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335B1 - To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335B1
KR102091335B1 KR1020180111612A KR20180111612A KR102091335B1 KR 102091335 B1 KR102091335 B1 KR 102091335B1 KR 1020180111612 A KR1020180111612 A KR 1020180111612A KR 20180111612 A KR20180111612 A KR 20180111612A KR 102091335 B1 KR102091335 B1 KR 102091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contact
sensor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Priority to KR1020180111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3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3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providing a live hatching process in which a variety of acoustic signals are output when a hearing means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 egg-shaped toy, and an egg is broken and an embedded toy is exposed when a certain condition is reached, and to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toy comprises: a plurality of sensors detecting a contact by being distributed and disposed at an arbitrary position; and an egg assembly which operates to output a preset acoustic signal in response to the sensor detecting the contac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live hatching process in which a variety of acoustic signals are output when the hearing means is contacted with the egg-shaped toy, and the egg is broken and the embedded toy is exposed when the certain condition is reached.

Description

완구 및 이의 제어방법{TO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TOY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완구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 형상의 완구에 청음수단을 접촉하면 다양한 음향신호가 출력되고, 일정 조건에 도달하면 알을 깨고 내재된 완구가 노출되는 생동감 있는 부화과정을 제공하는 완구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when a sound-like means is contacted with an egg-shaped toy, various acoustic signals are output, and when a certain condition is reached, the egg is broken and the inherent toy is exposed. It relates to a toy providing a hatching proces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인형이나 동물완구 등을 좀더 생동감 있게 하여 이를 가지고 노는 어린이들에게 친근감을 주어 흥미롭고 정서 함양에 도움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it is desirable to make dolls and animal toys more lively and to give children a sense of intimacy to help them develop interesting and emotional.

이러한 인형이나 동물완구에 있어서 생동감을 부가하는 방법으로서 인형을 움직이게 하거나 소리를 내게 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In such a doll or an animal toy, a method such as moving a doll or making a sound has been used as a method of adding vitality.

그러나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인형이나 동물완구에 생명이 있는 것 같은 생동감을 주기에는 부족한 감이 있고 건전지나 태엽 등에 의한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해 어린이들은 금방 싫증을 느끼게 되어 완구의 재미와 정서 함양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method alone lacks enough to give life to a doll or an animal toy, and children are quickly fed up by repeated movements such as batteries and springs, which greatly helps in the fun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toy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36078호(발명의 명칭: 완구)에는 임의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부재와, 알을 수납하는 알 수납부가 설치되고, 사용자 입력 신호, 미리 저장된 동작 요청 신호 또는 알의 유무를 인식하는 검출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동작 부재의 구동 신호와 알 수납부의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어미 완구; 및 상기 어미 완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어미 완구의 알 수납부가 개방되어 알 수납부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새끼 완구를 수납하는 알 하우징의 일부가 분리되면 진동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알을 포함한 완구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36078 (name of invention: toy)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member for performing an arbitrary operation, an egg storage unit for storing eggs, a user input signal, a pre-stored operation request signal or an egg When at least one of the detection signal for recogni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put, a mother toy for outputting the driving signal of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ignal of the egg storage unit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And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other toy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vibration signal and an acoustic signal when the egg storage part of the mother toy is opened and separated from the egg storage part, or when a part of the egg housing housing the baby toy is separated. Toys that include eggs are disclosed.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완구는 어미 완구에서 알이 분리되면, 분리된 알에서 새끼 완구를 꺼내는 과정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알이 부화하고 알을 깨고 나오는 과정은 생동감 있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oy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configured to provide a process of removing the baby toys from the separated eggs when the eggs are separated from the mother toy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of hatching the eggs and breaking the eggs cannot be provided vividly. .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완구는 알을 깨고 새끼완구가 노출되는 생동감 있는 부화과정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oy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rovide a lively hatching process in which eggs are broken and baby toys are exposed.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36078호(발명의 명칭: 완구)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36078 (Invention name: Toy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 형상의 완구에 청음수단을 접촉하면 다양한 음향신호가 출력되고, 일정 조건에 도달하면 알을 깨고 내재된 완구가 노출되는 생동감 있는 부화과정을 제공하는 완구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y that provides a lively hatching process in which a variety of acoustic signals are output when a hearing device is contacted with an egg-shaped toy, and when the certain condition is reached, the egg is broken and the inherent toy is expose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 조립체에 설치되어 접촉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에서 접촉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nsor installed in the egg assembly to detect contac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to output a preset acoustic signal when contact is detected by the sens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완구는 상기 센서가 알 조립체 표면 또는 알 조립체의 내측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와 접촉하여 상기 알 조립체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사용자에게 청취되도록 하는 청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hearing aid that the sensor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egg assembly or any position inside the egg assembly, and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egg assembly in contact with the sensor is heard by the user.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알 조립체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하우징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g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eparable into at least two or more housing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알 조립체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제1 하우징;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임의의 위치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청음기의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되는 접촉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에서 접촉 신호가 전송되면, 미리 설정된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g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second housing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and selectively installe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A sensor unit distributedly dispos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first housing to detect the contact of the hearing aid; A terminal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transmitting a contact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o a control unit; When the contac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output a preset sound signal;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알 조립체는 결합된 상태의 제1 및 제2 하우징이 분리되도록 동작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g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ctuator operative to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in a coupled st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알 조립체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임의의 형상을 제공하는 캐릭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g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haracter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o provide an arbitrary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하우징은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센서부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ase; And an inner case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to support the sensor unit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a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부 케이스는 하부에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2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면에 형성한 복수의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고정되도록 잠그거나 또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분리되도록 잠금 해제되는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가 잠금 해제되면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분리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part of the first housing to lock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o be fixed, or to unlock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o as to be separated. ; And a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separated when the locking part is unlock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청음기는 센서와 접촉하여 상기 센서에 임의의 변화를 유도하는 전도성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ductive rubber in contact with the sensor to induce any change to the sensor.

또한, 본 발명은 접촉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알 조립체; 및 상기 알 조립체에 설치된 센서와 자기장에 의한 척력을 형성하여 상기 센서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자기장이 발생되면 스위칭 온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청음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gg assembly in which at least one sensor for detecting a contact is movably installed inside; And a sensor installed in the egg assembly to form a repulsive force by a magnetic field so that the sensor is moved in an arbitrary direction, and a hearing aid having a contact portion that is switched on to output an acoustic signal when th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알 조립체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제1 하우징;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알 조립체가 기울어져도 수직방향으로 직립되도록 무게 중심을 제공하는 무게추를 구비한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표면에 접촉한 청음기와 자기장에 의한 척력을 형성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 자석부를 구비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g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second housing having a weight that provides a center of gravity such that a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selectively coupl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housing, and vertically upright even when the egg assembly is inclined; And a sensor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housing and having a rotating magnet portion rotating in an arbitrary direction by forming a repulsive force caused by a magnetic field and a sounder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고, 상기 청음기와 자기장에 의한 척력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체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shaft; A rotating body moving upward / downward along the rotation axis; And it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magnet portion to form a repulsive force by the sound field and the magnetic field so that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in any one of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촉부는 자기장이 형성되면 변위하도록 설치된 제1 자석부; 상기 제1 자석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1 자석부와 척력을 형성하는 제2 자석부; 상기 제2 자석부에 자기장이 발생되면 이동하여 단자부와 접촉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와 단자부가 접촉하면 미리 설정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magnet portion installed to be displaced when a magnetic field is formed; A second magnet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 part and forming a repulsive force with the first magnet part; A switch unit that moves when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second magnet unit and contacts the terminal unit; And an output unit which outputs a preset sound signal when the switch unit and the terminal unit contact.

또한, 본 발명은 a) 제어부가, 복수의 하우징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알 조립체의 임의의 위치에 분산 배치된 센서부에서 접촉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센서부에서 접촉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출력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he control unit detects a contact signal from a sensor unit distributedly dispos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an egg assembly configured to be detachable into a plurality of housings; And b) when a contact signal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output unit to output a preset sound signal.

또한, 본 발명은 c) 상기 제어부가 센서부에서 검출한 접촉 신호의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를 미리 설정된 하우징 분리 판단용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비교결과, 카운트된 횟수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하우징을 분리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 the control unit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contact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comparing the counted number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the housing separation; And d) if the counted number of tim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output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an actuator for separating the plurality of housings.

본 발명은 알 형상의 완구에 청음수단을 접촉하면 다양한 음향신호가 출력되고, 일정 조건에 도달하면 알을 깨고 내재된 완구가 노출되는 생동감 있는 부화과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live hatching process in which various acoustic signals are output when the hearing device is contacted with an egg-shaped toy, and when the certain condition is reached, the egg is broken and the embedded toy is expo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완구의 청음기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따른 완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y eg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y hearing aid according to Figure 6;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toy according to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group", "‥ module"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can be divided into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제1 실시예)(First Examp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y eg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구는 알 조립체(100)와, 상기 알 조립체(100)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청취하는 청음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5, the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gg assembly 100 and a hearing aid 200 that listens to an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egg assembly 100.

상기 알 조립체(100)는 임의의 위치에 분산 배치되어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을 검출한 센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과, 센서부(130)와, 단자부(140)와, 제어부(150)와, 출력부(160)와, 액추에이터(170)와, 전원부(180)와, 캐릭터(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gg assembly 100 is arranged to be distributed in an arbitrary posi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contact, and is configured to operate to output a preset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or detecting the contact, the first housing ( 110), a second housing 120, a sensor unit 130, a terminal unit 140, a control unit 150, an output unit 160, an actuator 170, a power supply unit 180, It comprises a character 190.

상기 알 조립체(1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하우징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gg assembly 100 is configured to be separable into at least two or more housings, and this embodiment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consisting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does not work.

상기 제1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돔 형상의 부재로서, 제2 하우징(120)과 결합하면 내부에 캐릭터(190)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며, 청음기(200)가 접촉하는 외부 케이스(111)와, 상기 외부 케이스(11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청음기(200)의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부(130)가 상기 외부 케이스(111)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내부 케이스(112)로 이루어진다.The first housing 110 is a dome-shaped member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when combined with the second housing 120, the character 190 can be stored therein, and the outside of the hearing aid 200 is in contact. The case 111 and the inner case 112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111 to support the sensor unit 130 detecting the contact of the hearing aid 200 to be fixed inside the outer case 111. ).

즉 상기 내부 케이스(112)는 외부 케이스(111)의 내부면에 설치된 센서부(13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하우징(110)이 제2 하우징(120)과 분리되는 과정에 충격으로 인해 상기 센서부(130)가 외부 케이스(111)에서 탈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inner case 112 prevents the sensor unit 130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11 from being exposed, and the first housing 11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housing 120 by an impac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nsor unit 130 from dropping out of the outer case 11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을 외부 케이스(111)와 내부 케이스(112)로 분리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외부 케이스(111)만 구성되도록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housing 110 is described as being separated into an outer case 111 and an inner case 11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changed so that only the outer case 111 is configur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112)는 제2 하우징(120)으로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112)의 하부에서 일정 길이 돌출되어 구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부(11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nner case 112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insertion portion 112a configured to protrude a certain length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112 so that a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120.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112)는 내부면에 복수의 걸림홈(112b)을 형성하여 제2 하우징(120)에 형성된 잠금부(121)와 결합됨으로써,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결합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inner case 112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112b on the inner surface and being coupled with the locking portion 121 formed on the second housing 120, so that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 120) to keep the locked state.

상기 제2 하우징(120)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돔 형상의 부재로서, 제1 하우징(110)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제어부(150)와, 출력부(160)와, 액추에이터(170), 전원부(180) 등이 수납되도록 한다.The second housing 120 is a dome-shaped member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which is selectively coupl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housing 110, and has a control unit 150 and an output unit 160 therein. Wow, so that the actuator 170, the power supply unit 180, and the like are accommodated.

또한,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의 내부면 일측에 설치된 걸림홈(112b)과 결합하여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잠그거나 또는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분리되도록 잠금 해제되는 잠금부(121)와, 상기 잠금부(121)가 잠금 해제되면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분리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housing 120 is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112b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to fix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in a coupled state. The locking unit 121 is unlocked so as to be locked or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are separated, and when the locking unit 121 is unlocked,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2 The housing 1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ring 122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be separated.

상기 잠금부(121)는 일측이 제1 하우징(110)의 걸림홈(112b)과 연결되고, 타측은 액추에이터(170)와 링크(171)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액추에이터(17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걸림홈(112b)과 결합 또는 분리된다.One side of the lock portion 121 is connected to the locking groove 112b of the first housing 110, the other side is connected via an actuator 170 and a link 171,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170 The engaging groove 112b is coupled or separated.

상기 스프링(122)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결합하면, 상기 제2 하우징(120)으로 삽입되는 제1 하우징(110)의 삽입부(112a)에 의해 압축되고, 잠금부(121)가 잠금 해제되면 상기 압축된 스프링(122)의 탄성력은 상기 제1 하우징(110)을 가압하여 상기 제2 하우징(1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Wh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are coupled, the spring 122 is compressed by the insertion part 112a of the first housing 110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120, When the locking part 121 is unlocked,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ed spring 122 presses the first housing 110 to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housing 120.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은 미리 설정된 방향 또는 위치에서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의 내측에 일정 형상의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coupling protrusions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are coupled on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r position. You can.

상기 센서부(130)는 청음기(200)의 접촉을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제1 센서(131), 제2 센서(132) 및 제n 센서(1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n 센서(131, 132, 133)는 제1 하우징(110)의 임의의 위치에 분산 배치된다.The sensor unit 13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contact of the hearing aid 200, and includes a first sensor 131, a second sensor 132, and an n-th sensor 133, and the first to the first The n sensors 131, 132, and 133 are distributedly disposed at any posi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또한, 상기 센서부(130)는 용량 변화방식, 저항 변화방식(전기전도도 변화방식), 광량 변화방식 등을 이용한 터치 센서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130 is made of a touch sensor using a capacity change method, a resistance change method (electric conductivity change method), a light amount change method, or the like.

상기 단자부(14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센서부(130)에서 검출되는 접촉 신호가 제어부(15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제1 단자(141)와 제2 단자(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erminal unit 140 is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so that a contact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30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It comprises a first terminal 141 and the second terminal 142.

상기 제1 단자(141)는 제1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제2 단자(142)는 제2 하우징(120)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terminal 141 is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110, the second terminal 142 is installed in the second housing 120,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120 are combin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tate.

상기 제어부(150)는 완구(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단자부(140)에서 접촉 신호가 전송되면, 미리 설정된 음향 신호가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unit 150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oy 100, and when a contac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unit 140, a preset sound signal is controlled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60. It is made of a processor or the like.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단자부(140)에 연결된 센서별로 고유의 아이디 정보를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고, 각 센서별로 서로 다른 음향 신호가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provide and manage unique ID information for each sensor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140, and may control different acoustic signals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60 for each sensor.

즉 상기 제어부(150)는 단자부(140)를 통해 개별 연결된 센서들의 접촉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접촉 신호가 수신된 단자부(140)를 통해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확인한 다음, 상기 센서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고유의 음향신호(예를 들면, 심장소리, 울음소리, 껍찔깨는 소리 등)를 검출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50 detects a contact signal of sensors individually connected through the terminal unit 140, checks a sensor outputting a contact signal through the terminal unit 140 through which the contact signal is received, and then responds to the sensor The pre-stored unique acoustic signals (eg, heart sounds, crying sounds, crackling sounds, etc.) are detected and output.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단자부(140)가 제1 단자(141)와 제2 단자(14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 또는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서로 결합되었는지 또는 분리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140 is the first terminal 141 and the second terminal 142 is electrically connected or disconnected,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se are combined or separated.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제1 및 제2 단자(141, 14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센서부(130)의 접촉 신호가 검출되는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를 미리 설정된 하우징 분리 판단용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기준값 이상이면,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을 분리하기 위한 동작 제어신호를 액추에이터(170)로 출력한다.In addition, after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41 and 1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control unit 150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contact signal of the sensor unit 130 is detected, and separates the counted number of preset housings. When the counted c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compared to the reference value for determination,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is output to the actuator 170.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이 분리되면, 캐릭터(190)의 울음 소리 또는 미리 저장된 특정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are separate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o output a cry of the character 190 or a specific sound stored in advance.

상기 출력부(160)는 제어부(150)에서 전송되는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피커로 이루어진다.The output unit 160 is configured to output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50, preferably made of a speaker.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출력부(160)가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출력부(160)가 LED 등의 발광수단을 추가 구성하여 상기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동기화되어 일정 패턴의 발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변경 실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output unit 160 is described as a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output unit 160 additionally constitutes a light emitting means such as an LED to output the acoustic signal. Synchronized with and may be changed to output a predetermined pattern of light emission signal.

상기 액추에이터(170)는 결합된 상태의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이 분리되도록 잠금부(121)를 동작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잠금부(121)와 링크(171)를 통해 연결되고, 전기신호에 의해 변위가 발생하면, 상기 링크(171)를 통해 연결된 잠금부(121)가 걸림홈(112b)과 분리되도록 동작한다. The actuator 170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locking portion 121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in a coupled state are separated, and is connected through the locking portion 121 and the link 171, , When displacement is caused by an electrical signal, the locking part 121 connected through the link 171 is operated to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12b.

상기 전원부(180)는 센서부(130), 제어부(150), 출력부(160) 및 액추에이터(17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80 supplies power so that the sensor unit 130, the control unit 150, the output unit 160, and the actuator 170 can operate.

상기 캐릭터(190)는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0)이 분리되면, 알 조립체(100) 내부에서 특정 형상을 갖는 예를 들면, 공룡, 동물 등의 새끼로 형상화된 물체가 노출되도록 한다.The character 19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and when the first housing 110 is separated, for example, having a specific shape inside the egg assembly 100, for example , Dinosaurs, animals, and other objects shaped as pups are exposed.

상기 청음기(200)는 알 조립체(100) 표면의 임의의 위치에 접촉하여 상기 알 조립체(100)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사용자에게 청취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일측으로 수신된 음향 신호를 일정 거리 이격된 타측으로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청진기 또는 청진기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The hearing aid 200 is configured to contac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egg assembly 100 so that the sound signal outputted from the egg assembly 100 can be heard by the user. Preferably,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one side is constant. It is made of a stethoscope or a stethoscope-shaped member that is transmitted and output to the other side spaced apart.

또한, 상기 청음기(200)는 센서부(130)와 접촉하여 상기 센서(130)에 임의의 변화를 유도하는 전도성 고무(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earing aid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ductive rubber 210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130 to induce any change to the sensor 130.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제어과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control process of the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알 조립체(100)가 완전한 알 형상이 되도록 결합한 다음, 제어부(150)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임의의 위치에 분산 배치된 센서부(130)에서 감지되는 접촉 신호를 검출(S100)한다.After the egg assembly 1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in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so as to form a complete egg, the control unit 150 is distributedly disposed at any posi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The contact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30 is detected (S100).

상기 S100 단계에서 접촉 신호는 사용자가 청음기(200)를 상기 센서부(130)가 설치된 제1 하우징(110)의 표면에 접촉하면 상기 센서부(130)에 발생되는 예를 들면, 정전용량변화, 저항변화 등을 통해 발생된다.The contact signal in step S100,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hearing aid 200 to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in which the sensor unit 130 is installed, for example,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in the sensor unit 130, It occurs through resistance change.

또한, 상기 S100 단계에서 사용자가 청음기(200)를 상기 센서부(130)가 설치되지 않은 제1 하우징(110)의 표면에 접촉하면 접촉 신호는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user contacts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in which the sensor unit 130 is not installed in step S100, the contact signal is not generated.

상기 S100 단계에서 센서부(130)의 접촉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30)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음향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음향 신호가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S110)한다.When the contact signal of the sensor unit 130 is detected in step S100, the control unit 150 detects a pre-stored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130, and the detected sound signal is output unit 160 Control signal is output to be output through (S110).

상기 출력부(160)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일정 크기로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음향 신호는 청음기(200)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60 is output in a certain size, and the output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hearing aid 200 so that the user can listen.

상기 S110 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기 제어부(150)는 센서부(130)에서 검출한 접촉 신호의 횟수를 카운트(SS120)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를 미리 설정된 하우징 분리 판단용 기준값과 비교(S130)한다.After performing the step S110, the control unit 150 counts the number of contact signal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30 (SS120), and compares the counted number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housing separation determination (S130). .

상기 S130 단계의 비교결과, 상기 S130 단계에서 카운트된 접촉 신호의 검출 횟수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150)는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을 분리하기 위한 동작 제어신호를 액추에이터(170)로 출력(S140)하여 알 조립체(100)가 부화되어 껍질을 깨는 과정이 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이 분리되어 캐릭터190)가 노출되면, 상기 캐릭터(190)에 설정된 울음 소리, 박동소리 등이 출력되도록 한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step S130, if the number of times of detecting the contact signal counted in step S13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50 activate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Output (S140) to (170), so that the egg assembly 100 is hatched to produce a process of breaking the shell,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120) are separated and the character 190 is exposed, The sound, beats, and the like set in the character 190 are output.

또한, 상기 S130 단계의 비교결과, 상기 S130 단계에서 카운트된 접촉 신호의 검출 횟수가 상기 기준값 이하면, 상기 S100 내지 S120 단계를 반복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times of detecting the contact signal counted in step S130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step S130, steps S100 to S120 are repeatedly performed.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카운트된 검출 횟수가 증가하면, 출력부(160)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켜 출력함으로써, 알 조립체(100)의 내부에서 새끼가 커가는 것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ounted detection count increases, the control unit 150 increases the size of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60 and outputs it, so that the user is intuitively aware that the baby is growing inside the egg assembly 100. You can control to feel.

(제2 실시예)(Second example)

우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irs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repeated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완구의 청음기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따른 완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oy according to FIG. 6, and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toy according to FIG. 6.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완구는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부(300)가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알 조립체(100')와, 상기 알 조립체(100')에 설치된 센서부(300)와 자기장에 의한 척력을 형성하여 상기 센서부(300)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자기장이 발생되면 스위칭 온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부(220)를 구비한 청음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6 to 8, the to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n egg assembly 100 ′ in which a sensor unit 300 for detecting contact is movably installed inside, and the egg assembly 100 ′. The installed sensor unit 300 forms a repulsive force by a magnetic field so that the sensor unit 300 moves in an arbitrary direction, and when th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 sounder having a contact unit 220 that is switched on and outputs an acoustic signal (200 ').

상기 알 조립체(100')는 상기 알 조립체(10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센서부(300)가 청음기(200')와 자기장에 의한 척력을 형성하여 회전축(310)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 상기 센서부(30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기울어져 움직이는 구성으로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과, 센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egg assembly 100 ', the sensor unit 300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egg assembly 100' forms a repulsive force by the magnetic field 200 'and a magnetic field, and thus forward or reverse along the rotation axis 310. Rotating (moving) to the inclined movement by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nsor unit 300, the first housing 110 ', the second housing 120', and the sensor unit 300 It includes.

상기 제1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돔 형상의 부재로서, 제2 하우징(120')과 결합하면 내부에 캐릭터(190')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housing 110 'is a dome-shaped member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when combined with the second housing 120', the character 190 'can be accommodated therein.

상기 제2 하우징(120')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알 조립체(100')가 기울어져도 수직방향으로 직립되도록 무게 중심을 제공하는 무게추(123)를 구비한다.The second housing 120 'has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is selectively coupl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housing 110', and is vertically upright even when the egg assembly 100 'is inclined. It is provided with a weight 123 to provide the center of gravity as possible.

또한, 상기 제2 하우징(120')은 내부에 제1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150)와, 출력부(160)와, 액추에이터(170), 전원부(180) 등이 수납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housing 120 ′ is such that the control unit 150, the output unit 160, the actuator 170, and the power supply unit 180 are housed therein, as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센서부(300)는 제2 하우징(120')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표면에 접촉한 청음기(200')와 자기장에 의한 척력을 형성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310)과, 회전체(320)와, 회전체 자석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nsor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second housing 120 ', and forms a repulsive force caused by a magnetic field and a hearing aid 200'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to rotate in an arbitrary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ng shaft 310, a rotating body 320, and a rotating body magnet part 330 to be able to do so.

상기 회전축(310)은 제2 하우징(120')상에 설치되어 회전체(320)가 상/하방향으로 자유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회전축(310)의 외부면에는 상기 회전체(3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홈부가 형성된다.The rotating shaft 310 is installed on the second housing 120 ′ to support the rotating body 320 to rotate freely in the up / down direction, and the rotating body 32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310. ) Is formed to guide the groove portion to move in the up / down direction.

또한, 상기 회전축(310)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110')에는 회전 지지부(311)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rotation support 311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110 ′ so that the rotation shaft 310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상기 회전체(320)는 상기 회전축(310)과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310)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축(3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rotating body 320 is configured to be combined with the rotating shaft 310, and rotat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long the rotating shaft 310 so as to be moved in the up / down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310.

상기 회전체 자석부(330)는 상기 회전체(320)에 설치된 자석으로서, 상기 청음기(200')와 자기장에 의한 척력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320)가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상기 회전체(320)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rotating body magnet part 330 is a magnet installed on the rotating body 320, forming a repulsive force by the magnetic field 200 'and the magnetic field, so that the rotating body 32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round the rotating shaft 310 or By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otating body 320 can be moved in either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상기 청음기(200')는 알 조립체(100') 표면의 임의의 위치에 접촉하고, 상기 접촉과정에서 회전체 자석부(330)와 자기장이 발생되면, 스위칭 온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일측에는 접촉부(22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접촉부(220)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청진기 또는 청진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hearing aid 200 'is in contact with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egg assembly 100', and when the rotating magnet portion 330 and the magnetic field are generated in the contacting process, the device is switched on to output an acoustic signal. On one side, a contact unit 220 is installed, and on the other side, a stethoscope or a stethoscope shape is formed so that the sound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act unit 220 is output.

상기 접촉부(220)는 자기장이 형성되면 변위하도록 설치된 제1 자석부(221)와, 상기 제1 자석부(221)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1 자석부(221)와 척력을 형성하는 제2 자석부(222)와, 상기 제2 자석부(222)에 자기장이 발생되면 이동하여 단자부(224)와 접촉하는 스위치부(223)와, 상기 스위치부(223)와 단자부(224)가 접촉하면 미리 설정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2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When the magnetic field is formed, the contact part 2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 part 221 and the first magnet part 2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irst magnet part 221 forms a repulsive force. 2 When th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magnet unit 222 and the second magnet unit 222, the switch unit 223 moves to contact the terminal unit 224, and the switch unit 223 contacts the terminal unit 224 When configured, it includes an output unit 225 for outputting a preset sound signal.

상기 제1 자석부(221)는 자석부재로서, 알 조립체(100')의 회전체 자석부(330)와 척력이 발생되도록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자석이 설치된다.The first magnet unit 221 is a magnet member, and a magnet having the same polarity is installed to generate repulsive force with the rotating magnet unit 330 of the egg assembly 100 '.

또한, 상기 제1 자석부(221)는 상기 회전체 자석부(330)와 자기장에 의한 척력이 발생되면, 접촉부(220)의 하우징 내부에서 제2 자석부(22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 자석부(330)와의 자기장이 사라지면, 원위치되도록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magnet unit 221 is configured to move toward the second magnet unit 222 inside the housing of the contact unit 220 when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by the magnetic field with the rotating magnet unit 330, When the magnetic field with the rotating magnet portion 330 disappear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ring (not shown) so a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상기 제2 자석부(222)는 제1 자석부(221)와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부(221)가 이동하면 자기장에 의한 척력이 발생하여 스위치부(223)가 단자부(224)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한다.The second magnet unit 222 is provided with a magnet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e first magnet unit 221, and when the first magnet unit 221 moves, a repulsive force caused by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so that the switch unit 223 It is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erminal portion 224.

상기 스위치부(223)와 단자부(224)는 제2 자석부(222)의 이동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되어 출력부(225)가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한다.The switch unit 223 and the terminal unit 224 are electrically connected or separ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magnet unit 222 so that the output unit 225 can selectively operate.

상기 출력부(225)는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미리 저장된 음향 신호와 상기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스피커로 이루어진다.The output unit 225 is configured to output an acoustic signal, and preferably consists of a speaker having a pre-stored acoustic signal and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output the acoustic signal.

다음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to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사용자가 알 조립체(100') 표면의 임의의 위치에 청음기(200')를 접촉시키면, 상기 청음기(200')에 설치된 제1 자석부(221)와 알 조립체(100')에 설치된 회전체 자석부(330) 사이에 자기장에 의한 척력이 발생하여 회전체(320)가 임의의 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한다.When the user touches the hearing aid 200 'at any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egg assembly 100', the first magnet unit 221 installed on the hearing aid 200 'and the rotating magnet installed on the egg assembly 100'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by th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between the parts 330, and the rotating body 320 rotates forward or reverse in any direction.

이때, 상기 제1 자석부(221)와 회전체 자석부(330)가 서로 다른 위치에 있어 자기장을 형성하지 않으면, 상기 회전체(320)는 동작하지 않는다.At this time, if the first magnet part 221 and the rotating body magnet part 330 do not form a magnetic field at different positions, the rotating body 320 does not operate.

상기 회전체(320)가 자기장에 의한 척력으로 인해 회전하면, 상기 회전체(32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원심력과 자기장에 의한 척력으로 인해, 알 조립체(100')가 움직이게 되어 마치 알 내부에서 캐릭터(190')가 움직이는 듯한 효과를 제공한다.When the rotating body 320 rotates due to the repulsive force caused by the magnetic field,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320 and the repulsive force caused by the magnetic field, the egg assembly 100 'moves, and the character is as if inside the egg. (190 ') provides a moving effect.

또한, 상기 회전체(320)의 이동으로 알 조립체(100')가 움직이면, 무게추(123)에 의해 흔들리던 알 조립체(100')가 중심을 잡으며 원위치된다.In addition, when the egg assembly 100 ′ moves due to the movement of the rotating body 320, the egg assembly 100 ′ swayed by the weight 123 is centered an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회전체 자석부(330)와 제1 자석부(221) 사이에 자기장에 의한 척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1 자석부(221)는 상기 척력에 의해 제2 자석부(222)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자석부(222)는 제1 자석부(221)와 척력이 발생하여 스위치부(223)가 단자부(224)에 접촉되도록 가압한다.In addition, when a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by a magnetic field between the rotating magnet portion 330 and the first magnet portion 221, the first magnet portion 221 moves toward the second magnet portion 222 by the repulsive force. , The second magnet unit 222 generates a repulsive force with the first magnet unit 221 to press the switch unit 223 to contact the terminal unit 224.

상기 스위치부(223)와 단자부(224)가 접촉하여 스위칭 온되면, 전원부(미도시)에서 출력부(225)로 전원이 공급되어 미리 저장된 음향 신호(예를 들면, 울음소리, 박동소리 등)가 출력된다.When the switch unit 223 and the terminal unit 224 come into contact and are switched on, power is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to the output unit 225 to store pre-stored sound signals (eg, crying sounds, heartbeat sounds, etc.). Is output.

또한, 상기 회전체 자석부(330)에 의해 회전체(320)가 이동한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회전체의 이동 횟수가 기준값 이상이면, 제1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150)가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을 분리하기 위한 동작 제어신호를 액추에이터(170)로 출력하여 알 조립체(100')가 부화되어 껍질을 깨는 과정이 연출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rotating body 320 has been moved by the rotating body magnet part 330, and if the counted moving number of the rotating bod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50, as in the first embodiment, By output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to the actuator 170, the egg assembly 100 'is hatched so that a process of breaking the shell can be produced.

따라서 알 형상의 완구에 청음수단을 접촉하면 다양한 음향신호가 출력되고, 일정 조건에 도달하면 알을 깨고 내재된 완구가 노출되는 생동감 있는 부화과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various acoustic signals are output when the toy is in contact with the egg-shaped toy, and when a certain condition is reached, it is possible to break the egg and provide a live hatching process in which the embedded toy is expos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rawing numbers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re not limited thereto. In the cour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tc.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above-described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and thus, interpreta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100, 100' : 알 조립체 110, 110' : 제1 하우징
111 : 외부 케이스 112 : 내부 케이스
112a : 삽입부 112b : 걸림홈
120, 120' : 제2 하우징 121 : 잠금부
122 : 스프링 123 : 무게추
130 : 센서부 131 : 제1 센서
132 : 제2 센서 133 : 제n 센서
140 : 단자부 141 : 제1 단자
142 : 제2 단자 150 : 제어부
160 : 출력부 170 : 액추에이터
171 : 링크 180 : 전원부
190, 190' : 캐릭터 200, 200' : 청음기
210 : 전도성 고무 220 : 접촉부
221 : 제1 자석부 222 : 제2 자석부
223 : 스위치부 224 : 단자부
225 : 출력부 300 : 센서부
310 : 회전축 311 : 회전 지지부
320 : 회전체 330 : 회전체 자석부
100, 100 ': Egg assembly 110, 110': 1st housing
111: outer case 112: inner case
112a: Insertion section 112b: Hanging groove
120, 120 ': Second housing 121: Locking part
122: spring 123: weight
130: sensor unit 131: first sensor
132: second sensor 133: n sensor
140: terminal portion 141: first terminal
142: second terminal 150: control unit
160: output unit 170: actuator
171: link 180: power supply
190, 190 ': Character 200, 200': Hearing
210: conductive rubber 220: contact portion
221: first magnet portion 222: second magnet portion
223: switch unit 224: terminal unit
225: output unit 300: sensor unit
310: rotating shaft 311: rotating support
320: rotating body 330: rotating magnet portion

Claims (15)

적어도 2개 이상의 하우징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알 조립체(100)로서,
상기 알 조립체(100)에 설치되어 접촉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에서 접촉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알 조립체(100); 및
상기 센서는 알 조립체(100) 표면 또는 알 조립체(100)의 내측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와 접촉하여 상기 알 조립체(100)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사용자에게 청취되도록 하는 청음기(200)를 포함하며,
상기 알 조립체(10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제1 하우징(110);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하우징(120);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임의의 위치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청음기(200)의 접촉을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130);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센서부(130)에서 검출되는 접촉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송하는 단자부(140);
상기 단자부(140)에서 접촉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센서부(130)의 접촉 신호가 감지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카운트된 횟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이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개별 센서의 고유 아이디 정보를 감지하면 감지된 센서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An egg assembly 100 configured to be separable into at least two or more housings,
An egg assembly 100 installed in the egg assembly 100 and having at least one sensor for detecting contact, and operating to output a preset acoustic signal when contact is detected by the sensor; And
The sensor is disposed on the egg assembly 100 surface or any position inside the egg assembly 100, the hearing aid 200 to contact the sensor so that the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egg assembly 100 is audible to the user It includes,
The egg assembly 100 includes a first housing 110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second housing 120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and selectively coupl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housing 110;
A sensor unit 130 formed of a plurality of sensors that are distributedly disposed at any posi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to detect the contact of the hearing aid 200;
A terminal unit 14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and transmitting a contact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30 to the control unit 150;
When a contac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unit 140, the number of times the contact signal of the sensor unit 130 is detected is counted,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are separat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unted number. , When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each sensor is sensed, a control unit 150 controls to output different acoustic signals in response to the sensed sensor; And
Toy comprising an output unit 160 fo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 조립체(100)는 결합된 상태의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이 분리되도록 동작하는 액추에이터(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egg assembly 100 is a to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ctuator 170 that operates to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in a coupled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 조립체(100)는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설치되어 임의의 형상을 제공하는 캐릭터(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egg assembly 100 is a to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haracter 19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to provide an arbitrary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외부 케이스(111); 및
상기 외부 케이스(111)의 내측에 설치되어 센서부(130)가 상기 외부 케이스(111)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내부 케이스(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ousing 110 includes an outer case 111; And
Toy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case 11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ner case 112 for supporting the sensor unit 1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ase 1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112)는 하부에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2 하우징(120)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12a); 및
상기 내부 케이스(112)의 내부면에 형성한 복수의 걸림홈(11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The method of claim 7,
The inner case 112 is protruding a certain length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12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120; And
Toy comprising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112b)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고정되도록 잠그거나 또는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분리되도록 잠금 해제되는 잠금부(121); 및
상기 잠금부(121)가 잠금 해제되면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분리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ousing 120 is coupled to a part of the first housing 110 to lock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to be fixed, or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Locking portion 121 is unlocked so that the housing 120 is separated; And
A toy comprising a spring 122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are separated when the locking part 121 is unlock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기(200)는 센서와 접촉하여 상기 센서에 임의의 변화를 유도하는 전도성 고무(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hearing aid 200 is a to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ductive rubber 210 in contact with the sensor to induce any change to the sensor.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부(300)가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알 조립체(100'); 및
상기 알 조립체(100')에 설치된 센서부(300)와 자기장에 의한 척력을 형성하여 상기 센서부(300)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자기장이 발생되면 스위칭 온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부(220)를 구비한 청음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알 조립체(10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제1 하우징(110');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알 조립체(100')가 기울어져도 수직방향으로 직립되도록 무게 중심을 제공하는 무게추(123)를 구비한 제2 하우징(120'); 및
상기 제2 하우징(120')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표면에 접촉한 청음기(200')와 자기장에 의한 척력을 형성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 자석부(330)를 구비한 센서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Egg assembly (100 ') is installed so that the sensor unit 300 for detecting the contact is movable inside; And
The sensor unit 300 installed in the egg assembly 100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by a magnetic field are formed so that the sensor unit 300 moves in an arbitrary direction, and when th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t is switched on to output an acoustic signal. It includes a hearing aid (200 ') with a contact portion 220,
The egg assembly 100 'includes a first housing 110'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weight is provided to provide a center of gravity such that a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selectively coupl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housing 110 ', and vertically upright even when the egg assembly 100' is inclined. 123) a second housing (120 '); And
A rotating body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housing 120 'and rotates in an arbitrary direction by forming a repulsive force caused by a magnetic field and a hearing aid 200'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 Toy comprising a sensor unit 300 having a magnet unit 330.
삭제delet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회전축(310);
상기 회전축(3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체(320); 및
상기 회전체(320)에 설치되고, 상기 청음기(200')와 자기장에 의한 척력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320)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체 자석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nsor unit 300 includes a rotating shaft 310;
A rotating body 320 moving in the up / down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310; And
It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body 320, forming a repulsive force by the magnetic field 200 'and the magnetic field to rotate the rotating body 320 in the direction of either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rotor magnet part) 33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220)는 자기장이 형성되면 변위하도록 설치된 제1 자석부(221);
상기 제1 자석부(221)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1 자석부(221)와 척력을 형성하는 제2 자석부(222);
상기 제2 자석부(222)에 자기장이 발생되면 이동하여 단자부(224)와 접촉하는 스위치부(223); 및
상기 스위치부(223)와 단자부(224)가 접촉하면 미리 설정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2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act unit 220 includes a first magnet unit 221 installed to displace when a magnetic field is formed;
A second magnet part 22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 part 2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ing a repulsive force with the first magnet part 221;
A switch unit 223 that moves when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second magnet unit 222 and contacts the terminal unit 224; And
And an output unit 225 for outputting a preset sound signal when the switch unit 223 contacts the terminal unit 224.
a) 제어부(150)가, 복수의 하우징(110, 120)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알 조립체(100)의 임의의 위치에 분산 배치된 센서부(130)에서 접촉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센서부(130)에서 접촉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개별 센서의 고유 아이디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센서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출력부(16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150)는 센서부(130)에서 검출한 접촉 신호의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를 미리 설정된 하우징 분리 판단용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비교결과, 카운트된 횟수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하우징(110, 120)이 분리되도록 액추에이터(170)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완구의 제어방법.
a) the control unit 150 detecting a contact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30 distributedly dispos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egg assembly 100 that is detachably configured into a plurality of housings 110 and 120;
b) When a contact signal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30, the control unit 150 detects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sensors and controls the output unit 160 to output different sound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ensors. Outputting a signal;
c) the control unit 150 counting the number of contact signal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30 and comparing the counted number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housing separation determination; And
d) If the counted number of tim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control unit 150 outpu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actuator 170 so that the housings 110 and 120 are separated.
KR1020180111612A 2018-09-18 2018-09-18 To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913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612A KR102091335B1 (en) 2018-09-18 2018-09-18 To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612A KR102091335B1 (en) 2018-09-18 2018-09-18 To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335B1 true KR102091335B1 (en) 2020-03-19

Family

ID=6995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612A KR102091335B1 (en) 2018-09-18 2018-09-18 To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33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6311A1 (en) * 1999-12-06 2001-08-23 Sagi-Dolev Alysia M. Interactive hatching egg
KR200288220Y1 (en) * 2002-05-22 2002-09-09 이인규 A toy doll which coughs
KR20150041458A (en) * 2013-10-08 2015-04-16 주식회사 비티 Apparatus for auscultation training
KR101536078B1 (en) 2014-08-28 2015-07-10 최종일 To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6311A1 (en) * 1999-12-06 2001-08-23 Sagi-Dolev Alysia M. Interactive hatching egg
KR200288220Y1 (en) * 2002-05-22 2002-09-09 이인규 A toy doll which coughs
KR20150041458A (en) * 2013-10-08 2015-04-16 주식회사 비티 Apparatus for auscultation training
KR101536078B1 (en) 2014-08-28 2015-07-10 최종일 Toy devic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0-0018404호(1990.11.5. 공개) 1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8220호(2002.9.9. 공고) 1부.*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1/0016311호(2001.8.23.)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0450T3 (en) Toy building system
JP5554562B2 (en) Toy building system
CA2260160C (en) Interactive toy
RU2209166C1 (en) Package with sound reproduction
US9108115B1 (en) Toy responsive to blowing or sound
CN112312981A (en) Modular toy construction system with interactive toy construction elements
US20070060020A1 (en) Animated interactive sound generating toy and speaker
US8657697B2 (en) Play system accessory with motion-activated sound module
KR102091335B1 (en) To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13339187U (en) Rotary type response sound production book
CN103025396B (en) Play system accessory with sound modules
US6623326B2 (en) Sound-effects generating device with bipolar magnetic switching for activity devices
KR102000673B1 (en) Interactive block tool
EP3000515A1 (en) A toy responsive to blowing or sound
KR101536078B1 (en) Toy device
JP2019170544A (en) Action device, action toy and system
JP2001300138A (en) Figure toy for game machine, game system,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figure toy for game direction
US20240157257A1 (en) Modular gaming system
JP2004344417A (en) Doll
JPH0933333A (en) Vibration sensing device
TWM417178U (en) Intelligence-promoting toy structure
GB2458629A (en) Interactive toy with movement sensor
JP2001096078A (en) Game system, recording medium and talking toy
KR20200080426A (en) Toy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s
BR102012008583B1 (en) DOLL WITH A DEVICE THAT SIMULATES BREAT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