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570B1 -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570B1
KR102090570B1 KR1020180046641A KR20180046641A KR102090570B1 KR 102090570 B1 KR102090570 B1 KR 102090570B1 KR 1020180046641 A KR1020180046641 A KR 1020180046641A KR 20180046641 A KR20180046641 A KR 20180046641A KR 102090570 B1 KR102090570 B1 KR 102090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product
orde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629A (ko
Inventor
신동찬
Original Assignee
신동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찬 filed Critical 신동찬
Priority to KR102018004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5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mage modifying data, e.g. handwritten addenda, highlights 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가맹점의 상품을 가맹점의 방문 이전에 온라인을 통해 선주문하여 구매한 고객이나 가맹점을 방문하여 오프라인으로 상품을 주문한 고객이 자신의 주문 상품을 타인의 주문 상품과 증강현실을 통해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객이 가맹점의 상품을 온라인을 통해 편리하게 주문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온라인을 통해 주문한 고객 또는 가맹점을 직접 방문하여 주문한 고객의 주문 상품과 관련되어 가맹점의 POS를 통해 할당되는 AR 코드를 기반으로 고객이 증강현실을 통해 주문 상품을 가맹점에서 용이하게 식별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고객의 상품 수령시 상품 혼동을 방지하여 주문 상품에 대한 고객의 확인 편의성 및 가맹점의 근무자에 대한 업무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주문 서비스에 대한 높은 수준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firming ordered product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가맹점의 상품을 가맹점의 방문 이전에 온라인을 통해 선주문하여 구매한 고객이나 가맹점을 방문하여 오프라인으로 상품을 주문한 고객이 자신의 주문 상품을 타인의 주문 상품과 증강현실을 통해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망과 이를 지원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의 발전과 더불어, 온라인을 통해 편리하게 다양한 상품을 주문하여 배송받을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온라인에 국한되지 않고,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고객이 직접 수령하는 경우 온라인을 통해 가맹점의 방문 시각에 맞추어 상품을 선주문(사전 주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고객이 대기 없이 상품을 용이하게 수령하여 가맹점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O2O(Online to Offline) 기반의 사전 주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사전주문 서비스는 특정 종류의 상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가맹점의 상품을 사전 주문하여 구매한 고객이 상품 수령 과정에서 다른 고객의 주문 상품과 혼동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불편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종업원이 고객의 구매 상품을 재확인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업무가 가중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가맹점을 방문하여 가맹점의 판매 데스크를 통해 오프라인으로 상품을 주문하는 고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 종류의 상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가맹점의 상품을 주문한 고객이 상품 수령시 상품 혼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방지되도록 지원하고, 상품이 고객에게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주문 서비스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선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6821호
본 발명은 고객이 가맹점의 상품을 온라인을 통해 선주문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온라인을 통해 선주문한 고객 또는 가맹점을 방문하여 주문한 고객의 주문 상품과 관련되어 증강현실 관련 데이터의 제공 및 주문 고객의 식별을 위한 AR 코드를 할당하고, 상기 AR 코드를 기반으로 고객이 증강현실을 통해 주문 상품을 가맹점에서 용이하게 식별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품 혼동을 방지하여 주문 상품의 수령시 고객의 확인 편의성을 높이며 주문 서비스에 대한 높은 수준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강 현실 기반으로 주문 상품에 대한 확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상품 혼동 방지를 통한 상품 전달 편의성을 높여 가맹점 근무자의 업무 효율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AR 코드를 통해 제공되는 증강 현실 정보와 더불어 광고 정보를 제공하여 가맹점의 마케팅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AR 코드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가맹점 관련 혜택이 제공되도록 하여 주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의 POS 장치 및 고객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은, 가맹점의 POS 장치 및 고객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주문 정보 수신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POS 장치로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POS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AR 코드 관련 AR 코드정보가 포함된 상기 주문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미리 저장된 고객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제 1 증강 현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정보 및 상품 식별정보를 기초로 가맹점 DB에서 주문 상품 관련 제 2 증강 현실 정보를 추출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 상기 POS 장치에 구성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POS 장치를 통해 입력된 주문 정보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서로 다른 AR 코드정보 중 미할당된 AR 코드정보를 할당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할당된 AR 코드정보가 포함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인쇄 정보를 생성한 후 미리 설정된 프린터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AR 코드정보에 따른 AR 코드가 포함된 부착용 인쇄물이 인쇄되도록 처리하는 주문 처리 모듈; 및 상기 고객 단말에 구성되며, 상기 고객 단말에 구성된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부착용 인쇄물이 부착된 주문 상품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정보에서 상기 A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AR 코드 관련 상품 식별 요청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고객 정보에서 추출된 고객 자신의 주문 상품 확인을 위한 고객 관련 상기 제 1 증강 현실 정보 및 상기 고객이 주문한 상품인지 확인하기 위한 상기 주문 상품 관련 제 2 증강 현실 정보를 상기 영상 정보에 따른 영상 내의 상기 AR 코드와 매칭하여 상기 고객 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객이 가맹점의 상품을 온라인을 통해 편리하게 주문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온라인을 통해 주문한 고객 또는 가맹점을 직접 방문하여 주문한 고객의 주문 상품과 관련되어 가맹점의 POS를 통해 할당되는 AR 코드를 기반으로 고객이 증강현실을 통해 주문 상품을 가맹점에서 용이하게 식별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고객의 상품 수령시 상품 혼동을 방지하여 주문 상품에 대한 고객의 확인 편의성 및 가맹점의 근무자에 대한 업무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주문 서비스에 대한 높은 수준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주문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증강 현실을 통해 가상 이미지나 영상으로 고객이 촬영한 영상 내에 표시되도록 제공함으로써, 증강 현실 기반 영상을 통해 고객이 타인의 주문 상품과 자신의 주문 상품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문 상품이 종이컵에 담긴 음료와 같이 별도의 내용물 확인이 필요한 상품인 경우에도 상기 영상에 표시된 상품 관련 이미지나 영상을 통해 별도의 내용물 확인 없이 자신의 주문 상품과 실재 상품의 일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품 수령의 용이성 및 상품 확인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주문시 할당된 AR 코드를 광고나 혜택 적립에 재이용하여 가맹점에 대한 광고를 증강 현실 기반으로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고객의 흥미를 유발하여 광고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주문 상품에 부착된 부착용 인쇄물의 AR 코드를 기반으로 고객이 편리하게 혜택을 적립하거나 지급받을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혜택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어, 가맹점과 고객의 만족도를 모두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에서 증강 현실 기반의 주문 상품 확인을 위한 합성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의 상품 수령 이후 AR 코드 기반 광고 제공이나 혜택 적립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맹점 각각에 구성된 POS(Point Of Sale) 장치 및 상기 가맹점을 이용하는 고객의 고객 단말(10)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상기 고객 단말(10)에 구성되어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부(11) 및 상기 POS 장치에 구성되어 상기 POS 장치를 통해 생성된 주문 정보를 처리하는 주문 처리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망은 알려진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단말(10)은 통신 기능, 출력 기능, 각종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한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웨어러블 단말기(wearable personal station: WPS)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단말(10)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고객 단말(10)에 구성되는 통신부, 사용자 입력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부, 저장부, 표시부, 카메라부 등과 같은 상기 고객 단말(10)의 다양한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구성되거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고객 단말(10)의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GPS부는 GPS 통신을 통한 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저장부는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및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부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 및 표시부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단말(10)에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나 각종 센서가 구비되어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부가 추가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객 단말(10)에 구성된 상기 제어부 또는 어플리케이션부(11)는 고객 단말(10)의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또는 어플리케이션부(11)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문 상품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가맹점 관련 정보가 저장된 가맹점 DB(101)와, 고객 정보가 저장된 고객 DB(102) 및 광고 정보가 저장된 광고 DB(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은 가맹점의 상품을 주문하여 구매한 고객이 주문 상품을 고객 단말(10)에서 실행되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고객이 타인의 상품과 자신의 상품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상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상품 수령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고 가맹점에서 근무하는 종업원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상세 동작 구성을 이하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서로 다른 가맹점별로 가맹점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상품별 상품 정보가 저장된 가맹점 DB(1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접속한 고객 단말(10)로 상기 가맹점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고객 단말(10)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단말(10)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가맹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가맹점 관련 가맹점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가맹점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1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선택 가맹점의 판매 상품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주문 상품 관련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문 정보는 주문 상품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가맹점 식별정보와, 주문 상품 관련 상품 식별정보(일례로, 상품의 종류, 상품의 명칭, 상품 ID 등), 상품의 개수, 상품의 가격 등을 포함하는 주문 상품 정보 및 상기 고객 단말(10)에 대응되는 주문 상품의 구매자인 고객(사용자)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주문 정보 생성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결제 인터페이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고객 단말(10)의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결제 인터페이스 관련 정보를 기초로 결제 인터페이스를 고객 단말(1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정보 수신시 미리 설정된 결제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결제 완료시 결제 결과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결제 완료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POS 장치로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POS 장치에 구성된 주문 처리 모듈(20)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주문 정보 수신시 상기 주문 처리 모듈(20)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AR(Augmented Reality) 코드정보 중 어느 하나의 AR 코드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에 할당하며, 상기 주문 정보에 할당된 AR 코드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R 코드정보는 증강현실을 지원하기 위한 코드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고객의 식별을 위한 고유 주문 코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R 코드정보는 AR 코드의 인식을 통해 독출되는 식별코드, AR 코드와 매칭되어 미리 저장된 인덱스정보, AR 코드 관련 코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AR 코드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AR 코드정보는 상기 식별코드, 인덱스정보 및 코드 이미지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POS 장치는 저장부, 사용자 입력부, 통신부, 표시부 및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문 처리 모듈(20)은 상기 POS 장치의 제어부로 구성되거나 상기 POS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상기 POS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POS 장치의 저장부 또는 상기 주문 처리 모듈(20)에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진 복수의 AR 코드와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AR 코드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주문 처리 모듈(20)은 상기 AR 코드정보를 고객의 주문에 대한 주문 코드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AR 코드를 상기 영상 내에 표시된 주문 상품과 매칭되는 고객의 증강 현실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정보로서 이용하며, 상기 AR 코드의 특성상 패턴이 단순하고 패턴 종류가 한정되어 있어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므로, 영상에서 표시된 AR 코드가 기울어진 경우라도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여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나 바코드(bar code)와 같이 코드 인식을 위해 카메라를 코드에 근접하여 촬영할 필요 없이 원거리나 임의의 자세에서도 용이하게 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가맹점의 POS 장치가 상기 AR 코드의 할당을 관리함으로써, 고객이 서로 다른 복수의 가맹점 각각에서 상품을 주문하여 복수의 가맹점 각각의 POS 장치가 고객의 주문 상품에 대하여 상호 동일한 AR 코드를 부여한 경우라도 AR 코드가 가맹점별로 관리되므로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문 처리 모듈(20)은 상기 POS 장치에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POS 장치에 대응되는 가맹점을 방문한 고객의 주문에 따른 상기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POS 장치를 통해 생성된 주문 정보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AR 코드정보 중 어느 하나의 AR 코드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에 할당하고, 상기 주문 정보에 할당된 AR 코드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POS 장치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주문 처리 모듈(20)은 온라인을 통한 주문 이외에도 가맹점에 직접 방문하여 오프라인으로 상품을 주문한 고객의 주문 상품에 대하여 상기 POS 장치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POS 장치를 통해 생성된 오프라인 주문 고객의 주문 정보에 상기 AR 코드정보를 할당한 후 주문 정보에 포함시켜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주문 처리 모듈(20)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AR 코드정보 중 상기 주문 정보 이외의 다른 주문 정보에 할당되지 않은 가용 코드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문 처리 모듈(20)은 상기 AR 코드정보가 포함된 주문 정보를 상기 POS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AR 코드정보가 포함된 주문 정보 생성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주문 상품에 부착되며 상기 AR 코드정보에 따른 AR 코드(또는 AR 코드의 코드 이미지)가 기재된 부착용 인쇄물(A)의 인쇄를 위한 인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POS 장치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미리 설정된 프린터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OS 장치에 구성된 통신부는 상기 프린터 장치(200)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문 처리 모듈(20)은 상기 POS 장치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 정보는 상기 주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에 따른 고객의 이름이나 연락처,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AR 코드정보, 상품의 명칭, 상품의 종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린터 장치(200)는 상기 인쇄 정보 수신시 상기 인쇄정보에 따라 AR 코드(또는 AR 코드의 코드 이미지)가 포함되며(기재되며) 주문 상품에 부착되는 부착용 인쇄물(A)을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가맹점의 근무자는 상기 부착용 인쇄물(A)을 상기 고객이 주문한 주문 상품에 부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주문 처리 모듈(20)은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의 개수를 식별하고, 상기 상품의 개수와 일치하는 개수의 부착용 인쇄물(A)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프린터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프린터 장치(200)는 상기 인쇄 정보에 따라 주문 상품의 개수만큼 부착용 인쇄물(A)을 인쇄하여 출력하고, 해당 근무자는 상품별로 상기 부착용 인쇄물(A)을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POS 장치로부터 수신된 AR 코드정보가 포함된 주문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고객 DB(102)의 고객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OS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AR 코드정보가 포함된 주문 정보는 고객의 온라인 주문에 따른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상기 POS 장치로 전송한 주문 정보 또는 가맹점의 직접 방문을 통한 고객의 오프라인 주문에 따른 상기 주문 처리 모듈(20)에 의해 생성된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10)을 이용하여 온라인을 통해 가맹점의 상품을 사전 주문한 고객 또는 가맹점에 직접 방문하여 오프라인으로 상품을 주문한 고객이 가맹점에서 주문 상품 수령시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고객 단말(10)의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주문 상품을 촬영한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영상 정보에서 상기 주문 상품에 부착된 부착용 인쇄물에 대한 영상에 포함되는 AR 코드를 인식하여 AR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AR 코드 인식시 상기 부착용 인쇄물의 AR 코드에 대응되는 AR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식별 요청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는 AR 코드정보 이외에 고객 단말(10)에 대응되는 고객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식별정보는 고객 ID, 고객의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포함된 AR 코드정보 및 고객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서 추출된 AR 코드정보 및 고객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상기 고객 DB(102)에서 식별하며, 상기 고객 DB(102)에서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주문 정보에 매칭되는 고객 정보를 고객 DB(102)에서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서로 다른 복수의 가맹점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POS 장치 상호 간에 일치하는 AR 코드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AR 코드정보만을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AR 코드정보만으로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주문 정보를 상기 고객 DB(102)에서 식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고객 DB(102)에는 상기 고객 정보와 매칭되는 증강 현실 정보가 포함(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증강 현실 정보는 상기 영상 내의 고객 관련 주문 상품에 대응되어 표시될 고객 식별용 가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증강 현실 정보는 고객의 이름이나 연락처에 대한 2차원 또는 3차원의 가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고객 정보에 매칭되는 증강 현실 정보를 고객 DB(102)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 또는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주문 정보에 포함된 AR 코드정보를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고객 DB(102)로부터 추출된 상기 증강 현실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정보 수신시 상기 고객 단말(10)의 카메라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정보에 따라 상기 고객 단말(1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영상 내의 상기 AR 코드(또는 코드 이미지)와 매칭하여 상기 증강 현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영상 정보에서 인식된 하나 이상의 AR 코드 중 상기 증강 현실 정보에 포함된 AR 코드정보와 일치하는 AR 코드를 식별하고, 상기 영상 정보에서 식별된 AR 코드와 상기 증강 현실 정보가 상기 영상 내에서 상호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증강 현실 정보를 상기 영상 정보와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합성 영상을 고객 단말(1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영상 정보에 따른 영상 내에서 AR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하나 이상의 AR 코드 중 상기 증강 현실 정보의 AR 코드정보와 일치하는(또는 증강현실 정보의 AR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AR 코드를 식별하며, 상기 증강 현실 정보에 따른 2차원 또는 3차원의 가상 이미지를 상기 영상 정보에서 식별된 AR 코드와 매칭되도록 상기 영상 정보에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합성 영상을 고객 단말(1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영상 정보에 따른 영상 내에 상기 가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이미지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이 자신의 주문 상품임을 식별할 수 있는 고객 식별용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가상 이미지는 고객의 이름이나 연락처 등에 대한 그래픽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영상 정보를 통해 영상 내 부착용 인쇄물에서 인식되는 AR 코드의 3차원 좌표 기반 자세(또는 배치 상태)를 연산하여 자세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자세 정보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자세를 가변하여 상기 영상 정보에 따른 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AR 코드는 원거리에 위치하거나 배치 상태가 기울어진 경우라도 패턴의 종류가 한정되고 패턴 식별이 QR코드나 바코드에 비해 용이한 AR 코드의 특성상 영상을 통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으며, 상기 부착용 인쇄물의 크기가 영상 내에서 작게 표시되거나 기울어진 경우라도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용이하게 원거리에 위치하거나 자세가 기울어진 부착용 인쇄물의 AR 코드를 용이하게 인식 및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영상 내 상기 AR 코드의 배치 상태에 따라 가상 이미지를 영상 내에 표시되는 주문 상품의 크기 및 배치 상태에 맞추어 최적화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증강현실을 통해 주문 상품과 매칭되어 표시되는 가상 이미지의 심미성을 높이는 동시에 고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 단말(10)의 고객은 상기 고객 단말(10)에서 주문 상품에 대응되어 표시된 가상 이미지를 기초로 자신의 주문 상품을 명확하고 편리하게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으며, 타인의 상품과 혼동하지 않고 자신의 상품을 용이하게 수령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영상 내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주문 상품 각각에 부착된 부착용 인쇄물별 AR 코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영상에서 인식된 복수의 AR 코드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상품 식별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고객 단말(1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상품 식별 요청 정보 각각에서 AR 코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AR 코드정보를 기초로 상품 식별 요청 정보별로 상기 고객 DB(102)에 저장된 주문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별로 식별된 주문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고객별 고객 정보를 고객 DB(102)에서 식별한 후 식별된 하나 이상의 고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상품 식별 요청 정보와 각각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고객 DB(102)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고객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추출된 증강 현실 정보에 상기 특정 상품 식별 요청 정보의 AR 코드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복수의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수신된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정보를 상기 영상 내의 복수의 AR 코드와 비교하고, 증강 현실 정보의 AR 코드정보와 일치하는 영상 내의 AR 코드에 상기 증강 현실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영상에 상기 증강 현실 정보를 합성한 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복수의 상품 식별 요청 정보가 모두 동일한 AR 코드정보를 가진 경우 하나의 증강 현실 정보만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하나의 증강 현실 정보를 상기 영상 내에 표시된 복수의 AR 코드 각각에 매칭 및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상품 식별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상품 식별 요청 정보와 상이한 AR 코드정보를 가진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고객의 증강 현실 정보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식별 요청 정보를 전송한 고객 단말(10)의 고객과 상이한 타 고객의 증강 현실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영상 내에서 고객의 주문 상품에는 고객의 증강 현실 정보를 매칭하여 표시하고, 영상 내에 표시된 타 고객의 주문 상품에 대해서는 타 고객의 증강 현실 정보를 매칭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상품이 존재하고, 복수의 상품 모두가 고객의 주문 상품이 경우 주문 상품별로 증강 현실 정보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가 다른 고객의 주문 상품인 경우 다른 고객에 해당되는 증강 현실 정보를 표시하여, 고객이 자신의 주문 상품을 타 고객의 주문 상품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외에도,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미리 설정된 고객 식별정보를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고객 DB(102)에서 식별된 고객 정보와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고객을 인증하고, 인증 성공시 인증된 고객의 고객 정보에 매칭되어 고객 DB(102)에 저장된 고객의 상기 증강 현실 정보만을 추출하여 상기 고객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상품 식별 요청 정보 수신시 복수의 상품 식별 요청 정보 각각에 포함된 AR 코드정보 및 고객 식별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고객 단말(1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상품 식별 요청 정보 중 특정 상품 식별 요청 정보의 AR 코드정보 및 고객 식별정보와 모두 일치하는 주문 정보에 매칭되는 고객 정보를 상기 고객 DB(102)에서 식별하며, 식별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저장된 상기 증강 현실 정보만을 상기 고객 단말(10)로 전송하여, 상기 고객 단말(10)에서 표시된 영상 내 복수의 상품 중 고객 관련 주문 상품에만 증강 현실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여 고객이 자신의 상품을 증강 현실을 통해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주문 정보에 포함되는 상품 식별정보를 기초로 가맹점 DB(101)를 검색할 수 있으며, 가맹점 DB(101)에서 상품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관련 증강 현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정보 및 상품 식별정보를 기초로 특정 가맹점의 주문 상품 관련 증강 현실 정보를 상기 가맹점 DB(101)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맹점 DB(101)에 저장되며, 가맹점 정보와 매칭된 복수의 서로 다른 상품별 상품 정보에는 증강현실을 통해 표시되는 증강현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고객 정보에서 추출된 고객 관련 제 1 증강현실 정보와 상품 정보에서 추출된 주문 상품 관련 제 2 증강현실 정보를 기초로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응답 정보 수신시 상기 응답 정보에 포함된 제 1 증강 현실 정보에 따른 고객 관련 가상 이미지와 상기 제 2 증강 현실 정보에 따른 주문 상품 관련 가상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정보에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고객 단말(10)의 표시부를 통해 해당 합성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영상 정보에 따른 영상 내에 고객 관련 가상 이미지와 주문 상품 관련 가상 이미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고객 단말(10)의 고객이 고객 단말(10)에 표시된 영상 내의 고객 관련 가상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주문 상품을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상기 영상 내의 상품 관련 가상 이미지를 통해 실재 상품이 고객이 주문한 상품 종류 또는 상품 명칭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증강 현실 정보는 가상 이미지 대신 고객 관련 가상 동영상이나 상품 관련 가상 동영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해당 가상 동영상은 2차원 또는 3차원 기반의 동영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응답 정보 수신시 상기 응답 정보에 포함된 상기 고객 관련 가상 동영상이나 상품 관련 가상 동영상을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주문 상품을 포함하는 실제 배경 영상에 합성한 후 상기 가상 동영상이 합성된 실제 배경 영상을 상기 고객 단말(1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영상 정보에서 상기 증강 현실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AR 코드의 영상 내 위치(좌표 또는 영역)와 상기 AR 코드의 배치 상태(자세)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 내 위치 및 배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증강 현실 정보에 포함된 가상 이미지 또는 가상 영상의 영상 내 위치 및 배치 상태를 결정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 또는 가상 영상을 상기 영상 정보에 따른 영상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증강 현실 정보에 따른 가상 이미지 또는 가상 영상을 상기 영상 정보에 따른 영상에 오버레이(overlay) 방식으로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고객 관련 증강 현실 정보로 설정하기 위한 신규 가상 이미지 또는 신규 가상 영상을 다양한 형태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DB(102)의 증강 현실 정보에 포함된 가상 이미지 또는 가상 영상을 다른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변경하기 위한 이미지 변경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상기 이미지 변경 요청정보에 따라 고객이 설정한 신규 가상 이미지 또는 신규 가상 영상을 포함하는 신규 증강 현실 정보로 기존 고객의 증강 현실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객의 주문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증강 현실을 통해 가상 이미지나 가상 영상으로 고객이 촬영한 영상 내에 표시되도록 제공함으로써, 증강 현실 기반 영상을 통해 고객이 타인의 주문 상품과 자신의 주문 상품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문 상품이 종이컵에 담긴 음료와 같이 별도의 내용물 확인이 필요한 상품인 경우에도 상기 영상에 증강 현실 기반으로 표시된 상품 관련 이미지 또는 영상을 통해 별도의 내용물 확인 없이 자신의 주문 상품과 실재 상품의 일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품 수령의 용이성 및 상품 확인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AR 코드의 특성상 상기 AR 코드정보의 개수가 한정되므로 본 발명은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을 수령한 고객의 주문 정보에 할당된 AR 코드정보를 회수하여 재이용함으로써 AR 코드 기반의 주문 상품 확인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품 수령이 종료된 주문 상품에 부착된 부착용 인쇄물의 AR 코드를 고객 단말(10)을 통해 재인식한 경우 해당 AR 코드에 대응되어 광고 정보가 제공되거나 쿠폰과 같은 혜택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이하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증강 현실 정보를 상기 영상 정보에 합성하여 표시할 때, 상기 주문 상품에 대한 고객의 수령 여부를 질의하기 위한 질의 인터페이스를 상기 영상 정보에 따른 영상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질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주문 상품에 대한 고객의 수령 완료시 영상 내에서 인식된 AR 코드 관련 AR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수령 완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증강 현실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증강 현실 정보를 표시한 경우 수령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수령 완료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령 완료정보는 고객의 주문 상품에 대응되는 AR 코드정보, 고객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령 완료 정보 수신시 상기 수령 완료 정보에 포함된 AR 코드정보 및 고객 식별정보를 기초로 고객 DB(102)에서 고객의 주문 정보를 식별하고, 해당 고객 DB(102)에서 상기 수령 완료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주문 정보를 삭제하거나 주문 처리 완료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수령 완료 정보를 상기 POS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POS 장치의 주문 처리 모듈(20)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수령 완료 정보의 AR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POS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된 주문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수령 완료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주문 정보에 할당된 AR 코드정보를 회수하여 가용 코드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회수에 따라 상기 가용 코드정보로 설정된 AR 코드정보를 다른 고객의 주문 정보에 할당하거나 동일 고객의 신규 주문에 할당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패턴 종류의 개수가 한정된 복수의 AR 코드 관련 복수의 AR 코드정보를 재이용(재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수령을 완료한 고객이 수령이 완료된 주문 상품에 부착된 부착용 인쇄물을 고객 단말(10)의 카메라부를 통해 재촬영한 경우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재촬영된 부착용 인쇄물이 포함되는 영상으로부터 AR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AR 코드의 인식에 따라 상품 수령이 완료된 주문 정보에 대응되어 부여된 AR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식별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포함된 AR 코드정보 및 고객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주문 정보를 고객 DB(102)에서 검색하며, 상기 AR 코드정보 및 고객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검색된 주문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주문 처리 완료된 상태인 경우 해당 상품 식별 요청 정보를 광고 수신 동의나 혜택 적립을 위한 마케팅 요청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마케팅 요청 정보 수신시 다양한 가맹점의 광고 정보가 저장된 광고 DB(103)로부터 광고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광고 정보 수신시 해당 광고 정보를 영상 내의 AR 코드와 매칭하여 상기 영상정보와 합성한 후 상기 광고 정보를 영상 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광고 정보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나 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마케팅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마케팅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주문 처리 완료된 주문 정보를 식별하고, 해당 주문 정보에 대응되어 포인트나 쿠폰과 같은 혜택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마케팅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고객 DB(102)의 고객 정보에 상기 혜택 정보를 매칭 저장하여 상기 혜택 정보를 지급하거나 적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혜택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영상 내의 AR 코드와 매칭하여 상기 혜택 정보가 상기 고객 단말(10)에 표시된 영상 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고객에 대응되어 지급된 복수의 혜택 정보를 조합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른 이벤트 달성시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보상 관련 보상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고객의 고객 정보와 매칭하여 고객 DB(102)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상 정보는 상품 구매시 상품의 할인에 이용 가능한 할인 쿠폰이나 실재 상품과 교환 가능한 기프티콘(gifticon)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문시 할당된 AR 코드를 광고나 혜택 적립에 재이용하여 가맹점에 대한 광고를 증강 현실 기반으로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고객의 흥미를 유발하여 광고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주문 상품에 부착된 부착용 인쇄물의 AR 코드를 기반으로 고객이 편리하게 혜택을 적립하거나 지급받을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혜택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어, 가맹점과 고객의 만족도를 모두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객이 가맹점의 상품을 온라인을 통해 편리하게 선주문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온라인을 통해 주문한 고객 또는 가맹점을 직접 방문하여 주문한 고객의 주문 상품과 관련되어 가맹점 POS를 통해 할당되는 AR 코드를 기반으로 고객이 증강현실을 통해 주문 상품을 가맹점에서 용이하게 식별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고객의 상품 수령시 상품 혼동을 방지하여 주문 상품에 대한 고객의 확인 편의성 및 가맹점의 근무자에 대한 업무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주문 서비스에 대한 높은 수준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증강 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고객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주문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주문 처리 모듈(20)로 전송할 수 있다(S1, S2).
이후, 상기 POS 장치의 주문 처리 모듈(20)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POS 장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주문 정보에(S2, S2')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서로 다른 AR 코드정보 중 미할당된 AR 코드정보를 할당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고(S3, S4), 상기 할당된 AR 코드정보가 포함된 주문 정보에 따른 인쇄 정보를 생성한 후 미리 설정된 프린터 장치(200)로 전송하여 상기 할당된 AR 코드정보에 따른 AR 코드가 포함된 부착용 인쇄물이 인쇄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S5).
다음,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POS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AR 코드정보가 포함된 주문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미리 저장된 고객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고객 단말(10)에 구성된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부착용 인쇄물이 부착된 주문 상품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정보에서 상기 A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S6).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AR 코드 인식시 상기 AR 코드 관련 상기 AR 코드정보가 포함된 상품 식별 요청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7).
다음,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주문 정보에 매칭된 고객 정보를 식별하고, 해당 고객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증강 현실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S8).
이에 따라, 상기 고객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정보 수신시 상기 증강 현실 정보를 상기 영상 정보에 따른 영상 내의 상기 AR 코드와 매칭하여 상기 고객 단말(1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9).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AR 코드정보는 AR 코드 관련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AR 코드는 AR 코드 관련 코드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고객 단말 11: 어플리케이션부
20: 주문 처리 모듈 100: 서비스 제공 장치
200: 프린터 장치

Claims (1)

  1. 가맹점의 POS 장치 및 고객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주문 정보 수신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가맹점의 POS 장치로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POS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AR 코드 관련 AR 코드정보가 포함된 상기 주문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미리 저장된 고객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제 1 증강 현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정보 및 상품 식별정보를 기초로 가맹점 DB에서 주문 상품 관련 제 2 증강 현실 정보를 추출하며, 상품의 수령 완료 정보 수신 시 이를 상기 POS 장치에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
    상기 POS 장치에 구성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POS 장치를 통해 입력된 주문 정보에 한정된 수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서로 다른 AR 코드정보 중 미할당된 AR 코드정보를 할당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할당된 AR 코드정보가 포함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인쇄 정보를 생성한 후 미리 설정된 프린터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AR 코드정보에 따른 AR 코드가 포함된 부착용 인쇄물이 인쇄되도록 처리하고, 할당된 AR 코드정보가 적용된 상품의 수령 완료 정보 수신 시 해당 수령 완료된 AR 코드정보를 회수하여 미할당 상태로 변경하는 주문 처리 모듈; 및
    상기 고객 단말에 구성되며, 상기 고객 단말에 구성된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부착용 인쇄물이 부착된 주문 상품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정보에서 상기 A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AR 코드와 고객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식별 요청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고객 정보에서 추출된 고객 자신의 주문 상품 확인을 위한 고객 관련 상기 제 1 증강 현실 정보 및 상기 고객이 주문한 상품인지 확인하기 위한 상기 주문 상품 관련 제 2 증강 현실 정보를 상기 영상 정보에 따른 영상 내의 상기 AR 코드와 매칭하여 상기 고객 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며, 수령 질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나 제 1 증강 현실 정보 표시 따라 수령 완료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수령이 완료된 상품의 부착용 인쇄물을 재촬영한 경우 상기 AR 코드와 고객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식별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광고 정보나 혜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광고 정보나 혜택 정보를 촬영 영상 내의 AR 코드와 매칭하여 합성한 후 고객 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수신된 상품 식별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주문 정보가 없거나 완료된 경우 마케팅 요청 정보로 판단하여 기 저장된 가맹점 광고 정보나 완료된 주문에 대응되는 포인트나 쿠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혜택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KR1020180046641A 2018-04-23 2018-04-23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090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641A KR102090570B1 (ko) 2018-04-23 2018-04-23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641A KR102090570B1 (ko) 2018-04-23 2018-04-23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504 Division 2017-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29A KR20190017629A (ko) 2019-02-20
KR102090570B1 true KR102090570B1 (ko) 2020-03-18

Family

ID=6556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641A KR102090570B1 (ko) 2018-04-23 2018-04-23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61B1 (ko) * 2020-04-17 2020-12-07 주식회사 비포코리아 Ar 포토 재생 방법 및 시스템
KR102483609B1 (ko) 2022-10-05 2023-01-02 신정옥 꽃예술품 정보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986A (ko) * 2004-02-12 2005-08-18 박대근 포스(pos)시스템과 연계된 자동 판매 장치의 결제 시스템
KR20120000709A (ko) * 2010-06-28 2012-01-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56821A (ko) 2012-11-01 2014-05-12 주식회사 넥스트컨버젼스그룹 사전 주문 시스템
WO2016053008A1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로터스에코 수하인 정보 보호를 위한 운송장 및 물류배송관리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물류배송 지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29A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677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7092354B2 (ja) 商品情報管理装置、商品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40195B2 (ja) 会計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7302641B2 (ja) 決済処理装置、決済処理方法、プログラム、決済処理システム
US20170280290A1 (en) System for Tracking Physical Objects
KR20150017781A (ko) 상품 고유코드를 이용한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0570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N105513228B (zh) 记录装置、结账系统以及记录装置的控制方法
JP2023060023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63538A (ja) 商品データ処理システム、情報端末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2308896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店舗システム
US201503248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oviding virtual customer-personalized content in a retail commerce environment
KR101718991B1 (ko) Ar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JP2020021419A (ja) 即時購買システム、ユーザ端末、商品情報管理サーバ、即時購買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86986A (ja) 個人情報利用注文システム
KR20230039318A (ko) 상품 검증 배달 시스템
JP7332858B2 (ja) 電子決済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電子決済プログラム
US10395292B1 (en) Augmented reality electronic device using facial recognition functionality and displaying shopping reward at retail locations
JP688055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店舗端末、サーバ装置、代行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03163B2 (ja) 顧客管理装置、顧客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2021108227A (ja) 個人情報利用注文システム
JP7136978B1 (ja) 情報処理方法
JP7169423B1 (ja) プログラム
KR20120105196A (ko) 상품 매핑코드를 이용한 중개 서버
JP7299585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の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