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272B1 -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272B1
KR101957272B1 KR1020180084470A KR20180084470A KR101957272B1 KR 101957272 B1 KR101957272 B1 KR 101957272B1 KR 1020180084470 A KR1020180084470 A KR 1020180084470A KR 20180084470 A KR20180084470 A KR 20180084470A KR 101957272 B1 KR101957272 B1 KR 101957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s
shipping
counting
baskets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순
윤완순
Original Assignee
윤덕순
윤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순, 윤완순 filed Critical 윤덕순
Priority to KR102018008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5/00Other aviculture appliances, e.g. devices for determining whether a bird is about to lay
    • A01K45/005Harvesting or transport of poul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병아리를 출하할시, 사전설정된 마리수만큼 상자 및 바구니에 담하 출하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에 이송라인을 통해 자동적으로 병아리를 출하바구니를 향해 이송시키고, 이송라인의 단부에서 자동으로 카운팅하면서 병아리를 출하바구니에 투입하며, 출하바구니마다 개별적으로 동일한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연속적으로 병아리를 카운팅하며 자동투입가능토록 구성한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Chick automatic counting device}
본 발명은 병아리를 사전설정된 카운팅수만큼 연속적으로 자동분할하여 출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부화장에서 알을 깨고 나온 동종의 병아리는 양계장까지 운반하기 위해, 크기가 일정한 별도의 출하바구니 및 상자에 넣어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병아리를 운반하기 위해, 출하바구니에 이러한 병아리를 투입하는 경우, 종래에는 다수의 작업자가 병아리를 일일히 집어 넣는 수작업이 시행되어야만 했다.
이에, 작업효율의 저하 및 작업시간 단축의 단점을 가지게 되었으며,
더불어, 작업자가 일일히 집어넣으면서 카운팅을 해야하기 때문에, 하나의 출하바구니에 정확하게 동일한 병아리를 투입하지 못하지 못해, 모자라거나 더 넣투입하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작업을 하는 중에는 작업자가 쉴 수 없으며, 동일형상을 가지면서 움직임이 활발한 병아리임에 따라,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6440호(2002.11.14.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병아리를 사전설정된 출하바구니에 일일히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투입하여 출하시키지 않아도, 이송라인을 통해 병아리가 출하바구니측으로 공급되어지도록 한 후, 이송라인 일단부에서 병아리를 카운팅하여, 각 출하바구니마다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의 병아리가 항시 동일하게 공급되어져 출하될 수 있도록 한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병아리(C)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되, 다수의 이송라인이 연속적으로 연결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제 1, 2열(11, 12)로 이루어져 병아리(C)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이송부(10); 상기 이송부(10)의 제 1, 2열(11, 12)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 2열(11, 12) 각각으로 이송되어지는 병아리(C)를 카운팅하는 제 1, 2카운팅부(21, 22); 상기 병아리(C)가 담겨지도록 다수의 출하바구니(31)가 일방향으로 이송되어지되, 상기 이송부(10)의 제 1, 2열(11, 12) 끝단부에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가 대응배치되도록 이송시키는 출하부(30); 상기 이송부(10)의 단부에 설치되어, 복수개 출하바구니(31)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좌, 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2열(11, 12)의 병아리(C)가 복수개 출하바구니(31) 중 한곳으로 모아져 이송되어지도록 하는 분배부(40); 상기 제 1, 2카운팅부(21, 22) 모두의 카운팅 신호를 전달받아, 합산된 카운팅 신호를 사전설정 카운팅수와 비교하여, 제 1, 2열(11, 12) 각각에 대응배치된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 각각에 제 1, 2열(11, 12)의 병아리(C)가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채워지도록, 상기 분배부(40)의 좌, 우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출하되는 병아리를 출하바구니에 정확한 수만큼 카운팅하며 투입하여, 연속 출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시간단축, 작업효율상승과 더불어, 병아리가 사전설정된 수만큼 정확하게 투입되지 못하는, 기존의 수작업의 단점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바구니에 연속적으로 정확한 수의 병아리를 연속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공정도.
도 2는 도 1의 간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의 분배부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병아리(C)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되, 다수의 이송라인이 연속적으로 연결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제 1, 2열(11, 12)로 이루어져 병아리(C)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이송부(10); 상기 이송부(10)의 제 1, 2열(11, 12)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 2열(11, 12) 각각으로 이송되어지는 병아리(C)를 카운팅하는 제 1, 2카운팅부(21, 22); 상기 병아리(C)가 담겨지도록 다수의 출하바구니(31)가 일방향으로 이송되어지되, 상기 이송부(10)의 제 1, 2열(11, 12) 끝단부에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가 대응배치되도록 이송시키는 출하부(30); 상기 이송부(10)의 단부에 설치되어, 복수개 출하바구니(31)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좌, 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2열(11, 12)의 병아리(C)가 복수개 출하바구니(31) 중 한곳으로 모아져 이송되어지도록 하는 분배부(40); 상기 제 1, 2카운팅부(21, 22) 모두의 카운팅 신호를 전달받아, 합산된 카운팅 신호를 사전설정 카운팅수와 비교하여, 제 1, 2열(11, 12) 각각에 대응배치된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 각각에 제 1, 2열(11, 12)의 병아리(C)가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채워지도록, 상기 분배부(40)의 좌, 우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이송라인은 상기 제 1, 2카운팅부(21, 22)에 근접되는 이송라인일수록 이송속도가 빨라지도록 하며, 다수의 이송라인 중 단일의 구동수단(M)을 통해 작동되는 이송라인의 경우, 구동수단(M)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롤러의 크기를 상이하게 하여, 단일의 구동수단(M)을 사용해도 속도가 상이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검사일시, 시간, 병아리(C) 카운팅수를 외부에서 식별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부(40)는 최초위치에서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 중 하나에 병아리(C)를 공급이 완료되면, 남은 출하바구니(31) 측으로 회동되어져, 남은 출하바구니(31)에도 연속적으로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병아리(C)가 공급되도록 하는 작동을 반복하며, 좌, 우로 회동되는 분배부(40) 하단에는, 병아리(C)가 출하부(30)를 향해 낙하방향이 가이드되도록, 상 하로 관통되며 중단이 구획되어 복수개의 제 1, 2투입구(41, 42)가 형성된 가이드부(43); 상기 제 1, 2투입구(41, 42) 내에 각각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투하되는 병아리가 출하바구니(31)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안전하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판(44, 45);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하부(30)는 상기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 각각에 병아리(C)가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정확히 투입이되면, 채워진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에 인접되어 연속배열되어 있는, 다른 비어있는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를 제 1, 2열(11, 12)의 끝단에 대응되어 배치되도록, 출하바구니(31)가 올려져 있는 출하이송레일(32)이 제어부(50)에 의해 동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는 이송부(10), 제 1, 2카운팅부(21, 22), 출하부(30), 분배부(40),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10)는 다수의 병아리(C)를 일방향을 향해(정확히는 후술될 출하바구니(31)를 향해) 이송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이송라인(컨베이어 등)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이송라인은 단일개가 아닌,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긴 길이를 가지는 이송라인의 경우, 병아리(C)가 이송라인에서 이탈되는 경우의 문제를 방지하고, 이송라인에 장치적인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이송라인 전체를 스탑해야 하는 경우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물론, 이송라인의 수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송라인이 제 1이송라인(13), 제 2이송라인(14), 제 3이송라인(15)의 3개가 사용되어지고, 각각의 이송라인은 출하바구니(31)를 향해 점차 높이가 계단식으로 하강되어지는 형태라 되도록 한다.
이에, 이송라인의 일측에는 작업자 또는 별도의 병아리(C) 투입장치를 통해 병아리(C) 저장공간에서 병아리(C)가 제 1이송라인(13)상에 올려지고, 이에, 올려진 병아리(C)는 제 1, 2, 3이송라인(13, 14, 15)을 따라 이송부(10)의 끝단에서 출하바구니(31)에 투입되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더불어, 이러한 이송부(10)의 각 이송라인은 길이방향을 향해, 상호간 분할된 제 1, 2열(11, 12)의 복수열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이송라인의 중단이 구획되어져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이송라인은 후술될 제 1, 2카운팅부(21, 22)(또는 병아리(C)가 투입되는 출하바구니(31))에 근접되는 이송라인일수록 이송속도가 빨라지도록 하며, 다수의 이송라인 중 단일의 구동수단(M)(모터 등)을 통해 작동되는 이송라인의 경우, 구동수단(M)에 설치되어 구동수단(M)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컨베이러를 회전시키는 롤러의 크기를 상이하게 하여(롤러 크기(직경)가 작을수록 롤러 크기가 큰 것과 대비하여 속도가 빨라지는 것음 당연하다.), 단일의 구동수단(M)을 사용해도 속도가 상이해지도록 한다.
상기 제 1, 2카운팅부(21, 22)는 전술된 이송부(10)의 제 1, 2열(11, 12)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 2열(11, 12) 각각으로 이송되어지는 병아리(C)를 카운팅하는 것이다.
즉, 제 1열(11)의 끝단부 양측과 제 2열(12)의 끝단부 양측에 각각 제 1, 2카운팅부(21, 22)가 설치되어, 병아리(C)가 지나갈때 이를 카운팅하여 카운팅 신호를 후술될 제어부(50)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2카운팅부(21, 22)로는 적외선 센서, 근접센서 등이 사용되어질 수 있음이다.
상기 출하부(30)는 전술된 이송부(10)의 끝단에 대응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출하바구니(31)와 이러한 출하바구니(31)를 연속적으로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출하이송레일(32)로 이루어진다.
즉, 병아리(C)가 담겨지도록 다수의 출하바구니(31)가 일방향으로 이송되어지되, 상기 이송부(10)의 제 1, 2열(11, 12) 끝단부에, 제 1열(11)과 제 2열(12)에 맞춰 2개의 출하바구니(31)가 각각 대응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가 제 1, 2열(11, 12)의 끝단에 대응되도록 한 후,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 각각에 병아리(C)가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정확히 투입이되면, 이에 맞춰, 채워진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에 인접되어 연속배열되어 있는, 다른 비어있는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를 제 1, 2열(11, 12)의 끝단에 대응되어 배치되도록 출하이송레일(32)도 제어부(50)에 의해 동시 제어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
상기 분배부(40)는 이송부(10)의 단부에 설치되어, 복수개 출하바구니(31)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좌, 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2열(11, 12)의 병아리(C)가 복수개 출하바구니(31) 중 한곳으로 모아져 이송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분배부(40)는 이송부(10)의 단부 중단(제 1, 2열(11, 12)의 끝단부 중단)에서, 공압실린더 등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지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분배부(40)는 최초위치에서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 중 하나(ex: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 중 왼쪽 바구니(31))에 병아리(C)를 공급이 완료되면, 남은 출하바구니(31) 측(ex: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 중 오른쪽 바구니(31))으로 회동되어져, 남은 출하바구니(31)에도 연속적으로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병아리(C)가 공급되도록 하는 작동을 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2카운팅부(21, 22)에서 카운팅 되면서, 분배부(40)가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 모두에 병아리(C)를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공급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출하부(30)의 출하이송레일(32)이 일방향으로 이송되어지면서, 제 1, 2열(11, 12)의 단부에 비어있는 또 다른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가 배치되어지고, 이어서, 제 1, 2카운팅부(21, 22)와 분배부(40)는 상기와 같이 병아리(C)를 카운팅하며 병아리(C)를 출하바구니(31)에 투입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분배부(40)는 출하부(30)와의 사이에, 병아리(C)가 출하부(30)를 향해 낙하방향이 가이드되도록, 상 하로 관통되며 중단이 구획되어 복수개의 제 1, 2투입구(41, 42)가 형성된 가이드부(43)가 형성되어, 분배부(40)의 좌, 우측 회동위치에 맞게, 복수개의 제 1, 2투입구(41, 42) 중 하나로 병아리(C)가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에 투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2투입구(41, 42) 내에는 각각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투하되는 병아리가 출하바구니(31)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안전하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2가이드판(44, 45)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1, 2가이드판(44, 45)은 각각 하측으로 경사지되, 제 1투입구(41)에서는 제 1가이드판(44)이 제 1투입구(41)의 내주면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제 2투입구(42)에서는 제 2가이드판(45)이 제 2투입구(42)의 내주면 타측에서 일측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상호간 반대방향을 이루며 형성)되어, 각각 제 1, 2투입구(41, 42)를 통해 출하바구니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
상기 제어부(50)는 전술된 제 1, 2카운팅부(21, 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 것으로, 상기 제 1, 2카운팅부(21, 22) 모두의 카운팅 신호(카운팅수, 병아리(C)의 마리수)를 전달받아, 합산된 카운팅 신호를 사전설정 카운팅수와 비교하여, 제 1, 2열(11, 12) 각각에 대응배치된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 각각에 제 1, 2열(11, 12)의 병아리(C)가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채워지도록, 상기 분배부(40)의 좌, 우 회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작업자나 사용자가 검사일시, 시간, 병아리(C) 카운팅수를 외부에서 식별가능토록 하고, 사전설정 카운팅수 조절 및 이러한 사전설정 카운팅수에 도달시 분배부(40)의 회동제어(좌, 우 )등을 할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이송부 11: 제 1열
12: 제 2열 13: 제 1이송라인
14: 제 2이송라인 15: 제 3이송라인
21: 제 1카운팅부 22: 제 2카운팅부
30: 출하부 31: 출하바구니
32: 출하이송레일 40: 분배부
41: 제 1투입구 42: 제 2투입구
43: 가이드부 44: 제 1가이드판
45: 제 2가이드판 50: 제어부
C: 병아리 M: 구동수단

Claims (5)

  1. 병아리(C)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되, 다수의 이송라인이 연속적으로 연결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제 1, 2열(11, 12)로 이루어져 병아리(C)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이송부(10);
    상기 이송부(10)의 제 1, 2열(11, 12)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 2열(11, 12) 각각으로 이송되어지는 병아리(C)를 카운팅하는 제 1, 2카운팅부(21, 22);
    상기 병아리(C)가 담겨지도록 다수의 출하바구니(31)가 일방향으로 이송되어지되, 상기 이송부(10)의 제 1, 2열(11, 12) 끝단부에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가 대응배치되도록 이송시키는 출하부(30);
    상기 이송부(10)의 단부에 설치되고, 이송부(10)의 단부 중단(제 1, 2열(11, 12)의 끝단부 중단)에서, 공압실린더 등에 의해 복수개 출하바구니(31)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제 1, 2열(11, 12)의 병아리(C)가 복수개 출하바구니(31) 중 한곳으로 모아져 이송되어지도록 하는 분배부(40);
    상기 제 1, 2카운팅부(21, 22) 모두의 카운팅 신호를 전달받아, 합산된 카운팅 신호를 사전설정 카운팅수와 비교하여, 제 1, 2열(11, 12) 각각에 대응배치된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 각각에 제 1, 2열(11, 12)의 병아리(C)가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채워지도록, 상기 분배부(40)의 좌, 우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이송라인은
    상기 제 1, 2카운팅부(21, 22)에 근접되는 이송라인일수록 이송속도가 빨라지도록 하며, 다수의 이송라인 중 단일의 구동수단(M)을 통해 작동되는 이송라인의 경우, 구동수단(M)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롤러의 크기를 상이하게 하여, 단일의 구동수단(M)을 사용해도 속도가 상이해지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50)는
    검사일시, 시간, 병아리(C) 카운팅수를 외부에서 식별가능토록 하고,
    상기 분배부(40)는
    최초위치에서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 중 하나에 병아리(C)를 공급이 완료되면, 남은 출하바구니(31) 측으로 회동되어져, 남은 출하바구니(31)에도 연속적으로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병아리(C)가 공급되도록 하는 작동을 반복하며,
    좌, 우로 회동되는 분배부(40) 하단에는, 병아리(C)가 출하부(30)를 향해 낙하방향이 가이드되도록, 상 하로 관통되며 중단이 구획되어 복수개의 제 1, 2투입구(41, 42)가 형성된 가이드부(43);
    상기 제 1, 2투입구(41, 42) 내에 각각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투하되는 병아리가 출하바구니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안전하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2가이드판(44, 45);이 더 구비되며,
    상기 출하부(30)는
    상기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 각각에 병아리(C)가 사전설정 카운팅수만큼 정확히 투입이되면, 채워진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에 인접되어 연속배열되어 있는, 다른 비어있는 복수개의 출하바구니(31)를 제 1, 2열(11, 12)의 끝단에 대응되어 배치되도록, 출하바구니(31)가 올려져 있는 출하이송레일(32)이 제어부(50)에 의해 동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84470A 2018-07-20 2018-07-20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 KR101957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470A KR101957272B1 (ko) 2018-07-20 2018-07-20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470A KR101957272B1 (ko) 2018-07-20 2018-07-20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272B1 true KR101957272B1 (ko) 2019-03-13

Family

ID=6576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470A KR101957272B1 (ko) 2018-07-20 2018-07-20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6561A (zh) * 2022-04-02 2022-08-16 广东精拓自动化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喷砂自动化生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3160A (ja) 2000-11-21 2002-05-28 Kyowa Machinery Co Ltd 卵選別方法及び卵選別包装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3160A (ja) 2000-11-21 2002-05-28 Kyowa Machinery Co Ltd 卵選別方法及び卵選別包装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6561A (zh) * 2022-04-02 2022-08-16 广东精拓自动化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喷砂自动化生产系统
CN114906561B (zh) * 2022-04-02 2024-05-24 广东精拓自动化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喷砂自动化生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10971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llenar recipientes anidados
EP2923971A1 (en) A system for collecting products as well as a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210061561A1 (en) Automatic picking machine for filling a transport container
US20150274422A1 (en) Automated storing and commissioning system for small-piece goods
EP33184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packaging groups of objects
CN117044768A (zh) 供应鱼的装置和方法
US20200361646A1 (en) Food conveyor and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KR101957272B1 (ko) 병아리 자동 카운팅 장치
US2633971A (en) Unscrambler for cans
BR112018072356B1 (pt) Máquina de coleta automática para embalagens de medicamentos farmacêuticos
US20160229642A1 (en) Machine for supplying containers
KR101755265B1 (ko) 불량품 선별 구조의 방적사 콘 운반 시스템
JP3388935B2 (ja) 薬剤の払出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436228B1 (ko) 개별상품 처리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개별상품을 배출하는 방법
US20140250829A1 (en) Automated dispensing system
WO2020129853A1 (ja) 組合せ計量装置
EP3265410B1 (en) Tray stack dispenser
CZ269395A3 (en) Device for removing wound-up packages from a textile machine
US5626101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high speed loading of chicks into handling trays
EP2769935A1 (de) Kommissioniervorrichtung und Kommissionierverfahren
JP2009057088A (ja) 餃子のトレー詰めのための起立姿勢保持装置
JP3618227B2 (ja) 農産物選別装置における空箱供給装置
JPH07257735A (ja) アンプルの定量取り出し装置
JP2663188B2 (ja) 薬品の取り出し方法
DE10112566A1 (de) Zuführung von nachzulegenden Packungen, insbesondere Cigarettenpackungen zu einer Verpackungs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