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086B1 -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086B1
KR102086086B1 KR1020130165604A KR20130165604A KR102086086B1 KR 102086086 B1 KR102086086 B1 KR 102086086B1 KR 1020130165604 A KR1020130165604 A KR 1020130165604A KR 20130165604 A KR20130165604 A KR 20130165604A KR 102086086 B1 KR102086086 B1 KR 102086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onnection
access point
wireless access
respon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895A (ko
Inventor
서성훈
김경아
이현송
현재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5005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는 이기종 무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접속점에 연결되고 이기종 무선 통신망에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접속 상태 확인부,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사용자 단말과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무선 접속점으로 요청하는 접속 해지 처리부 및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도록 할당된 자원을 해지하는 단말 자원 해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DO FOR CONTROLLING ACCESS}
본 발명은 접속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기종 망 환경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기종 망에서 이용가능한 사용자 단말은 자신이 접속 가 능한 망에 IP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다. 즉, 사용자 단말이 한 시점에 연결된 접속점(Point of attachment)는 유일하며, 하나의 접속점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은 해당 접속점을 통해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은 특정 망의 접속점에 연결 가능한 상태에서 연결 불가능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망으로 재연결을 시도하고, 재연결이 실패하는 경우, 해당 망에 연결된 망자원 해지를 신청하고, 다른 망으로 접속을 시도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 망에서 타 망으로 핸드오버 시 발생하는 지연 시간이 적은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기종 무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접속점에 연결되고 상기 이기종 무선 통신망에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접속 상태 확인부; 상기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상기 무선 접속점으로 요청하는 접속 해지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도록 할당된 자원을 해지하는 단말 자원 해지부;를 포함하는 접속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접속 상태 확인부는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는 상기 응답 신호에 따른 응답회수, 접속 상태 확인 요청 횟수 대비 응답 신호 수신 횟수의 비율, 연속적인 미응답 횟수, 미응답 패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접속점과 미리 지정된 터널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속 상태 확인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접속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요청 받는 경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 접속점을 통한 재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접속점에 상응하는 무선 통신망 이외의 타 무선 통신망의 무선 접속점으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기종 무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접속점에 연결되고 상기 이기종 무선 통신망에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상기 무선 접속점으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도록 할당된 자원을 해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접속점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에 따른 응답회수, 접속 상태 확인 요청 횟수 대비 응답 신호 수신 횟수의 비율, 연속적인 미응답 횟수, 미응답 패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무선 접속점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지정된 터널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접속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요청 받는 경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 접속점을 통한 재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접속점에 상응하는 무선 통신망 이외의 타 무선 통신망의 무선 접속점으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을 통해 통신 불가능 상태인 경우, 다른 망으로 핸드 오버하고 기존 망의 할당된 자원을 해지하기 위해 소요되는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오버 제어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접속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가 사용자 단말의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를 “전송한다”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오버 제어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오버 제어 시스템은 앵커 게이트웨이(110), 제1 무선 접속점(120), 접속 제어 장치(130), 제2 무선 접속점(140) 및 사용자 단말(150)을 포함한다. 이 때, 앵커 게이트웨이(110) 및 제2 무선 접속점(140)은 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접속 제어 장치(130), 제1 무선 접속점(120)은 보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앵커 게이트웨이(110)는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주 네트워크 및 보조 네트워크와 인터넷 간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50)은 앵커 게이트웨이(110)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무선 접속점(120)은 미리 지정된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150)과 연결되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접속점(120)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일 수 있다.
접속 제어 장치(130)는 보조네트워크 및 앵커 게이트웨이 간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이다.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제2 무선 접속점(14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50)의 연결 상태를 체크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150)의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한 접속을 제어한다. 추후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접속 제어 장치(130)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무선 접속점(140)은 보조 네트워크와 사용자 단말(150)간의 연결하여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접속점(140)은 와이파이(WiFi) 서비스를 제공하는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일 수 있다. 또한, 접속 제어 장치(130)와 제2 무선 접속점(140) 간의 연결은 Ethernet over GRE, IPSec, L2TP 등의 공지된 터널링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제어 장치(130) 및 제2 무선 접속점(140) 간의 메시지 유실에 의해 접속 상태가 오인되는 경우를 방지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50)은 주 네트워크 및 보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속 제어 장치(1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 접속 상태 확인부(220), 데이터베이스(230),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240), 단말 자원 해지부(250) 및 접속 해지부(26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는 하나 이상의 제2 무선 접속점(14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 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는 thernet over GRE, IPSec, L2TP 등의 공지된 터널링 프로토콜을 통해 제2 무선 접속점(14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접속 상태 확인부(220)는 사용자 단말(150)의 접속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을 요청하는 접속 상태 확인 요청를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한다. 접속 상태 확인부(220)는 접속 상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를 데이터베이스(230)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230)는 접속 상태 확인부(220)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를 저장한다.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240)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응답 신호를 확인하고 접속 상태가 불량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이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사용자 단말이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240)는 접속 해지부(260)로 해당 단말에 대한 접속 해지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240)는 응답 신호를 확인하여, 접속 상태에서의 응답회수, 접속 상태 확인 요청 횟수 대비 응답 신호 수신 횟수의 비율, 연속적인 미응답 횟수, 미응답 패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즉,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240)는 응답회수가 3회 이상이고, 접속 상태 확인 요청 횟수 대비 응답 신호 수신 횟수의 비율이 0.9 이상이고, 연속적인 미응답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50)에 대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없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접속 해지부(260)는 접속 해지부(260)는 해당 단말과 연결되었던 제2 무선 접속점으로 접속 해지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접속 해지부(260)는 자원 해지 요청을 단말 자원 해지부(250)로 전송한다.
단말 자원 해지부(250)는 접속 해지부(260)로부터 수신한 자원 해지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에 상응하여 할당되었던 자원을 해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50)의 접속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50)의 접속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50)에 할당된 자원을 해지하여 접속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50)은 별도의 재접속을 위한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당해 접속 제어 장치(130)나 제2 무선 접속점(140)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150)에 대해 할당한 자원을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130)는 재접속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재접속을 시도로 인해 소요되는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접속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 때, 사용자 단말(150)의 초기 상태는 보조 접속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임을 가정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한다.
단계 320에서 사용자 단말(150)은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현재 사용자 단말(150)의 접속 상태가 양호함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접속 제어 장치(130)로 전송한다.
단계 33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접속 상태가 양호함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한다. 이 때, 단계 310과 단계 330 간은 미리 지정된 시간차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사용자 단말(150)은 접속점과의 접속 상태가 좋지 않음에 따라 현재 사용자 단말(150)의 접속 상태가 불량함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접속 제어 장치(130)로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150)은 접속점과의 접속 상태가 좋지 않음에 따라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접속 제어 장치(130)로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34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속 상태가 불량함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단계 35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단계 340에서 수신한 응답 신호 또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함에 따라 제2 무선 접속점(140)으로 접속 해지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355에서 제2 무선 접속점(140)은 접속 해지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50)과의 접속을 해지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150)에 할당된 자원을 해지한다. 이 때, 제2 무선 접속점(140)은 사용자 단말(150)로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50)이 접속 해지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360에서 사용자 단말(150)은 제2 무선 접속점과의 접속이 불량해짐에 따라 접속 요청을 제1 무선 접속점(120)으로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150)은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한 통신이 불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무선 접속점(120)을 통해 접속을 시도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50)은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해 재접속을 시도하고, 재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지속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50)은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해 재접속을 시도하여, 재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한 통신이 불가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50)는 제2 무선 접속점(140)으로부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접속을 해지할 수 있다.
단계 370에서 제1 무선 접속점(120)은 접속 요청에 상응하는 접속 수락을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한다.
단계 380에서 제1 무선 접속점(120)과 사용자 단말(150) 간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접속점과 당해 접속 제어 장치(130)에 할당된 사용자 단말(150)에 대해 할당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50)은 재접속 시도 없이 망을 전환하여 네트워크 서비스가 중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가 사용자 단말의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50)의 초기 접속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150)이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해 전송한 접속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50)이 제2 무선 접속점(140)을 통해 초기 접속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접속 제어 장치(130)는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기 위해 미리 지정된 자원을 사용자 단말(150)에 할당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한다.
단계 43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의 접속 상태에 따라 접속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단계 430이 종료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응답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150)이 접속 상태가 불량한지 판단한다.
단계 44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접속 상태가 불량한 경우, 단계 45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접속 해지 요청을 제2 무선 접속점(140)으로 전송한다.
단계 460에서 접속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50)에 할당된 자원을 해지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1 무선 접속점에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접속 상태 확인부;
    상기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상기 제1 무선 접속점으로 요청하는 접속 해지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도록 할당된 자원을 해지하는 단말 자원 해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접속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접속 해지를 요청 받는 경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무선 접속점과 다른 제2 무선 접속점으로 접속 요청을 전송하는 접속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상태 확인부는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불량 단말 탐지부는 상기 응답 신호에 따른 응답회수, 접속 상태 확인 요청 횟수 대비 응답 신호 수신 횟수의 비율, 연속적인 미응답 횟수, 미응답 패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접속점과 미리 지정된 터널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속 상태 확인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5. 삭제
  6. 접속 제어 장치가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무선 접속점에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무선 접속점 간의 접속 해지를 상기 제1 무선 접속점으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도록 할당된 자원을 해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접속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접속 해지를 요청 받는 경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명시적 접속 해지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무선 접속점과 다른 제2 무선 접속점으로 접속 요청을 전송하는 접속 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접속 제어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에 따른 응답회수, 접속 상태 확인 요청 횟수 대비 응답 신호 수신 횟수의 비율, 연속적인 미응답 횟수, 미응답 패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량함을 판단하는, 접속 제어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지정된 터널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접속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접속 제어 방법.
  10. 삭제
KR1020130165604A 2013-11-18 2013-12-27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86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213 2013-11-18
KR20130140213 2013-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895A KR20150057895A (ko) 2015-05-28
KR102086086B1 true KR102086086B1 (ko) 2020-03-06

Family

ID=5339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604A KR102086086B1 (ko) 2013-11-18 2013-12-27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0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919B1 (ko) * 2015-12-16 2022-04-2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와이파이(Wi-Fi) 통신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41B1 (ko) * 2006-01-06 2007-06-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천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163B1 (ko) * 2009-09-25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수행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41B1 (ko) * 2006-01-06 2007-06-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천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895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6421B2 (en) Edge computing relocation
KR102115896B1 (ko) 무선 링크 실패 또는 핸드오버 실패의 원인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EP3016469B1 (en) Method and device for mode switching
US9405685B2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during hand-over and apparatus therefor
EP3425958B1 (en) Bearer switching method, base station apparatus, and network node
US2014034957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evice-To-Device Connection
US11337217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air interface resource
KR10219430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30637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and terminal
US20180092019A1 (en) User equipment apparatus
KR102246978B1 (ko) 라우팅 방법 및 장치
JP2017501622A (ja) ユーザ機器のコンテキスト情報を取得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501190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establishing radio link
KR201600265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연결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US9621455B2 (en) Cross-device linear multiplex section protection method, gateway and controller
CN105554854A (zh) 局域网内wifi切换方法和系统
CN106304160B (zh) 承载创建、基站切换处理方法及装置
KR102086086B1 (ko)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
EP3536117B1 (en) Pdcp anchored change of relay based connection
CN109089260B (zh) 一种实现无线终端漫游检测的方法、ap和ac
CN108377519B (zh) 一种处理会话连接的方法及装置
JP6490327B2 (ja) 地上無線局
WO2018173461A1 (ja) 基地局、無線中継局、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8594673B2 (en) Bandwidth control system
WO2015096012A1 (zh) 一种会话处理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