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332B1 -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332B1
KR102086332B1 KR1020180153417A KR20180153417A KR102086332B1 KR 102086332 B1 KR102086332 B1 KR 102086332B1 KR 1020180153417 A KR1020180153417 A KR 1020180153417A KR 20180153417 A KR20180153417 A KR 20180153417A KR 102086332 B1 KR102086332 B1 KR 102086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mold
exposed
thermosetting resin
bur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운
Original Assignee
이종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운 filed Critical 이종운
Priority to KR1020180153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의 표면에 기형적인 혹이나 옹이가 박혀 있거나, 원목 내부에 구멍 또는 크랙이 있는 소위 벌우드(burl wood)를 이용한 가공목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목재 가공과정에서 자투리로 발생하는 벌우드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벌우드 목재도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벌우드의 원목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양하고 불규칙한 형상을 그대로 활용하여 이 세상에 단 하나 뿐인 고유한 형태의 목판재료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 및 그 제조방법{Wood board manufactured by burl wood and its prepraing method}
본 발명은 원목의 표면에 기형적인 혹이나 옹이가 박혀 있거나, 원목 내부에 구멍 또는 크랙이 있는 소위 벌우드(burl wood)를 이용한 가공목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목재 가공과정에서 자투리로 발생하는 벌우드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벌우드도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벌우드의 원목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양하고 불규칙한 형상을 그대로 활용하여 이 세상에 단 하나 뿐인 고유한 형태의 목판재료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목재(木材)는 인류가 가장 다양하고 유용하게 사용해 오고 있는 생활용 재료 중 하나로서, 건축, 가구, 선박, 인테리어, 도구, 악기 등의 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재는 일반적으로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원목을 소정의 두께와 규격을 갖는 널빤지나 각목, 또는 원기둥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원목의 표면에 기형적인 혹(gall)이나 옹이(burl)가 박혀 있거나, 원목 내부에 구멍(hole)이나 크랙(crack)이 있는 경우, 일반적인 목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원목 표면은 목재 가공과정에서 대부분 제거된다. 이처럼 원목의 표면에 불규칙한 혹이나 옹이가 드러나 있거나, 목재 내부에 구멍 또는 크랙이 있어서 목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적은 자투리 목재를‘벌우드(burl wood)’라 칭한다.
종래 단풍나무(maple), 포플러(poplar), 호두나무(walnut) 등에서 채취한 벌우드는 목재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독특한 나이테 무늬로 인해서 예컨대 악기 몸체나 만년필 몸체, 당구용 큐, 각종 인테리어 소품 등 주로 수제 가공품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벌우드는 목재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무늬의 결을 살리기 위하여 울퉁불퉁한 원목의 표면 부분을 모두 제거한다.
예컨대 종래에 벌우드로 탁자용 상판이나 기타 바디(guitar body)를 가공할 경우, 상기 상판이나 기타 바디보다 크기가 더 큰 벌우드를 소정의 형태로 절단한 후 그 표면을 연마하여 제조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벌우드나, 목재 가공 과정에서 자투리로 발생하는 벌우드는 사용할 수가 없다.
그리고, 종래의 방법으로 가공된 벌우드 가공목판은 목재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이테 무늬의 결을 밖으로 드러내는 방법으로 가공되었기 때문에 원목 표면에 존재하는 불규칙하고 자연스러운 혹이나 옹이, 구멍, 크랙 등의 형상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았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01265호(2005년 11월 08일)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 가공과정에 발생하는 자투리로 발생하는 벌우드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벌우드도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벌우드의 원목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양하고 불규칙한 혹이나 옹이, 구멍, 크랙 등의 형상을 그대로 활용하여 이 세상에 단 하나 뿐인 고유한 형태의 목판재료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은, 원목의 표면에 혹이나 옹이, 구멍 또는 크랙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벌우드(burl wood)를 절단하되, 소정의 형틀 내부에 수용 가능한 상면과 저면 및 노출변을 가지며 상기 저면과 상면 및 노출변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상기 원목의 표면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절단한 원목부재를 준비하고, 상기 원목부재의 저면이 상기 형틀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상기 원목부재의 노출변이 상기 형틀의 테두리 내측에 밀착되도록 배치한 다음, 상기 형틀 내부에 상기 원목부재를 제외한 모든 공간에다 소정의 장식물과 함께 투명한 열경화성 수지를 채워 넣고, 상기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서 목판성형물을 얻은 후, 상기 목판성형물의 표면을 연마하여서 제조된 것으로, 상기 원목의 표면에 형성된 혹이나 옹이, 구멍 또는 크랙이 경화된 열경화성 수지를 통해 투시되고, 상기 원목부재의 절단된 상면과 저면 및 노출변은 각각 상기 목판성형물의 상면과 저면 및 테두리변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의 제조방법은, 일정한 높이와 소정의 테두리 형상을 갖는 형틀을 준비하는 A) 단계와; 원목의 표면에 혹이나 옹이, 구멍 또는 크랙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벌우드(burl wood)를 절단하되, 평평한 저면과 상면, 그리고 상기 형틀 내부에 수용 가능한 크기 및 높이를 가지며, 상기 형틀의 테두리 내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변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과 상면 및 노출변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상기 원목의 표면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절단한 원목부재를 제조하는 B) 단계와; 상기 형틀 내부에 상기 원목부재를 배치하되, 상기 원목부재의 저면이 상기 형틀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또한 상기 원목부재의 노출변이 상기 형틀의 테두리 내측에 밀착되도록 배치하는 C) 단계와; 상기 형틀 내부에 투명한 열경화성 수지를 채우되, 상기 원목부재를 제외한 모든 공간에다 상기 원목부재와 같은 높이로 채워 넣은 D) 단계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상기 형틀을 제거한 다음, 얻어진 목판성형물의 표면을 연마하는 E)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은 목재 가공과정에 자투리로 발생하는 벌우드(burl wood)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아서 사용이 불가능한 벌우드 목재를 이용하여 이 세상에 단 하나 뿐인 고유한 형태와 미려한 디자인의 가공목판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목부재를 예시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형틀 내부에 원목부재와 장식물을 배치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탁자용 상판의 실물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른 탁자용 상판의 실물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기타 바디(guitar body)의 실물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대용 사진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의 제조방법은, A) 형틀 준비단계와, B) 원목부재 재단단계, C) 원목부재 배치단계, D) 경화성 수지 채움단계, 그리고 E) 탈형 및 마무리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A) 단계에서는 일정한 높이와 소정의 테두리 형상을 갖는 형틀(10)을 준비한다. 상기 형틀(10)은 본 발명에 따라 최종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가공목판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즉, 탁자용 사각형 상판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 상기 형틀(10)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타원형 상판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형틀(10)은 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예컨대 기타 바디(guitar body)를 제조하고 할 경우, 상기 형틀(10)은 기타 바디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다음으로 B) 단계에서는 원목부재(20)를 제조한다. 상기 원목부재(2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목의 표면에 혹이나 옹이, 구멍 또는 크랙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벌우드(burl wood)를 절단하되, 평평한 저면과 상면을 갖도록 절단한다.
또한, 상기 원목부재(20)는 상기 형틀(10) 내부에 수용 가능한 크기와 높이를 가지며, 상기 형틀(10)의 테두리 내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변(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면과 상면 및 노출변(21)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상기 원목의 표면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재단한다. 상기 노출변(21)은 장차 완성된 목판성형물의 일변 또는 테두리 일부를 형성하여 밖으로 노출된다.
또한 B) 단계에서는 재단된 원목부재(20)의 표면에 붙어 있는 나무껍질이나 톱밥 등 이물질을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원목부재(20)의 표면, 특지 원목의 표면 부분을 사포 등으로 문질러서 혹이나 옹이, 구멍 또는 크랙 등이 잘 드러나도록 깔끔하게 정리한다. 상기 원목부재(20)의 재료가 되는 벌우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단풍나무(maple), 포플러(poplar), 호두나무(walnut)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C) 단계에서는, 도 2와 같이, 상기 형틀(10) 내부에 상기 원목부재(20)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원목부재(20)는 그 저면이 상기 형틀(10)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또한 상기 원목부재(20)의 노출변(21)이 상기 형틀(10)의 테두리 내측에 밀착되도록 배치한다. 첨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형틀(10)과 원목부재(20)는 직사각형 형상의 탁자용 상판을 제조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1은 형틀(10)을 고정하는 클램프(clamp)이다.
상기 형틀(10) 내부에는 하나의 원목부재(20)가 배치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원목부재(2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형틀(10) 내부에 2개의 원목부재(20)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상기 원목부재(20)의 노출변(2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 형틀(10)의 테두리 내면에 밀착되어 있다.
상기 원목부재(20)의 양쪽 노출변(21)은 장차 완성된 탁자용 상판의 양변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목부재(20)에서 원목의 표면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양쪽 원목부재(20)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 D) 단계에서는 상기 형틀(10) 내부에 투명한 열경화성 수지(30)를 채워 넣는다. 즉, 상기 원목부재(20)를 제외한 모든 공간에는 상기 원목부재(20)와 같은 높이로 열경화성 수지(30)를 채워 넣는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30)는 열을 가하여 한번 성형을 하고 나면 다시 열을 가해도 다른 형태로 변형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 수지로서, 상기 원목부재(20)의 빈 공간을 채워서 목적하는 목판성형물의 형상을 구성하는 기능을 한다. 또는 도 2와 같이 상기 원목부재(20)가 2개 이상 사용된 경우에는 각 원목부재(20)를 한몸으로 결합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30)로는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중에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수지(30)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안료가 첨가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열경화성 수지(30)에다 옅은 푸른색 안료를 첨가하면 바다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30)를 한층씩 순차적으로 채우되, 한층의 높이를 5~15mm로 하고, 하층을 완전히 경화시킨 후에 그 다음 상층을 한층씩 차례로 채워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30) 한층을 완전히 경화시키는 데는 실온에서 24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따라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30)를 부어넣는 한층의 높이가 5mm 미만이면, 작업속도나 느려질 뿐 별다른 이득이 없고, 반대로 15mm를 초과하면 장차 목판성형물 내부에 기포나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30)를 한층 또는 두층 채워서 경화시킨 다음에는 그 위에다 조개껍질, 낙엽, 건조화(乾燥花), 조약돌, 솔방울, 도토리 등과 같은 장식물(31)을 배치하고, 그 위에다 다시 상기 열경화성 수지(30)를 한층씩 차례로 채워서 경화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장식물(31)들은 그 높이가 상기 형틀(10) 내부에 내치된 원목부재(20)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그래야 상기 형틀(10) 내부에 상기 원목부재(20)와 같은 높이로 열경화성 수지(30)를 채워 넣으면, 상기 장식물(31)들이 모두 열경화성 수지(30) 속에 잠기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30)를 실온에서 48시간 이상 건조하여 완전히 경화시키고, 상기 형틀(10)을 제거한 다음, 얻어진 목판성형물의 표면을 사포 등으로 연마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오일 등 표면처리제를 도포한다.
이렇게 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목의 표면에 형성된 혹이나 옹이, 구멍 또는 크랙이 경화된 열경화성 수지(30)를 통해 투시되고, 상기 원목부재(20)의 절단된 상면과 저면 및 노출변(21)은 각각 상기 목판성형물의 상면과 저면 및 테두리변으로 노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가공목판이 완성된다.
첨부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탁자용 상판의 실물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기타 바디(guitar body)의 실물시진이다.
10; 형틀 11; 클램프
20; 원목부재 21; 노출변
30; 열경화성 수지 31; 장식물

Claims (7)

  1. 일정한 높이와 소정의 테두리 형상을 갖는 형틀을 준비하는 A) 단계와;
    원목의 표면에 혹이나 옹이, 구멍 또는 크랙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벌우드(burl wood)를 절단하되, 평평한 저면과 상면, 그리고 상기 형틀 내부에 수용 가능한 크기 및 높이를 가지며, 상기 형틀의 테두리 내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변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과 상면 및 노출변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상기 원목의 표면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절단한 원목부재를 제조하는 B) 단계와;
    상기 형틀 내부에 상기 원목부재를 배치하되, 상기 원목부재의 저면이 상기 형틀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또한 상기 원목부재의 노출변이 상기 형틀의 테두리 내측에 밀착되도록 배치하는 C) 단계와;
    상기 형틀 내부에 상기 원목부재를 제외한 모든 공간에다 투명한 열경화성 수지를 채우되, 5~15mm의 높이로 하층을 채워서 경화시키고, 그 위에 조개껍질, 낙엽, 건조화(乾燥花), 조약돌, 솔방울, 도토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식물을 배치한 다음, 상기 원목부재와 같은 높이로 상층을 채워 넣은 D) 단계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상기 형틀을 제거한 다음, 얻어진 목판성형물의 표면을 연마하는 E)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하나의 형틀 내부에 2개의 원목부재를 배치하되, 상기 원목부재들은 각각의 노출변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형틀의 테두리 내면에 밀착되고, 양쪽 원목부재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열경화성 수지로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얻어지는 목판성형물은 탁자용 상판 또는 기타 바디(guitar body)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의 제조방법.
  7. 원목의 표면에 혹이나 옹이, 구멍 또는 크랙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벌우드(burl wood)를 절단하되, 소정의 형틀 내부에 수용 가능한 상면과 저면 및 노출변을 가지며 상기 저면과 상면 및 노출변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상기 원목의 표면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절단한 원목부재를 준비하고, 상기 원목부재의 저면이 상기 형틀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상기 원목부재의 노출변이 상기 형틀의 테두리 내측에 밀착되도록 배치한 다음, 상기 형틀 내부에 상기 원목부재를 제외한 모든 공간에다 장식물과 함께 투명한 열경화성 수지를 채워 넣고, 상기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서 목판성형물을 얻은 후, 상기 목판성형물의 표면을 연마하여서 제조된 것으로, 상기 원목의 표면에 형성된 혹이나 옹이, 구멍 또는 크랙이 경화된 열경화성 수지를 통해 투시되고, 상기 원목부재의 절단된 상면과 저면 및 노출변은 각각 상기 목판성형물의 상면과 저면 및 테두리변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
KR1020180153417A 2018-12-03 2018-12-03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86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417A KR102086332B1 (ko) 2018-12-03 2018-12-03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417A KR102086332B1 (ko) 2018-12-03 2018-12-03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332B1 true KR102086332B1 (ko) 2020-03-09

Family

ID=6980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417A KR102086332B1 (ko) 2018-12-03 2018-12-03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3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056B1 (ko) * 2021-12-31 2022-04-12 주식회사 나무나라 옹이, 구멍 또는 크랙이 존재하는 원목표면가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944A (ja) * 1993-04-30 1994-11-15 Eidai Co Ltd 耐水化粧板とその製造方法
KR200401265Y1 (ko) 2005-08-17 2005-11-15 권호영 간벌 폐나무를 이용한 무늬목 판재
KR100553829B1 (ko) * 2004-08-13 2006-02-21 김영순 규화목 패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패널, 이패널을 이용한 가구
KR20140144599A (ko) * 2013-06-11 2014-12-19 백종길 비금속 금형을 이용한 장식 판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944A (ja) * 1993-04-30 1994-11-15 Eidai Co Ltd 耐水化粧板とその製造方法
KR100553829B1 (ko) * 2004-08-13 2006-02-21 김영순 규화목 패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패널, 이패널을 이용한 가구
KR200401265Y1 (ko) 2005-08-17 2005-11-15 권호영 간벌 폐나무를 이용한 무늬목 판재
KR20140144599A (ko) * 2013-06-11 2014-12-19 백종길 비금속 금형을 이용한 장식 판재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056B1 (ko) * 2021-12-31 2022-04-12 주식회사 나무나라 옹이, 구멍 또는 크랙이 존재하는 원목표면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7449A (en) Process for producing sliced veneer
US10603812B2 (en) Process of making compreg multi-colored laminated wood and utility, ornamental, decorative products thereof
JPH0525641B2 (ko)
US20090081403A1 (en) Method of inlaying stone in wood
KR102086332B1 (ko) 벌우드를 이용한 가공목판 및 그 제조방법
CN108858631B (zh) 一种多层实木地板表面结疤修补工艺
KR102385056B1 (ko) 옹이, 구멍 또는 크랙이 존재하는 원목표면가공방법
RU263110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я с деревян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изделие, полученное заявленным способом (варианты)
DE502005003052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lzelementen mit einer eine Naturholzmaserung nachbildenden Maserung
JP2009269273A (ja) 自然風合の稠密板材及び自然風合の稠密板材の製造方法
RU2673999C1 (ru) Светильни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CN106169291A (zh) 一种弦乐器及其制作方法
CN109822693B (zh) 一种可拉丝的重组装饰木制造方法
RU215287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дерева с инкрустацией
CA2103339C (en) Mammoth ivory jewellery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RU229484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дерева с инкрустацией янтарем
KR20040022085A (ko) 대나무 야구 방망이 및 그 제조 방법
JP2020043940A (ja) 天板、それを備えたテーブルおよび天板の製造方法
JP3004787U (ja) 不良材による板欄間
Sandberg et al. The concept of value activation: a better utilization of wood
JP2017119949A (ja) 床用板材
KR100490588B1 (ko) 장신구 가공용 목재의 제조방법 및 그 목재
JP3531017B2 (ja) 塗板の製造方法
KR200257868Y1 (ko) 폐목을 이용한 바둑판
KR20200056661A (ko) 합성수지와 목재를 이용한 가구용 상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