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688B1 - 멀티채널 네트워크 기반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채널 네트워크 기반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688B1
KR102085688B1 KR1020180126531A KR20180126531A KR102085688B1 KR 102085688 B1 KR102085688 B1 KR 102085688B1 KR 1020180126531 A KR1020180126531 A KR 1020180126531A KR 20180126531 A KR20180126531 A KR 20180126531A KR 102085688 B1 KR102085688 B1 KR 10208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publicity
revenue
content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421A (ko
Inventor
황유빈
Original Assignee
황유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유빈 filed Critical 황유빈
Priority to KR102018012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6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 MCN) 기반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멀티채널 네트워크에 연결된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에 의해 생산된 콘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콘텐츠의 퍼블리시티권(Publicity Right)을 갖는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콘텐츠의 완성도, 품질, 전문성 및 인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 설정된 수익 분배율을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상기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상기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익 분배율에 대한 승인이 있으면,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콘텐츠 플랫폼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플랫폼 서버에서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게재하여 상기 등록된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하면, 상기 수익 분배율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상기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에게 상기 발생된 수익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에 의해 생산된 콘텐츠가 기 등록된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에 의해 생산된 콘텐츠가 아니면, 상기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과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간의 퍼블리시티권 협의를 중재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채널 네트워크 기반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METHOD FOR PROVIDING PUBLICITY RIGHT TRANSACTION BASED ON MULTICHANNEL NETWORK}
본 발명은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품형 콘텐츠인 굿즈와 정보형 콘텐츠의 선순환 구조로 소비자, 권리자 및 생산자 모두 상생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예인이나 아티스트의 경우 방송에 출연하거나 음원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팬들의 콘텐츠 생산 활동으로 인하여 팬들의 저작권과 연예인이나 아티스트의 퍼블리시티권(The Right of Publicity)의 입법 요구 및 상충되는 니즈가 대립하고 있고, 학계에서는 이를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법부 및 판례는 소극적인 입장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때, 퍼블리시티권을 보호하는 방법은, 불법 복제 상품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4-0101783호(2004.12.03 공개)에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상을 활용하여 지적재산권자 및 저작권자, 초상권자 등을 포함, 이들과의 적법 계약관계에 의거 라이선스 상품을 제조 유통하는 사업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불법복제상품 색출 기능을 포함한 로열티 정산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늘어나는 팬들의 콘텐츠 생산 및 재생산에 따른 유통 경로는 막을 방법이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 현실이며, 이에 따라 공식적인 콘텐츠 및 굿즈(Goods)가 아니라는 점에서 그 품질이 저급하고, 사기까지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적법 계약관계에 있는 주체가 기획사만이 존재하는 것을 고려하면, 굿즈(Goods)의 다양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여전히 콘텐츠, 다른 물품이나 제품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고, 수요의 발생으로 인한 불법적인 공급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텐츠 생산자로부터 콘텐츠를 업로드받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포인트 또는 수익 배분을 하며, 포인트를 다시 콘텐츠 생산자이면서 소비자인 팬들로부터 굿즈를 구매하는데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자는 전문화 및 고품질되어가는 콘텐츠를 홍보에 이용할 수 있으며, 콘텐츠 생산자는 자신의 콘텐츠로 자신이 좋아하는 유명인을 홍보도 하면서 유명인의 굿즈까지 얻을 수 있는 상생의 기회를 제공하고, 니즈(Needs)의 충족으로 불법적인 유통 경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콘텐츠 및 굿즈 기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생산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생산자가 저작한 저작물인 콘텐츠를 등록하는 등록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등록 이벤트에 포함된 콘텐츠 생산자의 콘텐츠 생산자 데이터 및 생산된 콘텐츠를 퍼블리시티권(Publicity Right) 사용권을 보유한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퍼블리시티권 사용권과 저작물인 콘텐츠에 대한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을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생산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에 대한 승인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로 제공하여 게재되도록 하는 단계, 및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콘텐츠 생산자 단말로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생산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굿즈(Goods)를 구매하는 포인트 또는 현금으로 상기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콘텐츠 생산자 단말로 상기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퍼블리시티권을 사용하여 생산된 제품인 굿즈에 대한 퍼블리시티권 사용권 허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기 허가 요청을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퍼블리시티권 사용권에 대한 허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허가 데이터에 기반한 굿즈 제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굿즈 제작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승인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콘텐츠 생산자 단말로 상기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 상기 퍼블리시티권 사용료인 수익금을 결제하고,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인 상기 저작권의 대가인 수익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생산자 단말로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퍼블리시티권의 주체로부터 업로드된 콘텐츠를 수집하여 상기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에서 웹 크롤링된 상기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와 관련된 콘텐츠를 수집하는 경우, 상기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업로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에서 수집된 콘텐츠를 업로드한 콘텐츠 생산자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생산자의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생산자 단말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추출된 생산자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콘텐츠 생산자 단말로 상기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의 기본 이미지를 상기 주체의 식별자를 매핑하고, 상기 주체의 명칭을 태깅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본 이미지의 명칭 또는 상기 주체의 기본 이미지와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 굿즈를 웹 크롤링(Web Crawling)을 통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굿즈를 판매하는 판매자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판매자의 정보가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추출된 판매자의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 생산자 상기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에 관하여 저작한 저작물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가 유통되는 경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과 연동된 배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언어로 업로드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텐츠 생산자로부터 콘텐츠를 업로드받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포인트 또는 수익 배분을 하며, 포인트를 다시 콘텐츠 생산자이면서 소비자인 팬들로부터 굿즈를 구매하는데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자는 전문화 및 고품질화 되어가는 콘텐츠를 홍보에 이용할 수 있으며, 콘텐츠 생산자는 자신의 콘텐츠로 자신이 좋아하는 유명인을 홍보도 하면서 유명인의 굿즈까지 얻을 수 있는 상생의 기회를 제공하고, 니즈(Needs)의 충족으로 불법적인 유통 경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및 굿즈 기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및 굿즈 기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At least one)의 의미는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를 사용한 경우, 이하에서 중복으로 삭제할 수 있고, 이는 정의된 용어와 동일한 용어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및 굿즈 기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및 굿즈 기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 판매자 단말(7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콘텐츠 및 굿즈 기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고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거나 직접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과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은,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고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거나 직접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 판매자 단말(7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저작권과 퍼블리시티권의 주체가 다름으로써 발생하는 수익분배 문제와, 퍼블리시티권의 보호가 입법화되지 않아 보호되지 못했던 초상권 및 퍼블리시티권의 사용권을 단일화 및 공식화된 경로를 통하여 배포 및 수익금 분배를 협의하도록 함으로써, 퍼블리시티권의 주체를 포함한 저작물에 대한 창작자의 가치와 주체의 고객흡입력의 경제적 가치를 모두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저작자의 무형의 가치인 콘텐츠에 대한 수입 분배를 결정하고, 콘텐츠의 유통 경로를 단일화함과 동시에, 저작자의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를 부여하여, 유형의 굿즈(Goods)를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저작자와 인격권자의 상생을 도모할 방안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은, 인격권자(퍼블리시티권의 주체, 초상권자)의 얼굴을 이용하거나 자신의 초상, 성명, 목소리 등 그 사람임을 보여줄 수 있는 특징을 활용한 창작자의 정신적 산물인 콘텐츠를 생산하는 생산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은, 콘텐츠를 생산하여 배포가능한 상태로 놓이게 한 생산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를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찍거나, 이를 편집하거나, 스타에 관한 그림을 그리거나, 만화 또는 소설을 쓰거나 하여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스타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방송인인 저작자의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은, 콘텐츠를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공유함으로써 포인트를 받거나 수익금을 분배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은, 포인트를 분배받고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굿즈(Goods)를 구매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은, 인격권자의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역할이 부여된 생산자의 단말일 수도 있다. 이때, 역할은 피디, 작가, 에디터 등의 크리에이터의 역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에서 콘텐츠를 등록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콘텐츠에 따른 수익금 배분율 또는 포인트를 제공하고,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에서 다른 콘텐츠를 소비하거나, 굿즈를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의 생산자가 영향력이 있고 수익을 내고 있는 생산자인 경우에는, 수익금을 어떻게 인격권자와 배분할 것인지에 대한 협의 및 계약을 진행하도록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익이 발생한 경우,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과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비율로 수익을 배분하고, 수수료를 취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로 콘텐츠가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 및 다양한 언어로 배포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유통 경로(콘텐츠 제공자(CP))를 단일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즉,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기적인 또는 실시간으로 웹 크롤링을 실시하고, 인격권자가 포함된 콘텐츠(저작물)가, 등록된 판매자 또는 콘텐츠 생산자에 의해 생산되지 않은 콘텐츠인 경우, 인격권자가 포함된 콘텐츠를 리스트에 업로드하고 퍼블리시티권 사용권 및 초상권에 관하여 콘텐츠 생산자와 콘텐츠 제공자가 협의를 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로부터 수집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에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에서 콘텐츠를 이용한 2차 가공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되, 해당 2차 가공 콘텐츠를 저장할 수는 없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은,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Contents Service Provider, CSP)란 디지털화 된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은, 기획사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이 제공하는 콘텐츠는 디지털 콘텐츠로 인터넷이나 네트워크를 통해서 이용 가능한 정보나 서비스일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에서 콘텐츠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은, 콘텐츠가 유통될 국가 등을 선정하여, 선정된 국가의 콘텐츠 플랫폼 및 언어로 콘텐츠가 유통 및 소비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은, 인격권자에게 사용에 대한 금액을 결제해주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은, 저작권자와의 수익금 비율을 결정하고, 이를 조정 및 협의하는 콘텐츠 제공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은, 콘텐츠를 소비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은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말일 수도 있는데,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은,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의 역할을 수행하여 포인트를 얻은 경우, 다른 사람들의 콘텐츠를 소비하거나, 굿즈를 포인트로 구매하는 소비자의 단말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는, 콘텐츠를 유통시키는 플랫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은, 구글, 유투브,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위챗 등과 같은 포털 사이트, 미디어 사이트, 소셜 미디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는, 콘텐츠를 게재하고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과 콘텐츠에 대한 수익금을 배분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700)은,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판매 물품에 대한 허가를 득하는 경우,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판매자 단말(700)은,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정산받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판매자 단말(7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7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전송부(320), 분배부(330), 게재부(340), 정산부(350), 굿즈 관리부(360) 및 권리 관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및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로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및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은,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및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콘텐츠 소비자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 판매자 단말(7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생산자가 저작한 저작물인 콘텐츠를 등록하는 등록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는, 저작자와 인격권자가 달라짐으로써 발생하는 퍼블리시티권과 저작권의 입법 및 상충관계에서 출발하게 된다.
여기서, 퍼블리시티권은, 개인의 이름, 초상, 서명, 목소리 등의 인격적인 요소가 파생하는 일련의 재산적 가치를 권리자가 독점적으로 지배하는 권리로, 퍼블리시티권이란 이름, 초상, 서명, 목소리 등의 개인의 인격적인 요소가 파생하는 일련의 재산적 가치를 권리자가 독점적으로 지배하고 허락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도록 통제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는데, 기존의 인격권인 초상권 등에 재산권의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한편, 저작권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을 창작한 저작자가 가지는 권리이며, 저작권, 저작인격권 및 저작인접권을 포함한다. 이때, 저작권은, 문학, 예술 등의 창작 활동으로 만들어진 창조적 저작물을 복제할 수 있는 권리이다. 그리고, 저작권이 창작자의 권리라면 저작인접권은 창작자가 아닌 자들이 가질 수 있는 권리로 주로 저작물을 문화콘텐츠의 형태로 복제, 배포 과정에 관계하는 자들의 권리고, 저작인격권은 저작권의 주체와 분리할 수 없는 인격적 이익의 향수를 내용으로 하는 권리로 저작재산권과 구별되며, 이는 공표권, 성명표시권, 동일성유지권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것이면 만족하기 때문에, 스타 등을 촬영한 사진이나, 스타를 소재로 하여 팬이 쓴 소설, 스타를 소재로 그린 만화, 스타의 동영상 편집본 등이 "팬"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저작물로 인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와 저작물의 주체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저작권도 복수개의 인격권 및 인접권의 주체가 달라져서 입법이 존재하는데도 분쟁이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스타"라는 사람을 주제로(퍼블리시티권의 주체, 인격권자), 팬(저작권자)의 창작성이 더해진 "저작물"이 탄생하는 경우, 그 권리관계를 해결하는데에는 판단 근거도 미약해서 분쟁 및 갈등이 더욱더 고조될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퍼블리시티권과 저작권의 차이는 사진을 예로 들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스타의 사진에서 저작권은 찍은 사람이 가지고, 초상권과 퍼블리시티권은 찍힌 스타가 가진다. 이때, 저작권은 창작자의 개성이 담긴 표현을 보호하지만, 퍼블리시티권은 스타의 고객흡입력이라는 경제적 가치를 보호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콘텐츠가 쉽게 전파되는 요즘 보호할 가치가 있음에도 퍼블리시티권의 경제적 가치와 저작권의 창작적 가치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에 대한 입법이 정확하지 않고, 2015년 이후의 주류적인 판례는 물권법정주의를 들어서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하지 않는 추세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는,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와 저작자가 달라짐에 따른 소송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막고, 저작권자와 인격권자의 상생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퍼블리시티권의 주체, 인격권자, 초상권자는 동일한 주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정의하기로 한다. 물론, 계약 관계에 따라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와 인격권자(초상권자)의 주체가 달라질 수도 있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한편, 동영상 소비 방식과 행태가 다양화되면서 크리에이터, BJ라 불리는 1인 콘텐츠 창작자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1인 창작자들의 콘텐츠를 묶어 유통하고 관리하는 채널네트워크 사업이 멀티채널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 MCN)이다. MCN은 1인 창작자들의 소속사 개념으로, 창작자들의 콘텐츠 유통 및 광고유치, 자금지원 등 매니지먼트와 마케팅을 대행하고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창작자와 분배하는 미디어 네트워크 사업을 뜻한다.
최근에는 웹드라마와 웹예능 등 온라인 전용 동영상 제작 및 SNS나 포털을 통한 유통 등 미디어 소비 방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콘텐츠를 공급자 관점에서 1인 창작자의 콘텐츠(User Creative Contents, UCC)와 기성 콘텐츠(Ready Made Contents, RMC)로 구분해서 소비 정도를 조사한 결과, 10대와 20대를 중심으로 UCC가 주로 소비되는 반면, 기성 콘텐츠는 40대와 50대를 중심으로 소비되는 경향이 뚜렷하다.
즉, 유튜브 등 UCC 플랫폼과 모바일 이용이 확대되면서 소위 1인 방송이라고 하는 UCC 콘텐츠가 새로운 미디어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는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1인 창작자와 콘텐츠를 유통하는 플랫폼으로 구성되는데, 최근 유명 스타 1인 창작자들이 등장하고 이들이 큰 수익을 내면서 1인 창작자들의 기획사라 할 수 있는 MCN이 등장했다. MCN은 여러 1인 창작자들을 채널의 개념으로 묶어서 유튜브 등 UCC 플랫폼에 콘텐츠를 유통시키고, 광고를 유치하고,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등 매니지먼트와 마케팅을 대행하는 네트워크 사업이다. 콘텐츠로부터 발생되는 수익은 1인 창작자와 플랫폼 사업자, MCN 사업자에게 분배된다.
이에 따라, 1인 창작자가 스타에 대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일반인의 콘텐츠보다는 고품질의 광고효과가 높은 UCC가 생성되고, 저작권자로서의 수익 분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쟁을 해결하고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상생의 길을 찾기 위하여, 콘텐츠 생산자의 퍼블리시티권 문제와, 기획사의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고 퍼블리시티권을 중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전송부(320)는, 수신된 등록 이벤트에 포함된 콘텐츠 생산자의 콘텐츠 생산자 데이터 및 생산된 콘텐츠를 퍼블리시티권(Publicity Right) 사용권을 보유한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인격권자 또는 해당 인격권자가 소속된 기획사 등의 단말일 수 있다.
분배부(330)는, 퍼블리시티권 사용권과 저작물인 콘텐츠에 대한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을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의 완성도, 품질, 전문성, 인기 등에 따라 수익을 배분할 수도 있고, 포인트를 지급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은 고정된 것은 아니고 변동가능할 수 있다. 이때, 크리에이터 수익의 대부분을 빼앗거나 특정 내용 혹은 방향으로 방송하기를 요구하는 등 일부 악덕 MCN의 갑질로 크리에이터가 피해를 입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피해 사례에 대한 빠른 조사 진행과 콘텐츠 기획·제작을 위한 시스템 및 플랫폼의 개발이 필요한 최근 시장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는, 크리에이터(콘텐츠 생성자)와 퍼블리시티권의 주체 간의 공정한 거래를 도울 수 있다.
또한, 분배부(330)는,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및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할 때,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로 퍼블리시티권 사용료인 수익금을 결제하고,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인 저작권의 대가인 수익금을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로 결제할 수 있다.
게재부(340)는,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에 대한 승인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로 제공하여 게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은, 네이버 등과 같은 포털 사이트, 유투브와 같은 동영상 공유 사이트 등일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기획사)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콘텐츠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자본 및 시간이 요구되므로, 이미 형성된 콘텐츠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각 구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A가 소속된 B 기획사(소속사)가 존재하는 경우, B 기획사에서 네이버, 페이스북 또는 유투브 등과 같은 콘텐츠 플랫폼을 만들어 A에 대한 콘텐츠를 유통시키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이에 따라,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유통시킬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서버(600)에 A에 대한 콘텐츠를 유통시키되, A의 수요자가 존재하는 영역(또는 나라)에 맞는 콘텐츠 플랫폼을 선택하여 유통시켜 수수료 및 수익분배의 손해를 최소화하고, 한 나라 내에서도 다양한 콘텐츠 플랫폼(블로그, 까페, SNS, 동영상 채널 등)을 이용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정산부(350)는,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및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수익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콘텐츠에 대한 대가로 미리 콘텐츠 생산자에게 지불될 수도 있고,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700)로부터 굿즈(Goods)를 구매하는 포인트 또는 현금으로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다. 즉, 퍼블리시티권은 무형의 콘텐츠와 유형의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에 적용될 수 있는데, 굿즈는 후자에 속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유통 경로를 단일화하고 불법 거래 등을 양성화하기 위하여 유통 경로를 단일화시킬 수 있다.
즉, 굿즈 관리부(360)는, 정산부(350)에서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및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한 후,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700)로부터 퍼블리시티권을 사용하여 생산된 제품인 굿즈에 대한 퍼블리시티권 사용권 허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굿즈 관리부(360)는, 허가 요청을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로 전송하여,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로부터 퍼블리시티권 사용권에 대한 허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굿즈 관리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700)로부터 허가 데이터에 기반한 굿즈 제작 데이터를 수신하고, 굿즈 제작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로 전송하며,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로부터 승인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7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퍼블리시티권의 주체로부터 업로드된 콘텐츠를 수집하여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에 업로드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에서 웹 크롤링된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와 관련된 콘텐츠를 수집하는 경우,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에서 수집된 콘텐츠를 업로드한 콘텐츠 생산자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추출된 콘텐츠 생산자의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추출된 생산자 정보를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권리 관리부(370)는, 정산부(350)에서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및 콘텐츠 생산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한 후,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의 기본 이미지를 주체의 식별자를 매핑하고, 주체의 명칭을 태깅하여 저장할 수 있고, 기본 이미지의 명칭 또는 주체의 기본 이미지와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 굿즈를 웹 크롤링(Web Crawling)을 통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권리 관리부(370)는, 수집된 굿즈를 판매하는 판매자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판매자의 정보가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700)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추출된 판매자의 정보를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콘텐츠 생산자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에 관하여 저작한 저작물을 포함하고, 콘텐츠가 유통되는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600),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 및 콘텐츠 제공자 단말(400)과 연동된 배포 서버를 포함하고,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언어로 업로드될 수 있다.
또한, 굿즈는, 오프라인 상품, 오프라인 서비스 물품, 온라인 상품, 오프라인 서비스 물품,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의 콘텐츠의 2차 가공 콘텐츠일 수 있다. 그리고,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의 굿즈는, 3 가지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첫 번째는, 기획사에서 직접 판매하는 굿즈, 두 번째는 판매자의 상품을 기획사에서 승인을 받아 판매하는 굿즈, 세 번째는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인증한 판매자가 판매하는 굿즈이다. 두 번째의 굿즈는 개별 상품별로 기획사의 승인을 받아 출고되는 제품이고, 세 번째의 굿즈는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에서 퍼블리시티권의 실시권을 기획사로부터 위임받고, 승인된 판매자에게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생산되는 굿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계약 형태에 따른 굿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는, 기획사로부터 퍼블리시티권 사용권을 득하고, 콘텐츠 생산자 및 판매자에게 합법적인 판매 권리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및 굿즈의 다양화 및 가격 경쟁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불법적으로 유통되는 콘텐츠 및 제품을 근절하고자 한다. 또한, 구매자에게는, 다양하면서도 퀄리티있는 제품이 판매될 수 있으므로, 다양하면서도 대규모의 상품 판매 및 신뢰 가능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스타를 좋아하는 팬(Fan)의 콘텐츠는 점점 다양화, 고급화 및 전문화되고 있다. 즉, 팬의 직업이나 능력 등에 따라 전문가가 만든 것과 같은 콘텐츠도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예를 들어, A 연예인에 대한 B 프로그램의 부족한 연출을 메우기 위하여 SNS를 통한 적극적 홍보와 지하철 유료 광고판 설치라던지, 자신이 좋아하는 A 연예인을 유명하게 만들기 위해 각종 화면 캡처와 움직이는 이미지를 만들어 온라인에 배포하는 역할 역시 팬의 몫이 되었다. 또한, 자신이 좋아하는 A 연예인을 찍기 위해, 포토그래퍼가 새를 근접촬영할 때 쓰는 고가의 장비를 갖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한다던지, 웹툰작가가 A 연예인의 홍보를 위하여 만화를 그린다던지, 유명한 소설가가 A 연예인을 좋아해서 A 연예인을 소재로 소설을 쓴다던지, 파워블로거가 A 연예인에 대한 블로그를 업로드한다던지 하는 사례는 빈번하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각자의 방법으로 콘텐츠를 유통시키고 있을 뿐이고, 콘텐츠의 생산자가 된 소비자의 콘텐츠는 공식적이고 단일화되며 합법적인 계약 관계로 유통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는, 콘텐츠를 생산하는 팬이 콘텐츠를 기획사에 넘겨주면,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의 공식 굿즈를 구매할 수 있는 포인트를 얻게되는 굿즈몰(제품형 콘텐츠)과 홍보채널(정보형 콘텐츠)을 통합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획사의 입장(콘텐츠 제공자)에서는 합법적으로 스타의 굿즈(스타에 한정하지 않음)를 판매할 수도 있으면서, 홍보를 위한 비용을 굳이 들이지 않아도 팬들이 생성한 콘텐츠로 홍보도 할 수 있으며, 팬들의 입장(콘텐츠 생성자 또는 소비자)에서는, 자신이 좋아서 만든 콘텐츠를 판매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의 굿즈를 살 수 있으므로, 기획사와 팬들이 모두 윈윈하면서 입법의 빈자리를 맺굴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이트의 정체성과, 사용자의 니즈(Needs) 및 편의와 사이트 확장성을 확보하면서, 불법적인 시장을 근절할 수 있도록 하며, 도 7을 참조하면, (a) 정상적인 유통 경로 없이는, 비밀스러운 판매로 제대로 된 값을 받지 못하거나, 판매처를 찾기 어렵거나 상품이 조잡하거나 유통경로가 확실하지 않아 사기피해를 받는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식 판매처와 정식 콘텐츠 유통 경로를 생성함에 따라 안전한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재 콘텐츠 및 굿즈의 유통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b) 굿즈와 콘텐츠의 세계화를 위하여 유통 경로 및 콘텐츠 플랫폼을 다양화 및 글로벌화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외팬들의 수요는 높은데, 해외시장에서는 정식유통경로를 거친 공식상품과 비공식상품이 혼재하여 팔리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이에 따라, 온라인 및 해외배송을 확대하여 시장을 키울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업범위를 확대할 수도 있는데, 퍼블리시티권을 주장할 수 있는 캐릭터 및 기타 사업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8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생산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생산자가 저작한 저작물인 콘텐츠를 등록하는 등록 이벤트를 수신한다(S9100).
또한,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등록 이벤트에 포함된 콘텐츠 생산자의 콘텐츠 생산자 데이터 및 생산된 콘텐츠를 퍼블리시티권(Publicity Right) 사용권을 보유한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 전송하고(S9200), 퍼블리시티권 사용권과 저작물인 콘텐츠에 대한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을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생산자 단말로 전송한다(S9300).
또한,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에 대한 승인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 서버로 제공하여 게재되도록 하고(S9400),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콘텐츠 생산자 단말로 기 설정된 수익 분배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한다(S9500).
상술한 단계들(S9100~S9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9100~S9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9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

  1. 퍼블리시티권(Publicity Right)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멀티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 MCN) 기반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네트워크에 연결된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에 의해 생산된 콘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콘텐츠의 퍼블리시티권(Publicity Right)을 갖는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콘텐츠의 완성도, 품질, 전문성 및 인기도를 기초로 설정된 수익 분배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상기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상기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익 분배율에 대한 승인이 있으면,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콘텐츠 플랫폼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플랫폼 서버에서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게재하여 상기 등록된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하면, 상기 수익 분배율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상기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에게 상기 발생된 수익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인격권자가 포함된 콘텐츠가, 상기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에 의해 생산되지 않은 콘텐츠인 경우, 상기 인격권자가 포함된 콘텐츠를 리스트에 업로드하고, 퍼블리시티권 사용권 및 초상권에 관하여 상기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과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이 협의를 하도록 하며,
    상기 등록된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 퍼블리시티권 사용료인 수익금을 결제하고,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인 저작권의 대가인 수익금이 상기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에서 결제되도록 하고,
    상기 수익 분배율에 대한 승인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콘텐츠 플랫폼 서버로 콘텐츠를 제공하여 게재되도록 하며,
    콘텐츠에 대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 및 상기 1인 콘텐츠 창작자 단말로 상기 수익 분배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고,
    썸 네일 형태의 뉴스, 피드 형태의 SNS 및 게시판 형태의 커뮤니티를 통합하여 사이트의 확장성, 사용자의 니즈(Needs) 및 편의성을 확보하며,
    정식 판매처와 정식 콘텐츠 유통 경로를 생성함에 따라 안전한 구매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네트워크 기반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퍼블리시티권을 사용하여 생산된 제품인 굿즈에 대한 퍼블리시티권 사용 허가 여부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퍼블리시티권 사용 허가 여부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퍼블리시티권에 대한 사용 허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 허가 데이터에 기반한 굿즈 제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굿즈 제작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로부터 승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승인 데이터를 상기 판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채널 네트워크 기반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126531A 2018-10-23 2018-10-23 멀티채널 네트워크 기반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8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31A KR102085688B1 (ko) 2018-10-23 2018-10-23 멀티채널 네트워크 기반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31A KR102085688B1 (ko) 2018-10-23 2018-10-23 멀티채널 네트워크 기반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572 Division 2017-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421A KR20190022421A (ko) 2019-03-06
KR102085688B1 true KR102085688B1 (ko) 2020-03-06

Family

ID=6576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531A KR102085688B1 (ko) 2018-10-23 2018-10-23 멀티채널 네트워크 기반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574B1 (ko) 2019-09-11 2021-07-15 이헌승 연예인 굿즈 유통 양성화를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102358785B1 (ko) * 2019-09-16 2022-02-08 유건우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45451B1 (ko) * 2019-12-24 2021-04-28 주식회사 크리스피웨일즈 초상권 계약 방법
KR102579517B1 (ko) * 2022-08-10 2023-09-19 주식회사 아이엘네트워크 Nft 연계 현물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74280B1 (ko) * 2023-08-31 2024-06-11 주식회사 메잇바이 팬메이드 굿즈의 합법적 판매를 지원하는 서버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2262B2 (ja) * 2008-08-18 2014-04-02 エコビ 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テンツ提供者収益分配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728419B1 (ko) * 2016-05-11 2017-04-19 황유빈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743B1 (ko) * 2013-01-11 2015-09-1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판매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2125A (ko) *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 미디어허브아이앤씨 초상권과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20160132520A (ko) * 2015-05-11 2016-11-21 김정임 Ict를 활용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2262B2 (ja) * 2008-08-18 2014-04-02 エコビ 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テンツ提供者収益分配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728419B1 (ko) * 2016-05-11 2017-04-19 황유빈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421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688B1 (ko) 멀티채널 네트워크 기반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10329349A1 (en) Value-based tv advertising audience exchange
KR101073112B1 (ko) 저작물과 광고를 공개라이센스를 이용하여 결합한 컨텐츠 관리방법 및 그 장치
US20130185198A1 (en) Incremental Content Purchase And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urran et al. The role of Twitter in the world of business
US20120059700A1 (en) Incentivized peer-to-peer content and royalty distribution system
CN104081405A (zh) 具有多设备安全应用程序集成的内容提供器
US20110078041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arsing, Compiling and Disseminating Digital Media
US20120173412A1 (en) Rights Clearance for Granular Rights
US20140351096A1 (en) Techniques for facilitating acquisition and exchange of ebook and other digital content via a computer network
Panchenko et al. Regulatory competition in the digital economy: New forms of protectionism
US202304192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Operating NFT Marketplace
KR101728419B1 (ko)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70132732A1 (en) Ip content discovery platform
Cooperative A Preliminary Review of Blockchain in the Music Industry
KR102260176B1 (ko) 콘텐츠의 광고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28617A (ko) 웹컨텐츠의 온라인광고 수익 배분 방법 및 시스템
WO2022066970A1 (en) Multi-language media versioning network and process flow
TWM462912U (zh) 媒體資源之交易系統
KR20110014722A (ko) 에스크로 결제 방식을 이용한 온라인 출판물 제작 및 배포 시스템
KR20200113704A (ko) 동영상 제작 컨텐츠를 통한 광고방법
Iqbal et al. Copyright and intellectual property in digital business: Issue of protection and retrieval of investment in intellectual creation
KR101567847B1 (ko) 스타 ppl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erreira et al. Essential functionalities for commercial internet presence: A Portuguese study
KR20030031328A (ko) 컨텐츠 플랫폼을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