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120B1 -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120B1
KR102090120B1 KR1020130126927A KR20130126927A KR102090120B1 KR 102090120 B1 KR102090120 B1 KR 102090120B1 KR 1020130126927 A KR1020130126927 A KR 1020130126927A KR 20130126927 A KR20130126927 A KR 20130126927A KR 102090120 B1 KR102090120 B1 KR 102090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rength
patient
received signal
terminal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185A (ko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Priority to KR102013012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12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환자가 단말기의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환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위급상황에서 자동으로 촬영유닛을 구동하여 촬영하도록 하는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은, 환자정보와 구분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한 단말기; 상기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무선 송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무선 감지기; 상기 다수의 무선 감지기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에 고유식별자와 상기 다수의 무선감지기의 수신신호세기를 더하여 전송하는 중계기; 및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로 차량이나 환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한 고유식별자와 상기 수신신호세기의 조합에 의한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을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patients in Sanatorium}
본 발명은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가 단말기의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환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위급상황에서 자동으로 촬영유닛을 구동하여 촬영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요양병원 등과 같은 공동 집단시설의 주차장에서 위급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비상스위치를 누르면, 경비업체 등의 관제센터에서 이를 인식하고 상황에 맞게 적절한 대처를 행하는 비상통보 방법이나 인식기술이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공동 집단시설 내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와 같이 경비업체 등의 관제센터에서 비상 호출을 인식하고 출동하는 것이 신속한 조치가 되기에 다소 미흡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주차장 내에 설치되어 긴급상황이나 위급상황 발생 시 비상호출을 위한 시스템이 제안되었는 바, 가령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43564호("비상호출 기능을 갖는 주차위치 수신기 및 그를 이용한 공동편의시설 제어방법")는 주차장에 설치되어 아이디 카드의 근접이나 무선 리모콘 신호의 수신시 이를 인식하고 출력하는 무선 인식부와; 상기 무선 인식부의 근방에 설치되며 비상호출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비상벨과; 상기 무선 인식부로부터 출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아이디 카드로부터 얻어진 인식 코드정보 및 상기 주차장 내의 주차 구역에 관련된 위치 정보를 제1 출력데이터로서 출력하여 폐쇄회로 티브의 매칭 연동이나 승강기 호출에 이용되도록 하고 상기 비상벨로부터 호출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비상벨이 설치된 위치정보를 제2 출력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술은 비상호출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비상벨이 주차장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상황 발생시 비상벨의 위치를 찾는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대처시간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300596호("원패스 비상호출 시스템)는 현재 위치를 송/수신하는 단말기와; 비상상황 발생시 비상호출을 위한 비상신호를 발생하는 비상스위치와; 설정구역 내에 설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단말기와 비상스위치의 현재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복수개의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와 통신하여 상기 수신기에 수신된 상기 단말기와 비상스위치의 현재 위치신호를 수집하는 중계기와; 상기 중계기와 통신하여 상기 수신기에 수신된 상기 단말기와 비상스위치의 현재 위치신호를 전달받고, 위치 연산알고리즘을 구비하여 상기 단말기와 비상스위치의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인식서버와; 상기 위치인식서버와 접속되어 상기 위치인식서버에서 산출된 상기 단말기와 비상스위치의 현재 위치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제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인식서버의 위치 연산알고리즘은 구역을 필터링하여 평균값 및 오차율을 계산하고, 배제알고리즘을 통해 개선된 다각측량 기법을 이용하여 위치데이터를 보정한다.
상기의 특허에서 단말기는 주차 위치확인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현재 주차위치가 위치인식서버에서 인식되도록 하고, 비상 버튼을 구비하여 응급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위치인식서버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데, 문제는 사용자가 각각 주차 위치확인 버튼과 비상 버튼을 눌러야만 위치인식서버에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가령 응급상황에서 소지한 단말기를 찾아서 비상 버튼을 누르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응급상황을 피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잊고 주차 위치확인 버튼을 누르지 못하여 주차 위치를 체크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의 특허에서 위치인식서버의 위치 연산알고리즘이 구역을 필터링하여 평균값 및 오차율을 계산하고, 배제알고리즘을 통해 개선된 다각측량 기법을 이용하여 위치데이터를 보정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위치데이터의 보정이 왜 필요하고 어떤 방법으로 수행되는지가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아 통상의 기술자라도 상기의 특허를 실제에서 동일하게 구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단말기의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항상 위치를 관제서버에서 추적할 수 있도록 한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차 위치를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는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위급상황에서 자동으로 촬영장치를 구동하여 해당 환자를 촬영하도록 한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환자정보와 구분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한 단말기; 고유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무선 송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무선 감지기; 상기 다수의 무선 감지기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에 상기 각 무선 감지기의 고유식별자와 무선 감지기의 수신신호세기를 더하여 전송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로 차량이나 환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각 무선 감지기의 고유식별자와 수신신호세기를 조합하여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을 생성하여 기작성된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는 환자 단말기와 차량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 단말기는 환자 보호자를 정의하는 구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 단말기는 차량번호를 정의하는 구분정보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다수의 촬영유닛과, 상기 촬영유닛에 네트워크 연결된 다른 중계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을 상기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가 일정 위치에 장시간 머무는 경우, 비상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촬영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일정 위치를 집중적으로 촬영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상기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을 비교한 결과에 대응하여, a) 차량의 주차 등록, b) 환자의 공동현관문의 개폐, 또는 c) 엘리베이터의 호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제서버는 기설정된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주차구역에 대응하는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저장된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상기의 목적은, 차량 단말기가 주차장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 감지기와 주기적인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 단말기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 감지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감지기가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와 해당 무선 감지기의 고유식별자 및 해당 무선 감지기에서 측정한 수신신호세기를 중계기를 통하여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각 무선 감지기별 고유식별자와 수신신호세기를 조합하여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을 생성하고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의 기설정된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비교하여 차량의 이동 경로를 반복하여 판단하는 단계; 기설정 시간동안 유사한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수신되면,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차량이 주차를 시도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을 상기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의 주차구역에 대응하는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비교하여 주차구역을 특정하고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환자 보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의 목적은, 환자 단말기가 주차장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 감지기와 주기적인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 감지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감지기가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와 해당 무선 감지기의 고유식별자 및 해당 부선 감지기에서 측정한 수신신호세기를 중계기를 통하여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각 무선 감지기별 고유식별자와 수신신호세기를 조합하여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을 생성하고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의 기설정된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비교하여 환자의 이동 경로를 반복하여 판단하는 단계; 기설정 시간동안 유사한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수신되면,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유사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단말기 위치에서 상기 환자가 비상상황에 있다고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서버가 촬영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 위치를 집중적으로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환자 보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제서버가 공동현관문에 인접하여 설치된 무선 감지기로부터 감지된 수신신호세기에 의해 생성된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상기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의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일치하는 경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환자가 상기 공동현관문 바로 앞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중계기를 통하여 공동현관문 개폐제어부에 공동현관문을 개방하도록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제서버가 공동현관문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엘리베이터 호출 위치에서 무선 감지기로부터 감지된 수신신호세기에 의해 생성된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상기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의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일치하는 경우, 상기 관제서버는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공동현관문에 인접한 무선 감지기가 상기 환자 단말기를 최초 감지한 경우,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차량을 이용하려고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공동현관문에 인접한 무선 감지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환자 단말기의 환자정보를 참고하여 기 저장된 주차정보를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DID를 통하여 표시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요양병원의 환자가 단말기의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항상 위치를 관제서버에서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환자의 보호자가 차량을 주차한 후 주차구역에서 주차 확인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관제서버가 자동으로 정확한 주차구역을 확인하여 저장하게 됨으로써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위급상황에서 자동으로 촬영장치를 구동하여 해당 환자를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이동하는 도중에 심장발작을 일으키거나 상해를 당해 환자 단말기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관제서버가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을 보여주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보여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보여준다.
단말기(10, 12)는 3가지 대역의 사용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송수신모듈을 구비한 원패스(one-key) 단말기이다.
사용 주파수는 125㎑, 13.56㎒, 및 2.4㎓이며, 각 사용 주파수로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모듈을 구비한다.
제1송수신모듈은 125㎑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차량 출입게이트에 설치된 바(bar)의 개폐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송수신모듈은 13.56㎒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차량 출입게이트의 특정위치나 공동현관에 설치된 리더기에 단말기(10, 12)를 근접시켜 차량 출입게이트에 설치된 바나 공공현관문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제3송수신모듈은 2.4㎓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무선 감지기(20)와 자동으로 송수신하여 무선 감지기(20)가 사용자의 인위적인 동작 없이 단말기(10, 12)의 위치를 추적한다.
단말기는 환자 단말기(10)와 차량 단말기(12)를 포함하는데, 단말기의 제조비용을 줄이기 위해 모든 송수신모듈을 구비하지 않고 환자 단말기(10)의 경우 차량 출입게이트와 관련된 송수신모듈은 구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모든 송수신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단말기(10, 12)는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별도의 비상버튼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하나의 단말기(10, 12)를 환자용과 보호자 차량용으로 병용하도록 스위치를 장착할 수 있다.
단말기(10, 12)는 식별정보로 환자정보와 구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환자정보는 가령 환자 이름과 병실호수로 구성되고, 구분정보는 차량번호나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식별번호 1은 차량을 의미하고, 2 이상의 숫자는 보호자 구성원을 의미하도록 미리 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감지기(20)는 지하주차장의 각 기둥이나 이동 통로를 따라 설치되어 2.4㎓의 주파수 대역을 감지하여 단말기(10, 12)의 제3송수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데, 통신거리는 대략 50m 정도 된다.
무선 감지기(20)의 고유식별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10, 12)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에 자신의 고유식별자와 단말기(10, 12)의 수신신호세기를 더하여 관제서버(50)에 전송한다.
무선 감지기(20)에 인접하는 위치에 촬영유닛(30)이 설치되어 정상적으로 미리 설정된 구역을 촬영한다. 촬영유닛(30)은 별도의 중계기(42)를 통하여 관제서버(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은 관제서버(50)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단말기(10, 12)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관제서버(50)가 비상상황이라고 판정하는 경우, 촬영유닛(30)은 관제서버(50)의 제어 하에 비상상황이 발생된 구역을 집중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중계기(40, 42)는 유무선 방식으로 각 수신기(20) 또는 촬영유닛(30)로부터 각각 식별정보와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관제서버(50)에 전달하고, 관제서버(50)의 제어명령을 각 수신기(20) 또는 촬영유닛(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중계기(40, 42)가 무선 감지기(20)와 촬영유닛(30)에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그 이외 차량출입 제어기와 공동현관문 제어기 및 음성 비상유닛을 연결하는 중계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모든 중계기를 메인 중계기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관제서버(50)는 중계기(40, 42)로부터 수신한 다양한 정보에 의해 상황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전달하며, 이를 위해 분석 알고리즘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50)는 단말기(10, 12)의 추적(tracking)을 위하여 기설정된 기준위치에 대한 각 무선 감지기(20)의 수신신호세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가령, 도 2와 같이, 무선 감지기(20)가 지하 주차장의 각 기둥(104)에 설치되었다고 하면, 이동 통로를 따라 기준위치에 단말기(10, 12)가 있다고 가정할 때, 각 무선 감지기(20)가 해당 단말기(10, 12)의 수신신호세기(dB)를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이때, 단말기(10, 12)의 통신거리가 대략 50m 정도이므로 대부분의 무선 감지기(30)에서 서로 다른 수신신호세기로 단말기(10, 12)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정 이상의 수신신호세기에 대해서만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위치 p1에 대해, 기둥 A1에서의 수신신호세기는 -10dB, 기둥 B1에서는 -15dB, 기둥 C1에서는 -20dB, 기둥 A2에서는 -20dB, 기둥 B2에서는 -25dB, 그리고 기둥 C2에서는 -30dB라고 할 때, 임계 수신신호세기를 -20dB로 설정하여 수신신호세기가 -20dB보다 작을 경우 배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둥 A1, A2, B1, B2, 및 C1에 위치한 무선 감지기(20)가 수신한 수신신호세기에 의해 생성되는 수신신호세기 패턴에 의해 기준위치 p1이 정의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52)에는 각 주차구역(102)에 대한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도 저장된다. 각 주차구역(102)은 이동 경로와 달리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전에 각 주차구역(102)마다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정확하게 정의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버(60)는 관제서버(50)와 연결되어 단말기(10, 12)로부터의 정보를 관제서버(5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어 보호자 단말에 환자 출입정보, 주차정보 등을 제공하여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에 대해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 명의 환자만 탑승한 보호자 차량이 지하주차장으로 들어와 주차구역(102)에 주차하고, 공동현관문(106)을 지나 엘리베이터(108)에 탑승하기까지의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지하주차장에는 기둥(104)이 A1 내지 C4가 있고, 각 기둥(104) 사이에 주차구역(102)이 정해진다. 각 기둥(104)에는 무선 감지기(20)가 설치되고, 차량 이동통로에는 촬영유닛(3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X로 표시한 위치는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52)를 제작하기 위한 기준위치를 나타낸다.
<차량의 주차>
도 2와 같이, 보호자 차량이 출입 게이트로 진입하면, 환자 단말기(10)(환자가 탑승한 경우)와 차량에 비치한 차량 단말기(12)는 125㎑의 주파수로 차량 출입게이트에 설치된 차량출입 제어부(100)와 통신한다. 상기한 것처럼, 필요에 따라 환자 단말기(10)가 차량 단말기(12)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환자 단말기(10)와 차량출입 제어부(100)가 통신하지 않을 수 있다.
차량출입 제어부(100)는 차량 단말기(12)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중계기(42)를 통하여 관제서버(50)에 전송하고, 관제서버(50)는 식별정보의 구분정보인 차량번호로부터 등록된 차량임을 판정하여 중계기(42)를 통하여 차량출입 제어부(100)에 바를 개방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관제서버(50)는 홈 네트워크 서버(60)에 환자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환자와 차량이 진입하였음을 통보하고, 홈 네트워크 서버(60)는 보호자 단말에 이를 전송한다.
차량이 출입게이트를 통과하면, 차량 단말기(12)는 무선 감지기(20)와 주기적인 통신을 시작하고, 상기한 것처럼, 무선 감지기(20)는 측정된 차량 단말기(12)의 환자정보와 구분정보, 해당 무선 감지기(20)의 고유식별자 및 측정된 수신신호세기를 중계기(40)를 통하여 관제서버(50)에 전송한다.
관제서버(50)는 사전에 제작된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52)를 이용하여 각 무선 감지기(20)의 고유식별자와 측정된 수신신호세기를 조합하여 수신신호세기 패턴을 생성하고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52)의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비교하여 지하주차장 내 차량의 이동 경로를 판단한다.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52)는 표 1과 같은 구조를 갖는데, 무선 감지기 시퀀스에 대응하는 기준 수신신호세기를 구비하여 기준위치에 대한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작성되는데, 이 예에서는 기준위치 p1 내지 p4에 대한 수신신호세기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기준위치 무선감지기 A1 무선감지기 B1 무선감지기 C1 무선감지기 A2 무선감지기 B2
p1 -10dB -15dB -20dB -20dB -20dB
p2 -10dB -10dB -20dB -20dB -20dB
p3 -10dB -10dB -15dB -20dB -15dB
p4 -5dB -10dB -20dB -15dB -15dB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은 무선 감지기(20)의 순서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무선 감지기(20)의 고유식별자를 참조하여 수신한 수신신호세기를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52)에 배열된 순서로 배열하여 수신신호세기 패턴을 생성한다.
또한, 임계 수신신호세기를 몇 dB로 하느냐에 따라 적용될 무선 감지기(20)의 개수가 달라지며, 이 예에서는 인계 수신신호세기를 -20dB로 설정함으로써 5개의 무선 감지기(20)가 적용되고 있다.
관제서버(50)는 각 무선 감지기(20)로부터 전송된 고유식별자와 수신신호세기를 조합하여 수신신호세기 패턴을 생성하고,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52)의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비교하여 차량 단말기(12)의 실제 위치를 판단한다.
가령, 각 무선 감지기(20)로부터 수신한 수신신호세기에 의한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52)의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에 대응하여 -10dB, -12dB, -18dB, -20dB, 및 -22dB라면, 대략적으로 차량 단말기(12)가 p2에 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무선 감지기(20)에서 측정된 수신신호세기는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52)의 각 무선 감지기별 기준 수신신호세기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고, 기준 수신신호세기를 기준으로 일정한 편차 내에 들더라도 수신신호세기가 같은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어, 각 무선 감지기(20)로부터 수신한 수신신호세기에 의한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52)의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에 대응하여 -4dB, -10dB, -18dB, -16dB, 및 -18dB라면, 대략적으로 차량 단말기(12)가 p4에 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차량이 p2 위치에서 좌회전하였다고 판정한다.
관제서버(50)는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 수행하여 차량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는데, 어느 시점부터 일정 시간동안 유사한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수신되면, 해당 차량이 주차를 시도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주차가 완료되면, 무선 감지기(20)로부터 수신한 수신신호세기에 의해 생성되는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일정할 것이기 때문에, 관제서버(50)는 일정하게 수신되는 수신신호세기 패턴을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52)의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비교하여 어느 주차구역의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같은지를 비교한 후, 주차구역(102a)을 특정하고 저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종래와 달리 보호자가 차량을 주차한 후 주차구역에서 주차 확인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관제서버가 자동으로 정확한 주차구역을 확인하여 저장하게 됨으로써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관제서버(50)는 기둥마다 설치된 음성 비상유닛의 스피커 중 차량이 주차된 주차구역(102a)에 인접한 기둥 A3이나 A4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주차구역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환자의 보호>
도 2에서, 환자와 보호자가 탑승한 차량이 출입 게이트로 진입하면, 환자 단말기(10)는 125㎑의 주파수로 차량 출입게이트에 설치된 차량출입 제어부(100)와 통신한다.
차량출입 제어부(100)는 환자 단말기(10)로부터 식별정보로 환자정보와 구분정보를 수신하여 중계기(42)를 통하여 관제서버(50)에 전송하고, 관제서버(50)는 홈 네트워크 서버(60)에 환자정보와 구분정보(식별번호 1인 환자)를 제공하여, 가령 '1305호 병실 환자인 홍길동'이 진입하였음을 통보하고, 홈 네트워크 서버(60)는 보호자 단말에 이를 전송한다.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어 환자가 차량에서 내려 엘리베이터(108)를 향해 이동을 시작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환자의 이동을 추적한다.
따라서, 관제서버(50)에서는 환자가 단말기의 버튼을 누르는 등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아도 주차장내 환자의 위치를 항상 추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적과정을 진행하면서, 환자 단말기(10)를 감지한 각 무선 감지기(20)로부터 전송되는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일정한 상태로 기설정된 동안 반복되는 경우, 관제서버(50)는 환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시 말해, 차량의 주차구역(102)에 환자가 장시간 머무는 경우, 환자 단말기(10)를 감지한 각 무선 감지기(20)로부터 전송되는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당연히 동일하게 반복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위급상황이라고 판단하지 않지만, 시간 변화에 따라 환자 단말기(10)를 감지한 각 무선 감지기(20)로부터 전송되는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변화하는 도중에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기설정된 동안 동일하게 반복되는 경우, 관제서버(50)는 환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물론, 예외적으로 환자가 위급상황이 아니라 개인적인 문제로 한 장소에 장시간 정지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예외적인 상황까지 포함하여 관제서버(50)가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넓은 범위로 위급상황을 설정하여 어떠한 위급상황도 놓치지 않도록 한다.
관제서버(50)가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면, 중계기(42)를 통하여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위치에 인접한 촬영유닛(30)을 제어하여 해당 위치를 집중적으로 촬영하여 관제센터의 근무자에게 통보한다.
따라서, 관제센터의 근무자는 촬영된 영상을 보면서 상황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가령 구급차를 부르거나 보호자 단말을 통하여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을 가족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가령 환자가 엘리베이터(108)를 타기 위해 이동하는 도중에 심장발작을 일으키거나 상해를 당해 환자 단말기(10)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관제서버(50)가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관제서버(50)에 의해 환자의 이동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공동현관문(106)에 인접하여 설치된 무선 감지기(20)로부터 감지된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위치 pT에 대응하여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된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일치하면, 관제서버(50)는 환자가 공동현관문(106) 바로 앞의 위치 pT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중계기(42)를 통하여 공동현관문 개폐제어부에 공동현관문을 개방하도록 명령을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공동현관문(106)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엘리베이터 호출 위치로 설정할 수 있으며, 관제서버(50)는 공동현관문(106)을 여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환자가 엘리베이터 호출 위치를 통과할 때 엘리베이터(108)를 호출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환자는 공동현관문(106)을 직접 열거나 엘리베이터(108)의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이동 접근에 의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환자가 보호자와 함께 차량을 이용하기 위해 홈에서 나와 엘리베이터(108)에 승차하여 지하주자창에서 하차하는 경우, 환자 단말기(10)는 공동현관문(106)에 인접한 무선 감지기(20)와 최초 통신한다.
관제서버(50)는 이와 같은 상황을 차량을 이용하기 위해 공동현관문(106)을 나오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무선 감지기(20)로부터 전송된 환자정보를 참고하여 기 저장된 주차정보를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DID(미도시)를 통하여 표시함으로써 환자 보호자는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주차구역(102a)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 12: 단말기
20: 무선 감지기
30: 촬영유닛
40, 42: 중계기
50: 관제서버
52: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
60: 홈 네트워크 서버
100: 차량출입 제어부
102: 주차구역
104: 기둥
106: 공동현관문
108: 엘리베이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환자 단말기가 주차장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 감지기와 주기적인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 감지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감지기가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와 해당 무선 감지기의 고유식별자 및 해당 무선 감지기에서 측정한 수신신호세기를 중계기를 통하여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각 무선 감지기별 고유식별자와 수신신호세기를 조합하여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을 생성하고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의 기설정된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비교하여 환자의 이동 경로를 반복하여 판단하는 단계;
    기설정 시간동안 유사한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수신되면,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유사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단말기 위치에서 상기 환자가 비상상황에 있다고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서버가 촬영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 위치를 집중적으로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환자 보호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가 공동현관문에 인접하여 설치된 무선 감지기로부터 감지된 수신신호세기에 의해 생성된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상기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의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일치하는 경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환자가 상기 공동현관문 바로 앞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중계기를 통하여 공동현관문 개폐제어부에 공동현관문을 개방하도록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환자 보호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가 공동현관문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엘리베이터 호출 위치에서 무선 감지기로부터 감지된 수신신호세기에 의해 생성된 측정 수신신호세기 패턴이 상기 수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의 기준 수신신호세기 패턴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일치하는 경우, 상기 관제서버는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환자 보호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공동현관문에 인접한 무선 감지기가 상기 환자 단말기를 최초 감지한 경우,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차량을 이용하려고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공동현관문에 인접한 무선 감지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환자 단말기의 환자정보를 참고하여 기 저장된 주차정보를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DID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환자 보호 방법.
KR1020130126927A 2013-10-24 2013-10-24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2090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927A KR102090120B1 (ko) 2013-10-24 2013-10-24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927A KR102090120B1 (ko) 2013-10-24 2013-10-24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185A KR20150047185A (ko) 2015-05-04
KR102090120B1 true KR102090120B1 (ko) 2020-03-17

Family

ID=5338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927A KR102090120B1 (ko) 2013-10-24 2013-10-24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328B1 (ko) * 2016-09-13 2019-02-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실내 위치 측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 및 서버
KR102317454B1 (ko) * 2021-03-17 2021-10-26 주식회사 서현아이앤씨 스마트 관제 cctv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721B1 (ko) * 2012-06-26 2013-10-0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통신형 위치인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058B1 (ko) * 2010-10-22 2014-11-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ap 위치 추정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721B1 (ko) * 2012-06-26 2013-10-0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통신형 위치인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185A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133B1 (ko) 재난구조로봇을 이용한 재난구조시스템
CN104661889B (zh) 用于控制列车站台门的装置及方法
KR101612745B1 (ko) 현관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170087A (zh) 自动识别进门尾随人员的门禁系统
CN110009867B (zh) 用于检测房间中紧急情况的方法和装置
KR102090120B1 (ko) 요양병원 환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CN108861912B (zh) 一种电梯
KR101265447B1 (ko)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
CN113744439A (zh) 一种智慧安检闸机系统
US20060005045A1 (en) Control system for securit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ing same
JP4057324B2 (ja) ロボット警備システム
CN104919495B (zh) 安全门系统
CN110400396A (zh) 使用移动电话来进行无缝进入和意图识别的系统和方法
KR20150047184A (ko) 어린이집 안심 서비스 시스템 및 안심 서비스 방법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0596B1 (ko) 원패스 비상호출 시스템
KR20180000152A (ko) 재실 감지 장치
US11950899B2 (en) Monitoring system
KR101426686B1 (ko) 원패스 비상호출 시스템 및 방법
US11367333B2 (en) Personal safety verification system
KR101537389B1 (ko) 출입 통제 및 출입 감시 통합 시스템
KR101012738B1 (ko) 철도 역사의 테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18197023A (ja) 駅の警報装置
KR102275661B1 (ko)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0891254B (zh) 基于无线通信的检票方法、终端设备、服务器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