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034B1 -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 - Google Patents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034B1
KR102088034B1 KR1020190056429A KR20190056429A KR102088034B1 KR 102088034 B1 KR102088034 B1 KR 102088034B1 KR 1020190056429 A KR1020190056429 A KR 1020190056429A KR 20190056429 A KR20190056429 A KR 20190056429A KR 102088034 B1 KR102088034 B1 KR 102088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tile
burner
aluminum oxide
gas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수
Original Assignee
장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수 filed Critical 장근수
Priority to KR102019005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45Thermal treatment of powders or mixtures thereof other than sintering
    • C04B35/62655Drying, e.g. freeze-drying, spray-drying, microwave or supercritical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18Silicon oxide, silicic acid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silica sol, fused silica, silica fume, cristobalite, quartz or fli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 C04B2235/5418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 C04B2235/5436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micrometer sized, i.e. from 1 to 100 mic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0Aspects relating to the preparation, properties or mechanical treatment of green bodies or pre-forms
    • C04B2235/602Making the green bodies or pre-forms by moulding
    • C04B2235/6027Slip cas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C04B2235/9607Thermal properties, e.g.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chambers
    • F23M2900/05004Special materials for walls or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에 관한 것으로, 엑소서믹-가스 (exothermic-gas, EX-GAS) 생성을 위한 고온의 연소조건에서도 약 5년의 장기간 사용 가능한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 {Heat-resistant burner tile}
본 발명은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온의 연소조건에서 연속가동이 가능하도록 제조된 버너 타일에 관한 것이다.
LNG, LPG, 휘발유, 경유 등은 일반적으로 연료로 많이 사용되며, 완전연소하여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를 생성한다. 그러나 연소온도가 낮고 공기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불완전연소하여 일산화탄소나 그을음을 생성하기도 한다. 연료를 완전연소시키기 위해 버너를 사용하는데, 버너는 고온의 연소조건을 견디기 위해 높은 내열성이 필요하다.
공업용 버너(burner)는 기체, 액체 등의 연료를 연소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중유, 경유, 등유 등을 연소시키는 기름 버너와 상압, 공기압, 열방사 방식의 가스버너, 분체를 연소시키는 미분탄 버너 등이 있다. 버너 타일(burner tile)은 버너 주위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버너의 앞쪽에 부착된다. 버너 타일은 화염을 안정시킴과 동시에 오일의 분무 입자와 연소용 공기의 혼합 및 미립자의 기화를 촉진하고 화염 형상을 조절하여 로 내의 복사열로부터 버너의 선단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제작되는 버너 타일은 사용 수명이 약 6개월이며,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에 대한 연구 개발이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에 대한 제조방법을 연구 개발하여, 사용 수명이 대폭 연장된 버너 타일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5264호(2007.05.29.등록)는 편심형 버너타일에 관한 것으로, 버너타일에 형성되는 버너삽입케이싱이 버너타일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편심된 버너타일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0187호(2007.02.01.등록)는 퍼지용 공기주입구가 형성된 버너타일에 관한 것으로, 버너삽입케이싱에 퍼지용 공기주입구가 형성되어 버너가 점화하기 전에 가열로 내부와 버너타일 및 버너삽입케이싱 내부에 잔존하는 가연성 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산소 연소용 버너타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고온의 연소조건에서도 장기간 사용 가능한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산화알루미늄(Al2O3) 77~83 중량%, 이산화규소(SiO2) 3~7 중량%, 미립자산화알루미늄(Al2O3) 8~12 중량% 및 물 4~6 중량%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의 반죽물을 성형틀에 붓고 15~35℃에서 18~36시간 건조하는 1차 건조 단계 (b); 상기 단계 (b) 후, 성형틀을 해체하고, 100~250℃에서 6~18시간 건조하는 2차 건조 단계 (c); 상기 단계 (c) 후, 800~1200℃에서 8~12 시간 가열하는 성형 단계(d); 및 상기 단계 (d) 후, 1300~1600℃에서 8~12 시간 가열하는 소결 단계 (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산화알루미늄은, 바람직하게 25~30 ㎛ 사이즈의 분말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너 타일은, 바람직하게 엑소서믹-가스 (exothermic-gas, EX-GAS)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엑소서믹-가스 (exothermic-gas, EX-GAS) 생성을 위한 고온의 연소조건에서도 약 5년의 장기간 사용 가능한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너 타일의 다양한 모양을 세가지 예(Ⅰ, Ⅱ, Ⅲ)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버너 타일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결합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엑소서믹-가스(exothermic-gas)를 발생시키는 버너에 사용하는 버너 타일에 관한 것이다. 엑소서믹-가스(exothermic-gas)는 열처리용 노기(爐氣) 가스의 일종으로 천연가스, 도시가스 등의 연료가스에 일정한 비율의 공기를 혼합하여 노(爐) 속으로 주입하고 연소시키면 발생하는 가스이다. 발열형 가스는 CO2, H2, N2, CO의 기체와 수증기로 열분해된다. 이렇게 분해된 노기 가스는 금속 또는 비철금속 열처리시에 산화방지용 분위기 가스로 활용된다. 버너 타일은 열분해기능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며, 연소 조건을 유지하는 핵심 부품으로 버너에 사용되나, 사용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사용 수명을 늘리고자 하는 많은 제조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국산의 경우 그 수명이 6개월 남짓이며, 일본에서 수입하여 사용되는 수입산 버너 타일의 경우도 그 수명이 2년 남짓인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그 수명을 5년 남짓까지 연장할 수 있는 국산 기술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산화알루미늄(Al2O3) 77~83 중량%, 이산화규소(SiO2) 3~7 중량%, 미립자산화알루미늄(Al2O3) 8~12 중량% 및 물 4~6 중량%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의 반죽물을 성형틀에 붓고 15~35℃에서 18~36시간 건조하는 1차 건조 단계 (b); 상기 단계 (b) 후, 성형틀을 해체하고, 100~250℃에서 6~18시간 건조하는 2차 건조 단계 (c); 상기 단계 (c) 후, 800~1200℃에서 8~12 시간 가열하는 성형 단계(d); 및 상기 단계 (d) 후, 1300~1600℃에서 8~12 시간 가열하는 소결 단계 (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각 단계에 대해 세부적으로 구체화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단계 (a): 반죽물 제조 단계>
본 단계는 버너 타일의 제조를 위한 원료를 혼합한 후, 반죽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는 산화알루미늄(Al2O3) 77~83 중량%, 이산화규소(SiO2) 3~7 중량%, 미립자산화알루미늄(Al2O3) 8~12 중량% 및 물 4~6 중량%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당업계에서 '미립자산화알루미늄'은 '산화알루미늄'과 구별해서 사용되고 있는데, 미립자산화알루미늄은 정제된 염화알루미늄을 기화해서 산수소염 중에서 가수분해함으로서 조제된다. 보통 안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산화알루미늄은 침강법, 열분해법, 광물정제법으로 조제되지만, 입자직경이 크기 때문에 미립자산화알루미늄과는 성질이 다르다. 미립자산화알루미늄의 특징은 1차입자가 매우 좁고 화학적 순도가 높으며 밀도가 적다. 분산성이 뛰어나다. 결정구조는 대부분이 감마이고 극히 일부에 델타가 들어있다. 매우 강하고 정으로 대전하는 경향이 있으며, 많은 분말이 부로 대전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따라서 여러 분체와 혼합한 경우, 그 대전특성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미립자산화알루미늄 [Aluminum Oxide] (화장품 생물신소재, 2009. 2. 25., 안봉전, 이진태, 이창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립자산화알루미늄은 상기 산화알루미늄보다 녹는점이 낮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 25~30 ㎛ 사이즈의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기 소결 단계 (e)에서, 25~30 ㎛ 사이즈의 미립자산화알루미늄 분말이 상기 산화알루미늄보다 먼저 녹아, 본 발명의 버너 타일의 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버너 타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단계 (b): 1차 건조 단계>
본 단계는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반죽물을 1차 건조하는 과정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계 (a)의 반죽물을 성형틀에 붓고 15~35℃에서 18~36시간 건조하는 과정이다. 본 단계를 통해 상기 반죽물을 성형틀의 모양대로 굳히면서 수분 등의 휘발 성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성형틀은, 통상의 기술자가 목적에 따라 적합한 모양의 성형틀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한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버너 타일의 다양한 모양을 세가지 예(Ⅰ, Ⅱ, Ⅲ)로 나타내었다.
<단계 (c): 2차 건조 단계>
본 단계는 상기 단계 (b)의 1차 건조 후 2차 건조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계 (b) 후, 성형틀을 해체하고, 100~250℃에서 6~18시간 건조하는 과정이다. 본 단계를 통해 상기 1차 건조된 반죽물에 남은 수분 등의 휘발 성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조는 상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단계는 보다 고온인 100~25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건조를 거치지 않고 고온에서 건조한다면 상기 반죽물에 남은 수분 등의 휘발성분의 증발에 의해 기공 및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공 및 균열에 의해 밀도 감소 등의 내구성 약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d): 성형 단계>
본 단계는 상기 단계 (c) 후, 상기 반죽물을 성형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계 (c) 후, 800~1200℃에서 8~12 시간 가열하는 고온 가열하는 과정이다. 본 단계를 통해 상기 반죽물을 의도한 형태로 완전히 굳혀지게 된다.
<단계 (e): 소결 단계>
본 단계는 상기 성형 후, 소결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계 (d) 후, 1300~1600℃에서 8~12 시간 가열하는 과정이다. 상기 단계 (a)에서 언급한대로, 상기 미립자산화알루미늄이 상기 산화알루미늄보다 먼저 녹아 본 발명의 버너 타일의 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단계를 마침으로써 본 발명의 버너 타일이 최종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버너 타일은 내열성이 강화된 특징이 있는데, 엑소서믹-가스 (exothermic-gas, EX-GAS) 생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버너 타일은 두 개 이상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 다양한 성형틀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2에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버너 타일을 결합한 일 예를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의 제조]
산화알루미늄(Al2O3) 80 중량%, 이산화규소(SiO2) 5 중량%, 미립자산화알루미늄(Al2O3, 99.8%, 30㎛) 10 중량% 및 물 5 중량%를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버너 타일 반죽물을 성형틀에 붓고 상온(25℃)에서 24시간 1차 건조하였다. 1차 건조를 마친 후, 성형틀을 해제하고, 180℃에서 12시간 2차 건조하였다. 2차 건조를 마친 후, 성형물을 1000℃에서 10 시간 가열하여 성형하였다. 이후, 1450℃에서 10 시간 가열하여 소결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버너 타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본 발명의 버너 타일과 타사 버너 타일의 내열성 비교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버너 타일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버너 타일의 내열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비교예 1 : 국내산 A사 제조, 비교예 2 : 일본산 B사 제조)
내열성을 비교하기 위해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의 버너 타일을 시공한 후, 1250℃의 온도로 가동하면서 하자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하였다.
하자 발생 시점 비고
실시예 1 2년 동안 하자 발생하지 않음
비교예 1 가동 6개월 만에 하자 발생
비교예 2 가동 2년 만에 하자 발생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비교예 1 및 2에 비해 내열성(내구성)이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3 : 조성비가 다르게 제조된 본 발명 버너 타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표 2의 배합비에 따라 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버너 타일을 제조하고 내열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 외에 버너 타일의 제조를 위한 일반 공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산화알루미늄(Al2O3) 80 82 78
이산화규소(SiO2) 5 5 5
미립자산화알루미늄
(Al2O3)
(99.8%, 30㎛)
10 10 10
5 3 7
상기 표에 따라 제조한 결과, 실시예 2의 버너 타일은 실시예 1에 비해 기공이 많이 발생하여 밀도가 비교적 낮았으며, 이에 따라 내구성이 약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3의 버너 타일은 물의 양이 많아 미립자산화알루미늄이 반죽되지 못하고 흘러 내리는 문제가 발생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버너 타일을 제조할 수 없었다.
[실험예 2 : 조성비가 다르게 제조된 본 발명 버너 타일의 내열성 비교 실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버너 타일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버너 타일의 내열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내열성 비교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하자 발생 시점 비고
실시예 1 2년 동안 하자 발생하지 않음
실시예 2 가동 6개월 만에 하자 발생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실시예 2에 비해 우수한 내열성(내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산화알루미늄(Al2O3) 77~83 중량%, 이산화규소(SiO2) 3~7 중량%, 미립자산화알루미늄(Al2O3) 8~12 중량% 및 물 4~6 중량%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의 반죽물을 성형틀에 붓고 15~35℃에서 18~36시간 건조하는 1차 건조 단계 (b);
    상기 단계 (b) 후, 성형틀을 해체하고, 100~250℃에서 6~18시간 건조하는 2차 건조 단계 (c);
    상기 단계 (c) 후, 800~1200℃에서 8~12 시간 가열하는 성형 단계(d); 및
    상기 단계 (d) 후, 1300~1600℃에서 8~12 시간 가열하는 소결 단계 (e);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a)의 미립자산화알루미늄은 25~30 ㎛ 사이즈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타일은,
    엑소서믹-가스 (exothermic-gas, EX-GAS)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의 제조방법.
KR1020190056429A 2019-05-14 2019-05-14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 KR102088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429A KR102088034B1 (ko) 2019-05-14 2019-05-14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429A KR102088034B1 (ko) 2019-05-14 2019-05-14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034B1 true KR102088034B1 (ko) 2020-03-11

Family

ID=69809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429A KR102088034B1 (ko) 2019-05-14 2019-05-14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0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5929B2 (ja) * 1996-03-29 2000-07-17 ニチアス株式会社 バーナータイル
KR100680187B1 (ko) 2004-10-01 2007-02-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퍼지용 공기주입구가 형성된 버너타일
KR100725264B1 (ko) 2004-10-01 2007-06-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편심형 버너타일
KR100756285B1 (ko) * 2007-06-28 2007-09-06 주식회사태평세라믹스 가스버너용 초내열, 고강도 세라믹 버너헤드의 제조방법
KR20140058568A (ko) * 2011-09-08 2014-05-14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무기섬유 성형체
KR101659437B1 (ko) * 2015-12-10 2016-09-26 에프케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개선된 내열성 및 내화성을 갖는 세라믹 블록
KR20160122719A (ko) * 2014-02-12 2016-10-24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버너 타일, 버너 및 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5929B2 (ja) * 1996-03-29 2000-07-17 ニチアス株式会社 バーナータイル
KR100680187B1 (ko) 2004-10-01 2007-02-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퍼지용 공기주입구가 형성된 버너타일
KR100725264B1 (ko) 2004-10-01 2007-06-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편심형 버너타일
KR100756285B1 (ko) * 2007-06-28 2007-09-06 주식회사태평세라믹스 가스버너용 초내열, 고강도 세라믹 버너헤드의 제조방법
KR20140058568A (ko) * 2011-09-08 2014-05-14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무기섬유 성형체
KR20160122719A (ko) * 2014-02-12 2016-10-24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버너 타일, 버너 및 로
KR101659437B1 (ko) * 2015-12-10 2016-09-26 에프케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개선된 내열성 및 내화성을 갖는 세라믹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88310B2 (ja) チタン酸アルミニウム粉体及びチタン酸アルミニウム焼結体の製造方法
CN101646631B (zh) 用于具有碳层的陶瓷的组合物及使用该组合物的陶瓷的制造方法
US6375456B1 (en) Combustion process applicable to the manufacture of cement
CN100406802C (zh) 一种多孔金属-陶瓷介质气体燃料燃烧器
CN107337468A (zh) 一种泡沫陶瓷多孔燃烧介质的制备方法及应用
WO1997009761A1 (en) Combustion initiators employing reduced work function electrodes
KR102088034B1 (ko) 내열성이 강화된 버너 타일
CN107894001A (zh) 一种焚烧处理高沸点废液和废气的特种燃烧器
CN104129998B (zh) 石油焦煅烧综合利用工艺
KR910009501B1 (ko) 연소기 심지용 조성물
CN203385195U (zh) 一种可混合冷风的多孔介质烟气热风炉
KR20090067855A (ko) 블랙코어 형성이 최적화되어 경량화된 인공골재의제조방법
JPH069266A (ja) 耐火性酸化クロム− 石の製法
CN205504988U (zh) 一种蜂窝陶瓷多孔介质燃烧器
KR20090069599A (ko) 소결광의 제조방법
KR102195626B1 (ko) 숯 제조 방법
CN106196045B (zh) 高温低氮燃烧液态醇燃料的窑炉烧嘴及其制造方法
WO2023189340A1 (ja) セメントクリンカの製造方法
KR900007258B1 (ko) 적외선 방사 세라믹재 버너노즐의 제조방법
KR100981094B1 (ko) 에멀젼 연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0515998C (zh) 一种燃煤、燃气混烧的陶瓷烧结工艺及推板窑
CN105614955B (zh) 一种多孔碳质热源材料的制备方法
WO1987003066A1 (en) Method of combustion of finely divided coal
KR20220068685A (ko) 초 및 초 제조 방법
CN110332818A (zh) 提高氧气/二氧化碳气氛下水泥回转窑煤粉燃烧性能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