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785B1 -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 Google Patents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785B1
KR102084785B1 KR1020190049915A KR20190049915A KR102084785B1 KR 102084785 B1 KR102084785 B1 KR 102084785B1 KR 1020190049915 A KR1020190049915 A KR 1020190049915A KR 20190049915 A KR20190049915 A KR 20190049915A KR 102084785 B1 KR102084785 B1 KR 10208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line
unit
rabbit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333A (ko
Inventor
이태현
윤기철
손광철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7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01P3/081Microstrip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32Non-reciprocal transmission devices
    • H01P1/36Isol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가 개시된다. 무선통신/위성통신/이동통신/정보통신/방송통신/전자통신/전기 통신 분야에 적용할 부품/소자/회로/시스템과 RF에 관련된 부품/소자/회로/시스템 및 주파수 혼합기, 전력 증폭기, 듀플렉서/또는 다이플렉서와 같은 회로에 적용했을 때 크기, 즉 전송 선로의 RF 대역의 물리적 길이 λg/4(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 보다 λg/6로 소형 크기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Transmission-line of compact size using Rabbit-type Network}
본 발명은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위성통신/이동통신/정보통신/방송통신/전자통신/전기 통신 분야에 적용할 부품/소자/회로/시스템과 RF에 관련된 부품/소자/회로/시스템 및 주파수 혼합기, 전력 증폭기, 듀플렉서/또는 다이플렉서와 같은 회로에 적용했을 때 크기, 즉 전송 선로의 RF 대역의 물리적 길이 λg/4(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 보다 λg/6로 소형 크기로 줄이는,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에 관한 것이다.
RF 내지 초고주파(마이크로파) 통신 시스템은 설계하기 위해 많은 부품들이 연결된다. 상기 부품과 부품을 연결하기 위해 전송선로 부들이 사용되며, 도 8의 전송선로부 실제의 길이(ℓ)는 사용 주파수에 맞게 결정되고, 이때, RF 대역의 전기적인 길이(electrical length) 또는 물리적인 길이(physical length)는 사용 주파수에 맞게 90° 또는 λg/4(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로 결정된다.
RF 내지 초고주파(마이크로파)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또 다른 부품들 중에서 RF 전력을 분배하거나 합할때 사용하는 전력분배부; RF 전력을 분할하는데 사용하는 전력결합부; 및 사용하고자 하는 대역 주파수 통과시키고 그 이외에 주파수는 차단하는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가 사용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써, 특허 등록번호 10-01098180000에서는 "상이한 크기의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 구조물"이 공개되어 있다.
상이한 크기의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 구조물은, 다수의 절연층을 갖는 단일의 다층 회로 구조물 내에 형성된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 구조물이 단일 다층 회로 구조물의 외부층 상에 피착된 상이한 폭을 갖고 있고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형성하는 직렬 접속된 마이크로스트립의 스트립 단면, 거의 일정한 임피던스를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의 전장을 따라 제공하기 위해, 절연층들 사이에 형성되고 이에 관련된 스트립 단면과 각각 격설되어 있는 각각의 상기 스트립 단면용의 각각의 기부 평면 및 상기 각각의 기부 평면을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전성 비아를 포함하고 있다.
(1) 기존에 사용되는 부품들의 용도, 특징, 단점
전송선로부(도8)
- 용도 : 부품과 부품 사이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며 사용 주파수에 맞게 선로의 길이(l)가 고정된다. 이때, 전기적인 길이 90°또는 물리적인 길이 λg/4에 해당된다.
- 특징 : 전기적인 길이 90°또는 물리적인 길이 λg/4가 사용 주파수에 맞게 결정되어야 실제의 길이(l)가 나오게 되는데 만일 길이(l)의 기준에서 벗어나게 된다면 주파수가 틀어지게 되므로 실제의 길이(l)를 의도적으로 바꾸지 못하게 된다.
- 단점 : 밀리미터파가 아닌 낮은 주파수 대역 즉, 고주파 내지 마이크로파 대역에서는 선로 또는 부품의 크기가 커지므로 상기 선로나 부품들을 실제의 회로나 통신시스템에 적용하게 된다면 실제의 회로나 통신시스템의 크기가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즉, 주파수 대역에 점유되어 있어 선로나 부품의 크기를 의도적으로 바꿀 수 없다.
전력 분배부(도 10)
- 용도 : RF 전력을 분배하거나 합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 특징 : 도 10의 전체 크기가 사용 주파수에 맞게 전기적 길이 90°또는 물리적 길이 λg/4로 구성된다.
- 단점 : 도 10의 크기(lb1, lb2)가 주파수에 점유되어 있어 크기를 인위적으로 줄일 수 없기 때문에 낮은 주파수(고주파 내지 초고주파) 대역에서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어서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때, 통신 시스템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다.
전력 결합부 (도 12)
- 용도 : RF 전력을 분할하는데 사용함.
- 특징 : 도 12의 전체의 크기(ㅁ1, ㅁ2, ㄹ1, ㄹ2)가 사용 주파수에 맞게 전기적 길이 90°또는 물리적 길이 λg/4로 구성된다.
- 단점: 도 12의 크기(ㅁ1, ㅁ2, ㄹ1, ㄹ2)가 주파수에 고정되어 있어 크기를 인위적으로 줄일 수 없다. 만일, 크기를 인위적으로 줄이게 된다면 주파수가 틀어지므로, 고주파 내지 마이크로파 대역에 맞추어 설계를 하게 된다면 실제의 크기(ㅁ1, ㅁ2, ㄹ1, ㄹ2)가 커지므로 실제의 회로나 통신시스템에 적용하게 된다면 크기 문제로 부적절하다.
ㆍ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 (도 14, 도 15, 도 17)
- 용도 : 사용하고자 하는 주파수는 사용 대역만큼 통과 시켜주고 그 외의 주파수 대역은 통과못하도록 차단시킨다.
- 특징 :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도 14)는 λg/4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도 15)와 λg/2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도 17)로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며, 최초의 필터는 도 17로써 l1a , l2b , l3c의 길이는 전기적 길이와 물리적 길이가 각각 180°및 λg/2로 구성되며 각각의 길이 끝 부분에는 개방형으로 구성된다.
도 17의 l1a, l2b, l3c의 전기적인 또는 물리적인 길이를 절반으로 줄이기 위해 l1a , l2b , l3c의 끝 부분에 도 15와 같이 이음부(v1, v,2, v3)를 이용하여 끝부분과 접지 면에 신호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을 한 후, l1a , l2b , l3c의 전기적인 길이와 물리적인 길이를 사용 주파수에 고려하여 각각 90°및 λg/4로 축소시키면 도 15와 같이 v1, v2, v3가 포함된 새로운 l1, l2, l3로 구성된다.
- 장점 : 도 17의 l1a , l2b , l3c를 도 15와 같이 v1, v2, v3를 이용하여 l1a, l2b , l3c의 크기를 도 15의 l, l2, l3와 같이 절반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도 14의 ②-a, ②-b, ②-c크기를 유용하게 줄일 수 있다.
- 단점 : 도 14와 같이 ②-a, ②-b, ②-3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도 14의 ③-a와 ③-b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③-a와 ③-b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길이는 사용되는 주파수와 파장에 맞게 90°및 λg/4로 고정되어 있다. 만일, 상기 물리적 및 전기적 길이를 실제의 길이로 환산하게 된다면 사용 주파수에 관계되기 때문에 실제의 길이(l③-a, l③-b)는 고주파 내지 마이크로파에 관련된다면, 실제의 길이(l③-a, l③-b)는 매우 커진다. 만일, 실제의 길이(l③-a, l③-b)를 줄이게 된다면, 주파수가 틀어지는 현상이 벌어지므로 상기 실제의 크기(l③-a, l③-b)는 변할 수 없게 된다. 만일, 사용 주파수가 밀리미터파가 아닌 낮은 주파수 대역(고주파 또는 초고주파)으로 낮아지게 된다면, 상기 ③-a, ③-b의 실제의 크기(l③-a, l③-b)가 커지게 되므로 실제의 회로나 통신시스템에 적용하는데 무리가 따른다.
(2) 배경 및 필요성
도8 전송선로부, 도10의 전력 분배부, 도 12의 전력결합부, 도 14의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 등의 도8(l),도10( lb1, lb2) , 도12(lㅁ1, lㅁ2, lㄹ1, lㄹ2),도 14( l③-a, l③-b)의 전기적인 길이 및 물리적인 길이가 90°또는 λg/4로 결정되며, 전기적인 또는 물리적인 길이를 실제의 길이로 환산하게 된다면 실제의 길이는 사용 주파수에 맞추어 고정되므로 만일 실제의 길이를 인위적으로 바꾸게 되면, 주파수가 틀어지게 되어 결국 실제의 길이(도 8의 l, 도 10의 lb1, lb2 , 도 12의 lㅁ1 , lㅁ2, lㄹ1 , ㄹ2 , 도 14의 l③-a, l③-b,)를 바꾸지 못하게 된다. 상기 길이(도 8의 l, 도 10의 lb1, lb2 , 도 12의 lㅁ1 , lㅁ2 , lㄹ1 , ㄹ2 , 도 14의 l③-a, l③-b,)에 대한 문제점은 mobile 이나 Wi-Fi 같은 고주파 내지 마이크로파 대역에서는 실제의 길이가 파장의 길이에 연관되어 실제의 길이가 매우 커지는 현상이 벌어진다. 그러므로, 실제의 크기로 인해 RF 부품 설계나 RF 부품을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게 되면, 부품이나 통신 시스템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실제의 크기(도 8의 l, 도 10의 lb1, lb2 , 도 12의 lㅁ1 , lㅁ2 , lㄹ1 , ㄹ2 , 도 14의 l③-a, l③-b,)를 줄이기 위해 발명하고자 하는 래빗-타입 회로망의 기술을 사용하여 실제의 길이(도 8의 l, 도 10의 lb1, lb2 , 도 12의 lㅁ1 , lㅁ2 , lㄹ1 , lㄹ2 , 도 14의 l③-a, l③-b)를 반드시 줄여야 한다.
특허 등록번호 10-01098180000 (등록일자 1996년 12월 28일), "상이한 크기의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 구조물", 휴우즈에어크라프트감파니
K. C. Yoon, J. H. Kim, and J. C. Lee, Compact narrow bandpass filter with λg/4 short stubs using impedance mismatching of the transmission line, Microwave Optical Technology Letters 52 (2010), 2002-2005. J. S. Hong and M. J. Lancaster, Microstrip filters for RF/Microwave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Inc 2001.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위성통신/이동통신/정보통신/방송통신/전자통신/전기 통신 분야에 적용할 부품/소자/회로/시스템과 RF에 관련된 부품/소자/회로/시스템 및 주파수 혼합기, 전력 증폭기, 듀플렉서(또는 다이플렉서)와 같은 회로에 적용했을 때 크기, 즉 전송 선로의 RF 대역의 물리적 길이 λg/4(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 보다 λg/6로 소형 크기로 줄이는,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도 8의 l, 도 10의 lb1, lb2 , 도 12의 lㅁ1 , lㅁ2 , lㄹ1 , lㄹ2 , 도 14의 l③-a, l③-b)를 절반 이상으로 줄이기 위해 래빗-타입 회로망을 사용하여 상기 부품(도8, 도10, 도12, 도14)들의 전기적 길이 90°또는 물리적 길이 λg/4를 절반 이상 줄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상기 래빗-타입 회로망 기법을 각 부품(도8, 도10, 도12, 도14)에 적용하게 된다면, 상기 부품들의 실제 크기(도 8의 l, 도 10의 lb1, lb2 , 도 12의 lㅁ1 , lㅁ2 , lㄹ1 , ㄹ2 , 도 14의 l③-a, l③-b)가 절반 이상으로 줄어들게 되어 면적을 차지하는 단가가 줄어들고, 실제에 적용할 회로나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체 크기가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는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전송선로에서,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RF 전력(RF Power)을 전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선로부; 상기 전송 선로부의 입력부로써, 상기 RF 전력이 상기 전송선로부에 전달되기 위해 상기 RF 전력을 최초 입력하는 제1 급전부(r6); 및 상기 전송선로부의 출력부로써, 상기 RF 전력이 상기 전송선로부로부터 전달되어 다음 회로로 전송되기 위한 제2 급전부(r7);를 포함하며,
상기 래빗-타입 회로망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 제1 급전부(r6), 전송선로부, 제2 급전부(r7)를 구비한 래빗-회로망의 전송 회로는 제1 급전부 인 입력부(r6)와 연결된 제1 브릿지 제어부(r1)의 후단부(r2)와, 제2 급전부 인 출력부(r7)의 제2 브릿지 제어부(r5)의 전단부(r4)에서 대칭 병렬 구조로 전송선로의 수평 기준 위 아래로 분산 변형시키며,
상기 제1 급전부 인 입력부(r6)의 제1 브릿지 제어부(r1)의 후단부(r2)와 임피던스 조정부(r3)를 통해 상기 제2 급전부 인 출력부(r7)의 제2 브릿지 제어부(r5)의 전단부(r4)와 직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송선로부는, 상기 제1 브릿지 제어부(r1)의 후단부(r2) 및 제2 브릿지 제어부(r5)의 전단부(r4)에서 각각 하방으로 수직으로 병렬로 분기되며, 원하는 만큼의 전력량을 조절하기 위해 길이를 변화시켜 전력량을 조절하는 전력 조정부(r8); 상기 전력 조정부(r8)와 수평으로 제1 위상조정부(r9)가 연결되며, RF 전력의 위상을 조정하는 제1 위상조정부(r9); 상기 제1 위상조정부(r9)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정확한 주파수 값(대역)을 조정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대역조정부(r10); 상기 대역조정부(r10)와 수평으로 제2 위상조정부(r11)가 연결되며, RF 전력의 위상을 조정하는 제2 위상조정부(r11); 상기 제2 위상조정부(r11)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손실 제어부(r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급전부 인 입력부(r6)의 상기 제1 브릿지 제어부(r1)의 후단부(r2)와 임피던스 조정부(r3)를 통해 상기 제2 급전부 인 출력부(r7)의 상기 제2 브릿지 제어부(r5)의 전단부(r4)와 직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송선로부의 실제의 길이(ℓ)는 사용 주파수에 맞게 결정되고, RF 대역의 전기적인 길이(electrical length) 또는 물리적인 길이(physical length)는 각각 사용 주파수에 맞게 90° 또는 λg/6(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로 크기로 줄이며,
RF 내지 마이크로파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또 다른 부품들이 상기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며, RF 전력을 분배하거나 합할때 사용하는 전력 분배부; 상기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며, RF 전력을 분할하는데 사용하는 전력 결합부; 및 상기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며, 사용하고자 하는 대역 주파수 통과시키고 그 이외에 주파수는 차단하는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는
비아(Via: V1)를 구비하지 않으며 접지(GND)와 연결되지 않은 개방형 스터브(open stub)의 길이가 λg/2 인 λg/2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로 구현하거나, 또는
비아(V1)를 통해 각각 접지면(GND)을 연결하여 λg/4 단락형 스터브(short stub) 대역통과 필터를 구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는 무선통신/위성통신/이동통신/정보통신/방송통신/전자통신/전기 통신 분야에 적용할 부품/소자/회로/시스템과 RF에 관련된 부품/소자/회로/시스템 및 주파수 혼합기, 전력 증폭기, 듀플렉서(또는 다이플렉서)와 같은 회로에 적용했을 때 크기, 즉 전송 선로의 RF 대역의 물리적 길이 λg/4(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 보다 λg/6로 소형 크기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무선통신/위성통신/이동통신/정보통신/방송통신/전자통신/전기 통신 분야에 적용할 부품/소자/회로/시스템과 RF에 관련된 부품/소자/회로/시스템 및 주파수 혼합기, 전력 증폭기, 듀플렉서(또는 다이플렉서)와 같은 회로에 적용했을 때, 래빗-타입 회로망 기법을 각 RF 관련 부품(도8, 도10, 도12, 도14)에 적용하게 되면, RF 관련 부품들의 실제 크기(도 8의 l, 도 10의 lb1, lb2, 도 12의 lㅁ1, lㅁ2, lㄹ1, ㄹ2, 도 14의 l③-a, l③-b)가 절반 이상으로 줄어들게 되어 면적을 차지하는 단가가 줄어들고, 실제에 적용할 회로나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체 크기가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도 1은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하여 크기가 축소된 전송선로부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급전부, 전송라인, 제2 급전부를 구비한 래빗-타입 회로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급전부, 전송라인, 제2 급전부를 구비한 래빗-타입 회로망이다.
도 4는 래빗-타입 회로망에서 도 8의 전송선로부, 전력결합부의 ㄹ1,ㄹ2에 적용하여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S11), 빨간 파형(삽입손실, S21)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5는 래빗-타입 회로망에서 도 10의 전력분배부의 ㅂ1,ㅂ2에 적용하여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S11), 빨간 파형(삽입손실, S21)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6은 래빗-회로망에서 도 12의 전력결합부의 ㅁ1,ㅁ2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7은 래빗-회로망에서 도 15의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 및 도 17의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에 ③-a, ③-b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8은 전송 선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래빗-회로망에서 전송선로부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0은 전력분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래빗-회로망에서 전력분배부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2는 전력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래빗-회로망에서 전송결합부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 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4는 스터브 대역 통과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λg/4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래빗-회로망에서 λg/4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 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7은 λg/2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래빗-회로망에서 λg/2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 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하여 크기가 축소된 전송선로부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는 무선통신/위성통신/이동통신/정보통신/방송통신/전자통신/전기 통신 분야에 적용할 부품/소자/회로/시스템과 RF에 관련된 부품/소자/회로/시스템 및 주파수 혼합기, 전력 증폭기, 듀플렉서(또는 다이플렉서)와 같은 회로에 적용했을 때 크기, 즉 전송 선로의 RF 대역 물리적 길이 λg/4(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 보다 λg/6로 소형 크기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도 8, 도10, 도12, 도14에 관련되는 부품들의 공통된 특징은 전기적 길이[(도8의 l), (도10의l b1, lb2), (도12 lㄹ1 , lㄹ2 , lㅁ1 , lㅁ2), (도 14의 l③-a, l③-b)] 와 물리적 길이 [(도8의 l), (도10의 lb1, lb2), (도12의 lㄹ1, lㄹ2 , lㅁ1, lㅁ2 ), (도 14의 l③-a, l③-b)]가 사용 주파수에 맞게 90°또는 λg/4로 결정된다.
[(도8의 l ), ( 도10의 lb1 , lb2 ), ( 도12의 lㄹ1 , lㄹ2 , lㅁ1 , lㅁ2 ), (도 14의 l③-a, l③-b)] 전기적 길이 90°또는 물리적 길이 λg/4의 특징은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관없는데 낮은 주파수 대역 즉, mobile 또는 Wi-Fi 주파수 대역에서는 실제의 길이 [( 도8의 l), ( 도10의 lb1 , lb2 ), ( 도12의 lㄹ1 , lㄹ2 , lㅁ1 , lㅁ2 ), (도 14의 l③-a, l③-b)]가 커지므로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기 불가능하게 된다.
실제의 길이 [(도8의 l), (도10의 lb1, lb2), (도12의 lㄹ1, lㄹ2, lㅁ1, lㅁ2), (도 14의 l③-a, l③-b)는 인위적으로 줄이게 되면, 사용 주파수 대역이 변하게 되어 설계 부품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래빗-타입 회로망 기법을 활용하여 전기적 길이 [(도8의 l), (도10의 lb1, lb2), (도12의 lㄹ1, lㄹ2, lㅁ1, lㅁ2), (도 14의 l③-a, l③-b)] 90°또는 물리적 길이 [(도8의 l), (도10의 lb1, lb2), (도12의 lㄹ1, lㄹ2, lㅁ1, lㅁ2), (도 14의 l③-a, l③-b)] λg/4를 1/2 이상 줄이는 것이 목적이며, 상기 래빗-타입 회로망을 각 부품들(도 8, 도10, 도12, 도14)에 활용하게 되면 해당 수동 부품들의 크기가 1/2 이상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크기(도 8의 l, 도 14의 l③-a, l③-b, 도 10의 lb1, lb2, 도 12의 lㅁ1, lㅁ2, lㄹ1, ㄹ2)를 줄이게 된다면, 통신시스템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면적 점유되는 제조 단가가 줄어들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급전부, 전송라인, 제2 급전부를 구비한 래빗-타입 회로망을 나타낸 도면이다. 래빗-타입 회로망은 제1 급전부, 전송라인, 제2 급전부를 구비한다.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전송선로는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RF 전력(RF Power)을 전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선로부;
상기 전송 선로부의 입력부로써, 상기 RF 전력이 상기 전송선로부에 전달되기 위해 상기 RF 전력을 최초 입력하는 제1 급전부(r6); 및
상기 전송선로부의 출력부로써, 상기 RF 전력이 상기 전송선로부로부터 전달되어 다음 회로로 전송되기 위한 제2 급전부(r7);를 포함하며,
상기 래빗-타입 회로망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 제1 급전부, 전송선로부, 제2 급전부를 구비한 래빗-회로망의 전송 회로는 제1 급전부 인 입력부(r6)와 연결된 제1 브릿부 제어부(r1)의 후단부(r2)와, 제2 급전부 인 출력부(r7)의 제2 브릿지 제어부(r5)의 전단부(r4)에서 대칭 병렬 구조로 전송선로의 수평 기준 위 아래로 분산 변형시키며,
제1 급전부 인 입력부(r6)의 제1 브릿지 제어부(r1)의 후단부(r2)와 임피던스 조정부(r3)를 통해 제2 급전부 인 출력부(r7)의 제2 브릿지 제어부(r5)의 전단부(r4)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송선로부의 실제의 길이(ℓ)는 사용 주파수에 맞게 결정되고, RF 대역의 전기적인 길이(electrical length) 또는 물리적인 길이(physical length)는 각각 사용 주파수에 맞게 90° 또는 λg/6(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로 크기를 줄이며,
RF 내지 마이크로파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또 다른 부품들이 상기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며, RF 전력을 분배하거나 합할때 사용하는 전력 분배부; 상기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며, RF 전력을 분할하는데 사용하는 전력 결합부; 및 상기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며, 사용하고자 하는 대역 주파수 통과시키고 그 이외에 주파수는 차단하는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는
비아(Via: V1)를 구비하지 않으며 접지(GND)와 연결되지 않은 개방형 스터브(open stub)의 길이가 λg/2 인 λg/2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로 구현하거나, 또는
비아(V1)를 통해 각각 접지면(GND)을 연결하여 λg/4 단락형 스터브(short stub) 대역통과 필터를 구현한다.
상기 전송선로부는 제1 브릿지 제어부(r1)의 후단부(r2) 및 제2 브릿지 제어부(r5)의 전단부(r4)에서 각각 하방으로 수직으로 병렬로 분기되며, 원하는 만큼의 전력량을 조절하기 위해 길이를 변화시켜 전력량을 조절하는 전력 조정부(r8); 상기 전력 조정부(r8)와 수평으로 제1 위상조정부(r9)가 연결되며, RF 전력의 위상을 조정하는 제1 위상조정부(r9); 상기 제1 위상조정부(r9)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정확한 주파수 값(대역)을 조정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대역조정부(r10); 상기 대역조정부(r10)와 수평으로 제2 위상조정부(r11)가 연결되며, RF 전력의 위상을 조정하는 제2 위상조정부(r11); 상기 제2 위상조정부(r11)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손실 제어부(r12)를 포함하며,
제1 급전부 인 입력부(r6)의 제1 브릿지 제어부(r1)의 후단부(r2)와 임피던스 조정부(r3)를 통해 제2 급전부 인 출력부(r7)의 제2 브릿지 제어부(r5)의 전단부(r4)와 직렬로 연결된다.
전송선로부 실제의 길이(ℓ)는 사용 주파수에 맞게 결정되고, RF 대역의 전기적인 길이(electrical length) 또는 물리적인 길이(physical length)는 각각 사용 주파수에 맞게 90° 또는 λg/6(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로 소형 크기로 줄인다.
RF 내지 초고주파(마이크로파)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또 다른 부품들 중에서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며, RF 전력을 분배하거나 합할때 사용하는 전력분배부;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며 RF 전력을 분할하는데 사용하는 전력결합부; 및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며 사용하고자 하는 대역 주파수를 통과시키고, 그 이외에 주파수를 차단하는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가 사용된다.
lr6 : RF 전력이 도 2의 래빗-타입 회로망에 입력되는 제1 급전부 인 입력부(r6)의 길이
lr7 : 도 2로부터 통과된 RF 전력을 다른 부품(부하측)으로 전달하여 보내주기 위해 출력하는 제2 급전부 인 출력부(r7)의 길이
ㆍ r8 : 전력량을 조절하는 전력 조정부
ㆍ r9, r11 : RF 전력에 관한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 조정부
ㆍ r10 : 정확한 주파수 값(대역)을 얻기 위해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대역 조정부
ㆍ r12 :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손실 제어부
ㆍ r3 : 임피던스 조정부
ㆍr1, r5 : 래빗-타입 회로망(도 2)과 r6 내지 r7을 연결하여 RF 전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되는 브리지 제어부
ㆍ wr1, wr2, wr3, wr4 : r1의 폭, r2의 폭, r3의 폭, r4의 폭
ㆍ wr5, wr6, wr7, wr8 : r5의 폭, r6의 폭, r7의 폭, r8의 폭
ㆍ wr9, wr10, wr11, wr12 : r9의 폭, r10의 폭, r11의 폭, r12의 폭
lr1, lr2, lr3 : r1의 길이, r2의 길이, r3의 길이
lr4, lr5, lr8 : r4의 길이, r5의 길이, r8의 길이
lr9, lr10, lr11 : r9의 길이, r10의 길이, r11의 길이
lr12 : r12의 길이
lrtx : 도 2의 가로 길이
lrty : 도 2의 세로 길이
도 3은 제1 급전부, 전송라인, 제2 급전부를 구비한 래빗-타입 회로망이다.
ㆍ F1, F2 : 도 2에 해당하는 r6, r7
ㆍ ① : r3, ② : r2, ③ : r4, ④ : r1, ⑤ : r5, ⑥ : r8, ⑦ : r8
ㆍ ⑧ : r9, ⑨ : r9, ⑩ : r10, ⑪ : r10, ⑫ : r11, ⑬ : r11
ㆍ ⑭ : r12, ⑮ : r12
l1t1 : lrtx
lrty : lrty
①(lr3), ②(lr2), ③(lr4), ④(lr1), ⑤(lr5)에 해당하는 길이들을 직렬 형태로 고정시킨 후, lr3를 기준으로 했을 때, 일부의 ⑥(lr8), ⑦(lr8), ⑧(lr9), ⑨(lr9), ⑩(lr10), ⑪(lr10), ⑫(lr11), ⑬(lr11), ⑭(lr12), ⑮(lr12)에 해당하는 길이들은 병렬 형태로 재구성하였다.
ㆍ 최초 F1에서 입력되는 RF 전력을 ④(r1)에 전달되어 ②(r2)을 통해 전력 조정부(⑥/⑦(r8))에서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원하는 만큼의 전력량을 길이를 변화시켜 조절해 준다.
상기 조절된 전력량들은 제1 위상조정부(⑧/⑨, r9), 제2 위상 조정부(⑫/⑬, r11)의 길이 변화를 통해 조절된 전력량 만큼의 위상이 틀어지지 않도록 위상을 조절해 준다.
상기 조절된 위상은 대역 조정부(⑩/⑪, r10)의 길이 변화를 통해 주파수가 틀어지지 않도록 정확한 주파수 값이 되도록 조절해 주며 사용에 필요한 만큼의 주파수 대역폭을 조절해 준다.
상기 조절된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한 전력은 임피던스 조정부(⑭/⑮, r12)의 길이 변화를 통해 주파수 대역과 전력량 그리고 틀어진 위상을 바로 잡아주기 위해 손실된 전력량을 복원하여 전력량을 보상해 준다.
임피던스 조정부(①, r3)는 주파수, 위상이 포함된 전력량이 ③(r4), ⑤(r5)를 통해 제2 급전부(출력부)(F1, r7)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임피던스를 조절해 준다.
ㆍ 상기 ⑥/⑦(r8)과 ⑧/⑨(r9), ⑩/⑪(r10), ⑫/⑬(r11), ⑭/⑮(r12)의 경우 대칭형 구조로 설계하였으며, 번호들이 중복되는데 이는 서로 대칭형이므로 같은 동작을 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성능이 우수하도록 단일 형태가 아닌 대칭 구조의 이중 형태로 설계하여 성능을 보상하도록 하였다.
ㆍ ⑥-⑮까지의 구조가 꺾인 이유는 길이의 조절을 이용하여 성능을 조절할 때, 꺾인 부분의 불연속 구조를 이용하여 보상 차원으로 더욱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함이다.
도 2에서, RF 전력(RF power)이 제1 급전부(입력부)(r6)로부터 제2 급전부(출력부)(r7)로 전송되기 위해 S-parameter(왼쪽 파형)에서 빨간 파형(삽입손실, S21)과 파란 파형(반사손실, S11)이 정확히 구분되며, 스미스 챠트(오른쪽 원형 그림)에서 m3의 point가 정확하게 위치되어야 한다.
상기 명확한 표기를 위해 도 8, 도10, 도12, 도14에 새로운 래빗-타입 회로망을 접목한 도 4(도0), 도5(도1), 도6(2), 도7(도4)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이에 대한 결과 값들을 표 1과 같이 제시된다.
시뮬레이션 툴은 ADS(Advanced Design Tool) RF circuit simulator를 사용하였다.
도 4는 래빗-타입 회로망에서 도 8의 전송선로부, 전력결합부의 ㄹ1,ㄹ2에 적용하여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S11), 빨간 파형(삽입손실, S21)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RF 전력(RF power)이 제1 급전부(입력부)(r6)로부터 제2 급전부(출력부)(r7)로 전송되기 위해 S-parameter(왼쪽 파형)에서 빨간 파형(삽입손실, S21)과 파란 파형(반사손실, S11)이 정확히 구분되어야 한다.
S-parameter(왼쪽 파형-빨간 파형, 삽입손실, S21)가 0 dB에 가까우면 RF 전력 신호가 통과되며,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 반사손실, S11)이 가까우면 반사파의 간섭이 발생하므로, 멀리 이격될수록 성능이 좋아진다.
도 5는 래빗-타입 회로망에서, 도 10의 전력분배부의 ㅂ1,ㅂ2에 적용하여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S11), 빨간 파형(삽입손실, S21)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6은 래빗-회로망에서, 도 12의 전력결합부의 ㅁ1, ㅁ2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7은 래빗-회로망에서 도 15의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 및 도 17의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에 ③-a, ③-b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Figure 112019093725516-pat00001
[전송 선로부]
도 8은 전송 선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전송선로는
RF 전력(RF Power)을 전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선로부;
상기 전송 선로부의 입력부로써, 상기 RF 전력이 상기 전송선로부에 전달되기 위해 상기 RF 전력을 최초 입력하는 제 1 급전부; 및
상기 전송선로부의 출력부로써, 상기 RF 전력이 상기 전송선로부로부터 전달되어 다음 회로로 전송하는 제 2 급전부를 포함한다.
ㆍ전송선로부 : RF 전력(RF Power)을 전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선로부(무선통신에서는 RF 관련 부품들을 연결하는 전송선로)
ㆍ제1 급전부 : RF 전력이 전송선로부에 전달되기 위해 상기 RF 전력을 최초 입력하기 위한 제 1 급전부(RF에서는 '입력부' 라고 불림)
ㆍ제2 급전부: RF 전력이 전송선로부로부터 전달되어 다음 회로로 전송하기 위한 제 2 급전부(RF에서는 '출력부' 라고 불림)
ㆍ 전송선로부의 임피던스 값 : 50 Ω
ㆍ 전송선로부의 전기적 길이 : 90°
ㆍ 전송선로부의 길이 l: 25.8 mm @ 2 GHz
ㆍ 전송선로부의 폭 W : 1.49 mm @ 2 GHz
도 9는 래빗-회로망에서 전송선로부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 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오른쪽, 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RF 전력이 도 8의 전송선로부를 통해 전송되기 위해서는 S-parameter(왼쪽 파형)에서 빨간 파형(삽입손실)이 0.05 dB에 위치하고, 파란 파형(반사손실)이 -22.5 dB로 위치해야 하며, 스미스 챠트(오른쪽 원형 그림)에서 m3의 point가 50Ω (1+j0)에 위치되어 있어야 한다.
[전력 분배부]
도 10은 전력분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력 분배부는 RF 전력(RF Power)을 각각 제1 분배부(b1) 및 제2 분배부(b2)로 전달하는 제1 급전부(입력부)(a1); 상기 제1 급전부(입력부)(a1)으로부터 나오는 전력을 1/2 전력으로 나누어 주는 전송선로의 제1 전력분배부(b1) 및 제2 전력 분배부(b2); 각각의 제1 전력분배부(b1) 및 제2 전력분배부(b2)로부터 유입되는 전력을 다음 회로로 보내주는 2개의 제2 급전부(전송 선로의 제1 및 제2 출력부)(a2, a2)를 포함하며,
전송 선로의 제1 전력분배부(b1) 및 제2 전력분배부(b2)의 분배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제1 전력분배부(b1) 및 제2 전력분배부(b2)를 분리/영역 구분 또는 2 전력이 겹치지 않게 이격시켜주기 위한 격리 저항을 사용하여 아이솔레이터(isolator) 역할을 하는 격리부(c)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입력부의 RF 전력이 1 W이면, 제1 전력분배부(b1) 및 제2 전력분배부(b2)를 통해 0.5W 및 O.5W씩 전력을 분배하여 각각 전송 선로의 제1 및 제2 출력부(a2, a2)로 전달된다.
ㆍ a1: RF 전력을 각각 b1 및 b2에 전달하는 제1 급전부(RF에서는 입력부)
ㆍ a2 : b1/b2에서 흘러나오는 전력을 다음 회로로 공급하는 제2 급전부(RF에서는 출력부)
ㆍ b1/b2: a1으로부터 나오는 전력을 1/2전력으로 나누어 주는 제1/제2 전력분배부
ㆍ c : b1과 b2의 분배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b1과 b2를 분리/영역 구분 또는 이격시켜주기 위한 격리부
lb1/lb2: b1/b2의 길이
ㆍ wb1/wb2 : b1/d2의 폭
ㆍ b1, b2의 임피던스 값 : 70.7 Ω
ㆍ b1, b2의 전기적 길이 : 90°
lb1/lb2: 26.4 mm @ 2 GHz
ㆍ wb1/wb2 : 0.83 mm @ 2 GHz
도 11은 래빗-회로망에서 전력분배부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RF 전력이 도10의 전력분배부의 제1 전력분배부(b1) 및 제2 전력분배부(b2)를 통해 각각 1/2 전력이 분배되어 전송되기 위해 S-parameter(왼쪽 파형)에서 빨간 파형(삽입손실)이 0.77 dB에 위치하고, 파란 파형(반사손실)이 -8.04 dB에 위치하고 있어야 하며, 스미스 챠트(오른쪽 원형 그림)에서 m3의 point가 70.7 Ω (1.99-j8.65)에 위치되어 있어야 한다.
[전력 결합부]
도 12는 전력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력 결합부는 RF 전력을 결합부(ㄹ1, ㄹ2)와 위상차 제어부(ㅁ1, ㅁ2)로 제공하는 제 1 급전부(입력부)(ㄱ); 상기 제 1급전부(ㄱ)으로부터 입력되는 입사전력을 반전력으로 나누어 주는 결합부(ㄹ1, ㄹ2); 상기 결합부(ㄹ1, ㄹ2)로부터 반으로 나누어진 전력의 위상이 틀어지므로 틀어진 위상을 90°로 잡아주는 위상차 제어부(ㅁ1, ㅁ2); 상기 위상차 제어부(ㅁ1, ㅁ2)로부터 반으로 나누어진 전력을 다른 회로로 전달 시켜주기 위해 전력을 전달하는 제2 및 제3 급전부(RF 출력부와 결합 출력부)(ㄴ1, ㄴ2 ); 전력(power)을 위상차 제어부(ㅁ1, ㅁ2)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불요파가 발생했을 때, 불요파를 제거시켜주고 전력을 1/2으로 나누어지고, 또한 위상차 제어부(ㅁ1과 ㅁ2)의 영역을 구분해 격리시키는 격리 저항에서 아이솔레이터(Isolator) 역할을 하는 격리부(ㄷ)를 포함한다.
격리부(ㄷ)는 예를들면, 1W의 RF 전력을 제1 급전부(입력부)(ㄱ)에 입력되면, 일측 방향으로 90°위상으로 정립된 0.5W의 전력을 제2 급전부(ㄴ1)로 전달하며, 타측 방향으로 전달된 RF 전력을 격리부(ㄷ)의 저항에서 0.5W를 소모하고, 나머지 소모되지 않은 90°위상으로 정립된 0.5W의 전력을 제3 급전부(ㄴ2)로 전달한다.
ㆍ ㄱ : RF 전력을 결합부(ㅁ1, ㅁ2 /ㄹ1, ㄹ2)에 제공하기 위한 제 1급전부(RF에서는 입력부)
ㆍ ㄹ1, ㄹ2 : 제 1급전부(ㄱ)으로부터 입력되는 입사 전력을 1/2 전력으로 나누어 주는 결합부.
ㆍ ㅁ1, ㅁ2 : 결합부(ㄹ1, ㄹ2)로부터 1/2으로 나누어진 전력의 위상이 틀어지므로 틀어진 위상을 90°로 잡아주는 위상차 제어부
ㆍ ㄴ1, ㄴ2 : 위상차 제어부(ㅁ1, ㅁ2)로부터 1/2으로 나누어진 전력을 다른 회로로 전달시켜주기 위해 전력을 전달하는 제2 및 제3 급전부(RF에서는 출력부와 결합 출력부)
ㆍ ㄷ : 전력(power)을 위상차 제어부(ㅁ1, ㅁ2)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불요파가 발생했을 때, 불요파를 제거시켜주고 전력을 1/2으로 나누어지고, 또한 위상차 제어부(ㅁ1과 ㅁ2)의 영역을 구분해 격리시키는 격리부
ㆍ lㅁ1, lㅁ2 : ㅁ1과 ㅁ2의 길이
ㆍ lㄹ1, lㄹ2 : ㄹ1과 ㄹ2의 길이
ㆍ wㅁ1, wㅁ2 : ㅁ1과 ㅁ2의 폭
ㆍ w ㄹ1, w ㄹ2 : ㄹ1과 ㄹ2의 폭
ㆍ ㅁ1, ㅁ2의 임피던스 값 : 35.4 Ω
ㆍ ㄹ1, ㄹ2의 임피던스 값 : 50 Ω
ㆍ ㅁ1, ㅁ2의 전기적 길이 : 90°
ㆍ ㄹ1, ㄹ2의 전기적 길이 : 90°
ㆍ lㅁ1, lㅁ2 : 25.4 mm @ 2 GHz
ㆍ lㄹ1, lㄹ2 : 25.8 mm @ 2 GHz
ㆍ wㅁ1, wㅁ2 : 2.46 mm @ 2 GHz
ㆍ w ㄹ1, w ㄹ2 : 1.49 mm @ 2 GHz
도 13은 래빗-회로망에서 전송결합부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RF 전력이 도12의 전력결합부의 ㅁ1/ㅁ2와 ㄹ1/ㄹ2를 통해 반으로 분할되어 전송되기 위해 S-parameter(왼쪽 파형)에서 빨간 파형(삽입손실)이 0.47 dB에 위치하고 파란 파형(반사손실)이 -10.1 dB에 위치하고 있어야 하며, 스미스 챠트(오른쪽 원형 그림)에서 m3의 point가 35.4 Ω (0.5-j2.16)에 위치되어 있어야 한다.
[스터브 대역 통과 필터]
도 14는 스터브 대역 통과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f)는 RF 전력을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f)의 전송 선로에 입력되는 제1 급전부(RF 입력부)(①); 상기 전송 선로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제1 급전부(RF 입력부)(①)에서 나오는 전력의 기 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 대역은 통과 못하도록 차단하는 제1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a); 상기 전송 선로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a)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에 포함된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제어하는 손실 보상부(②-b); 상기 전송 선로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제1 급전부(RF 입력부)(①)에서 나오는 전력의 기 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 대역은 통과 못하도록 차단하는 제2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c);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a)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상기 손실 보상부(②-b)로 전달하는 제1 연결부(③-a); 상기 손실 보상부(②-b)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제2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c)로 전달하는 제2 연결부(③-b); 및 상기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f)에서 전송되는 전력을 전송 선로의 다음 부하측(타 회로)으로 전달하는 제2 급전부(RF 출력부)(④)를 포함한다.
ㆍ f :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
ㆍ ① : RF 전력을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f)에 입력시키기 위한 제1 급전부(RF 입력부)
ㆍ②-a: 제1 급전부(RF 입력부)(①)에서 나오는 전력의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 대역은 통과 못하도록 차단하는 제1 주파수 대역 제어부
ㆍ②-b: 제1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a)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에 포함된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제어하는 손실 보상부
ㆍ②-c: 제2 주파수 대역 제어부
ㆍ③-a: 제1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a)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손실 보상부(②-b)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연결부
ㆍ③-b : 손실 보상부(②-b)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제2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c)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연결부
ㆍ④: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f)에서 전송되는 전력을 다음 부하 측(타 회로)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급전부(RF 출력부)
도 15는 λg/4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는 비아(V1)를 통해 각각 접지면(GND)을 연결하여 λg/4 단락형 스터브(short stub)를 구현하며,
상기 λg/4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는 도 14의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이며,
제1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a)에서 발생하는 전력이 접지면으로 전송되기 위해 ②-a와 비아(Via)를 통해 접지면(GND)과의 연결하는 이음부(V1); ②-b에서 발생하는 전력이 접지면(GND)으로 전송되도록 손실 보상부(②-b)와 비아(Via)를 통해 접지면(GND)과 연결하는 이음부(V1); 제2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c)에서 발생하는 전력이 접지면(GND)으로 전송되도록 제2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c)와 비아(Via)를 통해 접지면(GND)과의 연결하는 이음부(V1)를 더 포함한다.
l1: ②-a의 길이
l2: ②-b의 길이
l3: ②-c의 길이
la: ③-a의 길이
lb: ③-b의 길이
ㆍ w1: ②-a의 넓이
ㆍ w2: ②-b의 넓이
ㆍ w3: ②-c의 넓이
ㆍ wa: ③-a의 넓이
ㆍ wb: ③-b의 넓이
l1의 임피던스 값 : 33.6 Ω
l2:의 임피던스 값 : 18.4 Ω
l3의 임피던스 값 : 33.6 Ω
la의 임피던스 값 : 37.3 Ω
lb의 임피던스 값 : 37.3 Ω
l1의 전기적인 길이 값 : 90°
l2:의 전기적인 길이 값 : 90°
l3의 전기적인 길이 값 : 90°
la의 전기적인 길이 값 : 90°
lb의 전기적인 길이 값 : 90°
l1: 25.7 mm @ 2 GHz
l2: 24.7 mm @ 2 GHz
l3: 25.7 mm @ 2 GHz
la: 25.8 mm @ 2 GHz
lb: 25.8 mm @ 2 GHz
ㆍ w1: 2.69 mm @ 2 GHz
ㆍ w2: 5.63 mm @ 2 GHz
ㆍ w3: 2.69 mm @ 2 GHz
ㆍ wa: 2.23 mm @ 2 GHz
ㆍ wb: 2.23 mm @ 2 GHz
ㆍ v1: 제1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a)에서 발생하는 전력이 접지면으로 전송되기 위해 ②-a와 비아(Via)를 통해 접지면(GND)과의 연결하는 이음부(V1); ②-b에서 발생하는 전력이 접지면(GND)으로 전송되도록 손실 보상부(②-b)와 비아(Via)를 통해 접지면(GND)과의 연결하는 이음부(V1); 제2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c)에서 발생하는 전력이 접지면(GND)으로 전송되도록 제2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c)와 비아(Via)를 통해 접지면(GND)과의 연결하는 이음부(V1)를 구비한다.
lv-a, lv-b, lv-c : V1의 길이
ㆍ wv-a, wv-b, wv-c : V1의 넓이
lv-a, lv-b, lv-c : 0.3 mm @ 2 GHz
ㆍ wv-a, wv-c : 2.69 mm @ 2 GHz
ㆍ wv-c : 5.63 mm @ 2 GHz
도 16은 래빗-회로망에서 λg/4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RF 전력이 도 15의 λg/4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의 ③-a와 ③-b를 통해 전력이 전송되기 위해 S-parameter(왼쪽 파형)에서 빨간 파형(삽입손실)이 0.35 dB 에 위치하고 파란 파형(반사손실)이 -11.4 dB에 위치하고 있어야 하며, 스미스 챠트(오른쪽 원형 그림)에서 m3의 point가 37.3 Ω (0.557-j2.026)에 위치되어 있어야 한다.
도 17은 λg/2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l1-a: ②-a의 길이
l2-b: ②-b의 길이
l3-c: ②-c의 길이
l3-a: ③-a의 길이
l3-b: ③-b의 길이
ㆍ w1-a: ②-a의 넓이
ㆍ w2-b: ②-b의 넓이
ㆍ w3-c: ②-c의 넓이
ㆍ w3-a: ③-a의 넓이
ㆍ w3-b: ③-b의 넓이
l1-a의 임피던스 값 : 81.1 Ω
l2-b:의 임피던스 값 : 44.4 Ω
l3-c의 임피던스 값 : 81.1 Ω
l3-a의 임피던스 값 : 37.3 Ω
l3-b의 임피던스 값 : 37.3 Ω
l1-a의 전기적인 길이 값 : 180°
l2-b:의 전기적인 길이 값 : 180°
l3-c의 전기적인 길이 값 : 180°
l3-a의 전기적인 길이 값 : 90°
l3-b의 전기적인 길이 값 : 90°
l1-a: 54 mm @ 2 GHz
l2-b: 50.68 mm @ 2 GHz
l3-c: 54 mm @ 2 GHz
l3-a:25.4 mm @ 2 GHz
l3-b:25.4 mm @ 2 GHz
ㆍ w1-a: 0.78 mm @ 2 GHz
ㆍ w2-b: 2.04 mm @ 2 GHz
ㆍ w3-c: 0.78 mm @ 2 GHz
ㆍ w3-a: 2.29 mm @ 2 GHz
ㆍ w3-b: 2.29 mm @ 2 GHz
도 18은 래빗-회로망에서 λg/2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에 적용한 S-parameter(왼쪽 파형)-파란 파형(반사손실), 빨간 파형(삽입손실)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전력이 도 17의 λg/2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의 ③-a와 ③-b를 통해 전력이 전송되기 위해 S-parameter(왼쪽 파형)에서 빨간 파형(삽입손실)이 0.35 dB에 위치하고 파란 파형(반사손실)이 -11.4 dB에 위치해야 하며, 스미스 챠트(오른쪽 원형 그림)에서 m3의 point가 37.3 Ω(0.557-j2.026)에 위치되어 있어야 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λg/2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는 비아(Via: V1)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접지(GND)와 연결되지 않은 개방형 스터브(open stub)의 길이는 λg/2 인 것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이와 달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비아(V1)를 통해 각각 접지면(GND)을 연결하는 λg/4 단락형 스터브(short stub)를 구현할 수 있다.
무선통신/위성통신/이동통신/정보통신/방송통신/전자통신/전기 통신 분야에 적용할 부품/소자/회로/시스템과 RF에 관련된 부품/소자/회로/시스템 및 주파수 혼합기, 전력 증폭기, 듀플렉서(또는 다이플렉서)와 같은 회로에 적용했을 때, 상기 래빗-타입 회로망 기법은 각 RF 관련 부품 인 전송선로부(도 8), 전력분배부(도 10), 전력결합부(도 12),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도 14)에 적용하면, RF 관련 부품들의 실제 크기를 전송 선로의 RF 대역의 물리적 길이 λg/4(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 보다 λg/6로 소형 크기로 줄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r6 : 제1 급전부(입력부)
r1 : 제1 급전부 인 입력부(r6)와 연결된 제1 브릿지 제어부
r2: 제1 브릿지 제어부(r1)의 후단부(r2)와,
r3: 임피던스 조정부
r4: 제2 급전부 인 출력부(r7)의 제2 브릿지 제어부(r5)의 전단부
r5: 제2 브릿지 제어부
r7: 제2 급전부(출력부)
r8: 전력 조정부
r9, r11: 위상 조정부
r10: 대역 조정부
r12: 손실 제어부
λg: 전송선로 내의 파장

Claims (7)

  1.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전송선로에서,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RF 전력을 전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선로부;
    상기 전송 선로부의 입력부로써, 상기 RF 전력이 상기 전송선로부에 전달되기 위해 상기 RF 전력을 최초 입력하는 제1 급전부(r6); 및
    상기 전송선로부의 출력부로써, 상기 RF 전력이 상기 전송선로부로부터 전달되어 다음 회로로 전송되는 제2 급전부(r7)를 포함하며,
    상기 래빗-타입 회로망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 제1 급전부(r6), 전송선로부, 제2 급전부(r7)를 구비한 래빗-회로망의 전송 회로는 제1 급전부 인 입력부(r6)와 연결된 제1 브릿지 제어부(r1)의 후단부(r2)와, 제2 급전부 인 출력부(r7)의 제2 브릿지 제어부(r5)의 전단부(r4)에서 대칭 병렬 구조로 전송선로의 수평 기준 위 아래로 분산 변형시키며,
    상기 제1 급전부 인 입력부(r6)의 제1 브릿지 제어부(r1)의 후단부(r2)와 임피던스 조정부(r3)를 통해 상기 제2 급전부 인 출력부(r7)의 제2 브릿지 제어부(r5)의 전단부(r4)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송선로부는, 상기 제1 브릿지 제어부(r1)의 후단부(r2) 및 제2 브릿지 제어부(r5)의 전단부(r4)에서 각각 하방으로 수직으로 병렬로 분기되며, 원하는 만큼의 전력량을 조절하기 위해 길이를 변화시켜 전력량을 조절하는 전력 조정부(r8); 상기 전력 조정부(r8)와 수평으로 제1 위상조정부(r9)가 연결되며, RF 전력의 위상을 조정하는 제1 위상조정부(r9); 상기 제1 위상조정부(r9)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정확한 주파수 값(대역)을 조정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대역조정부(r10); 상기 대역조정부(r10)와 수평으로 제2 위상조정부(r11)가 연결되며, RF 전력의 위상을 조정하는 제2 위상조정부(r11); 상기 제2 위상조정부(r11)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손실 제어부(r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급전부 인 입력부(r6)의 상기 제1 브릿지 제어부(r1)의 후단부(r2)와 임피던스 조정부(r3)를 통해 상기 제2 급전부 인 출력부(r7)의 상기 제2 브릿지 제어부(r5)의 전단부(r4)와 직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송선로부의 실제의 길이(ℓ)는 사용 주파수에 맞게 결정되고, RF 대역의 전기적인 길이(electrical length) 또는 물리적인 길이(physical length)는 각각 사용 주파수에 맞게 90° 또는 λg/6(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로 크기를 줄이며,
    RF 내지 마이크로파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또 다른 부품들이 상기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며, RF 전력을 분배하거나 합할때 사용하는 전력 분배부; 상기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며, RF 전력을 분할하는데 사용하는 전력 결합부; 및 상기 전송선로부와 연결되며, 사용하고자 하는 대역 주파수 통과시키고 그 이외에 주파수는 차단하는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는 비아(Via: V1)를 구비하지 않으며 접지(GND)와 연결되지 않은 개방형 스터브(open stub)의 길이가 λg/2 인 λg/2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로 구현하거나, 또는
    비아(V1)를 통해 각각 접지면(GND)을 연결하여 λg/4 단락형 스터브(short stub) 대역통과 필터를 구현하는,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분배부는
    RF 전력(RF Power)을 각각 제1 분배부(b1) 및 제2 분배부(b2)로 전달하는 제1 급전부(입력부)(a1);
    상기 제1 급전부(입력부)(a1)으로부터 나오는 전력을 1/2 전력으로 나누어 주는 전송선로의 제1 전력분배부(b1) 및 제2 전력 분배부(b2);
    각각의 제1 전력분배부(b1) 및 제2 전력분배부(b2)로부터 유입되는 전력을 다음 회로로 공급하는 2개의 제2 급전부(전송 선로의 제1 및 제2 출력부)(a2, a2); 및
    상기 전송 선로의 제1 전력분배부(b1) 및 제2 전력분배부(b2)의 분배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제1 전력분배부(b1) 및 제2 전력분배부(b2)를 분리/영역 구분 또는 2 전력이 겹치지 않게 이격시켜주기 위한 저항을 사용하여 아이솔레이터(Isolator) 역할을 하는 격리부(c)를 포함하는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결합부는
    상기 RF 전력을 결합부(ㄹ1, ㄹ2)와 위상차 제어부(ㅁ1, ㅁ2)로 제공하는 제 1 급전부(ㄱ);
    상기 제 1급전부(ㄱ)으로부터 입력되는 입사전력을 반전력으로 나누어 주는 결합부(ㄹ1, ㄹ2);
    상기 결합부(ㄹ1, ㄹ2)로부터 반으로 나누어진 전력의 위상이 틀어지므로 틀어진 위상을 90°로 잡아주는 위상차 제어부(ㅁ1, ㅁ2);
    상기 위상차 제어부(ㅁ1, ㅁ2)로부터 반으로 나누어진 전력을 다른 회로로 전달 시켜주기 위해 전력을 전달하는 제2 및 제3 급전부(RF 출력부와 결합 출력부)(ㄴ1, ㄴ2 );
    전력(power)을 위상차 제어부(ㅁ1, ㅁ2)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불요파가 발생했을 때, 상기 불요파를 제거시켜주고 전력을 1/2으로 나누고, 상기 위상차 제어부(ㅁ1과 ㅁ2)의 영역을 구분해 격리시키는 저항에서 아이솔레이터(Isolator) 역할을 하는 격리부(ㄷ);
    를 포함하는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f)는
    상기 RF 전력을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f)의 전송 선로에 입력시키는 제1 급전부(RF 입력부)(①);
    상기 전송 선로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제1 급전부(RF 입력부)(①)에서 나오는 전력의 기 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 대역은 통과 못하도록 차단하는 제1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a);
    상기 전송 선로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a)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에 포함된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제어하는 손실 보상부(②-b);
    상기 전송 선로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제1 급전부(RF 입력부)(①)에서 나오는 전력의 기 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 대역은 통과 못하도록 차단하는 제2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c);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a)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상기 손실 보상부(②-b)로 전달하는 제1 연결부(③-a);
    상기 손실 보상부(②-b)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제2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c)로 전달하는 제2 연결부(③-b); 및
    상기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f)에서 전송되는 전력을 전송 선로의 다음 부하 측 회로로 전달하는 제2 급전부(RF 출력부)(④)를 포함하는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f)는 상기 λg/4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이며,
    제1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a)에서 발생하는 전력이 접지면으로 전송되기 위해 ②-a와 비아(Via)를 통해 접지면(GND)과 연결하는 이음부(V1); ②-b에서 발생하는 전력이 접지면(GND)으로 전송되도록 손실 보상부(②-b)와 비아(Via)를 통해 접지면(GND)과의 연결하는 이음부(V1); 제2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c)에서 발생하는 전력이 접지면(GND)으로 전송되도록 제2 주파수 대역 제어부(②-c)와 비아(Via)를 통해 접지면(GND)과의 연결하는 이음부(V1)를 더 포함하는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들의 각각의 비아(V1)를 통해 각각 접지(GND)를 연결하여 λg/4 단락형 스터브(short stub)를 구현하는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7. 제1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위성통신/이동통신/정보통신/방송통신/전자통신/전기 통신 분야에 적용할 부품/소자/회로/시스템과 RF에 관련된 부품/소자/회로/시스템 및 주파수 혼합기, 전력 증폭기, 듀플렉서 또는 다이플렉서와 같은 회로에 적용했을 때, 상기 래빗-타입 회로망 기법은 각 RF 관련 부품 인 전송선로부, 전력분배부, 전력결합부, 스터브 대역통과 필터에 적용하면, RF 관련 부품들의 실제 크기를 전송 선로의 RF 대역의 물리적 길이 λg/4(λg는 전송선로 내의 파장) 보다 λg/6로 소형 크기로 줄이는,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KR1020190049915A 2019-04-29 2019-04-29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KR10208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915A KR102084785B1 (ko) 2019-04-29 2019-04-29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915A KR102084785B1 (ko) 2019-04-29 2019-04-29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240A Division KR20190015003A (ko) 2017-08-04 2017-08-04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333A KR20190062333A (ko) 2019-06-05
KR102084785B1 true KR102084785B1 (ko) 2020-03-04

Family

ID=6684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915A KR102084785B1 (ko) 2019-04-29 2019-04-29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7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70666A1 (en) 2019-11-07 2022-11-24 Airex Co., Ltd. Decontamina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6441A (ja) * 2002-07-19 2004-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帯域阻止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内蔵した高周波パッケー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1101A (ja) * 1991-04-10 1992-11-02 Murata Mfg Co Ltd 電力合成分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6441A (ja) * 2002-07-19 2004-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帯域阻止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内蔵した高周波パッケージ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hirendera Kumar외 1인, " Effective Size Reduction Technique for Microstrip Filters", Journal of Electromagnetic Analysis and Applications, 2013년.*
J. S. Hong 외 1인, 『Microstrip filters for RF/Microwave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Inc, 페이지 154~158, 2001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333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5738B2 (en) Reduced size microwave directional coupler
DE69910039T2 (de) Doppelband-patchantennensystem mit erweiterter bandbreiteund dazugehörige verfahren für breitbandbetrieb
CN101051860B (zh) 一种馈电网络装置、天馈子系统和基站系统
Sakagami et al. Generalized two-way two-section dual-band Wilkinson power divider with two absorption resistors and its miniaturization
CN105390820B (zh) 用于天线系统的馈送网络
CN111919338B (zh) 天线模块
CN207624875U (zh) 合路器、移相器组件及天线
CN107342827B (zh) 天线阵列校准网络
KR20140124155A (ko)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평면형 rf 크로스오버 구조
CN108521017B (zh) 一种大规模mimo天线的馈电网络
KR102084785B1 (ko)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KR101017690B1 (ko) 편전효과(偏電效果)와 그 응용
CN100470924C (zh) 定向耦合器
KR20190015003A (ko) 래빗-타입 회로망을 이용한 소형 크기의 전송선로
US8570115B2 (en) Power division network device
DE10342611A1 (de) 90° Hybrid zum Splitten oder Zusammenführen von Hochfrequenzleistung
KR101014472B1 (ko) 밀집한 다층형 회로
CN102420351B (zh) 功分移相器
CN114204241B (zh) 微带-开路槽线耦合双频带90度定向耦合器
CN112886171B (zh) 功分合路器、馈电网络及电调天线
CN111384563B (zh) 耦合馈电的装置、移相器和天线
US6118911A (en) Waveguide switch matrix using junctions matched in only one state
KR102193593B1 (ko) 고정형 위상 천이기를 이용한 동일 위상 IoT 마이크로파 전력분배기
KR100893683B1 (ko) 하이브리드 커플러
KR101633054B1 (ko) 광대역 특성을 갖는 소형 브랜치라인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