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433B1 - 샴푸용 복합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샴푸용 복합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433B1
KR102087433B1 KR1020190174441A KR20190174441A KR102087433B1 KR 102087433 B1 KR102087433 B1 KR 102087433B1 KR 1020190174441 A KR1020190174441 A KR 1020190174441A KR 20190174441 A KR20190174441 A KR 20190174441A KR 102087433 B1 KR102087433 B1 KR 102087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hampoo
polyquaterniu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러데이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러데이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러데이나인
Priority to KR1020190174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Abstract

본 명세서는 샴푸에 첨가되어 사용되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유상층; 정제수와 양이온성 폴리머가 포함된 수상층; 및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엑티브층을 포함하는, 샴푸용 복합첨가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샴푸용 복합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Multi-functioning additive for shampoo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샴푸용 복합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판 샴푸와 병용되어 시판 샴푸의 기능을 개선하거나, 시판 샴푸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모발은 대기와의 접촉 등을 통하여 오염되거나, 두피로 방출되는 피지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오염된다. 피지의 축적이나 외래 오염원의 누적은 모발의 외관을 해치거나, 심한 경우 탈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근래에는 미세먼지 등의 외부요인에 대한 관심과 함께 모발의 세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샴푸(혹은 액체샴푸)는 생활 중에 모발의 세정을 위하여 흔히 사용되는 용품이다. 샴푸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으로써, 샴푸에 보조제를 첨가하여 세정 기능을 극대화하거나, 세정 이외의 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샴푸'들도 판매 및 사용되고 있다. 가령, 특허문헌 1을 위시하여, 세정 기능과 모발에 윤기를 부여하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투인원(Two in one) 샴푸'가 공개된 바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특허문헌 2를 위시하여, 세정 기능과 탈모완화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탈모용 샴푸'가 공개된 바 있다.
다만, 종래의 공개된 샴푸들은 각각의 기능이 이미 강화된 형태로만 제공되며, 구매 후에 종래의 기능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나,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제한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가령, 상기 투인원 샴푸에 탈모기능을 부여하고자 탈모용 샴푸를 병용하게 될 경우에는, 투인원 샴푸의 장점과 탈모용 샴푸의 장점을 모두 상실하게 될 위험성이 상당하다.
더욱이, 두피 또는 모발의 변화는 일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각각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각 종류의 샴푸를 모두 구비하는 것은 환경보호 및 비용의 관점에서도 추천되지 아니한다.
아울러, 샴푸에 단순히 특정 성분만을 추가하는 경우, 샴푸 내의 pH, 전하균형, 기능성분의 조성 등의 변화가 초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변화에 의하여 샴푸의 세정력이 손실되거나, 특정 성분의 기능발휘가 제한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093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28548호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샴푸와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는 샴푸용 복합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샴푸의 세정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샴푸용 복합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샴푸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샴푸용 복합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이하의 구성을 포함하는 발명을 안출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샴푸에 첨가되어 사용되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유상층; 정제수와 양이온성 폴리머가 포함된 수상층; 및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엑티브층을 포함하는, 샴푸용 복합첨가제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코코일타우레이트, 코코암포아세테이트, 코코설페이트, 라우릴설페이트, 미리스틸설페이트, 설페이트, 라우릴베타인 및 라우릴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폴리쿼터늄-44, 폴리쿼터늄-46, 폴리쿼터늄-48,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76 및 폴리쿼터늄-10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쿼터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있어서, 유상층과 수상층의 중량비는 1:1 내지 1:3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있어서, 유상층과 수상층의 중량비는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있어서, 유성층과 양이온성 폴리머의 중량비는 50 대 1 내지 70 대 1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있어서, 유성층과 양이온성 폴리머의 중량비는 60 대 1 내지 64 대 1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있어서, 기능성 성분은 티트리잎추출물, 병풀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연꽃잎추출물, 버지니아풍년화추출물, 위치하겔추출물, 레몬추출물, 녹차추출물, 멘톨, 및 알란토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며, 샴푸에 첨가되어 사용되는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추가로 개시한다. 제1단계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유상층이 가온조건에서 분산되어 제공되는 단계이다. 제2단계는 정제수 및 양이온성 폴리머가 포함된 수상층이 별도로 분산되어 제공되는 단계이다. 제3단계는 기능성 성분이 용해된 액티브층이 제공되는 단계이다. 제4단계는 유상층, 수상층, 및 액티브층이 혼합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상층과 수상층의 중량비는 1:1 내지 1:3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상층과 수상층의 중량비는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성층과 양이온성 폴리머의 중량비는 50 대 1 내지 70 대 1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성층과 양이온성 폴리머의 중량비는 60 대 1 내지 64 대 1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코코일타우레이트, 코코암포아세테이트, 코코설페이트, 라우릴설페이트, 미리스틸설페이트, 설페이트, 라우릴베타인 및 라우릴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폴리쿼터늄-44, 폴리쿼터늄-46, 폴리쿼터늄-48,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76 및 폴리쿼터늄-10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쿼터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온조건은 70
Figure 112019133759912-pat00001
내지 90
Figure 112019133759912-pat00002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능성 성분은 티트리잎추출물, 병풀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연꽃잎추출물, 버지니아풍년화추출물, 위치하겔추출물, 레몬추출물, 녹차추출물, 멘톨, 및 알란토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수단의 채용을 통하여, 본 발명은 거품 발생을 증가시킴으로써, 시판 샴푸의 세정 기능을 추가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시판 샴푸에 추가하여 사용함으로써, 세정 기능 이외에도 시판 샴푸에 부재한 기능을 추가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판 샴푸의 활용도를 개선함으로써, 샴푸의 불필요한 구매에 따른 비용 및 환경오염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때문에 가령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여야만 하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덧붙여,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명확히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지,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를 예비적으로 배제하고자 사용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특정 용어가 과도하게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의 각 기재에 있어서, '샴푸'란 모발용 세정제를 의미한다. 샴푸는 달리 액체샴푸 또는 고체샴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샴푸의 사용자는 샴푸를 사용함으로써, 모발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모발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각 기재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샴푸는 통상의 시판 샴푸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통상의 시판 샴푸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거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거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거나, 양쪽성(Amphoteric)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기재에 있어서, '계면활성제(Surfactant)'란 양친매성 화합물로서 계면에 흡착하여 그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물질 일체를 의미한다. 한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에 포함된 주된 작용기가 음이온의 형태로 이온화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에 포함된 주된 작용기가 양이온의 형태로 이온화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또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계면의 특성에 따라, 주된 작용기가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형태로 모두 이온화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온화에 의하여 하전되지 아니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각 기재에 있어서, '복합첨가제'란 샴푸에 첨가되어 사용되는 혼합제로서, 달리 샴푸용 복합제, 다기능성 첨가제, 부스터(booster)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복합첨가제'는 적어도 둘 이상의 화합물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지칭하며, 단순히 하나의 화합물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각 기재에 있어서, '층'이란 각 성분이 각 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때, 층이 상이하다는 것은 곧 용매가 상이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층은 다른 층과 육안으로 구별될 수 있으나, 반드시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층'은 달리 '성분'과 같이 총괄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가령, '수성층'은 '수성성분'으로, '유성층'은 '유성성분'으로, '액티브층'은 '액티브성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기재에 있어서, '제공'이란 물리적 변화가 완료되어 안정된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각 층은 별도의 플라스크, 비커, 병 등의 수송기에 담겨 제공될 수 있으나, 수송기의 특성이 본 발명의 각 층의 특성 및 제공의 양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물리적 변화란 화합물의 용해, 용출 등을 의미한다. 한편, 화학적 변화란 신규한 결합이 형성되거나 종래의 결합이 해리되는 것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단계에서는 주로 물리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의 각 기재에 있어서, '혼합'이란 본 발명의 각 층의 혼합을 의미한다. 또한, 혼합은 교반기 등의 사용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교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맥락에서, 혼합의 결과가 혼합의 양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반드시 각 층이 육안으로 구별되지 않을 정도까지 혼합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혼합이 이루어진 후에도, 본 발명의 수성층과 유성층 등은 서로 육안으로 구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샴푸에 첨가되어 사용되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유상층; 정제수와 양이온성 폴리머가 포함된 수상층; 및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엑티브층을 포함하는, 샴푸용 복합첨가제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 코코일 타우레이트, 메틸코코일 타우레이트 코코일글리시네이트 코코암 포아세테이트, 코코암포 다이아세테이트, 데실 글루코사이드, 코코일 설페이트, 라우릴 설페이트, 미리스틸 설페이트, 설페이트, 라우릴 베타인, 및 라우릴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이온은 소듐 양이온, 포타슘 양이온, 다이소듐 양이온, 다이포타슘 양이온, 칼슘 양이온 등의 양이온과 짝지어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거품의 유착을 억제함으로써 콜로이드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샴푸용 복합첨가제가 병행하여 사용됨으로써, 시판 샴푸의 거품 성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거품의 성질이 향상된다는 것은, 시판 샴푸의 거품이 밀집된 구조로 변형됨으로써 사용질감과 나아가 세정효과가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샴푸용 복합첨가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소듐 메틸코코일 타우레이트 5 내지 15 중량부, 다이소듐 코코암포 다이아세테이트 5 내지 15 중량부, 라우릴 베타인 5 내지 15 중량부, 및/또는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2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시판 샴푸의 세정 기능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한 관점에서 소듐 메틸코코일 타우레이트 10 중량부, 라우릴 베타인 10 중량부 및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샴푸용 복합첨가제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였을 시에,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총합은 30중량부 내지 32중량부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부를 만족함으로써, 본 발명의 샴푸용 복합첨가제는 시판 샴푸의 거품 생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시판 샴푸에 함유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필요 이상으로 컴플렉스(Complex)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시판 샴푸와의 병행 사용 및 시판 샴푸의 기능강화의 관점에서 상기 중량부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폴리쿼터늄-44, 폴리쿼터늄-46, 폴리쿼터늄-48,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76 및 폴리쿼터늄-10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쿼터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폴리머는 모발을 세정하는 과정에서도 모발에 부착되는 성질이 있으며, 모발에 잔향을 부여하거나, 세정 후의 양질감을 부여하거나, 볼륨감 등을 주어 모발의 세팅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76 및 폴리쿼터늄-10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쿼터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쿼터늄-67을 포함하는 것이 제조단가 및 복합첨가제의 기능발휘 상의 균형을 동시에 도모한다는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 폴리쿼터늄-67을 기준으로 하여 서술하나, 통상의 기술자는 필요에 의해 본 발명을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샴푸용 복합첨가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폴리쿼터늄-67은 0.05 내지 3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쿼터늄-67은 0.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세팅력, 발포력, 윤기감 등의 부여가 제한될 수 있다. 반대로, 폴리쿼터늄-67이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세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오인될 수 있고, 나아가 모발에 실리콘과 같은 유성성분이 축적되는 빌드업 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 상술한 관점의 연장선상에서 폴리쿼터늄-67은 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 사이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있어서, 유상층과 수상층의 중량비는 1:1 내지 1:3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상기 중량비의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유상성분에 의한 세정기능의 강화와 수상성분에 의한 세정 후 양질감의 부여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유상층과 수상층의 중량비는 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비를 충족함으로써, 본 발명의 샴푸용 복합첨가제를 시판 샴푸에 정량 이상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도 세정기능의 강화 및 세중 후 양질감의 부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있어서, 유성층과 양이온성 폴리머의 중량비는 50 대 1 내지 70 대 1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수치범위를 충족함으로써, 본 발명의 샴푸용 계면활성제는 시판 샴푸에 첨가되더라도 빌드업 현상이 억제되며, 동시에 시판 샴푸의 세정기능의 강화가 가능해진다. 가령,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50 미만인 경우, 세정 기능의 약화 및 양이온성 폴리머의 과다로 인하여, 특정 시판 샴푸와 병용 시에 빌드업 현상이 관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70을 초과하는 경우, 특정 시판 샴푸(특히,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주재인 시판 샴푸의 경우)와 병용 시에 거품 발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관점의 연장선상에서, 유성층과 양이온성 폴리머의 중량비는 60 대 1 내지 64 대 1 사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수치범위를 만족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샴푸용 복합첨가제는 시판 샴푸의 특성에 구애 없이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에 있어서, 기능성 성분은 티트리잎추출물, 병풀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연꽃잎추출물, 버지니아풍년화추출물, 위치하겔추출물, 레몬추출물, 녹차추출물, 멘톨, 및 알란토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본 발명의 액티브층에 포함될 수 있는 기능성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상기 열거된 기능성 성분이 이외에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향제, 부패방지제, 소포제, 염료, 향료 등이 기능성 성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며, 샴푸에 첨가되어 사용되는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추가로 개시한다. 제1단계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유상층이 가온조건에서 분산되어 제공되는 단계이다. 제2단계는 정제수 및 양이온성 폴리머가 포함된 수상층이 별도로 분산되어 제공되는 단계이다. 제3단계는 기능성 성분이 용해된 액티브층이 제공되는 단계이다. 제4단계는 유상층, 수상층, 및 액티브층이 혼합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상층과 수상층의 중량비는 1:1 내지 1:3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상기 중량비의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유상성분에 의한 세정기능의 강화와 수상성분에 의한 세정 후 양질감의 부여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유상층과 수상층의 중량비는 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비를 충족함으로써, 본 발명의 샴푸용 복합첨가제를 시판 샴푸에 정량 이상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도 세정기능의 강화 및 세중 후 양질감의 부여가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상층과 수상층의 중량비는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비를 충족함으로써, 본 발명의 샴푸용 복합첨가제를 시판 샴푸에 정량 이상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도 세정기능의 강화 및 세중 후 양질감의 부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성층과 양이온성 폴리머의 중량비는 50 대 1 내지 70 대 1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수치범위를 충족함으로써, 본 발명의 샴푸용 계면활성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샴푸용 계면활성제는 시판 샴푸에 첨가되더라도 빌드업 현상이 제한되며, 동시에 시판 샴푸의 세정기능의 강화가 용이하다. 가령,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50 미만인 경우, 세정 기능의 약화 및 양이온성 폴리머의 과다로 인하여, 특정 시판 샴푸와 병용 시에 빌드업 현상이 관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70을 초과하는 경우, 특정 시판 샴푸(특히,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주재인 시판 샴푸의 경우)와 병용 시에 거품 발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성층과 양이온성 폴리머의 중량비는 60 대 1 내지 64 대 1 사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수치범위를 만족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샴푸용 복합첨가제는 시판 샴푸의 특성에 구애 없이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 코코일 타우레이트, 메틸코코일 타우레이트 코코일글리시네이트 코코암 포아세테이트, 코코암포 다이아세테이트, 데실 글루코사이드, 코코일 설페이트, 라우릴 설페이트, 미리스틸 설페이트, 설페이트, 라우릴 베타인, 및 라우릴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이온은 소듐 양이온, 포타슘 양이온, 다이소듐 양이온, 다이포타슘 양이온, 칼슘 양이온 등의 양이온과 짝지어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샴푸용 복합첨가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소듐 메틸코코일 타우레이트 5 내지 15 중량부, 다이소듐 코코암포 다이아세테이트 5 내지 15 중량부, 라우릴 베타인 5 내지 15 중량부, 및/또는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2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시판 샴푸의 세정 기능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한 관점에서 소듐 메틸코코일 타우레이트 10 중량부, 라우릴 베타인 10 중량부 및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폴리쿼터늄-44, 폴리쿼터늄-46, 폴리쿼터늄-48,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76 및 폴리쿼터늄-10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쿼터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폴리머는 모발을 세정하는 과정에서도 모발에 부착되는 성질이 있으며, 모발에 잔향을 부여하거나, 세정 후의 양질감을 부여하거나, 볼륨감 등을 주어 모발의 세팅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온조건은 70
Figure 112019133759912-pat00003
내지 90
Figure 112019133759912-pat00004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분산과 작업자 친화적인 환경 조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동일한 관점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가온조건은 80
Figure 112019133759912-pat00005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능성 성분은 티트리잎추출물, 병풀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연꽃잎추출물, 버지니아풍년화추출물, 위치하겔추출물, 레몬추출물, 녹차추출물, 멘톨, 및 알란토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본 발명의 액티브층에 포함될 수 있는 기능성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상기 열거된 기능성 성분이 이외에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향제, 부패방지제, 소포제, 염료, 향료 등이 기능성 성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 및 평가}
이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가 청구하는 바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고 실시예 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의 기재사항은 본 발명을 특정 개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일부수치는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더욱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하여 도시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유상성분(하기 'A')를 80
Figure 112019133759912-pat00006
로 가온 및 교반하여 유상층을 준비하였다. 그 후, 폴리쿼터늄-67을 포함하는 수상성분(하기 'B')을 약 5,000 rpm/10 min으로 분산하여 수상층을 준비하였다. 또한, L-멘톨 등을 용해하여 액티브층(하기 'C')을 준비하였다. 각각 준비된 유상층, 수상층, 및 액티브층을 하나의 용기에 혼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얻었다. 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구체적인 성분은 하기의 표 1과 같다.
성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A 소듐메틸코코일
타우레이트
11 10 11 12 10 15 10 9 10
라우릴베타인 10 10 12 10 11 12 10 7 11
라우릴글루코사이드 5 7 5 5 6 6 5 4 5
살리실산 5 5 5 5 5 4 5 4 5
B 폴리쿼터늄-67 0.5 0.5 0.5 0.5 0.5 0.5 4 0.5 0.03
사이클로덱스트린 미량(0.5 이하) 미량(0.5 이하)
자일리톨 미량(0.5 이하) 미량(0.5 이하)
정제수 To 100**
C 병풀추출물 3 3 3 3 3 3 3 3 3
티트리잎추출물 3 3 3 3 3 3 3 3 3
멘톨 2 2 2 2 2 2 2 2 2
부틸렌글라이콜 1 1 1 1 1 1 1 1 1
1,2-헥산다이올 2 2 2 2 2 2 2 2 2
* 상기 표의 각 성분은 중량부로 표시되어 있다. 각 중량부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정수로 표시되어 있다.
** 정제수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총 중량부가 100이 되도록 적당량 포함되어 있다. 일 예시로서, 일부 실시예에 포함된 정제수의 세부적인 중량부는 59였다.
<시험예>
상기 <표 1>의 조성에 따르는 실시예 및 비교예와 시판 샴푸를 병용하여 시판 샴푸의 기능이 강화되거나, 시판 샴푸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지 시험하였다. 이 때, 병용은 통상적인 시판 샴푸의 일회 사용량에 각 실시예 또는 각 비교예의 샴푸용 복합첨가제 약 2 ml를 첨가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시험예 1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4의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기포발생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세 내지 40세의 여성 120명을 선정하였다. 시판 샴푸로서 ㈜다비코퍼레이션 사의 상품명 '에이올 화산송이 샴푸'가 사용되었다. 상기 시판 샴푸는 화산재(화산송이)가 포함된 기능성 샴푸로서,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 다이소듐코코암포다이아세테이트 등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으나, 거품의 발생량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기포의 발생과 관련하여 관능평가를 진행하여 가장 부정적인 평가는 1점으로 하고, 가장 긍정적인 평가는 5점으로 평가하도록 안내되었다. 배점 이외에도 희망하는 경우, 별도의 코멘트를 남길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각 수치는 반올링 등의 방식을 통하여 일부 근사되었다.
평가항목 대조예*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기포량이 풍부하다 2.8 4.7 4.7 4.1 4.5 4.6 3.5 3.1 3.3 2.7
기포가 조밀하다 2.4 4.5 4.5 4.2 4.4 4.5 3.4 3.3 3.2 2.3
기포의 촉감이 좋다 2.4 4.7 4.7 4.4 4.5 4.5 3.6 3.3 3.4 2.4
* 대조예는 상기 시판 제품만을 사용하였을 때의 평가결과이다.
상기 <표 2>의 시험결과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5를 시판 제품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반적으로 거품의 양과 질이 개선된다는 인상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거품의 쫀쫀함이 개선되어 양질감을 느낄 수 있다는 코멘트가 다수 취합되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4를 시판 샴푸와 병용하였을 시에는, 대조예와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거나, 미미한 차이만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시험예 2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4의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향 부여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평가자 20명을 선정하였다. 평가자는 30세 내지 40세 사이의 성인으로, 장발인 여성 20인으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4의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세부 조성은 상기 <표 1>에 따르나, 향 평가를 위하여 별도로 시트러스 향료를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 당 1.0 중량부(각 샴푸용 복합첨가제 100 중량부 기준) 첨가하였다. 한편, 시판 샴푸로서 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진 메디션 사의 상품명 'SEBORRHEA'를 사용하였다.
이하, 향 부여와 관련하여 관능평가를 진행하여, 각 시점에 시트러스 향이 느껴지지 않는 경우 1점으로 하고, 향이 느껴지는 경우 5점으로 평가하도록 안내되었다. . 배점 이외에도 희망하는 경우, 별도의 코멘트를 남길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3>와 같다. 각 수치는 반올링 등의 방식을 통하여 일부 근사되었다.
평가항목 대조예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세정 직후 1.5 4.8 4.7 4.8 4.8 4.6 4.7 4.9 4.8 4.3
3시간이 경과한 후 1.4 4.8 4.6 4.6 4.7 4.7 4.5 4.7 4.7 4.2
6시간이 경과한 후 1.1 4.4 4.4 4.3 4.3 4.2 4.1 4.5 4.3 3.5
12시간이 경과한 후 1.1 3.9 4.0 3.8 3.9 3.9 3.8 4.2 3.9 2.8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샴푸용 복합첨가제를 시판 샴푸와 병용하였을 경우에, 전반적으로 시판 샴푸에 부재하였던 시트러스 향이 새로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특징적으로, 비교예 4의 경우, 다른 예에 비하여 향의 부여가 미약하게 이루어지며, 향의 휘발이 더욱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와 관련하여, 일부 평가자들(총 7 례)이 세정 이후의 머리카락 뭉침, 뻑뻑함, 잔존감 등을 호소하였다.

Claims (10)

  1. 샴푸에 첨가되어 사용되며,
    소듐메틸코코일타우레이트 10 내지 12 중량부, 라우릴 베타인 10 내지 12 중량부 및 라우릴글루코사이드 5 내지 7 중량부로 구성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살리실산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상층;
    정제수, 폴리쿼터늄-67 0.5 중량부, 사이클로덱스트린 0.01 내지 0.5 중량부 및 자일리톨 0.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상층; 및
    티트리잎추출물 3 중량부, 병풀추출물 3 중량부, 멘톨 2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능성 성분, 및 부틸렌글라이콜 1 중량부 및 1,2-헥산다이올 2 중량부가 포함된 액티브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상층과 상기 수상층의 중량비는 1:2이며,
    상기 유상층과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인 폴리쿼터늄-67의 중량비는 60 대 1 내지 64 대 1 사이인 것인, 샴푸용 복합첨가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며, 샴푸에 첨가되어 사용되는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
    소듐메틸코코일타우레이트 10 내지 12 중량부, 라우릴 베타인 10 내지 12 중량부 및 라우릴글루코사이드 5 내지 7 중량부로 구성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유상층이 70℃ 내지 90℃ 사이의 가온조건에서 분산되어 제공되는 제1단계;
    정제수 및 폴리쿼터늄-67 0.5 중량부, 사이클로덱스트린 0.01 내지 0.5 중량부 및 자일리톨 0.01 내지 0.5 중량부가 포함된 수상층이 별도로 분산되어 제공되는 제2단계;
    티트리잎추출물 3 중량부, 병풀추출물 3 중량부, 멘톨 2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능성 성분 및 부틸렌글라이콜 1 중량부 및 1,2-헥산다이올 2 중량부가 포함된 액티브층이 제공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유상층, 상기 수상층, 및 상기 액티브층을 혼합하여 상기 유상층과 상기 수상층의 중량비는 1:2가 되고, 상기 유상층과 양이온성 폴리머인 폴리쿼터늄-67의 중량비는 60 대 1 내지 64 대 1 사이가 되도록 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샴푸용 복합첨가제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190174441A 2019-12-24 2019-12-24 샴푸용 복합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87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441A KR102087433B1 (ko) 2019-12-24 2019-12-24 샴푸용 복합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441A KR102087433B1 (ko) 2019-12-24 2019-12-24 샴푸용 복합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433B1 true KR102087433B1 (ko) 2020-04-24

Family

ID=7046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441A KR102087433B1 (ko) 2019-12-24 2019-12-24 샴푸용 복합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4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548B1 (ko) 2018-07-12 2018-12-12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탈모완화용 샴푸
KR20190050932A (ko) 2017-09-29 2019-05-14 오팔 코스메틱스(후이저우) 리미티드 헤어 케어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932A (ko) 2017-09-29 2019-05-14 오팔 코스메틱스(후이저우) 리미티드 헤어 케어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28548B1 (ko) 2018-07-12 2018-12-12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탈모완화용 샴푸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제목 "메이크프렘 세이프미 릴리프 클렌징폼의 성분분석", 공개일 2018.06.14. *
네이버 블로그 제목 "이니스프리 블루베리 클렌저 전성분 분석", 공개일 2017.12.21. *
네이버 블로그 제목 "지성샴푸추천! 닥터시드 솔루션 부스터 스칼프클리닝", 공개일 2019.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5599B1 (en) Cleansing composition with decyl and coco glucosides
EP0053222A1 (en) Transparent soap
EP2398445B1 (en)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ream of tartar
CA2364099A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US6362145B1 (en) Clear soap bar comprising metal catalyst sodium cocoyl isethionate
KR102087433B1 (ko) 샴푸용 복합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EP0560322B1 (en) Detergent composition
RU2193051C2 (ru) Состав куска мыла
DE112004000731T5 (de) Reinigungszusammensetzung
CN112618385B (zh) 凝胶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9980087633A (ko) 은비누 제조방법
JP2004284964A (ja) 固形洗浄剤
JP2013139411A (ja) 透明二層式クレンジング化粧料
GB2455404A (en) Mild cleansing composition
AU2004291625A1 (en) Improved low pH detergent composition
JP2010138083A (ja) シャンプー
JP3405475B2 (ja) パール状液体洗浄剤組成物
CN106279373B (zh) 一种多肽起泡剂、其制备方法及应用
KR102485426B1 (ko) 코코넛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EP2850168B2 (en) Multiphase surfactant fragrance composition
CN106279366B (zh) 一种多肽、其制备方法及应用
KR102633908B1 (ko) 세정제 조성물
JP6177634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H03281700A (ja) 低刺激性洗浄剤組成物
KR101836384B1 (ko) 피부 또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