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756B1 - 교육용 소화기 - Google Patents

교육용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756B1
KR101591756B1 KR1020150089125A KR20150089125A KR101591756B1 KR 101591756 B1 KR101591756 B1 KR 101591756B1 KR 1020150089125 A KR1020150089125 A KR 1020150089125A KR 20150089125 A KR20150089125 A KR 20150089125A KR 101591756 B1 KR101591756 B1 KR 101591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afety pin
output power
handl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희
Original Assignee
한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희 filed Critical 한창희
Priority to KR1020150089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교육용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위치가 형성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가 상부에 형성되며 토출호스가 외부로 돌출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스위치에 의해 가열되며 내주에 중공이 형성된 가열부; 상기 중공에 장착되며 외주연에 요홈형상의 유로가 형성되는 유로유닛; 일단이 상기 유로유닛의 상단에서 상기 유로와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토출호스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토출라인; 상기 가열부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소화액이 저장되는 소화탱크; 일단이 상기 소화탱크와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로유닛의 하단에서 상기 유로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펌프가 구비되어 상기 소화탱크의 소화액을 공급하도록 하는 유입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육용 소화기{Fire Extinguisher For Train}
본 발명은 에너지 소요를 적게 하면서도 소화액을 충분히 기화시켜 분사토록 함으로써 교육 효과가 우수한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육용 소화기는 소방교육 및 훈련 시 교육용으로 제작되는 소화기로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이 기화되어 기화가스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실제 소화기의 소화액이 분사되는 듯한 효과를 발휘하여 교육용으로 사용되는 소화기이다.
이는 실제 소화기를 사용하여 교육하는 과정에서 오는 비용문제와 실내에서는 교육할 수 없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작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교육용 소화기의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86106호에서는 교육용 소화기로 본체와 작동 손잡이 및 분사노즐을 갖는 교육용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공간부에 설치 고정되며, 내부가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진 연료 장입관과, 상기 연료장입관의 내부 중앙에 설치 고정되는 히터 케이스와, 상기 히터 케이스에 수납된 채 외부의 전원공급에 따라 충분한 발열기능을 갖는 히터와, 상기 연료 장입관의 외주면 일 측에 부착되어 히터의 발열온도를 감지함으로 자동으로 적정 온도를 유지 제어하는 센서부와, 상기 연료 장입관의 외주면 일 측 하단에 설치되는 연료공급용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본체 외부에서 공급되는 연료가 충입된 채 대기되도록 한 연료공급 용기와, 상기 용기의 연료충입상태가 외부에서 확인되도록 본체 외부에 형성되는 투명창과, 상기 연료 장입관 상단에 부착되어 가열된 연료가 기체로 승화되어 분사노즐을 통해 일정 압력으로 분무될 수 있도록 작동 손잡이로 제어되는 동 재질의 배출관을 구비함을 제시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경우 소화기의 올바른 사용법을 교육하여 각종 화재의 위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채용되는 교육용 소화기로서 실제의 분무소화기와 동일한 외형과 작동구조를 갖으며, 역시 실제 분무식 소화기와 다름없는 분무효과까지 겸용할 수 있게 되어 교육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충입식 연료의 공급이 가능해져 연속 반복적인 사용과 내구성을 유지하며, 계속되는 사용에도 실제의 소화액은 분사되지 않아 주변이 지저분해지거나 오염되지 않아 깨끗한 교육 환경이 유지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소화액을 히터와 접촉시간을 길게 가져가기 위해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진 연료 장입관을 구성하고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소화액의 충분한 접촉시간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아 충분히 기화되지 않은 소화액이 분사되어 실제 소화액을 분무하는 듯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뿐더러 완전한 기화를 위해서 더욱 많은 에너지를 히터에 인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861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적으로 적은 에너지를 가지고 소화액의 충분한 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육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소화기는 스위치가 형성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가 상부에 형성되며 토출호스가 외부로 돌출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스위치에 의해 가열되며 내주에 중공이 형성된 가열부; 상기 중공에 장착되며 외주연에 요홈형상의 유로가 형성되는 유로유닛; 일단이 상기 유로유닛의 상단에서 상기 유로와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토출호스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토출라인; 상기 가열부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소화액이 저장되는 소화탱크; 일단이 상기 소화탱크와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로유닛의 하단에서 상기 유로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펌프가 구비되어 상기 소화탱크의 소화액을 공급하도록 하는 유입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손잡이는 끝단에 한쌍의 힌지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연결공과 유격을 형성하며 한쌍의 안전핀공이 형성되되 일측 안전핀공이 장공형상인 상손잡이와, 상기 상손잡이 하부에 위치하며 끝단에 상기 힌지연결공과 대향하는 한쌍의 제 2힌지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힌지연결공과 유격을 형성하며 상기 안전핀공과 대향하는 한쌍의 제 2안전핀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가 형성된 하손잡이와, 상기 힌지연결공 및 상기 제 2힌지연결공을 관통하여 상손잡이 및 하손잡이가 힌지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핀과, 상기 안전핀공 및 상기 제 2안전핀공에 착탈이 되도록 하여 상손잡이와 하손잡이의 힌지연동을 제어하는 안전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전핀은 장공형상의 안전핀공 외측에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공 및 상기 제 2안전핀공에서 장착 및 탈착시 제 2안전핀공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어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가열부의 중공 상,하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유닛은 상유닛과 하유닛으로 구성되어 상유닛의 상단부 및 하유닛의 하단부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향하는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상유닛과 상기 하유닛에는 복수의 횡유로가 형성되며 상,하로 인접하는 횡유로 간에는 종유로에 의해 연결되되 종유로는 교번으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횡유로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 1항에 있어서,
하나의 예로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상기 가열부 및 펌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탈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가열부 및 펌프로 전원을 각각 공급하기 위한 제 1전극부 및 제 2전극부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원을 각각 AC 220V와 DC 12V으로 변환 및 출력하도록 하며 AC 220V 출력 전원은 상기 제 1전극부를 통해 가열부로 공급하고 DC 12V 출력 전원은 상기 제 2전극부를 통해 펌프로 각각 공급하되, 상기 DC 12V 출력 전원은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어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펌프로 공급되며,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회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열부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DC 12V 출력 전원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원으로 공급되고,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배터리의 DC 12V 충전 전원에 의해 ON되며 입력측에는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이 입력되는 DC 12V용 릴레이와, 상기 DC 12V용 릴레이의 ON으로 출력되는 출력 전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ON되며 입력측에는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이 입력되는 타이머 스위치 및 상기 타이머 스위치의 ON으로 출력되는 출력 전원에 의해 ON되며 입력측에는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이 입력되며 출력측은 상기 제 1전극부와 연결되는 마그네트 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소화기는 소화액의 기화구조에 의해 적은 에너지로 기화가스의 토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소화기는 소화기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전극이 노출되어도 감전이나 단락의 원인이 되는 입력 전원을 완전 차단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육용 소화기의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손잡이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인 가열부와 유로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인 가열부와 유로유닛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인 유로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인 거치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인 전원 공급부의 전기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소화기(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위치가 형성된 손잡이(2); 상기 손잡이(2)가 상부에 형성되며 토출호스(31)가 외부로 돌출되는 하우징(3); 상기 하우징(3) 하부에서 상기 스위치에 의해 가열되며 내주에 중공이 형성된 가열부(4); 상기 중공에 장착되며 외주연에 요홈형상의 유로가 형성되는 유로유닛(5); 일단이 상기 유로유닛(5)의 상단에서 상기 유로와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토출호스(31)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토출라인(6); 상기 가열부(4)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소화액이 저장되는 소화탱크(7); 일단이 상기 소화탱크(7)와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로유닛의 하단에서 상기 유로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유입라인(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손잡이(2)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223)의 입력으로 상기 가열부(4)를 가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입라인(8)에 형성되는 펌프(81)가 가동되도록 하여 상기 소화탱크(7)로부터 소화액이 상기 유입라인(8)을 거쳐 상기 유로유닛(5)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소화액은 상기 유로유닛(5)에 형성된 유로를 타고 상향되면서 상기 가열부(4)의 열에 의해 가열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소화액은 기화가 되며 기화된 기화가스는 토출라인(6)을 거쳐 상기 토출호스(3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니터부(9)가 구성되어 상기 가열부(4)의 온도, 상기 소화탱크(7)에 있어 잔존 소화액의 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의 용이성을 도모한다.
우선 상기 손잡이(2)는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끝단에 한쌍의 힌지연결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연결공(211)과 유격을 형성하며 한쌍의 안전핀공(212)이 형성되되 일측 안전핀공(212-2)이 장공형상인 상손잡이(21)와, 상기 상손잡(21)이 하부에 위치하며 끝단에 상기 힌지연결공(211)과 대향하는 한쌍의 제 2힌지연결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힌지연결공(221)과 유격을 형성하며 상기 안전핀공(212)과 대향하는 한쌍의 제 2안전핀공(222)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223)가 형성된 하손잡이(22)와, 상기 힌지연결공(211) 및 상기 제 2힌지연결공(221)을 관통하여 상손잡이(21) 및 하손잡이(22)가 힌지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핀(23)과, 상기 안전핀공(212) 및 상기 제 2안전핀공(222)에 착탈이 되도록 하여 상손잡이(21)와 하손잡이(22)의 힌지연동을 제어하는 안전핀(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손잡이(21)에 있어 안전핀공(212)은 한쌍으로 구성되어 일측 안전핀공(212-1)은 원형이나 타측 안전핀공(212-2)은 상방향으로 장공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안전핀공(212) 및 상기 제 2안전핀공(222)에 장착된 안전핀(24)을 탈착시 안전핀(24)이 일측 안전핀공(212-1)에서만 탈착이 되어도 타측 안전핀공(212-2)이 상방향으로 장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손잡이(21)를 하손잡이(22)에서 힌지연동을 시켜 상손잡이(21)이 하면이 스위치(223)를 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후에 안전핀(24)이 안전핀공(212-2)은 물론 제 2안전핀공(222)에 장착이 된 상태이므로 다시 안전핀(24)을 안전핀공(212-1)만을 관통하도록 하여 원위치시킴으로써 그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핀(24)은 장공 형상의 안전핀공(212-2) 외측에 걸이공(241)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공(212) 및 상기 제 2안전핀공(222)에서 장착 및 탈착시 제 2안전핀공(22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어링(242)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더욱 상세히는 상기 안전핀(24)을 탈착시 안전핀(24)이 일측의 안전핀공(212-1)에서만 탈착이 되게 상기 제어링(242)이 하손잡이(22) 내측부에 걸리도록 하는 위치에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전핀(24)이 상기 안전핀공(212) 및 상기 제 2안전핀공(222)에 장착이 완전히 된 상태에서는 손잡이(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223)를 터치하는 것이 제어되도록 하면서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상기 안전핀(24)을 상기 제어링(242)에 의해 일측의 안전핀공(212-1)에서만 탈착이 되도록 하여도 상손잡이(21)를 하손잡이(22)에서 힌지연동을 시켜 상손잡이(21)에 의해 스위치(223)가 터치되도록 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열부(4)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41)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중공(41)에 상기 유로유닛(5)이 탈착이 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가열부(4)는 스위치(223)의 입력에 의해 전기적으로 가열되도록 내부에 히팅수단이 내재되도록 하는데 다양한 공지기술에 의해 히팅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가열부(4)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어 전체에 걸쳐 균일한 열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중공(41)의 상,하단에는 나사산(42)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유닛(5)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 가열부(4)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별도의 축전수단 또는 전기적 연결에 의해 히팅이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유로유닛(5)은 상유닛(51)과 하유닛(52)으로 구성되어 상유닛(51)의 상단부 및 하유닛(52)의 하단부에는 상기 나사산(42)에 대향하는 나사골(511,521)이 형성되고, 상기 상유닛(51)과 상기 하유닛(52)에는 복수의 횡유로(512, 522)가 형성되며 상,하로 인접하는 횡유로(512, 522) 간에는 종유로(513, 523)에 의해 연결되되 종유로(513, 523)는 교번으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유로유닛(5)을 상유닛(51)과 하유닛(52)으로 구성하여 상기 가열부(4)의 중공(41)에 상,하로 삽입체결되도록 하는 이유는 유로를 타고 상향하는 소화액이 가열부(4)의 상,하단에서 밀폐되도록 하여 소화액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유닛(51)과 상기 하유닛(52)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유닛(5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유닛(51)은 상단에 연결관(515)이 형성되는 바, 상기 연결관(515)과 상기 토출라인(6)이 체결되어 상호 연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515) 하부에는 도면번호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머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4) 상단에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 하면에는 바람직하게 수밀링(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구성되도록 하여 수밀성을 기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머리부 하부에는 직경이 작아지면서 상기 나사산(42)에 대향하는 나사골(511)이 형성되도록 하며 나사골(511)의 하부로부터 복수의 횡유로(512)가 유격을 형성하면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나사골(511)에 인접한 횡유로(512)에는 상기 연결관(515)과 연통하는 유도공(514)이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관(515)으로 유입된 소화액이 상기 유도공(514)을 통해 최상부의 횡유로(512)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횡유로(512) 사이의 돌출부는 체결시 상기 가열부(4)의 중공(41) 내주연과 밀접하도록 함이 타당한데 이는 가열부(4)의 열이 횡유로(512) 사이의 돌출부들에 전달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임은 물론 횡유로(512)를 유동하는 소화액이 종유로(513)만으로 유동토록 하여 소화액의 접촉시간을 최대한 길게 가져가게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하로 인접하는 횡유로(512) 간은 종유로(513)에 의해 연결되되 종유로(513)는 교번으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부에서 상기 유도공(514)이 형성된 반대방향에서 종유로(513)가 형성되어 이하 횡유로(512) 간을 교번으로 반대방향에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횡유로(512)를 형성하면서 횡유로(512) 간을 종유로(513)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은 소화액의 접촉시간을 길게 가져감으로써 소화액의 기화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소화액의 접촉시간을 길게 가져가지 못하는 경우 소화액이 충분히 기화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어 충분한 교육용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이용하여 상기 가열부(4)와 상기 유로유닛(5)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데 여기서는 하유닛(52)에 기초하여 그 작동기작을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라인(8)을 통해 연결관(525)으로 유입된 소화액은 유도공(524)을 통해 최하단의 횡유로(522)로 유입된다. 횡유로(522)로 유입된 소화액은 양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반대방향에서 종유로(523)를 타고 상향한다. 이 과정에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된 와류는 충돌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충돌로 인해 소화액이 미세한 물방울로 분해되어 상기 종유로(523)를 타고 상향하는 것이다.
종유로(523)로 상향된 소화액은 횡유로에서 동일하게 양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충돌이 발생되어 소화액이 미세한 물방울로 분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소화액은 하유닛(52)에서 상유닛(51)으로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횡유로(522)에서 와류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와류간 충돌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소화액은 더욱 미세하게 절단되고 이렇게 절단된 소화액은 더욱 용이하게 기화되는 것이다.
즉 와류에 의해 접촉시간을 길게 가져가면서 기화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 더하여 와류간 충돌에 의해 접촉시간을 더욱 길게 가져감과 동시에 충돌에 의해 미세한 물방울로 절단의 효과가 발생되어 기화효율이 배가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유닛(51)과 하유닛(52)의 각각 횡유로(512, 522)에는 돌출되는 돌출핀(516, 526)이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출핀(516, 526)이 형성됨에 의해 횡유로(512, 522)를 유동하는 와류는 돌출핀(516, 526)의 타격에 의해 와류의 절단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절단은 충돌과 더불어 더욱 미세한 물방울로 쪼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 이와 같이 돌출핀(516, 526)의 구성에 의해 소화액의 기화효율을 더욱 우수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가열부(4)에 인가되는 에너지를 줄이더라도 충분히 소화액을 기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소화기는 상기 가열부(4) 등에 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3)이 안착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거치대는 상기 하우징(3)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을 통한 전원 공급을 실시할 수 있는데, 이때 전극이 노출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감전이나 단락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100)과, 상기 가열부(4) 및 펌프(8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110)의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3)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90)와, 상기 가열부(4) 및 펌프(81)로 전원을 각각 공급하기 위한 제 1전극부(117-2) 및 제 2전극부(117-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3) 측에도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제 1전극부(117-2) 및 제 2전극부(117-1)와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대응 위치에 도전체 재질의 전극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우징(3) 측의 입력 전극은 각각 가열부(4)와 펌프(81) 등으로 연결되는 전기 회로가 구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원 예를 들면 통상의 상용 전원으로 사용되는 AC 220V 전원을 상기 하우징(3) 내부로 공급함에 있어 상기 가열부(4) 및 펌프(81)로 각각 독립적인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주요 전기 설비로 적용되는 상기 가열부(4) 및 펌프(81)의 경우 발열 성능 또는 양수 성능에 따라 요구되는 입력 전원이 상이할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열부(4)의 경우 AC 220V를 입력 전원으로, 상기 펌프(81)는 DC 12V를 입력 전원을 적용한 예를 제시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입력된 상용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1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된 상용 전원을 각각 AC 220V와 DC 12V으로 변환 및 출력하게 되는데, DC 12V의 변환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 트랜스(112)와 정류 다이오드(113) 등을 구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스위치(111)를 통한 AC 220V 출력 전원은 상기 제 1전극부(117-2)를 통해 가열부(4)로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정류 다이오드(113)를 통해 변환된 DC 12V 출력 전원은 상기 제 2전극부(117-1)를 통해 펌프(81)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원 공급부(110)에서는 상기 DC 12V 출력 전원은 앞서 설명한 손잡이(2)에 형성된 스위치(223)와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스위치(223)의 접속 시에만 펌프(8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의 경우에도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회로를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가열부(4)로 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위칭 회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12V용 릴레이(114)와 타이머 스위치(115) 및 마그네트 스위치(116)로 구성하여 순차적인 스위칭 회로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감전이나 단락과 같은 전기 사고로부터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DC 12V용 릴레이(114)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90)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90)는 하우징(3)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하우징(3)이 상기 수용 공간(10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제 2전극부(117-1)를 통해 공급되는 DC 12V 출력 전원을 입력받아 전원을 충전하게 되며, 이렇게 충전된 DC 12V 전원은 하우징(3)이 수용 공간(10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상기 펌프(81)의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DC 12V용 릴레이(114)는 상기 배터리(90)에 충전된 DC 12V 충전 전원을 입력받아 ON되며, 입력측에는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이 입력됨으로 DC 12V용 릴레이(114)의 ON 작동에 의해 입력된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이 그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 스위치(115)는 상기 DC 12V용 릴레이(114)의 ON으로 출력되는 출력 전원 즉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ON되며, 입력측에는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이 입력되어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만 출력측을 통해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이 그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 스위치(115)는 최초 ON 구동 시에 리셋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 시간은 일정 시간 주기로 반복될 수 있는 시간 예를 들면 5분 간격으로 전원의 출력과 차단이 반복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16)는 상기 타이머 스위치(115)의 ON으로 일정 시간 동안 출력되는 출력 전원에 의해 ON되며, 입력측에는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이 입력되고 출력측은 상기 제 1전극부(117-2)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16)의 경우 상기 타이머의 설정 시간 동안만 작동하는 것으로 해당 시간 동안 제 1전극부(117-2)를 통해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을 상기 가열부(4)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설정된 시간 주기로 가열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과도한 과열을 방지하면서도 기화에 필요한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상기 가열부(4)에 장착되는 바이메탈(Bimetal)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는 상기 타이머 스위치(115)와 마그네트 스위치(116)의 작동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출력되는 전원에 의해 가열부(4)가 가열되는 경우 기설정된 온도 이상 상기 가열부(4)가 과열(過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상기 타이머 스위치(115) 또는 마그네트 스위치(116)의 작동과는 상관없이 가열부(4)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바이메탈 스위치가 포함된 전기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소화기는 상술한 일련의 스위칭 회로의 상호 작용으로 최초 상기 DC 12V용 릴레이(114)가 하우징(3)에 내재되는 배터리(90)의 충전 전원에 의해서만 작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3)의 분리 시에는 제 1전극부(117-2)의 AC 220V 출력 전원이 차단되게 하여 거치대 상에서 노출될 수 있는 제 1전극부(117-2)의 접촉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감전 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의 소화기 2 : 손잡이
3 : 하우징 4 : 가열부
5 : 유로유닛

Claims (8)

  1. 스위치가 형성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가 상부에 형성되며 토출호스가 외부로 돌출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스위치에 의해 가열되며 내주에 중공이 형성된 가열부;
    상기 중공에 장착되며 외주연에 요홈형상의 유로가 형성되는 유로유닛;
    일단이 상기 유로유닛의 상단에서 상기 유로와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토출호스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토출라인;
    상기 가열부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소화액이 저장되는 소화탱크; 및
    일단이 상기 소화탱크와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로유닛의 하단에서 상기 유로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펌프가 구비되어 상기 소화탱크의 소화액을 공급하도록 하는 유입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가열부의 중공 상,하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유닛은 상유닛과 하유닛으로 구성되어 상유닛의 상단부 및 하유닛의 하단부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향하는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상유닛과 상기 하유닛에는 복수의 횡유로가 형성되며 상,하로 인접하는 횡유로 간에는 종유로에 의해 연결되되 종유로는 교번으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소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끝단에 한쌍의 힌지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연결공과 유격을 형성하며 한쌍의 안전핀공이 형성되되 일측 안전핀공이 장공형상인 상손잡이와, 상기 상손잡이 하부에 위치하며 끝단에 상기 힌지연결공과 대향하는 한쌍의 제 2힌지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힌지연결공과 유격을 형성하며 상기 안전핀공과 대향하는 한쌍의 제 2안전핀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가 형성된 하손잡이와, 상기 힌지연결공 및 상기 제 2힌지연결공을 관통하여 상손잡이 및 하손잡이가 힌지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핀과, 상기 안전핀공 및 상기 제 2안전핀공에 착탈이 되도록 하여 상손잡이와 하손잡이의 힌지연동을 제어하는 안전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소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은 장공형상의 안전핀공 외측에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공 및 상기 제 2안전핀공에서 장착 및 탈착시 제 2안전핀공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어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소화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유로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소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상기 가열부 및 펌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탈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소화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가열부 및 펌프로 전원을 각각 공급하기 위한 제 1전극부 및 제 2전극부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원을 각각 AC 220V와 DC 12V으로 변환 및 출력하도록 하며 AC 220V 출력 전원은 상기 제 1전극부를 통해 가열부로 공급하고 DC 12V 출력 전원은 상기 제 2전극부를 통해 펌프로 각각 공급하되,
    상기 DC 12V 출력 전원은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어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펌프로 공급되며,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회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소화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DC 12V 출력 전원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원으로 공급되고,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배터리의 DC 12V 충전 전원에 의해 ON되며 입력측에는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이 입력되는 DC 12V용 릴레이와,
    상기 DC 12V용 릴레이의 ON으로 출력되는 출력 전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ON되며 입력측에는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이 입력되는 타이머 스위치 및
    상기 타이머 스위치의 ON으로 출력되는 출력 전원에 의해 ON되며 입력측에는 상기 AC 220V 출력 전원이 입력되며 출력측은 상기 제 1전극부와 연결되는 마그네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소화기.
KR1020150089125A 2015-06-23 2015-06-23 교육용 소화기 KR101591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125A KR101591756B1 (ko) 2015-06-23 2015-06-23 교육용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125A KR101591756B1 (ko) 2015-06-23 2015-06-23 교육용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756B1 true KR101591756B1 (ko) 2016-02-04

Family

ID=5535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125A KR101591756B1 (ko) 2015-06-23 2015-06-23 교육용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7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141B1 (ko) * 2016-03-07 2018-02-22 김건호 교육용 소화 장치
KR101839800B1 (ko) * 2017-05-31 2018-05-04 장영진 실외용 먼지떨이 장치
KR102089904B1 (ko) * 2019-08-21 2020-03-16 강서연 소방 교육 훈련용 모형 소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188Y1 (ko) * 2003-11-14 2004-02-11 김진갑 교육용 분무소화기
KR200386002Y1 (ko) * 2005-03-14 2005-06-07 김진세 소화기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188Y1 (ko) * 2003-11-14 2004-02-11 김진갑 교육용 분무소화기
KR200386002Y1 (ko) * 2005-03-14 2005-06-07 김진세 소화기 안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141B1 (ko) * 2016-03-07 2018-02-22 김건호 교육용 소화 장치
KR101839800B1 (ko) * 2017-05-31 2018-05-04 장영진 실외용 먼지떨이 장치
KR102089904B1 (ko) * 2019-08-21 2020-03-16 강서연 소방 교육 훈련용 모형 소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756B1 (ko) 교육용 소화기
CN208764695U (zh)
RU2637303C2 (ru) Пар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US9702544B2 (en) Boiler for domestic appliances and water heating systems with steam production for home and industrial use
US20100146826A1 (en) Multifunctional electric iron
KR101199743B1 (ko) 순간식 온수 생성 장치
KR101241105B1 (ko) 가스 및 전기 겸용 레인지
AU2011374994B2 (en) Steam generator system
US20110266272A1 (en) Steam Generator System
CN207806059U (zh) 家电全能清洗机
CN114164633A (zh) 一种即停即用的电熨斗
KR20090121762A (ko) 증기다리미
KR20090098351A (ko) 발전 가열식 보온 컵
KR101719206B1 (ko) 인덕션 보일러를 이용한 가열시스템
KR100723062B1 (ko) 소형 전기보일러
CN209391723U (zh) 食品加热装置
KR20120032674A (ko) 물을 발열체로 이용한 보일러
KR200467254Y1 (ko) 전기구이장치
CN209826261U (zh) 一种电蒸炉的水路系统
JP2013104573A (ja) 電気温液器
US5903709A (en) Electrode-type steam production device with automatically controlled water inlet and outlet valves
CN110664255A (zh) 一种适用于桶装水的便携式全自动可加热型抽水器
KR102474444B1 (ko) 스팀발생기
CN104748362A (zh) 电热水器
JP2002066199A (ja) 多利用型蒸気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