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489B1 -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489B1
KR102091489B1 KR1020130041171A KR20130041171A KR102091489B1 KR 102091489 B1 KR102091489 B1 KR 102091489B1 KR 1020130041171 A KR1020130041171 A KR 1020130041171A KR 20130041171 A KR20130041171 A KR 20130041171A KR 102091489 B1 KR102091489 B1 KR 102091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harging
communication device
uni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3830A (ko
Inventor
최호진
이선호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48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기기의 충전 기능이 구비된 변속 장치에 이동 통신 기기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여 이동 통신 기기의 거치와 충전을 용이하게 하는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는,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변속단을 선택하는 변속 레버, 상기 변속 레버의 일측을 감싸며, 상기 변속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로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를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하는 기기 충전부, 및 상기 변속단 또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충전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tomotive transmiss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기기의 충전 기능이 구비된 변속 장치에 이동 통신 기기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여 이동 통신 기기의 거치와 충전을 용이하게 하는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핸드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기기는 차량의 운전자라면 항상 소지하고 있는 제품으로 이동 통신 기기의 거치 또는 충전을 위하여 거치대 또는 충전기를 차량 내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거치대를 차량 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볼트로 차량에 구멍을 뚫어 장착하여 사용해 왔다.
또한, 충전기는 차량 내에 설치된 파워 아울렛과 이동 통신 기기를 전원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동 통신 기기를 따로 거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거치대와 충전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차량 내에 장착하기가 불편하고 차량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파워 아울렛에 연결해야 하므로 차량 내부의 미관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기기의 거치와 충전이 용이하면서도 거치대 또는 충전기의 장착으로 인한 차량 내부의 여유 공간 감소 및 손상을 방지하고, 전원 케이블 등으로 인해 차량 내부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360호 (2009.02.06.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 통신 기기의 충전 기능이 구비된 변속 장치에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 통신 기기를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동 통신 기기의 거치와 충전이 용이한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 통신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 통신 기기를 소지한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변속 레버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킴으로써, 허가된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는,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변속단을 선택하는 변속 레버, 상기 변속 레버의 일측을 감싸며, 상기 변속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게 구비되어 이동 통신 기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납된 이동 통신 기기를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하는 기기 충전부, 및 상기 변속단 또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충전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변속 장치에 구비된 기기 충전부에 이동 통신 기기를 수납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기기를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기기를 소지한 운전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에 대한 인증 결과에 따라 변속 레버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차량 내부에 별도의 거치대 또는 충전기를 장착하지 않고 변속 장치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이동 통신 기기를 수납시켜 이동 통신 기기의 거치와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거치대 또는 충전기를 장착함으로써 발생하는 차량 내부 여유 공간의 감소 및 손상을 방지하고, 전원 케이블 등으로 인한 차량 내부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통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 통신 기기를 소지한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변속 레버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기 때문에 허가되지 않은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여 발생하는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에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충전부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 충전부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에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1)는 변속 레버(100), 베이스(200), 기기 충전부(300) 및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변속 레버(100)는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변속단을 선택하는 역할을 하며, 변속 레버(100)의 일단에는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노브(Knob)(110)가 연결되어, 운전자는 노브(110)를 잡고 일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변속 레버(100)를 이동시켜 원하는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
변속 레버(100)의 이동 방향이나 변속 레버(100)의 이동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변속단은 변속 모드나 변속 패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변속 모드로서 자동 변속 모드나 수동 변속 모드 등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고, 변속 패턴은 "I", "H" 및 "
Figure 112013032687093-pat00001
" 형상 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200)는 변속 레버(100)의 일측을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변속 레버(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베이스(200)는 변속 레버(100)의 일측 뿐만 아니라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이나 특정 상황에서 변속 레버(100)의 이동을 차단하는 시프트 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구성 요소들이 수용되어 변속 모드나 변속 패턴에 따른 변속 레버(1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기기 충전부(300)는 베이스(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 통신 기기(50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기 충전부(300)가 무선 충전 방식을 사용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기 충전부(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베이스(200)는 기기 충전부(300)를 포함하는 내부를 감싸기 위한 하우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크게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자기 유도 방식은 전류가 흐르면서 생기는 자기장이 새로운 전류를 만드는 원리로서 전력 전송 효율이 높고, 자기 공명 방식은 송신측 코일에서 공진 주파수를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설계된 수신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방식이며, 전자기파 방식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통해 마이크로파 신호를 공기 중에 방사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전술한 무선 충전 방식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통신 기기(500)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충전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기 충전부(300)를 통해 이동 통신 기기(500)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기 충전부(300)에 유선으로 이동 통신 기기(500)와 연결될 수 있는 전원 커넥터 또는 전원 케이블을 구비하여 유선으로 이동 통신 기기(50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기 충전부(300)는 베이스(200)의 일면, 예를 들어 상면에 형성된 삽입 홈(210)에 정렬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이동 통신 기기(500)가 삽입 홈(210)을 통해 삽입되어 도 4와 같이 삽입 홈(210)을 통해 삽입된 이동 통신 기기(500)가 기기 충전부(300)의 일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기 충전부(300)는 기기 충전부(300)에 안착된 이동 통신 기기(500)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 부재, 예를 들어 수납 케이스 등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납 부재에 의해 기기 충전부(300)에 안착된 이동 통신 기기(500)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이동 통신 기기(500)가 기기 충전부(300)로부터 이탈되거나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현재 선택된 변속단이나 선택 가능한 변속단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기기 충전부(300)로부터 전송된 이동 통신 기기(500)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초로 이동 통신 기기(500)의 충전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충전 상태는 숫자, 문자 및 아이콘 등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400)가 노브(110)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400)가 설치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00)는 액정 표시 장치, 네비게이션, AV 시스템 및 HUD(Head Up Display)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기 충전부(300)가 베이스(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동 통신 기기(500)가 베이스(200)를 통해 기기 충전부(300)에 안착되도록 수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통신 기기(500)의 거치와 충전이 동시에 가능하므로 차량 내부에 거치대 또는 충전기를 별도로 장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차량 내부의 여유 공간 감소 및 손상을 방지하고, 전원 케이블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차량 내부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기 충전부(300)가 이동 통신 기기(500)의 배터리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충전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기 충전부(300)는 이동 통신 기기(5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충전부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충전부(300)는 충전부(310), 통신부(320), 저장부(330) 및 인증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310)는 전술한 기기 충전부(300)에서 살펴본 이동 통신 기기(500)의 배터리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충전부(300)가 자기 공명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충전부(310)에는 송신측 코일이 구비될 수 있고, 이동 통신 기기(500)의 배터리에는 수신측 코일이 구비되어 무선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충전부(310)를 통해 충전되고 있는 이동 통신 기기(5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부(320)는 RFID를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유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기기(500)도 전술한 통신부(320)에서 사용 가능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이동 통신 기기(500)에는 이동 통신 기기(500)를 소지하는 운전자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운전자 성명, 전화 번호, 고유 번호 등과 같은 다양한 운전자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통신부(320)는 이동 통신 기기(5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 통신 기기(500)에 저장된 운전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기입력된 차량의 운행이 허가된 운전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부(330)로 사용되는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기기 충전부(3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저장 매체가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통신부(320)를 통해 별도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기입력된 운전자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부(300)에 기저장되는 운전자 식별 정보는 차량 출고시에 저장될 수도 있고, 허가된 운전자에 의해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부(330)에 저장되는 운전자 식별 정보는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인증부(340)는 이동 통신 기기(500)로부터 수신한 운전자 식별 정보와 저장부(330)에 기저장된 운전자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이동 통신 기기(500)를 소지하고 있는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부(340)에서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은 운전자에 대한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 운행을 제한함으로써, 허가되지 않은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발생하는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에 대한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 운행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인증 결과에 따라 변속 레버(100)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의 운행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운전자의 인증 결과에 따라 변속 레버(100)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기기 충전부(300)는 변속 제어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변속 제어부(350)가 기기 충전부(300)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변속 제어부(360)는 충전부(300)와 별도로 구성되어 시프트 록 기능 등의 제어를 통해 변속 레버(100)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부(320)가 이동 통신 기기(5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의 변속 장치(1)의 각 구성 요소들간의 정보를 주고 받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20)는 이동 통신 기기(500)의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하거나 인증부(340)에 의한 인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400)나 변속 제어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통신부(320)가 이동 통신 기기(500)와의 통신이나 본 발명의 차량의 변속 장치(1)의 각 구성 요소들간의 정보 교환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인증부(340)에 의한 인증 결과가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허가되지 않은 운전자임을 알 수 있도록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행이 허가된 운전자라도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인증 결과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소유주의 이동 통신 기기를 소지하고 있는 것과 같은 돌발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변속 제어부(350)는 통신부(320)를 통해 전송된 인증 결과를 기초로 전술한 시프트 록 기능과 같이 변속 레버(100)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변속 레버(100)의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기 충전부(300)가 차량의 변속 장치(1)에 구비되어 별도의 거치대 또는 충전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이동 통신 기기(500)의 거치와 충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기 충전부(300)를 통해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행이 허가되지 않은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 7은 기기 충전부(300)를 통한 이동 통신 기기(500)의 충전 방법이 도시된 경우의 일 예이다. 또한, 도 7에서는 이동 통신 기기(500)의 충전을 위하여 차량의 시동이 켜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기기 충전부(300)로 전원 공급이 가능한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의 제어 방법은,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소지하고 있는 이동 통신 기기(500)를 베이스(200)에 형성된 삽입 홈(210)을 통해 기기 충전부(300)에 수납시키게 된다(S110).
기기 충전부(300)는 수납된 이동 통신 기기(50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해 충전을 시작하게 되고(S120), 충전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S130). 이때, 전술한 S120단계에서는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해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 커넥터 또는 케이블 등을 통한 유선 충전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면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통신부(32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하게 된다(S140).
디스플레이부(400)는 전송된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150). 이때, 디스플레이부(400)는 충전 상태를 숫자, 문자 및 아이콘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이동 통신 기기(500)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전술한 S130단계 내지 S150단계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고, 충전이 완료된 경우, 기기 충전부(300)는 충전을 종료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160).
전술한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 내부에 별도로 거치대 또는 충전기를 장착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 내부의 여유 공간 감소 및 손상을 방지하고, 전원 케이블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차량 내부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 8은 기기 충전부(300)를 통해 이동 통신 기기(500)를 소지한 운전자를 인증하는 인증 방법이 도시된 경우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의 제어 방법은, 먼저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소지하고 있는 이동 통신 기기(500)를 베이스(200)에 형성된 삽입 홈(210)을 통해 기기 충전부(300)에 수납시키게 된다(S210).
이때, 기기 충전부(300)는 통신부(320)를 통해 이동 통신 기기(500)와 통신을 수행하고(S220), 이동 통신 기기(500)로부터 이동 통신 기기(500)를 소지하는 운전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230).
기기 충전부(300)는 인증부(340)를 통해 수신된 운전자 식별 정보와 저장부(330)로부터 추출된 운전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S240).
기기 충전부(300)는 통신부(320)를 통해 인증부(340)의 인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400) 및 변속 제어부(350)로 전송하게 된다(S250).
디스플레이부(400)는 전송된 인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변속 제어부(350)는 전송된 인증 결과에 따라 시프트 록 기능 등을 제어하여 변속 레버(100)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게 된다(S260).
전술한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기기(5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 통신 기기(500)를 소지한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허가되지 않은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도 7 및 도 8과 같이 충전 및 인증을 각각 별도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한 도 7 및 도 8의 방법은 서로 병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7과 같이 이동 통신 기기(500)의 충전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술한 도 8과 같은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변속 레버
110: 노브
200: 베이스
300: 기기 충전부
310: 충전부
320: 통신부
330: 저장부
340: 인증부
350: 변속 제어부
400: 디스플레이부
500: 이동 통신 기기

Claims (11)

  1.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변속단을 선택하는 변속 레버;
    상기 변속 레버의 일측을 감싸며, 상기 변속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로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를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하는 기기 충전부; 및
    상기 변속단 및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충전 상태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변속 레버의 현재 상태의 변속단이나 선택 가능한 변속단을 디스플레이 하면서 더불어 상기 기기 충전부로부터 전송된 이동 통신 기기의 충전 상태를 숫자, 문자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로 디스플레이 하는 차량의 변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충전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통신 기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에 정렬되도록 위치하는 차량의 변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충전부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 및
    상기 이동 통신 기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 이상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충전 상태 또는 상기 운전자에 대한 인증 결과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차량의 변속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충전부는,
    상기 운전자에 대한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변속 레버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는 변속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기입력된 운전자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된 운전자 식별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통신 기기를 소지한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충전부는,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차량의 변속 장치.
  8. 변속 장치에 구비된 기기 충전부에 이동 통신 기기를 수납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기기를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기기를 소지한 운전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에 대한 인증 결과에 따라 변속 레버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통신 기기가 충전시키는 단계 및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충전 상태와 상기 인증 수행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변속 레버의 현재 상태의 변속단이나 선택 가능한 변속단을 디스플레이 하면서 더불어 상기 기기 충전부로부터 전송된 이동 통신 기기의 충전 상태를 숫자, 문자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로 디스플레이 하는 차량의 변속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충전 상태 및 상기 운전자에 대한 인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를 충전시키는 단계는,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기저장된 운전자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운전자의 식별 정보와 상기 수신된 운전자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30041171A 2013-04-15 2013-04-15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1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171A KR102091489B1 (ko) 2013-04-15 2013-04-15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171A KR102091489B1 (ko) 2013-04-15 2013-04-15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830A KR20140123830A (ko) 2014-10-23
KR102091489B1 true KR102091489B1 (ko) 2020-03-20

Family

ID=5199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171A KR102091489B1 (ko) 2013-04-15 2013-04-15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968B1 (ko) * 2015-03-24 2017-02-10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2528B2 (en) * 1999-06-21 2009-11-03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Vehicle interface
KR101469862B1 (ko) * 2005-07-20 2014-12-08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휴대폰과 연동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KR200443360Y1 (ko) 2007-11-28 2009-02-06 (주)정인일렉텍 차량용 휴대폰 충전 거치대
KR100921048B1 (ko) * 2007-12-15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키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변속레버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830A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70749B (zh) 车载系统、车辆控制方法以及车辆控制系统
US10442303B2 (en)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303653A (zh) 手机套车辆密钥卡
US9460577B2 (en) Sharing a key for a vehicle
CN104637125A (zh) 一种移动终端控制车辆的系统及其方法
CN105939162A (zh) 移动终端及线圈天线模块
CN103473832A (zh) 电子钥匙登录系统
KR101708690B1 (ko)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JP2010093957A (ja) 車両の充電システム
JP2007046395A (ja) 車輌情報設定装置
CN104786987A (zh) 解锁汽车的控制方法和控制系统
JP5775474B2 (ja) プラグロック装置
KR102459537B1 (ko)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JP2010161886A (ja) 充電ケーブルの連結構造
KR20090021437A (ko) 자전거 잠금 제어 장치
KR102091489B1 (ko)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532726B (zh) 一种智能汽车系统自适应的控制方法
EP3010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operations of vehicle
EP3046207A1 (en) Wireless charger
JP2006287832A (ja) 通信端末装置
JPWO2005021904A1 (ja) 認証システム
US20210248851A1 (en) Lock, vehicle parking system, and vehicle parking method
CN106945615B (zh) 使用地理栅栏信标控制车辆主机单元预启动的方法及系统
CN112373344A (zh) 智能充电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KR102070357B1 (ko)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