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127B1 -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127B1
KR102090127B1 KR1020180138857A KR20180138857A KR102090127B1 KR 102090127 B1 KR102090127 B1 KR 102090127B1 KR 1020180138857 A KR1020180138857 A KR 1020180138857A KR 20180138857 A KR20180138857 A KR 20180138857A KR 102090127 B1 KR102090127 B1 KR 10209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low
beacon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박주유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영남이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이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이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8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은 저시력자들의 버스승하차를 돕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이 설치된 스마트폰(100)과 버스에 설치된 비콘(Beacon)(300)과의 신호송수신을 통해 버스 승강장에 다수의 버스가 진입하는 경우 탑승하여야 하는 버스와 저시력자 간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저시력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탑승하여야 할 버스를 안내해주면서 하차시에도 미리 입력된 하차 정류장의 정보를 이용하여 하차정보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BUS GUIDE SYSTEM FOR LOW VISION PERSON}
본 발명은 버스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를 탑승하고자 하는 저시력자와 버스 간의 거리를 정확하게 알려줌으로써 다수의 버스가 승강장에 진입하는 경우 저시력자의 버스탑승을 안내할 수 있는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안내시스템 및 도착버스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의 발달로, 대도시의 경우 지하철이나 버스의 노선이 증가하고 있고, 이용객의 수도 증가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노선이 많고 복잡하기 때문에, 대중 교통을 자주 이용하지 않았거나 처음 대도시를 방문한 승객은 쉽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은 인터넷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이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경로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가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별도의 경로 추출 시스템에 의해 출발역, 환승역, 도착역 및 소요 시간 등을 안내하여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인터넷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가 있어야만 경로 안내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동 중 필요할 때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또한, 대중교통 수단 안에서 음악을 듣거나, 전화 통화를 하거나, 책을 읽거나 잠을 자는 경우에, 대중 교통수단이 제공하는 안내 방송을 놓치는 경우가 있다.
즉, 안내 방송은 도착 전에 한번만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잠깐 동안 안내 방송을 듣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다른 사람에게 물어봐야 하는 불편함이 상존하고 있으며 잠을 자게 되면 현재 도착 정류장을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17-0097806호, '비콘 기반 상황인지 맞춤형 버스 정보 제공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버스 안내시스템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시각장애인을 포함하는 저시력자의 경우 버스번호를 눈으로 파악할 수 없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를 알지 못하게 된다.
더욱이 버스 승강장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되는 버스도착정보는 여러 대의 버스가 동시에 버스 승강장에 도착하는 경우 이를 구분하지 못하며, 그에 따라 저시력자는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7-0097806호, '비콘 기반 상황인지 맞춤형 버스 정보 제공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 여러 대의 버스가 동시에 버스 승강장에 도착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전용 앱에 미리 입력된 버스와의 거리를 정확하게 알려주어 저시력자의 버스탑승을 안내할 수 있는 버스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버스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저시력자의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200)과, 버스별로 설치된 비콘(300)이 연동하도록 구성하고 버스정류장으로 들어오는 버스와 저시력자 간의 거리를 알려주어 저시력자의 정확한 버스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되, 스마트폰(100)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은 저시력자에게 버스 승하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의 전반적인 작동을 관리하는 제어부(201)와, 저시력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번호와 하자하고자 하는 정류장의 정보를 음성인식을 통한 입력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에서 제공되는 지도상의 버스정보와 정류장정보를 확인하여 입력하는 버스정보입력부(202)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정보의 입력시 지도상에서 현재 운행중인 버스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각 시도별로 제공되는 공공데이터서버에 버스운행정보를 요청하는 버스운행정보요청부(203)와, 공공데이터서버에 요청한 버스운행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버스운행정보를 지도에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버스운행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운행정보표시부(204)와,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200)과 연동되며 운행중인 버스별로 고유 ID가 부여된 비콘(300)이 버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버스가 정류장에 가까이 도착함에 따라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에 비콘(300)의 신호가 감지되는 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비콘신호수신확인부(205)와,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에 수신되는 비콘(300)의 불규칙한 신호세기를 보정하는 정규화부(206)와, 1차로 수신된 비콘(300)의 신호를 정규화부(206)와 필터링부(207)에 의해 보정한 신호를 통해 비콘(300)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비콘신호세기측정부(208)와, 보정된 비콘(300)의 신호세기를 통해 스마트폰(100)과 버스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변환부(209)와, 상기 거리변환부(209)에 의해 계산된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스마트폰(100)의 진동과 소리알람을 통해 저시력자에게 버스가 진입하고 있음을 알려줌으로써 미리 입력된 버스를 탑승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알람부(2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시력자가 버스 승강장에서 버스를 탑승하는 경우 다수의 버스가 동시에 승강장에 진입하여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위치를 알 수 없는 경우 저시력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을 통해 저시력자와 버스 간의 거리를 정밀하게 알려줌으로써 탑승하여야 할 버스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을 이용한 도착버스 안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은 저시력자들의 버스승하차를 돕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이 설치된 스마트폰(100)과 버스에 설치된 비콘(Beacon)(300)과의 신호송수신을 통해 버스 승강장에 다수의 버스가 진입하는 경우 탑승하여야 하는 버스와 저시력자 간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저시력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탑승하여야 할 버스를 안내해주면서 하차시에도 미리 입력된 하차 정류장의 정보를 이용하여 하차정보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저시력자는 버스정류장으로 진입하는 버스 번호를 구분하지 못할 정도 시력이 낮은 사람이거나 시각장애인일 수 있다.
도 2는 저시력자가 소지한 스마트폰(100)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폰(100)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은 저시력자에게 버스 승하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의 전반적인 작동을 관리하는 제어부(201)와, 저시력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번호와 하자하고자 하는 정류장의 정보를 음성인식을 통한 입력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에서 제공되는 지도상의 버스정보와 정류장정보를 확인하여 입력하는 버스정보입력부(202)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정보의 입력시 지도상에서 현재 운행중인 버스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각 시도별로 제공되는 공공데이터 서버에 버스운행정보를 요청하는 버스운행정보요청부(203)와, 공공데이터 서버에 요청한 버스운행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버스운행정보를 지도에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버스운행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운행정보표시부(204)와,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200)과 연동되며 운행중인 버스별로 고유 ID가 부여된 비콘(300)이 버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버스가 정류장에 가까이 도착함에 따라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에 비콘(300)의 신호가 감지되는 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비콘신호수신확인부(205)와,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에 수신되는 비콘(300)의 불규칙한 신호세기를 보정하는 정규화부(206)와, 수신된 신호 중 신호세기 측정에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207)와, 1차로 수신된 비콘(300)의 신호를 정규화부(206)와 필터링부(207)에 의해 보정한 신호를 통해 비콘(300)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비콘신호세기측정부(208)와, 보정된 비콘(300)의 신호세기를 통해 스마트폰(100)과 버스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변환부(209)와, 상기 거리변환부(209)에 의해 계산된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스마트폰(100)의 진동과 소리알람을 통해 저시력자에게 버스가 진입하고 있음을 알려줌으로써 미리 입력된 버스를 탑승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알람부(210)로 구성된다.
상기 버스정보입력부(202)는 저시력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번호를 음성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입력되게 하거나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을 통해 제공되는 지도상에서 목적지 정류장 정보를 터치하여 입력하게 되며, 입력된 버스번호나 목적지 정류장 정보를 통해 저시력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버스운행정보요청부(203)는 버스정보입력부(202)를 통해 저시력자가 입력한 버스정보를 이용하여 버스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공공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된 정보를 통해 버스노선정보나 정류장 정보를 요청하여 입력한 버스정보를 검색하고 현재운행중인 버스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버스운행정보표시부(204)는 공공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된 버스정보, 예를 들면 노선상에 운행중인 버스정보, 특정 정류장의 출발, 도착시간 등을 포함하는 버스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을 통해 저시력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제공되는 버스정보는 지도정보와 함께 제공되어 저시력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나 목적지 정류장으로 가는 버스노선을 확인하게 된다.
상기 비콘신호수신확인부(205)는 저시력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정보를 입력 후 수신된 버스노선정보를 통해 탑승하여야 할 버스를 확인하고, 해당 버스로부터 수신되는 비콘(300)신호가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지를 확인한다.
비콘(300)신호는 최대 70m정도의 신호수신거리를 보장함에 따라 전 정류장에서 버스가 출발하였는지를 확인한 후, 탑승 정류장에 가까워지는 것을 비콘(300)신호 수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정규화부(206)는 버스가 가까워짐에 따라 수신되는 버스의 비콘(300)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비콘(300)신호가 불규칙하게 수신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한 것이며, 불규칙한 비콘(300)신호 수신에 따른 거리측정의 불규칙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필터링부(207)를 통해 수신된 비콘(300)신호의 잡음도 제거함으로써 비콘(300)신호의 수신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불규칙한 신호가 정규화되고 잡음이 제거된 비콘(300)신호를 이용하여 버스와 저시력자 간의 거리측정의 정확도가 높이질 수 있다.
상기 비콘신호세기측정부(208)는 앞서 정규화부(206)와 필터링부(207)에 의해 수신정확도가 높아진 비콘(300)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버스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을 통해 저시력자에게 버스 진입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거리변환부(209)는 비콘신호세기측정부(208)를 통해 측정된 비콘(300)신호를 이용하여 버스와 저시력자 간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버스와 저시력자 간의 거리가 20m, 15m, 10m, 5m, 1m 이내의 거리가 됨을 단계적으로 계산한다.
상기 알람부(210)는 거리변환부(209)를 통해 버스와 저시력자 간의 거리가 20m, 15m, 10m, 5m, 1m가 이내가 될 때마다 스마트폰(100)의 진동과 소리 알람을 통해 버스의 진입을 저시력자에게 알려주게 되며, 1m 이내가 되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가 저시력자앞에 도착한 경우에는 가장 큰 진동과 소리로 버스에 탑승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을 이용한 도착버스 안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버스를 탑승하고자 하는 저시력자의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을 실행하여 GPS 신호를 이용하여 탑승하고자 하는 정류장의 위치를 확인하여 출발지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출발지가 입력된 상태에서 저시력자가 음성인식을 통해 목적지 정류장의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에서 제공되는 지도 상의 정류장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시력자가 목적지 정보를 입력한 후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을 통해 버스정보를 제공하는 공공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ID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수신하게 된다.
버스노선과 버스ID 정보를 수신한 후에는 저시력자가 탑승하여야 하는 버스에 설치된 비콘(300)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작동모드로 작동되며, 실시간으로 버스에 설치된 비콘(300)신호를 감지한다.
저시력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가 정류장에 가까워지면서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을 통해 버스의 비콘(300)신호가 감지되면 불규칙하게 수신된 비콘(300)신호를 정규화하고 잡음음 필터링하여 제거함으로써 버스의 비콘(300)신호의 수신 정확도를 높여 버스와 저시력자 간의 거리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수신된 비콘(300)신호를 정규화하고 잡음을 제거한 후 수신된 비콘(300)신호의 세기에 따라 거리를 측정하게 되며, 신호의 세기에 따라 20m, 15m, 10m, 5m,1m 이내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신호세기에 측정된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스마튼폰을 통해 진동의 세기와 소리를 통해 저시력자에게 버스가 가까이 다가오고 있음을 알려주게 되며, 1m 이내로 버스가 근접한 경우에는 가장 큰 진동이나 소리로 저시력자가 버스에 탑승하도록 안내한다.
저시력자가 버스에 탑승한 후에는 목적지 도착을 알려주게 되며, 이를 위해 스마트폰(100)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이 항상 작동할 수 있도록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백그라운드로 작동중인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은 GPS신호를 수신하면서 현재위치를 확인하면서 저시력자가 입력한 목적지를 확인하여 도착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버스가 목적지의 전 정류장에 도착하게 되면 스마트폰(100)의 진동과 알람 소리를 통해 저시력자에게 하차준비를 알려주도록 제어하며, 실시간으로 GPS신호를 수신하여 목적지 정류장과 버스 간의 거리를 확인한 후 목적지 정류장에서 500m에 근접하는 경우 다시한번 진동과 알람 소리로 저시력자가 하차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스마트폰
(200)-- 전용 어플리케이션 (201)-- 제어부
(202)-- 버스정보입력부 (203)-- 버스운행정보요청부
(204)-- 버스운행정보표시부 (205)-- 비콘신호수신확인부
(206)-- 정규화부 (207)-- 필터링부
(208)-- 비콘신호세기측정부 (209)-- 거리변환부
(210)-- 알림부
(300)-- 비콘

Claims (4)

  1.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저시력자의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200)과, 버스별로 설치된 비콘(300)이 연동하도록 구성하고 버스정류장으로 들어오는 버스와 저시력자 간의 거리를 알려주어 저시력자의 정확한 버스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되,
    스마트폰(100)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은 저시력자에게 버스 승하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의 전반적인 작동을 관리하는 제어부(201)와,
    저시력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번호와 하자하고자 하는 정류장의 정보를 음성인식을 통한 입력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에서 제공되는 지도상의 버스정보와 정류장정보를 확인하여 입력하는 버스정보입력부(202)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정보의 입력시 지도상에서 현재 운행중인 버스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각 시도별로 제공되는 공공데이터서버에 버스운행정보를 요청하는 버스운행정보요청부(203)와,
    공공데이터서버에 요청한 버스운행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버스운행정보를 지도에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버스운행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운행정보표시부(204)와,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200)과 연동되며 운행중인 버스별로 고유 ID가 부여된 비콘(300)이 버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버스가 정류장에 가까이 도착함에 따라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에 비콘(300)의 신호가 감지되는 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비콘신호수신확인부(205)와,
    전용 어플리케이션(200)에 수신되는 비콘(300)의 불규칙한 신호세기를 보정하는 정규화부(206)와,
    1차로 수신된 비콘(300)의 신호를 정규화부(206)와, 수신된 신호 중 신호세기 측정에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207)에 의해 보정된 신호를 통해 비콘(300)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비콘신호세기측정부(208)와,
    비콘신호세기측정부(208)를 통해 보정된 비콘(300)의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버스와 저시력자 간의 거리가 20m, 15m, 10m, 5m, 1m 이내의 거리가 됨을 단계적으로 계산하는 거리변환부(209)와,
    상기 거리변환부(209)를 통해 버스와 저시력자 간의 거리가 20m, 15m, 10m, 5m, 1m가 이내가 될 때마다 스마트폰(100)의 진동과 소리 알람을 통해 버스의 진입을 저시력자에게 알려주게 되며, 1m 이내가 되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가 저시력자앞에 도착한 경우에는 가장 큰 진동과 소리로 버스에 탑승하도록 안내하는 알람부(2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38857A 2018-11-13 2018-11-13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 KR102090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57A KR102090127B1 (ko) 2018-11-13 2018-11-13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57A KR102090127B1 (ko) 2018-11-13 2018-11-13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127B1 true KR102090127B1 (ko) 2020-04-21

Family

ID=70456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857A KR102090127B1 (ko) 2018-11-13 2018-11-13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1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679B1 (ko) * 2012-05-07 2013-03-19 권순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97806A (ko) 2016-02-18 2017-08-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 기반 상황인지 맞춤형 버스 정보 제공시스템
KR20170111417A (ko) * 2016-03-28 2017-10-12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주차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787077B1 (ko) * 2015-09-09 2017-11-15 주식회사 미디어버튼 미디어보드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및 교통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679B1 (ko) * 2012-05-07 2013-03-19 권순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787077B1 (ko) * 2015-09-09 2017-11-15 주식회사 미디어버튼 미디어보드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및 교통정보 제공방법
KR20170097806A (ko) 2016-02-18 2017-08-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 기반 상황인지 맞춤형 버스 정보 제공시스템
KR20170111417A (ko) * 2016-03-28 2017-10-12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주차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74109B (zh) 用于视觉障碍人士的手持导航设施和导航方法
CN111247393B (zh) 免提助手请求的通信的系统和方法
KR102033174B1 (ko) 스마트폰 통합측위를 활용한 지하철역 도착알림 및 역사 정보안내 시스템
JP2016161479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US8169342B1 (en) Method of providing a destination alert to a transit system rider
JP2012014472A (ja) 交通情報処理装置、交通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交通情報処理方法
Kim et al. Enhancing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IoT and open data infrastructures
US113081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a geolocation database
JP201511684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787077B1 (ko) 미디어보드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및 교통정보 제공방법
KR102090127B1 (ko) 저시력자를 위한 버스 안내시스템
KR10124367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91429A (ko)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는 차량단말장치 및 방법
KR101608911B1 (ko) 버스정보안내단말기에 구비되는 비콘 기반 안내 시스템
KR20050076197A (ko) 엘리베이터용 목적층 예약장치 및 그 방법
JP2016164581A (ja) 経路案内方法、経路案内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020788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60026152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시설물 안내정보 제공 장치
JP2002048587A (ja) 運行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運行案内情報提供方法、乗降車案内情報提供装置、並びに記録媒体
KR102237981B1 (ko) 교통 약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안내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약자 안내 방법
Alvarado RouteMe2: a cloud-based infrastructure for assisted transit
KR20170092231A (ko) 시각 장애인용 교통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US20240050304A1 (en) Guiding a person while moving in a certain area
CN115497324B (zh) 用于控制车辆接驾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102428079B1 (ko) 통학차량 탑승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