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725B1 - 장력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건축 구조물 - Google Patents

장력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건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725B1
KR102088725B1 KR1020180073618A KR20180073618A KR102088725B1 KR 102088725 B1 KR102088725 B1 KR 102088725B1 KR 1020180073618 A KR1020180073618 A KR 1020180073618A KR 20180073618 A KR20180073618 A KR 20180073618A KR 102088725 B1 KR102088725 B1 KR 102088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nopy
tension
building structur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093A (ko
Inventor
김옥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던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던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던탑
Priority to KR1020180073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7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건축 구조물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나란히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되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캐노피 및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 조절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캐노피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력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건축 구조물{Tension adjustable temporary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간이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력조절유닛을 통해 캐노피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한시적으로 건축구조물을 가설해야 할 경우 아치 형태의 철골프레임에 캐노피를 씌워 그 형태를 유지하는 간이 건축구조물이 빈번하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간이 건축구조물은 시공이 매우 빠르고 간편하며, 내부공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철거 역시 신속하게 진행이 가능한 것은 물론 간이 건축구조물이 시공되는 부지를 크게 훼손할 필요가 없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간이 건축구조물은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한 외부환경 및 물리적인 외력 등에 의해 캐노피의 장력이 점차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강풍 등에 의해 상기 캐노피가 심하게 유동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로 인해 철골프레임에 큰 부하가 인가되어 건축구조물 자체의 안전성을 크게 해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352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하되는 캐노피의 장력을 임의로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건축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력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건축 구조물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나란히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되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캐노피 및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 조절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캐노피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캐노피의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바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고정바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모듈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단이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되되,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바를 상하 이동시키는 조절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력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건축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간이 건축구조물 시공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하되는 캐노피의 장력을 임의로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캐노피가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에 따라 건축구조물 자체의 안전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장력조절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장력조절모듈을 통해 캐노피의 장력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과 고정바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장력조절바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장력조절바의 구조 및 이를 통해 단위 캐노피의 장력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장력조절바의 구조 및 이를 통해 단위 캐노피의 장력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장력측정모듈이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1)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1)은 일정 면적의 부지 상에 시공되며, 철골 등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을 통해 캐노피가 지지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간이 건축구조물(1)의 내부 일부(A 부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2를 통해 상기 간이 건축구조물(1)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은 베이스프레임(300)과, 메인프레임(40)과, 캐노피(50)와, 장력조절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나란히 이격되어 적어도 한 쌍이 시공될 부지 상에 구비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300)은 간이 건축구조물의 폭에 대응되도록 서로 이격되며, 또한 각각은 상기 간이 건축구조물의 전후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은 하나가 상기 간이 건축구조물의 전후 길이 전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이 그보다 짧은 길이로 분할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형태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의 바깥쪽 면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고정홈(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캐노피(50)의 고정바(6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캐노피(50) 부분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40)은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300)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300)과 함께 간이 건축구조물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프레임(40)은 전체적으로 아치 형태로 형성되나, 상기 메인프레임(40)의 형태 등은 본 실시예 외에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40)은 복수 개가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캐노피(50)는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상기 메인프레임(40)의 외측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메인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간이 건축구조물의 내부공간을 감사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노피(50)는 유연성을 가지는 천연섬유, 합성섬유, 고분자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4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캐노피(50)의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바(60)가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6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의 고정홈(31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바(60)가 상기 고정홈(310)에 삽입된 상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홈(310)의 개구부는 상기 고정바(6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바(60)를 상기 고정홈(310)의 측 방향으로부터 삽입하거나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장력조절유닛(150)은 상기 메인프레임(40)과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40)의 높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장력조절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력조절모듈(150)은, 연결바(156)와, 조절너트(152, 15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156)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단이 상기 메인프레임(40)과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바(156)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156)의 상단부에는 제1결합홀(151a)이 구비된 제1결합부(15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40)은 제2결합홀(11a)이 구비된 제2결합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홀(151a)과 제2결합홀(11a)이 대응된 상태에서 볼트부(1)와 너트부(2)에 의하여 상기 제1결합부(151)가 상기 제2결합부(11)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메인프레임(40)이 연결바(156)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너트(152, 154)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156)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너트(152, 15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연결바(156)는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메인프레임(40)의 높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너트(152, 154)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조절너트(152)와,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조절너트(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상기 메인프레임(40)을 상향시키거나 하향시키는 데 인가되는 부하를 복수의 조절너트(152, 154) 각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조절너트(152, 154)는 수동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유압 액추에이터, 모터 등과 같은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장력조절모듈(150)을 통해 캐노피(50)의 장력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노피(50)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장력이 저하될 경우, 상기 장력조절유닛(150)을 구동시켜 상기 메인프레임(40)이 상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상기 캐노피(50)의 상기 고정바(6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의 상기 고정홈(31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캐노피(50)가 상기 메인프레임(40)에 의해 하부로부터 가압력을 받게 되므로 장력이 증가하여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300)과 고정바(60)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60)는 상기 고정홈(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의 상기 고정홈(310)의 개구부 높이는 상기 고정바(60)의 직경 이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또한 고정홈(310)의 길이는 상기 고정바(60) 전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60)의 길이(d2) 이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고정홈(310)의 개구부 전체 길이(d1)는 상기 고정바(60)의 길이(d2)보다 짧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홈(310) 자체는 상기 고정바(6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60) 이상의 길이를 가지나, 양단부의 일부 영역은 개구부가 막혀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개구부 전체 길이(d1) 자체는 상기 고정바(60)의 길이(d2)보다 짧게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바(60)를 상기 고정홈(310)에 삽입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정바(60)의 일단부를 상기 고정홈(310)의 개구부로 삽입한 뒤 상기 고정바(60)를 일측 방향으로 횡이동시켜 상기 고정바(60)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310)의 개구부가 폐쇄된 일단부 영역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60)의 타단부를 상기 고정홈(310)의 개구부로 완전히 삽입하고, 상기 고정바(60)를 타측 방향으로 횡이동시켜 상기 고정바(60)의 타단부가 상기 고정홈(310)의 개구부가 폐쇄된 반대 측 타단부 영역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상기 고정바(60)가 상기 고정홈(3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나, 상기 고정바(60)의 양단부는 상기 고정홈(310)의 개구부가 폐쇄된 양단부 영역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고정바(60)가 상기 고정홈(3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1)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1)은 일정 면적의 부지 상에 시공되며, 철골 등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미도시)을 통해 캐노피 어셈블리가 지지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은 아치 형태의 메인프레임이 상부에 구비되며 하측에 수직 프레임이 연결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노피 어셈블리는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단위 캐노피(10)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캐노피(1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간이 건축구조물(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상기 캐노피 어셈블리 전체 면적이 하나의 단위 캐노피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면적이 과도하게 넓어져 시공에 어려움이 따르며, 시공 후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이 건축구조물(1)의 하단부에는 상기 캐노피 어셈블리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장력조절구조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커버(100)가 상기 간이 건축구조물(1)의 각 모서리마다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달리 간이 건축구조물(1)의 상부와 양측부를 단위캐노피(10)가 동시에 덮어 감싸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간이 건축구조물(1)의 장력조절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7를 통해 상기 간이 건축구조물(1)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1)은 장력조절바 어셈블리와, 프레임과, 캐노피 어셈블리와, 구동유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장력조절바 어셈블리는 시공될 간이 건축구조물(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서로 나란히 이격된 형태를 가지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장력조절바 어셈블리는 시공될 간이 건축구조물(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복수의 장력조절바(1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장력조절바 어셈블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장력조절바(120)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상기 간이 건축구조물(1)의 일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미도시)은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장력조절바 어셈블리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간이 건축구조물(1)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철골 트러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전체적으로 아치 형태로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상기 프레임의 형태 등은 본 실시예 외에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복수 개가 상기 간이 건축구조물(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캐노피 어셈블리는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되 양단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장력조절바 어셈블리에 권취되는 복수 개의 단위 캐노피(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캐노피(10)는 간이 건축구조물(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 캐노피(10)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장력조절바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장력조절바(120) 중 어느 하나에 권취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 캐노피(10)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장력조절바 어셈블리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장력조절바(120)는 서로 1:1로 대응되어,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양단부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장력조절바(120)에 권취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구동유닛(110)은 상기 장력조절바 어셈블리를 축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구동유닛(110)은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장력조절바 어셈블리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장력조절바(120)에 권취된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권취량이 조절되어 장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유닛(110)은 하나의 장력조절바 어셈블리의 양단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한 쌍의 구동유닛(110)은 함께 작동하여 상기 장력조절바 어셈블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110)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유닛(110)을 지지하는 베이스(105)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캐노피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단위 캐노피(10) 각각의 장력을 개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면적이 넓은 캐노피 어셈블리의 특징 상 각 단위 캐노피(10)에는 서로 다른 장력 변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단위 캐노피(10)의 개별 장력 제어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장력조절바(120)의 구조 및 이를 통해 단위 캐노피(10)의 장력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력조절바(120)는 단면을 기준으로 둘레 방향으로 서로 분할된 복수의 단위부재(1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복수의 단위부재(124)는 총 4개가 하나의 장력조절바(120)의 둘레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단위부재(124)의 개수에 제한이 없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단위부재(124)의 내측, 즉 상기 장력조절바(120)의 중심부에는 상기 구동유닛(11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122)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122)와 각 단위부재(124)는 길이조절모듈(12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12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각 단위부재(124) 역시 상기 회전부재(122)의 회전 방향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부재(124)의 둘레에는,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일단부가 권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끝단은 복수의 단위부재(124)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유닛(11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22) 및 단위부재(124)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권취량이 조절됨에 따라 장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각 장력조절바(120)에 구비된 상기 길이조절모듈(126)은, 가이드부재(126a) 및 상기 가이드부재(12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부재(126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각 단위부재(124) 및 상기 회전부재(122)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모듈(126)의 길이가 증가하게 될 경우, 상기 장력조절바(120) 자체의 직경이 증가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부재(122)의 1회전에 따른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권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장력조절바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장력조절바(120)의 직경을 서로 다르게 가변시킴에 따라, 상기 장력조절바(120) 각각에 권취된 각 단위 캐노피(10)의 장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상기 구동유닛(110)에 의해 상기 장력조절바 어셈블리 전체가 동시에 1회전될 경우에도, 각각의 장력조절바(120)의 직경에 따라 각 단위 캐노피(10)의 장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간이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장력조절바의 구조 및 이를 통해 단위 캐노피의 장력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장력조절바(120)는 직경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장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상기 장력조절바(120)의 둘레에 권취된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권취량이 많을 경우, 권취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저항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모듈(126)의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미권취 영역을 임시적으로 클램핑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핑유닛(130)이 더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클램핑유닛(130)은 제1클램핑부재(130a) 및 제2클램핑부재(13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클램핑부재(130a) 및 상기 제2클램핑부재(130)b는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미권취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클램핑부재(130a) 및 상기 제2클램핑부재(130)b에 의해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미권취 영역 일부가 클램핑되며, 이에 따라 상기 단위 캐노피(10)는 상기 클램핑유닛(130)을 기준으로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은 상기 클램핑유닛(130)에 의해 독립된 상태를 가지게 되며, 하부 영역에 대한 장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경우 장력 조절 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상기 제1클램핑부재(130a) 및 상기 제2클램핑부재(130)b에 의해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미권취 영역 일부를 클램핑한 후, 상기 구동유닛(110)은 상기 장력조절바(1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하부 영역의 권취 상태를 해제하여 저항 요소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모듈(126)을 통해 상기 장력조절바(120)의 직경을 가변시킨 후, 상기 구동유닛(110)은 상기 장력조절바(1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단위 캐노피(10)의 하부 영역을 다시 권취하도록 한다.
또한 이와 함께 상기 클램핑유닛(130)의 고정을 해제함에 따라, 상기 단위 캐노피(10) 전체의 장력을 재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 캐노피(10)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피스톤부(232)와 실린더부(234)가 구비되되, 상기 피스톤부(232) 타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휠부(232)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단위 캐노피(10)를 기준으로 타측으로 상기 피스톤부(232)가 인출 시 접촉되는 경우 압력 감지가 가능한 감지부(210)를 포함하는 장력측정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부(232)가 상기 실린더부(234)로부터 기 설정된 외력으로 인출되어 상기 회전휠부(232)가 단위 캐노피(10)를 밀어 상기 감지부(210)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단위 캐노피(10)에 유효한 장력이 걸리는 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기 설정된 외력으로 피스톤부(232)를 인출시키는 경우 단위 캐노피(10)에 과도한 장력이 이미 걸린 경우에는 감지부(210)까지 이동을 하지 못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장력의 안정적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피스톤부(232)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적용된 상기 회전휠부(232)가 감지부(210)에 접촉된 상태에서 단위 캐노피(10)를 이동시키며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장력 조절 작업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회전휠부(232)의 회전이 용이하게 되면서도 단위 캐노피(10)에 파손 등을 내지 않도록 소정 탄성을 가지는 우레탄링 등이 상기 회전휠부(232) 외부 둘레를 따라 감싸도록 적용됨 바람직하다.
1: 간이 건축구조물
10: 단위 캐노피
40: 메인프레임
50: 캐노피
60: 고정바
100: 보호커버
110: 구동유닛
120: 장력조절바
122: 회전부재
124: 단위부재
126: 길이조절모듈
130: 클램핑유닛
150: 장력조절유닛
152: 제1조절너트
154: 제2조절너트
156: 연결바
300: 베이스프레임
310: 고정홈

Claims (3)

  1. 지면 상측 기 설정 위치에 고정된 형태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되 각각 아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메인프레임; 상기 복수의 메인프레임의 외부를 소정 길이를 가지며 덮어 감싸는 복수의 단위 캐노피; 및 상기 각 단위 캐노피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장력조절바;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조절바는 전체적으로 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부 둘레부에 상기 단위 캐노피의 일단부가 권취되도록 이루어짐과 동시에 기 설정 원호 형상으로 서로 분할되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단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부재는 내측 중앙부에 회전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에 연결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각 단위부재는 복수의 길이조절모듈에 의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길이조절모듈 및 상기 각 단위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조절모듈은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서 상기 각 단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력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건축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캐노피의 미권취 영역을 임시적으로 클램핑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핑유닛이 더 구비되는,
    장력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건축 구조물.
  3. 삭제
KR1020180073618A 2018-06-26 2018-06-26 장력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건축 구조물 KR102088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618A KR102088725B1 (ko) 2018-06-26 2018-06-26 장력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건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618A KR102088725B1 (ko) 2018-06-26 2018-06-26 장력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건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93A KR20200001093A (ko) 2020-01-06
KR102088725B1 true KR102088725B1 (ko) 2020-03-13

Family

ID=6915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618A KR102088725B1 (ko) 2018-06-26 2018-06-26 장력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건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7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369B1 (ko) * 2007-08-30 2008-04-23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장력보강수단이 구비된 막구조물
KR200486144Y1 (ko) * 2016-05-26 2018-04-06 허만홍 천막용 장력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066B1 (ko) 2011-07-28 2013-09-12 스프렁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천막 구조물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빔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369B1 (ko) * 2007-08-30 2008-04-23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장력보강수단이 구비된 막구조물
KR200486144Y1 (ko) * 2016-05-26 2018-04-06 허만홍 천막용 장력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93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0111B2 (en) Device for supporting and guiding supplying lines for digging devices
KR101300972B1 (ko) 가로대의 각도 조정이 용이한 울타리
KR102088725B1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건축 구조물
KR101701961B1 (ko) 핸드레일장치
EP3271529B1 (de) Sonnensegelvorrichtung
KR101883734B1 (ko) 막구조물 코너 등분포하중용 장력조절장치
KR101499815B1 (ko)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AT506083B1 (de) Spannvorrichtung für ein von einer wickelwelle abziehbares sonnensegel
EP3260623B1 (de) Roll-markise
KR200461573Y1 (ko) 개폐식 천막
KR102028083B1 (ko) 가공송전선로의 보호기능장치
KR101128503B1 (ko) 접이식 차양 구조물
JP6339414B2 (ja) 巻き取り式タープ
US6098692A (en) Awning having balanced fabric stretching
KR200489253Y1 (ko)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KR101559943B1 (ko) 우박피해 방지장치
KR101503428B1 (ko) 가동형 그물망 휀스
KR102623313B1 (ko) 외장막과 내장막 모두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천막
KR200466401Y1 (ko)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지지와이어
DE102008042870A1 (de) Wetterschutz mit höhenverstellbarer Stütze
JP6995538B2 (ja) 自立型オーニング
WO2018112674A1 (es) Aparato y sistema para el traslado de objetos suspendidos
KR100470768B1 (ko) 에어돔의 케이블시스템
KR102623363B1 (ko) 좌우 텐션 조절기능을 구비한 막구조 천막 및 그 시공방법
KR200485333Y1 (ko) 견인선 조절장치가 갖춰진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