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255B1 -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 Google Patents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255B1
KR102089255B1 KR1020190072376A KR20190072376A KR102089255B1 KR 102089255 B1 KR102089255 B1 KR 102089255B1 KR 1020190072376 A KR1020190072376 A KR 1020190072376A KR 20190072376 A KR20190072376 A KR 20190072376A KR 102089255 B1 KR102089255 B1 KR 102089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variable
frame
guide rod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산업
Priority to KR1020190072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04Sw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 등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교량의 일부를 분할한 가변교량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가변교량의 일측은 하천에 설치되는 고정교량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가변교량은 상판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판을 수직방향에서 지지토록 복수의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하단이 그리는 원주에 대응토록 하천바닥에 가이드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로드에서 마찰토록 상기 프레임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외부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바퀴가 일체로 구비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Multipurpose bridge with rotatable opening}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 등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교량의 일부를 분할한 가변교량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가변교량의 일측은 하천에 설치되는 고정교량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가변교량은 상판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판을 수직방향에서 지지토록 복수의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하단이 그리는 원주에 대응토록 하천바닥에 가이드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로드에서 마찰토록 상기 프레임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외부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바퀴가 일체로 구비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리는 하천이나 강 또는 협곡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게 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다리 중에는 수심의 차이가 많이 나지 않고, 깊이가 깊지 않으며 폭이 작은 소하천에 설치되는 소형의 다리, 일명 징검다리가 있다.
상기 징검다리는 다수의 큰 자연석을 겹겹이 쌓아서 만들거나, 모래를 담은 마대를 겹겹이 쌓아서 만들고 있으나, 자연석 징검다리의 경우, 홍수 또는 폭우 등으로 인하여 하천의 물이 불어나거나 유속이 강해질 경우 징검다리로 이용되는 자연석의 하단 지면이 쉽게 유실됨으로써 징검다리가 하천의 수면으로 잠기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으로써 재차 자연석을 이용하여 징검다리를 설치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철골 구조로 징검다리를 만들고 있으나, 이러한 고정구조물로 만들어진 다리의 경우, 흐르는 물의 양이 많은 계절에는 붕괴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함은 물론 하천에 사는 어류가 자유로이 상, 하류로 이동할 수 없으며, 유속의 흐름이 저하되어 하천의 정화 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천의 물이 징검다리를 범람하여 위험수위에 도달하였음에도 안전에 주의를 요하지 않고, 징검다리를 통해 하천을 건너면서 급류에 휩싸여 익사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의 특허 제1693762호에 재해 방지용 스윙교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하천의 양측에 설치된 기초(100b)의 상부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다리본체(200)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300), 및 다리본체의 양 가장자리에 설치된 난간(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회동수단이 구동됨에 의해 다리본체가 하천을 가로질러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거나, 천변 측으로 접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본체의 하부면에 바퀴조립체가 연결되고, 상기 회동수단(3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와 다리본체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로서 이루어져 실린더에 공급된 유압에 의해 신축되면서 다리본체가 하천을 가로질러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거나, 천변 측으로 접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윙교는, 상기 회동수단(300)에 연결되는 외부 동력에 의해 다리본체가 베이스플레이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성으로 다리본체(200)의 길이 및 중량에 비례하여 동작을 위한 에너지의 증가를 가져와 유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단순히 교량의 역활만을 수행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회전을 위한 동력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하고, 교량의 역활은 물론 보의 역활도 동시에 수행토록 하며, 교량의 정확한 회전이 가능토록 하고, 교량에 연결되는 수문이 가변토록 설치되어 교량의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수행토록 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천이나 강 등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교량의 일부를 분할한 가변교량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가변교량의 일측은 하천에 설치되는 고정교량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가변교량은 상판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판을 수직방향에서 지지토록 복수의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하단이 그리는 원주에 대응토록 하천바닥에 가이드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로드에서 마찰토록 상기 프레임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외부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바퀴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실린더가 연결되는 스토퍼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이 이동하는 일정위치에 스토퍼에 대응되는 위치결정홈이 각각 구비되어 가변교량이 위치결정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바퀴는 유압모터와 감속기가 연결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을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가변교량은 유압실린더에 연결되는 핸드레일이 수납 및 돌출토록 설치되고, 하측에 연결되는 프레임에는 가변교량이 연결될 때 서로 접촉토록 수문이 각각 연결되는 상기 가변교량은, 하측에 연결되는 프레임에는 가변교량이 연결될 때 서로 접촉토록 수문이 각각 연결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바퀴와 가이드로드는, 서로 대응되는 기어가 구비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상기 수문의 상부에는 서브실린더로서 연결되는 가변가림판이 연결되며, 상기 수문의 하단에는 실링부재가 더 연결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을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수문은,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메인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토록 연결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의 회전을 위한 동력손실을 최소화 하고, 교량의 역활은 물론 보의 역활도 동시에 수행하며, 교량의 정확한 회전이 가능하고, 교량에 연결되는 수문이 가변토록 설치되어 교량의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재해 방지용 스윙교의 기술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교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사용상태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수문설치상태도 및 동작상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문의 승,하강상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바퀴의 동작상태도이다.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교량이 로프 및 고정교각에 설치되는 유압모터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 및 도12는 각각 본 발명의 가변교량 결합상태 및 핸드레일 동작상태도이다.
도13 및 도1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설치상태도 및 사용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5 및 도1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동력전달부 및 가이드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 등의 설치장소(R)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교량(100)의 일부를 분할한 가변교량(110)을 각각 설치한다.
이때, 상기 교량(100)은 일측에 배 등이 쉽게 다닐수 있도록 일부가 브리지등의 형상을 갖도록 상승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그리고, 상기 가변교량(110)의 일측은 하천에 설치되는 고정교각(200)의 상측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교각(200)은 가변교량(110)의 일측이 연결되는 회전중심 즉 회전축의 역활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가변교량(110)은, 상판(111)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판을 수직방향에서 지지토록 복수의 프레임(11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15)은, 상판(111)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5)의 프레임 하단이 접촉하면서 이동토록 프레임의 하단이 그리는 원주에 대응토록 하천바닥에 가이드로드(300)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가이드로드(300)에서 마찰토록 상기 프레임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외부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바퀴(400)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구동바퀴(400)는, 유압에 의해 구동하는 유압모터(430)가 감속기(450)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구동바퀴는 각각에 직결되는 유압모터를 구비할 수도 있고, 복수의 구동바퀴가 하나 이상의 유압모터 및 체인(490)를 통하여 연결되어도 좋다.
계속하여, 상기 프레임(115)에는 수문(600)이 더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가변교량(110)은, 유압실린더(119)에 연결되는 핸드레일(117)이 상판의 상부 돌출토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구동바퀴(400)와 가이드로드(300)는, 서로 대응되는 기어(390)가 구비되어 전진시 미끌림이 방지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바퀴(40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모래 등을 제거하는 이물제거판(490)이 더 연결되며, 상기 이물제거판(490)의 일측에 고압의 물 또는 공기가 공급되는 노즐(491)이 더 구비되어도 좋다.
계속하여, 상기 수문(600)의 상부에는 서브실린더(610)로서 연결되는 가변가림판(630)이 더 연결되며, 상기 수문(600)의 하단에는 유연재의 실링판(670)가 더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수문(600)은, 프레임(115)의 전방에 가이드레일(620)을 따라 이동하면서 메인실린더(640)에 의해 승,하강토록 연결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프레임(115)에는 이동실린더(710)로서 연결되는 스토퍼(715)가 구비되어 가이드로드(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위치결정홈(730)에 고정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5)은, 가변교량에 연결되는 서브프레임이 수납토록 설치되어 프레임을 중심으로 가변교량의 높이가 가변토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교각(200)에 연결되는 가변교량(110)의 축 중심도 가변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이때, 상기 상판(111)은 별도의 실린더가 프레임에 연결되어 유압의 공급시 가변교량의 상판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가변교량의 상판 하측에 부유체(118)가 더 연결되면서 상기 프레임은 다단의 수납구조로 이루어져 수위의 상승시 부유체에 의해 프레임을 중심으로 높이가 가변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가변교량(110)은, 지상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권양기(710)에 하나 이상의 로프(711)로 연결되어 권취시 가변교량을 견인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권양기(710)는 로프의 감기와 풀림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는 복수의 권양기가 가변교량(1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중심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가변교량(110)은, 고정기어(810)가 설치되어 상판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유압모터(811)가 치합될 때 고정교각(200)의 상측을 중심으로 회전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더하여, 상기 가변교량(110)은 대응되는 복수의 가변교량(110)이 서로 접촉할 때 그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용실린더(831)과 이에 대응되는 고정브라켓(833) 및 상기 고정용실린더의 로드(832)와 고정브라켓의 고정홈(834)에 의해 위치결정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변교량(110)의 상측에는 유도용 엘이디램프(850) 및 점자블럭(851) 등이 더 구비되어도 좋다.
계속하여, 상기 가이드로드(300)는, 하저면 등에 설치시 매립되는 리프딩실린더(391)의 상단에 결합브라켓(393)을 통하여 연결되어 유압의 공급시 가이드로드의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1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 등의 설치장소(R)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교량(100)의 일부를 분할한 가변교량(110)을 각각 설치하여 일정수위를 갖는 하천을 가로질러 보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교량(110)의 일측은 하천에 설치되는 고정교각(200)의 상측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어 홍수 등 필요에 따라 가변교량(110)을 회전시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이때, 상기 고정교각(200)은 가변교량(110)의 일측이 연결되는 회전중심 즉 회전축의 역활을 수행하여 가변교량이 고정교각을 축 중심으로 하여 용이하게 회전토록 된다.
또한, 상기 가변교량(110)은, 상판(111)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판을 수직방향에서 지지토록 복수의 프레임(115)이 구비되어 상판(111)이 하중에 대응토록 되어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5)의 프레임 하단이 접촉하면서 이동토록 프레임의 하단이 그리는 원주에 대응토록 하천바닥에 가이드로드(30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로드(300)에서 마찰토록 상기 프레임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외부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바퀴(400)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가변교량(110)이 가이드로드를 따라 용이하게 회전토록 된다.
이때, 상기 구동바퀴(400)는, 유압에 의해 구동하는 유압모터(430)가 감속기(450)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성으로 동력의 전달시 구동바퀴(400)가 가이드로드(300)에 마찰되어 가변교량이 고정교각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되어 교량이 오픈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프레임(115)에는 수문(600)이 더 연결되어 교량의 연결시 일정높이로 물을 가두는 보의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변교량 및 수문은 상호 연결시 그 연결부가 서로 경사지게나 요철을 갖도록 되어 틈새를 최소화 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가변교량(110)은, 유압실린더(119)에 연결되는 핸드레일(117)이 상판의 상부 돌출토록 설치되어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핸드레일이 상판의 상부에 돌출되거나 상판의 하측으로 수납토록 된다.
한편, 상기 구동바퀴(400)와 가이드로드(300)는, 서로 대응되는 기어(390)가 구비되어 전진시 미끌림을 방지토록 하여 정확한 동력전달이 가능토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구동바퀴(40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모래 등을 제거하는 이물제거판(490)이 더 연결되어 진행시 이물질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수문(600)의 상부에는 서브실린더(610)로서 연결되는 가변가림판(630)이 더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 가변가림판의 경사를 조절하여 일정한 수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문(600)의 하단에는 유연재의 실링판(670)가 더 연결되어 하천의 바닥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수문(600)의 하부면에서 물의 노출을 최소화 하도록 하면서 가변교량의 회전시 수문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수문(600)은, 프레임(115)의 전방에 가이드레일(620)을 따라 이동하면서 메인실린더(640)에 의해 승,하강토록 연결되어 수문 자체를 프레임에서 높이조절토록 함으로써 다양한 효과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수문을 완전히 상승시키면 교량의 역활을 수행하게 되고, 일정높이로 하향시키면 교량과 보의 역활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5)에는 이동실린더(710)로서 연결되는 스토퍼(715)가 구비되어 가이드로드(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위치결정홈(730)에 고정토록 설치되어 가변교량을 회전시킨 후 일정위치에서 위치결정하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가변교량(110)은, 지상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권양기(710)에 하나 이상의 로프(711)로 연결되어 권취시 가변교량을 견인토록 설치되어 동력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용이하게 회전토록 한다.
이때, 상기 권양기(710)는 로프의 감기와 풀림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는 복수의 권양기가 가변교량(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하나의 권양기가 로프를 풀때 다른 권양기는 로프를 감으면서 중심을 유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교량(110)은, 고정기어(810)가 설치되어 상판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유압모터(811)가 치합될 때 고정교각(200)의 상측을 중심으로 회전토록 설치되어 상기의 권양기 및 프레임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와 동시에 동작시켜 가변교량의 회전동작이 용이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가변교량(110)은 대응되는 복수의 가변교량(110)이 서로 접촉할 때 그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용실린더(831)의 로드가 이에 대응되는 고정브라켓(833)의 고정홈(834)에 의해 삽입될 때 양측의 가변교량이 견고하게 연결토록 된다.
또한, 상기 가변교량(110)의 상측에는 유도용 엘이디램프(850) 및 점자블럭(851)등이 더 구비되어 야간이나 주간 및 장애인 등도 교량을 용이하게 사용토록 한다.
계속하여, 상기 가이드로드(300)는, 하저면 등에 설치시 매립되는 리프딩실린더(391)의 상단에 결합브라켓(393)을 통하여 연결되어 유압의 공급시 가이드로드의 높이가 조절되어 교량의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제거판(490)의 일측에 고압의 물 또는 공기가 공급되는 노즐(491)이 더 구비되어 이물을 먼저제거한 후 이물제거판에 의한 다시한번 제거토록 하여 이물제거 작업이 신속하게 수행토록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로드(300)는 프레임의 후진을 방지하는 고정블럭(493)이 더구비되어 물의 압력에 의해 프레임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100...교량 110...가변교량
200...고정교각 300...가이드로드
400...구동바퀴 600...수문
640...메인실린더

Claims (9)

  1.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교량의 전체길이 일부를 분할한 가변교량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가변교량의 일측은 하천에 설치되는 고정교각을 중심으로 회전토록 설치되면서 연결되는 일단이 서로 밀착토록 설치되며,
    상기 가변교량은, 상판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판을 수직방향에서 지지토록 복수의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가변교량이 고정교각을 중심으로 회전시 프레임의 일측 하단이 그리는 원주에 대응토록 하천바닥에 가이드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로드에서 마찰토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하단에는 외부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바퀴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실린더가 연결되는 스토퍼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이 이동하는 일정위치에 스토퍼에 대응되는 위치결정홈이 각각 구비되어 가변교량이 위치결정토록 설치되며,
    상기 가변교량은, 하측에 연결되는 프레임에는 가변교량이 연결될 때 서로 접촉되는 수문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수문은, 프레임의 전방에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프레임에 연결되는 메인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여 수문의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는, 외부의 유압공급에 의해 동작하는 유압모터와 감속기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토록 설치되고,
    전방 또는 후방에 이물제거판 및 노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교량은, 상부에서 유압실린더에 연결되는 핸드레일이 수납 및 돌출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와 가이드로드는, 서로 대응되는 기어가 구비되어 미끌림이 방지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상부에 서브실린더로서 연결되는 가변가림판이 연결되며,
    상기 수문의 하단에는 실링부재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교량은, 지상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권양기에 연결되는 로프에 연결되어 권취시 가변교량을 견인토록 설치되는 구성,
    고정교각에 설치되는 고정기어에 대응토록 상판에 하나 이상의 유압모터가 치합시켜 고정교각의 중심으로 상판이 회전되는 구성중 하나 이상의 구성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교량은, 양측의 가변교량이 서로 접촉할 때 그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용실린더의 로드가 이에 대응되는 고정브라켓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위치결정토록 설치되는 구성
    상측에 유도용 엘이디램프 및 점자블럭이 더 구비되는 구성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는, 지면에 매립되는 리프딩실린더의 상단에 결합브라켓을 통하여 연결되어 유압의 공급시 가이드로드의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고, 프레임의 후진을 방지토록 고정블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KR1020190072376A 2019-06-18 2019-06-18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KR102089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376A KR102089255B1 (ko) 2019-06-18 2019-06-18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376A KR102089255B1 (ko) 2019-06-18 2019-06-18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255B1 true KR102089255B1 (ko) 2020-03-17

Family

ID=7000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376A KR102089255B1 (ko) 2019-06-18 2019-06-18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2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015B1 (ko) 2020-08-03 2020-10-12 (주)신승이앤씨 도개형 해상 보도교의 선회장치 정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08148B1 (ko) 2020-08-03 2021-01-27 지앤에스종합건설 주식회사 선회교의 선회장치시스템 및 그 선회 제어 방법
KR102208149B1 (ko) 2020-08-03 2021-01-27 지앤에스종합건설 주식회사 선회교의 선회충격방지 및 선회고정 장치시스템
KR102610707B1 (ko) * 2023-05-19 2023-12-06 (주) 씨플렉스코리아 수상 부유식 도개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1921A (ja) * 2002-03-07 2003-09-19 Yokogawa Bridge Corp 水門システム
KR20120016821A (ko) * 2010-08-17 2012-02-27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모노레일 차량 시스템의 모노레일 빙설제거 장치 및 시스템
KR101275844B1 (ko) * 2012-04-04 2013-06-18 (주)강토이앤씨 분수 연출이 가능한 다기능 스윙 오작교
KR101421226B1 (ko) * 2014-03-27 2014-07-22 주식회사 건우테크 수밀부재 보호기능을 구비한 수문
KR101693762B1 (ko) * 2016-04-08 2017-01-09 (주)강토이앤씨 원격제어 가능한 재해 방지용 스윙교
KR101693766B1 (ko) * 2016-04-08 2017-01-18 (주)강토이앤씨 난간 절첩식 재해 방지용 스윙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1921A (ja) * 2002-03-07 2003-09-19 Yokogawa Bridge Corp 水門システム
KR20120016821A (ko) * 2010-08-17 2012-02-27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모노레일 차량 시스템의 모노레일 빙설제거 장치 및 시스템
KR101275844B1 (ko) * 2012-04-04 2013-06-18 (주)강토이앤씨 분수 연출이 가능한 다기능 스윙 오작교
KR101421226B1 (ko) * 2014-03-27 2014-07-22 주식회사 건우테크 수밀부재 보호기능을 구비한 수문
KR101693762B1 (ko) * 2016-04-08 2017-01-09 (주)강토이앤씨 원격제어 가능한 재해 방지용 스윙교
KR101693766B1 (ko) * 2016-04-08 2017-01-18 (주)강토이앤씨 난간 절첩식 재해 방지용 스윙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015B1 (ko) 2020-08-03 2020-10-12 (주)신승이앤씨 도개형 해상 보도교의 선회장치 정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08148B1 (ko) 2020-08-03 2021-01-27 지앤에스종합건설 주식회사 선회교의 선회장치시스템 및 그 선회 제어 방법
KR102208149B1 (ko) 2020-08-03 2021-01-27 지앤에스종합건설 주식회사 선회교의 선회충격방지 및 선회고정 장치시스템
KR102610707B1 (ko) * 2023-05-19 2023-12-06 (주) 씨플렉스코리아 수상 부유식 도개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255B1 (ko) 회전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교량
DK2971366T3 (en) Flood protection barrier lift system
KR101351061B1 (ko) 상하 분리가 가능한 이중 구조의 레이디얼 게이트 및 이를 개폐하기 위한 권양기
KR100912949B1 (ko) 수위에 따른 각도조절식 난간장치
US4441449A (en) Port ramp for access to a roll-on roll-off ship
CN105862697B (zh) 浮动式亲水平台结构
CN110847818A (zh) 步履式钻机
JP5718792B2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CN112144387A (zh) 一种在海水涨潮退潮时对桥墩的防护装置及施工方法
KR100943530B1 (ko) 하천보용 슬리핑식 수문
CN115538435A (zh) 一种升降式水陆两用打桩船
CN209066393U (zh) 一种可倾式闸门
CN209384254U (zh) 一种集水坑
CN111591937A (zh) 一种道路桥梁用新型吊装装置
KR100690196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권양기 수문
CN215758482U (zh) 一种平移式码头活动钢引桥
CN112144389B (zh) 一种设置在桥墩上游位置的防护装置及施工方法
KR102511690B1 (ko) 월파 방지용 차수도어
CN220538579U (zh) 一种折叠闸门
CN211525692U (zh) 一种公路桥梁管道支撑装置
KR200464803Y1 (ko)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
CN219343349U (zh) 一种中间成墙的trd施工设备
JP2000297420A (ja) 貯水ダムの排砂方法及び装置
KR102132956B1 (ko) 부력식 스윙도교
KR100970230B1 (ko) 유수에 의한 지반침식을 방지하는 교각안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