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785B1 -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 - Google Patents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785B1
KR102085785B1 KR1020180088946A KR20180088946A KR102085785B1 KR 102085785 B1 KR102085785 B1 KR 102085785B1 KR 1020180088946 A KR1020180088946 A KR 1020180088946A KR 20180088946 A KR20180088946 A KR 20180088946A KR 102085785 B1 KR102085785 B1 KR 102085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ell
pipe
trumpet
mouth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842A (ko
Inventor
조성태
Original Assignee
조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태 filed Critical 조성태
Priority to KR102018008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7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체를 이용하여 벨을 1개 또는 2개 중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 또는 지휘자의 선택에 따라 한 개의 악기로 단음 또는 양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연결체의 삽입공으로 밸브 캐스팅부의 유출관을 삽입시킴과 동시에 연결체의 제1, 2 설치공으로 제1, 2 벨의 설치관들을 각각 삽입시키는 작업만으로 두 개의 벨들을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밸브 캐스팅부의 유출관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연결체를 통과하여 제1, 2 벨들에서 각각 공진된 상태로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단일 악기를 이용하여 양음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connector for extending bell and trumpet therewith}
본 발명은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연결체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벨을 1개 또는 2개 중 택일하여 사용 가능함으로써 연결체를 이용한 벨의 간단한 조립을 통해 단음 또는 양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에 관한 것이다.
트럼펫은 금관악기 중에서 가장 높은 음을 내는 악기로서, 마우스 피스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공진시킴과 동시에 밸브(Valve)들을 구비하여 연주자에 의한 밸브들의 가압상태에 따라 주입된 공기의 순환경로가 변경되어 다양한 음향 및 음색을 제공한다.
이러한 트럼펫은 화려하고 밝은 음색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가장 대중적이고 오랜 역사를 지닌 금관악기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87584호(발명의 명칭 : 금관악기)에 개시된 금관악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의 금관악기(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는 공기의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취구관(110)과, 취구관(110)과 연통하며 슬라이더가 각각 마련된 밸브 캐스팅(120), (120‘), (120’‘)들과, 밸브 캐스팅(120), (120’), (120‘’)들 각각에 승강구조로 설치되어 승강작용을 통해 밸브 캐스팅(120), (120’), (120‘’)과 슬라이더를 몸체에 형성된 연통공을 통해 택일하여 연통시키는 밸브부재(123), (123‘), (123’‘)들과, 취구관(110)을 통해 유입되어 밸브 캐스팅(120), (120’), (120‘’)을 거쳐서 공진된 음향을 확성하여 토출하는 벨(130)을 포함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밸브 캐스팅(120), (120‘), (120’‘)의 바닥면에는 제 1 자력부재가 설치되고, 밸브 캐스팅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밸브부재(123), (123’), (123‘’)의 하단에는 제 1 자력부재와 척력을 형성하는 제 2 자력부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제1 자력부재 및 제2 자력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에 의해 각 밸브부재(123), (123’), (123‘’)의 상향 지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밸브부재(123), (123’), (123‘’)에 제1 자력부재 및 제2 자력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보다 큰 가압력이 발생하면 밸브부재(123), (123’), (123‘’)들이 하강하게 되고, 가압력이 제거되면 밸브부재가 척력에 의해 재상 1 자력부재와 제 2 자력부재 사이에 형성된 척력 보다 큰 가압력이 제공되면 밸브부재는 하강하고, 가압력이 제거되면 밸브부재는 제1 자력부재 및 제2 자력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에 의해 재 상승함으로써 내구성 및 작동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공진된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벨(130)이 한 개만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한된 크기의 음향만 제공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예를 들어, 만약 지휘자 또는 연주자가 웅장한 사운드를 원할 경우, 한 개의 벨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크기는 한정되기 때문에 트럼펫 및 트럼펫 연주자의 수량을 늘려야만 원하는 크기의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인력소모 및 비용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만약 2개의 트럼펫이 준비된다고 하더라도, 트럼펫 연주자의 연주실력 및 호흡 패턴 등의 다양한 물리적 파라미터들에 의해 동일한 사운드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연결체를 이용하여 벨을 1개 또는 2개 중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 또는 지휘자의 선택에 따라 한 개의 악기로 단음 또는 양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연결체의 삽입공으로 밸브 캐스팅부의 유출관을 삽입시킴과 동시에 연결체의 제1, 2 설치공으로 제1, 2 벨의 설치관들을 각각 삽입시키는 작업만으로 두 개의 벨들을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밸브 캐스팅부의 유출관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연결체를 통과하여 제1, 2 벨들에서 각각 공진된 상태로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단일 악기를 이용하여 양음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마우스 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에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취구관을 포함하는 마우스 피스부; 슬라이더가 각각 형성되며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되, 상부에 밸브부재가 설치되는 밸브 캐스팅들과, 상기 밸브 캐스팅들 중 일측 밸브 캐스팅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유출관과, 상기 밸브 캐스팅들 중 타측 밸브 캐스팅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취구관이 결합되는 유입관을 포함하는 밸브 캐스팅부; 구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에 상기 유출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에 대향되는 외주면에 설치공들이 대향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공과 상기 설치공들 각각의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설치공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유출관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를 공진시켜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 벨 및 제2 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삽입공 및 상기 설치공들이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 및 상기 설치공들로 상기 유출관, 제1 벨 및 제2 벨이 삽입될 때, 내부 공간이 밀봉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체를 이용하여 벨을 1개 또는 2개 중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 또는 지휘자의 선택에 따라 한 개의 트럼펫 악기로 단음 또는 양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체의 설치공들로 제1, 2 벨들의 설치관들을 각각 삽입시키는 작업만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개의 트럼펫 악기로 2개의 벨에서 나오는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력소모 및 비용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87584호(발명의 명칭 : 금관악기)에 개시된 금관악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트럼펫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밸브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연결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트럼펫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일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트럼펫(1)은 연결체(9)를 이용하여 벨을 1개 또는 2개 중 택일하여 부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한 개의 트럼펫 악기를 이용하여 단음 또는 양음의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트럼펫(1)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캐스팅부(3)와, 마우스 피스부(5), 제1 벨(7), 제2 벨(7‘), 연결체(9)로 이루어진다.
마우스 피스부(5)는 연주자의 입에 접촉되어 연주자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는 마우스 피스(51)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밸브 캐스팅부(3)에 연결되는 취구관(55)과, 마우스 피스(51) 및 취구관(55)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연결시키는 마우스 피스 리시버(53)로 이루어진다.
이때 취구관(55)은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측이 마우스 피스 리시버(53)에 연결되는 제1 수평관(551)과, ‘⊃’자 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제1 수평관(551)에 연결되는 연결관(553)과, 소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 형성되어 연결관(553)의 단부에 일측이 연결되되 타측이 밸브 캐스팅부(3)에 연결되는 제2 수평관(555)으로 이루어진다.
즉 취구관(55)은 마우스 피스(5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제공하여 유입된 공기를 밸브 캐스팅부(3)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도 3의 밸브 캐스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밸브 캐스팅부(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슬라이더(33), (33‘), (33’‘)들이 마련된 제1, 2, 3 밸브 캐스팅(31), (31’), (31‘’)들과, 제1 밸브 캐스팅(31)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파이프 형상의 유출관(35)과, 제3 밸브 캐스팅(31‘’)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파이프 형상의 유입관(37)으로 이루어진다.
제1, 2, 3 밸브 캐스팅(31), (31‘), (31’‘)들은 제1, 2, 3 슬라이더(33), (33’), (33‘’)들이 각각 마련된다. 이때 제1, 2, 3 밸브 캐스팅(31), (31‘), (31’‘)들 중 인접하는 밸브 캐스팅들 사이에는 연통관(39)이 형성됨으로써 제1, 2, 3 밸브 캐스팅(31), (31‘), (31’‘)들은 연통관(39)을 통해 상호 연통상태를 이룬다.
또한 제3 밸브 캐스팅(31‘’)의 제3 슬라이더(33‘’)에는 링(331)이 설치된다.
또한 제1, 2, 3 밸브 캐스팅(31), (31‘), (31’‘)들의 각각의 상부에는 각 밸브 캐스팅(31), (31’), (31‘’)에 승강구조로 설치되는 밸브부재(311), (311‘), (311’‘)들이 설치되고, 각 밸브부재(311), (311’), (311‘’)들은 외력이 제거되면 상승되는 상태를 유지하되,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밸브부재(311), (311‘), (311’‘)들에는 연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가압될 때마다 연통공의 위치 변화를 통해 각 밸브 캐스팅(31), (31’), (31‘’)들로 유입된 공기의 순환경로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밸브 캐스팅의 동작 과정은 트럼펫 악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 밸브 캐스팅(31)의 일측부에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유출관(35)이 설치되고, 유출관(35)은 후술되는 도 6과 7의 연결체(9)가 결합됨으로써 밸브 캐스팅부(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제1, 2 벨(7), (7‘)들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3 밸브 캐스팅(31‘’)의 일측부에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관(37)이 설치되고, 유입관(37)은 전술하였던 마우스 피스부(5)의 취구관(55)의 제2 수평관(555)이 연결됨으로써 마우스 피스(5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밸브 캐스팅부(3)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마우스 피스(5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취구관의 제1 수평관(551) -> 연결관(553) -> 제2 수평관(555) -> 유입관(37) -> 밸브 캐스팅부(3)의 경로로 이동하게 되고, 밸브 캐스팅부(3)를 통과한 공기는 유출관(35) -> 제1, 2 벨(7), (7‘)들의 경로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제1 벨(7)을 살펴보면, 제1 벨(7)은 통상의 벨로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공진시켜 외부로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 벨(7)은 단부에 ‘ㄷ’자 형상의 설치관(71)이 형성되고, 설치관(71)은 후술되는 도 6과 7의 연결체(9)의 제1 설치공(91)으로 삽입된다.
제2 벨(7‘)은 제1 벨(7)과 동일한 형상 및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설치관이 연결체(9)의 제2 설치공(92)으로 삽입되고, 이러한 제1, 2 벨(7), (7‘)들은 트럼펫 악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 2 벨(7), (7‘)들 사이에는 고정핀(79)이 결합됨으로써 고정핀(79)에 의하여 제1, 2 벨(7), (7‘)들이 지지되어 조립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3의 연결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다.
연결체(9)는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평탄면(900)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체(9)의 평탄면(900)에는 삽입공(90)이 형성되고, 삽입공(90)으로는 밸브 캐스팅부(3)의 유출관(35)이 삽입된다.
또한 연결체(9)는 평탄면(900)에 대향되는 외주면에 제1 설치공(91) 및 제2 설치공(92)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1 설치공(91)으로는 제1 벨(7)의 설치관(71)이 삽입되고, 제2 설치공(92)으로는 제2 벨(7‘)의 설치관이 삽입되게 된다.
또한 연결체(9)의 제1 설치공(91), 제2 설치공(92) 및 삽입공(90)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연결체(9)의 삽입공(90)으로 밸브 캐스팅부(3)의 유출관이 삽입되면서 제1, 2 설치공(91), (92)들로 제1, 2 벨(7), (7‘)들의 설치관들이 삽입될 때, 연결체(9)의 내부 공간이 긴밀하게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밀봉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밸브 캐스팅부(3)의 유출관(35)은 연결체(9)의 삽입공(90)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연결체(9)의 제1 설치공(91) 및 제2 설치공(92)으로는 제1 벨(7)의 설치관 및 제2 벨(7‘)의 설치관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유출관(35)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는 연결체(9)를 통과하여 제1 벨(7) 및 제2 벨(7’)로 유입된 후, 제1, 2 벨(7), (7‘)들을 통해 공진되어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트럼펫(1)은 연결체(9)를 이용하여 벨을 1개 또는 2개 중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 또는 지휘자의 선택에 따라 한 개의 악기로 단음 또는 양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럼펫(1)은 연결체(9)의 삽입공(90)으로 밸브 캐스팅부(3)의 유출관(35)을 삽입시킴과 동시에 연결체(9)의 제1, 2 설치공(91), (92)들로 제1, 2 벨(7), (7‘)들의 설치관들을 각각 삽입시키는 작업만으로 조립이 완성됨에 따라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럼펫(1)은 밸브 캐스팅부(3)의 유출관(35)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연결체(9)를 통과하여 제1, 2 벨(7), (7‘)들 각각에서 공진된 상태로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단일 악기를 이용하여 양음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1:트럼펫 3:밸브 캐스팅부 5:마우스 피스부
7:제1 벨 7‘:제2 벨 9:연결체
31:제1 밸브 캐스팅 31;:제2 밸브 캐스팅 31‘’:제3 밸브 캐스팅
33:제1 슬라이더 33‘제2 슬라이더 33’‘:제3 슬라이더
35:유출관 37:유입관 39:연통관
51:마우스 피스 53:마우스 피스 리시버 55:취구관
311:제1 밸브부재 311‘:제2 밸브부재 311’‘:제3 밸브부재
551:제1 수평관 553:연결관 555:제2 수평관

Claims (3)

  1. 마우스 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에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취구관을 포함하는 마우스 피스부;
    슬라이더가 각각 형성되며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되, 상부에 밸브부재가 설치되는 밸브 캐스팅들과, 상기 밸브 캐스팅들 중 일측 밸브 캐스팅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유출관과, 상기 밸브 캐스팅들 중 타측 밸브 캐스팅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취구관이 결합되는 유입관을 포함하는 밸브 캐스팅부;
    구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에 상기 유출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에 대향되는 외주면에 설치공들이 대향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공과 상기 설치공들 각각의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설치공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유출관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를 공진시켜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 벨 및 제2 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삽입공 및 상기 설치공들이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 및 상기 설치공들로 상기 유출관, 제1 벨 및 제2 벨이 삽입될 때, 내부 공간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럼펫.
  2. 삭제
  3. 삭제
KR1020180088946A 2018-07-31 2018-07-31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 KR102085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46A KR102085785B1 (ko) 2018-07-31 2018-07-31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46A KR102085785B1 (ko) 2018-07-31 2018-07-31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842A KR20200013842A (ko) 2020-02-10
KR102085785B1 true KR102085785B1 (ko) 2020-03-06

Family

ID=6962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946A KR102085785B1 (ko) 2018-07-31 2018-07-31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7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9252B2 (ja) * 1994-01-10 2006-02-22 オニバ・ソシエダッド・アノニマ 管楽器の改善およびこの管楽器の部材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091U (ja) * 1993-02-19 1994-09-22 株式会社豊繁 管楽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9252B2 (ja) * 1994-01-10 2006-02-22 オニバ・ソシエダッド・アノニマ 管楽器の改善およびこの管楽器の部材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842A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19170B (zh) 改进的鼓
US8116499B2 (en) Microphone adaptor for altering the geometry of a microphone without altering its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EP1998316B1 (en) Musical instrument playing actuator, play assisting mouthpiece, brass instrument, automatic playing apparatus, and play assisting apparatus
US7428878B2 (en) Whistle
CN114093337B (zh) 带有阀的管乐器和与带有阀的管乐器一起使用的阀
CN102956220A (zh) 铜管乐器用消音器
KR102085785B1 (ko)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
WO2015109686A1 (zh) 管乐器小号及其制作成型方法
AU2010271713B2 (en) Nose pipe instrument capable of modulating the tone thereof
JP2016505892A (ja) 流体フロー制御バルブ
CN102163420B (zh) 一种葫芦丝
US2542720A (en) Comic reed whistle and the like
US6231417B1 (en) Owl hooter game call
CN108039163A (zh) 铜管乐器的吹口
KR200390550Y1 (ko) 오카리나
JPH041695A (ja) サクソフォーン
KR20140109917A (ko) 색소폰과 클라리넷 마우스피스에 이용되는 클램프
JP2006209146A (ja) 金管楽器用消音器
KR101684187B1 (ko) 다양한 옥타브의 연주가 가능한 오카리나
CN113079705B (zh) 金属管乐器
CN215895945U (zh) 电吹管的吹嘴结构
JP3792231B2 (ja) 湯沸かし器の吹鳴方法と吹鳴装置
CN219143771U (zh) 共用卡宏鼓共鸣箱的新型古筝
US552612A (en) Warren h
CN217767807U (zh) 一种牛角巴乌及葫芦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