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676B1 - 공업화 주택 및 그 바닥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공업화 주택 및 그 바닥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676B1
KR102090676B1 KR1020180077095A KR20180077095A KR102090676B1 KR 102090676 B1 KR102090676 B1 KR 102090676B1 KR 1020180077095 A KR1020180077095 A KR 1020180077095A KR 20180077095 A KR20180077095 A KR 20180077095A KR 102090676 B1 KR102090676 B1 KR 102090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deck
coupling portion
fram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080A (ko
Inventor
신금란
박희경
Original Assignee
신금란
박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금란, 박희경 filed Critical 신금란
Priority to KR102018007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6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두리 프레임(210) 및 중앙 프레임(220)을 구비한 바닥데크부재(200); 하단이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결합한 벽체부재(100); 상기 벽체부재(100)의 상단이 결합한 천정데크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부재(100)는, 상호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기둥부(110);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하단의 사이에 결합한 하단 결합부(120);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상단의 사이에 결합한 상단 결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결합부(120)는,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에 결합하고,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의 외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합공(121a)이 형성된 바닥데크결합부(121);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얹혀 지지되도록, 상기 바닥데크결합부(12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바닥데크지지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화 주택을 제시함으로써, 각 부재 사이의 효율적인 결합구조를 이루어 우수한 경제성, 시공성, 구조적 안정성을 얻도록 한다.

Description

공업화 주택 및 그 바닥부 시공방법{INDUSTRIALIZATION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업화 주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업화 주택이란, 미리 제작한 부재를 운반하여 현장에서 조립시공하는 공법에 의한 주택을 말한다.
이는 생산성 향상을 통한 대량생산, 기계화 생산으로 양호한 품질관리, 양생과정의 불필요로 기후변화 영향최소화, 공기단축, 원가절감, 재활용 개념을 넘는 재사용, 도심지의 건설시공으로 인한 환경피해 최소(소음, 분진, 교통난), 이전 및 이동용이성, 가설공사 폐기물량 축소 등의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이는 공장 또는 현장 근처에서 미리 제작한 콘크리트 제품을 현장으로 이동 운반된뒤 가설하는 PC(Precast Concrete)공법과, 구조모듈과 비 구조모듈의 조합으로 모듈러 또는 입체 유니트(modular or volumetric units)를 형성하여 건축하는 모듈러 공법으로 나뉘어진다.
도 1 내지 5는 한국등록특허 제10-1601811호(공업화 주택과 이것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공업화 주택은 바닥데크유닛(10)과, 천정데크유닛(20)과, 벽체컬럼유닛(30)과, 벽체마감유닛과, 층간마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바닥데크유닛(10)이 체결부재(4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건물의 바닥을 형성하며, 바닥기초(C)에 고정된다.
바닥데크유닛(10)에는 벽체컬럼유닛(30)이 안착 지지되는 받침형강부재(15)가 돌출 형성된다.
복수의 천정데크유닛(20)이 체결부재(4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건물의 천정을 형성하거나 건물의 2층 바닥 또는 그 상층부의 바닥을 형성한다.
복수의 벽체컬럼유닛(30)이 상호 이격되어 바닥데크유닛(10)과 천정데크유닛(20)에 결합됨으로서, 건물의 측벽을 형성한다.
벽체컬럼유닛(30)은 높이부재(31)와, 데크밀착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데크밀착부재(35)는 바닥밀착부재(36)와, 천정밀착부재(38)로 구분된다.
바닥밀착부재(36)는 바닥데크유닛(10)에 결합하고, 천정밀착부재(38)는 천정데크유닛(20)에 결합한다.
판 형상의 데크밀착부재(35)는 층간단열부재(210)의 두께에 대응하는 단열지지부(353)와, 블라스부재(220,230)가 결합하는 블라스고정부(354)로 구성된다.
데크밀착부(351)는 바닥데크유닛(10) 또는 천정데크유닛(20)의 측면에 결합하고, 단열지지부(353)는 데크밀착부(351)의 상부에 형성된다.
벽체컬럼유닛(30)의 상하단에는 "ㄷ"자형 단면구조의 고정날개부재(39)가 설치되는데, 이 고정날개부재(39)는 데크밀착부재(35)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데크밀착부재(35)에 절곡 형성된다.
층간마감유닛은 바닥데크유닛(10)과 천정데크유닛(20)에 적층되는데, 층간단열부재(210)와, 각관 구조의 바닥블라스부재(220)와, 난방부재(240)와, 콘크리트 또는 몰탈에 의한 바닥마감부재(250)에 의해 구성된다.
바닥블라스부재(220)는 층간단열부재(210)의 상측에 적층되어 벽체컬럼유닛(30)에 결합된다.
바닥블라스부재(220)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으로 테두리를 형성하고, 건물의 바닥 강도를 보강하며, 층간단열부재(2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천정블라스부재(230)는 천정데크유닛(20)의 하측에서 천정데크유닛(20) 또는 벽체컬럼유닛(30)에 결합된다.
천정블라스부재(230)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으로 테두리를 형성하고, 건물의 천정 강도를 보강하며, 천정마감부재(26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바닥블라스부재(220)는 천정데크유닛(20)의 상측에서 천정데크유닛(20) 또는 벽체컬럼유닛(30)에 결합된다.
바닥블라스부재(220)는 층간단열부재(210)의 상측에 적층되어 벽체컬럼유닛(30)에 결합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도 4).
첫째, 벽체컬럼유닛과 바닥데크유닛의 결합구조가 비효율적이다.
바닥데크유닛(10)에는 받침형강부재(15)가 돌출 형성되고, 그 받침형강부재(15) 위에 벽체컬럼유닛(30)이 지지된 상태에서 바닥데크유닛(10)의 데크밀착부(351)와 벽체컬럼유닛(30)이 나사결합한다.
그런데 벽체컬럼유닛(30)과 바닥데크유닛(10)의 결합강도는 이들 사이의 나사결합만으로 충분하므로, 나사결합 이후 받침형강부재(15)는 사실상 의미없는 구성이 된다.
이에 불구하고, 바닥데크유닛(10)에 대한 받침형강부재(15)의 용접결합작업이 필요하므로, 비효율적인 구조가 되는 것이다.
둘째, 불필요한 블라스부재가 많이 사용된다.
바닥블라스부재(220)는 각관 구조로서, 층간단열부재(210)의 들뜸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공업화 주택의 바닥부(복수의 바닥데크유닛(10)의 결합체)의 가장자리를 둘러 벽체컬럼유닛(30)에 나사결합한다.
그런데 층간단열부재(210)의 상부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의 타설에 의한 바닥마감부재(250)가 형성되고, 결국 그 바닥마감부재(250)에 의해 층간단열부재(210)가 고정되는 구조가 된다.
이에 불구하고, 고가의 강재인 블라스부재가 많이 사용된다는 점, 블라스부재의 나사결합에 많은 수고와 비용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위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당해 종래기술의 설명에 대하여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018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각 부재 사이의 효율적인 결합구조를 이루어 경제성, 시공성,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공업화 주택 및 그 바닥부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테두리 프레임(210) 및 중앙 프레임(220)을 구비한 바닥데크부재(200); 하단이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결합한 벽체부재(100); 상기 벽체부재(100)의 상단이 결합한 천정데크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부재(100)는, 상호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기둥부(110);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하단의 사이에 결합한 하단 결합부(120);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상단의 사이에 결합한 상단 결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결합부(120)는,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에 결합하고,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의 외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합공(121a)이 형성된 바닥데크결합부(121);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얹혀 지지되도록, 상기 바닥데크결합부(12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바닥데크지지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화 주택을 제시한다.
상기 하단 결합부(120)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하단 사이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바닥데크결합부(12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하단보강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결합부(121) 및 하단보강부(123)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바닥데크지지부(122)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 결합부(120)의 하단보강부(123)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저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결합부(121)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바닥데크지지부(122)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데크부재(200) 및 상기 바닥데크지지부(122)의 상부에 설치된 바닥단열재(420); 상기 바닥단열재(4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 또는 중앙 프레임(220)에 형성된 체결공을 공통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바닥체결부재(421); 콘크리트 또는 몰탈 재질에 의해 상기 바닥단열재(420)의 상부에 설치된 바닥마감층(52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공업화 주택의 바닥부 시공방법으로서, 복수의 상기 바닥데크부재(200)를 상호 결합하고, 바닥기초에 상기 바닥데크부재(200)를 고정하는 바닥형성단계; 상기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를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지지부(122)가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얹혀 지지되도록 하는 벽체지지단계; 상기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결합부(121)를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과 나사결합하는 벽체결합단계; 상기 바닥데크부재(200) 및 상기 바닥데크지지부(122)의 상부에 상기 바닥단열재(420)를 설치하되, 상기 바닥단열재(420)의 중앙부와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 또는 중앙 프레임(220)을 상기 바닥체결부재(421)에 의해 결합하는 바닥단열재 설치단계; 상기 벽체부재(100)의 내측에 벽체마감부재(101)를 설치하고, 이를 거푸집으로 활용하여 상기 바닥단열재(420)의 상부에 바닥마감층(520)을 설치하는 바닥마감층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화 주택의 바닥부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테두리 프레임(210) 및 중앙 프레임(220)을 구비한 바닥데크부재(200); 하단이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결합한 벽체부재(100); 테두리 프레임(310) 및 중앙 프레임(320)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벽체부재(100)의 상단이 결합한 천정데크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부재(100)는, 상호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기둥부(110);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하단의 사이에 결합한 하단 결합부(120);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상단의 사이에 결합한 상단 결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결합부(130)는,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에 결합하고, 상기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의 외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합공(131a)이 형성된 천정데크결합부(131); 상기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이 얹혀 지지되도록, 상기 천정데크결합부(131)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천정데크지지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화 주택을 제시한다.
상기 상단 결합부(130)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상단 사이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천정데크결합부(13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상단보강부(13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 결합부(130)의 천정데크결합부(131) 및 상단보강부(133)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천정데크지지부(132)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 결합부(130)의 상단보강부(133)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상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상단 결합부(130)의 천정데크결합부(131)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천정데크지지부(132)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정데크부재(300)의 상부에 설치된 천정단열재(430); 상기 천정단열재(430)의 중앙부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 또는 체결홈과, 상기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 또는 중앙 프레임(320)에 형성된 체결공을 공통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천정체결부재(431); 콘크리트 또는 몰탈 재질에 의해 상기 천정단열재(430)의 상부에 설치된 천정마감층(5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공업화 주택의 천정부 시공방법으로서, 복수의 상기 바닥데크부재(200)를 상호 결합하고, 바닥기초에 상기 바닥데크부재(200)를 고정하는 바닥형성단계; 상기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를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결합하는 벽체결합단계; 상기 천정데크부재(300)를 상기 벽체부재(100)의 상단 결합부(130)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이 상기 벽체부재(100)의 상단 결합부(130)의 천정데크지지부(132)에 얹혀 지지되도록 하는 천정데크지지단계; 상기 벽체부재(100)의 상단 결합부(130)의 천정데크결합부(131)를 상기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과 나사결합하는 천정데크결합단계; 상기 천정데크부재(300)의 상부에 상기 천정단열재(430)를 설치하되, 상기 천정단열재(430)의 중앙부와 상기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 또는 중앙 프레임(230)을 상기 천정체결부재(431)에 의해 결합하는 천정단열재 설치단계; 상기 천정데크결합부(131)의 상부를 거푸집으로 활용하여 상기 바닥단열재(420)의 상부에 천정마감층(530)을 설치하는 천정마감층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화 주택의 천정부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각 부재 사이의 효율적인 결합구조를 이루어 경제성, 시공성,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공업화 주택 및 그 바닥부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도 1 내지 5는 종래기술의 도면.
도 6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은 바닥데크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벽체부재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하단 결합부의 사시도.
도 9는 벽체부재의 제1 실시예의 주요부 사시도.
도 10은 벽체부재의 제1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
도 11은 공업화 주택의 바닥부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벽체부재의 제2 실시예의 주요부 사시도.
도 13은 벽체부재의 제2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
도 14는 공업화 주택의 바닥부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15는 상단 결합부의 사시도.
도 16은 벽체부재의 제3 실시예의 주요부 사시도.
도 17은 공업화 주택의 천정부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18은 벽체부재의 제4 실시예의 주요부 사시도.
도 19는 공업화 주택의 천정부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업화 주택은 기본적으로, 테두리 프레임(210) 및 중앙 프레임(220)을 구비한 바닥데크부재(200); 하단이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결합한 벽체부재(100); 벽체부재(100)의 상단이 결합한 천정데크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은 채널형강("ㄷ"자형 단면구조)으로 구성되고, 중앙 프레임(220)은 위 채널형강이나, "I" 형강 또는 "H" 형강으로 구성된다.
벽체부재(100)는, 상호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기둥부(110); 한 쌍의 기둥부(110)의 하단의 사이에 결합한 하단 결합부(120); 한 쌍의 기둥부(110)의 상단의 사이에 결합한 상단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7).
여기서 하단 결합부(120)는, 양측 가장자리가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에 결합하고,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의 외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합공(121a)이 형성된 바닥데크결합부(121);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얹혀 지지되도록, 바닥데크결합부(12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바닥데크지지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를 바닥데크부재(200)에 결합하는 작업에 있어서,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지지부(122)가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얹혀 지지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결합부(121)를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과 나사결합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여기서,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를 형성하는 바닥데크결합부(121)와 바닥데크지지부(122)는 하나의 판의 절곡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 지지구조의 비효율성(바닥데크유닛(10)에 대한 받침형강부재(15)의 용접결합)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경우에도, 한 쌍의 기둥부(110)에 대한 하단 결합부(120)의 용접작업이 필요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에도 벽체컬럼유닛(30)을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높이부재(31)에 대한 데크밀착부재(35)의 용접작업이 필요하므로, 이에 관한 수고와 비용은 동일한 것이다.
즉, 종래기술은 바닥데크유닛(10)과 벽체컬럼유닛(30)의 결합구조를 위하여 2종류의 용접작업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바닥데크부재(200)와 벽체부재(100)의 결합구조를 위하여 1종류의 용접작업만 소요된다는 장점이 있다.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는 바닥데크결합부(121)와 바닥데크지지부(122)에 더하여, 한 쌍의 기둥부(110)의 하단 사이 영역을 폐쇄하도록, 바닥데크결합부(12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하단보강부(123)가 연장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단보강부(123)는 바닥데크결합부(121)와 바닥데크지지부(122)에 전달된 상부 하중을 함께 분담하므로, 응력집중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되도록 한다.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결합부(121) 및 하단보강부(123)는, 한 쌍의 기둥부(110)의 사이에 결합하고, 바닥데크지지부(122)는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도 9 내지 11).
이 구조는 바닥데크결합부(121) 및 하단보강부(123)의 가장자리와 한 쌍의 기둥부(110) 내측면(한 쌍의 기둥부(110)가 상호 마주보는 면) 사이의 용접결합에 의해 형성되는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면(도 10의 우측방향)과 바닥데크결합부(121)의 내면이 동일평면상에 위치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 용접부위에 응력집중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하단 결합부(120)의 하단보강부(123)는 한 쌍의 기둥부(110)의 저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하고,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결합부(121)는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하고, 바닥데크지지부(122)는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도 12 내지 14).
이 구조는 하단보강부(123)의 상면에 한 쌍의 기둥부(110)의 저면이 면접촉되어 지지됨과 아울러 용접결합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러한 면접촉에 의해 하중이 분산되므로 용접부위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바닥데크부재(200) 및 바닥데크지지부(122)의 상부에는 바닥단열재(420)가 설치된다(도 11,14).
바닥단열재(4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 또는 중앙 프레임(220)에 형성된 체결공을 공통으로 관통하여, 볼트, 피스, 못 등의 바닥체결부재(421)가 체결된다.
응력집중에 의한 바닥단열재(4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체결부재(421)와 와셔(422)를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4는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과 인접 바닥데크부재(200a)의 테두리 프레임(210)이 결합한 상태에서, 위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바닥체결부재(421)가 체결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그 바닥단열재(420)의 상부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 재질에 의한 바닥마감층(520)이 형성된다.
즉, 바닥단열재(420)는 결국 바닥마감층(52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므로, 바닥마감층(520)의 타설 전 바닥단열재(420)를 임시로 고정하는 구조는 위 바닥체결부재(421)로 충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조는, 고가의 강재인 블라스부재가 많이 사용된다는 점, 블라스부재의 나사결합에 많은 수고와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었음에 비해,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이러한 블라스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바닥체결부재(421)에 의한 임시지지구조를 취하므로,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업화 주택의 천정부 관련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벽체부재(100)의 상단 결합부(130)는, 양측 가장자리가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에 결합하고,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의 외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합공(131a)이 형성된 천정데크결합부(131);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이 얹혀 지지되도록, 천정데크결합부(131)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천정데크지지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천정데크부재(300)를 벽체부재(100)의 상단 결합부(130)에 결합하는 작업에 있어서, 벽체부재(100)의 상단 결합부(130)의 천정데크지지부(132)에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이 얹혀 지지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벽체부재(100)의 상단 결합부(130)의 천정데크결합부(131)를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과 나사결합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여기서, 벽체부재(100)의 상단 결합부(130)를 형성하는 천정데크결합부(131)와 천정데크지지부(132)는 하나의 판의 절곡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 지지구조의 비효율성(별도의 블라스부재에 의한 임시지지구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종래기술과 같이 별도의 블라스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천정데크부재(300)의 임시 지지 및 벽체부재(100)에 대한 안정적인 나사결합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벽체부재(100)의 상단 결합부(130)는 천정데크결합부(131)와 천정데크지지부(132)에 더하여, 한 쌍의 기둥부(110)의 상단 사이 영역을 폐쇄하도록, 천정데크결합부(13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상단보강부(133)가 연장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단보강부(133)는 천정데크지지부(132)와 천정데크결합부(131)를 통해 전달된 상부 하중을 안정적으로 한 쌍의 기둥부(110)에 전달하므로, 응력집중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되도록 한다.
상단 결합부(130)의 천정데크결합부(131) 및 상단보강부(133)는, 한 쌍의 기둥부(110)의 사이에 결합하고, 천정데크지지부(132)는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도 16,17).
이 구조는 천정데크결합부(131) 및 상단보강부(133)의 가장자리와 한 쌍의 기둥부(110) 내측면(한 쌍의 기둥부(110)가 상호 마주보는 면) 사이의 용접결합에 의해 형성되는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면(도 16의 우측방향)과 바닥데크결합부(121)의 내면이 동일평면상에 위치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 용접부위에 응력집중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단 결합부(130)의 상단보강부(133)는 한 쌍의 기둥부(110)의 상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하고, 상단 결합부(130)의 천정데크결합부(131)는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하고, 천정데크지지부(132)는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도 18,19).
이 구조는 한 쌍의 기둥부(110)의 상면에 상단보강부(133)의 저면이 면접촉되어 지지됨과 아울러 용접결합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러한 면접촉에 의해 하중이 분산되므로 용접부위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천정데크부재(300)의 상부에는 천정단열재(430)가 설치된다(도 17,19).
천정단열재(430)의 중앙부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 또는 체결홈과,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 또는 중앙 프레임(320)에 형성된 체결공을 공통으로 관통하여, 볼트, 피스, 못 등의 천정체결부재(431)가 체결된다.
천정단열재(430)의 상부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 재질에 의한 천정마감층(530)이 형성된다.
즉, 천정단열재(430)는 천정마감층(530)에 의해 고정되므로, 천정마감층(530)의 타설 전 천정단열재(430)를 임시로 고정하는 구조는 위 천정체결부재(431)로 충분한 것이다.
도 19는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과 인접 천정데크부재(300a)의 테두리 프레임(310)이 결합한 상태에서, 위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에 천정체결부재(431)가 체결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조는, 고가의 강재인 블라스부재가 많이 사용된다는 점, 블라스부재의 나사결합에 많은 수고와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었음에 비해,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이러한 블라스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천정체결부재(431)에 의한 임시지지구조 및 천정마감층(530)의 설치구조를 취하므로,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업화 주택의 바닥부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11,14).
복수의 바닥데크부재(200)를 상호 나사결합하고, 바닥기초(10)에 상기 바닥데크부재(200)를 앵커부재(250) 등에 의해 고정한다.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를 바닥데크부재(200)에 결합하기 위하여,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지지부(122)가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얹혀 지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결합부(121)를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과 나사결합한다.
바닥데크부재(200) 및 바닥데크지지부(122)의 상부에 바닥단열재(420)를 설치하되, 바닥단열재(420)의 중앙부와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 또는 중앙 프레임(220)을 바닥체결부재(421)에 의해 결합한다.
이러한 바닥단열재(420)의 고정작업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바닥체결부재(421)를 나사결합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시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벽체부재(100)의 내측에 OSB(Oriented Strand Board) 합판 등의 벽체마감부재(101)를 설치하고, 이를 거푸집으로 활용하여 바닥단열재(420)의 상부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타설하여 바닥마감층(520)을 설치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업화 주택의 천정부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17,19).
천정데크부재(300)를 벽체부재(100)의 상단 결합부(130)에 결합하기 위하여,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이 벽체부재(100)의 상단 결합부(130)의 천정데크지지부(132)에 얹혀 지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벽체부재(100)의 상단 결합부(130)의 천정데크결합부(131)를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과 나사결합한다.
천정데크부재(300)의 상부에 천정단열재(430)를 설치하되, 천정단열재(430)의 중앙부와 천정데크부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10) 또는 중앙 프레임(230)을 천정체결부재(431)에 의해 결합한다.
이러한 천정단열재(430)의 고정작업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천정체결부재(431)를 나사결합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시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천정데크결합부(131)의 상부를 거푸집으로 활용하여 바닥단열재(420)의 상부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타설하여 천정마감층(530)을 설치한다.
이를 위하여, 벽체부재(100)의 상단 결합부(130)의 천정데크결합부(131)의 높이는, 천정데크부재(300), 천정단열재(430) 및 천정마감층(530)의 높이와 같거나 이보다 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벽체부재 110 : 기둥부
120 : 하단 결합부 121 : 바닥데크결합부
121a : 결합공 122 : 바닥데크지지부
123 : 하단보강부 130 : 상단 결합부
131 : 천정데크결합부 131a : 결합공
132 : 천정데크지지부 133 : 상단보강부
200 : 바닥데크부재 210 : 테두리 프레임
220 : 중앙 프레임 300 : 천정데크부재
310 : 테두리 프레임 320 : 중앙 프레임
420 : 바닥단열재 421 : 바닥체결부재
430 : 천정단열재 431 : 천정체결부재
520 : 바닥마감층 530 : 천정마감층

Claims (6)

  1. 테두리 프레임(210) 및 중앙 프레임(220)을 구비한 바닥데크부재(200);
    하단이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결합한 벽체부재(100);
    상기 벽체부재(100)의 상단이 결합한 천정데크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부재(100)는,
    상호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기둥부(110);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하단의 사이에 결합한 하단 결합부(120);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상단의 사이에 결합한 상단 결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결합부(120)는,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에 결합하고,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의 외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합공(121a)이 형성된 바닥데크결합부(121);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얹혀 지지되도록, 상기 바닥데크결합부(12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바닥데크지지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화 주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결합부(120)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하단 사이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바닥데크결합부(12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하단보강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화 주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결합부(121) 및 하단보강부(123)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바닥데크지지부(122)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화 주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결합부(120)의 하단보강부(123)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저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결합부(121)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바닥데크지지부(122)는 상기 한 쌍의 기둥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화 주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데크부재(200) 및 상기 바닥데크지지부(122)의 상부에 설치된 바닥단열재(420);
    상기 바닥단열재(4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 또는 중앙 프레임(220)에 형성된 체결공을 공통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바닥체결부재(421);
    콘크리트 또는 몰탈 재질에 의해 상기 바닥단열재(420)의 상부에 설치된 바닥마감층(5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화 주택.
  6. 제5항의 공업화 주택의 바닥부 시공방법으로서,
    복수의 상기 바닥데크부재(200)를 상호 결합하고, 바닥기초에 상기 바닥데크부재(200)를 고정하는 바닥형성단계;
    상기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를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지지부(122)가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얹혀 지지되도록 하는 벽체지지단계;
    상기 벽체부재(100)의 하단 결합부(120)의 바닥데크결합부(121)를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과 나사결합하는 벽체결합단계;
    상기 바닥데크부재(200) 및 상기 바닥데크지지부(122)의 상부에 상기 바닥단열재(420)를 설치하되, 상기 바닥단열재(420)의 중앙부와 상기 바닥데크부재(200)의 테두리 프레임(210) 또는 중앙 프레임(220)을 상기 바닥체결부재(421)에 의해 결합하는 바닥단열재 설치단계;
    상기 벽체부재(100)의 내측에 벽체마감부재(101)를 설치하고, 이를 거푸집으로 활용하여 상기 바닥단열재(420)의 상부에 바닥마감층(520)을 설치하는 바닥마감층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화 주택의 바닥부 시공방법.
KR1020180077095A 2018-07-03 2018-07-03 공업화 주택 및 그 바닥부 시공방법 KR102090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095A KR102090676B1 (ko) 2018-07-03 2018-07-03 공업화 주택 및 그 바닥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095A KR102090676B1 (ko) 2018-07-03 2018-07-03 공업화 주택 및 그 바닥부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080A KR20200004080A (ko) 2020-01-13
KR102090676B1 true KR102090676B1 (ko) 2020-03-18

Family

ID=6915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095A KR102090676B1 (ko) 2018-07-03 2018-07-03 공업화 주택 및 그 바닥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6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11B1 (ko) 2015-04-07 2016-03-09 김정우 공업화 주택과 이것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296B1 (ko) * 2012-06-15 2014-12-16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모듈러 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KR101514261B1 (ko) * 2013-07-04 2015-04-24 홍선옥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11B1 (ko) 2015-04-07 2016-03-09 김정우 공업화 주택과 이것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080A (ko)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0643075B1 (ko) 모듈형 조립식 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08621B1 (ko)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CN108222270B (zh) 装配式房屋的装配施工建造方法
KR101844344B1 (ko) 강접합 구현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조인트 후타설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GB2287047A (en) Building construction of composite boards
KR20150060107A (ko) 단열콘크리트 구조 및 시공방법
CN103397700A (zh) 建筑物叠合楼板与钢管剪力墙的连接结构
KR20170081836A (ko) 친환경 거푸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건축물의 시공 방법
KR102090676B1 (ko) 공업화 주택 및 그 바닥부 시공방법
CN115961719B (zh) 一种预制剪力墙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346019B1 (ko) 휨성능이 향상된 강합성 보의 시공방법
KR101862567B1 (ko) 조립형 매트기초 표준 하우스시스템
KR101389386B1 (ko)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437083B1 (ko) 조립이 용이한 강구조 건축물 시공방법
KR101781492B1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20200004081A (ko) 공업화 주택 및 그 천정부 시공방법
KR10222479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구조물
KR20180092477A (ko) 프리캐스트 내,외벽을 갖는 조립식 벽체
KR200380424Y1 (ko)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KR101320565B1 (ko) 모듈러 건축물용 모듈 유닛 및 그 제작 방법
JP6453116B2 (ja) 建物の床構造および建物の施工方法
KR101707956B1 (ko)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강구조 건축물 시공방법
CN111088858A (zh) 一种可循环使用的预制山墙及其连接构造
CN113622574B (zh) 双桁架楼承板的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