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456B1 -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456B1
KR102088456B1 KR1020180023717A KR20180023717A KR102088456B1 KR 102088456 B1 KR102088456 B1 KR 102088456B1 KR 1020180023717 A KR1020180023717 A KR 1020180023717A KR 20180023717 A KR20180023717 A KR 20180023717A KR 102088456 B1 KR102088456 B1 KR 10208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display
distance
mode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792A (ko
Inventor
박지호
배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아이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아이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아이파워
Priority to KR102018002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456B1/ko
Priority to PCT/KR2018/015615 priority patent/WO2019168255A1/ko
Publication of KR2019010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와 가까워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장시간 시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력 보호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면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디스플레이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동력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구분하고,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거리가 가까워질 경우 사용자의 시력 보호를 위해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변경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거리에서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고, 이러한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범위도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낮은 연령의 사용자로의 보급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고, 낮은 연령대의 사용자들은 무의식 중에 디스플레이 쪽으로 가깝게 이동하여 시청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시력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낮은 연령대의 사용자들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들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가까운 거리에서 디스플레이를 시청함에 따른 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화면을 특정 영상으로 변경시키는 등 디스플레이 화면을 조작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자체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수정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어, 현실적으로 구현이 쉽지 않다.
다른 방법으로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전자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에 활용할 경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전체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므로 전자 장치의 손상을 유발하거나 작업 중인 데이터의 손실 등 부작용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른 시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와 가까워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장시간 시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력 보호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수정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시력 보호 기능을 구현한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를 구별하여 시력 보호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전자 장치 조작 시에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시력 보호 모드를 무력화시키려는 경우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시력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면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디스플레이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동력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구분하고,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시청 모드, 조작 모드 및 시력 보호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일 경우 상기 시청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조작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 미만이면서 상기 제2 거리 초과인 제한 구간에 해당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한 구간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 모드 및 상기 조작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가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시력 보호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와는 다른 제2 각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시청 각도 설정 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도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 모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제1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모드가 제2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조작 모드로의 강제 진입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조작 모드로 강제 진입한 이후 제3 시간 이상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조작 모드로부터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를 거치하되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시청 모드, 시력 보호 모드 및 조작 모드 중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청 모드 및 상기 조작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를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시력 보호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를 상기 제1 각도와는 상이한 제2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일 경우 상기 시청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조작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 미만이면서 상기 제2 거리 초과인 제한 구간에 해당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한 구간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조작 모드 진입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측정된 거리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의 차이는 30도 내지 60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와 가까워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장시간 시청하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수정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시력 보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를 구별하여 시력 보호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전자 장치 조작 시에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시력 보호 모드를 무력화시키려는 경우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시력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각도 조절부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가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가 시력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라는 용어는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모니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0, 이하 간략히 '거치 장치'라고도 함)는 본체(110), 지지부(130) 및 각도 조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바닥, 벽면 등에 설치되어 거치 장치(100) 전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체(110)는 그 내부 또는 외부에 각도 조절부(150)의 일부 또는 전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면서 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130)는 디스플레이 각도가 변경되도록 본체(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30)의 본체(11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은 회전, 슬라이딩 등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도 조절부(150)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지지부(130)를 본체(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가 발광하는 방향(즉, 디스플레이 각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발광면과 수평면(대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바뀌도록 지지부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발광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즉, 상하 방향 회전이 없음) 디스플레이 발광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부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이들 양자를 모두 활용하여 디스플레이가 발광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150)가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는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3 내지 도 5의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거치 장치(300)가 디스플레이(10)를 시청 각도로 유지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도 3(b)는 거치 장치(300)가 디스플레이(10)를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지지부(330)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면서 연결부(320)를 통해 본체(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지지부(330)에 의해 지지된 디스플레이(10)의 발광면이 사용자의 눈(20)을 향해 발광하고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의 발광 방향이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좋은 각도일 경우를 시청 각도라고 표현하기로 한다. 도 3(a)에서 디스플레이(10)로부터 연장된 선분(DS)은 디스플레이의 발광면을 나타내고, 선분(HS)은 수평면 또는 대지면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 발광면(DS)과 수평면(HS)이 이루는 각도(θ)는 디스플레이 각도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도 3(b)는 지지부(330)가 회전을 하여 디스플레이의 발광 방향이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불편한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불편한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디스플레이 각도를 시력 보호 각도라고 표현하기로 한다.
도 3을 통해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30)를 본체(3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예, 회전)시켜 디스플레이(10)의 발광 방향을 변경(즉,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청하기 좋은 시청 각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불편한 시력 보호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거치 장치의 다른 형태로서, 지지부(43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본체(4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10)의 발광 각도를 변경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a)는 디스플레이(10)의 발광 방향이 사용자의 눈(20)을 향하여 시청하기에 적절한 시청 각도를 유지하는 경우이고, 도 4(b)는 지지부(430)의 일부가 본체(4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10)의 발광 방향이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디스플레이 각도(θ)는 디스플레이 발광면(DS)과 수평면(HS)이 이루는 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를 통해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30)를 본체(4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예, 슬라이딩)시켜 디스플레이(10)의 발광 방향을 변경(즉,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청하기 좋은 시청 각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불편한 시력 보호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거치 장치의 다른 예시로서, 거치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디스플레이(10)가 지지부(5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20)을 향해 발광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고, 도 5(b)는 지지부(530)가 본체(510)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10)의 발광 방향이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불편하도록 변경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5(a)의 상태를 시청 각도가 유지된 상태로 이해할 수 있고, 도 5(b)의 상태를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30)를 본체(5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예, 회전)시켜 디스플레이(10)의 발광 방향을 변경(즉,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청하기 좋은 시청 각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불편한 시력 보호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도 5의 실시예를 비교해 보면, 도 3의 실시예와 도 5의 실시예는 지지부(530)의 회전이라는 관점에서는 유사하지만,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 발광면이 수평면(도 5의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예, 직각)를 유지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발광면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고,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발광면(DS)과 수평면(HS)이 형성하는 각도를 변경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5의 경우, 거치 장치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발광면의 방향을 디스플레이 각도를 정의할 수도 있지만 기준을 이와는 다르게 설정하고 디스플레이 각도를 정의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거치 장치에는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고, 거치 장치의 구조에 따라 또는 기준 방향의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각도는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디스플레이 각도'는, 지지부의 이동(예, 회전이나 슬라이딩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발광면이 회전하는 방향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된 기준선 또는 기준면과 디스플레이의 발광면이 이루는 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시청 각도는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적절한 각도로 이해될 수 있고, 시력 보호 각도는 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발광면이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또는 불편한 상태로 이동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절대적인 크기는 기준선/기준면의 설정 및 사용자의 선호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절대적인 크기보다는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차이에 의미가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차이는, 예를 들면 30도 이상일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을 충분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차이가 30도 내지 60도의 범위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이면서도 경각심을 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차이를 90도 이상으로 설정하여 가까운 거리에서는 시청이 곤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차이가 이러한 수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각도 조절부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각도 조절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각도 조절부(150)는 제어부(251), 센서부(253), 동력부(255), 사용자 인터페이스(257) 및 표시부(259)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53)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51)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253)는 적외선 방식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253)는 거치 장치의 본체(110) 및/또는 지지부(13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동력부(255)는 디스플레이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지지부(130)를 본체(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부(255)는 거치 장치의 본체(110) 및/또는 지지부(13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동력부(255)는 모터 및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지지부(130)를 움직이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동력부(255)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즉, 동력부(255)는 모터 등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는 대신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시청 모드로부터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스프링 등의 탄성체(도면 미도시)를 사용하여 지지부(430)에 시력 보호 모드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힘을 인가하되, 사용자가 지지부(430)를 도 4(a)와 같이 시청 각도로 전환하면 걸림 수단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시청 각도를 유지하고, 시청 각도로부터 시력 보호 각도로 전환할 때 제어부가 걸림 수단을 제어하여 탄성체의 힘을 통해 지지부(430)를 슬라이딩시켜 시력 보호 각도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동력부(255)에는 모터 및 모터 구동부 등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간단한 구조 및 낮은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동력부(255)는 중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즉, 동력부(255)는 모터나 탄성체 등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대신 중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각도를 시청 각도로부터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와 같이 시청 각도일 때 디스플레이(10) 및 지지부(430)가 중력에 의해 시력 보호 각도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되, 시청 모드에서는 걸림 수단 등을 사용하여 중력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기울어짐을 막고 있다가, 시력 보호 각도로 전환할 때 제어부가 걸림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중력에 의해 지지부(430) 및 디스플레이(10)가 기울어지도록 허용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면 모터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시청 각도로부터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0)를 시력 보호 각도로부터 시청 각도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힘을 활용할 수 있다. 즉, 거치 장치(400)에 모터 등이 포함되지 않아 디스플레이(10)를 시력 보호 각도로부터 시청 각도로 되돌리는 힘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10)를 시청 각도로 되돌리도록 하고 거치 장치(400)는 시청 각도로부터 시력 보호 각도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동력부(255)에는 모터 및 모터 구동부 등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간단한 구조 및 낮은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51)는 각도 조절부(15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1)는 센서부(253)에서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구분하고, 동작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동력부를(255)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51)의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7)와 표시부(259)는 사용자와 거치 장치의 정보 교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57)를 통해 거치 장치로 동작 설정 등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거치 장치는 표시부(259)를 통해 동작 모드, 경고 메시지 등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각도 조절부(150)의 구성들은 하나의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각각의 구성이 필요한 위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도 조절부(150)의 각각의 구성은 본체 및/또는 지지부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그 외의 제3의 장소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가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을 수행하는 절차를 예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거치 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강제 조작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10). 강제 조작 모드는 제어부의 모드 판단에 따라 조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의 모드 판단과는 무관하게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조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어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 모드로의 강제 진입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강제 조작 모드 선택이 있는 경우 S660 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자의 강제 조작 모드 선택이 없는 경우 S62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S610 단계가 거리 측정 단계(S620)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S610 단계는 S620 단계보다 늦게 수행되거나 또는 인터럽트 방식으로 특별한 순서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조작 모드 진입 명령이 있으면 측정된 거리에도 불구하고 조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센서부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측정을 위해 적외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630 단계에서 제어부는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동작 모드는 시청 모드, 조작 모드 및 시력 보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일 경우(즉, 시청에 적절한 거리 이상일 경우) 시청 모드로 동작하고,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 이하(즉,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위한 거리)일 경우 조작 모드로 동작하며,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미만이면서 제2 거리 초과인 제한 구간(조작을 위한 거리보다는 멀되 시청 거리로는 너무 가까운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시력 보호 모드는 측정된 거리가 제한 구간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을 추가 조건으로 할 수 있다. 즉, 거리가 제한 구간에 해당하는 상태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할 때 시간 조건을 추가로 설정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제한 구간에 들어온 경우 바로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나, 시간 조건을 포함할 경우 거리가 일시적으로 가까워지는 경우에 대해서는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S630 단계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S640 단계, S650 단계 또는 S660 단계 중의 어느 하나의 모드로 진행할 수 있다.
제어부가 S630 단계에서 시청 모드로 판단하면, S640 단계로 진행하여 시청 모드로 진입하고, S642 단계에서 제어부는 지지부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각도가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1 각도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시청하기에 적절한 시청 각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각도를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한다는 것은 다른 각도로부터 제1 각도가 되도록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제1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1 각도(시청 각도)는 시청 각도 설정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도일 수 있다. 시청하기에 적절한 시청 각도는 사용자나 상황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거치 장치는 시청 각도 설정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시청 각도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시청 각도를 설정하는 다른 방법으로, 제어부는 시청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각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시청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가 S630 단계에서 시력 보호 모드로 판단하면, S650 단계로 진행하여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하고, S652 단계에서 제어부는 지지부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각도가 제2 각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각도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시청하기에 부적절하거나 불편한 각도인 시력 보호 각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각도를 제2 각도가 되도록 조절'한다는 것은 다른 각도로부터 제2 각도가 되도록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2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가 S630 단계에서 조작 모드로 판단하거나 S610 단계에서 강제 조작 모드로 판단한 경우, S660 단계로 진행하여 조작 모드로 진입하고, S662 단계에서 제어부는 지지부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각도가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각도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시청하거나 조작하기에 적절한 시청 각도일 수 있다.
S662 단계에서 시청 각도 조절이 완료되면 S664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 소정 시간(제3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조작 모드로부터 시력 보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유는 사용자에 의한 시력 보호 기능의 무력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강제 조작 모드를 설정할 경우 사용자와 디스플레이의 거리에 무관하게 조작 모드로 진입하므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의 거리가 가까워져도 시력 보호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강제 조작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도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조작이 없으면 시력 보호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조작하기 위한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거리 센서에서 측정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변동되는 정도를 통해 판단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가 거리를 측정하고 모드를 구분하는 절차를 좀 더 상세히 예시하기로 한다.
S710 단계에서 센서부는 소정 주기(T0)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측정 주기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S720 단계에서 제어부는 측정된 거리(L)가 제1 거리(L1)에 비해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측정된 거리(L)가 제1 거리(L1)에 비해 같거나 클 경우 S721 단계로 진행하여 변수 count1과 변수 count2를 영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이후 S723 단계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청 각도(P0)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현재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청 각도(P0)이면 바로 S770 단계로 진행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청 각도(P0)가 아니면 S725 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각도를 시청 각도로 조절한 후 S77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count1은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할 때 제1 시간(T1)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이고, count2는 조작 모드에서 경과된 시간을 제2 시간(T2) 및 제3 시간(T3)와 비교하여 조작 모드가 장기화될 경우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거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이다. 시청 모드에서는 두 변수(count1 및 count2)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초기화할 수 있다.
S720 단계에서, 측정된 거리(L)가 제1 거리(L1)에 비해 작다고 판단된 경우, S730 단계로 진행하여 측정된 거리(L)가 제1 거리(L1)과 제2 거리(L2)의 사이에 존재하는지 여부, 즉 측정된 거리(L)가 제한 구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730 단계에서 측정된 거리(L)가 제한 구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S731 단계로 진행하여 count1을 1씩 가산하고, count2를 영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33 단계에서 count1이 제1 시간(T1)에 비해 작을 경우 S770 단계로 진행하고(즉, 일정 시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하지 않음), S733 단계에서 count1이 제1 시간(T1)에 비해 같거나 클 경우 S735 단계 및 S737 단계로 진입하여 디스플레이 각도(P)를 시력 보호 각도(P1)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S735 단계 및 S737 단계를 구분하여 설명하면, S735 단계는 현재의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력 보호 각도(P1)와 실질적으로 같은지를 확인하고, 같을 경우 별도의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없이 바로 S770 단계로 진행하고, 다를 경우 S737 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각도를 시력 보호 각도로 조절한 후 S770 단계로 진행하는 절차를 예시하고 있다.
S730 단계에서 측정된 거리(L)가 제한 구간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즉, 측정된 거리(L)가 제2 거리(L2) 보다 작은 경우), S751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청 각도(P0)와 실질적으로 같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51 단계에서 현재의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청 각도(P0)와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 S752 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각도(P)를 시청 각도(P0)로 조절한 후 S77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751 단계에서 현재의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청 각도(P0)와 실질적으로 같다고 판단된 경우, S753 단계로 진행하여 count1을 영으로 초기화하고, count2를 1씩 가산할 수 있다. 이후 S755 단계로 진행하여 count2를 제2 시간(T2)과 비교한 후, count2가 제2 시간(T2)보다 작으면 바로 S770 단계로 진행(별도의 경고 메시지나 모드 전환 없이 진행)하고, count2가 제2 시간(T2)보다 같거나 클 경우 S757 단계로 진행하여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S757 단계의 경고 메시지는 조작 모드에서의 경과 시간이 좀 더 지속될 경우 시력 보호 모드로 전환될 수 있음을 사전에 경고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S759 단계에서 count2를 제2 시간보다 더 큰 제3 시간(T3)과 비교한 후, count2가 제3 시간(T3)보다 작으면 바로 S770 단계로 진행(모드 전환 없이 진행)하고, count2가 제3 시간(T3)보다 같거나 클 경우 S735 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각도를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즉, 조작 모드에서 시력 보호 모드로 강제 전환). 이와 같이, S753 단계부터 S759 단계는 조작 모드에서의 경과 시간이 길어질 경우 먼저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 후 조작 모드가 계속되면 강제로 시력 보호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를 예시하고 있다.
S770 단계는 한 번의 거리 측정 및 모드 구분에 따른 동작 이후에 각도 조절 기능을 계속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각도 조절 기능을 계속할 경우 S710 단계로 진행하여 거리 측정을 다시 시작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각도 조절 절차를 종료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와 가까워질 경우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와 가까워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장시간 시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수정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시력 보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와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를 구별하여 시력 보호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시력 보호 모드를 무력화시키려는 경우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시력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본체;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면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디스플레이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동력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구분하고,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 모드는 시청 모드, 조작 모드 및 시력 보호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일 경우 상기 시청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조작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 미만이면서 상기 제2 거리 초과인 제한 구간에 해당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한 구간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 모드 및 상기 조작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가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시력 보호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와는 다른 제2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며,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의 차이는 90도 이상이고,
    상기 조작 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조작 모드로부터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시청 각도 설정 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조작 모드로의 강제 진입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7. 디스플레이를 거치하되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시청 모드, 시력 보호 모드 및 조작 모드 중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청 모드 및 상기 조작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를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시력 보호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를 상기 제1 각도와는 상이한 제2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며,
    상기 모드 선택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일 경우 상기 시청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조작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 미만이면서 상기 제2 거리 초과인 제한 구간에 해당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한 구간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의 차이는 90도 이상이고,
    상기 조작 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조작 모드로부터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80023717A 2018-02-27 2018-02-27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 KR102088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717A KR102088456B1 (ko) 2018-02-27 2018-02-27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
PCT/KR2018/015615 WO2019168255A1 (ko) 2018-02-27 2018-12-10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717A KR102088456B1 (ko) 2018-02-27 2018-02-27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792A KR20190102792A (ko) 2019-09-04
KR102088456B1 true KR102088456B1 (ko) 2020-03-12

Family

ID=6780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717A KR102088456B1 (ko) 2018-02-27 2018-02-27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8456B1 (ko)
WO (1) WO2019168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938B1 (ko) * 2022-05-25 2022-10-27 (주) 아하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전자 칠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779A (ja) 2001-06-01 2002-12-10 Sharp Corp ロボット型インタフェース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163459A (ja) 2004-12-02 2006-06-2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パワーマネージメント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101667758B1 (ko) 2015-04-17 2016-10-28 최동원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222A (ko) * 1998-03-18 1999-10-15 윤종용 화면각도 조절을 위한 자동 캠 구조를 갖는모니터
KR20090079474A (ko) * 2008-01-17 2009-07-22 임차성 사용자 맞춤형 자동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20140126163A (ko) * 2013-04-22 2014-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88024A (ko) * 2014-01-23 2015-07-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이브이엔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7507A (ko) * 2014-05-07 2015-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60050309A (ko) * 2014-10-29 2016-05-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위치 조정이 가능한 모니터
KR20160096409A (ko) * 2015-02-05 2016-08-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조절 장치
KR20170085804A (ko) * 2016-01-15 2017-07-25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회전 모니터 스탠드
KR20170105812A (ko) * 2016-03-10 2017-09-20 주식회사 씨큐너스 다용도 조명 스탠드
KR20180024597A (ko) * 2016-08-30 2018-03-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조명 제어기법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스마트 스탠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779A (ja) 2001-06-01 2002-12-10 Sharp Corp ロボット型インタフェース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163459A (ja) 2004-12-02 2006-06-2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パワーマネージメント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101667758B1 (ko) 2015-04-17 2016-10-28 최동원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792A (ko) 2019-09-04
WO2019168255A1 (ko)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9414B2 (ja) 調節可能な視野表示を有する車両用視界システム
JP6008309B2 (ja) 電子ミラー装置
CN108700932B (zh) 能够进行眼睛追踪的可穿戴设备
CN107430278B (zh) 基于用户的上下文敏感全息图反应
KR101432057B1 (ko) 광고판 및 광고판의 제어 방법
EP3051345B1 (en) Video projection device
KR20190001822A (ko)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화면 운용 방법
JP5974189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方法
CN109479086B (zh) 相对于物体变焦的方法和设备
KR201701058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528962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CN107710139A (zh) 用于车辆中的可调节部件的虚拟操纵杆控件
EP3671408A1 (en) Virtual reality device and content adjusting method therefor
TWI710249B (zh) 可於第一人稱視角模式與第三人稱視角模式之間切換之頭戴式顯示系統、相關方法以及相關電腦可讀取記錄媒體
KR102088456B1 (ko)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
US20200304721A1 (en) Control apparatus, image pickup system, and storage medium
WO2017166799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US11068731B2 (en) Vehicle-mounted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vehicular accidents
US11682368B1 (en)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device
US2022036672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08509090B (zh) 一种投影控制方法和电子系统
JP2020022107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KR20220074648A (ko) 가변형 투과도를 가지는 슬림형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30797A (ko) 야간 투시 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CN114666483A (zh)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拍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