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980B1 -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해안침식 방지 해안 녹화방법 - Google Patents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해안침식 방지 해안 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980B1
KR102089980B1 KR1020170118082A KR20170118082A KR102089980B1 KR 102089980 B1 KR102089980 B1 KR 102089980B1 KR 1020170118082 A KR1020170118082 A KR 1020170118082A KR 20170118082 A KR20170118082 A KR 20170118082A KR 102089980 B1 KR102089980 B1 KR 10208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osion prevention
vegetation mat
vertical
head
e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533A (ko
Inventor
김동표
Original Assignee
산 조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 조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 조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8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9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5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vegetable material, e.g. wood, r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10Vegetative propagation by means of cut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5Dry fruit hulls or husks, e.g. chaff or co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ve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용 식생매트(M) 및 이를 이용한 해안침식 방지 해안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해안침식 방지 해안 녹화방법은, 식생매트(M)에 수분 및 영양제를 공급하는 제 1단계(S100)와; 이대뿌리(R)를 절단하여 다수의 뿌리(R)를 준비하는 제 2단계(S110)와; 준비된 이대뿌리(R)를 식생매트(M)에 살포하고, 흙을 덮어서 발아시키는 제 3단계(S120)와; 그리고 식생매트(M)를 성장시키는 제 4단계(S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해안침식 방지 해안 녹화방법{Planting mat and method for green plantin by Ecomat}
본 발명은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해안침식 방지 해안 녹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생매트에 수분 및 영양제를 공급하고, 이대 뿌리를 절단하여 다수의 이대 뿌리를 야재매트에 살포하고, 상부에 흙을 덮어서 발아시킨 후 해안에 설치하여 성장시킴으로써 다수의 이대가 쉽게 자랄 수 있도록 하여 해안 녹화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단기간내에 쉽게 녹화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근래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변화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로 인해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해상에도 심한 기후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그 중 해일, 고파랑, 이안류 등에 따른 해안침식이 갈수록 심각할 정도로 심화되고 있다.
또한, 해안 침식은 폭풍 등의 기상조건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발생하거나, 연속적인 파랑에너지와 조수간만의 차에 의하여 장기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해안침식 중 풍식을 방지하고자 많은 자원을 들여 방파제 등을 건설하고 있지만 무분별한 설치로 인하여 인근 연안의 해양자원은 갈수록 더욱 황폐화되고 있으며, 이는 어민소득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풍식을 방지하고자 해안가에 모래포집기를 설치함으로써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안도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구성이 줄어들어 결국 백사장의 폐기물이 되어 경관을 해치게 되고 생태적으로도 좋지 않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공법이 제안되고 있는 바, 예들 들면 코어 네트를 이용한 씨드 스프레이(seed spray) 공법과 녹생토, 씨앗부착거적덮기, 씨악부착백, 암절개지 천공 후 식물식재 등 다양한 법면 녹화공법이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시공되는 녹생토 등의 유사한 공법은 즉, 사면에 코팅 철망을 고정시킨 후 씨앗이 함입된 토탄슬러지를 콤프레셔를 통해 고압으로 분사하여 사면에 고착시키게 되면 씨앗이 자연발아되어 성장함으로써 사면에 식생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씨앗이 발아하여 성장하면서 최초 초본류의 군락이 형성된 후 관목군락(灌木群落)이 되고, 다시 양수림(陽樹林)으로 바뀌며, 이곳에 음수(陰樹)가 침입하여 최후에는 그 지방의 기후조건과 평형을 이룬 음수림이 되는 자연적인 천이를 거쳐야만 하므로 시간이 매우 오래 소요되고 초본류 단계에서는 통기(通氣)저하로 하고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녹생토 등 유사공법은 토양개량 및 미생물 활성화 관련기술 미흡으로 원지반의 토양유사성이 떨어지고 종자의 휴면 및 발아처리의 어려움, 적용식물의 종류제한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토양정착시 이용되는 코팅철망은 식물뿌리(R) 착근과 수목 근경 비대시 생육에 커다란 장해가 되며 부식되지 않는 소재이므로 환경적으로 사용을 지양해야 할 소재이다.
특허출원 제10-2014-23112호(명칭: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 특허출원 제10-2010-22092호(명칭: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다목적 해안 침식방지블록)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고자, 식생매트에 수분 및 영양제를 공급하고, 이대 뿌리를 절단하여 다수의 이대 뿌리를 야재매트에 살포하고 그 위에 흙을 덮어서 발아시킨 후, 해안에 설치하여 성장시킴으로써 다수의 이대가 쉽게 자랄 수 있어서 해안 녹화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단기간내에 쉽게 녹화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생매트(M)에 수분 및 영양제를 공급하는 제 1단계(S100)와;
이대뿌리(R)를 절단하여 다수의 뿌리(R)를 준비하는 제 2단계(S110)와;
준비된 이대뿌리(R)를 식생매트(M)에 살포하여 일정기간 성장시키는 제 3단계(S120)와; 그리고
식생매트(M)를 일정한 형상으로 하여 해안에 설치하는 제 4단계(S130)를 포함하는 식생매트(M)를 이용한 해안 녹화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식생매트(M)에 수분 및 영양제를 공급하고,
이대뿌리(R)를 절단하여 다수의 뿌리(R)를 준비한 후,
준비된 이대뿌리(R)를 식생매트(M)에 살포하여 일정기간 성장시켜서 형성되는 식생매트(M)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수개의 침식방지 블록(3)이 열을 이루어 암수방식으로 배치되어 모래 혹은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식 방지부(5)와;
다수개의 침식방지 블록(3) 사이에 배치되어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7)와;
다수개의 침식방지 블록(3) 사이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확보된 식생부(9)와; 그리고
최상단에 배치되어 이대 군락을 조성하는 식생매트(M)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식생매트에 수분 및 영양제를 공급하고, 이대 뿌리를 절단하여 다수의 이대 뿌리를 야재매트에 살포하고 상부에 상토를 뿌려서 덮어줌으로써 다수의 이대가 쉽게 자랄 수 있어서 해안 녹화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단기간내에 쉽게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식생매트를 야자 등의 친환경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시공후에 이대가 뿌리를 내릴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셋째, 다수의 이대 뿌리가 성장하여 군락을 형성함으로써 해안 추이대(Ecotone) 지역의 생태 건전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종 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넷째, 이대군락으로 인하여 조류의 서식처인 비오톱(biotope)을 조성할 수 있고, 풍식에 의한 모래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다수의 이대가 군락을 이룸으로써 바람에 의하여 비산되는 먼지 등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구조는 시간이 경과할 수도록 더욱 안정화될 수 있다.
여섯째, 해안가에 이대군락이 넓은 면적으로 조성됨으로써 주위의 경관이 좋아지고, 게, 거북과 같은 해양 생물들의 산란장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가 해안사면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생매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생매트가 해안사면의 표토상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식생매트에서 이대가 성장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식생매트의 다른 실시예로서, S자형상으로 해안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안 녹화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소파부로서, 식생매트를 해안에 설치하되, 침식방지 구조물과 같이 연관되어 배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다수개의 침식 방지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침식 방지블록이 서로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침식 방지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침식 방지블록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이동통로 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식생매트(M)를 이용한 해안 녹화방법은 식생매트(M)에 수분 및 영양제를 공급하는 제 1단계(S100)와; 이대뿌리(R)를 절단하여 다수의 뿌리(R)를 준비하는 제 2단계(S110)와; 준비된 이대뿌리(R)를 식생매트(M)에 살포하고, 흙으로 덮어서 발아시키는 제 3단계(S120)와; 식생매트(M)를 해안에 설치하고 성장시키는 제 4단계(S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해안 녹화 방법에 있어서, 제 1단계(S100)에서는 식생매트(M)를 준비하고 이 식생매트(M)에 수분 및 영양제를 공급하게 된다.
즉, 식생매트(M)는 친환경 소재의 매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코코넛 섬유질, 마닐라 삼 혹은 야자 섬유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코코넛 섬유질, 마닐라삼 및 야자 섬유질은 가볍고 강하며 수분에 대하여 내구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천연식물로 제조된 것이므로, 자연상태에서도 일정기간, 즉 묘목이 뿌리(R)를 내려서 완전히 사면에 고착될 정도의 시간동안 묘목을 지지해줄 수 있으며, 자연상태에서 분해되어서도 식물의 비료가 될 수 있음으로 본 발명에 적합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소재이면서도 매우 환경친화적인 소재이다.
그리고, 식생매트(M)에 영양제를 미리 공급함으로써 추후 이대뿌리(R)가 살포될 때 보다 유리한 성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영양제는 액상으로서 염분, 염료, 발근 촉진제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액상의 영양제가 식생매트(M)에 살포되는 경우 영양제는 식생매트(M)에 흡수됨으로써 이대뿌리(R)가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제 2단계(S11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대뿌리(R)를 절단하고, 이 다수의 뿌리(R)들을 식생매트(M)에 살포하게 된다.
이대는 벼과의 이대속(Pseudosasa)에 속하며, 늘푸른 넓은잎 큰대나무로 키 2~5m에 지름 1.5㎝ 정도로 가늘고 곧게 자란다. 이러한 이대는 토질이 좋고 물이 잘 빠지는 양지바른 모래땅, 묵은 밭둑에 주로 서식하며 뿌리(R)로 번져 군락을 이룬다.
그리고, 이대의 뿌리(R)는 다수 갈래로 뻗어서 성장하며, 뿌리(R)만을 절단한 후 이 뿌리(R)를 땅에 심어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대의 뿌리(R)를 절단하면, 다수의 뿌리(R)가 발생하는 바, 제 3단계(S120)에서는 이 다수의 뿌리(R)를 식생매트(M)에 살포하여 발아시키게 된다.(도 3참조)
이때, 이대 뿌리(R)가 살포되는 밀도는 1m2 면적에 약 10개 정도를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밀도로 살포하면, 대략 이대 1주에서 발생하는 뿌리(R)가 약 20m2를 차지할 수 있다.
이때, 이대 뿌리(R)는 작업자가 인력으로 절단하거나, 혹은 전동 방식에 의하여 구동하는 절단기에 의하여 절단될 수도 있다.
또한, 식생매트(M)는 해안 등으로 이동하기 쉽게 일정 크기로 절단한다.
그리고, 식생매트(M)에 살포된 다수의 뿌리(R)의 상부에 흙을 덮어서 발아시키게 된다. 따라서, 흙으로 덮여진 이대 뿌리(R)는 기 공급된 수분 및 영양제에 의하여 성장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 기간 성장 하여, 약 5cm 정도 성장하면 식생매트(M)를 설치하고 성장시키는 제 4단계(S130)가 진행된다.
제 4단계(S13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로 성장한 이대 뿌리(R)가 토착된 식생매트(M)를 해안가 혹은 침식이 우려되는 장소에 설치하고 이대를 성장시킴으로써 방풍 혹은 침식을 방지할 수 있다.
식생매트(M)가 해안가 등에 설치되면, 이대뿌리(R)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게 되고, 일정 높이까지 성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성장한 이대는 해안의 모래 혹은 산비탈의 연약지반 등에 고착됨으로써 녹화 효과 및 사면 안정 효과가 조기에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대는 바람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방풍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식생매트(M)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파블록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소파기능 및 방풍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파블록의 상측에 식생매트(M)가 설치되어 이대 군락이 조성됨으로써 소파구간과, 전방의 풍식 방지 구간과, 식생구간과, 후방의 풍식방지 후면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파도가 소파블록에 충돌함으로써 1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될 수 있고, 소파블록을 넘은 파도가 2차적으로 이대 군락에 의하여 잔여 충격이 흡수될 수 있으며, 또한 바람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식생매트(M)의 후방에 맹암거(K)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식생매트(M)는 코코넛 섬유질, 야자 섬유질, 마닐라 삼과 같이 섬유질로 제조되므로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함으로써 장소의 형상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매트(M)를 해안 사면에 S자 형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혹은 사선 형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설치 장소의 형상 혹은 환경에 따라서 적절하게 형상을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매트를 침식방지 구조물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파도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소파기능과, 식생매트에 의한 풍식방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침식방지 구조물은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안가나 도로주변의 사면에 다수개의 침식방지 블록(3)이 암수방식으로 배치되어 모래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식 방지부(5)와; 다수개의 침식방지 블록(3) 사이에 배치되어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7)와; 다수개의 침식방지 블록(3) 사이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확보된 식생부(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침식방지 구조물(1)에 있어서, 침식 방지부(5)는 해안 이나 도로의 사면에 계단형상의 층구조로 배치될 수 있는 바, 해안사면에 배치되는 경우는 모래가 파도에 의하여 쓸려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파도가 충돌할 때의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고, 도로 주변의 절개지에 배치되는 경우는 절개지의 토사가 쓸려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침식 방지부(5)를 구성하는 다수의 침식방지 블록(3)은 친환경 재질로 형성되는 바, 예를 들면 개질 유황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침식 방지부(5)는 다수개의 침식방지 블록(3)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침식방지 블록(3)은 해안사면에 접촉하는 베이스(Base;11)와; 베이스(11)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헤드(Head;13)와; 베이스(11)의 상면에 돌출되어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저면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돌기(15)와; 헤드(13)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돌기(15)가 삽입되는 삽입구(17)를 포함한다.
베이스(11)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해안 사면이나 도로 주변의 경사면에 배치되며, 이웃한 침식방지 블록(3)이 얹혀짐으로써 계단형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홀(33)이 형성됨으로써 식생부(9)를 형성한다.
즉, 베이스(11)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33)이 형성되며, 예를 들면 4개의 관통홀(33)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33)은 염생식물 등의 식물이 뿌리를 내림으로써 착근할 수 있다.
이때, 관통홀(33)은 베이스(11)상에 이웃한 침식 방지블록(3a)이 적층될 때,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침식 방지블록(3)의 베이스(11) 상부에 이웃한 침식 방지블록(3a)이 적층될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웃한 침식 방지블록(3a)의 헤드(13)에는 제 1경사면(23)이 형성되는 바, 제 1경사면(23)에 인접한 베이스(11)상에는 공간(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공간(34)에 관통홀(33)이 형성됨으로써, 이 관통홀(33)을 가려지지 않게 되고,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식물은 관통홀(33)에 직접 뿌리를 내릴 수도 있지만, 토낭을 통하여 식생할 수도 있다.
즉, 마닐라삼 등의 소재로 된 로프(rope)로 주머니 형상의 토낭을 직조하고, 이 토낭의 내부에 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33)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예를 들면 2개, 3개, 혹은 4개 이상도 가능하다.
또한, 관통홀(33)은 물이 통하여 하부로 배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베이스(11)의 선단에는 헤드(13)가 형성되는 바, 이 헤드(13)는 파도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킨다.
이러한 헤드(13)는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수직면(18)과;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수직면(19)과;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수직면(21)과; 제 1수직면(18)과 한 쌍의 제 3수직면(21)의 사이에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각각 경사지는 제 1경사면(23)과; 제 1수직면(18)과 상면(27)의 사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 2경사면(25)과; 상면(27)과 한 쌍의 제 3수직면(21)의 사이에 형성되며 경사지는 제 3경사면(29)과; 제 2경사면(25)과 한 쌍의 제 3경사면(29)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4경사면(31)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13)에는 다수의 경사면(23,25,29,31)이 사방에 형성됨으로써 파도가 이 경사면(23,25,29,31)에 충돌할 때, 경사면(23,25,29,31)을 따라 상향으로 흐르게 된다. 특히 제 2경사면(25)은 파도의 충돌을 사방으로 분사시키게 된다.
그리고, 앞열에 배치된 침식방지 블록(3)의 헤드(13)의 제2 경사면(25)에 파도가 충돌하여 상향으로 흐른 후에는 그 다음열에 배치된 침식방지 블록(3a)의 헤드(13) 경사면(25a)에 연속적으로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도가 다수열로 배치된 침식방지 블록(3,3a,3b)의 경사면(25,25a,25b)에 연속적으로 충돌하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파력이 점차로 흡수될 수 있다.
이때, 헤드(13)의 높이와 경사면이 베이스(11)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열의 경사면(25)에 충돌한 파도가 상향으로 흐른 후 뒷열의 경사면(25a)에 연속적으로 충돌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 및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헤드(13)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 1수직면(18)의 높이(h1)는 헤드(13)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 2수직면(19)의 높이(h2)와 동일하다. 따라서, 침식방지 블록(3)의 베이스(11)에 다른 침식방지 블록(3a)을 적치하였을 때, 다른 침식방지 블록(3a)의 수직면(24)은 침식방지 블록(3)의 제 2수직면(19)과 동일한 높이(h2)에 도달하고, 그 이상 높이 구간에는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경사면(25a)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각 침식방지 블록(3)의 경사면 각도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다수의 침식방지 블록(3)이 결합된 상태를 전방에서 보면 제 2경사면(25)과 제 4경사면(31)만이 보이게 된다.
따라서, 침식 방지부(5)에 도달한 침식방지 블록(3)은 앞열 침식방지 블록(3)의 경사면을 타고 상향으로 흐른 후, 뒷열에 배치된 침식방지 블록(3a)의 수직면에 충돌하는 것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경사면을 연속적으로 타고 상향으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15)는 베이스(11)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이웃한 침식방지 블록(3)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17)에 결합된다.
이러한 돌기(15)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육면체, 원통형, 삼각기둥, 오각기둥, 다각기둥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돌기(15)가 삽입되는 삽입구(17)도 돌기(15)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돌기(15)가 육면체인 경우는 삽입구(17)도 육면체 형상을 가짐으로써 돌기(15)가 삽입구(17)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침식방지 블록(3)을 해안 이나 도로의 사면에서 순차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침식 방지부(5)를 형성하고, 침식 방지부(5)의 사이 사이에는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7)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 통로(7)는 침식 방지부(5)의 사이에 가로방향 혹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이러한 이동 통로(7)는 다수개의 이동블록(10)이 일열로 배치되고, 또한 침식방지 블록(3)과 암수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동블록(10)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식방지 블록(3)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바, 베이스(Base;40)와; 베이스(40)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헤드(Head;42)와; 베이스(40)에 돌출되는 돌기(44)를 포함한다.
헤드(42)는 육면체 형상이며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침식방지 블록(3)이 일열로 배치되어 이동 통로(7)를 형성할 때, 편평한 헤드(42)의 상면(43)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쉽게 밟고 보행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42)는 앞열의 침식방지 블록(3)의 베이스(11)에 안착되며, 헤드(13)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이동블록(10)의 베이스(42) 상에는 뒷열의 침식방지 블록(3c;도1)이 얹혀진다.
결국, 이동블록(10)은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침식방지 블록(3,3c;도1)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암수결합 구조를 이루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42)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홀(46)이 형성된다. 이 관통홀(46)은 베이스(42)의 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배수의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이동블록(10)의 저면에는 삽입구(47)가 형성됨으로써 다른 블록과 암수 결합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최상단에 식생매트(M)가 설치됨으로써 이대 군락을 조성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다수개의 침식방지 블록(3)이 열을 이루어 암수방식으로 배치되어 모래 혹은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식 방지부(5)와;
    다수개의 침식방지 블록(3) 사이에 배치되어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7)와;
    다수개의 침식방지 블록(3) 사이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확보된 식생부(9)와; 그리고
    최상단에 배치되어 이대 군락을 조성하는 식생매트(M)를 포함하며,
    식생매트(M)에 의하여 이대 군락을 조성할 때,
    식생매트(M)에 수분 및 영양제를 공급하고,
    이대뿌리(R)를 절단하여 다수의 뿌리(R)를 준비한 후,
    준비된 이대뿌리(R)를 식생매트(M)에 살포하여 성장시켜서 이대 군락을 조성함으로써 바람을 차단하고,
    침식 방지부(5)는 다수개의 침식방지 블록(3)으로 이루어지는 바, 침식방지 블록(3)은 해안사면에 접촉하는 베이스(Base;11)와; 베이스(11)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헤드(Head;13)와; 베이스(11)의 상면에 돌출되어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저면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돌기(15)와; 헤드(13)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돌기(15)가 삽입되는 삽입구(17)를 포함하며,
    헤드(13)는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수직면(18)과;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수직면(19)과;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수직면(21)과; 제 1수직면(18)과 한 쌍의 제 3수직면(21)의 사이에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각각 경사지는 제 1경사면(23)과; 제 1수직면(18)과 상면(27)의 사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 2경사면(25)과; 상면(27)과 한 쌍의 제 3수직면(21)의 사이에 형성되며 경사지는 제 3경사면(29)과; 제 2경사면(25)과 한 쌍의 제 3경사면(29)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4경사면(31)을 포함하며,
    헤드(13)의 제 1수직면(18)의 높이(h1)와 헤드(13)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 2수직면(19)의 높이(h2)는 동일함으로써, 침식방지 블록(3)의 베이스(11)에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을 적치하였을 때,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제 1수직면(18)은 침식방지 블록(3)의 제 2수직면(19)과 동일한 높이에 도달하고, 그 이상 높이 구간에는 다른 침식방지 블록(3)의 경사면이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 방지 구조물(1).
  6. 삭제
KR1020170118082A 2017-09-14 2017-09-14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해안침식 방지 해안 녹화방법 KR10208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82A KR102089980B1 (ko) 2017-09-14 2017-09-14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해안침식 방지 해안 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82A KR102089980B1 (ko) 2017-09-14 2017-09-14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해안침식 방지 해안 녹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533A KR20190030533A (ko) 2019-03-22
KR102089980B1 true KR102089980B1 (ko) 2020-03-17

Family

ID=6594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082A KR102089980B1 (ko) 2017-09-14 2017-09-14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해안침식 방지 해안 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283B1 (ko) 2020-08-04 2021-05-12 주식회사 일림 생태복원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298B2 (ja) * 1992-04-07 2000-06-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具
KR200240391Y1 (ko) * 2001-04-18 2001-10-11 정비희 블록형 식생망태
KR101698069B1 (ko) * 2016-08-03 2017-01-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보강구조를 갖는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의 적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298U (ja) * 1998-04-21 1999-01-12 錦二 新井 被覆連接ブロック
KR100650501B1 (ko) * 2005-03-11 2006-11-29 주식회사 한길 환경친화형 친수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4412399B2 (ja) 2007-12-06 2010-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異常検出装置
KR101081389B1 (ko) * 2009-07-01 2011-11-08 이재환 토사침식방지와 조기식생,활착을 위한 무복토 활성탄 식생매트와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23112A (ko) 2012-08-17 201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298B2 (ja) * 1992-04-07 2000-06-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具
KR200240391Y1 (ko) * 2001-04-18 2001-10-11 정비희 블록형 식생망태
KR101698069B1 (ko) * 2016-08-03 2017-01-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보강구조를 갖는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의 적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283B1 (ko) 2020-08-04 2021-05-12 주식회사 일림 생태복원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533A (ko)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658B1 (ko) 해안사구 생태복원 구조
CN105926533B (zh) 一种植入型生态固滩方法
JP2011526973A (ja) 河川護岸及び法面保護用植生マット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固定装置
CN101761086A (zh) 路基边坡的三维网绿化技术
CN105706821A (zh) 一种库岸消落带梯级植树方法
KR20100136795A (ko) 식생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식생 개비온 블록 및 식생 개비온 블록의 제조방법
CN109258211A (zh) 一种用于河湖边界消落带防冲刷改造系统及铺设方法
KR200408102Y1 (ko)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CN104770270B (zh) 一种边坡防护中的灌木建植方法及其护苗罩
KR102089980B1 (ko)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해안침식 방지 해안 녹화방법
JP2006246757A (ja) 緑化工法および在来多年生草本類による緑化構造
KR100673520B1 (ko) 해안 침식 방지 및 생태 복원을 위한 염생식물 식재방법
KR101172649B1 (ko) 친환경 식생매트
CN111886959A (zh) 一种矿山陡坡面的生态复绿方法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200412817Y1 (ko) 친환경 생태계 보호용 식생매트
CN110800538A (zh) 水库消落带边坡防护结构及水库消落带边坡植被恢复方法
KR102395350B1 (ko) 식재망태를 이용한 토낭사면 시공방법
JP3032861B2 (ja) 消波カゴを用いた湛水法面の緑化方法
KR102227676B1 (ko)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CN111226671B (zh) 一种提高干旱地区流动沙丘梭梭造林保存率的种植方法
KR100427588B1 (ko)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녹화시공방법
KR100585196B1 (ko) 식재용 코코넛 웨이브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제방 녹화 공법
JP2001123451A (ja) 植生ブロック体及び植生ブロック体による法面の緑化工法
CN214613901U (zh) 一种湖泊生态防护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