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575B1 - 배관 홀더 서포트 - Google Patents

배관 홀더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575B1
KR102088575B1 KR1020180097821A KR20180097821A KR102088575B1 KR 102088575 B1 KR102088575 B1 KR 102088575B1 KR 1020180097821 A KR1020180097821 A KR 1020180097821A KR 20180097821 A KR20180097821 A KR 20180097821A KR 102088575 B1 KR102088575 B1 KR 102088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ain body
bar
coupling ba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107A (ko
Inventor
이충열
Original Assignee
이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열 filed Critical 이충열
Priority to KR1020180097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5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only on one sid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들을 지지하기 위한 배관 홀더 서포트의 설치가 작업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한 원터치 방식을 통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관 홀더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상측에 배관의 하부 직경을 수용하는 하부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측에 상기 배관의 상부 직경을 수용하는 상부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공을 형성하는 결합구; 상기 결합구의 일측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바와, 상기 결합바의 직하방으로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바가 안착되며 일면에 결합공이 구비된 결합포지션과, 상기 결합바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바가 상기 결합포지션에 안착될 때 상기 결합공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바와 상기 결합포지션의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락킹수단,으로 구성된 락킹부; 및 상기 본체와 결합구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결합구와 본체가 결합될 때 상호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관 홀더 서포트{Pipe holder support}
본 발명은 배관 홀더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들을 지지하기 위한 배관 홀더 서포트의 설치가 작업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한 원터치 방식을 통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관 홀더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품을 생산하는 현장이나 각종 화학 약품을 취급하는 장소에는 각 공정을 구성하는 여러 장비들이 구비되고, 각 장비들에는 장비의 기능에 따라 여러 종류의 가스 또는 각종 화학약품 등의 유체가 다수의 배관을 통해 공급된다.
따라서, 공장 내부에는 가스 또는 화학약품을 각 장비들로 공급하는 수없이 많은 배관들이 설치될 수 밖에 없고, 설치되는 배관들은 지면과 수평을 이룬상태로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해야하며, 배관들 간의 간격 또한 안전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관들은 복수개의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며, 종래의 국내공개특허 10-2016-0129433호에는, 상면에는 내측으로 하부홈이 형성되고, 정면 일부에는 배면으로 통공되게 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공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상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승강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조절공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중앙에는 상·하부 방향으로 통공된 회전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조절 레버;와 상기 본체 상부에 위치하여 하부홈과 일치하도록 상부홈이 형성되어 테프론 튜브를 삽입하도록 조립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홈 일측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승강축은 승강공과 조절공으로 삽입되어 조절 레버에 결합된 다음 본체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 캡;과 상기 조절 레버를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축이 상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본체에서 고정 캡이 분리 및 결합되고, 상기 본체 하부에는 내측으로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상부에는 조립 돌기가 형성된 높이 조절부가 끼움 결합되는 튜브 홀더 서포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공개특허 10-2016-0129433호의 튜브 홀더 서포트는, 본체와 고정캡의 결합을 통해 테프론 튜브의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테프론 튜브 지지시 본체 상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간이 협소할 경우 고정캡과 본체의 결합이 어려운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이는, 승강축이 승강공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캡의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본체의 상측방향으로 고정캡을 포함한 승강축의 전체 길이가 배치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이 확보되지 못할 경우 고정캡의 결합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둘째, 고정캡과 본체의 결합이 반드시 승강축과 조절레버에 의해 구현됨에 따라 복수개의 테프론튜브가 설치되는 협소한 장소에서는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조절레버의 조임 작업성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셋째, 승강축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승강축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고정캡 자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공개특허 10-2016-0129433호 국내등록특허 제10-148471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포트가 배관들이 배열된 현장의 작업환경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원터치로 이루어지는 결합방식을 통해 설치의 용이성이 담보되도록 하며, 서포트의 파손 및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배관 홀더 서포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관 홀더 서포트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상측에 배관의 하부 직경을 수용하는 하부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측에 상기 배관의 상부 직경을 수용하는 상부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공을 형성하는 결합구; 상기 결합구의 일측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바와, 상기 결합바의 직하방으로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바가 안착되며 일면에 결합공이 구비된 결합포지션과, 상기 결합바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바가 상기 결합포지션에 안착될 때 상기 결합공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바와 상기 결합포지션의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락킹수단,으로 구성된 락킹부; 및 상기 본체와 결합구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결합구와 본체가 결합될 때 상호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포지션은, 상기 결합바의 일면과 수직방향으로 접촉을 이루는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바가 안착되는 수평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편의 상측에는 상기 락킹수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수직편의 판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락킹수단은, 상기 결합바의 외측에 배치된 스톱퍼; 상기 결합바를 관통한 상태로 일측은 상기 스톱퍼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바로부터 노출되는 출몰봉; 및 상기 결합바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출몰봉을 탄성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출몰봉을 결합바 외부로 출몰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출몰봉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될 때 결합 음(音)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결합구와 본체의 락킹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와 결합구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마주하게 각각 형성되며, 수직의 어느 일방향에는 이격된 한 쌍의 암가이드가 형성되고, 수직의 어느 타방향에는 상기 한 쌍의 암가이드 사이로 삽입되는 숫가이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결합구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암가이드와 숫가이드를 관통하는 회동핀이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관 홀더 서포트는 PVC, ABS, FRP 또는 엔지니어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배관 홀더 서포트에 의하면, 결합구와 본체의 결합이 간단한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관에 배관 홀더 서포트의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 홀더 서포트의 설치장소가 협소하더라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락킹수단을 적용하여 결합구와 본체의 락킹 및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락킹된 상태에서는 결합구와 본체의 분리가 원천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구조적인 효과 또한 탁월하다.
또한, 회동핀을 적용하는 경우, 결합구가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더하여 결합구와 본체가 한 쌍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유통의 편리성을 담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홀더 서포트가 배관을 지지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홀더 서포트의 구성중 결합구와 본체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결합구에 락킹수단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상태 배면사시도이며,
도 5는 결합구와 본체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6a 및 6b는 결합구와 본체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요부 정면도이며,
도 7은 회동핀을 통해 결합구와 본체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요부 정면도이고,
도 8a 내지 8d는 결합구와 본체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요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홀더 서포트가 배관을 지지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홀더 서포트의 구성중 결합구와 본체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결합구에 락킹수단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상태 배면사시도이며, 도 5는 결합구와 본체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6a 및 6b는 결합구와 본체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요부 정면도이며, 도 7은 회동핀을 통해 결합구와 본체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요부 정면도이고, 도 8a 내지 8d는 결합구와 본체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요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 홀더 서포트(1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상측에 배관(B)의 하부 직경을 수용하는 하부홈(11)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측에 상기 배관(B)의 상부 직경을 수용하는 상부홈(21)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관(B)을 지지하는 지지공(30)을 형성하는 결합구(20); 상기 결합구(20)의 일측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바(50)와, 상기 결합바(50)의 직하방으로 상기 본체(10)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바(50)가 안착되며 일면에 결합공(63)이 구비된 결합포지션(60)과, 상기 결합바(50)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바(50)가 상기 결합포지션(60)에 안착될 때 상기 결합공(6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바(50)와 상기 결합포지션(60)의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락킹수단(70),으로 구성된 락킹부(40); 및 상기 본체(10)와 결합구(20)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결합구(20)와 본체(10)가 결합될 때 상호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배관 홀더 서포트(100)에 의해 지지되는 배관(B)은 내부로 유체 또는 가스가 유동하는 모든 튜브 및 파이프 등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진 배관(B)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배관 홀더 서포트(100)의 가장 큰 특징은, 결합구(20)와 본체(10)의 락킹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루어지는 원터치 방식과 같은 구조를 이룸에 따라 락킹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더하여 설치장소의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배관 홀더 서포트(100)는 도 1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배관(B)을 지지하는 것으로, 배관(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배관(B)의 수평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배관 홀더 서포트(100)는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도록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에서 본체(10)와 락킹됨으로써 배관(B)을 지지하는 결합구(2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배관 홀더 서포트(100)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배관 홀더 서포트(100)는 크게 본체(10)와, 결합구(20)와, 락킹부(40) 및 가이드부(8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도 1과 같이 배관(B)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본체(10)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도 2와 같이 본체(10)의 하측방향으로 함몰됨으로써 배관(B)의 하부 직경을 수용토록 하는 하부홈(11)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구(20)는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본체(10)와의 락킹을 통해 배관(B)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부 내측에는 배관(B)의 상부 직경을 수용하는 상부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홈(21)은 결합구(20)가 본체(10)에 락킹될 때 본체(10)의 하부홈(11)과 원호 매칭을 이룸으로써 배관(B)이 수용되는 지지공(30)을 형성한다(도 6 참조).
따라서, 배관(B)은 지지공(30)에 수용된 상태로 배관 홀더 서포트(100)에 의해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하부홈(11)과 상부홈(21)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공(30)의 직경은, 수용되는 배관(B)의 직경보다 0.3mm~0.5mm 정도 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결합구(20)와 본체(10)의 락킹이 소정의 압력이 가해진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지공(30)의 표면과 배관(B)의 직경 표면이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지지공(30)의 직경이 0.3mm 이하로 형성되면, 배관(B) 직경과의 차이가 미미하여 밀착상태를 유지시키기가 어렵고, 반대로 지지공(30)의 직경이 0.5mm 이상으로 형성되면 배관(B) 직경과의 차이가 너무 쿠기 때문에 결합구(20)와 본체(10)의 락킹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더하여, 하부홈(11)과 상부홈(21)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공(30)은 현장에 배열된 여러 종류 배관(B)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합구(20)와 본체(10)의 결합은 락킹부(40)를 통해 구현된다.
락킹부(4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결합바(50)와, 결합포지션(60) 및 락킹수단(70)으로 구성된다.
결합바(50)는 도 2와 같이 사각의 스틱바 형상으로 결합구(20)의 일측인 도면상 우측에서 하측방향을 향하여 소정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포지션(60)은 도 2와 같이 결합구(20)에 형성된 상기 결합바(50)의 직하방으로 본체(10)의 도면상 우측에 형성되고, 결합바(50)의 하측 단부가 안착되며 후술하는 락킹수단(70)의 출몰봉(72)이 삽입됨으로써 결합구(20)와 본체(10)의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공(63)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결합포지션(60)은, 후술하는 락킹수단(70)의 출몰봉(72)이 출몰하는 결합바(50)의 일면과 수직방향으로 접촉을 이루는 수직편(61)과, 수직편(61)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며 결합바(50)가 안착되는 수평편(65)으로 구성된다.
즉, 수직편(61)과 수평편(65)은 역 "ㄴ"자 형상으로 본체(10)의 우측에서 하측 방향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된 것이다.
이때, 수직편(61)과 수평편(65)의 노출된 판면은 결합바(50)의 편평한 외면과 안정적인 접촉을 이루고, 결합바(50) 하측 단부의 안정적인 안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수직편(61)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락킹수단(70)의 출몰봉(72)이 결합바(50)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출몰봉(72)을 밀어주는 가이드경사면(62)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공(63)은 가이드경사면(62)에 의해 결합바(50)의 내측으로 수용된 출몰봉(72)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편(61)의 수직한 판면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바(50)와 수직편(61)이 수직한 평면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결합바(50)의 외면이 곡면인 경우 수직편(61) 또한 이에 대응하는 곡면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외면의 형상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락킹수단(70)은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결합바(50)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며 결합바(50)가 결합포지션(60)의 수평편(65)에 안착될 때 출몰봉(72)이 수직편(61)에 형성된 결합공(63)에 결합됨으로써 결합바(50)와 결합포지션(60)의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결합바(50)의 안착과 동시에 락캉수단을 통한 결합구(20)와 본체(10)의 락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락킹수단(70)은, 스톱퍼(71)와, 출몰봉(72) 및 탄성부재(73)로 구성된다.
스톱퍼(71)는 원통의 형상으로 결합바(50)의 외측 즉 도면상 좌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다.
출몰봉(72)은 원통의 봉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결합바(50)를 관통한 상태로 일측은 스톱퍼(71)와 나선 결합되고, 타측의 선단이 도 4와 같이 결합바(50)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73)는 도 5와 같이 결합바(50)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출몰봉(72)을 탄성 가능하게 지지하며, 출몰봉(72)의 선단이 상시 결합바(50)의 외부로 출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탄성부재(73)는 출몰봉(72)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 인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탄성부재(73)가 수용될 수 있도록 결합바(50)의 내측에는 결합바(50)를 관통한 수용홀(51)이 형성되고, 수용홀(51)의 일측 즉 스톱퍼(71)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탄성부재(73)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52)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락킹수단(70)은, 결합바(5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가이드경사면(62)에 의해 출몰봉(72)이 결합바(50)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하고, 수용된 출몰봉(72)이 결합공(63)과 일직선상에 위치할 때 결합공(63)에 삽입되도록 출몰시켜 결합구(20)와 본체(10)의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락킹수단(70)은 출몰봉(72)이 탄성부재(73)의 지지를 받으면서 결합바(50)의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 결합공(63)에 결합됨에 따라, 출몰봉(72)의 선단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공(63)을 때리면서 결합 음(音)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결합구(20)와 본체(10)의 락킹을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도 8 참조).
더하여, 락킹수단(70)은 출몰봉(72)의 락킹만을 통한 간단한 조작과 같은 원터치 방식으로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결합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가이드부(80)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및 도 7과 같이, 락킹부(40)와 마주하는 본체(10)와 결합구(20)의 타측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 결합구(20)와 본체(10)가 락킹될 때 직하방으로 상호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락킹부(40)의 유동 방지와 더불어 안정적인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가이드부(80)는 도 2와 같이, 본체(10)와 결합구(20)의 타측에 도면상 직하방의 수직방향으로 상.하 마주하게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암가이드(81)와 숫가이드(82)로 구성되어 있다.
암가이드(81)는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결합구(20)의 도면상 좌측에 소정 길이를 갖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숫가이드(82)는 본체(10) 상측의 도면상 좌측 즉 암가이드(81)의 직하방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강하는 한 쌍의 암가이드(81) 사이로 삽입된다.
이때, 암가이드(81)와 숫가이드(82)는 상호 긴밀하게 접촉을 이룬상태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판 상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결합구(20)와 본체(10)는, 암가이드(81)와 숫가이드(82)의 긴밀한 가이드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안정적인 락킹을 이루게 된다.
또한, 암가이드(81)와 숫가이드(82)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결합구(20)와 본체(10)의 도면상 좌측의 유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락킹수단(70)에 의해 본체(10)와 락킹된 결합구(20)의 수평방향(배관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어 락킹상태의 해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암가이드(81)와 숫가이드(82)가 판 상의 형태로 상호 가이드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홈과 돌기 등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암가이드(81)와 숫가이드(82)로 이루어진 가이드부(80)에는, 도 2 및 도 7과 같이 결합구(20)가 본체(10)와 락킹된 상태에서 가이드부(80)를 중심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암가이드(81)와 숫가이드(82)를 관통하는 회동핀(83)이 더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암가이드(81)와 숫가이드(82) 각각 에는 회동핀(83)이 삽입되는 관통홀(S)이 형성됨은 물론일 것이다.
이러한 회동핀(83)은, 결합구(20)와 본체(10)의 도면상 좌측에서 암가이드(81)와 숫가이드(82)를 락킹시키는 역할도 수행하기 때문에, 결합구(20)의 수직과 수평방향으로의 이탈을 차단하여 결합구(20)와 본체(10)의 안정적인 락킹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회동핀(83)은, 배관(B)을 수용한 상태로 결합구(20)와 본체(10)의 락킹이 이루어질 때 배관(B)에 의해 결합구(20)에 부하가 걸릴 경우 암가이드(81)와 숫가이드(82)를 결합시킴으로써 결합구(20)의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회동핀(83)이 결합된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본체(10)의 하부홈(11)에 배관(B)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결합구(20)를 회동시켜 본체(10)와의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의 경우는, 배관(B)이 배열된 상측방향으로 작업공간이 넓게 확보되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며, 만일 작업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회동핀(83)을 미리 분리한 상태로 도 6과 같이 결합구(20)를 하강시키면서 본체(10)와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배관(B)이 깔린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선택적인 락킹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배관 홀더 서포트(100)는 사출과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가벼우면서 뒤틀림 등의 기계적 변형이 생기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PVC, ABS, FRP 또는 엔지니어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소재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 홀더 서포트(100)를 이용하여 배관(B)을 지지하는 락킹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결합구(20)와 본체(10)의 락킹방식은 결합구(20)의 수직 하강을 통한 락킹방식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회동핀(83)을 분리한 상태로 도 6a 및 도 8a와 같이 결합구(20)를 본체(10)의 상측으로 배치시킨다.
이후, 배관(B)을 본체(10)의 하부홈(1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결합구(20)를 하강시켜 본체(10)와 락킹시킨다.
이때, 락킹수단(70)의 출몰봉(72)은 하강하는 과정에서 출몰봉(72)의 선단이 도 8b와 같이 가이드경사면(62)과 접촉을 이룬 상태로 하강하기 때문에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탄성부재(73)의 지지를 받으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톱퍼(71)는 출몰봉(72)의 이동 거리만큼 결합바(50)의 표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출몰봉(72)은 결합구(20)의 계속적인 하강에 의해 수직편(61)의 판면과 접촉을 이루게 되면서 도 8c와 같이 최대치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위 상태에서 결합구(20)의 하강은 결합바(50)의 수직방향 하면이 수평편(65)에 안착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출몰봉(72)과 결합공(63)은 결합바(50)가 수평편(65)에 안착되는 시점에서 일직선상을 이루게 된다.
이 과정에서 출몰봉(72)은, 좌측방향으로 최대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탄성부재(73)의 탄성에 의해 도 8d와 같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출몰하면서 선단이 결합공(63)에 삽입된다.
이때, 출몰봉(72)은 탄성부재(73)에 의해 튕겨나가 선단이 결합공(63) 수용되면서 부딛치기 때문에 결합 음(音)을 발생시키고, 작업자는 이 결합 음(音)을 청각으로 인식하여 락킹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인식 하게된다.
이후, 작업자는 도 6b 및 도 8d 상태에서 암가이드(81)와 숫가이드(82)의 관통홀(S)로 회동핀(83)을 끼워 결합구(20)와 본체(10)의 안정적인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관 홀더 서포트(100)를 이용한 배관(B)의 지지를 완료한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 홀더 서포트는, 결합구와 본체의 결합이 간단한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관에 배관 홀더 서포트의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 홀더 서포트의 설치장소가 협소하더라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락킹수단을 적용하여 결합구와 본체의 락킹 및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락킹된 상태에서는 결합구와 본체의 분리가 원천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구조적인 효과 또한 탁월하다.
또한, 회동핀을 적용하는 경우, 결합구가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더하여 결합구와 본체가 한 쌍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유통의 편리성을 담보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배관 홀더 서포트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 : 본체 111 : 하부홈
20 : 결합구 21 : 상부홈
30 : 지지공 40 : 락킹부
50 : 결합바 51 : 수용홀
52 : 걸림턱 60 : 결합포지션
61 : 수직편 62 : 가이드경사면
63 : 결합공 70 : 락킹수단
71 : 스톱퍼 72 : 출몰봉
73 : 탄성부재 80 : 가이드부
81 : 암가이드 82 : 숫가이드
83 : 회동편 100 : 배관 홀더 서포트
B : 배관 S : 관통홀

Claims (7)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상측에 배관(B)의 하부 직경을 수용하는 하부홈(11)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측에 상기 배관(B)의 상부 직경을 수용하는 상부홈(21)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관(B)을 지지하는 지지공(30)을 형성하는 결합구(20);
    상기 결합구(20)의 일측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바(50)와, 상기 결합바(50)의 직하방으로 상기 본체(10)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바(50)가 안착되며 일면에 결합공(63)이 구비된 결합포지션(60)과, 상기 결합바(50)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바(50)가 상기 결합포지션(60)에 안착될 때 상기 결합공(6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바(50)와 상기 결합포지션(60)의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락킹수단(70),으로 구성된 락킹부(40); 및
    상기 본체(10)와 결합구(20)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결합구(20)와 본체(10)가 결합될 때 상호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80);를 포함하며,
    락킹수단(70)은, 상기 결합바(50)의 외측에 배치된 스톱퍼(71);
    상기 결합바(50)를 관통한 상태로 일측은 상기 스톱퍼(71)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바(50)로부터 노출되는 출몰봉(72); 및
    상기 결합바(50)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출몰봉(72)을 탄성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출몰봉(72)을 결합바(50) 외부로 출몰시키는 탄성부재(7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홀더 서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포지션(60)은,
    상기 결합바(50)의 일면과 수직방향으로 접촉을 이루는 수직편(61)과, 상기 수직편(61)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바(50)가 안착되는 수평편(65)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편(61)의 상측에는 상기 락킹수단(7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경사면(6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63)은 상기 수직편(61)의 판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홀더 서포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70)은 상기 출몰봉(72)이 상기 결합공(63)에 결합될 때 결합 음(音)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결합구(20)와 본체(10)의 락킹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홀더 서포트.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80)는, 상기 본체(10)와 결합구(20)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마주하게 각각 형성되며,
    수직의 어느 일방향에는 이격된 한 쌍의 암가이드(81)가 형성되고, 수직의 어느 타방향에는 상기 한 쌍의 암가이드(81) 사이로 삽입되는 숫가이드(8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홀더 서포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80)에는 상기 결합구(20)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암가이드(81)와 숫가이드(82)를 관통하는 회동핀(83)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홀더 서포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홀더 서포트(100)는 PVC, ABS, FRP 또는 엔지니어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홀더 서포트.
KR1020180097821A 2018-08-22 2018-08-22 배관 홀더 서포트 KR102088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21A KR102088575B1 (ko) 2018-08-22 2018-08-22 배관 홀더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21A KR102088575B1 (ko) 2018-08-22 2018-08-22 배관 홀더 서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107A KR20200022107A (ko) 2020-03-03
KR102088575B1 true KR102088575B1 (ko) 2020-03-12

Family

ID=6980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821A KR102088575B1 (ko) 2018-08-22 2018-08-22 배관 홀더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5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3369B (zh) * 2020-04-13 2021-11-30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生态管网连接端口的支撑装置及其施工方法
US11639760B2 (en) * 2021-08-23 2023-05-02 A. Raymond Et Cie Cable routing fastener with torsion el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314B1 (ko) * 2013-04-24 2014-05-22 이상숙 배관결속전용의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304A (ko) * 2012-12-26 2014-07-04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크리트
KR101484719B1 (ko) 2013-09-04 2015-01-20 신기산업 주식회사 배관 지지장치
KR101792326B1 (ko) 2015-04-30 2017-11-20 윤호근 튜브 홀더 서포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314B1 (ko) * 2013-04-24 2014-05-22 이상숙 배관결속전용의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107A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575B1 (ko) 배관 홀더 서포트
US5518278A (en) Coupling
JP6860667B2 (ja) 洗濯機用水栓及び洗濯機
US20130285367A1 (en) Pipe quick release structure
EP3234302B1 (en) A device for ensuring continuous circulation in well drilling
FR2714710A1 (fr) Appareillage de mise en place d'une prise de branchement sur une canalisation.
KR20160149458A (ko) 키타입 밸브장치
CN203875230U (zh) 具有定位结构的扩管器
KR20210112129A (ko) 배관용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용 연결장치
KR20180088296A (ko) 회수장치
US4338712A (en) Welding fixture for use in joining two tubular members
KR101821229B1 (ko) 배관 피팅용 고정 장치
EP2101094A3 (de) Anordnung zum Durchführen eines Schutzrohres durch eine Gebäudewand
JP2017082863A (ja) 雌型継手部材及び該雌型継手部材を備える管継手
JP2014040738A (ja) 送水装置
US1044707A (en) Closure for air-suction pipes.
KR20210150756A (ko) 탭핑 티
JP6208963B2 (ja) 分岐継手用穿孔工具
US33369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flow lines and the like in underwater well installations
KR101300522B1 (ko) 매립 배관 연결 유니트
KR102048484B1 (ko) 퓨즈콕
US3106416A (en) Safety hook for drilling apparatus
NO142046B (no) Stengeventil.
KR20200008695A (ko) 지붕막이 적용된 스마트팜 구조물
US846905A (en) Connection for bath-spray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