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163B1 -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9163B1 KR102089163B1 KR1020180082902A KR20180082902A KR102089163B1 KR 102089163 B1 KR102089163 B1 KR 102089163B1 KR 1020180082902 A KR1020180082902 A KR 1020180082902A KR 20180082902 A KR20180082902 A KR 20180082902A KR 102089163 B1 KR102089163 B1 KR 1020891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water tank
- emergency
- open
- coo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1—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 F27D2009/0013—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the fluid being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로부에 배치되는 열교환부와, 고로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저장되는 밀폐수조부와, 밀폐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가 열교환부를 통과하여 밀폐수조부에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밀폐순환부와, 비상시 고로부를 냉각시키는 비상냉각부와, 냉각수가 저장되는 개방수조부와, 개방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비상냉각부로 안내하는 개방순환부를 포함하여, 비상냉각부에 저장된 냉각수의 약품농도 저하로 인한 비상냉각부의 부식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수조에 저장된 냉각수의 정체로 인해 배관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는 24시간 연속적으로 쇳물을 생산하는 설비로서, 고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열로부터 철피를 보호하기 위하여 냉각수가 순환되는 복수의 스테이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테이브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철피를 냉각시키는 고로 냉각 시스템은 밀폐계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126133호(2017.11.17. 공개, 발명의 명칭 : 고로 냉각 시스템용 냉각수 순환탱크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상수조에 저장된 냉각수의 정체로 인해 배관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는: 고로부에 배치되는 열교환부; 상기 고로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저장되는 밀폐수조부; 상기 밀폐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여 상기 밀폐수조부에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밀폐순환부; 비상시 상기 고로부를 냉각시키는 비상냉각부; 냉각수가 저장되는 개방수조부; 및 상기 개방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비상냉각부로 안내하는 개방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순환부는 일단부가 상기 밀폐수조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열교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밀폐수조부에 저장되는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로 안내하는 제1밀폐관부; 상기 제1밀폐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밀폐관부를 개폐하는 제1밀폐밸브부; 일단부가 상기 열교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밀폐수조부에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기 밀폐수조부로 안내하는 제2밀폐관부; 및 상기 제2밀폐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밀폐관부를 개폐하는 제2밀폐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냉각부는 비상받침부; 상기 비상받침부에 안착되고 냉각수가 저장되는 비상수조부; 및 상기 비상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가 상기 열교환부에 자유 낙하 방식으로 공급되도록 유도하는 비상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유도부는 상기 비상수조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밀폐관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유도관부; 및 상기 유도관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도관부를 개폐하는 유도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냉각부는 상기 비상냉각부에 저장된 냉각수의 약품농도를 감지하는 비상감지부; 및 상기 비상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방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가 상기 비상냉각부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비상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순환부는 상기 개방수조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유도관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개방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유도관부로 안내하는 제1개방관부; 상기 제1개방관부를 개폐하는 제1개방밸브부; 상기 비상수조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개방수조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비상수조부에서 흘러넘치는 냉각수를 상기 개방수조부로 안내하는 제2개방관부; 및 상기 제2개방관부를 개폐하는 제2개방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는: 상기 밀폐수조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개방수조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밀폐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개방수조부로 안내하는 밀폐배출부; 및 상기 개방수조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밀폐수조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개방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밀폐수조부로 안내하는 개방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는 설비 손상과 같은 비상시 고로부 냉각을 위해 사용되는 비상냉각부에 개방수조부의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서, 비상냉각부의 냉각수 약품농도 저하로 인한 배관 부식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는 비상냉각부에 저장된 냉각수의 약품농도가 비상감지부에 감지되고, 비상제어부는 비상냉각부의 냉각수 약품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하도록 개방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비상냉각부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는 밀폐수조부와 개방수조부가 연결되어 냉각수가 이동됨으로써, 밀폐수조부와 개방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의 약품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밀폐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에 의해 고로부가 냉각되기 위한 유체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비상냉각부에 저장된 냉각수에 의해 고로부가 냉각되기 위한 유체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냉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순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배출부와 개방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밀폐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에 의해 고로부가 냉각되기 위한 유체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비상냉각부에 저장된 냉각수에 의해 고로부가 냉각되기 위한 유체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냉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순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배출부와 개방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밀폐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에 의해 고로부가 냉각되기 위한 유체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비상냉각부에 저장된 냉각수에 의해 고로부가 냉각되기 위한 유체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1)는 열교환부(10)와, 밀폐수조부(20)와, 밀폐순환부(30)와, 비상냉각부(40)와, 개방수조부(50)와, 개방순환부(60)를 포함한다.
열교환부(10)는 고로부(100)에 배치된다. 일 예로, 열교환부(10)는 고로부(100)의 외측에 배치되고 냉각수가 이동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여 철피를 냉각시키는 스테이브가 될 수 있다. 그 외, 열교환부(10)는 고로부(100)를 냉각시키기 위한 다양한 부품이 될 수 있다.
밀폐수조부(20)는 고로부(100)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저장된다. 일 예로, 밀폐수조부(20)에 저장된 냉각수는 고로부(100)의 냉각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수조부(20)는 밀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폐순환부(30)는 밀폐수조부(20)에 저장된 냉각수가 열교환부(10)를 통과하여 밀폐수조부(20)에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비상냉각부(40)는 비상시 고로부(100)를 냉각시킨다. 일 예로, 비상냉각부(40)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자연법칙에 의해 냉각수가 열교환부(10)로 이동되어 고로부(1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평상시에는 비상냉각부(40)에 냉각수가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장시간 비상냉각부(4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비상냉각부(40)에 저장된 냉각수의 수질이 악화될 수 있다.
개방수조부(50)는 다용도로 사용되기 위한 냉각수가 저장된다. 일 예로, 개방수조부(50)에 저장된 냉각수는 제철 공장에서 설비 등을 세척하거나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개방수조부(50)에 저장된 냉각수는 제철 공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수조부(50)는 개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질이 설정값에 도달하도록 수시로 약품을 투입할 수 있다.
개방순환부(60)는 개방수조부(50)에 저장된 냉각수를 비상냉각부(40)로 안내한다. 일 예로, 비상냉각부(40)에 유입된 냉각수는 비상냉각부(40)에 저장된 냉각수와 혼합되어 수질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냉각부(40)에서 흘러 넘치는 냉각수는 개방수조부(50)로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순환부(30)는 제1밀폐관부(31)와, 제1밀폐밸브부(32)와, 제2밀폐관부(33)와, 제2밀폐밸브부(34)를 포함한다.
제1밀폐관부(31)는 일단부가 밀폐수조부(2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열교환부(10)에 연결되어, 밀폐수조부(20)에 저장되는 냉각수를 열교환부(10)로 안내한다.
제1밀폐밸브부(32)는 제1밀폐관부(31)에 형성되어 제1밀폐관부(31)를 개폐한다. 일 예로, 제1밀폐밸브부(32)는 열교환부(10)와 근접된 제1밀폐관부(3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제2밀폐관부(33)는 일단부가 열교환부(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밀폐수조부(20)에 연결되어, 열교환부(20)를 통과한 냉각수를 밀폐수조부(20)로 안내한다.
제2밀폐밸브부(34)는 제2밀폐관부(33)에 형성되어 제2밀폐관부(33)를 개폐한다. 일 예로, 제2밀폐밸브부(34)는 열교환부(10)와 근접된 제2밀폐관부(33)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그 외, 밀폐순환부(30)는 제1밀폐관부(31)에 형성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와, 냉각수를 강제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와, 열교환부(10)를 통과하여 가열된 냉각수를 식혀주는 외부열교환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냉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냉각부(40)는 비상받침부(41)와, 비상수조부(42)와, 비상유도부(43)를 포함한다.
비상받침부(4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 일 예로, 비상받침부(41)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결합되고, 필요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비상받침부(41)의 상단부는 열교환부(10)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비상수조부(42)는 비상받침부(41)에 안착되고 냉각수가 저장된다. 일 예로 비상수조부(42)는 밀폐된 물탱크 형상을 하여 냉각수가 저장되고, 비상받침부(4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비상유도부(43)는 비상수조부(42)에 저장된 냉각수가 열교환부(10)에 자유 낙하 방식으로 공급되도록 유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상유도부(43)는 유도관부(431)와 유도밸브부(432)를 포함한다.
유도관부(431)는 비상수조부(42)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1밀폐관부(31)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일 예로, 유도관부(431)는 제1밀폐밸브부(32)와 열교환부(10) 사이에 형성되는 제1밀폐관부(31)에 연결될 수 있다.
유도밸브부(432)는 유도관부(431)에 형성되고, 유도관부(431)를 개폐한다. 이러한 유도밸브부(432)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밀폐밸브부(32)는 노멀 클로즈 방식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사용되고, 유도밸브부(432)는 노멀 오픈 방식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설비 이상으로 인해 전원이 차단되면, 제1밀폐밸브부(32)는 제1밀폐관부(31)를 폐쇄하고, 유도밸브부(432)는 유도관부(431)를 개방하여 비상수조부(42)에 저장된 냉각수를 열교환부(10)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냉각부(40)는 비상감지부(44)와 비상제어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감지부(44)는 비상냉각부(40)에 저장된 냉각수의 약품농도를 감지한다. 일 예로, 비상감지부(44)는 비상수조부(42)와 유도관부(431)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저장된 냉각수의 약품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비상제어부(45)는 비상감지부(45)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개방수조부(50)에 저장된 냉각수가 비상냉각부(40)로 유입되도록 제어한다. 일 예로, 비상제어부(45)에 의해 개방순환부(60)가 구동되어 개방수조부(50)에 저장된 냉각수가 유도관부(431)로 유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순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순환부(60)는 제1개방관부(61)와, 제1개방밸브부(62)와, 제2개방관부(63)와, 제2개방밸브부(64)를 포함한다.
제1개방관부(61)는 개방수조부(5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유도관부(431)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개방수조부(50)에 저장된 냉각수를 유도관부(431)로 안내한다. 일 예로, 제1개방관부(61)는 저점에 위치되는 유도관부(431)에 연결될 수 있다. 유도관부(431)에는 유도배출관부(433)가 형성되어 유도관부(431)에 정체된 냉각수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유도배출관부(433)의 내경보다 제1개방관부(61)의 내경이 더 크게 설계되면, 제1개방관부(61)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량이 유도배출관부(433)로 배출되는 냉각수량 보다 많다. 이로 인해, 제1개방관부(61)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비상수조부(42)에 도달하고, 비상수조부(42)에 저장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1개방밸브부(62)는 제1개방관부를 개폐한다. 일 예로, 제1개방밸브부(62)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유로를 개폐할 수 있으며, 비상제어부(4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개방관부(63)는 비상수조부(42)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개방수조부(50)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비상수조부(42)에서 흘러 넘치는 냉각수를 개방수조부(42)로 안내한다. 일 예로, 제2개방관부(63)는 비상수조부(4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비상수조부(42)에서 흘러 넘치는 냉각수를 회수할 수 있다.
제2개방밸브부(64)는 제2개방관부(63)를 개폐한다. 일 예로, 제2개방밸브부(64)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유로를 개폐할 수 있으며, 비상제어부(4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배출부와 개방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1)는 밀폐배출부(70)와 개방배출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배출부(70)는 밀폐수조부(2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개방수조부(50)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밀폐수조부(20)에 저장된 냉각수를 개방수조부(50)로 안내한다. 일 예로, 밀폐배출부(70)는 밀폐수조부(20)와 개방수조부(50)를 연결하는 밀폐배출관부(71)와, 밀폐배출관부(71)를 개폐하는 밀폐배출밸브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밀폐배출부(70)는 밀폐수조부(20)에 저장된 냉각수를 개방수조부(50)로 토출하기 위한 펌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배출부(70)는 평상시 냉각수 이동을 제한하고, 개방수조부(50)의 냉각수 약품농도가 높은 경우 밀폐배출부(70)를 통한 냉각수 이동을 허용하여 개방수조부(50)의 냉각수 약품농도를 낮출 수 있다.
개방배출부(80)는 개방수조부(5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밀폐수조부(20)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개방수조부(50)에 저장된 냉각수를 밀폐수조부(20)로 안내한다. 일 예로, 개방배출부(80)는 밀폐수조부(20)와 개방수조부(50)를 연결하는 개방배출관부(81)와, 개방배출관부(81)를 개폐하는 개방배출밸브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개방배출부(80)는 개방수조부(50)에 저장된 냉각수를 밀폐수조부(20)로 토출하기 위한 펌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배출부(80)는 평상시 냉각수 이동을 제한하고, 밀폐수조부(20)의 냉각수 약품농도가 낮은 경우 개방배출부(80)를 통한 냉각수 이동을 허용하여 밀폐수조부(20)의 냉각수 약품농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1)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로부(100)가 작동하면, 밀폐수조부(20)에 저장된 냉각수는 제1밀폐관부(31)를 통해 열교환부(10)를 통과하면서 고로부(100)를 냉각시키고, 열교환부(10)를 통과한 냉각수는 제2밀폐관부(33)를 통해 밀폐수조부(20)로 복귀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설비 이상으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제1밀폐밸브부(32)와 제2밀폐밸브부(34)가 제1밀폐관부(31)와 제2밀폐관부(33)를 각각 폐쇄한다. 그리고, 유도밸브부(432)가 유도관부(431)를 개방하여 비상수조부(42)에 저장된 냉각수가 자유 낙하 방식으로 이동하면서 열교환부(10)를 통과하여 고로부(10)를 냉각시킨다.
한편, 장시간 비상수조부(42)에 저장된 냉각수가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 비상수조부(42)의 약품농도가 저하되어 비상수조부(42) 및 비상유도부(43)에 마모 또는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방수조부(50)에 저장되고, 약품농도가 기준치에 도달한 냉각수를 주기적으로 비상냉각부(40)에 공급하여 비상냉각부(40)에 저장된 냉각수의 약품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즉, 비상감지부(44)의 냉각수 감지신호를 수신한 비상제어부(45)가 비상냉각부(40)에 대한 냉각수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비상제어부(45)의 제어로 제1개방밸브부(52)가 제1개방관부(51)를 개방하고, 제2개방밸브부(54)가 제2개방관부(53)를 개방한다.
그리하면, 제1개방관부(51)를 통해 유도관부(431)에 주입된 냉각수가 지비상수조부(42)로 유입되고, 기존에 저장된 냉각수는 제2개방관부(53)를 통해 개방수조부(50)로 회수된다. 이때, 비상냉각부(40)에 저장된 냉각수가 개방수조부(50)에 저장된 냉각수와 혼합되어 약품농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방수조부(50)의 냉각수 공급은 비상감지부(44)에 비상냉각부(40)의 냉각수 약품농도가 설정치에 도달함을 감지할 때까지 수시로 또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1)는 설비 손상과 같은 비상시 고로부(100) 냉각을 위해 사용되는 비상냉각부(40)에 개방수조부(50)의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비상냉각부(40)의 냉각수 약품농도 저하로 인한 배관 부식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1)는 비상냉각부(40)에 저장된 냉각수의 약품농도가 비상감지부(44)에 감지되고, 비상제어부(45)는 비상냉각부(40)의 냉각수 약품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하도록 개방수조부(50)에 저장된 냉각수를 비상냉각부(40)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1)는 밀폐배출부(70)와 개방배출부(80)에 의해 밀폐수조부(20)와 개방수조부(50)가 연결되어 냉각수가 이동됨으로써, 밀폐수조부(20)와 개방수조부(50)에 저장된 냉각수의 약품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열교환부 20 : 밀폐수조부
30 : 밀폐순환부 31 : 제1밀폐관부
32 : 제1밀폐밸브부 33 : 제2밀폐관부
34 : 제2밀폐밸브부 40 : 비상냉각부
41 : 비상받침부 42 : 비상수조부
43 : 비상유도부 44 : 비상감지부
45 : 비상제어부 50 : 개방수조부
60 : 개방순환부 61 : 제1개방관부
62 : 제1개방밸브부 63 : 제2개방관부
64 : 제2개방밸브부 70 : 밀폐배출부
80 : 개방배출부
30 : 밀폐순환부 31 : 제1밀폐관부
32 : 제1밀폐밸브부 33 : 제2밀폐관부
34 : 제2밀폐밸브부 40 : 비상냉각부
41 : 비상받침부 42 : 비상수조부
43 : 비상유도부 44 : 비상감지부
45 : 비상제어부 50 : 개방수조부
60 : 개방순환부 61 : 제1개방관부
62 : 제1개방밸브부 63 : 제2개방관부
64 : 제2개방밸브부 70 : 밀폐배출부
80 : 개방배출부
Claims (7)
- 고로부에 배치되는 열교환부;
상기 고로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저장되는 밀폐수조부;
상기 밀폐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여 상기 밀폐수조부에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밀폐순환부;
비상시 상기 고로부를 냉각시키는 비상냉각부;
냉각수가 저장되는 개방수조부; 및
상기 개방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비상냉각부로 안내하는 개방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냉각부는
비상받침부;
상기 비상받침부에 안착되고 냉각수가 저장되는 비상수조부;
상기 비상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가 상기 열교환부에 자유 낙하 방식으로 공급되도록 유도하는 비상유도부;
상기 비상냉각부에 저장된 냉각수의 약품농도를 감지하는 비상감지부; 및
상기 비상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방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가 상기 비상냉각부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비상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순환부는
일단부가 상기 밀폐수조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열교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밀폐수조부에 저장되는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로 안내하는 제1밀폐관부;
상기 제1밀폐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밀폐관부를 개폐하는 제1밀폐밸브부;
일단부가 상기 열교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밀폐수조부에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기 밀폐수조부로 안내하는 제2밀폐관부; 및
상기 제2밀폐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밀폐관부를 개폐하는 제2밀폐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
- 삭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유도부는
상기 비상수조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밀폐관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유도관부; 및
상기 유도관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도관부를 개폐하는 유도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
- 삭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순환부는
상기 개방수조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유도관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개방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유도관부로 안내하는 제1개방관부;
상기 제1개방관부를 개폐하는 제1개방밸브부;
상기 비상수조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개방수조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비상수조부에서 흘러넘치는 냉각수를 상기 개방수조부로 안내하는 제2개방관부; 및
상기 제2개방관부를 개폐하는 제2개방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조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개방수조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밀폐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개방수조부로 안내하는 밀폐배출부; 및
상기 개방수조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밀폐수조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개방수조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밀폐수조부로 안내하는 개방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2902A KR102089163B1 (ko) | 2018-07-17 | 2018-07-17 |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2902A KR102089163B1 (ko) | 2018-07-17 | 2018-07-17 |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8793A KR20200008793A (ko) | 2020-01-29 |
KR102089163B1 true KR102089163B1 (ko) | 2020-03-16 |
Family
ID=6932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2902A KR102089163B1 (ko) | 2018-07-17 | 2018-07-17 |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916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92856A (ja) | 2003-03-26 | 2004-10-21 | Jfe Steel Kk | 高炉炉底側壁部の冷却装置 |
KR100774220B1 (ko) * | 2006-06-29 | 2007-11-13 | 범우이엔지 주식회사 | 고로 슬러그용 냉각장치 |
KR101241142B1 (ko) * | 2011-09-09 | 2013-03-19 | 세화엠피(주) | 원자로 비상냉각용 해수담수화시스템 |
JP2015142089A (ja) | 2014-01-30 | 2015-08-03 | 東芝プラントシステム株式会社 | 地下変電所の緊急時変圧器冷却システムおよび緊急時変圧器冷却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0327B2 (ja) * | 1989-12-26 | 1994-08-10 | 川崎製鉄株式会社 | 高炉吹卸時の炉内冷却水処理方法 |
JP2729433B2 (ja) * | 1992-01-14 | 1998-03-18 |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 減圧加熱冷却装置 |
JPH05202406A (ja) * | 1992-01-28 | 1993-08-10 | Nisshin Steel Co Ltd | 縦型溶融炉の冷却方法 |
KR960037844A (ko) * | 1996-08-23 | 1996-11-19 | 임은택 | 용광로의 냉각수 공급장치 |
-
2018
- 2018-07-17 KR KR1020180082902A patent/KR1020891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92856A (ja) | 2003-03-26 | 2004-10-21 | Jfe Steel Kk | 高炉炉底側壁部の冷却装置 |
KR100774220B1 (ko) * | 2006-06-29 | 2007-11-13 | 범우이엔지 주식회사 | 고로 슬러그용 냉각장치 |
KR101241142B1 (ko) * | 2011-09-09 | 2013-03-19 | 세화엠피(주) | 원자로 비상냉각용 해수담수화시스템 |
JP2015142089A (ja) | 2014-01-30 | 2015-08-03 | 東芝プラントシステム株式会社 | 地下変電所の緊急時変圧器冷却システムおよび緊急時変圧器冷却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8793A (ko) | 2020-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57377B1 (en) | Pump for pumping molten metal with reduced dross formation in a bath of molten metal | |
US10562082B2 (en) | Method for contamination prevention in fluid storage tank requiring temperature control, and device therefor | |
KR102089163B1 (ko) | 고로용 수조의 수질 유지 장치 | |
US8734147B2 (en) | Seal structure for pressurized container, cooling treatment apparatus, multi-chamber heat treatment apparatus, pressure regulating method, and operating method | |
KR102089162B1 (ko) | 고로 냉각 장치 | |
SK48999A3 (en) | Refractory assemblies | |
CN110670278A (zh) | 液流式布帛处理装置 | |
KR920002562B1 (ko) | 증기발생기의 방사성 오염 제거방법 | |
CN101381785B (zh) | 高炉冷却壁破损后的控水方法 | |
CN106995873B (zh) | 热处理水温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 |
KR102699177B1 (ko) | 선박의 엔진 냉각수 폐열 회수 시스템 | |
KR101567396B1 (ko) | 부생가스 드레인 배관의 고형물 제거방법 | |
JP4350554B2 (ja) | 配管内の結露防止方法 | |
KR19990013130A (ko) | 대탕도 덮개 내화물 마모 제어장치 | |
CN204768363U (zh) | 用于半固态制浆的搅拌棒 | |
KR20130014802A (ko) | 스태브 설비 파손 검지 장치 | |
KR101592883B1 (ko) | 금형온도 제어시스템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 |
Filzwieser et al. | METTOP’s ionic liquid cooling technology: the safest way of furnace tapping | |
JP2006220510A (ja) | 原子炉冷却水浄化系ダンプ水冷却装置 | |
JP5559474B2 (ja) | 熱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処理方法 | |
CN109203421B (zh) | 一种挤出机机筒冷却系统 | |
KR101321931B1 (ko) |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 |
KR101647388B1 (ko) | Fpso 열교환 시스템 | |
KR20170029157A (ko) | 냉각수 유량 제어 시스템 | |
KR200465339Y1 (ko) | 반도체 제조용 챔버 자동제어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