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961B1 -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961B1
KR102087961B1 KR1020190145277A KR20190145277A KR102087961B1 KR 102087961 B1 KR102087961 B1 KR 102087961B1 KR 1020190145277 A KR1020190145277 A KR 1020190145277A KR 20190145277 A KR20190145277 A KR 20190145277A KR 102087961 B1 KR102087961 B1 KR 10208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luetooth device
spectacle frame
le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호
Original Assignee
(주)자이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이언 filed Critical (주)자이언
Priority to KR1020190145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 일측에 형성되어 블루투스 기기를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거치홀(122) 및 상기 바디(100) 타측에 형성되어 바디(100)를 안경테(20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다리를 포함하여 블루투스 기기를 안경테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mounting device on the spectacle frame}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셋, 스피커, 핸즈프리, 보청기 등과 같이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기를 안경테에 장착하고 필요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인터넷 통신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블루투스 장치나 이어셋, 스피커, 핸즈프리, 보청기 등과 같은 기기(이하 '장착식 기기'라고 한다.)가 별도로 제작되어 제공되는바, 사용자는 이를 활용해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듣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된다.
한편,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를 위해 상기와 같은 장착식 기기를 안경테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탈부착 식으로 장착하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안경테에 상기 장착식 기기를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양손을 자유롭게 하여 휴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9072호(2017.11.24.)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기능을 하게 형성된 블루투스 기기를 간편하게 안경테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안경테에 조립식으로 장착함으로써 블루투스 기기를 안경테에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블루투스 기기를 안경테에 탈부착 식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바, 휴대성 및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이한 블루투스 기기가 안경 다리에 장착되는 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기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기가 안경 다리에 장착되는 상태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안경테에 조립식으로 장착함으로써 블루투스 기기를 안경테에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제안하고자, 바디와, 상기 바디 일측에 형성되어 블루투스 기기를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거치홀, 상기 바디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를 안경테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다리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이한 블루투스 기기가 안경 다리에 장착되는 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기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A)는 거치홀(122)과 장착다리를 구비하는 바디(100)를 포함하여 안경테(200), 더 정확하게는 안경테(200)에 형성되는 안경다리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바디(100)는 입체적인 형상을 이루는데,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널빤지 형상이다. 안경테(200)에 바디(100)가 면접하여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블루투스 기기(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규격 및 재질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재질은 가벼우면서도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이다.
거치홀(122)은 바디(100) 일측면, 즉 안경테(200)와 접하지 않는 면에 형성된다. 거치홀(122)에는 블루투스 기기(300)가 착탈식으로 거치된다.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치홀(122)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거치다리(1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다리(12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서로 간격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블루투스 기기(300)를 끼울 때 탄성적으로 서로 간격이 벌어지며 블루투스 기기(300)가 거치홀(122)에 끼워지고,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되게 된다.
거치다리(120)는 끝단부가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지점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곡선형을 이루면서 서로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거치다리(120)가 블루투스 기기(300)를 마치 두 팔로 감싸듯이 잡아주게 되는바, 더욱 안정적인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착다리는 바디(100) 타측면, 즉 안경테(200)와 접하는 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다리는 안경테(200)를 잡아주어 바디(100)가 안경테(2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장착다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상부다리(160)와 하부다리(140)를 포함한다.
하부다리(140)는 'L'자 형상을 이루게 돌출되는 것으로,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입구가 상부로 개방되어 있고, 끝단에 압박대(142)가 형성된다. 압박대(142)는 입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판 형상일 수 있고, 바디(100)와의 사이에 안경테(200)가 끼워지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부다리(160)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끝단에서 하방으로 꺾인 형태를 이루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다리(14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공간의 입구를 막아 안경테(200)가 하부다리(14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부다리(160)에서 상기 하방으로 꺾인 부분은 압박대(142) 바깥면에 접하여 선택적으로 따라 압박대(142) 압박할 수 있는데, 그 결과 하부다리(()에 끼워진 안경테(200)가 꽉 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방으로 꺾인 부분이 압박대(142)를 압박하는 구조는 회전뭉치(162)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부다리(160)는 끝단에 회전뭉치(162)가 형성되는데, 회전뭉치(162)는 수직방향 두께가 수평방향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압박대(142)에 접하지 않다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 압박대(142)를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압박대(142)를 압박할 수 있는바, 안경테(200)를 하부다리(140)에 끼우고 뺄 때 회전뭉치(162)를 동작시키면 원활하게 끼우고 뺄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안경테(200)가 하부다리(140)에 끼워졌을 때에는 강하게 압박을 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기가 안경 다리에 장착되는 상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다리(160)는 바디(100)를 관통되게 형성된다. 관통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되는 반면 빠지지 않게 형성되는데, 관통된 부분, 즉 안경테(200)가 접하는 면의 반대편 면으로 돌출되는 부분 끝단이 바디(100)에 형성된 구멍보다 크게 형성되어 빠지지 않는 구조이다.
한편, 상부다리(160)에서 바디(100)에 관통된 부분에는 스프링(164)이 설치된다. 스프링(164)은 상기 관통된 부분 전체를 지지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적으로 수축 및 팽창을 하게 된다. 스프링(164)이 팽창한 상태에서는 상부다리(160)에서 상기 하방으로 꺾인 부분이 압박대(142)를 탄성적으로 압박하는 상태로 되고, 상기 하방으로 꺾인 부분을 당기면 스프링(164)이 수축하면서 당겨져 안경테(200)를 하부다리(140)에서 빼낼 수 있게 되고,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경테(200)에 바디(100)를 착탈식으로 간편하게 장착하고 분리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바디, 120 : 거치다리,
122 : 거치홀, 140 : 하부다리,
142 : 압박대, 160 : 상부다리,
162 : 회전뭉치, 164 : 스프링,
200 : 안경테, 300 : 블루투스 기기.

Claims (5)

  1.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 일측에 형성되어 블루투스 기기를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거치홀(122)과, 상기 바디(100) 타측에 형성되어 바디(100)를 안경테(20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장착다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상부다리(160)와 하부다리(14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다리(140)는 끝단에 압박대(142)가 형성되어 상기 압박대(142)가 바디(100)와의 사이에 안경테(200)가 끼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다리(160)는 상기 공간 입구를 막아 안경테(200)가 하부다리(140)에서 빠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홀(122)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거치다리(120)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거치다리(120)는 끝단부가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블루투스 기기를 탄성적으로 압박하게 되는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다리(160)는 바디(100)를 관통되게 형성되고, 관통된 부분이 스프링(164)에 의해 지지되어 탄성적으로 왕복됨으로써 압박대(142)를 탄성적으로 압박할 수 있게 되는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다리(160)는 끝단에 회전뭉치(162)가 형성되어 상기 압박대(142)를 압박하되,
    상기 회전뭉치(162)는 수직방향 두께가 수평방향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회전시키면서 압박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

  5. 삭제
KR1020190145277A 2019-11-13 2019-11-13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 KR102087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77A KR102087961B1 (ko) 2019-11-13 2019-11-13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77A KR102087961B1 (ko) 2019-11-13 2019-11-13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961B1 true KR102087961B1 (ko) 2020-03-11

Family

ID=69809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277A KR102087961B1 (ko) 2019-11-13 2019-11-13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9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845B1 (ko) * 2016-03-10 2017-08-29 국제옵티칼 주식회사 블루투스 수신기를 구비하는 안경
CN206594363U (zh) * 2017-02-22 2017-10-27 潍坊歌尔电子有限公司 一种连接结构以及增强现实设备
KR20170129072A (ko)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정글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KR101989166B1 (ko) * 2018-06-05 2019-06-17 (주)자이언 장착식 기기를 안경테에 장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845B1 (ko) * 2016-03-10 2017-08-29 국제옵티칼 주식회사 블루투스 수신기를 구비하는 안경
KR20170129072A (ko)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정글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CN206594363U (zh) * 2017-02-22 2017-10-27 潍坊歌尔电子有限公司 一种连接结构以及增强现实设备
KR101989166B1 (ko) * 2018-06-05 2019-06-17 (주)자이언 장착식 기기를 안경테에 장착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5328B (zh) 骨傳導喇叭單元
CN102217329B (zh) 入耳式耳机和扩展转接器
DE602006020645D1 (de) Montage eines elektroakustischen Wandlers in Schalen von persönlichen Kommunikationsgeräten
JPWO2007099707A1 (ja) メガネ型音響・通信機器
US20080144877A1 (en) Antihelix stabilizer with easy donning action for wearable audio device
JPWO2009116272A1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SE0101276D0 (sv) Earmuff with earphone
WO2006007541A1 (en) Wearable audio device with easy donning action and antihelix stabilizer
WO2014097744A1 (ja) 骨導レシーバ
WO2005036342A3 (en)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087961B1 (ko)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는 기구
ITMI20131797A1 (it) Trasduttore elettromagnetico per generare vibrazioni per la conduzione ossea di suoni e/o parole
JP2007312050A (ja) 骨伝導ユニット装着具
EP1811806A3 (en) Headphones
KR101989166B1 (ko) 장착식 기기를 안경테에 장착하는 방법
GB0408458D0 (en) Diaphragms for loudspeaker drive units or microphones
KR101582465B1 (ko) 조립식 휴대폰 거치장치
CN111758265A (zh) 利用了骨传导的听音装置
JP2015200700A (ja) 携帯端末と双眼鏡との接合用アダプター
KR101899044B1 (ko) 안경 착탈용 이어폰
KR200379163Y1 (ko) 안경 결착식 헤드폰
US6621905B1 (en) Earphone support
KR100625514B1 (ko) 귀걸이형 이어폰
KR200402484Y1 (ko) 마이크 거치대
JPWO2009069287A1 (ja) 面体装着用送受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