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301B1 -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301B1
KR101640301B1 KR1020140035135A KR20140035135A KR101640301B1 KR 101640301 B1 KR101640301 B1 KR 101640301B1 KR 1020140035135 A KR1020140035135 A KR 1020140035135A KR 20140035135 A KR20140035135 A KR 20140035135A KR 101640301 B1 KR101640301 B1 KR 101640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unit
module
control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072A (ko
Inventor
김회민
정광현
김상유
주재영
박동환
김유신
송상빈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35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30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의 출력과 디밍 등의 특성 제어가 가능하고, 조명 장치와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광원의 특성이 다른 광원 모듈을 섞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를 수납하고,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는 방열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커넥터부; 상기 광원 제어부가 광원 모듈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제어수단과 동작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하는 통신 커넥터부; 및 상기 통신 커넥터부로 송수신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원의 출력과 디밍 등의 특성 제어가 가능하고, 조명 장치와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광원의 특성이 다른 광원 모듈들을 섞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LIGHT MOUDULE AND LIGHT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의 출력과 디밍 등의 특성 제어가 가능하고, 조명 장치와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광원의 특성이 다른 광원 모듈을 섞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 조명 기구는 방이나 사무실의 조명등이나 탁상용 스탠드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LED 조명 기구는 형광등이나 할로겐 등에 비해 소비전력이 낮고 다양한 색상의 빛을 연출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LED 조명 기구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 건물의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고 도광판을 이용하는 조명타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조명타일 구조의 LED 조명 기구에는 통상 하나 또는 다수의 LED 모듈이 배열된다.
한편, 평판 타일 구조 예컨대 평판형이나 매립형 LED 조명 기구에 사용되는 LED 모듈은 가볍고 얇은 판 구조를 구비하고, 그에 의하여 운반 및 취급 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볼트,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평판형이나 매립형 LED 조명 기구에 LED 모듈을 설치할 때, LED 모듈은 작업자의 취급 부주위나 무리한 체결 작업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볼트,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면, LED 조명 기구의 조립이나 설치에 많은 작업 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781호(발명의 명칭 : LED 모듈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등기구)에는 LED 모듈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조명 기구가 개시되어 LED 조명 기구의 조립이나 설치가 간편해질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LED 조명 기구는 단일 색상의 광원만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조명 기구가 설치되는 환경이나 조명의 배광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색온도, 출력, 색상을 제공하는 다양한 LED 모듈로 변경 제조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781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원의 출력과 디밍 등의 특성 제어가 가능하고, 조명 장치와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광원의 특성이 다른 광원 모듈을 섞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원 모듈로서,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를 수납하고,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는 방열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커넥터부; 상기 광원 제어부가 광원 모듈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제어수단과 동작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하는 통신 커넥터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원부의 특성 설정 신호와, 상기 통신 커넥터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 포맷의 설정 신호를 입력받아 광원 제어부로 출력하는 보정 스위치; 및 상기 보정 스위치가 출력하는 통신 포맷 설정 신호에 따라 통신 포맷을 설정하여 상기 통신 커넥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커넥터부로 송수신되는 동작 제어 신호와, 상기 보정 스위치가 입력받은 특성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열부는 방열부 몸체; 상기 방열부 몸체의 타측에 설치한 방열핀; 및 상기 방열부 몸체의 둘레에 방열부 몸체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시켜 형성한 복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신 커넥터부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원 제어부는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커넥터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플러그 앤 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를 수납하고,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는 방열부와,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커넥터부와, 상기 광원 제어부가 광원 모듈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제어수단과 동작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하는 통신 커넥터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원부의 특성 설정 신호와 상기 통신 커넥터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 포맷의 설정 신호를 입력받아 광원 제어부로 출력하는 보정 스위치와, 상기 보정 스위치가 출력하는 통신 포맷 설정 신호에 따라 통신 포맷을 설정하여 상기 통신 커넥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커넥터부로 송수신되는 동작 제어 신호와, 상기 보정 스위치가 입력받은 특성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를 구비한 복수의 광원 모듈;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고정하는 조명 하우징; 상기 조명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조명 기구 회로부; 및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과 조명 기구 회로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은 상기 광원 모듈의 출력과 색온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 하우징은 확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원 모듈은 각 모듈에 설치된 보정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광원부의 디밍 출력, 디밍의 최댓값, 최솟값, 디밍의 형태를 포함한 광원의 특성에 따라 개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듈 설치 프레임은 복수의 광원 모듈이 일정 간격으로 안착되도록 수납 공간을 형성한 모듈 설치부; 및 상기 광원 모듈과 치합하여 상기 모듈 설치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모듈 설치부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걸림홈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원의 출력과 디밍 등의 특성 제어가 가능하고, 조명 장치와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광원의 특성이 다른 광원 모듈들을 섞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면 전체 광원 모듈을 교체하지 않고, 고장이 발생한 일부 광원 모듈만 제거하여 교환 또는 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따른 광원 모듈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따른 광원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 3에 따른 광원 모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A-A 단면도.
도 5 는 도 1에 따른 광원 모듈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 모듈을 이용한 조명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도 6에 따른 광원 모듈을 이용한 조명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원 모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광원 모듈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광원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광원 모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A-A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광원 모듈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원 모듈(100)은 광원부(110)와, 방열부(120)와, 전원 커넥터부(130)와, 통신 커넥터부(140)와, 보정 스위치(150)와, 광원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부(110)는 인쇄회로기판(111)과 다수의 LED(112)가 설치되고, 상기 LED(112)는 임의의 색상, 색온도를 갖는 빛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방열부(120)는 광원부(110)와, 전원 커넥터부(130)와, 통신 커넥터부(140)와, 광원 제어부(160)와, 보정 스위치(150)가 수납되도록 하고, 상기 광원부(110)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되도록 하며, 방열부 몸체(121)와, 다수의 방열핀(122)과, 절개부(123)와, 걸림돌기(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열부 몸체(121)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인 사각 형상의 금속 부재로서, 일측에는 광원부(110)와, 전원 커넥터부(130)와, 통신 커넥터부(140)와, 광원 제어부(160)와, 보정 스위치(150)가 수납되도록 광원부 수납홈(12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광원부 수납홈(121a)의 내측벽에는 상기 광원부 수납홈(121a)에 안착된 광원부(110)가 방열부 몸체(121)와 밀착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121b)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방열핀(122)는 방열부 몸체(121)의 타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한 박형의 판부재로서, 열 방출 효율이 증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열부 몸체(12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부(123)는 방열부 몸체(121)에서 방열핀(122)측으로 형성한 개구부로서, 전원 커넥터부(130)와, 통신 커넥터부(140)와, 보정 스위치(150)가 상기 방열부 몸체(121)의 측면 또는 방열핀(122)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돌기(124)는 방열부 몸체(121)의 둘레에 방열부 몸체(121)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후술하는 조명 장치(200)에 광원 모듈(1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전원 커넥터부(130)는 광원부(110)의 인쇄회로기판(111) 일측에 설치되어 광원부(110)와, 상기 광원부(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16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연결한다.
상기 통신 커넥터부(140)는 광원부(110)의 인쇄회로기판(111) 일측에 광원 제어부(160)가 광원 모듈(10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제어수단(후술되는 조명 기구 회로부(240))과 동작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RS485, RS 422 등의 시리얼 통신과 연결하는 제 1 커넥터(141)와, USB 통신 등의 다른 통신 포맷을 사용하는 통신 수단과 연결하는 제 2 커넥터(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광원부(110)의 온/오프 제어, PWM 제어 등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 제어 신호의 수신에 따른 광원 제어부(160)의 피드백 신호 등이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서로 다른 커넥터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1개 이상의 커넥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정 스위치(150)는 광원부(110)의 인쇄회로기판(111)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광원부(110)의 출력 설정, 디밍의 형태 설정 및 디밍 최댓값, 최솟값 등의 광원 특성을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광원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즉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LED(112)의 광 출력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광원부(110)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가 일정 값만큼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보정값을 검출하여 광원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정 스위치(150)는 통신 포맷 설정을 위한 보조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통신 커넥터부(140)를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 포맷의 설정 신호를 입력받아 광원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상기 광원 제어부(160)는 통신 커넥터부(140)를 통해 동작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부(110)가 온/오프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광원 제어부(160)는 광원부(110)의 동작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보정 스위치(150)를 통해 입력되는 광원부(110)의 출력 설정, 디밍 설정 및 디밍 최댓값, 최솟값 등의 광원 특성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110)의 출력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광원 제어부(160)는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통해 복수의 통신 커넥터(140) 중에서 임의의 커넥터가 연결된 것을 검출하여 해당 커넥터를 통해 동작 제어 신호가 송수신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 제어부(160)는 보정 스위치(150)를 통해 임의의 통신 포맷 설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통신 포맷 설정 신호에 따라 통신 포맷을 설정하여 통신 커넥터(140)를 통해 동작 제어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조명 장치)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 모듈을 이용한 조명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광원 모듈을 이용한 조명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광원 모듈을 이용한 조명 장치(200)는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110)를 수납하고, 상기 광원부(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는 방열부(120)와, 상기 광원부(110), 상기 광원부(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16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커넥터부(130)와, 상기 광원 제어부(160)가 광원 모듈(10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제어수단과 동작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하는 통신 커넥터부(140)와, 상기 통신 커넥터부(140)로 송수신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110)의 출력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160)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원부(110)의 특성 설정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광원 제어부(160)로 출력하는 보정 스위치(150)를 구비한 복수의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과, 조명 하우징(210)과, 모듈 설치 프레임(220)과, 확산판(230)과, 조명 기구 회로부(240)와, 연결 케이블(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은 조명 하우징(2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은 모든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이 동일한 색상과, 동일한 색온도를 출력하는 광원 모듈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는 다른 색상을 출력하거나, 다른 색온도를 출력하는 광원 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은 조명 장치(200)의 제조 과정에서 조명 장치의 설계자 의도에 따라 임의의 동일 색상을 출력하는 광원 모듈로만 구성하여 모듈 설치 프레임(220)에 설치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색상, 다른 색온도를 출력하는 광원 모듈로 자유롭게 변경 및 혼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은 광원의 출력 설정, 디밍 설정 및 디밍 최댓값, 최솟값 등의 광원의 특성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여 균일한 배광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은 각 모듈에 설치된 보정 스위치(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개별적으로 입력된 광원부(110)의 디밍 출력, 디밍의 최댓값, 최솟값, 디밍의 형태를 포함한 광원의 특성에 따라 개별 제어됨으로써, 특성이 다른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이 균일한 배광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조명 하우징(210)은 내부에 프레임 수납홈(211)을 형성한 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모듈 설치 프레임(220)과, 조명 기구 회로부(240)와, 연결 케이블(250)이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 모듈 설치 프레임(220)은 조명 하우징(210)의 내측에 설치되어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모듈 설치 프레임(220)의 내측에는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이 일정 간격으로 안착되거나 또는 이웃한 광원 모듈과 밀착하여 배치되도록 모듈 설치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모듈 설치부(221)의 내측벽에는 상기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과 치합하여 상기 모듈 설치부(221)에 고정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2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모듈 설치부(221)의 걸림홈(222)은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의 측면에 설치된 걸림돌기(124)와 치합하여 상기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이 모듈 설치 프레임(220)에 고정되도록 하고, 필요시 임의의 광원 모듈만 상기 모듈 설치 프레임(220)에서 탈락시켜 제거하거나 또는 다른 색상, 색온도, 광원 특성을 갖는 광원 모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조 과정에서 다양한 색상과 광원 특성을 갖는 조명 장치(200)를 제공할 수 있고, 고장 등이 발생하면 전체 광원 모듈을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고장이 난 일부 광원 모듈만 제거하여 교환 또는 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듈 설치 프레임(220)을 별도의 부재로 설명하였지만, 조명 하우징(210)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상기 확산판(230)은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에서 출력된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조명 하우징(210)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조명 기구 회로부(240)는 조명 하우징(210)에 설치되어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인쇄회로기판(241)과, 조명 제어부(242)와, 조명 기구 커넥터부(2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명 제어부(242)는 인쇄회로기판(241)상에 설치되어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의 전체 온/오프 또는 임의의 광원 모듈이 온/오프되도록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조명 기구 커넥터부(243)는 인쇄회로기판(241)상에 다수 설치되어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과 조명 제어부(24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 케이블(250)은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과 조명 기구 회로부(2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다수의 연결 케이블(250) 일측은 각각의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과 연결되고, 타측은 조명 기구 커넥터(243)에 연결되어 조명 제어부(242)에서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가 해당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로 전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광원의 출력과 디밍 등의 특성 제어가 가능하고, 조명 장치와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광원의 특성이 다른 광원 모듈들을 섞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광원 모듈 110 : 광원부
111 : 인쇄회로기판 112 : LED
120 : 방열부 121 : 방열부 몸체
121a : 광원부 수납홈 122 : 방열핀
123 : 절개부 124 : 걸림돌기
130 : 전원 커넥터부 140 : 통신 커넥터부
141 : 제 1 커넥터 142 : 제 2 커넥터
150 : 보정 스위치 160 : 광원 제어부
200 : 조명 기구 210 : 조명 기구 하우징
211 : 프레임 수납홈 220 : 모듈 설치 프레임
221 : 모듈 설치부 222 : 걸림홈
230 : 확산판 240 : 조명 기구 회로부
241 : 인쇄회로기판 242 : 조명 제어부
243 : 조명 기구 커넥터부 250 : 연결 케이블

Claims (10)

  1. 광원 모듈(100)로서,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110);
    상기 광원부(110)를 수납하고, 상기 광원부(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는 방열부(120);
    상기 광원부(110)와, 상기 광원부(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16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커넥터부(130);
    상기 광원 제어부(160)가 광원 모듈(10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제어수단과 동작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하는 통신 커넥터부(140);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원부(110)의 특성 설정 신호와, 상기 통신 커넥터부(140)를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 포맷의 설정 신호를 입력받아 광원 제어부(160)로 출력하는 보정 스위치(150); 및
    상기 보정 스위치(150)가 출력하는 통신 포맷 설정 신호에 따라 통신 포맷을 설정하여 상기 통신 커넥터부(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커넥터부(140)로 송수신되는 동작 제어 신호와, 상기 보정 스위치(150)가 입력받은 특성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110)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120)는 방열부 몸체(121);
    상기 방열부 몸체(121)의 타측에 설치한 방열핀(122); 및
    상기 방열부 몸체(121)의 둘레에 방열부 몸체(121)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시켜 형성한 복수의 걸림돌기(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커넥터부(140)는 복수의 커넥터(141, 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어부(160)는 복수의 커넥터(141, 142) 중 어느 커넥터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플러그 앤 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7.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110)를 수납하고, 상기 광원부(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는 방열부(120)와, 상기 광원부(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16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커넥터부(130)와, 상기 광원 제어부(160)가 광원 모듈(10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제어수단과 동작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하는 통신 커넥터부(140)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원부(110)의 특성 설정 신호와 상기 통신 커넥터부(140)를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 포맷의 설정 신호를 입력받아 광원 제어부(160)로 출력하는 보정 스위치(150)와, 상기 보정 스위치(150)가 출력하는 통신 포맷 설정 신호에 따라 통신 포맷을 설정하여 상기 통신 커넥터부(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커넥터부(140)로 송수신되는 동작 제어 신호와, 상기 보정 스위치(150)가 입력받은 특성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110)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160)를 구비한 복수의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고정하는 조명 하우징(210);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이 일정 간격으로 안착되도록 수납 공간을 형성한 모듈 설치부(221)와, 상기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과 치합하여 상기 모듈 설치부(221)에 고정되도록 상기 모듈 설치부(221)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걸림홈(222)을 형성한 모듈 설치 프레임(220);
    상기 조명 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조명 기구 회로부(240); 및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과 조명 기구 회로부(240)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케이블(25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은 상기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의 출력과 색온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 하우징(2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을 이용한 조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하우징(210)은 확산판(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을 이용한 조명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은 각 모듈에 설치된 보정 스위치(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광원부(110)의 디밍 출력, 디밍의 최댓값, 최솟값, 디밍의 형태를 포함한 광원의 특성에 따라 개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광원 모듈을 이용한 조명 장치.
  10. 삭제
KR1020140035135A 2014-03-26 2014-03-26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KR101640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135A KR101640301B1 (ko) 2014-03-26 2014-03-26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135A KR101640301B1 (ko) 2014-03-26 2014-03-26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072A KR20150112072A (ko) 2015-10-07
KR101640301B1 true KR101640301B1 (ko) 2016-07-25

Family

ID=5434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135A KR101640301B1 (ko) 2014-03-26 2014-03-26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633B1 (ko) * 2018-08-09 2019-01-21 (주) 선일일렉콤 모듈화된 광원을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102084976B1 (ko) * 2019-06-14 2020-05-15 (주)씨엘테크 다목적 지능형 엘이디 조명등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564B2 (ja) * 1998-01-14 2001-05-08 花王株式会社 画像認識装置
JP2010538433A (ja) * 2007-09-07 2010-12-09 アルノルト・ウント・リヒター・シネ・テヒニーク・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カンパニー・ベトリープス・カー・ゲー 照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3564A (ja) * 1989-11-22 1991-07-15 Canon Inc カラー現像剤
KR20110037049A (ko) * 2009-10-05 2011-04-13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조명 장치
KR200458781Y1 (ko) 2010-05-10 2012-03-09 주식회사 미강조명 Led 모듈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등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564B2 (ja) * 1998-01-14 2001-05-08 花王株式会社 画像認識装置
JP2010538433A (ja) * 2007-09-07 2010-12-09 アルノルト・ウント・リヒター・シネ・テヒニーク・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カンパニー・ベトリープス・カー・ゲー 照明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072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5124B2 (en) LED link system with distributive powering scheme
KR200482439Y1 (ko) Led 램프
CA2609531C (en) Modular led lighting apparatus for socket engagement
US104157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ofitting a fluorescent downlight illumination device
US9288877B2 (en) Sensor module for a lighting fixture
US20140226322A1 (en) Linear LED Light Module
US20150276140A1 (en) Led lamp
US10337679B2 (en) Modular bay luminaire
US9273860B2 (en) Sensor module for a lighting fixture
EP3553367B1 (en) Led plant lighting lamp module
KR101640301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RU2616965C2 (ru) Модуль интерфейса управления
KR20090102026A (ko) 안전절연 전구형 엘이디 조명기구
KR20130113079A (ko) 색온도, 색상 및 밝기 조절이 가능한 조명 시스템
EP2778517B1 (en) Led lighting apparatus
KR200377622Y1 (ko) 방열형 발광다이오드 투광등 시스템
JP2015128072A (ja) 照明器具
US20120314416A1 (en) Led lamp assembly for use in a long passage
JP6674642B2 (ja) 照明器具
US11746997B2 (en) Recessed luminaire housing assembly
JP6979159B2 (ja) 照明器具
WO2017114428A1 (zh) 光源模组和照明装置
US11859803B2 (en) Method of controlling serially-connected lighting devices
KR102087568B1 (ko) 조명장치
JP7038318B2 (ja) Ledモジュール、基板、照明装置、照明器具並びに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