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904B1 - 소방 교육 훈련용 모형 소화기 - Google Patents

소방 교육 훈련용 모형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904B1
KR102089904B1 KR1020190102569A KR20190102569A KR102089904B1 KR 102089904 B1 KR102089904 B1 KR 102089904B1 KR 1020190102569 A KR1020190102569 A KR 1020190102569A KR 20190102569 A KR20190102569 A KR 20190102569A KR 102089904 B1 KR102089904 B1 KR 102089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fire extinguisher
fire
syring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서연
Original Assignee
강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서연 filed Critical 강서연
Priority to KR102019010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 A62C13/0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with separate aci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Abstract

본 실시예는 소방 훈련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소방 훈련용 소화기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소화기 본체; 상기 소화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유로를 포함하는 제1호스; 상기 호스의 단부에 배치되는 분사구;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손잡이;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제1유체가 수용되는 주사기; 기 내부 공간 중 상기 주사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제2물질이 수용되며, 상면에 홀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제1유체가 유동하도록 상기 주사기와 상기 실린더를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물을 수용하는 수조; 일단이 상기 수조 내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분사구에 인접한 상기 호스 내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물이 유동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는 제2호스; 및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사기 내 배치되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유체를 상기 연결관으로 배출시키는 플런저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 교육 훈련용 모형 소화기{Model extinguisher for fire education and training drills}
본 실시예는 소방 교육 훈련용 모형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시 초기 대응은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소화기는 물이나 소화약제를 압력에 의해 방사하는 기구로서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가장 간편한 기구이며, 법률에 의해 정하는 화재 안전기준에 따라 설치되고 유지관리된다. 가장 일반적인 소형 휴대용 소화기는 축압식 또는 가압식 소화기이며 화재 발생시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작동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화재에 직면하게 되면, 당황하고 공포감을 느끼기 때문에 평상시와는 달리 판단력이 떨어져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더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화기를 직접 사용해 본 경험이 없고, 소화기의 사용법을 충분히 체득하고 있지 못하므로, 주변에 있는 소화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진화할 수 있는 단순 화재사고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압하지 못하여 대형화재로 번지는 사례를 흔히 볼 수 있다.
학교나 시설에서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소방훈련시에도 대피훈련과 함께 소화기 사용방법을 교육하고 있으나, 이론 교육에 그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어린이나 일반인들이 각자 소화기를 직접 사용해보고 소화액을 직접 발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직접 소화기를 작동시키려면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고 방사 잔여물의 처리도 어렵기 때문이다. 소방훈련시에 소화기를 실지로 작동시켜보는 경험을 하지 못하므로 급박한 실제 화재 상황에서 소화기를 사용하려고 할 때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육 훈련용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 진화를 체험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교육 훈련용 소화기는 실제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민방위 교육장이나 여러 공공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기존의 교육용 소화기는 수압을 감지하여 화재 불꽃의 LED들을 점등함으로써, 화재진화를 체험할 수 있게 하였지만, 사실적인 불꽃을 시뮬레이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4266호의 "소화기 소방교육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화재에 따른 현장감을 보다 사실적으로 훈련할 수 있는 효과를 어느 정도 제공하는 점은 있지만, 소화기로부터 압축공기만이 분사되기 때문에 체감을 느끼기에 상당히 부족하여 교육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영상과 음성을 제공하는 장치 등의 구성이 너무 부피가 커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9066호의 "훈련용 소화기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대응 훈련 시스템 및 방법"에서도 가상현실 화재 영상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훈련용 소화기를 게시하고 있지만, 실지로 소화약제가 방사되지는 않고 손잡이를 당겼을 때 화재 영상만 갱신되므로 체험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실제 소화기와 동일한 작동 방법 및 기능을 가지면서, 소방 훈련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소방 훈련용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방 훈련용 소화기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소화기 본체; 상기 소화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유로를 포함하는 제1호스; 상기 호스의 단부에 배치되는 분사구;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손잡이;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제1유체가 수용되는 주사기; 기 내부 공간 중 상기 주사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제2물질이 수용되며, 상면에 홀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제1유체가 유동하도록 상기 주사기와 상기 실린더를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물을 수용하는 수조; 일단이 상기 수조 내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분사구에 인접한 상기 호스 내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물이 유동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는 제2호스; 및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사기 내 배치되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유체를 상기 연결관으로 배출시키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소화액을 식초, 베이킹 소다, 물로 생성함으로써, 실제 소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분해와 약품 재주입, 조립을 통해 계속 재사용이 가능하여 소방 교육 훈련을 위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화기에서 실제로 소화약제가 방사되는 것과 동일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초기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훈련용 소화기의 외관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훈련용 소화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이동 구조의 변형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훈련용 소화기의 외관을 보인 평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훈련용 소화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3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훈련용 소화기(100)는, 소화기 본체(1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 본체(110)는 대략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 본체는 축압식 또는 압축식 휴대용 소화기와 동일한 모양과 색깔을 갖추어 교육 훈련용 모형 소화기임에도 훈련을 하는 사람이 실제 소화기와 동일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 본체(110)는 금속, 수지, 플라스틱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 본체(110)는 제1본체(110A)와 제2본체(110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10A)와 상기 제2본체(111B)는 상, 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10A)와 상기 제2본체(110B)의 분리 시, 상기 내부 공간(112)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10A)와 상기 제2본체(110B)는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본체(110A)와 상기 제2본체(110B)의 분리 시 사용자는 후술할 수조(180), 제1수용부(162), 실린더(170) 내 수용된 물, 제1유체, 제2물질을 교체하거나, 보충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112)의 실링을 위해, 상기 제1본체(110A)와 상기 제2본체(110B)의 결합 영역에는 오링을 포함하는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제1호스(116)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몸체(114)와, 상기 제1몸체(114)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몸체(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115)의 단면적은 상기 제1몸체(114)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14)와 상기 제2몸체(115)도 각각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112)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14)와 상기 제2몸체(115)는 상기 소화기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소화기 본체(110)의 일 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14)의 측면에는 상기 제1호스(116)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14)의 측면에는 상기 제1호스(116)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은 상기 소화기 본체(110)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112)과 상기 제1호스(116) 내 제1유로(118)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호스(116)는 일단이 상기 제1몸체(114)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소화액이 분사되는 분사구(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소화액은 상기 소화기 내부 공간(112)으로부터 상기 제1호스(116)를 통과하여 상기 분사구(12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1호스(116)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호스(116)는 플렉시블(flexible) 재질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호스(116)는 일단이 상기 제1몸체(114)의 측면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상기 분사구(120)는 다양한 분사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화액은 가스와 액체가 혼합된 유체로서, 상기 내부 공간(112)으로부터 상기 분사구(120)를 통해 외부에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소화기 본체(110)의 상면에는 손잡이(140)가 배치된다. 상기 손잡이(1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사용자 조작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40)는 상기 제2몸체(115)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40)는 제1손잡이(142)와 제2손잡이(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손잡이(140)는 상기 제1손잡이(142)와 상기 제2손잡이(141)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1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142)와 상기 제2손잡이(14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141)가 상기 제1손잡이(142)의 상부에 배치된다할 때, 상기 제1손잡이(142)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손잡이(141)는 상기 제1손잡이(142)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141)는 일단이 상기 제1손잡이(142)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이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40)에는 상기 제2손잡이(141)의 임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핀(149)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핀(149)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손잡이(141)의 이동이 방지되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40)의 조작 시 상기 잠금핀(149)은 상기 제1손잡이(142) 또는 상기 제2손잡이(14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손잡이(142)의 일단과 상기 제2손잡이(141)의 일단이 만나는 영역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제2손잡이(141)는 타단이 상기 제1손잡이(142)의 타단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되면, 상기 제2손잡이(141)의 타단은 상기 제1손잡이(142)의 타단과 가까워지도록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손잡이(141)의 타단은 상기 제1손잡이(142)의 타단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140)는 상기 제2손잡이(141)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며, 후술할 플런저(150)을 가압하는 걸림축(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축(145)은 상기 손잡이(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축(145)은 상기 소화기 본체(110) 내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140)의 조작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걸림축(145)은 상기 제1몸체(114) 및 상기 제2몸체(115)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축(145)은 상, 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부(146)와, 수직부(146)의 하단에서 절곡되는 수평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47)는 후술할 플런저(150)의 걸림부(151)에 걸림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146)의 상단은 상기 제2손잡이(141)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플런저(150)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요약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2손잡이(141)의 이동 시, 사용자의 외력이 상기 걸림축(145)을 통해 상기 플런저(150)에 전달되어, 상기 플런저(150)이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이동 구조의 변형예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서, 상기 제2손잡이(141)의 일단에는 끈(L)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끈(L)은 상기 제2손잡이(141)의 조작에 따라 상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끈(L)은 상기 소화기 본체(11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내부 공간(112)의 실링을 위해 상기 끈(L)의 외면 또는 상기 끈(L)이 관통하는 상기 소화기 본체(110)의 홀(미도시) 영역에는 진공 그리즈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끈(L)의 하단에는 걸쇠(147)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손잡이(141)의 이동에 따라 상기 끈(L)이 상방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걸쇠(147) 또한 상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끈(L)은 상기 걸쇠(147)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쇠(147)는 상기 플런저(15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쇠(147)는 상기 플런저(150)의 걸림부(151)에 걸림되거나, 상기 끈(L)의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15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쇠(147)가 상기 걸림부(151)와의 결합이 해제될 경우, 탄성부(15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150)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112)에는 제1유체가 수용되는 주사기(160)와, 제2물질이 수용되는 실린더(170)와, 상기 주사기(160)와 실린더(170)를 연결하는 연결관(1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내부 공간(112)에는 제3유체(180)가 수용되는 수조(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180)는 상기 주사기(160) 및 실린더(17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사기(160)는 내측에 제1유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162)에는 상기 플런저(15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1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유체는 상기 제1수용부(162)로부터 상기 연결관(18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주사기(160)의 하면에는 상기 제1유체가 배출되기 위한 제1유체 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관(180)의 일단은 상기 제1유체 배출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유체가 상기 연결관(180)의 내부 영역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150)는 상기 손잡이(140)의 조작에 따라 걸쇠(147)가 풀리면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150)는 상기 제1수용부(162)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밀착하여, 상기 제1유체를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유체가 상기 주사기(160)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플런저(150)의 외주면과 상기 제1수용부(162)의 내주면 사이에는 고무 패킹(미도시)이나 오링이 배치될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플런저(150)은 상기 주사기(160) 내에서 밀대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150)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부(151)가 배치된다. 상기 걸림부(151)는 하면은 상기 수평부(147)의 상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걸림부(151)는 상기 플런저(150)의 타 영역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151)의 상면에는 탄성부(15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55)는 상기 걸림부(151)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하방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55)의 상단은 고정부(157)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걸림부(15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57)는 상기 제2몸체(115) 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155)는 상기 제1몸체(114) 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걸림축(145)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수평부(147)와 상기 걸림부(151)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15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150)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52)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유체는 상기 제1수용부(162)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70)는 상기 주사기(160)와 인접한 상기 내부 공간(11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70)는 상기 주사기(160)와 수평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70)의 내부에는 제2물질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7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수용부(172)와 상기 내부 공간(112)을 연통시키는 구멍(17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70)의 하면의 높이는 상기 주사기(160)의 하면의 높이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70)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주사기(160)의 상면의 높이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70) 내 상기 제2수용부(172)에는 제2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용부(172)에는 상기 연결관(180)을 통해 상기 주사기(160)로부터 배출된 제1유체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관(180)은 일단이 상기 주사기(160)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17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80)은 내부에 상기 제1유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150)의 상, 하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유체는 상기 주사기(160)로부터 배출 시, 상기 유로를 유동하여 상기 실린더(170) 내 상기 제2수용부(17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80)에는 체크밸브(1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85)는 상기 제1유체(172)의 유동에 따라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체크밸브(185)는 평상 시에는 상기 연결관(180) 내 유로를 폐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사기(160)로부터 상기 제1유체가 배출 시에는 상기 연결관(180) 내 유로를 개방시켜 상기 제1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85)는 상기 손잡이(140)이 작동되기 전에는 제1수용부(162)내의 물질과 제2수용부(172)내의 물질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물질은 상기 제1유체와 반응할 수 있다. 상기 제2물질과 상기 제1유체와 반응 시 이산화 탄소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유체는 식초(아세트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물질은 베이킹 소다(탄산수소나트륨)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유체가 유입되는 상기 실린더(170) 내에는 다음과 같은 화학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NaHCO3 + CH3COOH -> CH3COONa + CO2 + H2O
따라서, 상기 실린더(170)에서 생성된 이산화 탄소는 상기 구멍(174)을 통해 상기 실린더(17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공간(112) 내 이산화 탄소는 상기 제1호스(116) 내 제1유로(118)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분사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수조(180)는 상기 내부 공간(112) 내 상기 주사기(160)와 상기 실린더(18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180)의 바닥면은 상기 내부 공간(112)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수조(180) 내 공간(181)에는 제3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3유체는 물일 수 있다.
상기 수조(180)의 상면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86)가 상기 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수조(18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180)에는 제2호스(18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호스(18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조(180) 내 공간(181)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112) 및 상기 제1호스(116) 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호스(182)는 일단이 상기 수조(180) 내 바닥면에 접촉되거나 가깝게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분사구(120)에 인접한 상기 제1유로(118)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186)에는 상기 제2호스(182)가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호스(116)의 내면에는 상기 제2호스(182)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사구(120)는 상기 제1호스(116)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분사구(120)의 단부 영역에는 외부 영역과 상기 제1유로(118)를 연통시키는 분사홀(18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홀(185)을 통해 이산화 탄소 및 물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분사홀(185)의 단면적은 상기 제1유로(118)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유로(118)의 내면(118a)과 상기 분사홀(185)의 내면(118c) 사이에는, 상기 제1유로(118)의 내면(118a)과 상기 분사홀(185)의 내면(118c)을 연결하는 경사면(118b)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호스(182)의 단부도 상기 분사구(1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호스(182) 내 형성되는 제2유로(184)를 따라 상기 수조(180) 내 물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물은 상기 제1유로(118)를 따라 유동하는 이산화 탄소와 함께 분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유로(118)를 유동하는 이산화 탄소가 상기 분사홀(185)로부터 배출될 때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상기 수조(180) 내 물이 상기 제2유로(184) 따라 유동하여 상기 이산화 탄소와 함께 분사될 수 있다. 본 작동원리는 베르누이(Bernoulli) 법칙에 따른 효과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소화액을 식초, 베이킹 소다, 물로 생성함으로써, 실제 소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방 훈련을 위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제 소화기와 유사한 작동 방식으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화재 발생 대비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소화기 본체;
    상기 소화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유로를 포함하는 제1호스;
    상기 호스의 단부에 배치되는 분사구;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손잡이;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제1유체가 수용되는 주사기;
    상기 내부 공간 중 상기 주사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제2물질이 수용되며, 상면에 구멍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제1유체가 유동하도록 상기 주사기와 상기 실린더를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물을 수용하는 수조;
    일단이 상기 수조 내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분사구에 인접한 상기 호스 내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물이 유동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는 제2호스; 및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사기 내 배치되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유체를 상기 연결관으로 배출시키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체와 상기 제2물질의 반응에 따라 생성된 이산화 탄소는 상기 분사구를 통해 상기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소방 훈련용 소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는 아세트산(CH3COOH)을 포함하고,
    상기 제2물질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을 포함하는 소방 훈련용 소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주사기 내 배치되는 가압부와, 상단에 형성되어 타 영역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이동되며, 상기 걸림부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축을 포함하는 소방 훈련용 소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소방 훈련용 소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실린더의 하면에 결합되는 소방 훈련용 소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주사기와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배치되는 소방 훈련용 소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물과 상기 이산화 탄소가 분사되는 분사홀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1유로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는 소방 훈련용 소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연결관 내 개도를 조절하는 체크밸브가 배치되는 소방 훈련용 소화기.

KR1020190102569A 2019-08-21 2019-08-21 소방 교육 훈련용 모형 소화기 KR102089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569A KR102089904B1 (ko) 2019-08-21 2019-08-21 소방 교육 훈련용 모형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569A KR102089904B1 (ko) 2019-08-21 2019-08-21 소방 교육 훈련용 모형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904B1 true KR102089904B1 (ko) 2020-03-16

Family

ID=6994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569A KR102089904B1 (ko) 2019-08-21 2019-08-21 소방 교육 훈련용 모형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90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259A (ko) * 1996-07-22 1998-04-30 정석종 휴대용 소화기
KR100311302B1 (ko) * 1999-11-25 2001-10-18 남윤상 수동 겸용 자동 분사 소화기
JP2004130057A (ja) * 2002-08-14 2004-04-30 Toshiba Corp 消火薬剤および消火器
KR101589415B1 (ko) * 2015-08-07 2016-01-28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소방교육용 연기소화기
KR101591756B1 (ko) * 2015-06-23 2016-02-04 한창희 교육용 소화기
KR101647985B1 (ko) * 2016-03-02 2016-08-18 임채현 투척형 구형 소화기
KR20190094029A (ko) * 2018-02-02 2019-08-1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다단계 투척용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259A (ko) * 1996-07-22 1998-04-30 정석종 휴대용 소화기
KR100311302B1 (ko) * 1999-11-25 2001-10-18 남윤상 수동 겸용 자동 분사 소화기
JP2004130057A (ja) * 2002-08-14 2004-04-30 Toshiba Corp 消火薬剤および消火器
KR101591756B1 (ko) * 2015-06-23 2016-02-04 한창희 교육용 소화기
KR101589415B1 (ko) * 2015-08-07 2016-01-28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소방교육용 연기소화기
KR101647985B1 (ko) * 2016-03-02 2016-08-18 임채현 투척형 구형 소화기
KR20190094029A (ko) * 2018-02-02 2019-08-1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다단계 투척용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5003593D1 (de) Feuerlöschvorrichtung
CN108744379B (zh) 一种结合真实灭火器的vr消防体验装置及方法
KR102212241B1 (ko) 혼합현실 기반의 소방 체험 시스템
KR102089904B1 (ko) 소방 교육 훈련용 모형 소화기
CN108766083A (zh) 一种虚拟场景和现实场景切换的vr消防体验装置及方法
KR101733554B1 (ko) 교육훈련용 소화시스템
CN110874964A (zh) 灭火训练设备
KR101695198B1 (ko) 교육용 소화장치
JP2002014603A (ja) 消火訓練設備
KR101948814B1 (ko)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
KR20180070160A (ko) 미스트 분사형 소방교육 소화기
KR100888372B1 (ko) 교육용 소화장치
KR102205276B1 (ko) 2차 발포가 가능한 소화기구
KR102111511B1 (ko) 소화기가 구비된 대중교통 안전 손잡이 조립체
KR20090069605A (ko) 교육용 소화장치
KR200471633Y1 (ko) 교육용 소화기
KR100872697B1 (ko) 소방교육용 소화기
CN110433420B (zh) 一种灭火器
KR200349218Y1 (ko) 소방교육용 소화기의 헤드
CN207506883U (zh) 一种厨房自动灭火装置
CN106730520A (zh) 一种无线控制灭火车
CN209679360U (zh) 一种背带便携式无菌泡沫灭火器
CN207221153U (zh) 一种便携式预混合压缩空气泡沫灭火装置
KR100704051B1 (ko) 교육용 소화기
CN206859318U (zh) 一种快速接口消防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