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969B1 -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969B1
KR102086969B1 KR1020190119758A KR20190119758A KR102086969B1 KR 102086969 B1 KR102086969 B1 KR 102086969B1 KR 1020190119758 A KR1020190119758 A KR 1020190119758A KR 20190119758 A KR20190119758 A KR 20190119758A KR 102086969 B1 KR102086969 B1 KR 102086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robot arm
disposed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보경
이경수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9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9End effectors other tha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B25J19/061Safety devices with audible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05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comprising adjusting means
    • B25J9/101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comprising adjusting means using limit-switches,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6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2045/0615Electric alarm locks triggered by movement of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72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보안 및 안전을 제공할 수 있는 작업용 로봇을 구비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수배전반 패널의 도어에 배치된 도어 잠금장치;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내부에 배치된 작업용 로봇; 패널 제어부; 및 상기 패널 제어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개폐장치는 메인 서버에 전송된 레드 태그 정보를 근거로 활성화되며; 그리고,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Description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Robot Fusion Type Switchgear for Working on Electric Panel}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향상된 보안 및 안전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에 대한 것이다.
발전소(예를 들어, 화력 발전소)는 복수의 수배전반 패널들을 포함한 수배전반을 갖추고 있다.
종래의 수배전반 패널들의 도어는 별도의 잠금장치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특정 권한을 갖는 작업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에 의해, 특정 지시 없이, 수배전반 패널의 도어가 열릴 수 있어, 종래의 수배전반 시스템은 보안상 취약한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게다가, 수배전반 패널의 도어가 열린 경우, 그 내부의 고압선이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
한편, 종래의 박스형 도어락은 특허출원 번호 제10-2018-0048259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향상된 보안 및 안전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은, 수배전반 패널의 도어에 배치된 도어 잠금장치;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내부에 배치된 작업용 로봇;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내부에 배치된 광감지부; 상기 광감지부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광의 출사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광원; 패널 제어부; 및 상기 패널 제어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개폐장치는 메인 서버에 전송된 레드 태그 정보를 근거로 활성화되며; 그리고,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도어 개폐장치는, 하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1 램프, 제 2 램프 및 제 3 램프; 상기 하부 커버에 힌지 결합된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에,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온 버튼, 오프 버튼, 버저 스톱 버튼, 리셋 버튼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솔레노이드 구동부; 솔레노이드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회전 여부가 결정되는 핸들; 비상키가 삽입되는 비상키 삽입홀; 및 상기 핸들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보조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상부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폐장치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 1 램프가 점멸되며; 그리고,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상부 커버가 열릴 때, 상기 제 2 램프가 점멸되며;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온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솔레노이드 구동부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도어 잠금장치가 활성화되며; 상기 활성화된 도어 잠금장치의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부에 의해 상기 활성화된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핸들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오프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솔레노이드 구동부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도어 잠금장치가 비활성화되며; 상기 초기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상부 커버가 닫힐 때, 상기 제 3 램프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점멸 후 소등되고, 그리고 상기 제 3 램프가 소등된 후 상기 제 1 램프가 점등되며; 상기 도어 개폐장치 및 상기 도어 잠금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램프가 점멸되며; 그리고 상기 도어 개폐장치가 활성화될 때,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상부 커버가 불투명 상태에서 투명 상태로 변화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은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잠금장치가 활성화될 때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이 점멸되며; 그리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린 후 다시 닫힌 상태에서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리셋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솔레노이드 구동부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도어 잠금장치가 비활성화됨과 아울러 상기 도어 개폐장치가 초기화된다.
상기 패널 제어부에 배치된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음향 출력부가 경고음을 출력한다.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의 경고음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 후 해제된다.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버저 스톱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의 경고음이 해제된다.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후면 도어에 배치된 후면 도어 잠금장치; 및 상기 패널 제어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면 도어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후면 도어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도어 개폐장치가 활성화될 때,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후면 도어 개폐장치가 함께 활성화된다.
상기 작업용 로봇은,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이송 축; 상기 이송 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이송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을 포함하며; 상기 로봇암은, 상기 이송 플레이트 상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단자부를 포하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연장부의 일측 단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하부 접촉판 및 상부 접촉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부 접촉판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상부 접촉판의 일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하부 접촉판의 타측 단부 및 상기 상부 접촉판의 타측 단부는 서로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가이드 홀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홀의 전면 개구부에 배치된 감지부; 및 상기 가이드 홀의 전면 개구부와 후면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홀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투명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은, 상기 연장부 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의 감지부에 대응되게 배치된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봇암이 이동 중일 때 광을 출사하는 제 2 광원; 및 상기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미리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상기 로봇암의 단자부와 작업 대상이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해당하는 크기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로봇암이 자동으로 이동을 멈춘다.
상기 로봇암이 작업 대상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상기 음향 출력부는 음향을 출력하여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로봇암이 작업 대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음향의 출력을 해제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은 상기 이송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제 1 로봇암 및 제 2 로봇암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로봇암을 마주보게 배치된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로봇암을 마주보게 배치된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로봇암의 연장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로봇암의 돌출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2 로봇암의 연장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로봇암의 돌출부까지의 거리와 다르다.
상기 제 1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광을 출사하는 제 2 광원; 및 상기 제 2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미리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미리 설정된 제 1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 2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상기 제 1 음향과 다른 제 2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상기 제 1 가이부의 가이드 홀 내에 제 1 로봇암의 단자부와 제 1 작업 대상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해당하는 크기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 내에 상기 제 2 로봇암의 단자부와 제 2 작업 대상이 상기 임계값에 해당하는 크기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제 1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 내에서 상기 제 1 로봇암의 단자부와 제 1 작업 대상이 접촉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 내에서 상기 제 2 로봇암의 단자부와 제 2 작업 대상이 접촉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한 시점 또는 상기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제 1 및 제 2 로봇암이 자동으로 이동을 멈춘다.
상기 구동부의 구동 축의 회전 방향 및 상기 구동부의 정지 여부를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용 로봇은, 상기 이송 축의 일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동 조작부;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축에 전달하는 전달 축;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이송 플레이트 사이의 제 1 가이드 레일 및 제 2 가이드 레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부에 배치된 전면 결합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부에 배치된 후면 결합부; 및 복수의 로봇암들의 연장부들에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 플레이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이 배치된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스테이지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로봇암들의 연장부들, 단자부들 및 연결 플레이트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광감지부는, 감지광을 출사하며, 외부로부터의 광을 입사받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와 상기 후면 도어 사이에 배치되어, 가시광을 출사하는 가시광 출사부; 및 상기 가시광 출사부와 상기 후면 도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배전반 패널에 힌지 결합된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감지부는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도어들 중 후면 도어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사된 감지광의 진행 방향과 상기 가시광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가시광의 진행 방향이 평행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사된 감지광의 개수와 상기 가시광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가시광의 개수가 동일하며; 상기 가시광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가시광과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감지광이 중첩하며; 상기 보조 도어는 반투명의 윈도우 또는 소정의 광차단지수를 갖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는 메인 서버로부터의 허가된 지시(즉, 레드 태그)에 따라 잠금 해제되므로 보안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패널이 열린 경우, 경보음이 출력되므로 작업자의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도어 개폐장치 및 도어 잠금장치는 특정 조건에 따라 광을 출사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바, 따라서 복수의 수배전반 패널들의 도어들 중 작업 예정인 수배전반 패널의 특정 도어가 용이하게 구분될 수 있다.
넷째, 위험한 고압 및 고전류가 발생되는 수배전반 패널 내에서 작업용 로봇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섯째, 후면 도어 측에 광감지부 및 광원(예를 들어, 경광등)이 설치되어 위험 구역에 진입한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의 예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수배전반 패널들 및 패널 제어부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배전반 패널들 및 패널 제어부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패널 제어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패널 제어부에 배치된 몇 개의 도어 개폐장치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4의 하나의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작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작부의 배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의 도어 잠금장치에 대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도어 잠금장치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도어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도어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스마트 플랜트 구현을 위한 발전소 수배전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수배전반 패널들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의 수배전반 패널들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작업용 로봇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작업용 로봇이 장착된 수배전반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은 도 31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수배전반 패널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도 33의 로봇 제어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2의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7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로봇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 및 도 44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로봇암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수배전반 패널을 상측에서 바라다본 도면이다.
도 47은 도 45의 수배전반 패널에 보조 도어가 더 배치된 도면이다.
도 48은 도 47의 보조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는 도 48의 수배전반 패널을 상측에서 바라다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49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수배전반 패널들 및 패널 제어부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수배전반 패널들 및 패널 제어부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수배전반 패널(200), 적어도 하나의 패널 제어부(100), 적어도 하나의 도어 개폐장치(110), 적어도 하나의 도어 잠금장치(210) 및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패널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 패널 제어부(100)는 7개의 수배전반 패널(200)들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패널 제어부(100)의 수 및 수배전반 패널(200)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수배전반 패널(200)은 전장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패널 제어부(10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부(120) 및 적어도 하나의 도어 개폐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제어부(100)에 배치된 21개의 음향 출력부(120)들 및 21개의 도어 개폐장치(1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14개의 음향 출력부(120)들 및 14개의 도어 개폐장치(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제어부(10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7개의 음향 출력부(120) 및 7개의 도어 개폐장치(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패널 제어부(100)의 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음향 출력부(120)의 수 및 도어 개폐장치(110)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음향 출력부(12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수배전반 패널(200)은 적어도 하나의 도어 및 적어도 하나의 도어 잠금장치(2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 수배전반 패널(200)은 제 1 전면 도어(221), 제 2 전면 도어(222), 후면 도어(223), 제 1 전면 도어(221)에 배치된 도어 잠금장치(210), 제 2 전면 도어(222)에 배치된 도어 잠금장치(210) 및 후면 도어(223)에 배치된 도어 잠금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배전반 패널(200)의 각 도어는 해당 도어 잠금장치(210)에 의해 잠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 1 전면 도어(221)의 도어 잠금장치(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배전반 패널(200)의 전면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면 도어(222)의 도어 잠금장치(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배전반 패널(200)의 전면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후면 도어(223)의 도어 잠금장치(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배전반 패널(200)의 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각 도어 개폐장치(110)는 각 도어 잠금장치(210)에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14개의 도어 개폐장치(110)들을 최상측의 도어 개폐장치부터 그 아래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제 1 내지 제 14 도어 개폐장치로 정의하고, 도 2에 도시된 7개의 도어 개폐장치(110)들을 최상측의 도어 개폐장치부터 그 아래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제 15 내지 제 21 도어 개폐장치로 정의하고, 도 1에 도시된 14개의 도어 잠금장치(210)들 중 상측에 배치된 7개의 도어 잠금장치들을 최좌측의 도어 잠금장치부터 그 우측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제 1 내지 제 7 도어 잠금장치로 정의하고, 도 1에 도시된 14개의 도어 잠금장치(210)들 중 하측에 배치된 7개의 도어 잠금장치들을 최좌측의 도어 잠금장치(210)부터 그 우측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제 8 내지 제 14 도어 잠금장치로 정의하고,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7개의 도어 잠금장치(210)들을 최좌측의 도어 잠금장치부터 그 우측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제 15 내지 제 21 도어 잠금장치로 정의할 때, 제 1 도어 개폐장치는 제 1 도어 잠금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2 도어 개폐장치는 제 2 도어 잠금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3 도어 개폐장치는 제 3 도어 잠금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 제 14 도어 개폐장치는 제 14 도어 잠금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5 도어 개폐장치는 제 15 도어 잠금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 그리고 제 21 도어 개폐장치는 제 21 도어 잠금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하여, 제 n 도어 개폐장치는 제 n 도어 잠금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로서, 위의 예에서 그 n은 1 내지 21일 수 있다.
또한, 각 음향 출력부(120)는 각 도어 개폐장치(110) 및 각 도어 잠금장치(210)에 일대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14개의 음향 출력부(120)들을 최상측의 음향 출력부부터 그 아래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제 1 내지 제 14 음향 출력부로 정의하고,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7개의 음향 출력부(120)들을 최상측의 음향 출력부부터 그 아래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제 15 내지 제 21 음향 출력부로 정의할 때, 제 1 음향 출력부는 제 1 도어 개폐장치 및 제 1 도어 잠금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2 음향 출력부는 제 2 도어 개폐장치 및 제 2 도어 잠금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3 음향 출력부는 제 3 도어 개폐장치 및 제 3 도어 잠금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 그리고, 제 21 음향 출력부는 제 21 도어 개폐장치 및 제 21 도어 잠금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하여, 제 n 음향 출력부는 제 n 도어 개폐장치 및 제 n 도어 잠금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패널 제어부(100)의 사시도이다.
패널 제어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도어(121), 후면 도어(122) 및 측면 도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도어(121)는 패널 제어부(100)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후면 도어(122)는 패널 제어부(100)의 후면부에 배치되며, 그리고 측면 도어(123)는 패널 제어부(100)의 측면부에 배치된다.
전술된 도어 개폐장치(110)들은 패널 제어부(100)의 전면 도어(121) 및 후면 도어(12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4개의 도어 개폐장치(110)들은 패널 제어부(100)의 전면 도어(121)에 배치되며, 그리고 7개의 도어 개폐장치(110)들은 그 패널 제어부(100)의 후면 도어(122)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제어부(100)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바, 이 수납 공간에는 서버, 음향 장치, 제어 컴퓨터, 모니터, 전원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제어부(100)의 수납 공간 중 상측 수납 공간(131)에는 서버, 음향 장치, 제어 컴퓨터 및 모니터가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 패널 제어부(100)의 수납 공간 중 하측 수납 공간(132)에는 전원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전원부는, 예를 들어, 패널 제어부(100)의 서버, 제어 컴퓨터, 모니터, 도어 개폐장치(110)들, 음향 출력부(120)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음향 장치는 음향 출력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0)는 음향 장치로부터 음향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어 컴퓨터를 통해 음향 장치로부터의 음향 신호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컴퓨터 및 음향 장치에 의해 음향 출력부(120)로부터 다양한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패널 제어부(100)에 배치된 몇 개의 도어 개폐장치(110)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4의 하나의 도어 개폐장치(110)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어 개폐장치(1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142), 상부 커버(141), 손잡이(143), 고정부(144), 조작부(160), 제 1 램프(151), 제 2 램프(152) 및 제 3 램프(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램프(151), 제 2 램프(152), 제 3 램프(153)는 하부 커버(142)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램프(151), 제 2 램프(152) 및 제 3 램프(153)는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램프(151 내지 153)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램프(151)는 적색광을 출사하고, 제 2 램프(152)는 청색광을 출사하고, 그리고 제 3 램프(153)는 백색광을 출사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램프(151 내지 153)는 도어 개폐장치(110)의 동작에 따라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되거나, 또는 점멸될 수 있다.
상부 커버(141)는 하부 커버(142)와 마주보도록 그 하부 커버(142) 상에 배치된다. 상부 커버(141)는 하부 커버(142)에 힌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부 커버(141)는 하부 커버(142)의 타측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된다. 상부 커버(141)는 투명 커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커버(141)는 투명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부 커버(141)의 투명도는 그 도어 개폐장치(110)의 동작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장치(110)가 이후 설명될 작업 지시서(일명, 레드 태그(red tag) 정보)에 의해 활성화된 경우, 그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110)의 상부 커버(141)는 투명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반면, 도어 개폐장치(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일 때, 그 비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110)의 상부 커버(141)는 불투명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예로서 상부 커버(141)는 제 1 기판(162), 이 제 1 기판(162)과 마주보는 제 2 기판(162), 제 1 기판(162)과 제 2 기판(162)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그 액정층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전계를 생성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은 제 1 기판(162)과 제 2 기판(162)의 마주보는 면들 중 어느 한 면 상에 배치되고, 제 2 전극은 그 마주보는 면들 중 다른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비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다를 수 있다. 한편, 제 2 전극은 공통 전극으로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제 2 전극과 비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제 2 전극은 동일한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어 개폐장치(110)는 레드 태그 정보에 응답하여 제 1 전극의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44)는 하부 커버(142)의 일측에 배치된다. 고정부(144)는 하부 커버(142)에 힌지 결합된 상부 커버(141)가 열리지 않도록 이 상부 커버(141)를 하부 커버(142)에 고정한다. 한편, 고정부(144)가 잡아당겨지면 하부 커버(142)와 상부 커버(141) 간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부 커버(141)와 하부 커버(142)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부 커버(141)가 회전할 수 있다. 즉, 상부 커버(141)가 열릴 수 있다.
손잡이(143)는 상부 커버(141)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60)는 하부 커버(142)와 상부 커버(1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조작부(16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의 조작부(16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작부(160)의 배면에 대한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8은 도 6의 조작부(1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어 개폐장치(110)의 조작부(16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161), 온 버튼(171), 오프 버튼(172), 버저 스톱 버튼(173), 리셋 버튼(174), 기판(162), 지지 프레임(163) 및 회로부(164)를 포함한다.
전면 커버(161)는 복수의 홀(185)들 및 이 복수의 홀(185)들의 상측에 배치된 복수의 덮개(180)들을 포함한다. 이 복수의 덮개(180)들은 전면 커버(161)에 힌지 결합된다. 한편, 이 덮개(180)의 힌지 결합부에 스프링이 구비되는 바, 이 덮개(180)는 그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홀(185)을 가리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덮개(180)가 열린 상태로 유지하던 외력이 제거될 때, 그 덮개(180)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 즉 홀(185)을 덮는 위치로 이동한다
기판(162)은 전면 커버(16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온 버튼(171), 오프 버튼(172), 버저 스톱 버튼(173) 및 리셋 버튼(174)은 기판(162) 상에 배치된다. 온 버튼(171), 오프 버튼(172), 버저 스톱 버튼(173) 및 리셋 버튼(174)은 수평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온 버튼(171), 오프 버튼(172), 버저 스톱 버튼(173) 및 리셋 버튼(174)의 배열 방향은 전술된 제 1 내지 제 3 램프들(151 내지 153)의 배열 방향과 교차(예를 들어,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온 버튼(171), 오프 버튼(172), 버저 스톱 버튼(173) 및 리셋 버튼(174)은 각각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온 버튼(171), 오프 버튼(172), 버저 스톱 버튼(173) 및 리셋 버튼(174)은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 버튼(171)은 적색광을 출사하고, 오프 버튼(172)은 녹색광을 출사하고, 버저 스톱 버튼(173)은 청색광을 출사하고, 그리고 리셋 버튼(174)은 황색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때, 온 버튼(171), 오프 버튼(172), 버저 스톱 버튼(173) 및 리셋 버튼(174)은 눌려졌을 때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버튼이 눌려지면 그 하나의 버튼만이 점등되고, 다른 버튼의 램프는 소등될 수 있다. 온 버튼(171), 오프 버튼(172), 버저 스톱 버튼(173) 및 리셋 버튼(174)은 전면 커버(161)의 홀(185)들에 삽입된다.
지지 프레임(163)은 기판(162)의 하측에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163)은 전면 커버(161), 기판(162), 온 버튼(171), 오프 버튼(172), 버저 스톱 버튼(173), 리셋 버튼(174) 및 회로부(164)를 지지한다.
회로부(164)는 지지 프레임(163)의 하측에 배치된다. 회로부(164)는, 예를 들어, 릴레이, 소켓 및 타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64)는 온 버튼(171), 오프 버튼(172), 버저 스톱 버튼(173), 리셋 버튼(174)의 누름에 응답하여 각종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고, 이 제어 신호들을 음향 장치 및 해당 도어 잠금장치(210)로 공급한다. 한편, 회로부(164)는 전술된 제 1 전극에 서로 다른 전압들(예를 들어,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제 1 전극으로 인가되는 제 1 전압 및 비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제 1 전극으로 인가되는 제 2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1 및 도 2의 도어 잠금장치(210)에 대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도어 잠금장치(210)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도어 잠금장치(21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12는 도 1의 도어 잠금장치(21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 사시도이다.
도어 잠금장치(21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31), 개폐 핸들(232), 비상키 삽입부(234),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 솔레노이드 구동부(240), 회전 차단부(243), 연장부(244), 제 1 회전부(241), 제 2 회전부(242), 지지대(245) 및 전원부(24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32), 비상키 삽입부(234) 및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은 플레이트(231)의 전면부에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구동부(240), 회전 차단부(243), 연장부(244), 제 1 회전부(241), 제 2 회전부(242), 지지대(245) 및 전원부(246)는 플레이트(231)의 후면부에 배치된다.
회전 차단부(243)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40)에 연결된다. 솔레노이드 구동부(240)의 동작에 의해 회전 차단부(243)는 제 1 회전부(241)를 향해 이동(또는 전진)하거나 또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40)를 향해 이동(또는 후퇴)한다. 솔레노이드 구동부(24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44)는 회전 차단부(243)로부터 제 2 회전부(242)를 향해 연장된다.
지지부(245)는 회전 차단부(243)를 지지한다. 지지부(245)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40)와 제 1 회전부(2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245)는 회전 차단부(243)에 의해 관통된 홀을 갖는다.
제 1 회전부(241)는 개폐 핸들(232)에 연결된다. 제 1 회전부(241)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갖는다. 전술된 회전 차단부(243)의 단부는 제 1 회전부(241)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 차단부(243)가 제 1 회전부(241)의 홈에 삽입된 경우, 제 1 회전부(241) 및 이에 연결된 개폐 핸들(232)은 회전할 수 없다. 반면, 회전 차단부(243)가 제 1 회전부(241)의 홈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제 1 회전부(241) 및 이에 연결된 개폐 핸들(232)은 회전 가능하다.
제 2 회전부(242)는 비상키 삽입부(234)에 연결된다. 비상키가 비상키 삽입부(234)의 키홀(key hole)에 끼워져 특정 방향(예를 들어, 도 10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회전부(242)의 돌출부는 연장부(244)에 압력을 가한다. 이 압력에 의해 연장부(244)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40)를 향해 이동한다. 그러면, 이 연장부(244)에 연결된 회전 차단부(243)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40)를 향해 이동한다. 이와 같은 경우, 회전 차단부(243)가 제 1 회전부(241)의 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제 1 회전부(241) 및 개폐 핸들(232)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개폐 핸들(232)은, 도 9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은 도어 잠금장치(210)의 솔레노이드 솔레노이드 구동부(2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이 눌려지면 솔레노이드 구동부(340)에 의해 도어 잠금장치(2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은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의 램프는 적색광을 출사할 수 있다. 해당 도어 개폐장치(110) 또는 도어 잠금장치(210)의 동작에 따라,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의 램프는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되거나, 또는 점멸될 수 있다.
전원부(246)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40) 및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 전원부(246)는, 도어 개폐장치(110)의 온 버튼(171)이 눌려질 때 솔레노이드 구동부(240) 및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반면, 이 전원부(246)는, 도어 개폐장치(110)의 오프 버튼(172; 또는 리셋 버튼(174))이 눌려질 때 솔레노이드 구동부(240) 및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으로의 전원을 차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32)은 솔레노이드 구동부(240)에 의해 잠김 상태 또는 해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이 눌려지면 솔레노이드 구동부(240)가 동작하여 이 솔레노이드 구동부(240)에 연결된 회전 차단부(243)가 솔레노이드 구동부(240) 방향으로 이동(또는 전진)한다. 이에 따라, 회전 차단부(243)가 제 1 회전부(241)의 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제 1 회전부(241) 및 개폐 핸들(232)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반면, 솔레노이드 구동부(240)의 다른 동작에 의해 회전 차단부(243)가 제 1 회전부(241)의 홈에 삽입된 경우, 제 1 회전부(241) 및 개폐 핸들(232)은 회전 불가능한 잠김 상태로 유지된다. 단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의 눌림에 의해 솔레노이드 구동부(240)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그 솔레노이드 구동부(24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어야 한다.
비상키 삽입부(234)에는 비상키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키는 그 비상키 삽입부(234)의 키홀에 삽입될 수 있다. 비상키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40)의 동작에 관계없이 도어 잠금장치(210)의 잠금 상태를 강제로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 또는 도어 잠금장치(210)의 고장에 의해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에 의해서도 그 도어 잠금장치(2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을 경우, 비상키를 비상키 삽입부(234)에 삽입하여 그 도어 잠금장치(2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키의 회전에 의해 제 2 회전부(242)가 회전하며, 이때 그 회전하는 제 2 회전부(242)는 연장부(244)를 솔레노이드 구동부(240) 방향으로 민다. 이에 따라, 그 연장부(244)에 연결된 회전 차단부(243)가 솔레노이드 구동부(240) 방향으로 이동(또는 후퇴)하여, 회전 차단부(243)가 제 1 회전부(241)의 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개폐 핸들(232)이 회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2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커버(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2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잠금장치(2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잠금장치(238)는 개폐 핸들(232)의 일측 단부로부터 플레이트(231)를 향해 연장된 제 1 연장부 및 플레이트(231)로부터 그 제 1 연장부를 향해 돌출된 제 2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장부 및 제 2 연장부를 각각 이들을 관통하는 홀을 갖는 바, 보조 잠금장치(238)의 걸쇠는 그 홀들을 삽입된다. 보조 잠금장치(238)가 잠금 상태일 때, 개폐 핸들(232)은 플레이트(231)에 고정된다. 따라서, 개폐 핸들(232)은,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도 13은 본 발명의 스마트 플랜트 구현을 위한 발전소 수배전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플랜트 구현을 위한 발전소에서의 수배전반 제어 시스템은 설계 PC(1100)를 통해 설계된 레드 태그(Red Tag) 정보가 등록되는 서버(Geni Server)(1000)와, 상기 서버(Geni Server)(1000)를 통해 레드 태그를 출력하기 위한 레드 태그 출력기(1200)와, 메인 서버(2000)와, 전면에 터치스크린과 바코드 스캐너가 구비되어 전력 차단실의 입구에 설치되는 키오스크(3000)와, 제어부(4000), 패널 제어부(1000) 및 수배전반 패널(2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널 제어부(100) 및 이에 연결된 수배전반 패널(200)들을 하나의 수배전반 그룹으로 정의할 수 있는 바, 발전소는 복수의 수배전반 그룹들(예를 들어, 수배전반 그룹 1호기, 수배전반 그룹 2호기 등으로 지칭 가능)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서버(Smart Plant Server, S/P)(2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0), 데이터베이스(2500), 키오스크(3000), 제어부(4000) 등의 각종 부품과 연계하여 레드 태그 등의 정보 요청 및 응답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예로서 데이터베이스(2500)와 연동을 하여 구성정보, 권한정보, 로그정보 등을 관리 표출한다. 구성정보는 수배전반 패널(200)의 구성에 대한 정보로서 실제 장비와 데이터베이스(2500)상의 ID와의 연결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각인식장치 및 3D 네비게이션(Navigation)에 표출될 수 있도록 연관 관계를 정의하며, 이 구성정보를 추가/수정/삭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추후의 설비의 확장에 대한 프로그램의 수정 없이 동작할 수 있게 한다. 구성정보 및 장비별 상세 기술정보는 3D 네비게이션(Navigation)장치에 전송되어, 작업자의 작업에 오류가 없게 돕는다.
권한정보는 작업자 개개인은 물론, 설계자의 권한을 나누어서 각각의 등급에 맞는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권한정보는 최상위 관리자만이 추가/수정/삭제 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로그정보는 제어부(Control Board)(4000)로 전송되어지는 장비 제어 이력 및 레드 태그 발급 정보, 각종 차단기의 기술 정보의 수정 등의 이력정보를 모두 관리 할 수 있다. 이러한 로그정보는 시간/장비별 조건 검색이 가능하다. 메인 서버(2000)는 웹서버를 내장하여 자체 모니터 뿐만 아니라 사무실,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200)는 레드 태그 발급 시 외부시스템인 지니 서버(1000)(Geni Server)와의 연계를 통하여, 설계자가 설계한 작업내역을 확인하여 레드 태그를 출력할 수 있다.
키오스크(Kiosk)(3000)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무인정보단말기로서 전면에 디스플레이부(3100)와 바코드 스캐너(미도시)를 구비하여 전력 차단실 입구에 설치되고, 3D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키오스크(3000)의 전면부에 구비된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레드 태그의 바코드가 인식되면 전면 디스플레이부(3100)를 통해 해당 수배전반 패널(200)의 상세 기술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내장된 3D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는 작업예정인 수배전반 패널(200)의 위치 및 그 작업예정인 수배전반 패널(200)을 제어하기 위한 패널 제어부(100)의 위치를 키오스크(3000) 전면 디스플레이부(3100)에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레드 태그의 바코드가 인식되면 데이터베이스(2500)에 저장된 구성정보를 바탕으로 작업자에게 작업내역에 포함된 수배전반 패널(200)의 위치 및 패널 제어부(100)의 위치, 그리고 그 수배전반 패널(200) 및 패널 제어부(100)로의 이동경로(예를 들어, 최단 또는 최적 이동경로)를 디스플레이부(310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100)는 복수의 수배전반 그룹들 중 작업예정인 수배전반 패널(200)이 포함된 특정 수배전반 그룹의 위치 및 그 특정 수배전반 그룹으로의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3100)는 그 특정 수배전반 그룹에 포함된 패널 제어부(100)의 위치 및 그 패널 제어부(100)로의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3000)에는 레드 태그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작업내용의 음성 안내를 할 수 있는 스피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스마트 플랜트 구현을 위한 발전소에서의 수배전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수배전반 패널(200)들 중 어느 하나의 수배전반 패널(200)에 대한 작업(예를 들어, 유지보수 작업 등)을 위해 그 수배전반 패널(200)의 제 1 전면 도어(221)를 오픈할 필요가 있을 경우, 먼저 설계 PC에 의해 그 작업에 대응되는 레드 태그 정보가 설계된다. 이후, 그 레드 태그 정보가 지니 서버(1000)(Geni Server)에 기등록되고, 작업자는 중앙제어실에서 레드 태그 정보가 입력된 지니 서버(100)를 통해 레드 태그 출력기(1200)로부터 레드 태그를 발급받는다. 이후, 키오스크(3000)의 바코드 스캐너를 통해 그 레드 태크의 바코드가 인식되면, 키오스크(3000)는 그 인식된 바코드 정보를 근거로 디스플레이부(3100)에 3D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통해 그 수배전반 패널(200)이 포함된 수배전반 그룹의 위치를 표시하며 메인 서버(2000)에 이를 통보한다. 그러면, 메인 서버(2000)는 통보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2500)에 저장하고, 그 수배전반 그룹의 패널 제어부(10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도어 개폐장치(110)를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이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110)는 패널 제어부(100)의 전면부의 최상측에 배치된 제 1 도어 개폐장치일 수 있다.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110)는 제 1 램프(151)에 의해 다른 비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110)와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110)의 제 1 램프(151)는 교번적으로 점등 및 소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110)의 제 1 램프(151)는 점멸된다. 한편, 비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110)의 제 1 램프(151)는 점등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110)의 구분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110)의 상부 커버(141)는 투명하게 변환되고, 그리고 비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110)들의 상부 커버(141)는 불투명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110)의 상부 커버(141)는 열림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110)의 고정부(144)는 우측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그 고정부(144)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고정부(144)를 잡아당기면 도어 개폐장치(1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부 커버(141)가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부 커버(141)가 열릴 경우, 이에 응답하여 그 도어 개폐장치(110)의 제 2 램프(152)가 점등된다. 다른 예로서, 상부 커버(141)가 열릴 경우, 이 제 2 램프(152)는 점멸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커버(141)가 열릴 경우, 제 1 램프(151)는 소등된다.
이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온 버튼(171) 상의 덮개(180)를 열면 그 온 버튼(171)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 온 버튼(171)이 눌려지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도어 잠금장치(210)에 전원이 인가되어 그 도어 잠금장치(210)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도어 잠금장치(210)의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은 점멸된다. 한편, 비활성화된 도어 잠금장치(210)들의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은 소등된다. 활성화된 도어 잠금장치(210)의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이 점멸됨에 따라, 해당 도어 잠금장치(210)가 부착된 수배전반 패널(200)의 도어가 용이하게 구분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점멸 상태의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이 눌려지면, 도어 잠금장치(210)는 열림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다시 말하여, 그 도어 잠금장치(210)의 개폐 핸들(232)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눌린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은 소등되거나 또는 점멸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잠금장치(210)의 개폐 핸들(232)이,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그 도어 잠금장치(2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다시 말하여, 도어 잠금장치(210)의 개폐 핸들(23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그 도어 잠금장치(2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그 도어 잠금장치(210)가 부착된 제 1 전면 도어(221)가 열릴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어 잠금장치(210)의 개폐 핸들(232)이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그 도어 잠금장치(210)의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은 소등될 수 있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제 1 전면 도어(221)가 열리면 패널 제어부(100)의 해당 도어 개폐장치(110)에 인접하여 배치된 음향 출력부(120)(예를 들어, 제 1 음향 출력부(120))로부터 해당 수배전반 패널(200)의 제 1 전면 도어(221)가 열려 있음을 알리는 경고음이 출력될 수 있다. 이 경고음은 음성 경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고음은 제 1 전면 도어(221)가 열려 있는 동안에 계속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 경고음은 제 1 전면 도어(221)가 열려 있더라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된 후 해제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 전면 도어(221)가 닫히면, 경고음은 해제된다.
경고음을 해제하기 위해 해당 도어 개폐장치(110)의 버저 스톱 버튼(173)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저 스톱 버튼(173)이 눌리면 그 경보음이 바로 해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버저 스톱 버튼(173)은 경보음을 강제로 해제하기 위한 버튼이다.
해당 수배전반 패널(200)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 1 전면 도어(221)를 닫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잠금장치(210)의 개폐 핸들(232)을 시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개폐 핸들(232)을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어 잠금장치(210)가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 다만 이 경우 개폐 핸들(232)은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개폐 핸들(232)이 잠금 위치에 있을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솔레노이드 구동부(240)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도어 잠금장치(210)가 더 강화된 잠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개폐 핸들(232)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작업 완료 이후 제 1 전면 도어(221)가 닫힌 상태에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셋 버튼(174)이 눌려진다. 그러면, 도어 개폐장치(110)가 초기화되고, 그 도어 개폐장치(110)에 연결된 도어 잠금장치(210)는 비활성화된다. 도어 잠금장치(210)가 비활성화되면, 그 도어 잠금장치(210)의 솔레노이드 구동부(240)가 동작하여 도어 잠금장치(210)가 강화된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 리셋 버튼(174)이 눌려지면, 해당 도어 잠금장치(210)의 솔레노이드 구동부(24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도어 잠금장치(210)의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이 눌려지더라도 그 솔레노이드 구동부(240)가 동작하지 않아 그 도어 잠금장치(21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 리셋 버튼(174)이 눌려지면, 해당 도어 잠금장치(210)에 대응되는 음향 출력부(1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음향 출력부(120)는 음향을 출력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폐장치(110)의 상부 커버(141)가 닫힌다. 이때, 고정부(144)에 의해 상부 커버(141)는 하부 커버(142)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 도어 개폐장치(110)의 상부 커버(141)는 열리지 않는다. 한편, 상부 커버(141)가 닫힘에 따라 그 도어 개폐장치(110)의 제 3 램프(153)가 일정 시간 동안 점멸된다. 그리고 그 일정 시간 이후,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램프(151)가 점등된다. 다시 말하여, 그 일정 시간 이후, 도어 개폐장치(110)는 비활성화된다.
한편, 도 17과 같이 온 버튼(171)이 눌려진 후,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 버튼(172)이 눌려지면 해당 도어 잠금장치(210)의 솔레노이드 구동부(240)가 동작하여 그 도어 잠금장치(210)가 다시 잠금 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그 도어 잠금장치(210)의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233)이 소등된다. 한편, 오프 버튼(172)이 눌려지더라도 그 도어 잠금장치(210)에 대응되는 음향 출력부(120)에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되지 않는다.
한편, 패널 제어부(100)의 후면부에 배치된 도어 개폐장치(110)들은 각각 전술된 도 5 내지 도 8의 도어 개폐장치(1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또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각 수배전반 패널(200)에 배치된 도어 잠금장치(210)들은 각각 전술된 도 9 내지 도 12의 도어 잠금장치(2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또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수배전반 패널(200)의 후면 도어(223)에 배치된 도어 잠금장치(210)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장치(110)는 그 수배전반 패널(200)의 제 1 전면 도어(221) 및 제 2 전면 도어(222) 중 어느 하나의 도어 개폐장치(110)가 활성화될 때 함께 활성화될 수 있다. 즉, 후면 도어(223)의 도어 잠금장치(210)에 연결된 도어 개폐장치(110)는 레드 태그 정보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후면 도어(223)의 도어 잠금장치(210)에 연결된 도어 개폐장치(110)를 독립적으로 활성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후면 도어(223)의 도어 잠금장치(210)에 연결된 도어 개폐장치(110)는 레드 태그 정보에 의해 독립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한편, 도어 개폐장치(110) 및 그 도어 개폐장치(110)에 연결된 도어 잠금장치(210)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그 도어 개폐장치(110)의 제 1 내지 제 3 램프(151 내지 153)들이 모두 동시에 점멸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그 도어 개폐장치(110)의 상부 커버(141)가 투명하게 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그 도어 개폐장치(110)의 상부 커버(141)가 열림 가능 상태로 되도록 그 도어 개폐장치(11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수배전반 패널들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29는 도 28의 수배전반 패널들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수배전반 패널(200), 적어도 하나의 도어 개폐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도어 잠금장치(210) 및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각 수배전반 패널(200)의 제 1 전면 도어(221), 제 2 전면 도어(222) 및 후면 도어(223)에 배치된 음향 출력부(120), 도어 개폐장치(110) 및 도어 잠금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배전반 패널(200)의 제 1 전면 도어(221), 제 2 전면 도어(222) 및 후면 도어(223)에 배치된 21개의 음향 출력부(120)들, 21개의 도어 개폐장치(110)들 및 21개의 도어 잠금장치(2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14개의 음향 출력부(120)들, 14개의 도어 개폐장치(110) 및 14개의 도어 잠금장치(210)들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배전반 패널(200)의 전면부에 위치한 제 1 전면 도어(221) 및 제 2 전면 도어(222)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7개의 음향 출력부(120), 7개의 도어 개폐장치(110) 및 7개의 도어 잠금장치(210)들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배전반 패널(200)의 후면부에 위치한 후면 도어(223)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음향 출력부(120)의 수, 도어 개폐장치(110)의 수 및 도어 잠금장치(210)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도어 개폐장치(110)는 메인 서버(2000)에 전송된 레드 태그 정보를 근거로 활성화된다. 그리고,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조작에 의해 도어 잠금장치(2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도 28 및 도 29의 도어 개폐장치(110)들은 전술된 패널 제어부(100)가 아닌 해당 수배전반 패널의 해당 도어에 배치될 뿐, 전술된 도 1 및 도 2의 도어 개폐장치(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8 및 도 29의 음향 출력부(120)들은 전술된 패널 제어부(100)가 아닌 해당 수배전반 패널의 해당 도어에 배치될 뿐, 전술된 도 1 및 도 2의 음향 출력부(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8 및 도 29의 도어 잠금장치(210)들은 전술된 도 1 및 도 2의 음향 도어 잠금장치(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8 및 도 29의 수배전반 패널(200)들은 전술된 도 1 및 도 2의 수배전반 패널(200)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28 및 도 29의 도어 개폐장치(110)들, 음향 출력부(120)들, 도어 잠금장치(210)들 및 수배전반 패널(200)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도 1 내지 27 및 이에 관련된 기재를 참조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작업용 로봇(3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로봇(300)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0), 전달 축(420), 이송 축(430), 이송 플레이트(350), 제 1 가이드 레일(441), 제 2 가이드 레일(442), 베이스 플레이트(390), 연결 플레이트(450), 지지 플레이트(488),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RA2, RA3, RA4), 수동 조작부(470), 제 1 지지부(461), 제 2 지지부(462), 전면 결합부(341) 및 후면 결합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외부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력을 생성한다. 이 구동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전진 제어 신호, 후진 제어 신호 및 정지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진 제어 신호가 구동부(400)에 입력되면 구동부(400)의 구동 축(411)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후진 제어 신호가 구동부(400)에 입력되면 구동부(400)의 구동 축(411)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정지 제어 신호가 구동부(400)에 입력되면 구동부(400)의 구동 축(411)은 회전을 멈출 수 있다. 한편, 전진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부(400)의 구동 축(411)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후진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부(400)의 구동 축(411)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구동부(400)는 베이스 플레이트(390) 상에 마련된 지지 플레이트(48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400)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축(420)은 구동부(400)의 구동 축(411)에 연결된다. 전달 축(420)과 구동 축(411)은 웜 기어(worm gear)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전달 축(420)은 구동 축(411)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이송 축(430)으로 전달한다. 한편, 전달 축(420)은 지지 플레이트(488)를 관통하는 홀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390) 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송 축(430)은 베이스 플레이트(3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 축(430)은 전달 축(420) 및 이송 플레이트(3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송 축(430)과 전달 축(420)은 웜 기어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송 축(430)은 제 1 지지부(461) 및 제 2 지지부(46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461)는 이송 축(430)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며, 제 2 지지부(462)는 이송 축(430)의 타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461)는 전면 결합부(34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461)는 이송 축(430)에 의해 관통된 홀을 가질 수 있다.
제 2 지지부(462)는 베이스 플레이트(3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462)는 이송 축(430)에 의해 관통된 홀을 가질 수 있다.
수동 조작부(470)는 이송 축(430)의 타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축(430)은 제 2 지지부(462)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바, 이 노출된 부분의 단부에 수동 조작부(47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레일(441) 및 제 2 가이드 레일(442)은 베이스 플레이트(3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이드 레일(441)과 제 2 가이드 레일(442)은 서로 마주보게 그 베이스 플레이트(3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이송 축(430)은 제 1 가이드 레일(441)과 제 2 가이드 레일(4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레일(441), 제 2 가이드 레일(442) 및 이송 축(430)의 각 연장 방향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350)는 제 1 가이드 레일(441), 제 2 가이드 레일(442) 및 이송 축(4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350)는 제 1 가이드 레일(441), 제 2 가이드 레일(442) 및 이송 축(430)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350)는 제 1 가이드 레일(441), 제 2 가이드 레일(442) 및 이송 축(4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플레이트(350)의 일측은 제 1 가이드 레일(44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송 플레이트(350)의 타측은 제 2 가이드 레일(44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리고 그 이송 플레이트(35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심부는 이송 축(430)의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350)는 스테이지(355), 제 1 슬라이드부(351) 및 제 2 슬라이드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지(355)는 이송 축(4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지(355)의 중심부는 이송 축(43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드부(351)는 스테이지(355)의 일측 하면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390)를 향해 연장되어 제 1 가이드 레일(44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슬라이드부(351)는 제 1 가이드 레일(441)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된 2개의 슬라이드부들을 한 쌍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슬라이드부(352)는 스테이지(355)의 타측 하면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390)를 향해 연장되어 제 2 가이드 레일(44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2 슬라이드부(352)는 제 2 가이드 레일(442)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된 2개의 슬라이드부들을 한 쌍으로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80)들은 이송 플레이트(350)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지지부(480)들은 그 이송 플레이트(350)의 스테이지(35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480)들은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을 수직 방향으로 소정 높이의 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지지부(480)들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480)들은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로봇암(RA1), 제 2 로봇암(RA2), 제 3 로봇암(RA3) 및 제 4 로봇암(RA4)은 이송 플레이트(3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은 그 이송 플레이트(350)의 스테이지(35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지지부(480)들은 각 로봇암(RA1 내지 RA4)과 스테이지(35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 로봇암(RA1 내지 RA4)은 연장부(310), 단자부(320) 및 돌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10)는 지지부(48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310)는 전술된 이송 축(430), 제 1 가이드 레일(441) 및 제 2 가이드 레일(442)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310)는 전면 결합부(34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31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연장부(310)는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자부(320)는 연장부(3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부(320)는 연장부(310)의 일측 단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하부 접촉판(321) 및 상부 접촉판(322)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10)의 일측 단부는 하부 접촉판(321)의 일측 단부 및 상부 접촉판(322)의 일측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접촉판(321)과 상부 접촉판(322) 사이에는 갭(gap)이 존재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하부 접촉판(321)과 상부 접촉판(322)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하부 접촉판(321)의 타측 단부 및 상부 접촉판(322)의 타측 단부는 곡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접촉판(321)의 타측 단부 및 상부 접촉판(322)의 타측 단부는 서로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단자부(32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단자부(320)는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330)는 연장부(310) 상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330)는 연장부(310)의 상부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지지부(480)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330)는 연장부(310)를 사이에 두고 지지부(480)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L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모든 로봇암들(RA1 내지 RA4)이 각각 돌출부(330)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한 일부 몇 개의 로봇암들만이 선택적으로 돌출부(3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 중 제 1 및 제 2 로봇암들(RA1, RA2) 만이 선택적으로 돌출부(330)를 포함하고, 나머지 제 3 및 제 4 로봇암들(RA3, RA4)은 돌출부(3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로봇암들(RA1 내지 RA4)의 각 연장부(310)의 길이가 동일할 때, 복수의 로봇암들(RA1 내지 RA4)의 돌출부(330)들의 거리는 해당 연장부(3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로봇암(RA1)의 연장부(310)의 일측 단부로부터 그 제 1 로봇암(RA1)의 돌출부(330)까지의 거리를 제 1 거리로 정의하고, 제 2 로봇암(RA2)의 연장부(310)의 일측 단부로부터 그 제 2 로봇암(RA2)의 돌출부(330)까지의 거리를 제 2 거리로 정의할 때, 제 1 거리와 제 2 거리는 다를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450)는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 및 스테이지(35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450)는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연결 플레이트(450)는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의 각 연장부(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플레이트(45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연결 플레이트(450)는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90)는 전면 결합부(341)와 후면 결합부(3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 결합부(341)는 베이스 플레이트(39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 결합부(341)는 베이스 플레이트(390)의 전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 전면 결합부(341)는 수배전반 패널(도 31의 200)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후면 결합부(342)는 베이스 플레이트(390)의 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후면 결합부(342)는 베이스 플레이트(390)의 후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 후면 결합부(342)는 수배전반 패널(200)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업용 로봇(300)의 로봇암들(RA1 내지 RA4)은 구동부(400)의 동작 또는 수동 조작부(470)의 조작에 의해 이송 축(4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의 전진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부(400)의 구동 축(411)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구동 축(411)에 연결된 전달 축(420)이 회전하고, 그 전달 축(420)이 회전함에 따라 그 전달 축(420)에 연결된 이송 축(430)이 회전한다. 그러면, 그 이송 축(430)에 연결된 이송 플레이트(350)가 전면 결합부(341)를 향해 이송 축(430)을 따라 이동한다. 반면, 외부로부터의 후진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부(400)의 구동 축(411)이 그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구동 축(411)에 연결된 전달 축(420)이 회전하고, 그 전달 축(420)이 회전함에 따라 그 전달 축(420)에 연결된 이송 축(430)이 회전한다. 그러면, 그 이송 축(430)에 연결된 이송 플레이트(350)가 후면 결합부(342)를 향해 이송 축(430)을 따라 이동한다. 이송 플레이트(350)가 이동하면 그 이송 플레이트(350)의 스테이지(355)에 부착된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도 동시에 해당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한편, 작업자에 의해 수동 조작부(47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면, 그 수동 조작부(470)에 연결된 이송 축(430)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이송 플레이트(350)가 전면 결합부(341)를 향해 이송 축(430)을 따라 이동한다. 반면, 작업자에 의해 수동 조작부(470)가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면, 그 수동 조작부(470)에 연결된 이송 축(430)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이송 플레이트(350)가 후면 결합부(342)를 향해 이송 축(430)을 따라 이동한다. 이송 플레이트(350)가 이동하면 그 이송 플레이트(350)의 스테이지(355)에 부착된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도 동시에 해당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전술된 작업용 로봇(300)은, 예를 들어, 발전소의 수배전반 패널(2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1는 도 30의 작업용 로봇(300)이 장착된 수배전반 패널(20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2은 도 31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먼저, 수배전반 패널(200)은,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 22), 제 1 전면 도어(221), 제 2 전면 도어(222), 후면 도어(223), 차단기(25), 도어 개폐장치(110) 및 도어 잠금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의 도어 잠금장치(210)들은 전술된 도 1 및 도 2의 음향 도어 잠금장치(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31 및 도 32의 수배전반 패널(200)은 전술된 도 1 및 도 2의 수배전반 패널(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31 및 도 32의 도어 개폐장치(110), 음향 출력부(120), 도어 잠금장치(210) 및 수배전반 패널(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도 1 내지 27 및 이에 관련된 기재를 참조한다.
작업용 로봇(300)은,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예와 같이, 수배전반 패널(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 작업용 로봇(300)은 그 수배전반 패널(200)의 후면 도어(223)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작업용 로봇(300)은 수배전반 패널(200) 내부의 프레임(21, 22)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용 로봇(300)의 전면 결합부(341) 및 후면 결합부(342)가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해 그 프레임(21, 22)에 고정될 수 있다.
작업용 로봇(300)의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은 수배전반 패널(200)의 작업 대상(6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작업 대상(60)은 고압선 또는 부스바(bus bar) 등일 수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 중 어느 하나는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로봇암(RA4)은 수배전반 패널(200)의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내지 제 3 로봇암들(RA1 내지 RA3)은 그 수배전반 패널(200)의 제 1 부스바, 제 2 부스바 및 제 3 부스바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수배전반 패널(200)이 3상 전원을 사용할 경우, 제 1 로봇암(RA1)의 단자부(320)는 제 1 부스바에 연결되고, 제 2 로봇암(RA2)의 단자부(320)는 제 2 부스바에 연결되고, 그리고 제 3 로봇암(RA3)의 단자부(320)는 제 3 부스바에 연결되고, 그리고 제 4 로봇암(RA4)의 단자부(320)는 접지 부스바에 연결될 수 있다. 각 로봇암(RA1 내지 RA4)의 각 단자부(320)는 연결 플레이트(450)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이 부스바 및 접지 부스바에 연결될 경우, 제 1 내지 제 3 부스바의 여자 전류 또는 잔류 전류는 접지 부스바를 통해 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로봇암(RA1)과 제 1 부스바 간의 거리, 제 2 로봇암(RA2)과 제 2 부스바 간의 거리, 제 3 로봇암(RA3)과 제 3 부스바 간의 거리, 그리고 제 4 로봇암(RA4)과 접지 부스바 간의 거리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이동 중인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은 동시에 해당 부스바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작업 대상(60)은 실제 작업 대상(69)에 별도로 부착된 보조 단자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작업 대상(69)은 부스바일 수 있으며, 작업 대상(60)은 그 실제 작업 대상(69, 즉 부스바)에 연결된 보조 단자부에 해당할 수 있다.
수배전반 패널(200)의 내부에는 가이드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가이드부(500)는 수배전반 패널(200) 내부의 프레임(21)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500)는 로봇암들의 개수에 맞춰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용 로봇(300)이 4개의 로봇암들(RA1 내지 RA4)을 포함할 경우, 수배전반 패널(200)의 내부에는 4개의 가이드부(5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각 가이드부(500)는 해당 로봇암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부는 제 1 로봇암(RA1)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 2 가이드부는 제 2 로봇암(RA2)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 3 가이드부는 제 3 로봇암(RA3)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그리고 제 4 가이드부는 제 4 로봇암(RA4)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 가이드부(500)의 가이드 홀에는 해당 작업 대상(6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 내에는 제 1 부스바의 일부가 배치되며, 제 2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 내에는 제 2 부스바의 일부가 배치되며, 제 3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 내에는 제 3 부스바의 일부가 배치되며, 그리고 제 4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 내에는 접지 부스바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작업용 로봇(300)의 이송 축(430)의 타측 단부는 후면 도어(223)의 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노출된 이송 축(430)의 타측 단부에 수동 조작부(470)가 연결될 수 있다. 이 수동 조작부(470)와 이송 축(430)의 타측 단부는 고정핀(47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고정핀(475)은 수동 조작부(470)와 이송 축(430)의 타측 단부 간의 결합 부분(또는 중첩 부분)을 관통하는 수동 조작부(470)의 홀과 이송 축(430)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수동 조작부(470)는 후면 도어(223)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수동 조작부는, 예를 들어, 정전 또는 작업용 로봇(300)의 구동부(400)의 고장 시 그 작업용 로봇(300)의 움직임을 수동으로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3는 도 31의 수배전반 패널(200)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34는 도 33의 로봇 제어부(6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로봇 제어부(600)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 패널(200)의 후면 도어(223)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제어부(600)는 후면 도어(223)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로봇 제어부(600)는 작업용 로봇(300)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 제어 버튼(601), 후진 제어 버튼(602) 및 정지 제어 버튼(60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로봇 제어부(600)는 음향 출력부(610) 및 광원(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음향 출력부(610) 및 광원(620)은 로봇 제어부(600)와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610) 및 광원(620)은 로봇 제어부(600)가 아닌 수배전반 패널(200)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진 제어 버튼(601)이 눌려지면 작업용 로봇(300)에 구비된 구동부(400)의 구동 축(411)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이 해당 가이드부(500),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가이드부들을 향해 이동한다.
후진 제어 버튼(602)이 눌려지면 전술된 구동부(400)의 구동 축(411)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이 해당 가이드부(500),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가이드부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정지 제어 버튼(603)이 눌려지면 전술된 구동부(400)의 구동 축(411)의 회전이 멈춘다. 이에 따라, 로봇암들(RA1 내지 RA4)은 이동을 멈춘다.
광원(620)은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이 이동 중일 때 광을 출사한다. 예를 들어, 광원(620)은 제 1 내지 제 4 로봇암들(RA1 내지 RA4)이 전진 또는 후진할 때 점멸되는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광원(620)은 경광등일 수 있다. 또한, 광원(620)은 그 경광등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610)는 로봇암의 단자부(320)와 해당 작업 대상(60)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할 때 미리 설정된 음향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진 중인 로봇암과 부스바 간의 거리가 약 80mm일 때, 음향 출력부(610)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고음은 음성 경고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작업용 로봇(300)은 수배전반 패널(200) 내의 차단기(예를 들어, 전력 차단기)가 차단 상태로 설정된 후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배전반 패널(200)의 차단기가 차단되면 수배전반 패널(200)은 로봇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이 로봇 제어 신호는 로봇 제어부(600)로 공급될 수 있다. 로봇 제어부(600)에 로봇 제어 신호가 공급될 때에만, 로봇 제어부(600)는 전술된 전진 제어 버튼(601), 후진 제어 버튼(602) 및 정지 제어 버튼(603)의 누름에 응답하여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가 차단 상태가 아닐 때, 로봇 제어부(600)의 제어 버튼들이 눌려져도 로봇암들(RA1 내지 RA4)은 이동하지 않는다.
도 35은 도 32의 가이드부(500)의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가이드부(500)는,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몸체(510), 셔터(540), 결합부(520) 및 감지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몸체(510)는 이를 관통하는 가이드 홀(555)을 갖는다.
셔터(540)는 가이드 홀(555)의 전면 개구부와 후면 개구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540)는 가이드 홀(555)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540)는 가이드 홀(555)의 상측 내벽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셔터(540)는 약 90도 회전 가능하다. 외력이 없을 경우, 셔터(540)는 중력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셔터(540)의 힌지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외력이 없을 경우, 셔터(540)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합부(520)는 가이드 몸체(5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가이드부(500)는 가이드 몸체(510)를 통해 수배전반 패널(200)의 프레임(21)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520)는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프레임(21)에 고정될 수 있다.
감지부(530)는 가이드 홀(555)의 전면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530)는,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일 수 있다. 또한, 감지부(530)는 이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500)의 감지부(530)와 전술된 로봇암의 돌출부(330)에 의해, 로봇암의 단자부(320)와 해당 작업 대상(60) 간의 거리가 판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로봇 시스템은, 도 30의 작업용 로봇(300), 도 31의 가이드부(500) 및 도 34의 로봇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42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로봇(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제어부(600) 또는 수동 조작부(470)에 의해 로봇암(RA1)이 도 37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전진할 수 있다. 그러면, 로봇암(RA1)의 일부는 가이드부(500)의 가이드 홀(555) 내에 삽입된다. 한편, 로봇암(RA1)이 전진함에 따라 로봇 제어부(600)의 광원(620)이 점멸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 점멸광을 통해, 작업자는 로봇암(RA1)이 현재 이동 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작업 대상(60)의 적어도 일부는 그 가이드부(500)의 가이드 홀(555)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대상(60)과 로봇암(RA1)은 셔터(54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본다.
이후,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암(RA1)이 도 38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더 전진함에 따라 로봇암(RA1)의 단자부(320)가 셔터(540)와 접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암(RA1)이 도 39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더 전진함에 따라, 로봇암(RA1)이 셔터(540)를 그 로봇암의 전진 방향으로 밀어 그 셔터(540)가 열리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로봇암(RA1)과 작업 대상(60) 사이의 연결 통로가 확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암(RA1)이 도 40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더 전진함에 따라, 로봇암(RA1)의 돌출부(330)가 감지부(530)와 접촉한다. 이 로봇암의 돌출부(330)가 감지부(530)와 접촉하는 순간, 이에 응답하여 감지부(530)는 로봇 제어부(600)로 접촉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 접촉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로봇 제어부(600)의 음향 출력부(610)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로봇암(RA1)의 돌출부(330)가 감지부(530)와 접촉하는 시점에서의 그 로봇암(RA1)의 단자부(320)와 작업 대상 간의 거리(d)는 전술된 임계값에 대응되는 거리이다. 예를 들어, 이 거리(d)는 80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봇암(RA1)의 단자부(320)와 작업 대상(예를 들어, 부스바) 간의 거리(d)가 임계값에 도달할 때, 감지부(530)가 이를 감지하여 로봇 제어부(600)에 알림으로써 음향 출력부(610)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음향 출력부(610)로부터의 경고음을 통해 로봇암(RA1)의 단자부(320)가 작업 대상(60)과 근접한 위치까지 전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음향 출력부(610)로부터의 경고음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된 후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이후,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암(RA1)이 도 41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더 전진함에 따라, 로봇암(RA1)의 단자부(320)가 작업 대상(60)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대상(60)의 단부는 단자부(320)의 하부 접촉판(321)과 상부 접촉판(322) 사이에 삽입되어 그 하부 접촉판(321) 및 상부 접촉판(322)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암(RA1)의 단자부(320)와 작업 대상(6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로봇암(RA1)의 단자부(320)와 작업 대상(6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작업자는 로봇 제어부(600)의 정지 제어 버튼(603)을 눌러 로봇암(RA1)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로봇암(RA1)의 단자부(320)와 작업 대상(6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이에 응답하여 로봇암(RA1)이 자동으로 멈출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예로서, 로봇 제어부(600)는 감지부(53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로봇암(RA1)의 단자부(320)와 작업 대상(60)이 접촉하기 까지의 시간) 이후 작업용 로봇(300)의 구동부(400)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로봇 제어부(600)의 음향 출력부(610)는 감지부(53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다시 출력될 때까지 계속해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대상(60)에 대한 작업 완료 후 로봇암(RA1)이 도 42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후진하면서 감지부(530)와 다시 접촉하는 바, 이때 감지부(530)는 접촉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두 번째 접촉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로봇 제어부(600)는 음향 출력부(610)로부터의 경고음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로봇 제어부(600)는 감지부(530)로부터 두 번째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로봇암(RA1)이 원래의 자리로 복귀하기 까지의 시간) 이후 작업용 로봇(300)의 구동부(400)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다른 로봇암들(RA2 내지 RA4) 역시 전술된 로봇암(R1)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3 및 도 44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돌출부(3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로봇암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제 1 로봇암(RA1) 및 제 2 로봇암(RA2)이 도 43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전진함에 따라, 제 1 로봇암(RA1)의 제 1 돌출부(331)가 제 1 감지부(531)와 접촉한다. 한편, 제 1 로봇암(RA1)의 제 1 돌출부(331)는 제 2 돌출부(332)보다 더 앞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여, 제 1 로봇암(RA1)의 제 1 돌출부(331)와 그 제 1 로봇암(RA1)의 연장부(310)의 일측 단부 간의 거리를 제 3 거리로 정의하고, 제 2 로봇암(RA2)의 제 2 돌출부(332)와 그 제 2 로봇암(RA2)의 연장부(310)의 일측 단부 간의 거리를 제 4 거리로 정의할 때, 제 3 거리는 제 4 거리보다 더 짧다. 이에 따라,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331)와 제 1 감지부(531) 간의 거리는 제 2 돌출부(332)와 제 2 감지부(532) 간의 거리보다 더 짧다. 따라서, 제 1 로봇암(RA1)과 제 2 로봇암(RA2)이 해당 작업 대상(61, 62)을 향해 동시에 전진할 때,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감지부(531, 532)에 상대적으로 더 근접하게 배치된 제 1 로봇암(RA1)의 제 1 돌출부(331)가 제 1 감지부(531)에 더 먼저 접촉한다. 다시 말하여, 제 1 로봇암(RA1)의 제 1 돌출부(331)가 제 2 로봇암(RA2)의 제 2 돌출부(332)보다 제 1 감지부(531)에 더 먼저 접촉한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 1 로봇암(RA1)의 돌출부(330)가 제 1 감지부(531)와 접촉하는 순간, 이에 응답하여 제 1 감지부(531)는 로봇 제어부(600)로 제 1 접촉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 제 1 접촉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로봇 제어부(600)의 광원(620)은 점멸광을 출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로봇암(RA1)의 제 1 돌출부(331)가 제 1 감지부(531)와 접촉하는 시점에서의 그 제 1 및 제 2 로봇암들(RA1, RA2)의 해당 단자부(320-1, 320-2)와 해당 작업 대상(61, 62) 간의 각 거리(d1, d2)는 전술된 임계값에 대응되는 거리이다. 예를 들어, 각 거리(d1, d2)는 80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로봇암(RA1)의 단자부(321)와 제 1 작업 대상(61; 예를 들어, 제 1 부스바) 간의 거리(d1) 및/또는 제 2 로봇암(RA2)의 단자부(322)와 제 2 작업 대상(62; 예를 들어, 제 2 부스바) 간의 거리(d2)가 임계값에 도달할 때, 제 1 감지부(530)가 이를 감지하여 로봇 제어부(600)에 알림으로써 광원(620)이 점멸광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광원(620)으로부터의 점멸광을 통해 제 1 및 제 2 로봇암들(RA1, RA2)을 포함한 모든 로봇암들의 각 단자부가 해당 작업 대상과 근접한 위치까지 전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이 광원(620)으로부터의 점멸광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출사된 후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다. 한편, 도 43와 같은 경우, 로봇암들(RA1, RA2)이 이동 중인 경우에 광원(620)은 소등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광원(620)은 제 1 로봇암(RA1)의 제 1 돌출부(330)가 제 1 감지부(530)와 접촉할 때(다시 말하여, 제 1 로봇암(RA1) 및 제 2 로봇암(RA2)의 각 단자부(320-1, 320-2)가 각 작업 대상(61, 62)에 임계값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 근접하였을 때)에만 점멸광을 출사할 수 있다.
한편,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로봇암(RA2)의 제 2 돌출부(330)는 제 2 감지부(530)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감지부(530)로부터는 접촉 감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후, 제 1 로봇암(RA1) 및 제 2 로봇암(RA2)이 도 44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더 전진함에 따라, 제 2 로봇암(RA2)의 제 2 돌출부(332)가 제 2 감지부(532)와 접촉한다. 한편,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로봇암(RA1)의 제 1 돌출부(331)는 제 1 감지부(531)와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 2 로봇암(RA2)의 돌출부(332)가 제 2 감지부(532)와 접촉하는 순간, 이에 응답하여 제 2 감지부(532)는 로봇 제어부(600)로 제 2 접촉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 제 2 접촉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로봇 제어부(600)의 음향 출력부(610)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로봇암(RA1)의 단자부(320-1) 및 제 2 로봇암(RA2)의 단자부(320-2)는 해당 작업 대상(61, 62)과 각각 접촉한다. 예를 들어, 제 1 로봇암(RA1)의 단자부(320-1)는 제 1 부스바와 접촉하고, 제 2 로봇암(RA2)의 단자부(320-2)는 제 2 부스바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음향 출력부(610)로부터의 경고음을 통해 제 1 및 제 2 로봇암들(RA1, RA2)을 포함한 모든 로봇암들의 각 단자부가 해당 작업 대상과 접촉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작업자는 그 경고음을 통해 제 1 및 제 2 로봇암들(RA1, RA2)을 포함한 모든 로봇암들의 각 단자부가 해당 작업 대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 1 및 제 2 로봇암들(RA1, RA2)의 각 단자부(320-1, 320-2)와 각 작업 대상(61, 6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작업자는 로봇 제어부(600)의 정지 제어 버튼(603)을 눌러 로봇암들(RA1, RA2)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및 제 2 로봇암들(RA1, RA2)의 각 단자부(320-1, 320-2)와 각 작업 대상(61, 6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이에 응답하여 제 1 및 로봇암들(RA1, RA2)을 포함한 모든 로봇암들이 자동으로 멈출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예로서, 로봇 제어부(600)는 제 2 감지부(532)로부터 제 2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 작업용 로봇(300)의 구동부(400)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또는 로봇 제어부는(600)는 그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로봇암(RA1)의 단자부(320)와 작업 대상(60)이 완전히 접촉하기 까지의 시간) 이후 작업용 로봇(300)의 구동부(400)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43와 같은 상황에서 로봇 제어부(600)의 광원(620) 대신 음향 출력부(610)가 제 1 경고음을 출력하고, 도 44와 같은 상황에서 로봇 제어부(600)의 음향 출력부(610)가 제 1 경고음과 다른 제 2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된 광원은 로봇암들이 이동 중일 때 점멸될 수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패널(200)의 사시도이고, 도 46은 도 45의 수배전반 패널(200)을 상측에서 바라다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수배전반 패널(200)은,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감지부(700) 및 가시광 출사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감지부(700)는 수배전반 패널(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광감지부(700)는 수배전반 패널(200)의 도어들 중 후면 도어(223)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감지부(700)는 후면 도어(223)에 의해 개폐되는 수배전반 패널(200)의 후면 개구부(888)에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광감지부(700)는 그 수배전반 패널(200)의 후면 개구부(888)를 정의하는 수배전반 패널(200)의 외곽 프레임(OF1, OF2, OF3, OF4)에 배치될 수 있다. 광감지부(700)는 복수의 감지광(700L)들을 출사할 수 있다. 이 복수의 감지광(700L)들은 서로 평행하게 출사된다. 이 감지광(700L)들은 가시 광원(880) 또는 적외선일 수 있다. 이 감지광(700L)들 중 적어도 하나가 차단될 경우, 광감지부(700)는 광차단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감지부(700)로부터의 복수의 감지광(700L)들이 작업자의 신체 또는 작업 도구 등에 의해 차단될 경우, 광감지부(700)는 그 감지 결과로서 광차단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수배전반 패널(200)은 고전류가 인가되는 부스바(bus bar; 예를 들어, 69)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수배전반 패널(200)의 유지/보수를 위해 작업자는 그 수배전반 패널(200)의 후면 도어(223)를 통해 그 부스바에 접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에게 위험 구역에 진입하였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광감지부(700) 및 광원(880)이 사용될 수 있다.
광감지부(700)는,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701) 및 반사판(702)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01; 또는 근접 센서부)는 수배전반 패널(200)의 외곽 프레임 중 제 1 외곽 프레임(OF1)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제 1 외곽 프레임(OF1)은 수배전반 패널(200)의 후면 도어(223)의 힌지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701)는 복수의 감지광(700L)들을 출사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701)는 그 제 1 외곽 프레임(OF1)과 마주보는 제 2 외곽 프레임(OF2)을 향해 복수의 감지광(700L)들을 출사할 수 있다. 센서부(701)로부터 출력된 감지광(700L)들은 후면 개구부(888)를 가로질러 제 2 외곽 프레임(OF2)으로 향해 진행할 수 있다. 힌지부에 연결된 후면 도어(223)의 가장자리를 제 1 가장자리로 정의하고, 그 후면 도어(223)의 제 1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그 후면 도어(223)의 가장자리를 제 2 가장자리로 정의할 때, 제 2 외곽 프레임(OF2)은 그 후면 도어(223)의 제 2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후면 도어(223)가 닫혀진 상태일 때, 제 2 외곽 프레임(OF1)은 그 후면 도어(223)의 제 2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701)로부터 출력되는 감지광(700L)은, 예를 들어, 가시 광선 또는 적외선일 수 있다. 센서부(701)는, 또한 광을 입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701)는 반사판(702)으로부터 반사된 광(예를 들어, 감지광(700L))을 입사받을 수 있다.
반사판(702)은 수배전반 패널(200)의 제 2 외곽 프레임(OF2)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판(702)은 센서부(701)를 마주보도록 그 제 2 외곽 프레임(OF2)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판(702)은 센서부(701)로부터 출력된 감지광(700L)들을 반사한다. 이 반사된 감지광(700L)들은 센서부(701)로 입사될 수 있다. 반사판(702)으로부터 반사된 감지광(700L)들은 후면 개구부(888)를 가로질러 센서부(701)에 입사될 수 있다.
가시광 출사부(800)는 수배전반 패널(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시광 출사부(800)는 광감지부(700)와 후면 도어(2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시광 출사부(800)는 그 광감지부(700)의 센서부(701)와 후면 도어(2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시광 출사부(800)는 제 1 외곽 프레임(OF1)에 배치될 수 있다. 가시광 출사부(800)는 복수의 가시광(800L)들을 출사할 수 있다. 가시광 출사부(800)로부터 출사된 가시광(800L)들과 센서부(701)로부터 출사된 감지광(700L)들은 평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가시광 출사부(800)로부터 출사된 가시광(800L)들의 진행 방향과 센서부(701)로부터 출사된 감지광(700L)들의 진행 방향은 평행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 출사부(800)로부터 출사되는 가시광(800L)들의 개수와 센서부(701)로부터 출사되는 감지광(700L)들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이때, 가시광 출사부(800)로부터의 가시광(800L)들은 센서부(701)로부터의 감지광(700L)들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 가시광(800L)과 감지광(700L)은 중첩할 수 있다. 가시광 출사부(800)에 의해 위험 구역이 시각화될 수 있다.
광원(880)은 수배전반 패널(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880)은 수배전반 패널(200)의 외곽 프레임 중 제 3 외곽 프레임(OF3)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외곽 프레임(OF3)은 제 1 외곽 프레임(OF1)의 상측 가장자리와 제 2 외곽 프레임(OF2)의 상측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880)은 광감지부(700)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광의 출력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광감지부(700)로부터의 광차단 감지 신호는 광원(880)으로 공급되는 바, 이 광차단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광원(880)은 광을 출사한다. 광원(880)은, 예를 들어, 특정 색상(예를 들어, 적색)의 광을 출사하는 경광등일 수 있다. 또한, 광원(880)은 그 경광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차단 감지 신호를 공급받은 광원(880)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광을 출사한 후 소등될 수 있다. 이 광원(880)의 광 출사 시간은 후면 도어(223)에 부착된 도어 개폐장치(110)의 회로부(164)에서 설정될 수 있다.
도 47은 도 45의 수배전반 패널(200)에 보조 도어(900)가 더 배치된 도면이고, 도 48은 도 47의 보조 도어(900)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49는 도 48의 수배전반 패널(200)을 상측에서 바라다본 도면이다.
수배전반 패널(200)은, 도 47 내지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도어(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도어(900)는 윈도우(901) 및 이 윈도우(901)를 둘러싸는 윈도우 프레임(902)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도어(900)는 광출사부와 후면 도어(223) 사이에 배치되어, 그 수배전반 패널(2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도어(900)의 윈도우 프레임(902)은 수배전반 패널(2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901)는 반투명 윈도우, 또는 소정의 광차단지수를 갖는 윈도우일 수 있다. 또한, 윈도우(901)는 어두운 계열의 색(예를 들어, 회색)을 갖는 윈도우일 수 있다.
센서부(701)로부터의 감지광(700L)이 적외선일 경우, 이 감지광(700L)은 작업자에게 잘 시감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시광 출사부(800)로부터의 가시광(800L)은 잘 시감되는 색상(예를 들어, 적색, 또는 녹색, 또는 청색)을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시광 출사부(800)로부터의 가시광(800L)은 주변이 밝은 곳일 경우 잘 시감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그 보조 도어(900)의 어두운 윈도우(901)를 통해 그 가시광 출사부(800)로부터의 가시광(800L)이 밝은 곳에서도 잘 시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도어(900)가 닫힌 경우, 작업자는 그 보조 도어(900)의 윈도우(901)를 통해 광 가시광 출사부(800)로부터의 가시광(800L)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701)로부터 감지광(700L)이 정상적으로 잘 출력되는지의 여부가 확인 가능하다. 한편, 가시광 출사부(800)는 센서부(701)로부터 감지광(700L)이 정상적으로 출사될 때에만 선택적으로 가시광(800L)을 출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센서부(701)는 감지광(700L)들과 함께 더미광을 더 출력할 수 있으며, 이 센서부(701)로부터의 더미광은 가시광 출사부(800)의 수광부로 입사된다. 센서부(701)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감지광(700L)들과 함께 더미광이 출사된다. 그러나, 센서부(701)에 이상이 발생되어 감지광(700L)들이 출사되지 않을 때 더미광도 출력되지 않는다. 가시광 출사부(800)는 더미광을 공급받는 경우에만 가시광(800L)들을 출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701)로부터 정상적으로 감지광(700L)들이 출사될 때, 가시광 출사부(800)도 가시광(800L)들을 출사할 수 있다. 반면, 센서부(701)로부터 감지광(700L)들이 출사되지 않을 때, 더미광도 출사되지 않으므로 가시광 출사부(800) 역시 가시광(800L)들을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더미광은 감지광(700L)과 동일한 광일 수 있다.
한편, 도 45 내지 도 49의 수배전반 패널(200)에는 전술된 도 1 내지 도 29의 도어 개폐장치(110)들, 음향 출력부(120)들, 도어 잠금장치(21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5 내지 도 49의 수배전반 패널(200)은 전술된 도 1 내지 도 29의 수배전반 패널(200)과 같이 제 1 전면 도어(221) 및 제 2 전면 도어(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5 내지 도 49의 수배전반 패널(200)에는 전술된 작업용 로봇(300) 및 가이드부(5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300: 작업용 로봇 110: 도어 개폐장치
223: 후면 전면 도어 200: 수배전반 패널
210: 도어 잠금장치 221: 제 1 전면 도어
222: 제 2 전면 도어 25: 차단기
69: 실제 작업 대상 60: 작업 대상
500: 가이드부 21, 22: 프레임

Claims (20)

  1. 수배전반 패널의 도어에 배치된 도어 잠금장치;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내부에 배치된 작업용 로봇;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내부에 배치된 광감지부;
    상기 광감지부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광의 출사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광원;
    패널 제어부; 및
    상기 패널 제어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개폐장치는 메인 서버에 전송된 레드 태그 정보를 근거로 활성화되며; 그리고,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며,
    상기 작업용 로봇은,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이송 축;
    상기 이송 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이송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을 포함하며;
    상기 로봇암은,
    상기 이송 플레이트 상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단자부를 포하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연장부의 일측 단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하부 접촉판 및 상부 접촉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부 접촉판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상부 접촉판의 일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하부 접촉판의 타측 단부 및 상기 상부 접촉판의 타측 단부는 서로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장치는, 하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1 램프, 제 2 램프 및 제 3 램프; 상기 하부 커버에 힌지 결합된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에,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온 버튼, 오프 버튼, 버저 스톱 버튼, 리셋 버튼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솔레노이드 구동부; 솔레노이드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회전 여부가 결정되는 핸들; 비상키가 삽입되는 비상키 삽입홀; 및 상기 핸들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보조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상부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폐장치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 1 램프가 점멸되며; 그리고,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상부 커버가 열릴 때, 상기 제 2 램프가 점멸되며;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온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솔레노이드 구동부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도어 잠금장치가 활성화되며;
    상기 활성화된 도어 잠금장치의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부에 의해 상기 활성화된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핸들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오프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솔레노이드 구동부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도어 잠금장치가 비활성화되며;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상부 커버가 닫힐 때, 상기 제 3 램프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점멸 후 소등되고, 그리고 상기 제 3 램프가 소등된 후 상기 제 1 램프가 점등되며;
    상기 도어 개폐장치 및 상기 도어 잠금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램프가 점멸되며; 그리고
    상기 도어 개폐장치가 활성화될 때,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상부 커버가 불투명 상태에서 투명 상태로 변화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은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잠금장치가 활성화될 때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솔레노이드 동작 버튼이 점멸되며; 그리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린 후 다시 닫힌 상태에서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리셋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솔레노이드 구동부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도어 잠금장치가 비활성화됨과 아울러 상기 도어 개폐장치가 초기화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제어부에 배치된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음향 출력부가 경고음을 출력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의 경고음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 후 해제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도어 개폐장치의 버저 스톱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의 경고음이 해제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후면 도어에 배치된 후면 도어 잠금장치; 및
    상기 패널 제어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면 도어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후면 도어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도어 개폐장치가 활성화될 때,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후면 도어 개폐장치가 함께 활성화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가이드 홀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홀의 전면 개구부에 배치된 감지부; 및
    상기 가이드 홀의 전면 개구부와 후면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홀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투명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은, 상기 연장부 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의 감지부에 대응되게 배치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암이 이동 중일 때 광을 출사하는 제 2 광원; 및
    상기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미리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상기 로봇암의 단자부와 작업 대상이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해당하는 크기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로봇암이 자동으로 이동을 멈추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암이 작업 대상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상기 음향 출력부는 음향을 출력하여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로봇암이 작업 대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음향의 출력을 해제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은 상기 이송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제 1 로봇암 및 제 2 로봇암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로봇암을 마주보게 배치된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로봇암을 마주보게 배치된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로봇암의 연장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로봇암의 돌출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2 로봇암의 연장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로봇암의 돌출부까지의 거리와 다른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광을 출사하는 제 2 광원; 및
    상기 제 2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미리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미리 설정된 제 1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 2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상기 제 1 음향과 다른 제 2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상기 제 1 가이부의 가이드 홀 내에 제 1 로봇암의 단자부와 제 1 작업 대상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해당하는 크기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 내에 상기 제 2 로봇암의 단자부와 제 2 작업 대상이 상기 임계값에 해당하는 크기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할 때, 제 1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 내에서 상기 제 1 로봇암의 단자부와 제 1 작업 대상이 접촉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 내에서 상기 제 2 로봇암의 단자부와 제 2 작업 대상이 접촉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로봇암의 돌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감지부가 접촉한 시점 또는 상기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제 1 및 제 2 로봇암이 자동으로 이동을 멈추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 축의 회전 방향 및 상기 구동부의 정지 여부를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용 로봇은,
    상기 이송 축의 일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동 조작부;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축에 전달하는 전달 축;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이송 플레이트 사이의 제 1 가이드 레일 및 제 2 가이드 레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부에 배치된 전면 결합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부에 배치된 후면 결합부; 및
    복수의 로봇암들의 연장부들에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 플레이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이 배치된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스테이지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로봇암들의 연장부들, 단자부들 및 연결 플레이트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지부는,
    감지광을 출사하며, 외부로부터의 광을 입사받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후면 도어 사이에 배치되어, 가시광을 출사하는 가시광 출사부; 및
    상기 가시광 출사부와 상기 후면 도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배전반 패널에 힌지 결합된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지부는 상기 수배전반 패널의 도어들 중 상기 후면 도어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사된 감지광의 진행 방향과 상기 가시광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가시광의 진행 방향이 평행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사된 감지광의 개수와 상기 가시광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가시광의 개수가 동일하며;
    상기 가시광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가시광과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감지광이 중첩하며; 그리고,
    상기 보조 도어는 반투명의 윈도우 또는 소정의 광차단지수를 갖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KR1020190119758A 2019-09-27 2019-09-27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KR102086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758A KR102086969B1 (ko) 2019-09-27 2019-09-27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758A KR102086969B1 (ko) 2019-09-27 2019-09-27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969B1 true KR102086969B1 (ko) 2020-03-11

Family

ID=6980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758A KR102086969B1 (ko) 2019-09-27 2019-09-27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9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524B1 (ko) 2021-02-09 2021-08-05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접지 작업용 로봇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286525B1 (ko) 2021-02-09 2021-08-05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접지 작업용 로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892A (ko) * 2001-07-04 2003-01-14 공진산업 주식회사 도어 록킹장치
KR101088807B1 (ko) * 2010-05-27 2011-12-01 주식회사 솔모정보기술 수배전반용 도어락
KR101211965B1 (ko) * 2012-04-06 2012-12-12 주식회사 일원 플레이트 정렬 장치
KR101550003B1 (ko) * 2015-06-30 2015-09-0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스마트 플랜트 구현을 위한 수배전반 제어시스템
KR101594333B1 (ko) * 2014-11-20 2016-02-16 정혜진 활선 상태의 충전부 접근 시 감전예방을 위한 근접경보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892A (ko) * 2001-07-04 2003-01-14 공진산업 주식회사 도어 록킹장치
KR101088807B1 (ko) * 2010-05-27 2011-12-01 주식회사 솔모정보기술 수배전반용 도어락
KR101211965B1 (ko) * 2012-04-06 2012-12-12 주식회사 일원 플레이트 정렬 장치
KR101594333B1 (ko) * 2014-11-20 2016-02-16 정혜진 활선 상태의 충전부 접근 시 감전예방을 위한 근접경보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550003B1 (ko) * 2015-06-30 2015-09-0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스마트 플랜트 구현을 위한 수배전반 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524B1 (ko) 2021-02-09 2021-08-05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접지 작업용 로봇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286525B1 (ko) 2021-02-09 2021-08-05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접지 작업용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969B1 (ko) 전장 패널에서의 작업용 로봇 융합형 수배전반
KR102086297B1 (ko) 작업용 로봇을 구비한 수배전반
US2923928A (en) mclaughlin
CN201017361Y (zh) 一种动车组检修作业安全联锁监控系统
US6420970B1 (en) Emergency exit door with an emergency door opening system with a control box having an emergency door opening button and display module
US4422068A (en) Intrusion alarm system for preventing actual confrontation with an intruder
KR102082611B1 (ko) 근접 센서 및 위험구역 시각화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도어 제어 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CN114514591A (zh) 带有按钮板的安全开关
US10746378B2 (en) Optical indicator of mechanical state
KR101550003B1 (ko) 스마트 플랜트 구현을 위한 수배전반 제어시스템
US3858193A (en) Electronic intrusion alarm system
JP5228658B2 (ja) 交通信号制御機
KR102079904B1 (ko) 작업용 로봇 시스템
KR20200039188A (ko) 수배전반의 셔터 도어장치
JP2008274669A (ja) 開口部の施錠構造
US11111652B2 (en)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battery
US20200018093A1 (en) Emergency door lock illumination apparatus
US20220251876A1 (en) Safety switch with touch panel for monitoring access to machines or industrial plants
KR102093075B1 (ko) 스마트 도어 제어 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CN113110222A (zh) 一种矿井全息安全智能风门控制系统及方法
KR20170014681A (ko) 횡단보도 조명등 제어장치
US4661805A (en) Device for indicating the movement and/or position of a shutoff means
KR101445046B1 (ko) Cctv 카메라용 작동 상태 표시 시스템
CN216487814U (zh) 三工位隔离接地装置
KR102071191B1 (ko) 스마트 도어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