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056B1 -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056B1
KR102090056B1 KR1020180102282A KR20180102282A KR102090056B1 KR 102090056 B1 KR102090056 B1 KR 102090056B1 KR 1020180102282 A KR1020180102282 A KR 1020180102282A KR 20180102282 A KR20180102282 A KR 20180102282A KR 102090056 B1 KR102090056 B1 KR 102090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terial
pressure
cutting
componen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235A (ko
Inventor
이관경
Original Assignee
(주)인코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코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인코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8010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0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2007/013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the work being tubes, rods or lo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재를 성형기에 투입하여 심재를 압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압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심재의 직경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심재가 일정한 길이로 배출된 후 커팅될 때 보다 항상 균일하고 매끈한 커팅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구성부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심재를 제조하기 위한 모재가 투입되면, 모재를 가압하여 일측의 압출구를 통해 심재를 배출시키는 압출기부와; 상기 압출기부의 압출구가 형성된 일측에 설치되어 압출구를 통해 심재가 배출될 때 압출구 주변부를 감압하는 감압구성부와; 상기 감압구성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감압구성부에 의해 감압되어 균일한 직경으로 진행되는 심재를 목적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구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Making and cutting apparatus for makeup pencil}
본 발명은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모재를 성형기에 투입하여 심재를 압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압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심재의 직경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심재가 일정한 길이로 배출된 후 커팅될 때 보다 균일하고 매끈한 커팅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연필은 화장품 재료로 제조된 심재가 내부에 구비된 막대형태의 화장도구이며, 이와 같은 화장연필의 심재는 화장품 재료로 된 모재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압출과정을 실시하여 특정한 길이의 막대 형태로 제작되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1988-0020099호(다색상 펜슬형 화장연필의 심 제조장치, 이하 선행발명)에는 전술된 화장연필의 심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선행발명의 화장연필 심 제조장치는「화장용 연필심을 압출 성형 하는 통상의 제심기에 있어서, 일정압력으로 내심재를 공급하는 제2실린더과, 전기한 제2실린더의 내심다이이 인입 설치되고 외심재 저류부보다 소직경을 이루는 가압실의 선단측에 이보다 좁은 직경의 외심다이를 비치한 제1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전기한 가압실에서 외심재가 내심재의 외주에서 일차 압축되고 외심다이를 통과하여 고밀도로 압축피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발명의 화장연필 심 제조장치는 실린더 내부에 모재를 투입하고 압출하는 과정을 실시하고, 압출구 측에서 심재가 목적하는 길이로 배출되면 심재를 절단하여 제조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를 통해 배출되는 심재는 압출구 측으로 배출되어 압출시 발생된 열과, 외부로 노출시 급격한 압력의 변화에 의해 심재가 팽창되기 때문에 심재 길이방향의 직진도가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후공정 과정에서 심재를 화장연필의 몸체에 삽입할 때 작업불량을 야기시키고, 사용시 다소 상이한 직경에 따른 불균일한 색상(심재의 밀도에 관련된 색상)이 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심재의 절단은 주로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심재를 끊어 내는 수작업 과정에 의해 실시되며,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작업은 심재 절단면의 불량을 야기할 뿐만아니라, 절단면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후공정으로 절단면을 다듬는 불편한 과정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 수작업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커터장치를 토출구 일측에 설치하여 커팅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커터장치에 의한 작업은 수작업에 비해 불량의 빈도수가 낮기는 하지만 심재의 절단면 불량은 여전히 잔류하여 보다 전문적인 커팅장치의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모재를 성형기에 투입하여 심재를 압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압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심재의 직경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심재가 일정한 길이로 배출된 후 커팅될 때 보다 균일하고 매끈한 커팅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각 구성부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심재를 제조하기 위한 모재가 투입되면, 모재를 가압하여 일측의 압출구를 통해 심재를 배출시키는 압출기부와; 상기 압출기부의 압출구가 형성된 일측에 설치되어 압출구를 통해 심재가 배출될 때 압출구 주변부를 감압하는 감압구성부와; 상기 감압구성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감압구성부에 의해 감압되어 균일한 직경으로 진행되는 심재를 목적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구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출기부는, 일측에 모재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모재를 압축하여 진행시키기 위한 압축공간이 형성되며, 끝단부에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모재가 목적하는 직경의 막대형태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압출노즐이 결합된 압출실린더와; 상기 압출실린더와 이격설치되어 압출실린더 내부로 모재가 투입되면, 상기 압출실린더의 압축공간으로 피스톤이 진행되도록 하여 모재를 압출노즐로 압축시키며 진행시켜 압출노즐을 통해 심재가 압출되며 배출되도록 하는 압축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압구성부는, 압출기부의 압출구가 형성된 단부에 결합되어 압출구를 통해 배출된 심재를 일정길이 진행시키며 예열하는 예열관부와; 상기 예열관부의 내측에 장착되어 심재 배출시 압출구 측에서 발생된 압력에 의해 압력이 충진된 예열관부 내부의 압력을 재차 감압시키며 심재가 통과되도록 하는 감압노즐과; 상기 감압노즐이 장착된 예열관부 지점의 내부에서 확장된 내경으로 형성되어 감압노즐에 의해 감압된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한 압분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커팅구성부는, 감압구성부의 심재가 배출되는 끝단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심재가 통과되며 커팅될 공간을 제공하는 커팅노즐과; 상기 커팅노즐의 일측에 배치되어 심재를 커팅하기 위한 커터를 커팅노즐의 심재가 진행되는 내측까지 인출입시키도록 한 커팅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팅기구는 감압구성부에 결합된 브래킷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감압구성부와 커팅구성부가 일체화 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출구에 설치된 감압구성에 의해 심재가 압출되어 배출될 때의 직경이 항상 일정하게 되어 심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직직도가 향상되므로써, 이후 공정에서 화장연필을 제조할 때의 작업성이 우수하고 화장연필을 사용할 때의 색상이 항상 균일해져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출구에 설치된 감압구성과 함께 설치된 전용의 절단구성에 의해 심재의 절단면이 보다 매끄럽게 형성되어 별도의 후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심재 제조를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심 커팅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심 커팅장치의 감압 커팅부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심 커팅장치의 감압 커팅부 확대 측면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심 커팅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심 커팅장치의 감압 커팅부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심 커팅장치의 감압 커팅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는 프레임(10), 압출기구(20), 감압구성부(30), 커팅구성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각 구성부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프레임(10)은 압출기부(20)가 상부에 설치된 테이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압출기부(20)는 프레임(10) 상에 설치되어 심재를 제조하기 위한 모재(1)가 투입되면, 모재(1)를 가압하여 일측의 압출구(P)를 통해 심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압출기부(20)는 압출실린더(21), 압축구동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출실린더(21)는 일측에 모재(1)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23)가 형성된 원통체 형태의 구성이다. 이와 같은 압출실린더(21)는 내부에서 모재(1)를 압축하여 진행시키기 위한 압축공간(24)이 형성되며, 끝단부에 압축공간(24)에서 압축된 모재(1)가 목적하는 직경의 막대형태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압출노즐(25)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특히, 상기 압출노즐(25)의 끝단부에서 심재를 목적하는 직경의 막대형태로 배출시키기 위한 압출구(P)가 형성된 것임은 당연하며, 상기 압출실린더(21)는 모재를 압출할 때 특정의 열원에 의해 가열되며 압출이 실시되도록 하기 위해 히터 등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주지된 사항으로 이상의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압축구동부(22)는 압출실린더(21)와 이격설치된 유/공압 구동 실린더로 구성된다. 이러한 압축구동부(22)는 압출실린더(21) 내부로 모재(1)가 투입되면, 상기 압출실린더(21)의 압축공간(24)으로 피스톤(26)이 진행되도록 하여 모재(1)를 압출노즐(25)로 압축시키며 진행시켜 압출노즐(25)을 통해 심재가 압출되며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피스톤(26)은 유/공압 구동 실린더에 결합되어 직선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감압구성부(30)는 압출기부(20)의 압출구(P)가 형성된 일측에 설치되어 압출구(P)를 통해 심재가 배출될 때 압출구(P) 주변부를 감압하여 항상 균일한 직경, 즉 길이방향으로 직진도가 우수한 심재를 제조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감압구성부(30)는 예열관부(31), 감압노즐(32), 압분산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예열관부(31)는 압출기부(20)의 압출구(P)가 형성된 단부에 결합되어 압출구(P)를 통해 배출된 심재를 일정길이 진행시키며 예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예열관부(31)는 상온에서 심재를 예열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외부에서 공기 또는 물을 공급받는 공냉/수냉식 메탈자켓 형태의 구성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감압노즐(32)은 예열관부(31)의 내측에 장착되어 심재 배출시 압출구(P) 측에서 발생된 압력에 의해 압력이 충진된 예열관부(31) 내부의 압력을 재차 감압시키며 심재가 통과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감압노즐(32)의 구성에서 심재가 내측으로 통과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진 것임은 당연하다.
상기 압분산부(33)는 감압노즐(32)이 장착된 예열관부(31) 지점의 내부에서 확장된 내경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압분산부(33)는 감압노즐(32)에 의해 감압된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한 구성으로, 상기 압분산부(33)를 심재가 통과할 때에는 외부의 압력과 큰 차이가 없는 상시의 압력으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팅구성부(40)는 감압구성부(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감압구성부(30)에 의해 감압되어 균일한 직경으로 진행되는 심재를 목적하는 길이로 절단하도록 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커팅구성부(40)는 커팅노즐(41), 커팅기구(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팅노즐(41)은 감압구성부(30)의 심재가 배출되는 끝단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심재가 통과되며 커팅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심재가 통과되는 중공에서 외면까지 후술될 커팅기구(42)의 커터(44)가 인출입하여 심재를 절단하기 위한 커팅홈(43)이 형성된다.
상기 커팅기구(42)는 커팅노즐(41)의 일측(커팅홈이 형성된 측)에 배치되어 심재를 커팅하기 위한 커터(44)를 커팅노즐(41)의 심재가 진행되는 내측까지 인출입시키도록 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커팅기구(42)는 유/공압의 실린더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감압구성부(30)와 커팅구성부(40)는 브래킷(45)에 의해 일체화 구성되는데, 상기 브래킷(45)은 일측이 감압구성부(30)의 예열관부(31)에 결합되고, 그 타측에 커팅기구(42)가 설치되도록 한 연결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는 모재(1)가 압출실린더(21)의 투입구(23)에 투입되면, 압축구동부(22)가 구동되어 피스톤(26)이 압출실린더(21)의 압축공간(24)으로 투입 진행되고, 상기 피스톤(26)의 진행에 의해 모재(1)는 압출실린더(21)의 압출노즐(25)로 가압되어 압출노즐(25)의 압출구(P)를 통해 심재가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압출구(P)를 통해 배출되는 심재는 예열관부(31)를 통과하며 예열되는데, 이때, 상기 예열관부(31)의 내부는 감압노즐(32)과 압분산부(33)의 구성에 의해 압출구(P) 주변에서 발생되는 압력은 상당한 수준으로 감압되어 상기 심재는 균일한 직경, 즉 길이방향의 직진도가 우수한 상태로 진행된다.
이후, 상기 감압구성부(30)를 통과한 심재는 커팅노즐(41)을 통과하며, 커팅기구(42)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심재가 완성되는데, 상기 커팅노즐(41)은 커팅기구(42)에 의해 심재가 절단될 때의 진동이나 밀림 등을 방지하여 심재의 절단면이 보다 매끄럽고 균일하게 형성되어 심재의 완성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10: 프레임 20: 압출기부
21: 압출실린더 22: 압축구동부
30: 감압구동부 31: 예열관부
32: 감압노즐 33: 압분산부
40: 커팅구성부 41: 커팅노즐
42: 커팅기구

Claims (5)

  1. 각 구성부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상에 설치되어 심재를 제조하기 위한 모재(1)가 투입되면, 모재(1)를 가압하여 일측의 압출구(P)를 통해 심재를 배출시키는 압출기부(20)와; 상기 압출기부(20)의 압출구(P)가 형성된 일측에 설치되어 압출구(P)를 통해 심재가 배출될 때 압출구(P) 주변부를 감압하는 감압구성부(30)와; 상기 감압구성부(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감압구성부(30)에 의해 감압되어 균일한 직경으로 진행되는 심재를 목적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구성부(40);를 포함하며,
    상기 감압구성부(30)는, 압출기부(20)의 압출구(P)가 형성된 단부에 결합되어 압출구(P)를 통해 배출된 심재를 일정길이 진행시키며 예열하는 예열관부(31)와; 상기 예열관부(31)의 내측에 장착되어 심재 배출시 압출구(P) 측에서 발생된 압력에 의해 압력이 충진된 예열관부(31) 내부의 압력을 재차 감압시키며 심재가 통과되도록 하는 감압노즐(32)과; 상기 감압노즐(32)이 장착된 예열관부(31) 지점의 내부에서 확장된 내경으로 형성되어 감압노즐(32)에 의해 감압된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한 압분산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부(20)는
    일측에 모재(1)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23)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모재(1)를 압축하여 진행시키기 위한 압축공간(24)이 형성되며, 끝단부에 압축공간(24)에서 압축된 모재(1)가 목적하는 직경의 막대형태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압출노즐(25)이 결합된 압출실린더(21)와;
    상기 압출실린더(21)와 이격설치되어 압출실린더(21) 내부로 모재(1)가 투입되면, 상기 압출실린더(21)의 압축공간(24)으로 피스톤(26)이 진행되도록 하여 모재(1)를 압출노즐(25)로 압축시키며 진행시켜 압출노즐(25)을 통해 심재가 압출되며 배출되도록 하는 압축구동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구성부(40)는
    감압구성부(30)의 심재가 배출되는 끝단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심재가 통과되며 커팅될 공간을 제공하는 커팅노즐(41)과;
    상기 커팅노즐(41)의 일측에 배치되어 심재를 커팅하기 위한 커터(44)를 커팅노즐(41)의 심재가 진행되는 내측까지 인출입시키도록 한 커팅기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구(42)는
    감압구성부(30)에 결합된 브래킷(45)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감압구성부(30)와 커팅구성부(40)가 일체화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
KR1020180102282A 2018-08-29 2018-08-29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 KR102090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282A KR102090056B1 (ko) 2018-08-29 2018-08-29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282A KR102090056B1 (ko) 2018-08-29 2018-08-29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235A KR20200025235A (ko) 2020-03-10
KR102090056B1 true KR102090056B1 (ko) 2020-03-17

Family

ID=6980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282A KR102090056B1 (ko) 2018-08-29 2018-08-29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5732B (zh) * 2020-07-03 2021-11-16 王展威 一种山药裁切用等量切段装置
CN112588651B (zh) * 2020-11-26 2022-04-22 金乡县圣亚达铅笔有限公司 一种铅笔笔芯加工用夹持输送设备
CN113352679A (zh) * 2021-05-12 2021-09-07 广州笔匠化妆品有限公司 一种新式眉笔芯挤压成型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902A (ja) * 1999-10-25 2001-05-11 Konica Corp 光学素子、光学ユニット、光学素子を有する成形品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853297B1 (ko) * 2007-05-14 2008-08-20 화성화학 주식회사 화장용구의 심체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8695A (ko) * 2016-05-13 2017-11-23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고무 호스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902A (ja) * 1999-10-25 2001-05-11 Konica Corp 光学素子、光学ユニット、光学素子を有する成形品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853297B1 (ko) * 2007-05-14 2008-08-20 화성화학 주식회사 화장용구의 심체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235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056B1 (ko) 화장연필용 제심 커팅장치
US3737151A (en) Injection press
US3263276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2573440A (en) Apparatus for plasticizing plastic material
US2512506A (en) Method of preparing artificial sponges
JP6933951B2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の混練方法および可塑化装置
CN106180234A (zh) 一种低速铝型材挤压机
DE10200904883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polymerer Hohlkörper
US5744092A (en) Axially movable cluster conduits for plastic processing in a screw machine
US4008063A (en) Apparatus for producing blown hollow glass objects
JPH11188749A (ja) 成形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285328A (en) Machine for making seamless tubing of metal, pulp, or other materials.
US3234597A (en) Homogenizing device for thermoplastic materials worked in extrusion machines and the like
DE303224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ormlings mit vorerhitzung des formguts
US2879544A (en)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pencils
JP2019198993A (ja) 射出成形機および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US4462782A (en) Injection sleeve molding machine
JPH0976328A (ja) 長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の押出成形方法及び押出成形装置
US5932154A (en) Process of making a plastic part with a retrofitted screw machine
KR200292848Y1 (ko) 벨로우즈 성형장치
DE2348006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aus treibmittelhaltigem,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1599274A (en) A corpora
EP0695611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profilierten, rohrförmigen Presslingen aus plastischem Material wie Ton und dergleichen
CN204687283U (zh) 一种螺杆式注塑装置
US2228721A (en) Machine and process for making linear molding of synthetic plastic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