의해 형성된 접착층(13)을 경화부(190)에서 냉각시켜 신속히 경화시킴으로써, 접착층(13)의 유동에 따라 공극이 메워짐에 따라 나노웹 필터(10)의 통기도가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노즐헤더(120)를 지나 접착층(13)이 형성된 상면에 복수 개의 제1 노즐헤더(110)를 지나면서 제1 방사노즐(111)에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웹층(15)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노즐헤드는 콜렉터 전극판(180)의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기 때문에 방사용액을 수 회 방사하는 형태로 나노웹층(1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노즐헤더(120)에서 방사용액을 방사하고, 제1 노즐헤더(110)에서 접착용액을 방사할 때에는 왕복운동기구(160)에 의해 제1 노즐헤더(110)와 제2 노즐헤더(120)가 수평 운동하며 접착층(13) 및 나노웹층(15)을 성형한다.
왕복운동기구(160)는 구동모터가 회전축(161)을 회전시키면, 회전축(161)에 결합된 편심캠(163)이 회전하고, 편심캠(163)은 각각에 클램프(165)와 연결링크(167)에 의해 연결된 제1 노즐헤더(110) 및 제2 노즐헤더(120)를 편심에 의해 당기거나, 미는 형태로 제1 노즐헤더(110) 및 제2 노즐헤더(120)를 수평 왕복운동시킨다.
한편, 전기방사장치에서 접착층(13)의 상면에 접착층(13)과 나노웹층(15)이 형성된 베이스시트(11)는 건조부(300)로 공급되는데, 건조부(300)로 진입하기 이전에 보호시트 공급부(200)에서 나노웹층(15)의 상면에 보호시트(17)를 겹쳐 건조부(300)로 공급한다.
건조부(300)로 공급되는 접착층(13)이 겹쳐진 베이스시트(11)는 건조부(30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나노웹층(15)이 건조되어 경화되고, 접착층(13)이 건조부(300)의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베이스시트(11)에 나노웹층(15)을 견고히 부착하는 동시에 보호시트(17)가 용융되면서 나노웹층(15)에 합착되어 나노웹층(15)을 보호한다.
건조부(300)에서 보호시트(17)가 합착되면, 베이스시트(11)는 코팅부(400)를 지나면서 외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코팅층이 형성되면 다이폴부(500)의 쌍극자의 사이를 베이스시트(11)가 지나면서 나노웹의 양면에 각각 서로 다른 전하를 정렬한다.
다이폴부(500)에서 나노웹의 전하가 정렬되면, 베이스시트(11)는 말단롤에 감기고, 말단롤에 감켜 보호시트(17)가 합착된 베이스시트(11)는 소비자가 원하는 필터 형태로 가공하여 나노웹 필터(10)를 제작한다.
한편, 전기방사부(100)에서 나노웹의 성형이 종료되면, 제2 노즐헤더(120)에 잔류된 접착용액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기구(159)가 작동하고, 회전기구(159)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부재를 하부로 당기고, 캠부재의 링크에 연결된 돌출캠부(153c)가 하부로 당겨지면서 헤더브래킷(151)에서 제2 노즐헤더(120)의 헤더돌출부(125)가 결합된 헤더슬리브(153)를 하향 회전시키는 형태로 제2 노즐헤더(120)를 하향회전시킨다.
제2 노즐헤더(120)가 하향회전하면, 제2 노즐헤더(120)의 제2 방사노즐(121)도 하향회전하고, 제2 방사노즐(121)의 하향됨에 따라 제2 노즐헤더(120)에 잔류된 접착용액이 하부로 유출되면서 제2 노즐헤더(120)에 잔류된 접착용액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용액이 잔류되는 경우, 접착용액이 상온에서도 경화되기 때문에 경화된 후에 용융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2 분사노즐이 접착용액에 의해 막힐 수 있다.
그리고, 제2 노즐헤더(120)가 하향 회전하면, 제2 노즐헤더(120)에 설치된 용액받침대(130)도 하향 회전하는 데, 용액받침대(130)는 회전유지브래킷(140)에 의해 제2 노즐헤더(120)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2 노즐헤더(120)가 하향 회전하더라도, 용액받침대(130)는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며 제2 분사노즐에서 유출되는 접착용액을 받아 접착용액의 유출에 따른 주변 또는 베이스시트(11)의 오염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전기방사부(100)가 다시 작동할 경우, 회전기구(159)는 제2 분사노즐이 수평한 상태로 복귀하도록 회전기구(159)가 제2 노즐헤더(120)를 회전시키고, 제2 노즐헤더(120)가 회전하면, 용액받침대(130)는 제2 분사노즐의 끝단부에 위치되어 제2 분사노즐 또는 제1 분사노즐로부터 바닥으로 떨어지는 접착용액 및 방사용액을 받아 주변에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즐헤더(120)의 일단은 헤더브래킷(151)에 결합되는 헤더슬리브(153)의 슬리브공에 끼워져 장치프레임(170)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왕복운동기구(160)에 의해 왕복운동할 때, 슬리브공에 설치된 헤더롤러(157)에 의해 지지되어 용이하게 왕복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더브래킷(151)에서 헤더슬리브(15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제2 노즐헤더(120)를 용이하게 하향 회전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1000)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필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시트(11)의 상면에 접착층(13)이 형성되고, 접착층(13)의 상면에 나노웹층(15)이 형성되어 나노웹층(15)을 접착층(13)에 의해 견고히 부착하여 베이스시트(11)에서 나노웹층(15)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나노웹층(15)의 상면에 보호시트(17)가 합착되기 때문에 나노웹층(15)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나노웹층(15)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나노웹 필터(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나노웹층(15)의 공극을 유지하여 나노웹 필터(10)의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1000)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10)는 건조부(300)로 진입하기 이전에 보호시트(17)를 겹쳐 공급하고, 전기방사에 의해 접착층(13) 위에 나노웹층(15)을 형성함으로써, 보호시트(17)에 나노웹층(15)을 강제적으로 합착할 필요가 없이 건조부(30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보호시트(17)를 합착하여 나노웹층(15)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접착층(13)에 의해 나노웹층(15)을 베이스시트(11)에 견고하게 부착함하여 나노웹 필터(1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노웹 필터(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층(13)을 전기방사에 의해 형성시 경화부(190)에 의해 접착층(13)을 바로 경화시킴으로써, 접착용액의 유동에 따른 공극이 메워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나노웹 필터(1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나노웹층(15)의 성형이 종료되면 잔류제거구동부(150)가 제2 노즐헤더(120)를 하향되도록 회전시켜 잔류된 접착용액을 배출하여 접착용액의 경화에 따른 제2 노즐헤더(120)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즐헤더(120)가 헤더브래킷(151) 및 헤더슬리브(153)에 의해 지지되어 제2 노즐헤더(120)의 왕복운동과 회전운동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용액받침대(130)가 설치되어 접착용액 및 방사용액이 흘러 베이스시트(11) 및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즐헤더(120)의 회전시 용액받침대(130)가 제2 노즐헤더(120)에 회전유지브래킷(140)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기 때문에 용액받침대(130)에 담긴 접착용액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나노웹 필터 11: 베이스시트
13: 접착층 15: 나노웹층
17: 보호시트 100: 전기방사부
110: 제1 노즐헤더 111: 제1 방사노즐
115,125: 헤더돌출부 120: 제2 노즐헤더
121: 제2 방사노즐 127: 용융히터
130: 용액받침대 140: 회전유지브래킷
141: 브래킷연장부 142: 받침대힌지
143: 와이어지지부 145: 응력제공와이어
150: 잔류제거구동부 151: 헤더브래킷
153: 헤더슬리브 153a: 슬라이딩공
153b: 슬리브플랜지 153c: 돌출캠부
155: 브래킷 베어링 157: 헤더롤러
159: 회전기구 160: 왕복운동기구
161: 회전축 163: 편심캠
165: 클램프 167: 연결링크
170: 장치프레임 171: 헤더안착부
180: 콜렉터 전극판 190: 경화부
200: 보호시트 공급부 300: 건조부
400: 코팅부 500: 다이폴부
600: 말단롤 700: 베이스시트 공급부
1000: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Claims (11)

  1. 베이스시트를 제공하는 베이스시트 공급부, 상기 시트공급부에서 제공받은 베이스시트에 전기방사에 의해 나노웹층을 형성하는 전기방사부, 상기 전기방사부에서 성형된 나노웹을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부는
    상기 베이스시트의 일측면에 위치되어 음극의 극성을 갖는 콜렉터 전극판,
    상기 베이스시트의 타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콜렉터 전극판을 향해 상기 나노웹층을 형성하는 방사용액을 방사하는 양극의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방사노즐이 설치되며, 상하로 복수 개가 이격 설치되는 제1 노즐헤더,
    상기 나노웹층을 상기 베이스시트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을 상기 나노웹층을 형성하기 이전에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시트가 진입하기 이전의 위치에서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용액을 상기 콜렉터 전극판으로 방사하는 제2 방사노즐이 설치되는 제2 노즐헤더, 및
    상기 제2 노즐헤더와 대응되는 상기 콜렉터 전극판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시트에 형성된 접착층의 공극이 유동성에 의해 메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착층의 온도를 낮춰 경화시키는 경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노즐헤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기 제1 노즐헤더 및 상기 제2 노즐헤더에서 떨어지는 상기 방사용액 또는 상기 접착용액이 하부로 떨어져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액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노즐헤더는 상기 제2 노즐헤더에 잔류된 접착용액을 상기 제2 방사노즐을 통해 제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노즐헤더를 회전시킬 때, 상기 용액받침대가 자중에 의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2 방사노즐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용액을 받도록 상기 제2 노즐헤더에서 상기 용액받침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유지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웹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건조부의 열에 의해 용융되어 합착되는 보호시트를 상기 건조부에 진입하기 이전에 공급하는 보호시트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헤더는
    상기 제2 노즐헤더로 공급되는 접착용액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노즐헤더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접착용액을 가열하는 용융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지브래킷은
    상기 제2 노즐헤더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유지브래킷은
    상기 제2 노즐헤더의 하부로 돌출되는 와이어지지부, 및
    상기 제2 노즐헤더의 양측에 위치된 상기 와이어지지부에 걸쳐져 상기 제2 노즐헤더에 상부로 휨응력을 제공하는 형태로 상기 제2 노즐헤더의 하부로 처짐을 방지하는 응력제공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사노즐에서 상기 접착용액의 방사를 종료 시 상기 제2 노즐헤더에 잔류된 접착용액을 상기 제2 방사노즐을 통해 배출하도록 상기 제2 노즐헤더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방사노즐의 방사방향을 하향 회전시키는 잔류제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제거구동부는
    상기 제2 노즐헤더의 양측단 중 어느 한 측단을 지지하는 헤더브래킷,
    상기 헤더브래킷의 내주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노즐헤더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끼워지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공에 끼워진 상기 제2 노즐헤더에서 접착용액을 방사하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헤더브래킷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더슬리브,
    상기 헤더브래킷에서 상기 헤더슬리브를 용이하게 회전시키도록 상기 헤더슬리브에서 돌출되는 돌출캠부, 및
    상기 제2 노즐헤더에서 방사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돌출캠부에 연결되어 상기 돌출캠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형태로 상기 헤더슬리브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브래킷에서 상기 헤더슬리브가 용이하게 상하로 회전하도록 상기 헤더브래킷에서 상기 헤더슬리브의 사이에 설치되는 브래킷 베어링, 및
    상기 슬라이딩공에서 상기 제2 노즐헤더가 용이하게 수평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헤더슬리브의 내주에 설치되는 헤더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슬리브는
    상기 헤더브래킷에서 상기 헤더슬리브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헤더슬리브의 양단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헤더브래킷의 양단에 각각 걸쳐지는 슬리브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11. 삭제
KR1020190120379A 2019-09-30 2019-09-30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 KR102091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379A KR102091824B1 (ko) 2019-09-30 2019-09-30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379A KR102091824B1 (ko) 2019-09-30 2019-09-30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824B1 true KR102091824B1 (ko) 2020-03-23

Family

ID=6999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379A KR102091824B1 (ko) 2019-09-30 2019-09-30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8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919A (ko) * 2013-11-21 2015-05-29 (주)에프티이앤이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장치
KR101846994B1 (ko) * 2017-10-25 2018-04-09 은성화학(주) 나노웹 필터 제작용 전기방사장치
KR20180081931A (ko) * 2017-01-09 2018-07-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섬유가 적층된 필터 양산화 장치
KR20190036606A (ko) * 2017-09-28 2019-04-05 안홍태 접착메쉬테이프를 이용한 에어필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919A (ko) * 2013-11-21 2015-05-29 (주)에프티이앤이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장치
KR20180081931A (ko) * 2017-01-09 2018-07-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섬유가 적층된 필터 양산화 장치
KR20190036606A (ko) * 2017-09-28 2019-04-05 안홍태 접착메쉬테이프를 이용한 에어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846994B1 (ko) * 2017-10-25 2018-04-09 은성화학(주) 나노웹 필터 제작용 전기방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4458B2 (ja) 上向式エレクトロスピ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ナノ繊維
CN103370457B (zh) 纳米纤维制造装置
CN106475289B (zh) Led制造方法、led制造设备和led
JP4402695B2 (ja) 上向式エレクトロスピ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ナノ繊維
JP4981355B2 (ja) 静電紡糸装置
KR101816733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091824B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나노웹 필터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웹 필터
CN108435485A (zh) 一种全自动喷漆机及其使用方法
KR101158553B1 (ko) 전기 방사장치
KR101846994B1 (ko) 나노웹 필터 제작용 전기방사장치
CN111424373A (zh) 一种熔喷无纺布生产加工系统
CN102586903A (zh) 一种电纺机
KR101969053B1 (ko) 골드 또는 실버 삼베원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드 또는 실버 삼베원단
JP4508105B2 (ja) 静電噴霧装置
KR100756893B1 (ko) 전기방사 장치
KR102076344B1 (ko) 방사용액의 흘러내림을 방지한 나노웹 성형장치
CN111424372A (zh) 一种熔喷无纺布生产方法
CN213951596U (zh) 一种自动化针纺织品用上蜡装置
KR101746051B1 (ko) 기판 코터 장치 및 기판 코팅 방법
CN214111854U (zh) 一种涂膜胶辊防粘冷却装置
CN212247285U (zh) 针式喷头垂直静电纺丝装置以及系统
CN212375431U (zh) 一种纳米纤维复合材料的制备装置
CN210506853U (zh) 一种复合聚酯地毯纤维整平处理装置
JP2017025428A (ja) 電界紡糸装置及びナノ繊維製造装置
CN220126399U (zh) 一种具有热风系统的水泥立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