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138B1 -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138B1
KR102088138B1 KR1020190112329A KR20190112329A KR102088138B1 KR 102088138 B1 KR102088138 B1 KR 102088138B1 KR 1020190112329 A KR1020190112329 A KR 1020190112329A KR 20190112329 A KR20190112329 A KR 20190112329A KR 102088138 B1 KR102088138 B1 KR 10208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t melt
wall
water purification
purification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일
박종훈
Original Assignee
박종일
박종훈
덕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일, 박종훈, 덕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일
Priority to KR102019011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 B65D2590/023Special coating or treatment of the intern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장 벽체의 시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앞면(120)과 배면(130)을 갖는 패널본체(110); 앞면(120)에 고정되는 PE필름(200); PE필름(200)에 부착되는 부직포(190); 부직포(190)에 부착되는 핫멜트(170); 배면(130)에 고정되어 패널본체(110)를 균열하게 가열하는 히터(140); 및 히터(1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160)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시공방법{Panel for hot-melt coating to the purification tank wall}
본 발명은 정수장 벽체의 시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의 정수조는 처리수를 저장하는 물탱크이다. 이러한 정수장의 벽체(바닥 포함)는 콘크리트가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물이끼나 녹조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며, 방수를 위해 표면을 에폭시나 도료로 코팅하여 사용하곤 하였다.
그런데, 정수장을 2 ~ 3 년정도 운전하게 되면 표면의 에폭시나 도료가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에폭시나 도료를 두껍게 성막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에폭시나 도료의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 및 반복 성막으로 인한 작업시간의 장기화가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1-0131359호(핫멜트 접착 유리 시공방법),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978213호(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부착식 노면시트용 조성물, 노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핫멜트를 이용하여 정수장 벽체를 균일하면서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속시공과 줄눈부 시공을 통해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된 패널에 핫멜트를 고정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앞면(120)과 배면(130)을 갖는 패널본체(110); 앞면(120)에 고정되는 PE필름(200); PE필름(200)에 부착되는 부직포(190); 부직포(190)에 부착되는 핫멜트(170); 배면(130)에 고정되어 상기 패널본체(110)를 균열하게 가열하는 히터(140); 및 히터(1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160)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이 제공된다.
또한, 패널본체(110)는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패널본체(110)의 외관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한다.
또한, 패널본체(110)의 가로×세로 길이는, 2400 mm ×2400 mm, 1200 mm × 1200 mm, 600 mm × 600 mm, 2400 mm ×1200 mm, 1200 mm × 600 mm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히터(140)는 패널본체(110)를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배치된다.
또한, 핫멜트(170)의 두께는 1 ~ 1.5 mm 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써, 정수장(10)의 벽체(20)를 그라인딩하여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S100); 벽체(20)의 표면을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단계(S110); 패널본체(110)의 앞면(120)에 PE필름(200), 부직포(190), 핫멜트(170)가 고정되고, 패널본체(110)의 배면(130)에 히터(140)가 고정된 패널(100)을 상기 벽체(20)에 밀착시키는 단계(S120); 히터(140)를 가열하여 핫멜트(170)를 용융시키면서 상기 패널(100)을 벽체(20)에 가압하는 단계(S130); 패널(100)을 냉각시켜 PE필름(200), 부직포(190) 및 핫멜트(170)를 벽체(20)에 부착시키는 단계(S140); 및 패널(100)을 벽체(20)로부터 철거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을 이용한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연속 시공된 핫멜트(172)와 핫멜트(172) 사이에 줄눈부(180)를 시공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단계(S130)에서 온도범위는 80 ~ 120 ℃이고, 40분 ~ 80 분 동안 가압된다.
또한, 패널본체(110)와 히터(140)는 재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핫멜트를 이용하여 정수장 벽체 전체를 균일하면서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연속시공과 줄눈부 시공을 통해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된 패널에 핫멜트를 고정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정수장(10)의 벽체(20)에 패널(100)이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10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연속 시공된 정수장(10)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중 A-부분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정수장(10)의 벽체(20)에 패널(100)이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장(10)은 수처리하는 탱크라고 할 수 있고, 벽체(20)와 바닥(30)을 포함하여 이하에서 벽체(20)라고 칭한다. 패널(100)은 시공위치(40)마다 이동하며 반복적으로 시공될 수도 있고, 복수의 패널(100)을 이용하여 동시에 시공될 수도 있다. 패널본체(100)의 가로×세로 길이는, 2400 mm ×2400 mm, 1200 mm × 1200 mm, 600 mm × 600 mm, 2400 mm ×1200 mm, 1200 mm × 600 mm중 하나일 수 있으나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크기 변화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본체(110)는 판상의 금속재(예 : 스틸, 알루미늄, 주철 등)이다. 금속재를 사용하는 이유는 변형을 최소화하고, 가압 하중을 지지하며, 열전도도가 높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수명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패널본체(110)의 앞면(120)은 비교적 평활하게 가공하여 패널(100)을 철거할 때 PE필름(200), 부직포(190) 및 핫멜트(170)가 잘 떨어지도록 한다.
PE필름(200)은 앞면(120)과 부직포(190) 사이에 위치하며, 패널(100)을 철거할 때 앞면(120)으로부터 깨끗하게 박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PE필름(200)과 유사한 물성을 갖는 다른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대체도 가능하다.
부직포(190)는 PE필름(200)과 핫멜트(170) 사이에 위치하며, PE필름(200)과 핫멜트(170)를 부착하는 기능을 한다. PE필름(200)과 핫멜트(170)는 그 자체로는 서로 부착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부직포(190)는 부직포 단독으로 위치시킬 수도 있고, 직포와 부직포를 결합하여 위치시킬 수도 있다.
핫멜트(170)는 부직포(190)의 노출면에 위치한다. 핫멜트(170)는 패널본체(110)에 대응하는 가로와 세로 길이를 가지며, 두께는 1 ~ 1.5 mm 이다. 핫멜트(170)가 너무 얇으면 시공 불량이 발생하기 쉽고, 너무 두꺼우면 한번에 용융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핫멜트(Hot-Melt)는 물이나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100%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액상으로 피착제에 도포, 압착한 후 수초내에 냉각고화되면서 접착력을 발휘하는 열용융 접착제이다. 핫멜트 접착제는 1960년대 미국 듀폰(DuPont)사가 에틸렌-초산비닐수지(EVA)를 최초로 개발함에 따라 공정 자동화를 통한 높은 생산성과 환경친화적 특징,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 재접착 가능성 등의 장점이 있다. 핫멜트 접착제는 용융상태에서 피착면에 도포된 후 피착제 표면 및 주위에 열을 발산함으로 냉각고화가 된다. 핫멜트 접착제는 다른 용제형 접착제나 수분산형 접착제 등에 비해 건조과정이 필요없고 작업공간이 적고 접착속도가 빠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체로 만들었다가 열을 가해 녹여서 쓰는 글루건 스틱이 대표적인 핫멜트(HMA) 접착제. 그 3요소는 기본 중합체, 점착제용 수지, 왁스이며 저렴한 가격, 무색투명 등 장점을 가진 에틸렌-초산비닐계(EVA)가 기초 원료로 쓰인다. 이러한 핫멜트 방식 접착제는 기본 중합체(base polymer)와 점착제용 수지(Tackifying resins) 그리고 왁스(Wax)를 주원료로 포함한다. 핫멜트 접착제는 구성성분의 종류에 따라서 분류될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에틸렌-초산비닐계, 폴리올레핀계, 스티렌블록공중합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계(반응성 핫멜트)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에틸렌-초산비닐계(EVA)는 핫멜트 접착제에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기초 원료이다. EVA(Ethylene Vinyl Acetate)는 에틸렌과 초산비닐 모노머를 혼합시킨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기본 중합체(base polymer) 중에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가 다른 원료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또한, 결정화도가 낮으며, 접착력에 도움되는 미세한 접착력과 극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접착력을 가진 점착제용 수지(Tackifying resins)와 섞어 사용할 때 접착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는 EVA 폴리머를 만드는 공정 특성상 인체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정수장 벽체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핫멜트(170), 부직포(190), PE필름(200)은 PE필름(200)을 부분적으로 용융(spot welding)시키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앞면(120)에 고정한다.
배면(130)에는 히터(140)가 균일한 간격(예 : 200 mm)으로 배치되어 패널본체(110)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가압으로 인한 히터(140)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면(130)에 히터홈을 함몰 형성(미도시)하고, 히터홈 사이로 히터(140)를 매설할 수도 있다.
커넥터(150)는 히터(14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착탈 가능하여 패널(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전력선(160)은 메인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예 : 220V)을 공급하고, 커넥터(150)에 착탈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연속 시공된 정수장(1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장의 벽체(20)와 바닥에 연속적으로 시공된 핫멜트(172)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정수장(10)의 내면을 모두 시공된 핫멜트(172)로 코팅하는 것이다. 비록, 직육면체 형상의 정수장(10)을 개시하였으나 실린더 형상의 정수장(10)인 경우에도 패널(100)에 곡률을 형성하여 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중 A-부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시공된 핫멜트(172)와 핫멜트(172) 사이에는 틈이 존재한다. 이러한 틈은 PE 필름, 우레탄,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줄눈공사를 하여 줄눈부(180)로 메운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정수장(10)의 벽체(20)를 그라인딩하여 표면을 정리한다(S100). 그라인딩은 백호우(backhoe, 굴삭기)의 앞부분에 전동 그라인더를 장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면의 요철부분을 없애고 비교적 균일하게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 벽체(20)의 표면을 세척하고 건조시킨다(S110). 이는 그라인딩으로 인한 분쇄물을 고압세척수로 깨끗이 세척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 패널본체(110)의 앞면(120)에 PE필름(200), 부직포(190) 및 핫멜트(170)를 고정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패널(100)을 시공위치(40)의 벽체(20)에 밀착시킨다(S120). 밀착은 공사현장의 다양한 중장비(예 : 굴삭기, 지게차 등)를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 커넥터(150)에 전력을 공급하여 히터(140)를 가열하면서 중장비로 패널(100)을 벽체(20)에 가압밀착시킨다(S130). 이 때, 온도범위는 계절에 따라 80 ~ 120 ℃ 범위내에서 선택하고, 시간은 40분 ~ 80 분 동안 유지한다. 그러면, 핫멜트(170)가 융용되면서 벽체(20)에 접착된다.
그 다음, 전원을 차단하여 패널(100)을 냉각시킴으로써 PE필름(200), 부직포(190) 및 핫멜트(170)를 벽체(20)에 부착시킨다(S140).
그 다음, 패널(100)을 벽체(20)로부터 철거한다(S150). 이때, 앞면(120)은 평활한 면이고, 벽체(20)은 그라인딩된 면이기 때문에 PE필름(200)은 앞면(120)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도 3과 같이 연속적으로 시공된 핫멜트(172)가 완성된다.
그 다음, 도 4와 같이, 연속 시공된 핫멜트(172)와 핫멜트(172) 사이의 틈을 줄눈 작업하여 줄눈부(180)로 메운다(S160). 이를 통해 벽체(20) 전체가 빈틈없이 코팅될 수 있다.
사용된 패널(100)에 대해서는 다시 앞면(120)에 PE필름(200), 부직포(190) 및 핫멜트(170)를 고정하여 재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정수장,
20 : 벽체,
30 : 바닥,
40 : 시공위치,
100 : 패널,
110 : 패널본체,
120 : 앞면,
130 : 배면,
140 : 히터,
150 : 커넥터,
160 : 전력선,
170 : 핫멜트,
172 : 시공된 핫멜트,
180 : 줄눈부,
190 : 부직포,
200 : PE필름.

Claims (10)

  1. 앞면(120)과 배면(130)을 갖는 패널본체(110);
    상기 앞면(120)에 고정되는 PE필름(200);
    상기 PE필름(200)에 부착되는 부직포(190);
    상기 부직포(190)에 부착되는 핫멜트(170);
    상기 배면(130)에 고정되어 상기 패널본체(110)를 균열하게 가열하는 히터(140); 및
    상기 히터(1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160)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본체(110)는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본체(110)의 외관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본체(110)의 가로×세로 길이는, 2400 mm ×2400 mm, 1200 mm × 1200 mm, 600 mm × 600 mm, 2400 mm ×1200 mm, 1200 mm × 600 mm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140)는 상기 패널본체(110)를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170)의 두께는 1 ~ 1.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7. 정수장(10)의 벽체(20)를 그라인딩하여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S100);
    상기 벽체(20)의 표면을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단계(S110);
    패널본체(110)의 앞면(120)에 PE필름(200), 부직포(190), 핫멜트(170)가 고정되고, 상기 패널본체(110)의 배면(130)에 히터(140)가 고정된 패널(100)을 상기 벽체(20)에 밀착시키는 단계(S120);
    상기 히터(140)를 가열하여 상기 핫멜트(170)를 용융시키면서 상기 패널(100)을 상기 벽체(20)에 가압하는 단계(S130);
    상기 패널(100)을 냉각시켜 상기 PE필름(200), 부직포(190) 및 핫멜트(170)를 상기 벽체(20)에 부착시키는 단계(S140); 및
    상기 패널(100)을 상기 벽체(20)로부터 철거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을 이용한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연속 시공된 상기 핫멜트(172)와 상기 핫멜트(172) 사이에 줄눈부(180)를 시공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을 이용한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계(S130)에서 온도범위는 80 ~ 120 ℃이고, 40분 ~ 80 분 동안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을 이용한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본체(110)와 상기 히터(140)는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을 이용한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방법.
KR1020190112329A 2019-09-10 2019-09-10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시공방법 KR10208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329A KR102088138B1 (ko) 2019-09-10 2019-09-10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329A KR102088138B1 (ko) 2019-09-10 2019-09-10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138B1 true KR102088138B1 (ko) 2020-03-11

Family

ID=6980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329A KR102088138B1 (ko) 2019-09-10 2019-09-10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1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171B1 (ko) * 2023-03-03 2024-02-19 덕산건설 주식회사 수처리시설의 벽체 보호를 위한 핫멜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346A (ko) * 2000-05-01 2001-11-14 롤프 에취, 켈러, 카즈노리 이마무라 저수조 내면 라이닝재의 접합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64564A (ko) * 2008-12-05 2010-06-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패널부착장치
KR100978213B1 (ko) 2010-05-20 2010-08-26 (주)원창이엔지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부착식 노면시트용 조성물, 노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KR101029976B1 (ko) * 2010-05-24 2011-04-20 주식회사 젠트로 패널 조립형 물 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31359A (ko) 2010-05-31 2011-12-07 (주)엘지하우시스 핫멜트 접착 유리 시공방법
KR101245351B1 (ko) * 2013-02-22 2013-03-19 주식회사 문창 폴리에틸렌 수지층이 라이닝된 물탱크 패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346A (ko) * 2000-05-01 2001-11-14 롤프 에취, 켈러, 카즈노리 이마무라 저수조 내면 라이닝재의 접합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64564A (ko) * 2008-12-05 2010-06-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패널부착장치
KR100978213B1 (ko) 2010-05-20 2010-08-26 (주)원창이엔지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부착식 노면시트용 조성물, 노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KR101029976B1 (ko) * 2010-05-24 2011-04-20 주식회사 젠트로 패널 조립형 물 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31359A (ko) 2010-05-31 2011-12-07 (주)엘지하우시스 핫멜트 접착 유리 시공방법
KR101245351B1 (ko) * 2013-02-22 2013-03-19 주식회사 문창 폴리에틸렌 수지층이 라이닝된 물탱크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171B1 (ko) * 2023-03-03 2024-02-19 덕산건설 주식회사 수처리시설의 벽체 보호를 위한 핫멜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2304C (zh) 一种新型宽幅墙布的贴合方法
KR102088138B1 (ko) 정수장 벽체의 핫멜트 시공을 위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핫멜트 시공방법
AU2016282187A1 (en) Device for smoothing and/or floating
CN110777951A (zh) 一种不同材质防水交界面防水施工方法
CN103249900B (zh) 涂覆有非反应性的热熔粘合剂的聚烯烃密封膜片用于密封的用途
CN109137774A (zh) 一种道路标线方法
CN111395410B (zh) 一种焊接与粘结结合施工的预铺沥青基防水卷材施工方法
CN104947902A (zh) 玻化砖防空鼓铺贴工艺
CN101429784B (zh) 一种粘接高分子防水卷材的施工方法
CN106284735B (zh) 轻钢龙骨水泥板外墙施工方法
WO2008144954A1 (fr) Procédé d'adhérence d'un tissu à large laize appliqué sur un mur
CN108343207B (zh) 一种保温装饰一体板施工工艺及其施工装置
CN110778052A (zh) 一种石材及其打背网工艺
JPH03271450A (ja) アスファルト防水施工法および材料
JP2905085B2 (ja) 表面化粧建材
CN109184148A (zh) 一种洁净室华夫板华夫筒楼面环氧施工改进工法
CN105751488A (zh) 一种聚烯烃塑料管的粘接工艺
CN204816982U (zh) 一种建筑钢板聚酯树脂涂装生产线
CN211303670U (zh) 一种方便下料的熔胶湿气反应复合机
CN104558310A (zh) 一种用于生产聚丙烯酰胺的聚合釜
KR101042183B1 (ko) 조립식 물탱크의 패널 프레임 접합장치 및 그 접합방법
CN214718076U (zh) 一种防水材料连接处涂抹防水涂料装置
CN109208849A (zh) 一种外墙保温装饰一体化复合板施工条形粘结方法
CN216380282U (zh) 一种湿铺用的砂面防水卷材
CN111015113B (zh) 一种拼接铝板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