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173B1 -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173B1
KR102088173B1 KR1020120152197A KR20120152197A KR102088173B1 KR 102088173 B1 KR102088173 B1 KR 102088173B1 KR 1020120152197 A KR1020120152197 A KR 1020120152197A KR 20120152197 A KR20120152197 A KR 20120152197A KR 102088173 B1 KR102088173 B1 KR 102088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acuum tube
electronic device
he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2342A (ko
Inventor
이재철
김병수
윤주문
조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2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173B1/ko
Priority to EP13198647.3A priority patent/EP2747280B1/en
Priority to US14/139,907 priority patent/US9413304B2/en
Publication of KR2014008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5/04Manually-operated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03G5/06Manually-operated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having discharge tub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02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with tub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5/00Amplifiers with both discharge tubes and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초기 동작 시 사용자가 진공관을 빨리 예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전자기기는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진공관을 포함하는 증폭부; 상기 진공관은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로 제1전압과 상기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전압공급부; 상기 증폭부에 대한 구동전원의 공급개시 시, 상기 히터로 상기 제2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진공관이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면 상기 히터로 상기 제1전압을 제공하도록 상기 전압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초기 동작 시 사용자가 진공관을 빨리 예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공관 앰프를 최대한 빨리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초기 동작 시 사용자가 진공관을 빨리 예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공관 앰프를 최대한 빨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사용자들이 조금씩 증가하면서 진공관을 이용하여 음악을 즐기고 싶어한다. 진공관을 통한 소리를 듣는 것을 즐기지만 진공관 앰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사용하는데 있어 몇 가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현재의 진공관 앰프는 정상적으로 사용하려면 진공관을 예열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진공관이 예열되지 않은 동안에는 사용자가 오디오 시스템을 사용하여 원하는 음질을 얻을 수 없는 번거로움이 있다. 진공관 앰프의 경우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히터(Heater)전원에 전류가 흘러서 어느 정도 이상의 예열이 필요하다. 진공관을 예열 하는 것은 히터 전원에 전류가 공급되어 진공관이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 온도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진공관 앰프는 진공관을 예열하는데 부가의 회로가 사용되지 않고 기본적인 히터 전원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진공관을 예열하는데 소정의 시간이 걸리게 되며 이 시간은 일반적인 사용자가 기다리기에는 긴 시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전자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기기의 초기 동작 시 사용자가 진공관을 빨리 예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공관 앰프를 최대한 빨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전자기기는,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진공관을 포함하는 증폭부; 상기 진공관은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로 제1전압과 상기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전압공급부; 상기 증폭부에 대한 구동전원의 공급개시 시, 상기 히터로 상기 제2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진공관이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면 상기 히터로 상기 제1전압을 제공하도록 상기 전압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부가 대기상태로 진입 시, 상기 진공관으로 대기전압을 인가하도록 하고, 상기 증폭부에 구동전원의 공급개시 시, 상기 진공관으로 상기 제1전압 또는 상기 제2전압 중 하나를 제공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관은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하는 상기 진공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로 상기 제1전압 또는 상기 제2전압 중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증폭부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진공관의 히터로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진공관이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면 상기 히터로 상기 제1전압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폭부로 구동전원이 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증폭부가 대기상태로 진입 시, 상기 진공관으로 대기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증폭부에 구동전원의 공급개시 시, 상기 진공관으로 상기 제1전압 또는 상기 제2전압 중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하는 상기 진공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로 상기 제1전압 또는 상기 제2전압 중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의 초기 동작 시 사용자가 진공관을 빨리 예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공관 앰프를 최대한 빨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구성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전압을 제공하여 전자기기의 진공관을 예열하는 것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압 및 제1, 2전압을 제공하여 전자기기의 진공관을 예열하는 것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압 및 제1, 2전압을 제공하여 전자기기의 진공관을 예열하는 전자기기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도센서를 이용하며 전자기기의 진공관을 예열하는 전자기기의 제어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도센서를 이용하며 대기전압 및 제1, 2전압을 제공하여 전자기기의 진공관을 예열하는 전자기기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를 나타내는 구성 블럭도이다. 도 1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는 증폭부(110), 전압공급부(120), 제어부(100), 신호수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는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진공관(112)을 포함하는 증폭부(110), 진공관(112)은 히터(114)를 포함하며, 히터(114)로 제1전압과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전압공급부(120), 증폭부(110)에 대한 구동전원의 공급개시 시, 히터(114)로 제2전압을 제공하고, 진공관(112)이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면 히터(114)로 제1전압을 제공하도록 전압공급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30)는 외부장치 및 외부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부(110)에 전달하며, 수신되는 신호의 특성 및 규격, 외부장치 및 외부소스의 구현 방식, 전자기기(1)의 구현 방식 등의 요인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수신부(13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신호수신부(130)는 외부장치 및 외부소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전자기기(1)의 정보/데이터/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신호수신부(130)는 외부장치 및 외부소스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만 한정할 수 없으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으로 포함되지는 않았으나, 전자기기(1)는 당연히 외부장치 및 외부소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야 하므로 신호수신부(130)를 도시하였다.
증폭부(110)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증폭은 신호의 파형이나 전압, 전류 등을 확대하는 것으로 오디오분야에서는 저주파 증폭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증폭부(110)는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진공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관(112)은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증폭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진공관(112)이란 진공속에서 히터(114)를 켜면 히터(114)를 감싸고 있는 플레이트가 가열이 되면서 전자를 방출한다.  그러면 방출된 전자는 음극(캐소드)으로 이동하는데 그 중간에 그리드라는 극에 적당한 전압을 가하면 증폭이 되도록 전자적 특성이 변하게 됨으로써 음성증폭이 이뤄진다.
여기서, 진공관(112)은 가열이 가능한 히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히터(114)의 가열로 진공관(112)은 예열을 할 수 있으며, 음성신호증폭 시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증폭부(110)는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질을 보다 향상시키며, 신호수신부(130)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왜곡되지 않고 향상된 질의 음질을 목적으로 하므로 확성기와 같은 소리의 출력만을 높이는 증폭부(110)는 아님을 명시한다.
전압공급부(120)는 히터(114)로 제1전압과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전압은 진공관(112)이 평시에 음성증폭을 위한 열을 발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6.3V의 직류일 수 있다. 제2전압은 진공관(112)의 히터(114)를 빨리 예열할 수 있도록 제1전압보다 큰 12.6V의 직류일 수 있다.
전압공급부(120)는 직류전압의 크기를 변화하여 출력전압을 공급하는 컨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서 저항을 이용한 컨버터일 수 있으며, 스위칭에 의해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증폭부(110)에 대한 구동전원의 공급개시 시, 히터(114)로 제2전압을 제공하고, 진공관(112)이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면 히터(114)로 제1전압을 제공하도록 전압공급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전압공급부(120)는 증폭부(11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공급되는 전원은 히터(114)로 공급되어 진공관(112)을 예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전압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고, 제2전압이 공급됨으로써 진공관(112)이 보다 빨리 예열될 수 있도록 하며, 진공관(112)이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면 전압공급부(120)는 공급하던 제2전압을 제1전압으로 변경하여 히터(114)로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전압을 제공하여 전자기기(1)의 진공관(112)을 예열하는 것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를 설명한다.
진공관(112)은 플레이트, 히터(114), 음극, 그리드극으로 구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레이트는 히터(114)를 감싸고 있다. 히터(114)로 가열하여 진공관(112)을 예열하게 되는데 전자기기(1)에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일반적인 전압 즉, 제1전압이 아닌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으로 히터(114)를 켜게 된다.
여기서, 진공관(112)이란 진공속에서 히터(114)를 켜면 히터(114)를 감싸고 있는 플레이트가 가열이 되면서 전자를 방출한다.  그러면 방출된 전자는 음극(캐소드)으로 이동하는데 그 중간에 그리드극에 적당한 전압을 가하면 전자가 증폭이 되어 전자적 특성이 변하게 됨으로써 음성증폭이 이뤄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의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증폭부(110)로 전원이 공급되고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전압이 공급된다. 종래의 경우에는 히터(114)로 제1전압을 공급하게 되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의 전압공급부(12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을 히터(114)로 공급하게 된다. 전압공급부(120)는 컨버터를 통하여 전압을 조정하여 제1전압 또는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전압을 공급하여 진공관(112) 예열을 보다 빨리 할 수 있도록 하고,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여 일치하면 히터(114)로 제2전압을 변경하여 제1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에 스위칭부(140), 온도센서(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시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는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이 공급되어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제2전압을 제공하고 진공관(112)이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면 제1전압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이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100)는 스위칭부(140)를 제어하여 전압공급부(120)로부터 진공관(112)으로 제1전압보다 작은 대기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온도센서(116)는 진공관(112)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는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제2전압을 제공하고 진공관(112)이 예열될 수 있도록 한다. 온도센서(116)는 진공관(112)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진공관(112)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여 일치하면 전압공급부(120)로부터 진공관(112)으로 제공되던 제2전압은 변경되어 제1전압이 제공될 수 있다.
스위칭부(140)는 전압을 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스위칭부(140)의 저항을 통하여 대기전압이 공급되도록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스위칭부(140)는 대기전압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제1전압 또는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 중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대기전압을 통하여 예열을 할 수 있음으로써,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이 다시 공급되는 경우에 보다 빠른 진공관(112)의 예열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압 및 제1, 2전압을 제공하여 전자기기(1)의 진공관(112)을 예열하는 것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의 구동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스위칭부(140)를 통하여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대기전압을 공급하여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이 다시 공급되기 전까지 예열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압 또는 제2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라인과 대기전압을 공급하는 대기전압을 공급하는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스위칭부(1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여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서로 다른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대기전압을 공급하는 경우는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는 않는 경우이며, 제1전압 또는 제2전압이 공급되는 경우는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이다. 또한, 제2전압은 전자기기(1)의 구동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제1전압은 전자기기(1)의 구동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되기도 하며, 제2전압이 공급되어 진공관(112)이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여 일치하는 경우 제2전압을 변경하여 제1전압을 공급하는 경우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을 공급한다(S10). 이 구동전원은 전압공급부(120)로 공급되고 증폭부(110)의 진공관(112)으로 공급된다. 전압공급부(120)로부터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제2전압이 제공된다(S12). 이에 의해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이 제공되므로 히터(114)가 빨리 가열되며 이에 진공관(112)은 빨리 예열된다. 진공관(112)이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면, 전압공급부(12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공급하던 제2전압을 제1전압으로 변경하여 제공한다(S1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압 및 제1, 2전압을 제공하여 전자기기(1)의 진공관(112)을 예열하는 전자기기(1)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을 공급한다(S20). 이 구동전원은 전압공급부(120)로 공급되고 증폭부(110)의 진공관(112)으로 공급된다. 전압공급부(120)로부터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제2전압이 제공된다(S21). 이에 의해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이 제공되므로 히터(114)가 빨리 가열되며 이에 진공관(112)은 빨리 예열된다. 진공관(112)이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면, 전압공급부(12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공급하던 제2전압을 제1전압으로 변경하여 제공한다(S22).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전자기기(1)로의 구동전원공급이 중단된다(S23). 구동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전압공급부(12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칭부(140)는 대기전압이 제공될 수 있도록 스위칭한다. 이에 의해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대기전압이 제공된다(S24). 이 후 사용자에 의해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이 공급된다(S25). 제어부(100)는 스위칭부(140)를 제어하여 제1전압 또는 제2전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스위칭을 한다. 이에 의해 전압공급부(120)는 제1전압 또는 제2전압 중 하나를 제공하게 된다(S26).
도 6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진공관(112)의 온도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지 않고 낮은 온도라면 제2전압이 공급되며,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거나 높은 온도라면 제1전압을 공급한다. 여기서, 대기전압은 제1전압보다 작은 전압이므로 진공관(112)의 히터(114)를 가열하는데 높은 열을 발생하지 않을 만큼의 크기이다. 전자기기(1)마다 제공되는 대기전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온도센서(116)에 의해 진공관(112)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도센서(116)를 이용하며 전자기기(1)의 진공관(112)을 예열하는 전자기기(1)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을 공급한다(S30). 이 구동전원은 전압공급부(120)로 공급되고 증폭부(110)의 진공관(112)으로 공급된다. 제어부(100)는 진공관(112)의 온도센서(116)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는 지 판단한다(S31). 제어부(100)는 진공관(112)의 온도센서(116)로부터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거나 그 이상이면 전압공급부(120)를 제어하여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제1전압을 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진공관(112)의 온도센서(116)로부터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지 않거나 그 이하라면 전압공급부(120)를 제어하여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제2전압을 제공하도록 한다(S32). 이에 의해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이 제공되므로 히터(114)가 빨리 가열되며 이에 진공관(112)은 빨리 예열된다. 진공관(112)의 온도를 감지하고 있는 온도센서(116)로부터 진공관(112)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는 지 판단한다(S33). 진공관(112)의 온도를 감지하고 있는 온도센서(116)로부터 진공관(112)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지 않거나 그 이하이면 제2전압을 계속 제공한다(S32). 진공관(112)의 온도를 감지하고 있는 온도센서(116)로부터 진공관(112)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면 전압공급부(120)를 제어하여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공급하던 제2전압을 제1전압으로 변경하여 제공한다 (S34).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도센서(116)를 이용하며 대기전압 및 제1, 2전압을 제공하여 전자기기(1)의 진공관(112)을 예열하는 전자기기(1)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8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을 공급한다(S40). 이 구동전원은 전압공급부(120)로 공급되고 증폭부(110)의 진공관(112)으로 공급된다. 제어부(100)는 진공관(112)의 온도센서(116)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는 지 판단한다(S41). 제어부(100)는 진공관(112)의 온도센서(116)로부터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거나 그 이상이면 전압공급부(120)를 제어하여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제1전압을 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진공관(112)의 온도센서(116)로부터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지 않거나 그 이하라면 전압공급부(120)를 제어하여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제2전압을 제공하도록 한다(S42). 이에 의해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이 제공되므로 히터(114)가 빨리 가열되며 이에 진공관(112)은 빨리 예열된다. 진공관(112)의 온도를 감지하고 있는 온도센서(116)로부터 진공관(112)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는 지 판단한다(S43). 진공관(112)의 온도를 감지하고 있는 온도센서(116)로부터 진공관(112)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지 않거나 그 이하이면 제2전압을 계속 제공한다(S42). 진공관(112)의 온도를 감지하고 있는 온도센서(116)로부터 진공관(112)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면 전압공급부(120)를 제어하여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공급하던 제2전압을 제1전압으로 변경하여 제공한다 (S44). 이후, 사용자에 의해 전자기기(1)로의 구동전원공급이 중단되는 지 판단한다(S45). 구동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지 않으면 제1전압을 계속 제공한다(S44). 구동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전압공급부(12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칭부(140)는 대기전압이 제공될 수 있도록 스위칭한다. 이에 의해 진공관(112)의 히터(114)로 대기전압이 제공된다(S46). 이 후 사용자에 의해 전자기기(1)로 구동전원이 공급된다(S47). 제어부(100)는 스위칭부(140)를 제어하여 제1전압 또는 제2전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스위칭을 한다. 이에 의해 전압공급부(120)는 제1전압 또는 제2전압 중 하나를 제공하게 된다(S48).
도 8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진공관(112)의 온도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지 않고 그 이하의 온도라면 제2전압이 공급되며,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거나 그 이상의 온도라면 제1전압을 공급한다. 여기서, 대기전압은 제1전압보다 작은 전압이므로 진공관(112)의 히터(114)를 가열하는데 높은 열을 발생하지 않을 만큼의 크기이다. 전자기기(1)마다 제공되는 대기전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온도센서(116)에 의해 진공관(112)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는 전자기기(1)의 초기 동작 시 사용자가 진공관(112)을 빨리 예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공관(112) 앰프를 최대한 빨리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 : 전자기기 100: 제어부
110 : 증폭부 112 : 진공관
114 : 히터 116 : 온도센서
120 : 전압공급부 130 : 신호수신부
140 : 스위칭부

Claims (6)

  1. 전자기기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며, 히터를 구비하는 진공관을 포함하는 증폭부;
    상기 히터로 제1전압과 상기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전압공급부;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스위칭부;
    상기 증폭부에 대한 구동전원의 공급개시 시, 상기 히터로 상기 제2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진공관이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거나 그 이상이면 상기 히터로 상기 제1전압을 제공하도록 상기 전압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증폭부가 대기상태로 진입 시, 상기 진공관으로 상기 제1전압보다 작은 대기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부에 상기 구동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진공관으로 상기 제1전압 또는 상기 제2전압 중 하나를 제공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전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관은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하는 상기 진공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로 상기 제1전압 또는 상기 제2전압 중 하나를 제공하는 전자기기.
  4.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히터를 구비하는 진공관을 포함하는 증폭부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상기 진공관의 히터로 제1전압보다 큰 제2전압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진공관이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하거나 그 이상이면 상기 히터로 상기 제1전압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부로 구동전원이 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증폭부가 대기상태로 진입 시, 상기 진공관으로 대기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에 상기 구동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진공관으로 상기 제1전압 또는 상기 제2전압 중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온도센서에서 감지하는 상기 진공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로 상기 제1전압 또는 상기 제2전압 중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20120152197A 2012-12-24 2012-12-24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88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197A KR102088173B1 (ko) 2012-12-24 2012-12-24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13198647.3A EP2747280B1 (en) 2012-12-24 2013-12-19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139,907 US9413304B2 (en) 2012-12-24 2013-12-24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197A KR102088173B1 (ko) 2012-12-24 2012-12-24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342A KR20140082342A (ko) 2014-07-02
KR102088173B1 true KR102088173B1 (ko) 2020-03-12

Family

ID=5007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197A KR102088173B1 (ko) 2012-12-24 2012-12-24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13304B2 (ko)
EP (1) EP2747280B1 (ko)
KR (1) KR1020881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4730A1 (en) * 2003-04-07 2006-09-28 Junichiro Yamakawa Transmission amplifi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91667A (en) * 1940-10-01 The Lorain Telephone Company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84180A (en) * 1932-01-15 1937-06-15 Rca Corp Radio signaling system
US2040014A (en) * 1934-07-03 1936-05-05 Sperry Gyroscope Co Inc Antihunting positional control
US2357237A (en) * 1938-07-20 1944-08-29 Philco Radio & Television Corp Remote control system for radio receivers and the like
US2207450A (en) * 1938-08-03 1940-07-09 Kenneth N Bergan Musical tuning instrument
US2423540A (en) * 1941-12-01 1947-07-08 Brown Instr Co Self-balancing potentiometer mechanism
US2440289A (en) * 1943-02-18 1948-04-27 Sperry Corp Automatic volume control for pulse systems
FR956773A (ko) * 1944-05-17 1950-02-07
US2519615A (en) * 1945-03-27 1950-08-22 Honeywell Regulator Co Analyzing apparatus
US2554717A (en) * 1946-01-26 1951-05-29 Honeywell Regulator Co Measuring and controlling apparatus
US2523017A (en) * 1946-04-11 1950-09-19 Honeywell Regulator Co Detonation detector system
US2601583A (en) * 1947-05-26 1952-06-24 Charles O Ballou Radiation measuring instrument
US2527893A (en) * 1948-07-29 1950-10-31 Honeywell Regulator Co Motor control apparatus
US2872588A (en) * 1953-11-16 1959-02-03 Phillips Petroleum Co Analyzer
US3305000A (en) * 1965-02-08 1967-02-21 Barber Colman Co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chromatographs
KR19990056513A (ko) * 1997-12-29 1999-07-15 전주범 전자렌지에 사용되는 초고주파 발진관의 히터 구동 제어 장치
JP4208124B2 (ja) * 2003-04-03 2009-01-14 株式会社コルグ 真空管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4730A1 (en) * 2003-04-07 2006-09-28 Junichiro Yamakawa Transmission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47280A1 (en) 2014-06-25
KR20140082342A (ko) 2014-07-02
US20140176237A1 (en) 2014-06-26
EP2747280B1 (en) 2016-07-27
US9413304B2 (en)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851B1 (ko) 출력 제어 기능을 갖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US9467041B2 (en) Digital current equalizing device, analog current equalizing device, current equalizing method and system
EP2502337B1 (en) Power supplying system
US10547307B2 (en) Bias circuit and power amplifier having the same
TW200602836A (en) Current stabilization circuit, current stabilization method, and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TWI252966B (en) Active voltage positioning implementation for microprocessor power supplies or the like
KR20210025128A (ko) 클래스-d 개방-루프 증폭기에서의 이득 제어
KR102088173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5298492B2 (ja) 電子機器
US9257942B2 (en) Audio amplifier apparatus
US8717097B2 (en) Amplifier with improved noise reduction
WO2013131370A1 (zh) 电子装置及增加电子装置的输出功率的方法
JP2007334856A (ja) 不揮発性ストレージ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653521B2 (ja) 医療用x線管装置及び医療用x線管制御方法
KR20060119214A (ko) 전자기기에서의 자동 온도 조절장치 및 방법
US20150301545A1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ndyby power consumption
KR20070113478A (ko) Dc-dc 컨버터 출력전압 조절장치
KR102421372B1 (ko) 전자장치의 발열에 따라 전류소모를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93929B1 (ko) 자동 전압 조절 기능을 갖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장치
KR20130012910A (ko) 진공관을 이용한 음향 출력 장치, 음향 기기 및 음향 출력 방법
US8421538B2 (en) Feedback amplifier
KR101771560B1 (ko) 무선 스피커의 전원 조절 장치
JP2010245784A (ja) バースト光送信装置
KR19990011668A (ko) 앰프용 전압가변이 가능한 스피커장치
KR0127537B1 (ko) 모니터의 수평 주파수 홀드 조정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