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568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568B1
KR102087568B1 KR1020180062699A KR20180062699A KR102087568B1 KR 102087568 B1 KR102087568 B1 KR 102087568B1 KR 1020180062699 A KR1020180062699 A KR 1020180062699A KR 20180062699 A KR20180062699 A KR 20180062699A KR 102087568 B1 KR102087568 B1 KR 102087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er
power module
cover
fix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685A (ko
Inventor
장두원
조범연
김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18006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56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bending, e.g. snap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전원모듈로부터 광원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디코더; 및 전원모듈에 디코더를 탈부착시켜 전원모듈과 디코더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ILLU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의 디밍 및 색변화를 제어하는 디코더를 필요에 따라 전원모듈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과 친환경 측면이 모든 산업 분야에 주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에 조명 분야에서는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법으로 저에너지 고효율을 가진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게 되었다.
LED는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화합물 반도체로서 단파장 발광으로도 고순도 색상을 표현할 수 있고, 단파장색의 혼합에 의해 중간색의 표현도 가능하며, 기존 전구보다 저전력을 소비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LED는 기존의 유리 전구 형태의 광원들과 다르게 소형의 고체 형태 점광원으로 견고하고 수명이 긴 특성을 가지고 있어 조명 기기의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상당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디코더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조명의 밝기와 색상 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감성 조명 시스템도 각광받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1-0054082호(2001.07.02)의 '조명기구 관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조명장치는 조명 밝기와 색상을 조절하는 디코더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이 별개로 구비되거나, 또는 사전에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작업 현장에 따라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작업 현장이나 작업 조건 등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미리 준비한 조명장치를 적용하기에 부적합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어, 작업 효율이나 조명기기의 효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작업자가 전원 모듈에 디코더를 연결하고자할 경우에는 디코더를 연결하기 위한 배선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바,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광원의 디밍 및 색변화를 제어하는 디코더를 필요에 따라 전원모듈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상기 전원모듈로부터 광원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디코더; 및 상기 전원모듈에 상기 디코더를 탈부착시켜 상기 전원모듈과 상기 디코더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원모듈과 상기 디코더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기 접속부; 및 상기 전원모듈과 상기 디코더를 탈부착시키는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접속부는 상기 디코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접속핀; 및 상기 전원모듈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핀이 삽입 결합되는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디코더를 상기 전원모듈에 삽입 고정시키는 디코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코더 고정부는 상기 디코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출부; 및 상기 고정 돌출부에 대응되게 상기 전원모듈에 형성되는 고정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돌출부가 상기 고정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원모듈과 상기 디코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디코더 고정부를 지지하여 상기 전원모듈로부터 상기 디코더의 이탈을 방지하는 디코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코더 지지부는 상기 디코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지지 돌출부; 및 상기 지지 돌출부에 대응되게 상기 전원모듈에 형성되는 지지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돌출부가 상기 지지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디코더 고정부에 의한 상기 전원모듈과 상기 디코더의 결합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코더 고정부와 상기 디코더 지지부는 상기 디코더의 너비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디코더의 디코더 덮개가 상기 디코더의 결합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디코더 덮개 밀림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코더 덮개 밀림 방지부는 상기 전원모듈의 전원모듈 케이스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림 방지턱부; 및 상기 디코더의 디코더 덮개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밀림 방지턱부에 걸리는 밀림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디코더의 디코더 덮개가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디코더 덮개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코더 덮개 이탈 방지부는 상기 디코더의 디코더 케이스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 걸림부; 및 상기 디코더의 디코더 덮개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림 방지 돌출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 걸림부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원의 디밍 및 색변화를 제어하는 디코더를 필요에 따라 전원모듈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명장치는 디코더를 필요에 따라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조명 방식에 따라 조명장치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전원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과 디코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과 디코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과 디코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과 디코더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과 디코더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전원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과 디코더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과 디코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과 디코더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의 사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과 디코더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과 디코더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전원모듈(10) 및 디코더(20)를 포함한다.
전원모듈(10)은 광원(미도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써,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채용될 수 있다.
디코더(20)는 전원모듈(10)과 광원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모듈(10)로부터 디코더(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광량이나 색상을 조절한다.
여기서, 디코더(20)는 필요에 따라 전원모듈(1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디코더(20)가 전원모듈(10)에 부착되어 있지 않으면 전원모듈(10)로부터 광원에 항상 일정한 전류가 공급되어 광량과 색상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반면에, 전원모듈(10)에 디코더(20)가 부착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디코더(20)가 전원모듈(10)로부터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광원의 광량 및 색상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20)를 필요에 따라 전원모듈(1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모듈(10)로부터 광원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전원모듈(10)의 효용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조명장치는 전원모듈(10)에 디코더(20)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이다.
전원모듈(10)은 전원모듈 케이스(11) 및 전원모듈 덮개(12)를 포함하며, 전원모듈 덮개(12)는 전원모듈 케이스(11)에 설치되어 전원모듈(10)을 보호한다.
전원모듈 덮개(12)는 전원모듈(10)에 디코더(20)가 결합되지 않을 경우에 전원모듈 케이스(11)에 설치된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조명장치는 전원모듈(10)에 디코더(20)가 부착된 상태로써, 전원모듈(10)과 디코더(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전원모듈(10)에 디코더(20)가 부착되며, 이 경우 디코더 덮개(22)가 전원모듈 덮개(12)를 대신하여 디코더 케이스(21)에 설치된다. 디코더 덮개(22)는 디코더 케이스(21)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전원모듈 덮개(12)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디코더 덮개(22)는 전원모듈(10)에 디코더(20)가 결합되는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전원모듈(10)에 디코더(20)가 부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모듈 덮개(1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전원모듈(10)에 디코더(20)가 부착된 경우에는 전원모듈 덮개(12)가 아니라 디코더 덮개(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코더 케이스(21)가 설치되더라도 디코더 덮개(22)를 통해 디코더 케이스(21) 전체가 보호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모듈(10)과 디코더(20)는 결합부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 를 참조하면, 결합부는 전원모듈(10)에 디코더(20)를 탈부착시켜 전원모듈(10)과 디코더(20)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시키는 것으로써, 전기 접속부(30), 탈부착부(100), 및 디코더 나사 결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접속부(30)는 전원모듈(10)과 디코더(2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전기 접속부(30)는 접속핀(31) 및 소켓(32)을 포함한다.
접속핀(31)은 디코더 케이스(21)에 돌출 형성된다.
소켓(32)은 전원모듈 케이스(11)에 형성되어 상기한 접속핀(31)이 삽입 결합된다. 전원모듈 케이스(11)와 디코더 케이스(21)가 결합되면서, 접속핀(31)이 소켓(32)에 삽입되어 전원모듈(10)과 디코더(20)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모듈(10)은 일측으로 디코더(20)와 결합되는데, 전원모듈 케이스(11)의 단부에는 디코더 케이스(2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단턱(113)이 형성되며, 이 결합 단턱(113)에 도 6 에 도시된 디코더 케이스(21)의 디코더 상부 케이스(212)가 결합되어 디코더 케이스(21)와 전원모듈 케이스(11)가 결합된다.
도 6 을 참조하면, 디코더 케이스(21)는 디코더 상부 케이스(212) 및 디코더 하부 케이스(213)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며, 디코더 상부 케이스(212) 중 그 일부가 전원모듈 케이스(11)의 결합 단턱(113)의 상단에 놓여지면서 전원모듈 케이스(11)와 디코더 케이스(21)가 결합된다.
여기서, 디코더 상부 케이스(212)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모듈 (10)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핀(31)이 돌출 형성되고, 전원모듈 케이스(11)에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32)이 형성되는 바, 전원모듈 케이스(11)와 디코더 케이스(21)가 결합되면서 접속핀(31)이 소켓(32)에 삽입됨으로써, 전원모듈(10)과 디코더(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한편, 디코더 하부 케이스(213)에는 디코더 덮개(22)의 하단부가 놓여질 수 있도록 디코더 덮개 단차부(214)가 형성된다. 따라서, 디코더 덮개(22)는 하단부가 디코더 덮개 단차부(214)에 놓여져 지지되면서 디코더 케이스(21)에 설치된다.
탈부착부(100)는 전원모듈(10)과 디코더(20)를 탈부착시킨다.
탈부착부(100)는 디코더 고정부(40) 및 디코더 지지부(50)를 포함한다.
디코더 고정부(40)는 디코더(20)를 전원모듈(10)에 삽입 고정시키는 것으로써, 고정 돌출부(41) 및 고정 홈부(42)를 포함한다.
고정 돌출부(41)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20)의 디코더 상부 케이스(21) 하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고정 홈부(42)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돌출부(41)에 대응되게 전원모듈 케이스(11)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도 9 및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 케이스(21)에 형성된 고정 돌출부(41)가 전원모듈 케이스(11)에 형성된 고정 홈부(42)에 삽입되면서 디코더 케이스(21)가 전원모듈 케이스(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디코더 고정부(40)에 의해 전원모듈(10)에 디코더(20)가 고정되더라도 디코더(20)의 무게나 길이가 증가할 경우 디코더(20)와 전원모듈(1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디코더 지지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디코더 지지부(50)는 디코더 고정부(4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구비되어 디코더(20)와 전원모듈(10) 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디코더 지지부(50)는 지지 돌출부(51) 및 지지 홈부(52)를 포함한다.
지지 돌출부(51)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 상부 케이스(212)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지지 돌출부(51)는 고정 돌출부(41)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지지 돌출부(51)와 고정 돌출부(41)가 그 결합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지지 홈부(52)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모듈 케이스(11)에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홈부(52)는 고정 홈부(42)와 인접한 위치에 나란하게 형성된다.
즉, 도 9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 케이스(21)에 형성된 지지 돌출부(51)가 전원모듈 케이스(11)에 형성된 지지 홈부(52)에 삽입되어 디코더(20)와 전원모듈(10) 간의 결합을 지지한다.
한편, 디코더 고정부(40)와 디코더 지지부(50)는 인접한 위치에 디코더(20) 결합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 지지부(50)가 디코더 고정부(40)와 인접한 위치에서 디코더(20)를 재차 지지함으로써, 디코더(20)가 전원모듈(1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코더 고정부(40)와 디코더 지지부(50)가 형성됨에 따라, 디코더 케이스(21)는 최초 비스듬한 각도(전원모듈(10)이 수평으로 놓여있다고 가정할 경우)에서 접속핀(31)이 소켓(32)에 접속되면서 고정 돌출부(41)가 고정 홈부(42)에 삽입되고, 이와 함께 지지 돌출부(51)도 지지 홈부(52)에 삽입됨으로써, 전원모듈 케이스(11)와 디코더 케이스(21)가 결합되게 된다.
디코더 나사 결합부(60)는 디코더(20)를 전원모듈(10)에 나사 결합시키는 것으로써, 디코더 상부 케이스(21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디코더 결합 나사홀(61)을 통해 나사(62)가 체결됨으로써, 디코더(20)가 전원모듈(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디코더(20)가 전원모듈(10)에 결합되면, 해당 디코더 케이스(21)에는 디코더 덮개(22)가 결합될 수 있다.
디코더 덮개(22)가 디코더(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코더 덮개 밀림 방지부(70) 및 디코더 덮개 이탈 방지부(80)가 구비된다.
디코더 덮개 밀림 방지부(70)는 디코더 덮개(22)가 디코더 케이스(21)에 결합될 경우 디코더 덮개(22)가 디코더(20)의 결합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디코더 덮개 밀림 방지부(70)는 밀림 방지 돌출부(71) 및 밀림 방지턱부(72)를 포함한다.
밀림 방지 돌출부(71)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 덮개(22)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밀림 방지턱부(72)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모듈(10)의 결합 단턱(113)의 단부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디코더 덮개(22)가 디코더 케이스(21)에 결합될 경우 밀림 방지 돌출부(71)가 밀림 방지턱부(72)에 걸리면서 디코더 덮개(22)가 디코더(20)의 결합 방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한다.
디코더 덮개 이탈 방지부(80)는 디코더 덮개(22)가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디코더 덮개 이탈 방지부(80)는 후크부(81) 및 후크 걸림부(82)를 포함한다.
후크부(81)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림 방지 돌출부(7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후크 걸림부(82)는 디코더 케이스(2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81)가 후크 걸림부(82)에 걸리면서 디코더 덮개(22)가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후크부(81)가 후크 걸림부(82)에 걸릴 경우 후크부(81)가 후크 걸림부(82)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밀림 방지턱부(72)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83)가 후크부(81)를 지지함으로써, 후크부(81)가 후크 걸림부(8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경사부(83)는 후크부(81)가 후크 걸림부(82)에 결합시에 후크부(81)가 정확하게 걸릴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아울러, 나사(미도시)가 디코더 덮개(22)에 형성된 디코더 덮개 결합 나사홀(91)을 통해 디코더 하부 케이스(213)에 형성된 디코더 덮개 결합 나사홈(91)에 결합됨으로써, 디코더 덮개(22)가 디코더 케이스(21)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원의 디밍 및 색변화를 제어하는 디코더를 필요에 따라 전원모듈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디코더를 필요에 따라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조명 방식에 따라 조명장치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전원모듈 11: 전원모듈 케이스
12: 전원모듈 덮개 113: 결합 단턱
20: 디코더 21: 디코더 케이스
212: 디코더 상부 케이스 213: 디코더 하부 케이스
31: 전기 접속부 31: 접속핀
32: 소켓 40: 디코더 고정부
41: 고정 돌출부 42: 고정 홈부
50: 디코더 지지부 51: 지지 돌출부
52: 지지 홈부 60: 디코더 나사 결합부
61: 디코더 결합 나사홀 62: 디코더 나사
70: 디코더 덮개 밀림 방지부 71: 밀림 방지 돌출부
72: 밀림 방지턱부 80: 디코더 덮개 이탈 방지부
81: 후크부 82: 후크 걸림부
83: 경사부 91: 디코더 덮개 결합 나사홈
92: 디코더 덮개 결합 나사홀 100: 탈부착부

Claims (12)

  1.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상기 전원모듈로부터 광원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디코더; 및
    상기 전원모듈에 상기 디코더를 탈부착시켜 상기 전원모듈과 상기 디코더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의 디코더 덮개가 상기 디코더의 결합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디코더 덮개 밀림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 덮개 밀림 방지부는 상기 전원모듈의 전원모듈 케이스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림 방지턱부; 및 상기 디코더의 디코더 덮개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밀림 방지턱부에 걸리는 밀림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코더의 디코더 덮개가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디코더 덮개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코더 덮개 이탈 방지부는 상기 디코더의 디코더 케이스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 걸림부; 및 상기 디코더의 디코더 덮개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림 방지 돌출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 걸림부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림 방지턱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 걸림부에 결합시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 걸림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부를 지지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원모듈과 상기 디코더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기 접속부; 및
    상기 전원모듈과 상기 디코더를 탈부착시키는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부는
    상기 디코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접속핀; 및
    상기 전원모듈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핀이 삽입 결합되는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디코더를 상기 전원모듈에 삽입 고정시키는 디코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 고정부는
    상기 디코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출부; 및
    상기 고정 돌출부에 대응되게 상기 전원모듈에 형성되는 고정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돌출부가 상기 고정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원모듈과 상기 디코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디코더 고정부를 지지하여 상기 전원모듈로부터 상기 디코더의 이탈을 방지하는 디코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 지지부는
    상기 디코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지지 돌출부; 및
    상기 지지 돌출부에 대응되게 상기 전원모듈에 형성되는 지지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돌출부가 상기 지지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디코더 고정부에 의한 상기 전원모듈과 상기 디코더의 결합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 고정부와 상기 디코더 지지부는 상기 디코더의 너비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62699A 2018-05-31 2018-05-31 조명장치 KR102087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699A KR102087568B1 (ko) 2018-05-31 2018-05-31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699A KR102087568B1 (ko) 2018-05-31 2018-05-31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685A KR20190136685A (ko) 2019-12-10
KR102087568B1 true KR102087568B1 (ko) 2020-03-11

Family

ID=6900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699A KR102087568B1 (ko) 2018-05-31 2018-05-31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5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6610A (ja) 2010-09-21 2012-04-0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JP2016051651A (ja) * 2014-09-01 2016-04-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801601B1 (ko) 2017-05-24 2017-11-27 선호라이팅 주식회사 무배선 led 조명등
KR101844490B1 (ko) 2016-08-25 2018-04-02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방수 및 감전방지 타입 엘이디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066U (ko) * 2007-04-27 2008-10-30 신남선 형광등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6610A (ja) 2010-09-21 2012-04-0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JP2016051651A (ja) * 2014-09-01 2016-04-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844490B1 (ko) 2016-08-25 2018-04-02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방수 및 감전방지 타입 엘이디 조명장치
KR101801601B1 (ko) 2017-05-24 2017-11-27 선호라이팅 주식회사 무배선 led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685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6030B2 (ja) 光半導体照明装置
KR20100100169A (ko) 발광 장치
KR101449516B1 (ko) Led 모듈 교체형 조명장치
CA3136948C (en) Lighting system
KR101249386B1 (ko) 직류 및 교류전원을 공급토록 컨버터가 구비되는 엘이디 등기구
KR102087568B1 (ko) 조명장치
KR20160083697A (ko) 전원부 직결형 엘이디 조명장치
US20120008310A1 (en) Handheld lighting unit
KR101583270B1 (ko) 수족관용 엘이디 램프 장치
KR101813960B1 (ko) 광원 모듈 장치
KR101453938B1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조명장치
KR101989110B1 (ko) 어댑터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퍼 장착 시스템
KR101640301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CN203115751U (zh) 照明器具
JP2012226956A (ja) 照明器具
KR101627495B1 (ko) 소켓부 분리구조를 갖는 리트로핏형 led 램프
KR102073866B1 (ko) 탈부착형 천장등
KR101262316B1 (ko) 착탈이 용이한 엘이디 매입등
KR101899058B1 (ko) Led조명용 전등선
JP2014086166A (ja) 照明器具
WO2010138078A1 (en) Light emitting diode (led) lamp
KR101635557B1 (ko) 평판 조명기기
KR100970110B1 (ko) 등기구 일체형 led 조명장치
KR101696149B1 (ko) 등기구
KR20200027108A (ko) 착탈형 led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