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433B1 - 무자국 진공흡착패드 - Google Patents

무자국 진공흡착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433B1
KR102086433B1 KR1020170159975A KR20170159975A KR102086433B1 KR 102086433 B1 KR102086433 B1 KR 102086433B1 KR 1020170159975 A KR1020170159975 A KR 1020170159975A KR 20170159975 A KR20170159975 A KR 20170159975A KR 102086433 B1 KR102086433 B1 KR 10208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dsorption
pad
vacuum
bas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521A (ko
Inventor
김효성
Original Assignee
김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성 filed Critical 김효성
Priority to KR102017015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4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 being handled substantially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5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vertical transfer of a singl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65G2249/045Details of suction cups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무자국 진공흡착패드는, 진공발생장치에 연결되는 흡착본체; 및 상기 흡착본체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진공발생장치를 통해 발생된 진공을 이용하여 기판을 흡착하되 상기 기판 흡착 시 흡착 자국이 저감되는 무자국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자국 패드부는, 고무 재질의 패드몸체; 및 상기 패드몸체의 저면에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판을 흡착할 때 입자 탈락을 최소화하는 이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자국 진공흡착패드는, 패드본체의 기판 접촉 구역 상에 이형부재가 코팅되어 종래의 흡착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이형성이 확보될 수 있어 기판에 흡착 자국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기판의 오염과 손상이 저감되어 제품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자국 진공흡착패드{VACUUM PAD STRUCTURE OF ANTI SOIL COATING}
본 발명은 무자국 진공흡착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또는 OLED 기판의 이송 중 기판 상에 흡착 자국의 발생이 저지될 수 있는 무자국 진공흡착패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웨이퍼나 디스플레이(LCD, LED, OLED 등) 등의 대형 평판의 제조 공정이나 LCD 또는 OLED의 셀 이송 과정, 그리고 글래스 기판 등의 운송 작업 시 필수적으로 전술한 이송 설비 또는 이송 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 장치에는 기판을 흡착하는 흡착부가 마련된다.
여기서, 흡착부는 일반적으로 전술한 기판 상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흡착하는 구성으로서, 흡착부 자체의 여러 가지 물성(예를 들면, 경도, 내열 및 내마모성 등)과 흡착력의 신뢰성이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흡착부의 이형성(예컨대, 기판에 흡착부가 탈거될 때 흡착부의 자국이 남거나) 또는 방오성(예컨대, 흡착부의 이물질이 기판에 잔존하거나 흡착부에 잔여물이 묻는)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흡착부는 흡착력을 높이는데 강조한 나머지 이형성 테스트 및 방오성이 확보되지 않아 탈착 시 기판에 흡착 자국이 잔존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판의 오염과 손상을 야기하여 제품 수율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패드본체의 기판 접촉 구역 상에 이형부재가 코팅되어 종래의 흡착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이형성 및 방오성이 확보될 수 있어 기판에 흡착 자국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기판의 오염과 손상이 저감되어 제품 수율이 향상될 수 있는 무자국 진공흡착패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자국 진공흡착패드는, 진공발생장치에 연결되는 흡착본체; 및 상기 흡착본체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진공발생장치를 통해 발생된 진공을 이용하여 기판을 흡착하되 상기 기판 흡착 시 흡착 자국이 저감되는 무자국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자국 패드부는, 고무 재질의 패드몸체; 및 상기 패드몸체의 저면에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판을 흡착할 때 입자 탈락을 최소화하는 이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부재는, 베이스시트; 및 상기 베이스시트에 부착되어 상기 기판에 가해지는 접촉면적을 최소화시켜 상기 기판에 자국 발생이 저지되는 코팅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시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코팅시트는 상기 베이스시트의 일면에 도포되는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흑연(Graphite, C)분말 50 ~ 60 중량부와 바륨(Barium, Ba) 분말 10 ~ 20 중량부에 물 25 ~ 35 중량부로 된 혼합 용제로 마련되고, 상기 흑연 분말은 규소(Silicon, Si) 성분이 1 중량부 미만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용제의 반죽의 비중은 1.6 ~ 1.7일 수 있다.
상기 코팅시트의 두께는 100.0 ~ 200.0 ㎛ 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은 반도체, LCD 및 OLED 제조용 글래스 기판 또는 실리콘 기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자국 진공흡착패드는, 패드본체의 기판 접촉 구역 상에 이형부재가 코팅되어 종래의 흡착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이형성이 확보될 수 있어 기판에 흡착 자국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기판의 오염과 손상이 저감되어 제품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국 진공흡착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국 진공흡착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국 진공흡착패드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자국 진공흡착패드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국 진공흡착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국 진공흡착패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국 진공흡착패드의 저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상기 기판은 반도체, LCD 및 OLED 제조용 글래스 기판 또는 실리콘 기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자국 진공흡착패드는, 진공발생장치(미도시)에 연결되는 흡착본체(10); 및 상기 흡착본체(10)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진공발생장치를 통해 발생된 진공을 이용하여 기판을 흡착하되 상기 기판 흡착 시 흡착 자국이 저감되는 무자국 패드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본체(10)는 진공발생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흡착본체(10)의 하부에는 도 1 내지 도 2를 주로 참조하면 무자국 패드부(20)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흡착본체(1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가 드나드는 석션공(11)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흡착본체(10)의 하부에는 흡착본체(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무자국 패드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무자국 패드부(20)는 이형성이 높게 마련되어 기판 흡착된 다음 탈착 시에 기판 상에 흡착 자국이 최소화되고 무자국 패드부(20)의 입자 탈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무자국 패드부(20)는, 고무 재질의 패드몸체(21); 및 상기 패드몸체(21)의 저면에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판을 흡착할 때 입자 탈락을 최소화하는 이형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몸체(21)는 흡착본체(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기판을 흡착하는 흡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패드몸체(21)는 주로 고무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고분자 중합체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패드몸체(21)의 저면에는 부분적으로 이형부재(2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형부재(22)는 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시트(23); 및 상기 베이스시트(23)에 부착되어 상기 기판에 가해지는 접촉면적을 최소화시켜 상기 기판에 자국 발생이 저지되는 코팅시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시트(23)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베이스시트(23)는 후술하는 코팅시트(24) 즉, 코팅층(24)이 패드몸체(21)에 부착이 용이하게 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시트 상에 코팅시트의 친화성이 더 높기 때문에, 기판의 흡, 탈착 과정 중에 코팅층(24)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시트(23)는 자연 친화적인 고무 재질에 부착 가능성이 확보된다면, 폴리에틸렌 외에 폴리프로필렌이나 다른 고분자 중합체로 마련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베이스시트(23)의 판면에는 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코팅시트(2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코팅시트(24)는 상기 베이스시트(23)의 일면에 도포되는 코팅층(24)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코팅층(24)은 흑연(Graphite, C)분말 50 ~ 60 중량부와 바륨(Barium, Ba) 분말 10 ~ 20 중량부에 물 25 ~ 35 중량부로 된 혼합 용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24)을 형성하는 혼합 용제는 제조 과정 중 중간 매개인 반죽 가공 시 비중은 1.6 ~ 1.7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코팅층(24)에 포함되는 상기 흑연 분말에는 규소(Silicon, Si) 성분이 1 중량부 미만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코팅시트(24) 즉, 코팅층(24)은 베이스시트(23) 상에 100.0 ~ 200.0 ㎛ 으로 코팅 또는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마련되는 무자국 진공흡착패드는, 패드본체의 기판 접촉 구역 상에 이형부재(22)가 코팅되어 종래의 흡착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이형성이 확보될 수 있어 기판에 흡착 자국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기판의 오염과 손상이 저감되어 제품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흡착본체 11 : 석션공
20 : 무자국 패드부 21 : 패드몸체
22 : 이형부재 23 : 베이스시트
24 : 코팅시트

Claims (7)

  1. 진공발생장치에 연결되는 흡착본체; 및
    상기 흡착본체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진공발생장치를 통해 발생된 진공을 이용하여 기판을 흡착하되 상기 기판 흡착 시 흡착 자국이 저감되는 무자국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자국 패드부는,
    고무 재질의 패드몸체; 및
    상기 패드몸체의 저면에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판을 흡착할 때 입자 탈락을 최소화하는 이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부재는,
    베이스시트; 및
    상기 베이스시트에 부착되어 상기 기판에 가해지는 접촉면적을 최소화시켜 상기 기판에 자국 발생이 저지되는 코팅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시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코팅시트는 상기 베이스시트의 일면에 도포되는 코팅층이며,
    상기 코팅층은 흑연(Graphite, C)분말 50 ~ 60 중량부와 바륨(Barium, Ba) 분말 10 ~ 20 중량부에 물 25 ~ 35 중량부로 된 혼합 용제로 마련되고,
    상기 흑연 분말은 규소(Silicon, Si) 성분이 1 중량부 미만이며,
    상기 혼합 용제의 반죽의 비중은 1.6 ~ 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국 진공흡착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시트의 두께는 100.0 ~ 20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국 진공흡착패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반도체, LCD 및 OLED 제조용 글래스 기판 또는 실리콘 기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국 진공흡착패드.
KR1020170159975A 2017-11-28 2017-11-28 무자국 진공흡착패드 KR102086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75A KR102086433B1 (ko) 2017-11-28 2017-11-28 무자국 진공흡착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75A KR102086433B1 (ko) 2017-11-28 2017-11-28 무자국 진공흡착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521A KR20190061521A (ko) 2019-06-05
KR102086433B1 true KR102086433B1 (ko) 2020-03-09

Family

ID=6684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975A KR102086433B1 (ko) 2017-11-28 2017-11-28 무자국 진공흡착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338B1 (ko) 2021-04-16 2021-11-02 (주)네온테크 전자부품칩의 탈착이 용이한 진공패드, 이를 포함하는 진공척 테이블, 피커 및 이를 사용하여 전자부품칩을 픽업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1653A (ja) * 2007-03-29 2008-10-16 Sharp Corp 低負荷搬送装置
KR101764236B1 (ko) * 2016-09-30 2017-08-04 케이시시정공 주식회사 반도체 장비에 사용되는 이송용 흡착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627A (ja) * 1991-08-19 1993-06-22 Shinagawa Refract Co Ltd 非金属介在物付着堆積防止用耐火組成物
JP2834615B2 (ja) * 1992-04-16 1998-12-09 義信 白水 電気炉電極の通電性を有する酸化防止用コーティング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1653A (ja) * 2007-03-29 2008-10-16 Sharp Corp 低負荷搬送装置
KR101764236B1 (ko) * 2016-09-30 2017-08-04 케이시시정공 주식회사 반도체 장비에 사용되는 이송용 흡착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338B1 (ko) 2021-04-16 2021-11-02 (주)네온테크 전자부품칩의 탈착이 용이한 진공패드, 이를 포함하는 진공척 테이블, 피커 및 이를 사용하여 전자부품칩을 픽업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521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8035B2 (en) Microstructures for improved wafer handling
TWI467691B (zh) Electrostatic chu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8748885B2 (en) Soft material wafer bonding and method of bonding
TW504576B (en) Device holding apparatus
US20120193009A1 (en) Substrate bonding method and substrate bonding apparatus
WO2017193643A1 (zh) 机械手手臂、机械手及承载装置
KR101817703B1 (ko) 미세 섬모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KR20170026595A (ko) 기판 이송 로봇 엔드 이펙터
KR102344555B1 (ko) 엔드 이펙터용 흡입 장치, 기판을 홀딩하기 위한 엔드 이펙터 및 엔드 이펙터를 제조하는 방법
KR101374668B1 (ko) 중량물과 기판 겸용 이송 로봇
KR102086433B1 (ko) 무자국 진공흡착패드
TWI652217B (zh) 矽片吸附裝置、矽片傳送裝置、矽片傳輸系統及傳送方法
JP2005123583A5 (ko)
US9004564B2 (en) Wafer handling apparatus
KR101764236B1 (ko) 반도체 장비에 사용되는 이송용 흡착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TWD198931S (zh) 基板搬運用保持墊之部分
US20090003979A1 (en) Techniques for handling substrates
TWM410333U (en) Loading device
CN107452643B (zh) 基板压平设备与使用所述基板压平设备的半导体制造方法
TWI626117B (zh) 研磨墊及研磨方法
JP5995497B2 (ja) ウェーハ吸着装置およびウェーハ吸着方法
KR20210128550A (ko) 미끄럼 방지 패드를 포함한 반도체 웨이퍼 이송용 캐리어
KR20090001646U (ko) 패럴린 코팅 표면 처리된 반도체 칩 이송 장치의 픽업 헤드
KR20230092205A (ko) 반도체 웨이퍼 이송용 로봇암 블레이드에 탈부착되는 이중접합에 의한 미끄럼 방지 패드
KR20070033798A (ko) 웨이퍼 이송 로봇의 암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