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325B1 -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325B1
KR102090325B1 KR1020190081076A KR20190081076A KR102090325B1 KR 102090325 B1 KR102090325 B1 KR 102090325B1 KR 1020190081076 A KR1020190081076 A KR 1020190081076A KR 20190081076 A KR20190081076 A KR 20190081076A KR 102090325 B1 KR102090325 B1 KR 10209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smart device
unit
stick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교
홍현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티전자
홍현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티전자, 홍현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티전자
Priority to KR1020190081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상물에 부착하거나 신체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스마트 기기나 전력 저장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아 각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스마트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주변 환경 정보나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가방이나 의복 등에 부착하거나 신체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된 스마트 스티커에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다양한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SMART STIC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방이나 의복 등에 부착되어 다양한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하는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는 배터리 팩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은 외부의 충전장치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한 전력을 개인 휴대 단말기에 공급하여 정상으로 동작시킨다.
종래의 충전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충전 방식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구비한 충전기나 충전패드에 개인 휴대 단말기를 배치시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충전기나 충전패드에 개인 휴대 단말기를 배치하지 않고 일정 거리 내에서 소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거나, 스마트폰 간에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한 제품들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응용한 전광판과 광고 장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19308호(2009년 2월 25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110417호(2014년 9월 17일 공개)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응용해서 배터리 없이 구성된 스티커형 표시장치를 이용해서 다양한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다양한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하는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각종 이미지나 메시지의 표시 및 음향 출력이 가능한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이용해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티커는 대상물에 부착하거나 신체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스마트 기기나 전력 저장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아 각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스마트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주변 환경 정보나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티커의 제어방법은 (a) 스마트 스티커가 대상물에 부착하거나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 또는 전력 저장장치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아 구동되는 단계, (b) 표시부에서 초기 구동시 미리 설정된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c) 감지부를 이용해서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제어부에서 상기 주변 환경 정보나 스마트 기기에서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가방이나 의복 등에 부착하거나 신체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된 스마트 스티커에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다양한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거나 스마트 기기에서 수신된 정보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나 메시지를 변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여 블랙박스 기능을 제공하고, 비상 상황 발생시 스피커를 통해 구조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가능한 범위 이내의 스마트 기기를 자동으로 감지, 교신하고, 한정된 공간에 여러 대의 스마트 기기가 있더라도 각 기기별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티커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스티커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스마트 스티커 및 표시부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티커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해서 의복 등에 부착하거나 신체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티커 형상의 스마트 스티커를 구동해서 각종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하고, 주변 환경 정보를 생성해서 스마트 기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티커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스티커와 그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티커(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에 부착하거나 신체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20), 본체(20)의 전면에 배치되고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30) 및 스마트 기기(100)나 전력 저장장치(110)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아 각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티커(10)는 스마트 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50) 및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티커(10)는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70), 주변을 촬영해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80) 및 비상상황 발생시 사이렌을 출력하거나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를 포함한 다양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100)는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 다양한 개인 휴대 단말기기로 마련될 수 있다.
전력 저장장치(110)는 내장된 배터리셀에 전력을 충전하고, 전력 전송모듈(120)을 통해서 충전된 전력을 스마트 스티커(1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에는 스마트 스티커(10)를 구동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스마트 기기(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스마트 스티커(10)의 표시부(30)에 다양한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스마트 스티커(10)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 및 전송할 수 있다.
본체(20)는 높이에 비해 가로 및 세로 길이가 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20)의 내부에는 각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본체(20)의 전면에는 표시부(30)가 마련되고, 본체(20)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코일과 각 장치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20)는 가방이나 의복, 모자, 신발 등 다양한 대상물에 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는 직물이나 비닐, 합성수지와 같은 다양한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0)는 접착제를 이용해서 대상물에 부착하거나, 재봉 방식으로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밴드나 와이어 등을 이용해서 사용자의 신체, 예컨대 팔이나 목 등 다양한 위치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착용될 수도 있다.
표시부(30)는 다양한 이미지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복수의 LED를 구비한 표시램프, LCD와 같은 표시패널, 본체(20)의 전면에 다양한 패턴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에 광을 입사시키는 발광유닛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표시부(30)는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스마트 스티커 및 표시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는 스마트 스티커가 부착된 가방이 예시되어 있고, 도 3의 (b)에는 스마트 폰의 동작 상태에 따른 표시부의 동작이 예시되어 있으며, 도 3의 (c)에는 가방의 로고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동작이 예시되어 있다.
표시부(30)는 통신부(50)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100)의 동작 상태, 스마트 기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들, 감지부(70)에서 감지되거나 카메라 모듈(8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3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 예컨대 스마트 폰의 전화나 메시지 수신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30)는 도 3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가 설치되는 가방이나 의복의 로고나 도안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 표시부(30)는 감지부(70)에서 감지된 속도나 가속도, 위치, 주변 조도나 색상 등에 따라 발광하는 색상이나 이미지를 변경해서 표시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0)는 스마트 기기(100)나 전력 저장장치(110)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는 전력 수신모듈(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구성도이다.
즉, 스마트 기기(100)나 전력 저장장치(1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모듈(120)이 마련되며, 전력 수신모듈(41)은 전력 송신모듈(120)에서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한다.
전력 송신모듈(120)과 전력 수신모듈(41)은 송신회로와 수신회로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한 자기 유도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으나,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비접촉 상태에서도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한 자기 공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이하 '자기 공진 방식'으로 통칭함)의 무선 전력 전송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력 송신모듈(120)은 미리 설정된 공진 주파수의 공진신호를 발생하는 송신회로(121) 및 송신회로(121)에서 발생한 공진신호를 전력 수신모듈(41)로 송신하는 송신 코일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회로(121)는 스마트 기기(100)의 배터리나 전력 저장장치(110)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레벨을 증폭하는 전력증폭기(123),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해 증폭된 신호의 주파수를 매칭하여 공진신호를 발생하는 매칭회로(124) 및 전력증폭기(123)와 매칭회로(124)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기(12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코일부(122)는 소스 코일(126)과 송신 공진코일(127)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모듈(41)은 전력 송신모듈(120)에서 송신된 공진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공진부(42) 및 수신 공진부(42)를 통해 수신된 공진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전력을 각 장치로 공급하는 수신회로(4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공진부(42)는 수신 공진코일(47)과 로드 코일(48)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회로(43)는 수신된 공진신호의 주파수를 매칭하는 매칭회로(44), 주파수 매칭된 공진신호를 정류하는 정류기(45) 및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기 위해 매칭회로(44)와 정류기(45)의 구동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기(46)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코일부(122)와 수신 공진부(42)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공진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 코일부(122)와 수신 공진부(42)는 각각 원형 또는 사각형 도선을 가진 루프 안테나 또는 헬리컬 안테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공진코일(127)과 수신 공진코일(47)은 동일한 자기 공진 주파수(Magnetic resonance frequency)를 가지며, 두 코일 간에 공명현상에 의해 공진 코일 간에 경로(path)를 형성하여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도 2에서, 통신부(50)는 블루투스(BLE), 와이파이(WiFi), 무선 주파수 통신(RF), 비콘(beacon), 근접 무선 통신(NFC)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 기기(100)와 통신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콘은 형상, 빛, 소리, 색채, 전파 등으로 약속된 신호를 보내고, 위치 및 방향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비콘은 스마트 기기(100)가 약 50 내지 70m, 최대 100mm 범위에 들어오면 자동으로 감지, 교신하고, 약 5 내지 10㎝ 단위로 기기별 구분도 가능해서 한정된 공간에 여러 대의 스마트 기기(100)가 있더라도 각 기기별로 맞춤형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통신부(50)에 비콘이 적용되는 경우, 실종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서 구조하거나, 스마트 스티커(10)가 부착된 가방 등의 대상물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한다.
감지부(70)는 가속도 센서, GPS 모듈, 조도센서, 색상감지센서와 같이 다양한 방식 및 감지조건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60)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충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충격 발생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감지 정보를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하거나, 스피커(90)를 통해 구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상기 GPS 모듈의 GPS 신호를 이용해서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비상 상황 발생시 스마트 기기(100)를 통해 현재 위치의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나 서버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제어부(60)는 상기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해서 표시부(30)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색상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주변 색상에 연동해서 표시부(30)에서 표시되는 색상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카메라 모듈(8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표시부(30)에 표시하거나, 통신부(50)를 통해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60)는 카메라 모듈(8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해서 블랙박스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티커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스티커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S10단계에서 스마트 스티커(10)는 가방이나 의복 등에 부착하거나,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 스티커(10)에 마련된 전력 수신모듈(41)은 스마트 기기(100)나 전력 저장장치(110)의 전력 전송모듈(120)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한다. 그러면, 제어부(60)는 수신된 전력을 각 장치에 공급한다.
이때, 표시부(30)는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초기 구동시 표시하도록 설정된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12).
감지부(70)에 마련된 각 감지센서는 속도나 가속도, 위치, 주변 조도나 색상 등 다양한 주변 환경정보를 감지하고(S14), 제어부(60)는 감지부(70)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30)의 구동을 제어한다(S16).
물론, 제어부(60)는 카메라 모듈(8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거나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60)는 스마트 기기(100)에서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나 메시지를 변경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8단계에서 제어부(60)는 통신부(50)를 통해 스마트 기기(100)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지를 검사하고, 전화나 메시지 수신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변경된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0).
이때, 제어부(60)는 통신부(50)를 통해 통신 가능한 범위 이내의 스마트 기기(100)를 자동으로 감지해서 교신하고, 한정된 공간에 복수의 스마트 기기(100)가 존재하는 경우, 각 스마트 기기(100)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기기(100)별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2단계에서 제어부(60)는 스마트 기기(100)나 전력 저장장치(110)로부터 전력 수신이 중지되는지를 검사하고, 전력 수신이 중지될 때까지 S12단계 내지 S22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S22단계의 검사결과 전력 수신이 중지되면, 제어부(60)는 스마트 스티커(10)에 마련된 각 장치의 구성을 중지하고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가방이나 의복 등의 대상물에 부착하거나 신체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된 스마트 스티커에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다양한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가방이나 의복 등의 대상물에 부착하거나 신체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된 스마트 스티커에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다양한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하는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 기술에 적용된다.
10: 스마트 스티커
20: 본체 30: 표시부
40: 전원공급부 41: 전력 수신모듈
42: 수신 공진부 43: 수신회로
44: 매칭회로 45: 정류기
46: 수신 제어기 47: 수신 공진코일
48: 로드 코일
50: 통신부 60: 제어부
70: 감지부 80: 카메라 모듈
90: 스피커 100: 스마트 기기
110: 전력 저장장치 120: 전력 전송모듈
121: 송신회로 122: 송신 코일부
123: 전력증폭기 124: 매칭회로
125: 송신 제어기 126: 소스 코일
127: 송신 공진코일

Claims (6)

  1. 대상물에 부착하거나 신체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스마트 기기나 전력 저장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아 각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스마트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주변 환경 정보나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GPS 모듈, 조도센서, 색상감지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충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충격 발생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감지 정보를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구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GPS 모듈의 GPS 신호를 이용해서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비상 상황 발생시 스마트 기기를 통해 현재 위치의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나 서버와 공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해서 상기 표시부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색상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주변 색상에 연동해서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색상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티커.
  2. 제1항에 있어서,
    주변을 촬영해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및
    비상상황 발생시 사이렌을 출력하거나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해서 블랙박스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티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 가능한 범위 이내의 스마트 기기를 감지해서 교신하고, 한정된 공간에 복수의 스마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각 스마트 기기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기기별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티커.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스티커의 제어방법에서,
    (a) 스마트 스티커가 대상물에 부착하거나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 또는 전력 저장장치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아 구동되는 단계,
    (b) 표시부에서 초기 구동시 미리 설정된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c) 감지부를 이용해서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제어부에서 상기 주변 환경 정보나 스마트 기기에서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GPS 모듈, 조도센서, 색상감지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충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충격 발생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감지 정보를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구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GPS 모듈의 GPS 신호를 이용해서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비상 상황 발생시 스마트 기기를 통해 현재 위치의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나 서버와 공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해서 상기 표시부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색상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주변 색상에 연동해서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색상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티커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 가능한 범위 이내의 스마트 기기를 감지해서 교신하고, 한정된 공간에 복수의 스마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각 스마트 기기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기기별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티커의 제어방법.
KR1020190081076A 2019-07-05 2019-07-05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9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076A KR102090325B1 (ko) 2019-07-05 2019-07-05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076A KR102090325B1 (ko) 2019-07-05 2019-07-05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325B1 true KR102090325B1 (ko) 2020-03-17

Family

ID=7000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076A KR102090325B1 (ko) 2019-07-05 2019-07-05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32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166A (ko) * 2005-09-07 2008-06-10 밀. 디지털 라벨링, 인크. 제품 인증용 디지털 라벨
KR20090019308A (ko) 2007-08-20 2009-02-25 최성규 무선전력전송장치가 구비된 엘이디 전광판
KR101265564B1 (ko) * 2011-08-22 2013-05-20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모니터링 운용 시스템
KR101427718B1 (ko) * 2013-02-08 2014-08-07 이익선 이벤트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 및 전송하는 개인 휴대용 블랙박스 장치와 시스템 및 그의 작동 제어 방법
KR20140110417A (ko) 2013-03-07 2014-09-17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20150029453A (ko) * 2013-09-10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64787A (ko) * 2014-11-28 2016-06-08 이화정 스마트폰과 그 기능을 이용한 휴대 개인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60123410A (ko) * 2015-04-15 2016-10-26 이정일 능동형 상황 감지 시스템
KR20170018747A (ko) * 2015-08-10 2017-02-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166A (ko) * 2005-09-07 2008-06-10 밀. 디지털 라벨링, 인크. 제품 인증용 디지털 라벨
KR20090019308A (ko) 2007-08-20 2009-02-25 최성규 무선전력전송장치가 구비된 엘이디 전광판
KR101265564B1 (ko) * 2011-08-22 2013-05-20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모니터링 운용 시스템
KR101427718B1 (ko) * 2013-02-08 2014-08-07 이익선 이벤트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 및 전송하는 개인 휴대용 블랙박스 장치와 시스템 및 그의 작동 제어 방법
KR20140110417A (ko) 2013-03-07 2014-09-17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20150029453A (ko) * 2013-09-10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64787A (ko) * 2014-11-28 2016-06-08 이화정 스마트폰과 그 기능을 이용한 휴대 개인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60123410A (ko) * 2015-04-15 2016-10-26 이정일 능동형 상황 감지 시스템
KR20170018747A (ko) * 2015-08-10 2017-02-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5974B2 (en) Methods for provisioning a wireless beacon
US9800082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50003553A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CN107968492B (zh) 一种无线充电装置、系统、移动终端及充电终端
KR20200017308A (ko)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99822A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충전시스템
WO2015198369A1 (en) Configuring user equipment to display information through a cover window
US20170012460A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method in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279481B2 (en) Electronic device and cradle therefore
KR2020010341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21547A (ko) 원격 입력 장치의 거리에 기초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716757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하는 거치장치
KR20170064882A (ko) 전자 프레임의 충전 어셈블리 및 전자 프레임의 충전 방법
KR20220063576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90325B1 (ko) 스마트 스티커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8178617A1 (en) Interfacing peripheral devices used in a hazardous environment
US12113373B2 (en) Wireless power system with charging alerts
CN110874699B (zh) 记录物品的物流信息方法、装置及系统
KR101381291B1 (ko) 스마트기기 보호케이스를 이용한 물품 분실/도난 방지시스템
KR101558782B1 (ko) 차량 내 무선 충전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40053799A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101957190B1 (ko)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산업용 공장 자동화 장치, 이와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KR20180006571A (ko) 물품 수납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101792516B1 (ko)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및 제어방법
KR20190092672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