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648B1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648B1
KR102084648B1 KR1020140167514A KR20140167514A KR102084648B1 KR 102084648 B1 KR102084648 B1 KR 102084648B1 KR 1020140167514 A KR1020140167514 A KR 1020140167514A KR 20140167514 A KR20140167514 A KR 20140167514A KR 102084648 B1 KR102084648 B1 KR 102084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insertion hole
air conditioning
evaporator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3786A (en
Inventor
백승호
김동균
김시형
박대근
이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648B1/en
Priority to US14/707,620 priority patent/US9844997B2/en
Priority to CN201510245652.6A priority patent/CN105082933B/en
Publication of KR2016006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7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6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일 양태는,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 파이프 및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 파이프를 포함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를 고정하는 플랜지, 및 상기 증발기가 내장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플랜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관통형성되는 공조 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 누설확인용 공구가 삽입가능한 공구 삽입공이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One aspect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aporator including an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an outlet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a flange fixing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of the evaporator, and the evaporator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air-conditioning case through which th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flange is built-i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tool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leak-checking tool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flange.

Description

차량용 공조 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Automotive air conditioning uni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그 내부 공간의 공조를 위한 공조 시스템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차량용 공조 장치는, 증발기를 유동하는 냉매 또는 히터 코어를 유동하는 엔진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를 차량의 내부로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증발기에는, 냉매가 입출되는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연결되고,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의 일측에는 팽창 밸브와의 결합을 위하여 플랜지가 결합된다. 그리고 증발기가 내장되는 공조 케이스에는 플랜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된다.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ir conditioning of its interior space. Such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supplies cooling or heating by supplying air exchanged with an engine cooling water flowing through a refrigerant flowing through an evaporator or a heater core to an interior of a vehicle. In such an evaporator, an inlet pipe and an outlet pipe through which refrigerant is introduced are connected, and flanges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for coupling with an expansion valve. And the air-conditioning case in which the evaporator is built is forme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flange.

한편 증발기의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 표면에 응축수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응축수는 공조 케이스 하부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증발기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 표면에도 발생한 응축수는,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지만 일부가 상기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를 따라서 이동되어 공조 케이스의 지지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차량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의 내구성이 저해될 수 있다. Meanwhile, condensate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while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side the evaporator exchanges heat with air. Such condensat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of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However, condensat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inlet and outlet pipes of the evaporato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but a part of the condensed water may be moved along the inlet and outlet pipes and flowed out through the suppor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Durability of other parts constituting the vehicle may be impair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증발기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 고정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vaporator inlet pipe and outlet pip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플랜지(30)의 후방측(공조 케이스에 인접한 측)의 입구 파이프(11) 및 출구 파이프(12)에 단열부재(31)가 감겨지고, 그 둘레에 스크류(33)를 이용하여 고정 브라켓(32)이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32)은 상기 공조 케이스의 지지부(21)에 고정되고, 이에 의하여 플랜지(30)의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32)의 둘레에는 실링 부재(40)가 설치되어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증발기를 공조 케이스에 장착 한 후, 상기 입구 파이프, 출구 파이프 및 플랜지를 고정할 수 있으나, 플랜지와 공조 케이스 사이의 누설을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heat insulation member 31 is wound around the inlet pipe 11 and the outlet pipe 12 on the rear side (side adjacent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of the flange 30, and the screw 33 is wound around the inlet pipe 11. Fixing bracket 32 is fastened by using. At this time, the fixing bracket 32 is fixed to the support 2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re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flange 30. In addition, a sealing member 40 is installed around the fixing bracket 32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ate.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inlet pipe, the outlet pipe and the flange can be fixed after mounting the evaporato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but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leakage between the flange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4178호 (발명의 명칭 : 차량용 공조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44178 (Invention name: vehic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리크 테스트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performing a leak test more easi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air conditioner configured to further improve manufactur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일 양태는,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 파이프 및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 파이프를 포함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를 고정하는 플랜지, 및 상기 증발기가 내장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플랜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관통형성되는 공조 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 누설확인용 공구가 삽입가능한 공구 삽입공이 형성된다.One aspect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aporator including an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an outlet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a flange fixing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of the evaporator, and the evaporator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air-conditioning case through which th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flange is built-i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tool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leak-checking tool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flang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구 삽입공은 상기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공조 케이스에 인접하는 상기 플랜지의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l insertion hole is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flange adjacent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corresponding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플랜지를 둘러싸고, 상기 공구 삽입공에 인접하는 그 일부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실링 블록을 더 포함한다.In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sealing block surrounding the flange on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 recess is formed in a portion thereof adjacent to the tool insertion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구 삽입공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실링 블록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In one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ss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ling blo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l insertion hole,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증발기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를 고정하는 플랜지에 리크가 발생하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누설확인용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크 테스트가 용이하고, 제조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ol insertion hole is formed in which a leak-checking tool is inserted to test whether a leak occurs in a flange fixing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of the evaporator.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 test may be easy and the manufacturability may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조 케이스 및 플랜지 사이의 밀폐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링 블록에 누설확인용 공구의 삽입을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공조 케이스와 플랜지 사이의 밀폐성이 확보되는 동시에 누설확인용 공구의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 for inserting the tool for checking leakage is formed in a sealing block for ensuring the sealing property betwee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flange.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property betwee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flange can be secured and at the same time easy insertion of the leak checking tool can be mad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증발기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 고정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정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누설확인용 공구의 장착을 나타낸 사시도, 확대도, 및 정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vaporator inlet pipe and outlet pip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is a perspective view, an enlarged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the tool for checking the leakag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누설확인용 공구의 장착을 나타낸 사시도, 확대도, 및 정면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to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an enlarged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the tool for checking leakag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장치(1000)는, 증발기(100), 플랜지(200), 그리고 공조 케이스(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100)는 공조 케이스(300) 내부에 장착되고, 그 내부를 순환하는 저온의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된다. 상기 증발기(100)를 유동하는 냉매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100)를 순차적으로 순환한다. 2 to 7,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vaporator 100, a flange 200, and an air conditioner case 300. More specifically, the evaporator 100 is mount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300, and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circulating therein exchanges heat with air.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evaporator 100 sequentially circulates through the compressor, the condenser, the expansion valve, and the evaporator 100.

삭제delete

상기 증발기(100)는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헤더 탱크(150), 상기 헤더 탱크(150)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 파이프(110) 및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 파이프(120), 상기 헤더 탱크(150)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정의하는 튜브(130), 상기 튜브(130) 사이에 개재되는 핀(140)을 포함한다. The evaporator 100 is a pair of header tanks 150 which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ranged side by side, an inlet pipe 110 connected to the header tank 150 and an outlet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120, a tube 130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header tank 150 to define a refrigerant flow path, and a pin 140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130.

한편 플랜지(200)에 의하여, 상기 입구 파이프(110) 및 출구 파이프(120)는 상기 공조 케이스(300)의 외측에 고정된다. 상기 플랜지(200)는, 입구 파이프(110) 및 출구 파이프(12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공조 케이스(300)에 고정되는 플랜지고정부(21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inlet pipe 110 and the outlet pipe 120 ar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300 by the flange 200. The flange 200 includes a flange fixing part 210 fixed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300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pipe 110 and the outlet pipe 120 are suppor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랜지(200)에 누설확인용 공구(500)가 삽입가능한 공구 삽입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공구 삽입공(210)은 상기 공조 케이스(300) 내부에 다른 구성들을 조립한 후, 정확하게 밀폐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누설확인용 공구(50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공구 삽입공(210)은 상기 누설확인용 공구(500)가 삽입되었을 때,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입구 파이프(110) 및 출구 파이프(12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공조 케이스(300)에 인접하는 상기 플랜지(200)의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tool insertion hole 210 into which the leakage checking tool 500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flange 200. The tool insertion hole 210 is a part into which the leakage checking tool 500 is inserted to confirm whether the air conditioner case 300 is correctly sealed after assembling other components. At this time, the tool insertion hole 210 is the air conditioning case 300 corresponding between the inlet pipe 110 and the outlet pipe 120 so as to ensure sufficient durability when the leakage checking tool 500 is inserted. A portion of the flange 200 adjacent to the recess may be recessed and recessed.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누설확인용 공구(500)는 상기 공구 삽입공(210)에 삽입되는 삽입부(510)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부(510)가 2개로 구성되어 상기 공구 삽입공(210)의 양측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확인용 공구(500)는 차단부(520) 및 이동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520)는 상기 삽입부(51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200)에 맞닿는 것으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530)는, 상기 삽입부(510)가 상기 공구 삽입공(21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부(510) 및 차단부(52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누설확인용 공구(500)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누설확인용 공구(500)의 구성 및 삽입 양태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공조 케이스(300)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100) 및 히터 코어(미도시)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 케이스(300)에는 상기 플랜지(200)를 지지하는 지지부(330)가 관통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eakage checking tool 500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510 is inserted into the tool insertion hole 210. 5 to 7, the insertion part 510 may be configured in two and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tool insertion hole 210. In addition, the leakage checking tool 500 may include a blocking unit 520 and a moving unit 530. The blocking part 52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by contacting the flange 200 to limit the insertion depth of the insertion part 510.
In addition, the moving part 530 serves to move the insertion part 510 and the blocking part 520 so that the insertion part 510 is inserted into the tool insertion hole 210. Of course, the leak check tool 500 shown in Figures 5 to 7 are exemplary, the configuration and insertion of the leak check tool 500 will not be limited to this. The evaporator 100 and a heater core (not shown) are position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300.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case 300 has a support portion 330 for supporting the flange 200 therethrough.

삭제delete

한편, 도 2 및 도 3에는, 상기 공조 케이스(300)가 2개의 상부케이스(301a, 301b) 및 하부케이스(302)를 포함하는 세미 센터 타입을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 장치(1000)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센터마운팅 타입, 쓰리 피스 타입, 좌,우 독립 제어 타입 등 더욱 다양한 공조 장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2 and 3 illustrate a semi-center type in which the air conditioning case 300 includes two upper cases 301a and 301b and a lower case 302,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more various air conditioning apparatuses such as center mounting type, three piece type, left and right independent control type in the same way an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상기 공조 케이스(300)는 공기유입구(310)와 송풍케이스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며 내부에는 증발기(100) 및 히터 코어가 구비되어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고, 다수개의 벤트(320)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히터 코어는 가열된 냉각수가 유동되어 공기를 가열한다. 상기 벤트(320)는 페이스 벤트(Face Vent),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및 플로어 벤트(Floor Vent)를 포함한다.
상기 페이스 벤트는 차량 실내의 전측(앞좌석)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곳이고,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는 차량 실내의 차창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곳이며, 상기 플로어 벤트는 차량 실내의 앞좌석 바닥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곳이다. 본 실시예는 실링 블록(4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링 블록(400)은, 상기 공조 케이스(300) 외부에서 상기 플랜지(200)를 둘러싸도록 위치되어 상기 공조 케이스(300)의 지지부(330)와 플랜지(200)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air conditioning case 300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310 and the blower case, the air is introduced and the evaporator 100 and the heater core is provided therein to cool or heat the air, the vehicle through a plurality of vents 320 It is supplied indoors. At this time, the heater core flows the heated cooling water to heat the air. The vent 320 includes a face vent, a defrost vent, and a floor vent.
The face vent is a place for discharging air to the front side (front seat) of the vehicle interior, the defrost vent is a place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vehicle window of the vehicle interior, the floor vent is a air to the floor of the front seat of the vehicle interior This is the place to discharge. Th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aling block 400. The sealing block 400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flange 200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300 and serves to improve airtightness between the support part 330 and the flange 200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300. do.

삭제delete

이때 상기 실링 블록(400)에는 오목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410)는, 상기 공구 삽입공(210)에 인접하는 상기 실링 블록(410)의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곳으로, 상기 오목부(410)를 통하여 상기 누설확인용 공구(500)가 상기 공구 삽입공(2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오목부(410)가 상기 공구 삽입공(210) 길이방향으로 상기 실링 블록(4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구 삽입공(210)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오목부(410)와 상기 공구 삽입공(210)은 그 중심이 동일한 가상의 직선상에 존재함으로써, 상기 누설확인용 공구(500), 실질적으로 상기 삽입부(510)가 상기 공구 삽입공(210)에 삽입된 위치나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a recess 410 is formed in the sealing block 400. The recess 410 is a portion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sealing block 410 adjacent to the tool insertion hole 210, and the tool for checking leakage through the recess 410 ( 500 may be easily inserted into the tool insertion hole 210.
In particular, the recess 41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ling block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l insertion hole 210, it will be easier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ool insertion hole 210. That is, the recess 410 and the tool insertion hole 210 exist on a virtual straight line having the same center, so that the tool 500 for checking leakage, substantially the insertion part 510 is inserted into the tool. The position or state inserted into the ball 210 can be more easily confirm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100 : 증발기 110 : 입구 파이프
120 : 출구 파이프 130 : 튜브
140 : 핀 150 : 헤더 탱크
200 : 플랜지 201 : 공구 삽입공
210 : 플랜지고정부 300 : 공조 케이스
301a, 301b : 상부케이스 302 : 하부케이스
310 : 공기유입구 320 : 벤트
330 : 지지부 400 : 실링 블록
410 : 오목부 500 : 누설확인용 공구
510 : 삽입부 520 : 차단부
530 : 이동부
100: evaporator 110: inlet pipe
120: outlet pipe 130: tube
140: pin 150: header tank
200: flange 201: tool insertion hole
210: flange fixing part 300: air conditioning case
301a, 301b: upper case 302: lower case
310: air inlet 320: vent
330: support 400: sealing block
410: recess 500: leak check tool
510: inserting portion 520: blocking portion
530: moving part

Claims (4)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 파이프(110) 및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 파이프(120)를 포함하는 증발기(100)와, 상기 입구 파이프(110) 및 출구 파이프(120)를 고정하는 플랜지(200), 상기 증발기(100)가 내장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플랜지(200)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공조 케이스(300), 그리고 상기 공조 케이스(300)의 외부에서 상기 플랜지(200)를 둘러싸는 실링 블록(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200)에는 누설확인용 공구(500)가 삽입가능한 공구 삽입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공구 삽입공(210)에 대응하는 부분의 실링 블록(400)에는 오목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410)와 공구 삽입공(210)은 그 중심이 동일한 가상의 직선상에 존재하고, 상기 오목부(410)는 공구 삽입공(210)의 길이방향으로 실링 블록(4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 장치.
An evaporator 100 including an inlet pipe 110 through which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an outlet pipe 120 through which refrigerant is discharged, a flange 200 fixing the inlet pipe 110 and an outlet pipe 120, and the evaporator An air conditioning case 300 having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flange 200 to which the 100 is embedd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aling block 400 surrounding the flange 200 at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300. ), Including;
The flange 200 is formed with a tool insertion hole 210 into which the leakage checking tool 500 can be inserted, and a recess 410 is formed in the sealing block 400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ool insertion hole 210. The concave portion 410 and the tool insertion hole 210 are formed on a virtual straight line having the same center, and the concave portion 410 is a sealing block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l insertion hole 210.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삽입공(210)은, 상기 입구 파이프(110) 및 출구 파이프(12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공조 케이스(300)에 인접하는 상기 플랜지(200)의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ool insertion hole 210 is a vehicle air conditioner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flange 200 adjacent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300 corresponding to the inlet pipe 110 and the outlet pipe 120.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67514A 2014-05-15 2014-11-27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846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514A KR102084648B1 (en) 2014-11-27 2014-11-27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14/707,620 US9844997B2 (en) 2014-05-15 2015-05-08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201510245652.6A CN105082933B (en) 2014-05-15 2015-05-14 Car air-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514A KR102084648B1 (en) 2014-11-27 2014-11-27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786A KR20160063786A (en) 2016-06-07
KR102084648B1 true KR102084648B1 (en) 2020-03-04

Family

ID=5619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514A KR102084648B1 (en) 2014-05-15 2014-11-27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64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6517A1 (en) 2004-06-30 2009-05-21 Valeo, Inc. Detection system for localizing defective seals in heat exchange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586A (en) * 2008-08-26 2010-03-08 한라공조주식회사 A heat exchanger
KR101144178B1 (en) * 2009-02-03 2012-05-09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6517A1 (en) 2004-06-30 2009-05-21 Valeo, Inc. Detection system for localizing defective seals in heat exchan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786A (en)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217B1 (en) Heat source unit
US984499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70023154A (en) Refrigerator
KR20100097511A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s
JP6105256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CN104380002A (en) Radiation-type air conditioner
KR101656631B1 (en) Radiant air conditioner
CN105627424A (en) Air conditioner
KR102084648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930010B1 (en) Cooling module
KR101216128B1 (en) Pipe fixing member of evaporator for automotive vehicles
JP2015175531A (en) Refrigeration device unit
WO2014045535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KR20060104125A (en) Air conditioner for a car
KR102095394B1 (e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6671311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20210155193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5008911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70082673A (en) Coolant supply unit for evaporator of air conditioner used in vehicle
KR200422628Y1 (en) Water Temperature Sensor Mounting Structure of Heat Core for Vehicle
KR101600878B1 (en) Heat Exchanger and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60015627A (en) Heat Exchanger
JP2016022859A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476914B1 (en) Automotive heat exchangers
KR20160015549A (en)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