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611B1 - 연료공급장치 및 연소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공급장치 및 연소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611B1
KR102085611B1 KR1020180017093A KR20180017093A KR102085611B1 KR 102085611 B1 KR102085611 B1 KR 102085611B1 KR 1020180017093 A KR1020180017093 A KR 1020180017093A KR 20180017093 A KR20180017093 A KR 20180017093A KR 102085611 B1 KR102085611 B1 KR 102085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unit
solid fuel
distribution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541A (ko
Inventor
오혁진
조한창
이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1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6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0Under-feed arrangements
    • F23K3/14Under-feed arrangements feeding by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6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for shaft-type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006Fuel distribution and transport systems for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20Feeding/conveying devices
    • F23K2203/202Feeding/conveying devices using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연료가 저장되는 연료저장부; 및, 상기 연료저장부와 복수 개의 연소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저장부에서 배출된 고형연료를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로 이송되도록 분배하는 연료분배부;를 포함하는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공급장치 및 연소로 시스템{FUEL SUPPLY APPARATUS AND FURNANCE SYSTEM}
본 발명은 고형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 및 연소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종래의 경우에는 폐기물, 바이오매스 등 고형연료를 연소하는 선회식 소각/연소설비의 경우,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되고, 내통과 외통 사이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연료를 연소로 하부에서 공급한다.
선회식 연소로의 경우는, 연소로의 형상(일례로, 원형 단면) 및, 연료의 공급방법(일례로, 하부공급방식)등 선회식 연소로의 특수성 인해 선회식 연소로 1 대의 연소용량에는 일정한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대용량 연소설비가 필요한 곳에 선회식 연소로를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다수의 선회식 연소로를 연결하여 적용하는 것을 시도해 볼 여지는 있으나, 종래의 경우에는 경제적 및 운전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선회식 연소로를 둘 이상을 동시에 적용하는 경우는 없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선회식 연소로에 연료공급장치를 개별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점에서 설비비용이 증가되면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441584 Y1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복수 개의 연소로에 고형연료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연료공급장치 및 연소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고형연료가 저장되는 연료저장부; 및, 상기 연료저장부와 복수 개의 연소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저장부에서 배출된 고형연료를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로 이송되도록 분배하는 연료분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분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분배본체; 상기 분배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이송라인과 하측이송라인이 형성된 분배컨베이어; 및, 상기 상측이송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고형연료를 지지하도록, 적어도 고형연료의 투입지점에서 고형연료의 낙하지점까지 연장 형성되는 상부바닥판;을 구비하고, 상기 분배본체는, 상기 연료저장부에서 배출된 고형연료가 인입되는 연료인입구; 및, 복수 개의 연소로로 공급되고 남은 고형연료가 배출되는 연료반송구;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인입구와 상기 연료반송구는 상기 분배본체의 일측 방향에 함께 배치되고, 상기 낙하지점은, 고형연료의 상기 상측이송라인의 이동방향 측에 배치되는 상기 분배컨베이어의 구동스프라켓에 도달하기 이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연료저장부는, 고형연료가 저장되는 저장본체; 상기 저장본체의 하측에 복수 개가 이격 하여 배치되고, 저장된 고형연료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의 후단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본체에서 외부로 고형연료를 인출시키는 인출스크류;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료저장부에서 배출된 고형연료를 상기 연료분배부로 이송시키는 연료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료이송부는, 고형연료가 배출되는 인출부분이 지하에 위치하는 상기 연료저장부와, 지상에 위치하는 상기 연료분배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에서 상기 연료분배부로 고형연료의 투입을 유도하는 유도슈트;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료분배부와 상기 연료저장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로 공급된 고형연료의 잔량을 상기 연료저장부로 반송시키는 연료반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료분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로 고형연료를 분배하고, 분배 후의 고형연료의 잔량을 상기 연료반송부를 통해 상기 연료저장부로 반송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연료분배부와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연료분배부에서 상기 연소로로 공급되는 고형연료를 저장하는 저장호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저장호퍼부는, 상기 연료분배부에서 분배된 고형연료가 저장되는 호퍼본체; 및, 상기 호퍼본체에 저장된 고형연료의 양을 감지하는 호퍼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호퍼센서부재에서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저장호퍼부에 설정된 양의 고형연료만 저장되도록 적어도 상기 호퍼본체의 투입구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공급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연료공급장치; 및, 상기 연료공급장치에 의해 이송 및, 분배된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열원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연소로;를 포함하는 연소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의 연소로에 고형연료를 동시에 공급하여 설비비용을 절감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연소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연소로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Ⅱ-Ⅱ'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장치는 연료저장부(100), 복수 개의 연소로(400) 및, 연료분배부(3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연료이송부(200), 연료반송부(500), 저장호퍼부(600), 하부공급부(700) 및, 공급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는 고형연료(F)가 저장되는 연료저장부(100) 및, 상기 연료저장부(100)와 복수 개의 연소로(4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저장부(100)에서 배출된 고형연료(F)를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이송되도록 분배하는 연료분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료저장부(100)에서 고형연료(F)가 배출되는 인출부분(130)이 지하에 위치하는 경우, 연료저장부(100), 연료이송부(200) 및, 연료분배부(300)가 순차적으로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연료저장부(100)는 연료이송부(200)와 연결되고, 연료이송부(200)는 연료분배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료저장부(100)에 연료이송부(200)가 연결되고, 연료이송부(200)가 연료저장부(100)에서 배출된 고형연료(F)를 연료분배부(300)로 이송시키고, 연료이송부(200)와 연결된 연료분배부(300)를 통해 이송되면서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분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저장부(100)가 지하에 위치하는 경우, 연료저장부(100)의 상부를 오픈한 상태에서 덤프트럭 등의 이송수단(T)에서 바로 연료저장부(100)로 고형연료(F)를 낙하시켜 저장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료저장부(100)에서 고형연료(F)가 배출되는 인출부분(130)이 지상에 위치하는 경우, 연료저장부(100)에는 연료분배부(300)가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연료분배부(300)와 연료저장부(100)와 직접 연결되면서 연료저장부(100)에서 배출된 고형연료(F)가 연료분배부(300)를 통해 이송되면서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분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료저장부(100)는, 고형연료(F)가 저장되는 저장본체(110)와, 상기 저장본체(110)의 하측에 복수 개가 이격 하여 배치되고, 저장된 고형연료(F)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S1) 및, 상기 이송스크류(S1)의 후단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본체(110)에서 외부로 고형연료(F)를 인출시키는 인출스크류(S2)를 구비할 수 있다.
연료저장부(100)는, 고형연료(F)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저장본체(110)의 하측에 하향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S1)는 저장본체(110)의 하향경사면 주변에 배치되고, 저장된 고형연료(F)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스크류(S1)는 인출스크류(S2) 방향으로 고형연료(F)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이송스크류(S1)의 적어도 일부는 회전방향을 달리하여 연료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일례로, 복수 개의 이송스크류(S1) 중 인접하게 배치되는 2개의 이송스크류(S1)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저장부(1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이송스크류(S1)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이송스크류(S1)를 구비하고, 제1 이송스크류(S1)와 제2 이송스크류(S1)가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인출스크류(S2)는 이송스크류(S1)가 고형연료(F)를 이송시키는 방향의 말단부분의 하측에 배치되고, 이송스크류(S1)에 의해 이송된 고형연료(F)를 저장본체(110)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료분배부(300)는 연료저장부(100)에서 배출된 고형연료(F)를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이송되도록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연료분배부(300)는 복수 개의 연소로(400)의 배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연료분배부(300)에는 각각의 연소로(400)와 연결되는 연료배출구(313)가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연소로(400)에 순차적으로 고형연료(F)가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연료분배부(300)에 의해 이송된 고형연료(F)는 먼저, 제1 연료배출구(313)와 연결된 제1 하부공급부(700)를 통해 제1 연소로(400)로 공급되고, 제1 연료배출구(313)와 이격 배치된 제2 연료배출구(313)와 연결된 제2 하부공급부(700)를 통해 제2 연소로(400)로 공급되고, 제2 연료배출구(313)와 이격 배치된 제3 연료배출구(313)와 연결된 제3 하부공급부(700)를 통해 제3 연소로(4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고형연료(F)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료공급장치가 저장호퍼부(600)를 포함하는 경우, 연료공급장치는 저장호퍼부(600)와 상기 연소로(4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저장호퍼부(600)에서 저장된 고형연료(F)를 연소로(400)의 하부를 통해 공급하는 하부공급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공급부(700)는 연료분배부(300) 또는 저장호퍼부(600)에서 공급된 고형연료(F)를 연소로(400)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S1)와, 상기 이송스크류(S1)와 연계되어 설치되어 이송스크류(S1)에 의해 이송된 고형연료(F)를 연소로(400)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스크류(S3)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료공급장치가 저장호퍼부(60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연료공급장치는 연료분배부(300)와 상기 연소로(4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연료분배부(300)에서 제공된 고형연료(F)를 연소로(400)의 하부를 통해 공급하는 하부공급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료공급장치는 연료저장부(100)에서 배출된 고형연료(F)를 상기 연료분배부(300)로 이송시키는 연료이송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료이송부(200)는 연료저장부(100)와 연료분배부(3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연료저장부(100)에서 배출된 고형연료(F)를 연료분배부(3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료이송부(200)는 이송컨베이어(210) 및, 유도슈트(2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료이송부(200)는, 고형연료(F)가 배출되는 인출부분(130)이 지하에 위치하는 상기 연료저장부(100)와, 지상에 위치하는 상기 연료분배부(3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210)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210)에서 상기 연료분배부(300)로 고형연료(F)의 투입을 유도하는 유도슈트(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210)는 연료저장부(100)의 인출부분(130)에서 연료분배부(3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형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유도슈트(230)는 이송컨베이어(210)에서 연료분배부(300)로 고형연료(F)의 투입을 유도하는 덕트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료공급장치는 연료분배부(300)와 상기 연료저장부(10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공급된 고형연료(F)의 잔량을 상기 연료저장부(100)로 반송시키는 연료반송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료반송부(500)는 반송컨베이어(510)와 반송슈트(5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반송부(500)는 반송슈트(530)와 연료저장부(100)의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연소로에 공급하고 남은 고형연료(F)의 잔량을 연료저장부(100)로 반송시키는 반송컨베이어(510) 및, 연료분배부(300)의 연료반송구(315)와 반송컨베이어(510)의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연소로에 공급하고 남은 고형연료(F)의 잔량을 반송컨베이어(510)로 유도하는 반송슈트(5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료분배부(300)는,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고형연료(F)를 분배하고, 분배 후의 고형연료(F)의 잔량을 상기 연료반송부(500)를 통해 상기 연료저장부(100)로 반송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료분배부(300)는,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40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분배본체(310)와, 상기 분배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이송라인(330-1)과 하측이송라인(330-2)이 형성된 분배컨베이어(330) 및, 상기 상측이송라인(330-1)을 따라 이동하는 고형연료(F)를 지지하도록, 적어도 고형연료(F)의 투입지점(370)에서 고형연료(F)의 낙하지점(380)까지 연장 형성되는 상부바닥판(350)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본체(310)는 내부에 분배컨베이어(330)가 배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연소로(40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분배컨베이어(330)는 분배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이송라인(330-1)을 따라 이송된 고형연료(F)가 하측이송라인(330-2)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분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는 분배컨베이어(330)에 상측이송라인(330-1)과 하측이송라인(330-2)이 형성됨으로써, 상측이송라인(330-1)을 따라 연료인입구(3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된 고형연료(F)가 하측이송라인(330-2)을 따라 연료인입구(311)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연료배출구(313)를 통해 순차적으로 연료를 배출시켜 고형연료(F)를 배출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공급되고 남은 고형연료(F)의 잔량은 연료반송구(315)를 통해 연료반송부(500)로 이송되고, 연료반송부(500)는 연료저장부(100)로 고형연료(F)를 반송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분배컨베이어(330)에 의해 분배본체(310)의 연료배출구(313)를 통해 배출된 고형연료(F)는 저장호퍼부(600) 및, 하부공급부(700)를 거쳐 연소로(400)로 공급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분배컨베이어(330)에 의해 분배본체(310)의 연료배출구(313)를 통해 배출된 고형연료(F)는 하부공급부(700)를 거쳐 연소로(4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바닥판(350)은 상측이송라인(330-1)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측이송라인(330-1)을 따라 이동하는 고형연료(F)를 지지할 수 있다.
상부바닥판(350)은 적어도 고형연료(F)의 투입지점(370)에서 고형연료(F)이 낙하지점(38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를 참조하면, 상부바닥판(350)은 상측이송라인(330-1)의 일측 단부영역에 위치한 고형연료(F)의 투입지점(370)에서 상측이송라인(330-1)의 타측 단부영역에 위치한 낙하지점(380)까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바닥판(350)은 상측이송라인(330-1)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부바닥판(350)에는 고형연료(F)의 낙하지점(380)을 형성하는 낙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배본체(310)에는 연료저장부(100)에서 배출된 고형연료(F)가 인입되는 연료인입구(311)와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고형연료(F)가 공급되도록 배출되는 연료배출구(313) 및,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공급되고 남은 고형연료(F)가 배출되는 연료반송구(3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분배본체(310)는, 상기 연료저장부(100)에서 배출된 고형연료(F)가 인입되는 연료인입구(311) 및,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공급되고 남은 고형연료(F)가 배출되는 연료반송구(315)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인입구(311)와 상기 연료반송구(315)는 상기 분배본체(310)의 일측 방향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연료인입구(311)는 연료저장부(100)에서 배출된 고형연료(F)가 연료분배부(300)로 인입되는 부분이다.
연료반송구(315)는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공급되고 남은 고형연료(F)가 연료반송부(500)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배본체(310)는 복수 개의 연소로(40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연료인입구(311)와 연료반송구(315)는 연료분배부(300)의 분배본체(310)의 일측 방향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료저장부(100)에서 공급된 고형연료(F)가 연료분배부(300)를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되고 남은 고형연료(F)는 연료반송구(315)를 통해 배출되어 연료반송부(500)를 통해 연료저장부(100)로 다시 저장될 수 있다.
즉, 연료이송부(200)와 연결되는 연료인입구(311)와 연료반송부(500)와 연결되는 연료반송구(315)가 분배본체(310)의 일측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연료이송부(200)와 연료반송부(500)를 인접한 지점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는 분배컨베이어(330)에 상측이송라인(330-1)과 하측이송라인(330-2)이 형성됨으로써, 상측이송라인(330-1)을 따라 연료인입구(3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된 고형연료(F)가 하측이송라인(330-2)을 따라 연료인입구(311)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연료배출구(313)를 통해 순차적으로 연료를 배출시켜 고형연료(F)를 배출시킬 수 있다.
연료분배부(300)에서 배출된 고형연료(F)는 저장호퍼부(600), 하부공급부(700)를 거쳐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공급되고,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공급되고 남은 고형연료(F)의 잔량은 연료반송구(315)를 통해 연료반송부(500)로 이송되고, 연료반송부(500)는 연료저장부(100)로 고형연료(F)를 반송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공급되고 남은 고형연료(F)를 연료저장부(100)로 이송하기 위한 연료반송부(500)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설비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분배컨베이어(330)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스프라켓(331)과, 분배본체(3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331)에 권취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체인벨트(333) 및 체인벨트(333)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 체인벨트(333)와 연계되어 회전되는 분배판(335)을 구비할 수 있다.
체인벨트(333)는 연료반송부(500) 측에 배치되는 제1 구동스프라켓(331)과, 연료반송부(500)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구동스프라켓(331)에 권취된 무한궤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분배판(335)은 한 쌍의 상기 체인벨트(333)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분배판(335)은, 무한궤도 형상의 상기 체인벨트(333)의 상측이송라인(330-1)에 배치되어, 고형연료(F)를 상부바닥판(350) 상에서 좌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 분배판(335) 및, 무한궤도 형상의 상기 체인벨트(333)의 하측이송라인(330-2)에 배치되어, 상측이송라인(330-1)의 낙하지점(380)을 통해 분배본체(310)의 내면 바닥으로 낙하한 고형연료(F)를 연료반송부(500)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이송시키는 제2 분배판(33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연료공급장치는 연료분배부(300)와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400)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연료분배부(300)에서 상기 연소로(400)로 공급되는 고형연료(F)를 저장하는 저장호퍼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장호퍼부(600)와 연소로(400)의 사이에는 하부공급부(700)가 설치되어 저장호퍼부(600)에서 저장된 고형연료(F)를 연소로(400)의 하부를 통해 공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장호퍼부(600)는, 상기 연료분배부(300)에서 분배된 고형연료(F)가 저장되는 호퍼본체(610) 및, 상기 호퍼본체(610)에 저장된 고형연료(F)의 양을 감지하는 호퍼센서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호퍼부(600)는, 연료분배부(300)에서 분배된 고형연료(F)가 저장되는 호퍼본체(610)와, 호퍼본체(610)의 하측에 복수 개가 이격 하여 배치되고, 저장된 고형연료(F)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S1)와, 상기 이송스크류(S1)의 후단의 하측에 배치되고, 호퍼본체(610)에서 외부로 고형연료(F)를 인출시키는 인출스크류(S2) 및, 상기 호퍼본체(610)에 저장된 고형연료(F)의 양을 감지하는 호퍼센서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호퍼센서부재(630)는 연료분배부(300)에서 상기 호퍼본체(610)로 투입되는 고형연료(F)의 양을 감지하여 호퍼본체(610)에 저장된 고형연료(F)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호퍼센서부재(630)는 호퍼본체(610)의 하측에 설치되는 무게감지센세에 의해 호퍼본체(610)에 저장된 고형연료(F)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연료공급장치는 호퍼센서부재(630)에서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저장호퍼부(600)에 설정된 양의 고형연료(F)만 저장되도록 적어도 상기 호퍼본체(610)의 투입구(650)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공급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공급제어부(미도시)는 호퍼본체(610)의 투입구(650)에 설치된 밸브부재(670)를 제어하여 투입구(65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물론, 공급제어부(미도시)는 저장호퍼부(600)에서 저장된 고형연료(F)를 하부공급부(700)를 통해 연소로(400)의 하부를 통해 연소로(40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공급제어부(미도시)는 복수 개의 저장호퍼부(600) 및, 복수 개의 하부공급부(7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연소로 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로 시스템은 연료공급장치 및, 복수 개의 연소로(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소로 시스템은 연료공급장치 및, 상기 연료공급장치에 의해 이송 및, 분배된 고형연료(F)를 연소시켜 열원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연소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연소로 시스템은 고형연료(F)가 저장되는 연료저장부(100) 및, 상기 연료저장부(100)와 복수 개의 연소로(4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저장부(100)에서 배출된 고형연료(F)를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이송되도록 분배하는 연료분배부(300)를 포함하는 연료공급장치 및, 상기 연료공급장치에 의해 이송 및, 분배된 고형연료(F)를 연소시켜 열원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연소로(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소로 시스템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연료공급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연소로 시스템에서 활용되는 연료공급장치의 연료저장부(100), 연료분배부(300) 등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연료공급장치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복수 개의 연소로(400)는 연료공급장치에 의해 이송 및, 분배된 고형연료(F)를 연소시켜 열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연소로(400)는 연료공급장치와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소로(400)는 연료공급장치의 연료분배부(30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료분배부(300)에는 각각의 연소로(400)와 연결되는 연료배출구(313)가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연소로(400)에 순차적으로 고형연료(F)가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연료분배부(300)에 의해 이송된 고형연료(F)는 먼저, 제1 연료배출구(313)와 연결된 제1 하부공급부(700)를 통해 제1 연소로(400)로 공급되고, 제1 연료배출구(313)와 이격 배치된 제2 연료배출구(313)와 연결된 제2 하부공급부(700)를 통해 제2 연소로(400)로 공급되고, 제2 연료배출구(313)와 이격 배치된 제3 연료배출구(313)와 연결된 제3 하부공급부(700)를 통해 제3 연소로(4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복수 개의 연소로(400)로 고형연료(F)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소로(400)의 바닥면에 고형연료(F)가 적재되고, 연소로(400)의 내부공간으로 연소공기가 공급되면서 고형연료(F)를 연소시켜 열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연소로(400)의 내부공간은 고형연료(F)의 연소를 위해 원통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연소로(40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연소공기를 공급하되, 공기공급장치는 원통형의 내부공간에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연소공기를 공급하여 고형연료(F)의 연소를 촉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연료저장부 110: 저장본체
130: 인출부분 200: 연료이송부
210: 이송컨베이어 230: 유도슈트
300: 연료분배부 310: 분배본체
311: 연료인입구 313: 연료배출구
315: 연료반송구 330: 분배컨베이어
330-1: 상측이송라인 330-2: 하측이송라인
331: 구동스프라켓 333: 체인벨트
335: 분배판 350: 상부바닥판
370: 투입지점 380: 낙하지점
400: 연소로 500: 연료반송부
510: 반송컨베이어 530: 반송슈트
600: 저장호퍼부 610: 호퍼본체
630: 호퍼센서부재 650: 투입구
670: 밸브부재 700: 하부공급부
F: 고형연료 S1: 이송스크류
S2: 인출스크류 S3: 공급스크류
T: 이송수단

Claims (12)

  1. 고형연료가 저장되는 연료저장부; 및,
    상기 연료저장부와 복수 개의 연소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저장부에서 배출된 고형연료를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로 이송되도록 분배하는 연료분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분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분배본체;
    상기 분배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이송라인과 하측이송라인이 형성된 분배컨베이어; 및,
    상기 상측이송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고형연료를 지지하도록, 적어도 고형연료의 투입지점에서 고형연료의 낙하지점까지 연장 형성되는 상부바닥판;을 구비하고,
    상기 분배본체는,
    상기 연료저장부에서 배출된 고형연료가 인입되는 연료인입구; 및,
    복수 개의 연소로로 공급되고 남은 고형연료가 배출되는 연료반송구;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인입구와 상기 연료반송구는 상기 분배본체의 일측 방향에 함께 배치되고,
    상기 낙하지점은,
    고형연료의 상기 상측이송라인의 이동방향 측에 배치되는 상기 분배컨베이어의 구동스프라켓에 도달하기 이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저장부는,
    고형연료가 저장되는 저장본체;
    상기 저장본체의 하측에 복수 개가 이격 하여 배치되고, 저장된 고형연료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의 후단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본체에서 외부로 고형연료를 인출시키는 인출스크류;를 구비하는 연료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저장부에서 배출된 고형연료를 상기 연료분배부로 이송시키는 연료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연료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이송부는,
    고형연료가 배출되는 인출부분이 지하에 위치하는 상기 연료저장부와, 지상에 위치하는 상기 연료분배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에서 상기 연료분배부로 고형연료의 투입을 유도하는 유도슈트;를 구비하는 연료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배부와 상기 연료저장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로 공급된 고형연료의 잔량을 상기 연료저장부로 반송시키는 연료반송부;를 더 포함하는 연료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로 고형연료를 분배하고, 분배 후의 고형연료의 잔량을 상기 연료반송부를 통해 상기 연료저장부로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배부와 상기 복수 개의 연소로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연료분배부에서 상기 연소로로 공급되는 고형연료를 저장하는 저장호퍼부;를 더 포함하는 연료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호퍼부는,
    상기 연료분배부에서 분배된 고형연료가 저장되는 호퍼본체; 및,
    상기 호퍼본체에 저장된 고형연료의 양을 감지하는 호퍼센서부재;를 포함하는 연료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센서부재에서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저장호퍼부에 설정된 양의 고형연료만 저장되도록 적어도 상기 호퍼본체의 투입구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공급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연료공급장치.
  12.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료공급장치; 및,
    상기 연료공급장치에 의해 이송 및, 분배된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열원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연소로;를 포함하는 연소로 시스템.
KR1020180017093A 2018-02-12 2018-02-12 연료공급장치 및 연소로 시스템 KR102085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093A KR102085611B1 (ko) 2018-02-12 2018-02-12 연료공급장치 및 연소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093A KR102085611B1 (ko) 2018-02-12 2018-02-12 연료공급장치 및 연소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541A KR20190097541A (ko) 2019-08-21
KR102085611B1 true KR102085611B1 (ko) 2020-03-06

Family

ID=6780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093A KR102085611B1 (ko) 2018-02-12 2018-02-12 연료공급장치 및 연소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61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7791B2 (ja) * 1994-09-22 2002-08-26 株式会社タクマ 小塊状燃料の供給装置
JP3203140B2 (ja) * 1995-01-27 2001-08-27 株式会社クボタ ゴミ焼却装置
JPH11287422A (ja) * 1998-04-02 1999-10-19 Takuma Co Ltd 被溶融物分配装置
KR200441584Y1 (ko) 2007-03-13 2008-08-26 나우환경산업(주) 열원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541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6290A (ko) 미립 내지 조립 고체를 수용하여 컨테이너로부터 고압 시스템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A24239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tting piece goods into containers
KR102085611B1 (ko) 연료공급장치 및 연소로 시스템
US8888874B1 (en) Mobile horizontal gasifier system
US20090291403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liver solid fuel to a combustion zone
FI112052B (fi) Irtotavaran lastausvaunu
JP2014126250A (ja) 給じん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US3064837A (en) Surge car
JP5274137B2 (ja) 粒状物体払い出し装置
KR100627463B1 (ko) 수직 소성로의 소성도 및 온도 제어장치
KR20120116656A (ko) 우드칩을 보일러로 투입하는 이송 시스템
CN103789200A (zh) 干式发酵系统
KR101957272B1 (ko)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
US4686913A (en) Refuse derived fuel delivery system and distribution conveyors
US73510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materials into a rotary kiln
JPS5849780A (ja) 予熱された石炭のコ−クス炉バツテリ−への供給装置
KR102675257B1 (ko) 로드-형상 물품에 대한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568539B1 (ko) 분체장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갈철광 소성 시스템
RU200514152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подачи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го твердого материала в пневмотранспортный трубопровод
JPH07257735A (ja) アンプルの定量取り出し装置
SE0300806D0 (sv) Anordning vid automatisk eldning av fast bränsle samt system för en fastbränslepanna innefattande nämnda anordning
US616181A (en) Device for handling and storing coal
JP6320714B2 (ja) 粉粒体貯留供給装置
US2632559A (en) Distributor apparatus for cinder and the like
KR102096755B1 (ko) 파쇄노즐을 내부에 포함하여 수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