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136B1 - 생체수 모사 유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체수 모사 유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136B1
KR102087136B1 KR1020130090619A KR20130090619A KR102087136B1 KR 102087136 B1 KR102087136 B1 KR 102087136B1 KR 1020130090619 A KR1020130090619 A KR 1020130090619A KR 20130090619 A KR20130090619 A KR 20130090619A KR 102087136 B1 KR102087136 B1 KR 102087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weight
cosmetic composition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090A (ko
Inventor
박승한
최소웅
조성아
채병근
강병영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09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136B1/ko
Priority to PCT/KR2014/007053 priority patent/WO2015016637A1/ko
Priority to CN201480043614.6A priority patent/CN105451707A/zh
Priority to CN201910689970.XA priority patent/CN110279607A/zh
Publication of KR2015001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수 모사 유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네랄, 단당류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여 생체수를 모사한 유체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수분량, 피부톤 균일도, 피부결 및 피부 투명도를 개선시키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체수 모사 유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bio water mimic fluid}
본 발명은 생체수 모사 유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네랄, 단당류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여 생체수를 모사한 유체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수분량, 피부톤 균일도, 피부결 및 피부 투명도를 개선시키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수분은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체 성분으로 체중의 약 50~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 몸의 모든 세포와 체액에 분포되어 있다. 사람은 체내 지방과 단백질의 절반을 잃고도 생명을 유지할 수 있지만, 체수분은 10%만 잃어도 건강이 위협받고 그 이상일 경우 사망할 수 있을 정도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성분이다.
이러한 체수분은 영양소와 노폐물을 운반하고, 체온의 급격한 상승 및 하강을 막아 체온을 유지시켜주며, 체조직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조직과 관절을 부드럽게 하고 중요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혈액의 주성분이 되어 인체 내 물질의 이동 통로가 되고, 기타 여러 가지 화학반응에 매개체가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체조직의 항상성을 유지하며, 체내 물질의 이동통로가 되어 여러 가지 화학반응에 매개체가 되는 생체수를 모사한 유체가 피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는 연구 또는 보고된 바가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15597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수 모사 유체가 피부 상태 개선에 있어서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네랄, 단당류, 펩타이드 등을 포함하여 제조한 생체수 모사 유체를 함유함으로써 피부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네랄, 단당류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생체수 모사 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생체수를 모사하여 제조한 유체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수분량, 피부톤, 균일도, 피부결 그리고 투명도 향상 등의 다양한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체수 모발 유체에 포함된 미네랄, 단당류, 펩타이드 등의 성분이 함께 사용됨으로써 상승 효과를 일으켜 현저하게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생체수 모사 유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체수 모사 유체는 체내에 분포되어 있는 체수분을 모사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체수 모사 유체는 미네랄, 단당류 및 펩타이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생체수 모사 유체에 사용되는 미네랄은 세포내액을 구성하는 핵심 성분으로, 세포간 수분의 이동 및 세포내 화학반응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서는,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인산나트륨 및 인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종 이상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미네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중량% 이상 0.1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중량%의 함량으로 적용된다. 0.00001중량% 미만의 양은 이온 평형을 이루지 못하며, 0.1중량% 초과의 양은 피부와의 평형을 오히려 무너지게 만들어 피부에 좋지 않은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생체수 모사 유체에 사용되는 단당류는 세포가 활성화할 수 있는 에너지를 제공하며, 글루코스, 자일로스, 만노오스, 푸코오스, 프럭토오스, 갈락토오스 및 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된다. 단당류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이상 1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중량%의 함량으로 적용된다. 0.001중량% 미만의 양은 충분한 활성화 에너지를 공급하지 못하며,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량의 당류로 인하여 사용감이 좋지 않으며, 끈적이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생체수 모사 유체에 사용되는 펩타이드는 2개 내지 19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타이드, 예를 들어 구리트리펩타이드, 디펩타이드, 테트라펩타이드, 펜타펩타이드, 헥사펩타이드, 옥타펩타이드, 헵타 펩타이드, 올리고펩타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분자량이 커지고 그와 함께 생산 가격도 상승하며, 세포 투과성이 저하되므로, 길이가 짧은 펩타이드가 유용하다.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으로는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히스티딘, 리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트립토판 및 티로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는 펩타이드가 여러 가지 개발되었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예가 구리 트리펩타이드(GHK-Cu),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상품명 Matrixyl), 아세틸 헥사펩타이드(상품명 Argireline) 등이다. 이 중에서 특히 구리 펩타이드는 글리신-히스티딘-리신에 구리가 킬레이트된 형태로 인체 내에 존재하는 물질이며, 피부 세포의 성장인자로 작용한다. 펩타이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01중량% 이상 0.1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015중량% 이상 0.01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적용된다. 0.000001중량% 미만의 함량은 펩타이드에 의한 효과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0.1중량% 초과의 함량은 효과에 대비하여 단가가 올라가게 되므로, 가격적인 단점이 발생하며, 조성물 내에 함유되는 다른 물질과의 결합으로 인하여 안정도가 나빠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수 모사 유체에는 지질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레시친(lecithin)을 사용할 수 있다. 레시친은 지질막을 피부에 형성하게 되는데, 인체 생체막과 유사하게 분자 내에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가지고 있어, 피부에 적용시 부작용을 없애고 최적의 보습력과 피부 장벽 회복능 및 보습력 유지에 필요한 차폐효과(occlusive effect)를 제공할 수 있다. 레시틴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중량% 이상 0.1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된다. 0.005중량% 미만이면 끈적임, 흡수감 및 보습감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0.1중량%를 초과하면 액정화 원료 내에서의 안정도가 저하되고,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가용화 제형으로 적용할 경우 분산 안정도 또한 나빠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체수 모사 유체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이상 99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99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0.00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효능이 충분히 나타날 수 없고, 99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pH가 낮아 피부 자극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부족한 에너지를 보충해주고 안과 밖의 수분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피부를 활기있게 해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생체수 모사 유체에 포함되는 성분의 병용에 의한 상승 작용에 의하여 보다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효과로 인하여,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수분량, 피부톤, 균일도, 피부결 그리고 투명도를 향상시켜 피부 보습용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시험예 및 제형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 및 제형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생체수 모사 추출물(실시예 1)의 제조
정제수 93.35g에 미네랄 성분으로 염화칼슘 0.0093mg, 염화마그네슘 0.0093mg, 염화나트륨 0.7435mg, 인산나트륨 0.2007mg, 염화칼륨 0.0186mg 및 인산칼륨 0.0186mg, 단당류로 글루코스 10mg, 자일로스 10mg, 만노오스 1mg 및 푸코오스 0.1mg, 구리펩타이드(제조사: Neurogenex, 상품명:PEP 102 100mg(구리 펩타이드 0.15mg에 상당함)) 그리고 지질 성분인 레시틴을 0.4mg 넣고 30~40℃에서 용해하였다.
완전히 용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제조단계에서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2] 생체수 모사 추출물(실시예 2)의 제조
구리펩타이드 대신 디펩타이드(제조사 : Croda Inc.)를 동량으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예 2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3] 생체수 모사 추출물(실시예 3)의 제조
구리펩타이드 대신 테트라펩타이드(제조사 : Orient Stars LLC)를 동량으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예 3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4] 생체수 모사 추출물(실시예 4)의 제조
구리펩타이드 대신 펜타펩타이드(제조사 : DSM Nutritional Products Ltd.)를 동량으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예 4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5] 생체수 모사 추출물(실시예 5)의 제조
구리펩타이드 대신 헥사펩타이드(제조사 : Institut Europeen De Biologie Cellulaire)를 동량으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예 5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6] 생체수 모사 추출물(실시예 6)의 제조
구리펩타이드 대신 옥타펩타이드(제조사 : Caregen Co., Ltd.)를 동량으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예 6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7] 생체수 모사 추출물(실시예 7)의 제조
구리펩타이드 대신 올리고펩타이드(제조사 : Vevy Europe SpA)를 동량으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예 7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8] 생체수 모사 추출물(실시예 8)의 제조
미네랄로서 염화마그네슘 10mg 1종, 단당류로서 프럭토오스 20mg 1종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예 8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9] 생체수 모사 추출물(실시예 9)의 제조
미네랄로서 염화나트륨 10mg 1종, 단당류로서 갈락토오스 20mg 1종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예 9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10] 생체수 모사 추출물(실시예 10)의 제조
미네랄로서 염화칼륨 10mg 1종, 단당류로서 락토오스 20mg 1종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예 10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11] 생체수 모사 추출물(실시예 11)의 제조
레시틴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예 11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12] 생체수 모사 추출물(비교예 1)의 제조
정제수만을 이용하여 비교예 1을 만들었다.
[참고예 13] 생체수 모사 추출물(비교예 2)의 제조
정제수 93.357g에 푸코오스 0.1mg 그리고 구리펩타이드(제조사: Neurogenex, 상품명:PEP 102 100mg(구리 펩타이드 0.15mg에 상당함))를 넣고 30~40℃에서 용해하였다.
완전히 용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제조단계에서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비교예 2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14] 생체수 모사 추출물(비교예 3)의 제조
푸코오스 대신 글루코스를 10mg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비교예 3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15] 생체수 모사 추출물(비교예 4)의 제조
푸코오스 대신 자일로스를 10mg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비교예 4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16] 생체수 모사 추출물(비교예 5)의 제조
푸코오스 대신 만노오스를 1mg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비교예 5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17] 생체수 모사 추출물(비교예 6)의 제조
푸코오스 대신 프럭토오스를 0.1mg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비교예 6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18] 생체수 모사 추출물(비교예 7)의 제조
푸코오스 대신 갈락토오스를 0.1mg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비교예 7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19] 생체수 모사 추출물(비교예 8)의 제조
푸코오스 대신 락토오스를 0.1mg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고예 1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비교예 8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20] 생체수 모사 추출물(비교예 9)의 제조
정제수 93.357g에 염화칼슘 0.01mg, 그리고 구리펩타이드(제조사: Neurogenex, 상품명:PEP 102 100mg(구리 펩타이드 0.15mg에 상당함))를 넣고 30~40℃에서 용해하였다.
완전히 용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제조단계에서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비교예 9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3]
상기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9를 이용하여 하기 표 1~4의 조성에 따라 제형예 1~13 및 비교제형예 1~10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원료명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제형예
5
제형예
6
수상
성분
1 실시예 1 90.658 45.329 22.6645 - - -
실시예 2 - - - 90.658 - -
실시예 3 - - - - 90.658 -
실시예 4 - - - - - 90.658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3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4 글리세린 1.0 5.0 5.0 5.0 5.0 5.0
5 히알루론산 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6 시트릭에씨드 0.1 0.1 0.1 0.1 0.1 0.1
에탄올상
성분
7 에탄올 3.0 3.0 3.0 3.0 3.0 3.0
8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3 0.3 0.3 0.3 0.3 0.3
9 0.1 0.1 0.1 0.1 0.1 0.1
10 방부제 0.3 0.3 0.3 0.3 0.3 0.3
원료명 제형예
7
제형예
8
제형예
9
제형예
10
제형예
11
제형예
12
수상
성분
1 실시예 5 90.658 - - - - -
실시예 6 - 90.658 - - - -
실시예 7 - - 90.658 - - -
실시예 8 - - - 90.658 - -
실시예 9 - - - - 90.658 -
실시예 10 - - - - - 90.658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3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4 글리세린 1.0 5.0 5.0 5.0 5.0 5.0
5 히알루론산 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6 시트릭에씨드 0.1 0.1 0.1 0.1 0.1 0.1
에탄올상
성분
7 에탄올 3.0 3.0 3.0 3.0 3.0 3.0
8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3 0.3 0.3 0.3 0.3 0.3
9 0.1 0.1 0.1 0.1 0.1 0.1
10 방부제 0.3 0.3 0.3 0.3 0.3 0.3
원료명 제형예
13
비교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2
비교
제형예
3
비교
제형예
4
비교
제형예
5
수상
성분
1 실시예 11 90.658 - - - - -
비교예 1 - 90.658 - - - -
비교예 2 - - 90.658 45.329 - -
비교예 3 - - - - 90.658 -
비교예 4 - - - - - 90.658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3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4 글리세린 1.0 5.0 5.0 5.0 5.0 5.0
5 히알루론산 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6 시트릭에씨드 0.1 0.1 0.1 0.1 0.1 0.1
에탄올상
성분
7 에탄올 3.0 3.0 3.0 3.0 3.0 3.0
8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3 0.3 0.3 0.3 0.3 0.3
9 0.1 0.1 0.1 0.1 0.1 0.1
10 방부제 0.3 0.3 0.3 0.3 0.3 0.3
원료명 비교
제형예
6
비교
제형예
7
비교
제형예
8
비교
제형예
9
비교
제형예
10
수상
성분
1 비교예 5 90.658 - - - -
비교예 6 - 90.658 - - -
비교예 7 - - 90.658 - -
비교예 8 - - - 90.658 -
비교예 9 - - - - 90.658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3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4 글리세린 1.0 5.0 5.0 5.0 5.0
5 히알루론산 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6 시트릭에씨드 0.1 0.1 0.1 0.1 0.1
에탄올상
성분
7 에탄올 3.0 3.0 3.0 3.0 3.0
8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3 0.3 0.3 0.3 0.3
9 0.1 0.1 0.1 0.1 0.1
10 방부제 0.3 0.3 0.3 0.3 0.3
<제조방법>
(1) 수상성분들(1~6)을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에탄올상 성분들(7~10)을 50~55℃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3) 교반하에 상기 (2)에 상기 (1)을 투입하여 균일하게 가용화하였다.
[시험예 1] 피부 수분량 개선 효과
상기 제형예 1~13 및 비교제형예 1~10을 이용하여, 10명의 여성의 전박에 동전크기로 23가지 조성물을 모두 도포하고 1시간이 경과한 후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여, 피부 수분량의 증가 정도를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는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 수분량 증가 정도(%)
제형예 1 33%
제형예 2 14%
제형예 3 10%
제형예 4 13%
제형예 5 14%
제형예 6 12%
제형예 7 13%
제형예 8 13%
제형예 9 12%
제형예 10 15%
제형예 11 15%
제형예 12 14%
제형예 13 15%
비교제형예 1 5%
비교제형예 2 6%
비교제형예 3 6%
비교제형예 4 4%
비교제형예 5 5%
비교제형예 6 4%
비교제형예 7 3%
비교제형예 8 3%
비교제형예 9 4%
비교제형예 10 3%
상기 표 5를 보면, 제형예 1~13의 경우 비교제형예 1~10과 비교하여 생체수 모사 유체의 함량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우수한 피부 수분량 증가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형예 1~13의 경우 동일한 조성의 생체수 모사 유체를 사용하지만 조성물 내 함량에 차이를 준 것인데, 제형예 1의 경우 제형예 2와 비교하여 함량은 2배가 많지만, 피부 수분량 증가 정도에 있어서는 2배 이상으로 현저하게 높은 효과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생체수 모사 유체에 있어서, 미네랄 성분의 조합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며, 다음으로 단당류의 함유도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피부 상태 개선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시 피부 수분량 개선, 투명도 향상, 피부톤 개선, 균일도 향상 및 피부결 개선 효과를 보다 명확히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1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심화 시험하였다. 성인 여성 21명(30.62±3.77세)을 대상으로 도포 전, 도포 20분 후, 1일 후, 일주일 후에 5가지 피부 상태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수분 투명도
수분량(A.U) 개선율(%) p-value 투명도(50°) 개선율(%) p-value
도포 전 51.27±4.24 - - 662.76±58.03 - -
도포 20분 후 72.11±5.49 40.65 0.000 662.48±64.27 0.04 0.979
다음날 아침 51.6±4.66 0.65 0.416 674.95±65.76 1.84 0.439
1주 후 54.59±5.23 6.47 0.000 717.14±58.87 8.21 0.000
피부톤 피부톤 균일도
밝기
(Intensity mean)
개선율(%) p-value 균일도
(Intensity STD)
개선율(%) p-value
도포 전 162.75±8.46 - - 8.18±2.20 - -
도포 20분 후 163.68±7.80 0.57 0.032 7.74±1.95 -5.37 0.011
다음날 아침 164.27±8.11 0.94 0.028 7.69±2.16 -6.06 0.011
1주 후 164.02±8.06 0.78 0.002 7.23±1.53 -11.70 0.006
* 수분량: 도포 전 대비, 도포 20분 후, 1주 후 유의한 개선
* 투명도: 도포 전 대비, 1주일 후 유의한 개선
* 피부톤: 피부 밝기 도포 전 대비, 도포 20분 후, 다음날 아침, 1주 후 모두 유의한 개선
* 균일도: 도포 전 대비, 도포 20분 후, 다음날 아침, 1주후 모두 유의한 개선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제형예 1을 사용한 경우 도포 전과 대비하여, 도포 20분 후 수분량 개선율이 40.65%이었으며, 투명도는 사용 1주일 후에 8.21%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피부톤도 도포 전 대비 20분 후 0.57% 개선되었으며, 피부톤도 사용 이후 꾸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피부결
Ra(μm) 개선율(%) p-value Rmax(μm) 개선율(%) p-value
도포 전 14.70±2.14 - - 98.70±14.80 - -
도포 20분 후 15.15±2.73 3.05 0.291 103.40±19.56 4.75 0.089
다음날 아침 14.93±2.40 1.55 0.413 99.00±17.15 0.29 0.853
1주 후 14.22±2.39 -3.27 0.075 93.74±15.86 -6.03 0.005
피부결
Rz(μm) 개선율(%) p-value Rp(μm) 개선율(%) p-value
도포 전 74.87±10.58 - - 45.81±5.26 - -
도포 20분 후 77.75±13.63 3.85 0.176 48.23±8.47 5.27 0.121
다음날 아침 75.79±10.90 1.23 0.420 46.59±6.44 1.69 0.358
1주 후 72.03±11.68 -3.79 0.021 44.09±6.35 -3.76 0.046
* 피부결: 도포 전 대비, 1주 후 유의한 개선 확인
또한, 상기 표 7의 결과를 보면 피부결은 도포 20분 후부터 다음날, 1주 후 까지 꾸준히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유의한 차이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의 진행과 동시에 참가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기 표 8에 나타낸 항목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피부 수분량 개선, 투명도 향상, 피부톤 개선, 균일도 향상 및 피부결 개선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항목 사용 직후 다음 날 아침 1주 후
피부가 촉촉해진 느낌이다 95.24 85.70 95.24
피부가 산뜻하게 수분감있는 느낌이다 90.48 80.95 90.48
피부가 깨끗해진 느낌이다 66.67 66.67 71.43
피부톤이 고르게 정돈된 것 같다 71.43 76.19 85.71
피부가 매끄러워지는 것 같다 90.48 76.19 80.95
피부결이 개선되는 것 같다 76.19 61.90 85.71
피부가 투명해진 것 같다 61.90 52.38 61.90
본래 윤기가 살아나는 것 같다 74.43 57.14 71.43
생기와 활력이 생기는 것 같다 80.95 66.67 80.95
90.48자극/트러블 없이 내 피부에 잘 맞는 것 같다 95.24 80.95
전반적으로 피부가 좋아 보인다 80.95 71.43 90.48
다른 제품이 더 잘 흡수되는 것 같다 47.62 38.10 66.67
맨 얼굴이 더 좋아진 것 같다 57.14 66.67 71.43
피부 컨디션이 회복되는 것 같다 - - 71.43
피부 피로가 회복되는 것 같다 - - 66.67
다음날 화장이 더 잘 받는 것 같다 - - 85.71
(8점 척도, “동의함”(5~8점에 해당함) 답변 %)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 데이터 값과 유사하게 피부 촉촉함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수분감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은 수치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목표로 했던 생체수 모사 유체의 피부 수분량 증가, 톤 개선, 균일도 향상, 투명도 개선 그리고 피부결 개선에 대한 효능을 확인시켜주는 결과로 생각된다.

Claims (18)

  1. 미네랄, 단당류 및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펩타이드는 구리트리펩타이드, 디펩타이드, 테트라펩타이드, 펜타펩타이드, 헥사펩타이드, 옥타펩타이드, 헵타펩타이드, 및 올리고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지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생체수 모사 유체를 구성하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중량% 이상 0.1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되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당류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이상 1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되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01중량% 이상 0.1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되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중량% 이상 0.1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되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수 모사 유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이상 99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되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인산나트륨 및 인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당류는 글루코스, 자일로스, 만노오스, 푸코오스, 프럭토오스, 갈락토오스 및 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레시틴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투명도 개선용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톤 개선용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결 개선용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90619A 2013-07-31 2013-07-31 생체수 모사 유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87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619A KR102087136B1 (ko) 2013-07-31 2013-07-31 생체수 모사 유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CT/KR2014/007053 WO2015016637A1 (ko) 2013-07-31 2014-07-31 생체수 모사 유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201480043614.6A CN105451707A (zh) 2013-07-31 2014-07-31 含有生物液体仿流体的皮肤外用剂组合物
CN201910689970.XA CN110279607A (zh) 2013-07-31 2014-07-31 含有生物液体仿流体的皮肤外用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619A KR102087136B1 (ko) 2013-07-31 2013-07-31 생체수 모사 유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090A KR20150015090A (ko) 2015-02-10
KR102087136B1 true KR102087136B1 (ko) 2020-03-10

Family

ID=5243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619A KR102087136B1 (ko) 2013-07-31 2013-07-31 생체수 모사 유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87136B1 (ko)
CN (2) CN110279607A (ko)
WO (1) WO201501663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672B1 (ko) * 2009-12-31 2010-08-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생체 모방 영양 복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5268A1 (en) * 2001-08-18 2004-12-30 Deepak Jai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kin rejuvenation and repair
DE10325158A1 (de) 2003-05-28 2004-12-23 Coty B.V. Kosmetikum für die Remineralisierung und Anti-Alterungsbehandlung der Haut
KR100814196B1 (ko) * 2004-03-25 2008-03-17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시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KR20110060800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모레퍼시픽 세포 외 기질을 모사한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US8895515B2 (en) * 2009-11-30 2014-11-25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ell regeneration mimicking extracellular matrix
KR20110072996A (ko) * 2009-12-23 2011-06-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프로리포좀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859499B1 (ko) * 2010-11-30 2018-05-21 (주)아모레퍼시픽 세포외기질을 모사한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증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672B1 (ko) * 2009-12-31 2010-08-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생체 모방 영양 복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6637A1 (ko) 2015-02-05
CN105451707A (zh) 2016-03-30
KR20150015090A (ko) 2015-02-10
CN110279607A (zh)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8983B1 (en) Peptide, composition comprising said peptide and uses thereof, in particular cosmetic uses
KR101656533B1 (ko) 금속단백분해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
EP3432991B1 (en) Cosmetic use of an ingredient derived from marrubium vulgare
KR102578792B1 (ko) 셀러리 추출물에 기초하는 피부 및 두피의 국소적 미용 처치 및 해당하는 유효 성분
BR112014007158B1 (pt) Composição para o tratamento de glicação de proteínas da pele, e, uso da composição
CN103687586A (zh) 化妆品
KR20010070965A (ko) 피부 및 조직 케어 및/또는 치료 제제
KR102101920B1 (ko) 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펩타이드 및 기능성 소재를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128730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21513520A (ja) 化粧品における環状ペプチドの使用
KR101841088B1 (ko) 주름개선 효능을 갖는 굴 가수분해 분획물의 생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S2932550T3 (es) Composiciones estimulantes de células madre y métodos para tratar el melasma
KR20140101570A (ko) 여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여뀌 추출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JP2021520371A (ja) 表皮の処置を目的とするペプチドの使用
JP6883723B2 (ja) リポソーム、リポソーム液及び化粧料、並びに上記リポソームを製造する方法
US20230270635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smetic applications
JPH04338311A (ja) 保湿剤
KR102087136B1 (ko) 생체수 모사 유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81606B1 (ko)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9838A (ko) 항염 화장료 조성물
KR20220084125A (ko) 친유성 펩타이드를 가지는 스킨 케어 제제
JP2022550991A (ja) 皮膚及びその付属器の、ペプチドに基づいた化粧品又は皮膚科学的な処置
WO2020165365A1 (en) Active ingredient for homogenizing complexion, in particular skins with an olive carnation
KR100614816B1 (ko) 안정한 나노 캡슐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KR20150008825A (ko) 아이소쿼사이트린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아이소쿼사이트린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